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093B1 -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093B1
KR101839093B1 KR1020167005541A KR20167005541A KR101839093B1 KR 101839093 B1 KR101839093 B1 KR 101839093B1 KR 1020167005541 A KR1020167005541 A KR 1020167005541A KR 20167005541 A KR20167005541 A KR 20167005541A KR 101839093 B1 KR101839093 B1 KR 101839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information
information
push
notification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5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1101A (ko
Inventor
메일란 리우
지구앙 가오
엔싱 호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70061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04M1/7256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5Call privacy arrangements, e.g. timely inhibiting the ring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푸시 정보를 수신했을 때, 알림 창에 상기 푸시 정보의 내용과 같은 목표 푸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만약 상기 알림 창에 상기 목표 푸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알림 창의 상기 목표 푸시 정보에 대응되는 푸시 시간을 상기 푸시 정보의 푸시 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에서 그 휴대용 단말기와 바인딩된 어느 하나의 장치가 송신한 반복되는 푸시 정보를 수신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푸시 정보와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알림 창에 추가함으로써, 동일한 장치가 동일한 시간 내에 반복적으로 단말기에 같은 내용의 푸시 정보를 송신할 때 휴대용 단말기가 그에 대응되게 반복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정상적인 작업과 생활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METHOD AND DEVICE FOR INFORMATION PROCESSING}
본 출원은 2015년 10월 29일 출원되고, 중국 출원번호 201510717548.2인 중국 특허 출원을 기초로 제출한 것이며 당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당해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 출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정보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의 종류와 수량도 따라서 부단히 증가되고 있다. 사용자가 흔히 사용하는 스마트폰 이외에도, 스마트 램프, 스마트 카메라, 스마트 공기청정기와 스마트 커텐 등 스마트 설비가 존재하고, 이러한 스마트 설비는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바인딩 (Bind)되여 스마트폰에 정보를 푸시 (Push)한다.
하지만, 대부분 경우에서 스마트 장치가 스마트폰에 푸시하는 정보의 내용은 같으며, 만약 스마트 장치가 스마트 푸시한 상기 정보가 과도하게 많으면, 사용자는 스마트폰이 이러한 정보를 접수할 때 발생하는 진동 또는 알림 음에 의해 간섭될 수 있고, 크게는 사용자의 정상적인 작업 및 생활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관련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태에 의하면,
푸시 정보를 수신했을 때, 알림 창에 상기 푸시 정보의 내용과 같은 목표 푸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만약 상기 알림 창에 상기 목표 푸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알림 창의 상기 목표 푸시 정보에 대응되는 푸시 시간을 상기 푸시 정보의 푸시 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휴대용 단말기에서 푸시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 당해 푸시 정보와 알림 창 중의 목표 푸시 정보를 대비하여, 만약 푸시 정보의 내용과 같은 목표 푸시 정보가 있으면, 알림 창의 목표 푸시 정보에 대응하는 푸시 시간을 푸시 정보의 푸시 시간으로 업데이트함으로써, 사용자가 조회하기 편리하게 하며, 이 때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필요가 없음으로, 사용자의 정상적인 생활과 작업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알림창에서 상기 목표 푸시 정보의 푸시 시간의 업데이트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보다 많을 때, 미리 설정된 방식을 통하여 알림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리하여, 알림창 중의 목표 푸시 정보의 푸시 시간 업데이트 횟수가 모 미리 설정된 횟수보다 많으면, 상기 푸시 정보가 중요한 정보임을 설명하며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조회할 수 있도록 알림을 제공해야 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푸시 정보의 정보 내용에서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특징 정보에 따라 상기 푸시 정보의 중요 등급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중요 등급이 미리 설정된 중요 등급보다 높거나 같을 때,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알림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푸시 정보의 정보 우선 등급이 미리 설정된 등급보다 높거나 같으면, 상기 푸시 정보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설명하며, 실시간으로 상기 푸시 정보에 대한 알림을 진행하여 사용자가 알림에 따라 상기 푸시 정보를 조회한 후 신속하게 대응되는 조취를 취하게 함으로써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수신 시점 전의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반복되는 푸시 정보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상기 푸시 정보에 대한 알림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수신 시점 전의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반복되는 푸시 정보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휴대용 단말기가 처음으로, 반복되지 않는 푸시 정보를 수신했음을 설명하며, 이 때에는 상기 푸시 정보에 대한 알림을 진행하여야 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알림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오디오를 재생하는 단계;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 또는
메인 인터페이스에 팝업 창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실제 수요에 따라, 상술한 방식 중의 두가지 또는 세가지를 결합하여 알림을 진행함으로써, 신속하고 유효하게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만약 알림창에 상기 목표 푸시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푸시 정보의 정보 내용과 상기 푸시 정보의 푸시 시간을 상기 알림 창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양태에 의하면,
푸시 정보를 수신했을 때, 알림 창에 상기 푸시 정보의 내용과 같은 목표 푸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 모듈과;
상기 결정 모듈이 알림 창에 상기 목표 푸시 정보가 존재함을 결정했을 때, 상기 알림 창의 상기 목표 푸시 정보에 대응되는 푸시 시간을 상기 푸시 정보의 푸시 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 모듈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알림창에서의 상기 목표 푸시 정보의 푸시 시간의 업데이트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보다 많을 때, 미리 설정된 방식을 통하여 알림을 진행하는 제1 알림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푸시 정보의 정보 내용중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 모듈과;
상기 특징 정보에 따라 상기 푸시 정보의 중요 등급을 판단하는 판단 모듈과;
상기 판단 모듈에서 상기 중요 등급이 미리 설정된 등급보다 크거나 같다고 판단했을 때 미리 설정된 방식을 통해 알림을 진행하는 제2 알림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알림 모듈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오디오를 재생하는 제1 재생 서브 모듈;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1진동 서브 모듈; 또는
메인 인터페이스에 팝업 창을 디스플레이 하는 제1 디스플레이 서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알림 창에 상기 목표 푸시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푸시 정보의 정보 내용과 상기 푸시 정보의 푸시 시간을 상기 알림 창에 추가하는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 모듈이 결정한 상기 목표 푸시 정보와 상기 푸시 정보는 동일한 응용 프로그램에 대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양태에 의하면,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가능한 명령어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푸시 정보를 수신했을 때 알림 창에 상기 푸시 정보의 내용과 동일한 목표 푸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만약 상기 알림 창에 목표 푸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알림 창의 상기 목표 푸시 정보에 대응되는 푸시 시간을 상기 푸시 정보의 푸시 시간으로 업데이트 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에서 그 휴대용 단말기와 바인딩된 어느 하나의 장치가 송신한 푸시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푸시 정보와 알림 창 중의 목표 푸시 정보를 대비하여 만약 푸시 정보의 내용과 동일한 목표 푸시 정보가 있으면 알림 창의 목표 푸시 정보에 대응하는 푸시 시간을 푸시 정보의 푸시 시간으로 업데이트함으로써, 사용자가 조회하기 편리하게 하며, 이 때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필요가 없음으로, 사용자의 정상적인 생활과 작업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정보 처리 장치는 반복 송신된 푸시 정보의 수신 횟수와 푸시 정보의 우선 등급에 대해 판단하고, 나아가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를 위한 알림을 발생시킬 필요가 있을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작업과 생활에 불필요한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일반적인 설명과 아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을 한정할수 없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여기서 도면은 명세서에 편입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에 적합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하는데 사용된다.
도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응용 장면을 도시한다.
도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정보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3은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용 장면을 도시한다.
도4는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정보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5는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정보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6은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정보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7은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정보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8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를 도시한다.
도9는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를 도시한다.
도10은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를 도시한다.
도11은 도 9중의 제1 알림 모듈을 도시한다.
도12는 도 10중의 제2 알림 모듈을 도시한다.
도13은 예시적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를 도시한다.
도1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를 위한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설명이 도면에 관계되는 경우, 별도의 표시가 없는 한, 상이한 도면 중의 동일한 숫자는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를 표시한다. 아래의 예시적 실시예에 설명되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과 일치한 모든 실시 형태를 대표하지 않는다. 반대로, 그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상세히 설명된 본 발명의 일부와 일치한 장치 및 방법의 예시일 뿐이다.
도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응용 장면을 도시한다. 도1은 스마트폰(100), 스마트 소켓(socket)(200), 스마트 TV(300)와 스마트 카메라(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마트폰(100)은 스마트 소켓(200), 스마트 TV(300)와 스마트 카메라(400)와 각각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Bluetooth), 적외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등 방식일 수 있다.
스마트 소켓(200), 스마트 TV(300) 또는 스마트 카메라(400)는 자체의 동작 상태 또는 검출된 데이터에 의해 푸시(push) 정보를 생성하여 스마트폰(100)에 송신하고, 사용자는 스마트폰(100)에 의해 수신된 푸시 정보를 조회하여, 당해 스마트폰(100)과 바인딩되는 스마트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알수 있으며, 그에 따른 효과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스마트 소켓(200)이 자체와 연결된 전기제품이 너무 큰 전력을 소모하여 정격 전력을 초과한다고 판단했을 때, 스마트폰(100)에 푸시 정보를 송신하여 사용자에게 관련된 전기제품의 전력소모를 줄이거나 전기제품을 턴 오프 (turn off) 시킬 필요가 있음을 알림으로써, 전기제품이 타버리는 등 불량 사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100)이, 당해 스마트폰(100)과 바인딩되는 스마트 장치에서 송신한 푸시 정보를 빈번하게 수신할 때, 사용자는 스마트폰(100)이 수신한 푸시 정보에 의해 발생되는 메시지 알림에 의해 반복적으로 간섭받게 되어, 정상적인 작업과 생활에 영향을 받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스마트폰(100)이 푸시 정보를 송신할 때 발생하는 메시지 알림을 턴 오프하면, 중요한 메시지를 놓칠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그에 따른 큰 손실을 줄 수 있다.
상술한 경우를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정보 처리 방법에서는 스마트폰(100)에서 스마트 장치가 송신한 푸시 정보를 수신했을 때, 알림 표시창에 그 푸시 정보와 같은 내용의 목표 푸시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만약 존재하면 상기 목표 추천 정보의 시간을 업데이트한다. 이때 스마트폰(100)이 벨소리 및/또는 진동 등 알림 음을 발생하지 않도록 할수 있음으로, 사용자가 스마트폰(100)에서 발생되는 알림 음에 의해 간섭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더 나아가서, 스마트폰(100)이 수신한 반복 푸시 정보의 횟수와 푸시 정보의 내용의 중요 등급에 대해 판단하여 푸시 정보에 대한 알림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생략한다.
상술한 수행 프로세스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정보 처리 방법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210단계에 있어서, 푸시 정보를 수신했을 때, 알림 창에 상기 푸시 정보의 내용과 같은 목표 푸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도1에 도시된 실시에에 따르면, 스마트폰은 휴대용 단말기에 속하며, 스마트폰은 복수 개의 여러 종류의 스마트 장치와 바인딩되여 이러한 스마트 장치가 송신하는 푸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가 스마트 장치에 의해 송신된 푸시 정보를 수신하면, 스마트 단말기는 당해 푸시 정보의 수신 시점을 획득한다. 실제적인 수요에 따라, 상기 수신 시점은 년, 월, 일, 및 몇시, 몇분, 몇초 등 구체적인 시점을 포함할 수 있다.
당해 목표 푸시 정보는 알림 창에 미리 존재하는 정보이며, 단말기가 현재 수신한 푸시 정보와 목표 푸시 정보를 비교하여 당해 두 종류의 푸시 정보의 내용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220단계에 있어서, 만약 상기 알림 창에 상기 목표 푸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알림 창의 상기 목표 푸시 정보에 대응되는 푸시 시간을 상기 푸시 정보의 푸시 시간으로 업데이트한다.
만약 알림 창에 푸시 정보 내용과 같은 목표 푸시 정보가 존재하면, 단말기가 상기 푸시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이미 같은 내용의 목표 푸시 정보를 수신하였음을 설명하며, 사용자가 그 이전의 목표 푸시 정보를 수신했을 때 이미 상기 목표 푸시 정보의 알림 정보를 수신했을 가능성이 있다. 사용자가 당해 푸시 정보를 수신할 때, 사용자에게 알림 정보를 송신하여, 사용자의 정상적인 작업과 휴식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말기가 푸시 정보를 수신한 시간에 대해서만 업데이트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조회하기 편리하게 한다.
한편, 목표 푸시 정보와 푸시 정보는 동일한 응용 프로그램에 대응된다. 즉, 목표 푸시 정보와 푸시 정보는 단말기 상의 동일한 응용 프로그램에서 푸시된 정보이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에서 푸시된 푸시 정보를 수신할 때, 다른 단말기의 응용 프로그램을 책임진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푸시 정보를 처리하여 단말기의 알림 창에 푸시할 수 있다.
상기 푸시 정보는 휴대용 단말기와 바인딩되는 동일한 스마트 장치에서 송신된 푸시 정보임을 설명할 필요가 있으며, 다른 스마트 장치에서 송신된 푸시 정보인 경우, 이러한 푸시 정보의 정보 내용이 같다고 해도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조회할 수 있도록 알림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정보 처리 방법은 동일한 장치가 동일한 시간에 반복적으로 단말기에 같은 내용의 푸시 정보를 송신할 때, 휴대용 단말기가 그에 대응되게 반복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정상적인 작업과 생활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푸시 정보와 목표 정보의 내용은 스마트 단말기의 장치 식별, 푸시 정보의 정보 내용, 정보 유형 및 수신 시점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정보 또는 목표 푸시 정보는 "오후 12:10, 알림: 바디 센서가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가 될 수 있다.
수신된 푸시 정보에 대해 알림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보다 정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분화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분화된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S230단계에 있어서, 상기 알림창에서 상기 목표 푸시 정보의 푸시 시간의 업데이트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보다 많을 때, 미리 설정된 방식을 통하여 알림을 진행한다.
당해 수신 횟수는 1회, 2회 등이 될수 있으며, 구체적인 경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수신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보다 많거나 같으면, 그에 대응되는 푸시 정보가 비교적 긴급한 통신 정보임을 설명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즉시 처리하게 할려면 당해 푸시 정보에 대해 알림을 진행해야 한다. 한편, 만약 휴대용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처음으로 푸시 정보를 수신하여 알림을 송신하였을 경우, 사용자가 당해 알림을 수신하지 못했으면, 같은 스마트 장치에서 송신된 반복되는 푸시 정보를 두번째로 수신했을 때 다시 한번 알림을 진행함으로써, 중요한 정보를 놓치지 않음으로, 사용자에게 큰 손실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신한 푸시 정보에 대해 알림을 진행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2의 방법을 세분화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당해 방법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S510단계에 있어서, 상기 푸시 정보의 정보 내용 중의 특징 정보를 추출한다.
당해 특징 정보는 푸시 정보 중의 키워드 (예를 들면, 알람, 응급, 주의 등 민감 어휘)가 될수 있다. 물론, 이는 스마트 단말기가 휴대용 단말기에 푸시 정보를 송신할 때의 경우이다.
S520단계에 있어서, 상기 특징 정보에 따라 상기 푸시 정보의 중요 등급을 판단한다.
예시적으로, 푸시 정보의 정보 내용에 "알림, 응급, 주의"등 민감 어휘가 포함될 때, 이러한 푸시 정보를 중요 등급이 높은 푸시 정보로 결정하고 민감 어휘가 포함되지 않으면 중요 등급이 낮은 푸시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S530단계에 있어서, 상기 중요 등급이 미리 설정된 중요 등급보다 높거나 같을 때,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알림을 진행한다.
만약 푸시 정보의 정보 우선 등급이 미리 설정된 등급보다 높거나 같으면 상기 푸시 정보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설명하며, 실시간으로 상기 푸시 정보에 대한 알림을 진행하여 알림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푸시 정보를 조회한 후 신속하게 대응되는 조취를 취하게 함으로써 손실이 조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2의 방법의 세분화된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와 같은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240단계에 있어서, 만약 알림창에 상기 목표 푸시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푸시 정보의 정보 내용과 상기 푸시 정보의 푸시 시간을 상기 알림 창에 추가한다.
상술한 경우는 사용자의 단말기가 이미 전에 푸시 정보를 수신했으나 사용자가 이미 조회를 했기에 알림 창에 더이상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수신한 푸시 정보가 단말기가 처음으로 수신한 푸시 정보로서 알림창에 상기 푸시 정보의 내용과 같은 목표 푸시 정보가 아직 존재하지 않는 경우이며, 이 때에는 당해 푸시 정보의 정보 내용 및 대응되는 푸시 시간을 알림 창에 추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조회하기 편리하게 하여야 한다.
상술한 푸시 정보에 대한 알림은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미리 설정된 오디오를 재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민감한 벨소리를 미리 설정된 오디오에 의해 재생하여 알림을 진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게 한다.
또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킨다.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인터페이스 (main interface) 에 팝업 (pop-up) 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단말기를 사용할 때 실시간으로 푸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물론, 실제적인 수요에 따라, 상술한 방식 중의 두가지 또는 세가지를 결합하여 알림을 진행함으로써 신속하고 유효하게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미리 설정된 단말기에서 송신한 반복되는 푸시 정보를 수신했는 지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도2의 방법을 세분화한 방법으로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아래와 같은 방법을 더 포함한다.
S221단계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단말기가 송신한 푸시 정보 이력을 획득한다.
S222단계에 있어서, 푸시 정보와 푸시 정보 이력을 대비하여 푸시 정보 이력에 푸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푸시 정보와 푸시 정보 이력을 완벽하게 매칭시킬 수 있으며, 또한 그 두가지의 의미를 대비시킬 수도 있다.
푸시 정보 이력에 푸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때, S223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단말기에서 송신한 반복되는 푸시 정보를 수신하였음을 결정한다.
푸시 정보 이력에 푸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때, S224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단말기에서 송신한 반복되는 푸시 정보를 수신하지 않았음을 결정한다.
여기서, 푸시 정보 이력은 휴대용 단말기가 수신한 미리 설정된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송신한 모든 푸시 정보일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가 현재 수신한 푸시 정보와 푸시 정보 이력을 대비하여 상기 푸시 정보가 푸시 정보 이력에 보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단말기에서 송신한 반복되는 푸시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정보 처리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그 휴대용 단말기와 바인딩된 어느 하나의 장치가 송신한 푸시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 또는 어느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이 수신된 정보를 푸시 정보로서 푸시하였을 때, 상기 푸시 정보와 알림 창 중의 목표 푸시 정보를 대비하여 만약 푸시 정보의 내용과 동일한 목표 푸시 정보가 존재하면 알림 창의 목표 푸시 정보에 대응하는 푸시 시간을 푸시 정보의 푸시 시간으로 업데이트함으로써, 사용자가 조회하기 편리하게 하며, 이 때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필요가 없음으로 사용자의 정상적인 생활과 작업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정보 처리 방법은 반복 송신된 푸시 정보의 수신 횟수와 푸시 정보의 우선 등급에 대해 판단하고, 더 나아가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를 위한 알림을 발생시킬 필요가 있을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작업과 생활에 불필요한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당업자들은 본 발명이 소프트웨어 및 필요한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합한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물론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지만 대다수 경우에서는 전자 (前者)가 더 나은 실시예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본질적으로, 또는 종래의 기술에 기여를 한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기억 매체에 기억되며, 컴퓨터 장치 (PC,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의 모든 단계 또는 일부 단계를 구현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상술한 기억 매체는 읽기 전용 메모리 (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콤팩트 디스크에 의하여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실시예에 대한 구현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 처리 장치를 더 제공한다. 당해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에 위치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장치는 판단 모듈(10)과 업데이트 모듈(20)을 포함한다. 여기서, 결정 모듈(10)은 푸시 정보를 수신했을 때, 알림 창에 상기 푸시 정보의 내용과 같은 목표 푸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업데이트 모듈(20)은 상기 결정 모듈(10)이 알림 창에 상기 목표 푸시 정보가 존재함을 결정했을 때, 상기 알림 창의 상기 목표 푸시 정보에 대응되는 푸시 시간을 상기 푸시 정보의 푸시 시간으로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도1에 도시된 실시에에 따르면, 스마트폰은 휴대용 단말기에 속하며, 스마트폰은 복수 개의 여러가지 스마트 장치와 바인딩하여 이러한 스마트 장치가 송신하는 푸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가 스마트 장치에서 송신한 푸시 정보를 수신하면, 스마트 단말기는 당해 푸시 정보의 수신 시점을 획득한다. 수요에 따라 상기 수신 시점은 년, 월, 일 및 몇시, 몇분, 몇초 등 구체적인 시점을 포함할 수 있다.
당해 목표 푸시 정보는 알림 창에 미리 존재하는 정보이며, 단말기가 현재 수신한 푸시 정보와 목표 푸시 정보를 비교하여 당해 두 푸시 정보의 내용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알림 창에 푸시 정보 내용과 같은 목표 푸시 정보가 존재하면, 단말기가 상기 푸시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이미 같은 내용의 목표 푸시 정보를 수신하였음을 설명하며, 사용자가 그 이전의 목표 푸시 정보를 수신했을 때 이미 상기 목표 푸시 정보의 알림 정보를 수신했을 가능성이 있다. 사용자가 당해 푸시 정보를 수신할 때 사용자에게 알림 정보를 송신하여 사용자의 정상적인 작업과 휴식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말기가 푸시 정보를 수신한 시간에 대해서만 업데이트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조회하기 편리하게 한다.
한편, 목표 푸시 정보와 푸시 정보는 동일한 응용 프로그램에 대응된다. 즉, 목표 푸시 정보와 푸시 정보는 단말기 상의 동일한 응용 프로그램에서 푸시된 정보이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에서 푸시된 푸시 정보를 수신할 때, 다른 단말기의 응용 프로그램을 책임진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푸시 정보를 처리하여 단말기의 알림 창에 푸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8에 기반하여,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제1 알림 모듈(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알림 모듈(30)은 상기 알림창에서의 상기 목표 푸시 정보의 푸시 시간의 업데이트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보다 많을 때, 미리 설정된 방식을 통하여 알림을 진행하기 위해 배치된다.
상기 수신 횟수는 1회, 2회 등이 될수 있으며, 구체적인 경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수신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보다 많거나 같으면, 그에 대응되는 푸시 정보가 비교적 긴급한 통신 정보임을 설명할 수 있고, 사용자가 즉시 처리를 해야 하며 따라서 상기 푸시 정보에 대해 알림을 진행해야 한다. 한편, 만약 휴대용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처음으로 푸시 정보를 수신받아 알림을 발생시켰을 때 사용자가 그 푸시 정보를 전달받지 못했으면, 같은 스마트 장치에서 송신한 반복되는 푸시 정보를 두 번째로 수신했을 때 다시 한번 알림을 진행함으로써 중요한 정보를 놓침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큰 손실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8에 가반하여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추출 모듈(40), 판단 모듈(50)과 제2 알림 모듈(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출 모듈(40)은 상기 푸시 정보의 정보 내용중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배치된다. 상기 특징 정보는 푸시 정보중의 키워드(예를 들면, 알람, 응급, 주의 등 민감 어휘)가 될수 있다. 물론, 이는 스마트 단말기가 휴대용 단말기에 푸시 정보를 송신할 때의 경우이다.
상기 판단 모듈(50)은 상기 특징 정보에 따라 상기 푸시 정보의 중요 등급을 판단한다. 예시적으로, 푸시 정보의 정보 내용에 "알람, 응급, 주의"등 민감 어휘가 포함될 때, 이러한 푸시 정보를 중요 등급이 높은 푸시 정보로 결정하고 민감 어휘가 포함되지 않으면 중요 등급이 낮은 푸시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알림 모듈(60)은 상기 판단 모듈(50)에서 상기 중요 등급이 미리 설정된 등급보다 크거나 같다고 판단했을 때 미리 설정된 방식을 통해 알림을 진행한다.
만약 푸시 정보의 정보 우선 등급이 미리 설정된 등급보다 높거나 같으면 상기 푸시 정보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설명하며, 실시간으로 상기 푸시 정보에 대한 알림을 진행하여 사용자가 알림에 따라 상기 푸시 정보를 조회한 후 신속하게 대응되는 조취를 취하게 함으로써 손실이 조성되는 것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9를 토대로,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알림 모듈(30)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오디오를 재생하도록 구성된 제1 재생 서브 모듈(31);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제1 진동 서브 모듈(32); 또는
은 메인 인터페이스에 팝업 창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된 제1 디스플레이 서브 모듈(33)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10을 토대로,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알림 모듈(60)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오디오를 재생하도록 구성된 제2 재생 서브 모듈(61); 또는
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제2 진동 서브 모듈(62); 또는
이 메인 인터페이스에 팝업 창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된 제2 디스플레이 서브 모듈(6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8을 토대로,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추가 모듈(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모듈(60)은 상기 알림 창에 상기 목표 푸시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푸시 정보의 정보 내용과 상기 푸시 정보의 푸시 시간을 상기 알림 창에 추가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경우는 사용자의 단말기가 전에 이미 푸시 정보를 수신했으나, 사용자가 이미 조회를 했기에 알림 창에 더이상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수신한 푸시 정보가 단말기가 처음으로 수신한 푸시 정보로서 알림창에 상기 푸시 정보의 내용과 같은 목표 푸시 정보가 아직 존재하지 않는 경우이며, 이 때에는 상기 푸시 정보의 정보 내용 및 대응되는 푸시 시간을 알림 창에 추가하여 사용자가 조회하기 편리하게 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결정 모듈(10)이 결정한 상기 목표 푸시 정보와 상기 푸시 정보가 같은 응용 프로그램에 대응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메시지 처리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가 수신한 어느 하나의 바인딩된 장치가 푸시 정보를 송신할 때 상기 푸시 정보를 수신한 수신 시점을 획득하게 된다. 만약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수신 시점 전에 이미 상기 단말기가 송신한, 상기 푸시 정보 내용과 같은 푸시 정보를 수신한 상태이면,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푸시 정보와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알림 창에 추가함으로써, 동일한 장치가 동일한 시간 내에 반복적으로 단말기에 같은 내용의 푸시 정보를 송신할 때 휴대용 단말기가 그에 대응되게 반복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정상적인 작업과 생활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정보 처리 장치는 반복 송신된 푸시 정보의 수신 횟수와 푸시 정보의 우선 등급에 대해 판단하고, 나아가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를 위한 알림을 발생시킬 필요가 있을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작업과 생활에 불필요한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단말기(1400)의 구조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1400)는 휴대폰,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기, 메시지 송수신 장치, 게임 콘솔, 태블릿 장치, 의료 설비, 운동 기구,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등일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1400)는, 프로세싱 부품(1402), 메모리(1404), 전원 부품(1406), 멀티미디어 부품(1408), 오디오 부품(1410),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1412), 센서 부품(1414), 및 통신 부품(1416) 중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부품(1402)은, 일반적으로 장치(1400)의 전체 동작, 예를 들면, 표시, 전화 호출, 데이터 통신, 카메라 동작 및 기록 동작에 관계되는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싱 부품(1402)은, 상술한 방법의 전부 또는 부분적 단계를 완성하기 위하여, 명령어를 수행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14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 부품(1402)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싱 부품(1402)과 기타 부품 사이의 인터랙션에 편리하다.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부품(1408)과 프로세싱 부품(1402) 사이의 인터랙션에 편리를 도모하기 위해, 프로세싱 부품(1402)은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04)는, 장치(1400)에 있어서의 동작을 서포트하기 위하여,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의 사례는, 장치(1400)에서 동작하는 모든 응용 프로그램 또는 방법의 명령어, 연락자 데이터, 전화 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사진, 비디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1404)는 임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억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 (EPROM: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읽기 전용 메모리 (ROM: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콤팩트 디스크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원 부품(1406)은 장치(1400)의 각 부품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 부품(1406)은 전원 관리 시스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전원 및 기타의 장치(1400)를 위해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는 기타 관련된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부품(1408)은 당해 장치(1400)과 사용자 사이에서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은 액정 표시 장치(LCD) 및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은 액정표시장치 (LCD: Liquid Crystal Display) 및 터치패널 (TP: Touch Panel)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에 터치패널이 포함될 경우, 스크린은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패널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터치센서를 포함하고 있어, 터치, 스와이프 및 터치패널 위에서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센서는 터치 또는 스와이프 동작의 경계선을 감지할뿐만 아니라, 터치 또는 스와이프 작업에 관련된 지속시간과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부품(1408)은,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를 포함한다. 장치(1400) 이 예를 들어 촬영 모드 또는 비디오 모드와 같은 작업 모드일 경우,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 전방 카메라와 후방 카메라는 고정된 광학렌즈 시스템이거나 초점거리와 광학 줌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오디오 부품(1410)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오디오 부품(1410)은 마이크(MIC)를 포함하고, 장치(1400) 이 예를 들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와 같은 작업 모드일 경우, 마이크는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1404)에 기억되거나 또는 통신 부품(1416)에 의하여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오디오 부품(1410)은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1412)는 프로세싱 부품(1402)과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 클릭 휠 (Click Wheel),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 버튼, 볼륨 버튼, 작동 버튼 및 잠금 버튼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 부품(1414)은 장치(1400)에 여러 방면의 상태평가를 제공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 부품(1414)은 장치(1400)의 온/오프 (ON/OFF) 상태 및 부품의 상대적인 위치결정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품이 장치(1400)의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Keypad) 일 경우, 센서 부품(1414)은 또한 장치(1400) 또는 장치(1400)의 하나의 부품의 위치변화, 사용자와 장치(1400) 사이의 접촉 여부, 장치(1400)의 위치 또는 가속/감속 및 장치(14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부품(1414)은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어떠한 물리적 접촉도 없을 경우, 근처의 물체 존재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센서 부품(1414)은 또한 예를 들어,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 등과 같은 광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지 응용에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당해 센서 부품(1414)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부품(1416)은 장치(1400)과 기타 장치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장치(1400)는, 예를 들어 WiFi, 2G 또는 3G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통신표준을 기반으로 한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이 가능하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부품(1416)은 방송 채널을 통해 외부 방송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방송신호 또는 방송관련정보를 수신한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부품(1416)은 근거리 무선통신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을 더 포함하고 있어, 단거리 통신을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모듈은 무선 주파수 식별 (RFID) 기술, 적외선 통신 규격 (lrDA) 기술, 초광대역 (UWB) 기술, 블루투스 (BT) 기술 및 기타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 (1400)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응용 주문형 직접회로 (ASIC), 디지털신호 프로세서 (DSP), 디지털신호 처리기기 (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 (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또는 기타 전자 소자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명령어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가 더 제공되어,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 (1404)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상술한 명령어는 장치(1400)의 프로세서 (1420)에 의해 수행되어 상술한 영역 인식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는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및 광데이터 기억장치 등일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가 휴대용 단말기의 서버에 의해 수행될 때, 휴대용 단말기가 정보 처리 방법을 수행한다. 상기 방법은 푸시 정보를 수신했을 때 알림창에 상기 푸시 정보의 내용과 같은 목표 푸시 정보가 있는지 결정하는 단계와, 만약 상기 알림 창에 상기 목표 푸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알림 창의 상기 목표 푸시 정보에 대응되는 푸시 시간을 상기 푸시 정보의 푸시 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각종 일반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팅 시스템 환경에서 수행됨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C, 컴퓨터 서버, 핸드 헬드 (Handheld) 디바이스, 태블릿 디바이스,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 프로세서 기반 시스템, 셋톱 박스 (set-top boxes), 소비자를 위한 프로그래머블 (programmable) 전자 디바이스, 네트워크 PC, 미니 컴퓨터, 메인 프레임 (mainframe) 컴퓨터, 상술한 임의의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의 분산식 컴퓨팅 환경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로 수행 가능한 상기 및 하기에 설명된 바와 같은 명령어를 컴퓨터에 의해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프로그램 모듈이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한 임무 또는 특정한 추상 데이터형의 루틴 (routine), 프로그램, 오브젝트 (object), 부품 (component),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한다. 또한 분산식 컴퓨팅 환경에서 본 발명을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분산식 컴퓨팅 환경에서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원격 처리 디바이스로써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분산식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로컬(local) 및 원격 컴퓨터 저장 매체에 위치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관계 용어는 하나의 독립체 또는 동작을 다른 독립체 또는 동작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이며, 이러한 독립체 또는 동작 사이에 이러한 모든 실제 관계 또는 순서가 존재함을 반드시 요구 또는 암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포함”. "구비" 라는 용어 또는 기타 모든 그에 따라 변형된 의미는, 배타적이지 않으면서 포함한다는 의미를 가지며, 일련의 요소의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디바이스가 그러한 요소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기재되지 않은 기타 요소들, 또는 그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디바이스의 고유한 요소들도 더 포함함을 의미한다. 다른 추가적인 제한이 없는 경우에, "하나의……을 포함한다”라는 표현으로써 제한된 요소는 상기 요소의 과정, 방법, 물품 또는 디바이스 중에 추가적인 동일한 요소가 더 존재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 본 개시의 다른 실시과제를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 출원은 본 개시의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되,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개시의 일반적인 원리를 준수하며, 본 개시에 공개되지 않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 또는 통상적인 기술 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내용으로서, 본 개시의 진정한 보호범위와 취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재 내용과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호하고자 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또는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은 이해되어야 할 부분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13)

  1. 푸시 정보를 수신했을 때, 알림 창에 상기 푸시 정보의 내용과 같은 목표 푸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만약 상기 알림 창에 상기 목표 푸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알림 창의 상기 목표 푸시 정보에 대응되는 푸시 시간을 상기 푸시 정보의 푸시 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푸시 정보의 정보 내용에서, 상기 푸시 정보 중의 키워드인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특징 정보에 따라 상기 푸시 정보의 중요 등급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중요 등급이 미리 설정된 중요 등급보다 높거나 같을 때,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알림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창에서 상기 목표 푸시 정보의 푸시 시간의 업데이트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보다 많을 때, 미리 설정된 방식을 통하여 알림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알림을 진행하는 단계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오디오를 재생하는 단계;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 또는
    메인 인터페이스에 팝업 창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알림 창에 상기 목표 푸시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푸시 정보의 정보 내용과 상기 푸시 정보의 푸시 시간을 상기 알림 창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푸시 정보와 상기 푸시 정보가 같은 응용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7. 푸시 정보를 수신했을 때, 알림 창에 상기 푸시 정보의 내용과 같은 목표 푸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 모듈과;
    상기 결정 모듈이 알림 창에 상기 목표 푸시 정보가 존재함을 결정했을 때, 상기 알림 창의 상기 목표 푸시 정보에 대응되는 푸시 시간을 상기 푸시 정보의 푸시 시간으로 업데이트 하는 업데이트 모듈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푸시 정보의 정보 내용중에서, 상기 푸시 정보 중의 키워드인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 모듈과;
    상기 특징 정보에 따라 상기 푸시 정보의 중요 등급을 판단하는 판단 모듈과;
    상기 판단 모듈에서 상기 중요 등급이 미리 설정된 등급보다 크거나 같다고 판단했을 때 미리 설정된 방식을 통해 알림을 진행하는 제2 알림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창에서의 상기 목표 푸시 정보의 푸시 시간의 업데이트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보다 많을 때, 미리 설정된 방식을 통하여 알림을 진행하는 제1 알림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알림 모듈은,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오디오를 재생하는 제1 재생 서브 모듈;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1 진동 서브 모듈; 또는
    메인 인터페이스에 팝업 창을 디스플레이 하는 제1 디스플레이 서브 모듈을 포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창에 상기 목표 푸시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푸시 정보의 정보 내용과 상기 푸시 정보의 푸시 시간을 상기 알림 창에 추가하는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이 결정한 상기 목표 푸시 정보와 상기 푸시 정보는 동일한 응용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3.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가능한 명령어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푸시 정보를 수신했을 때 알림 창에 상기 푸시 정보의 내용과 동일한 목표 푸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만약 상기 알림 창에 목표 푸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알림 창의 상기 목표 푸시 정보에 대응되는 푸시 시간을 상기 푸시 정보의 푸시 시간으로 업데이트하며,
    상기 푸시 정보의 정보 내용에서, 상기 푸시 정보 중의 키워드인 특징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특징 정보에 따라 상기 푸시 정보의 중요 등급을 판단하며;
    상기 중요 등급이 미리 설정된 중요 등급보다 높거나 같을 때,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알림을 진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167005541A 2015-10-29 2015-12-29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8390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717548.2 2015-10-29
CN201510717548.2A CN105426398A (zh) 2015-10-29 2015-10-29 信息处理方法及装置
PCT/CN2015/099302 WO2017071066A1 (zh) 2015-10-29 2015-12-29 信息处理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101A KR20170061101A (ko) 2017-06-02
KR101839093B1 true KR101839093B1 (ko) 2018-03-16

Family

ID=55504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5541A KR101839093B1 (ko) 2015-10-29 2015-12-29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264085B2 (ko)
EP (1) EP3163854B1 (ko)
JP (1) JP2018504072A (ko)
KR (1) KR101839093B1 (ko)
CN (1) CN105426398A (ko)
MX (1) MX361689B (ko)
RU (1) RU2660830C9 (ko)
WO (1) WO20170710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26398A (zh) * 2015-10-29 2016-03-2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信息处理方法及装置
CN105827510B (zh) * 2016-03-31 2019-03-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移动终端的推送消息处理方法以及移动终端
US10230808B2 (en) * 2016-11-07 2019-03-12 Apple Inc. Page priority indications for reduced push load on cellular networks
CN107222632A (zh) * 2017-06-23 2017-09-29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即时通信方法及装置
CN107517153B (zh) * 2017-07-27 2021-01-0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消息推送控制方法及终端
CN107562475B (zh) * 2017-08-29 2019-02-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消息显示方法、装置及终端
CN107707774A (zh) * 2017-11-28 2018-02-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消息显示方法及移动终端
CN109067874B (zh) * 2018-08-02 2021-05-04 每日互动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端口占用的处理推送信息的方法
CN108989457B (zh) * 2018-08-15 2021-12-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服务器、终端
CN109600295A (zh) * 2018-10-23 2019-04-09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通知栏消息推送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CN109413282B (zh) * 2018-12-10 2021-04-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移动终端
CN110324432B (zh) * 2019-07-30 2021-10-01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应用于终端的数据处理方法、装置、介质和计算设备
JP7423278B2 (ja) * 2019-11-28 2024-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端末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443847B (zh) * 2020-03-24 2021-07-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推送消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13539487A (zh) * 2020-04-15 2021-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装置与终端设备
CN112328132A (zh) * 2020-11-03 2021-02-0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通知信息的处理方法以及装置
CN114553947B (zh) * 2022-01-29 2024-01-19 北京金堤科技有限公司 一种对消息进行处理的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2755A (ja) 2004-09-02 2006-03-16 Saiaado System:Kk 緊急メール着信報知装置
KR100677497B1 (ko) * 2005-11-02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중복 통보 메시지 처리 방법
KR101531209B1 (ko) * 2014-04-11 2015-06-2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알림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4657B1 (en) * 1999-05-03 2003-06-03 Symantec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ile synchronization and updating using a signature list
US6400810B1 (en) * 1999-07-20 2002-06-04 Ameritech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 notification of E-mail messages
US6763384B1 (en) * 2000-07-10 2004-07-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vent-triggered notification over a network
JP2007174299A (ja) * 2005-12-22 2007-07-05 Casio Comput Co Ltd 携帯電話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7725686B2 (en) * 2006-07-24 2010-05-25 Habushiki Kaisha Toshiba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buffer data retirement conditions
JP2008035386A (ja) * 2006-07-31 2008-02-14 Fujitsu Ltd 通信端末装置、着信動作制御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JP5527371B2 (ja) * 2006-12-08 2014-06-1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ハンズフリー装置およびデータ転送方法
US9049302B2 (en) * 2007-01-07 2015-06-02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ommunications received while in a locked state
JP2008217731A (ja) * 2007-03-08 2008-09-18 Nec Corp 携帯端末装置のおよびその着信通知方法
RU2463727C2 (ru) * 2007-05-25 2012-10-10 Нокиа Корпорейшн Сетевой объект, терминал, маши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информации и способ представления виджетов, включающих рекламные объявления о связанных виджетах
JP5288536B2 (ja) * 2008-02-14 2013-09-11 エスアイアイ移動通信株式会社 通信端末
CN101262497B (zh) * 2008-04-21 2012-04-25 深圳市迅雷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内容推送方法、系统及装置
CN101309324B (zh) * 2008-06-25 2011-04-13 华为终端有限公司 终端事件的通知方法与装置、终端
JP2009188987A (ja) * 2008-12-18 2009-08-20 Toshiba Corp 通信端末装置
JP2010249580A (ja) * 2009-04-13 2010-11-04 Clarion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CN101540740B (zh) * 2009-05-05 2013-03-2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多即时通信窗口的提示方法、系统及设备
US8761730B2 (en) * 2011-02-16 2014-06-24 Sony Corporation Display processing apparatus
US8731523B1 (en) * 2011-06-14 2014-05-20 Urban Airship, Inc. Push notification delivery system with feedback analysis
US8832284B1 (en) * 2011-06-16 2014-09-09 Google Inc. Virtual socializing
US9417759B1 (en) * 2011-06-27 2016-08-16 Google Inc. Synchronizing data across multiple browser tabs or windows
US8634810B2 (en) * 2011-09-29 2014-01-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ushing secure notifications to mobile computing devices
US9479387B2 (en) * 2012-06-22 2016-10-25 Salesforce.Com,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iority-based notifications for mobile devices
KR102010295B1 (ko) 2012-09-20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이의 푸시 서비스 방법
CN103167434A (zh) * 2013-03-04 2013-06-19 珠海金山办公软件有限公司 一种信息的多强度通知方法、系统及装置
CN103227868B (zh) * 2013-04-28 2015-05-13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紧急未接来电的拨打、提醒方法及系统
JP5899161B2 (ja) * 2013-06-19 2016-04-06 ヤフー株式会社 端末装置、通知出力方法、及び通知出力プログラム
CN103501340B (zh) * 2013-10-08 2016-08-17 北京金山网络科技有限公司 消息推送方法、装置及客户端
US10089380B2 (en) * 2014-01-07 2018-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CN103873688B (zh) * 2014-03-11 2016-10-26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未处理信息的提醒方法及装置
CN103955474B (zh) * 2014-03-31 2018-11-23 可牛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通知消息的处理方法及装置
CN104104591B (zh) * 2014-08-06 2017-05-17 上海携程商务有限公司 消息推送方法及系统
DE112015004331T5 (de) * 2014-09-23 2017-06-29 Google Inc. Benachrichtigen von Nutzern über relevante Inhalte
CN105227626B (zh) * 2015-08-25 2019-01-22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一种内容推送方法、装置及终端
CN105426398A (zh) * 2015-10-29 2016-03-2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信息处理方法及装置
CN105468232B (zh) * 2015-11-11 2019-05-28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显示通知消息的方法、装置和移动终端
CN105488112B (zh) * 2015-11-20 2019-09-17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信息推送方法及装置
CN107426079B (zh) * 2016-05-24 2020-06-1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通知栏消息的处理方法及装置
CN106970754B (zh) * 2017-03-28 2020-09-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截屏处理的方法及装置
KR102466652B1 (ko) * 2017-03-30 2022-11-15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메시지 정보 통합 관리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장치, 메시지 정보 통합 관리 제공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2755A (ja) 2004-09-02 2006-03-16 Saiaado System:Kk 緊急メール着信報知装置
KR100677497B1 (ko) * 2005-11-02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중복 통보 메시지 처리 방법
KR101531209B1 (ko) * 2014-04-11 2015-06-2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알림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426398A (zh) 2016-03-23
MX361689B (es) 2018-12-13
MX2016003078A (es) 2017-06-09
RU2016107977A (ru) 2017-09-07
RU2660830C9 (ru) 2018-08-15
WO2017071066A1 (zh) 2017-05-04
JP2018504072A (ja) 2018-02-08
KR20170061101A (ko) 2017-06-02
EP3163854A1 (en) 2017-05-03
RU2660830C2 (ru) 2018-07-10
EP3163854B1 (en) 2018-06-13
US10264085B2 (en) 2019-04-16
US20170126826A1 (en) 201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9093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EP3188066B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anaging an application
KR101695075B1 (ko) 지능형 원격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723556B1 (ko) 스마트 장면 삭제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5224349B (zh) 应用程序的删除提示方法和装置
RU261908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общения о запросе на вызов
KR20160077011A (ko) 스마트 홈 디바이스의 운전상태 조절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JP6145221B2 (ja) 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837492B1 (ko) 음성 프롬프팅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JP6134870B2 (ja) 説明情報の表示方法、説明情報の表示装置、電子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6254192B (zh) 提示方法、提示装置及提示系统
KR102182294B1 (ko) 알람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EP31478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formation
CN108629178B (zh) 应用程序的资源访问权限配置方法及装置
JP2016534452A (ja) ライトアプリのオフライン更新方法、装置、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EP3322227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wireless connection,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16533110A5 (ko)
US20150288533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te intelligent control
RU261754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CN106331328B (zh) 信息提示的方法及装置
CN107241439B (zh) H5页面的消息推送方法和装置
CN107426401B (zh) 静音提醒方法、装置及终端
CN107026941B (zh) 未读消息的回复处理方法和装置
CN106550012B (zh) 智能设备的监控方法及智能设备
CN113950032B (zh) 状态信息上报的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