KR101839198B1 - 차 거르개 - Google Patents

차 거르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198B1
KR101839198B1 KR1020160018184A KR20160018184A KR101839198B1 KR 101839198 B1 KR101839198 B1 KR 101839198B1 KR 1020160018184 A KR1020160018184 A KR 1020160018184A KR 20160018184 A KR20160018184 A KR 20160018184A KR 101839198 B1 KR101839198 B1 KR 101839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forming plate
inlet
present
si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8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6683A (ko
Inventor
박민정
Original Assignee
박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정 filed Critical 박민정
Priority to KR1020160018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198B1/ko
Publication of KR20170096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8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 A47J31/20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having immersible, e.g. rotatabl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 거르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11); 상기 몸체(11)의 상부에 구비되고 찻 잎을 뜨는 차 수저부(12); 상기 몸체(11)의 하부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부가 상기 몸체(11)의 양단에 연결되는 투입구 형성판(20)을 포함하고, 상기 투입구형성판(20)의 하단에는 상기 몸체(11)의 하부에 연결되는 거름망(30)에 삽입되어 거름망(30)을 벌려주기 위한 거름망 삽입부(2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 거르개{Tea stick}
본 발명은 차 거르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 잎을 망에 담아 물에 담그어 차를 우려내는 차 거르개에 관한 것이다.
차 거르개는 망으로 된 용기로서 차를 우릴 때 사용한다. 망 안에 차를 담아 밀봉한 후 뜨거운 물에 담그면 미세한 구멍을 통해 차 잎이 우려지게 되는 것이다. 사용 후 세척하여 사용하는 제품도 있으나, 일회용인 티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차 거르개에 따르면 거르개에 차 잎을 담을 때 집게나 스푼과 같아 차를 뜰 수 있는 도구가 따로 필요하여 사용함에 불편이 있었다.
한편, 일회용 티백의 경우 고급 제품에 수요가 있음에도 직물지의 망사 구조를 벗어나지 못하여 고급화가 실질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푼과 같이 직접 차를 뜰 수 있도록 된 차 거르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의 간소화로 제조가 쉽고 접착부위가 최소화되며 일회용이면서도 고품질의 차 거르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 거르게는, 몸체(11); 상기 몸체(11)의 상부에 구비되고 찻 잎을 뜨는 차 수저부(12); 상기 몸체(11)의 하부에 연결되는 거름망(30); 및 일단이 상기 몸체(11)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11)의 타측에 형성된 끼움홈(28)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하단에 상기 거름망(30)의 투입구에 삽입되는 거름망삽입부(22)가 하방으로 더 연장형성되는 투입구 형성판(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상기 몸체, 차 수저부, 투입구 형성판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에는 상기 투입구형성판의 상단을 여며주기 위한 투입구 여밈이 절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입구 형성판은 그 양단부가 눌러질 때 곡면으로 탄성변형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 수저부로 차 잎을 직접 떠 담은 다음 아래쪽 거름망으로 차 잎을 이동시켜 여민 후 곧바로 찻잔에 담그어 차를 우려낼 수 있다. 차 잎을 떠담는 것에서부터 우려내는 것을 하나의 도구로 동시에 할 수 있다. 별도로 집게나 스푼이 필요 없으므로 다도 구성품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차를 즉시 담아 티백으로 만들 수 있어 그 활용도가 높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 구성이 간단하고 제작 공수가 최소화되도록 만들어졌으며, 물에 담그어야 하는 만큼 접착부위를 최소화하고 필수적인 접착부위도 안전한 열접착으로 하였다. 이로 인해 제품 생산이 용이하고 생산 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차 거르개를 펼쳐 분해하여 보인 전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차 거르개의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사용예를 보인 사용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스푼과 같이 찻잎을 떠 아래 거름망 부위로 차를 흘러 내려보낸 다음 찻잔에 담그어 우려내는 것으로서, 일회용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차 거르개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 거르개의 몸체(11)와 거름망(30)을 분해하여 보인 전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 거르개의 조립완성 상태가 사진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 차 거르개는 크게 몸체(11), 상기 몸체(11) 상부의 차 수저부(12), 상기 몸체(11) 하부의 거름망(30)을 포함한다.
몸체(11)와 차 수저부(12)는 한몸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차 수저부(12)는 몸체(11)의 상부에 연장 형성된 것으로서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접는선을 접으면 오목한 모양이 만들어져 차 잎을 떠올리 수 있다. 몸체(11)와 차 수저부(12)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일회용으로 제작되는 경우 코팅된 종이재질이 적절하다.
상기 몸체(11)의 하부에는 거름망(30)이 연결된다. 거름망(30)은 망사구조의 직물지로 만들어지며, 상부가 개구되는 주머니 형상이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의 직물지를 반으로 접어 양쪽 가장자리를 열접착시켜 거름망(30)의 주머니 형상을 완성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거름망(30)의 일면에 형성된 상단 연결부(33)는 몸체(11)의 하부에 열접착되어 고정된다. 물론, 도 1의 실시예와 다르게 상단 연결부(33)가 몸체(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몸체(11)에는 상기 거름망(30)의 투입구를 만들어주는 투입구형성판(20)이 구비된다. 상기 투입구 형성판(20)은 그 양단부가 눌러질 때 곡면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투입구형성판(20)은 상기 몸체(11)의 측방으로 더욱 연장된 부분으로 상기 몸체(11)와 일체로 연결되고 접는선에 의해 접으면 상기 몸체(11)의 전방을 가로방향으로 덮어주게 된다. 이때 투입구형성판(20)의 하단에는 거름망 삽입부(22)가 더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이러한 거름망 삽입부(22)는 거름망(30) 내부로 삽입되어 거름망(30)의 입구를 벌려주는 역할을 한다.
투입구형성판(20)의 일단은 몸체(11)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다고 위에서 설명하였다. 투입구형성판(20)의 타단은 몸체(11)의 타측에 고정될 수 있다. 그 고정방식은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한데,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몸체(11)의 타측에 연장형성된 결합부(26)에 끼움홈(28)이 관통 형성되고 투입구형성판(20)의 타단에 연장형성된 결합돌부(24)가 상기 끼움홈(28)에 끼워지는 것으로 하였다.
투입구형성판(20)의 일측을 접은 후 거름망삽입부(22)를 거름망(30) 내부로 넣어주면서 투입구형성판(20)의 결합돌부(24)를 끼움홈(28)에 끼우면 차 거르개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2 참조)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투입구형성판(20)의 양쪽을 눌러주면 투입구형성판(20)과 몸체(11) 부분이 각각 곡면을 만들면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며, 이와 동시에 거름망 삽입부(22)가 거름망(30)을 벌려주게 되고 차 투입구가 일시적으로 만들어진다. (도 3a 참조)
도 3a와 같이 투입구형성판(20)의 양쪽을 눌러주어 차 투입구를 벌린 상태에서 오목하게 만든 차수저부(12)로 찻 잎을 뜬다. 곧바로 차 거르개를 상하방향으로 놓아 차수저부(12)에 있는 찻 잎들을 아래 거름망(30)으로 흘러들어가게 한다. 이 때 투입구형성판(20)의 거름망삽입부(22)가 거름망(30)의 입구를 잘 벌려주므로 찻잎들이 고스란히 거름망(30)으로 들어갈 수 있다.
한편, 도 1과 도3b 와 같이, 몸체(11)에는 투입구형성판(20)의 상단을 여며주는 투입구 여밈(29)이 형성된다. 이러한 투입구 여밈(29)은 몸체(11)에 반원형상의 절개선을 형성함으로써 만들어지는데, 도 3 b와 같이 투입구 여밈(29)을 투입구형성판(20)의 앞쪽에 걸어주면 투입구형성판(20)이 몸체(11)와 밀착되어 임의로 벌어지지 않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3 c 와 같이 찻 잎이 담긴 차 거르개를 찻잔에 담긴 물에 담근다. 이때 몸체(11)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접는선을 접어주면 차 수저부(12)가 찻잔 상단에 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차 거르개의 몸체(11), 차수저부(12), 투입구 형성판(20) 등이 일체로 형성되고 하나의 전개도로 제작될 수 있기 때문에 제작과정이 매우 간단하고 그로 인해 제품 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차 종류를 선택하여 즉석에서 티백을 편리하게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 실시예와 다르게 몸체(11)를 일회용으로 하지 않고 반복 사용하는 것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몸체(11)의 하단에 후크를 두고 거름망(30)의 상단연결부(33)를 몸체(11)의 하단 후크에 직접 걸어주어 사용하는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면 차를 우린 후 거름망(30)만 버리고 몸체(11)는 재사용이 가능하다.
참고로, 도 1에 표현된 점선은 접는선이며, 음영부분은 접착부를 표시한 것이다.
11: 몸체 12: 차 수저부
20: 투입구 형성판 22: 거름망 삽입부
24: 결합돌부 26: 결합부
28: 끼움홈 29: 투입구 여밈
30: 거름망 33: 상단연결부

Claims (5)

  1. 삭제
  2. 몸체(11);
    상기 몸체(11)의 상부에 구비되고 찻 잎을 뜨는 차 수저부(12);
    상기 몸체(11)의 하부에 연결되는 거름망(30);
    일단이 상기 몸체(11)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11)의 타측에 형성된 끼움홈(28)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하단에 상기 거름망(30)의 투입구에 삽입되는 거름망삽입부(22)가 하방으로 더 연장형성되는 투입구 형성판(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 거르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 차 수저부(12) 및 투입구 형성판(20)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 거르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에는 상기 투입구형성판(20)의 상단을 여며주기 위한 투입구 여밈(29)이 절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 거르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 형성판(20)은 그 양단부가 눌러질 때 곡면으로 탄성변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 거르개.
KR1020160018184A 2016-02-17 2016-02-17 차 거르개 KR101839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184A KR101839198B1 (ko) 2016-02-17 2016-02-17 차 거르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184A KR101839198B1 (ko) 2016-02-17 2016-02-17 차 거르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683A KR20170096683A (ko) 2017-08-25
KR101839198B1 true KR101839198B1 (ko) 2018-03-15

Family

ID=59761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184A KR101839198B1 (ko) 2016-02-17 2016-02-17 차 거르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1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8623A (ja) 1999-06-29 2001-01-16 Uji Kadotaen:Kk ドリップ式ティーバッグ
JP2001309771A (ja) 2000-04-28 2001-11-06 Yoshimoto Kataue 飲料粉末固形体
JP2007181505A (ja) 2005-12-29 2007-07-19 Nakane Seicha Kk 2室以上の収納室を有するペットボトル用ティーバッ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8623A (ja) 1999-06-29 2001-01-16 Uji Kadotaen:Kk ドリップ式ティーバッグ
JP2001309771A (ja) 2000-04-28 2001-11-06 Yoshimoto Kataue 飲料粉末固形体
JP2007181505A (ja) 2005-12-29 2007-07-19 Nakane Seicha Kk 2室以上の収納室を有するペットボトル用ティーバッ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683A (ko) 2017-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6131B2 (en) Drip bag
US2187417A (en) Tea bag, coffee bag, and the like
CA2454479C (en) Drip bag
TWI557044B (zh) Filter bag
JP5105119B2 (ja) ドリップバッグ
EP2760762B1 (en) Bag for a beverage preparation
CN103874639B (zh) 浸出袋
KR101839198B1 (ko) 차 거르개
JP3166151B2 (ja) ドリップバッグ
WO2012023883A1 (ru) Одноразовое сито для заваривания чая с системой отжима
JP6059938B2 (ja) コーヒー抽出バッグ
EA035075B1 (ru) Одноразов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JP4915520B2 (ja) ドリップバッグ
KR200492748Y1 (ko) 스틱형 티백과 이를 포함한 차 제품
JPS6218163B2 (ko)
JP2019187549A (ja) ドリップバッグ
CN209595386U (zh) 一种易泡茶具套组
KR20220077798A (ko) 아랫부분을 열고 찻잎을 넣어 손쉽게 차를 우릴 수 있는 물통
JP7452859B2 (ja) ドリップバッグ
TWM462556U (zh) 沖泡用杯具組合及其杯蓋
JP7166038B2 (ja) 抽出バッグ
JPH0331239Y2 (ko)
JP4182816B2 (ja) ドリップバッグ
JP2008000623A (ja) ドリップバッグ
CN208941815U (zh) 便利式手冲滤泡组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