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209B1 - 알림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알림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209B1
KR101531209B1 KR1020140043772A KR20140043772A KR101531209B1 KR 101531209 B1 KR101531209 B1 KR 101531209B1 KR 1020140043772 A KR1020140043772 A KR 1020140043772A KR 20140043772 A KR20140043772 A KR 20140043772A KR 101531209 B1 KR101531209 B1 KR 101531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ification
menu
notification message
exposur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오
차윤재
김장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043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2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3Telephone terminals interfacing a personal computer, e.g. using an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for selecting a function from a menu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8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non-voice services, e.g. email, internet access

Abstract

본 발명은 알림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서의 알림 노출 제어 방법은 표시될 알림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소정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벤트 신호에 따라 상기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메뉴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메뉴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알림 노출 레벨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알림 노출 레벨에 상응하는 알림 노출 방법으로 상기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 피드백에 기반하여 효과적으로 알림 노출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알림 제어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notification}
본 발명은 알림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자의 선호도 통계에 기반하여 적응적으로 알림 메시지의 노출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알림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현재 출시되는 모바일 기기는 단순한 통화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웹 브라우징, 채팅, TV 시청, 네비게이션, 게임,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이를 위해, 모바일 기기 제조 회사들은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하고 있다.
또한, 최근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에는 모바일 뱅킹, 모바일 쿠폰, 교통 카드, 게임, 보안 등의 다양하고 복잡한 응용 소프트웨어들이 탑재되고 있다.
특히, 현재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은 고사양의 프로세서와 고해상도의 터치 스크린 화면을 구비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은 단순한 통화 수단으로서뿐만 아니라 개인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관리하는 모바일 비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스마트폰에서는 사용자의 일정을 관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설정된 일정에 따라 사용자에게 해당 일정 정보를 알림 메시지 등을 통해 자동으로 통지하는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사용자의 잠금 설정에 따라 보여지는 잠금 화면은 전원이 켜지거나 화면이 활성화되면 가장 먼저 표시되는 화면으로서, 사용자에 가장 많이 노출되는 화면일 수 있다. 따라서, 잠금 화면상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유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도돌 커버와 같이 스마트폰 잠금 해제를 하지 않고 원하는 뉴스, 날씨, 시간 등과 같은 컨텐츠를 잠금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출시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잠금 화면 상태에서 바로 전화/카메라 등의 기능으로의 전환이 가능한 Go Locker라는 응용 프로그램이 개시되었으며, 잠금 화면상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키워드(Keyword)에 상응하는 정보만을 표시하는 젤리빈 Keyguard 위젯이 출시되었다.
하지만, 종래에는 잠금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의 노출을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기기에서의 알림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테고리(메뉴) 별 선호도 통계에 기반하여 적응적으로 알림 메시지의 노출을 제어하는 하는 것이 가능한 알림 노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리 정의된 카테고리(메뉴) 별 중요도에 따라 알림 메시지의 노출을 제어하는 하는 것이 가능한 알림 노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면상에 표시되는 알림에 대한 카테고리(메뉴) 별 사용자 피드백에 기반하여 알림 노출 레벨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알림 노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알림 노출 제어 방법을 지원하는 장치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알림 노출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서의 알림 노출 제어 방법은 표시될 알림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소정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벤트 신호에 따라 상기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메뉴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메뉴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알림 노출 레벨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알림 노출 레벨에 상응하는 알림 노출 방법으로 상기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림 노출 방법은 팝업 알림 방법, 상태 알림 바 표시 방법, 앱 아이콘 표시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팝업 알림 방법은 잠금 화면 팝업 알림 방법, 홈 화면 팝업 알림 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림 노출 제어 방법은 상기 알림 노출 레벨 별 적어도 하나의 상기 알림 노출 방법이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 노출 레벨은 상기 메뉴 별 사용자 피드백 통계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피드백 중 긍정 피드백의 수신 비율이 소정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알림 노출 레벨이 상향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피드백 중 부정 피드백의 수신 비율이 소정 제2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알림 노출 레벨이 하향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피드백 중 연속 수신된 긍정 피드백의 수신 개수가 소정 제3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알림 노출 레벨이 상향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피드백 중 연속 수신된 부정 피드백의 수신 개수가 소정 제4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알림 노출 레벨이 하향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 노출 레벨의 초기값은 상기 메뉴 별 중요도에 기반하여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팝업 알림 방법은 소정 선호도 수집 버튼을 포함하는 팝업 알림 창을 상기 화면의 일측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선호도 수집 버튼은 사용자로부터의 긍정 피드백을 수집하기 위한 제1 버튼 및 부정 피드백을 수집하기 위한 제2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팝업 알림 창은 상기 메뉴를 이미지를 통해 식별하기 위한 메뉴 아이콘, 상기 푸시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문자열, 상기 푸시 알림 메시지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상세 보기 버튼, 상기 선호도 수집 버튼에 대한 도움말을 제공하기 위한 도움말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만약, 상기 상세 보기 버튼이 선택되면, 적어도 하나의 메뉴로 구성된 소정 메뉴 화면으로 전환되되, 상기 메뉴 화면에 상기 식별된 메뉴에 대응되는 상기 메뉴 아이콘이 직관적 인지 가능하도록 강조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된 메뉴가 상기 메뉴 화면의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 알림 바 표시 방법에 따라 상기 화면에 포함된 상태 알림 바의 일측에 상기 식별된 메뉴에 대응되는 메뉴 아이콘 및 상기 푸시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소정 알림 문자열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태 알림 바가 아래로 드래그(Drag)되면, 상기 푸시 알림 메시지에 상응하는 소정 요약 내역 화면이 아래로 펼쳐져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약 내역 화면은 상기 메뉴 아이콘, 상기 메뉴 아이콘에 대응되는 메뉴 이름, 상기 알림 문자열, 상기 푸시 알림 메시지의 수신 시간, 상기 메뉴 아이콘에 상응하는 확인되지 않은 메시지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의 종류 및 중요도에 따라 상기 알림 노출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소정 알림 노출 제어 알고리즘의 임계값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는 날씨 메뉴, 교통 메뉴, 일정 메뉴, 연락관리 메뉴, 모닝 메뉴, 뉴스 메뉴, 방송 메뉴, 네트워크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 알림 메시지는 소정 메뉴 식별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메뉴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푸시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메뉴가 식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내용에 기반하여 상기 푸시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메뉴가 식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알림 노출 레벨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알림 노출 횟수 제어 방법에 따라 상기 화면상에서의 상기 알림 메시지의 노출 빈도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중요도에 따라 상기 화면상에서의 상기 알림 메시지의 노출 빈도가 제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기기 외부에 커버가 장착된 경우, 상기 화면상에서 상기 커버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영역에 상기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모바일 기기의 알림 노출을 제어하는 방법은 제1 푸시 알림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푸시 알림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지시하는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푸시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메뉴의 알림 노출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알림 노출 레벨을 포함하는 제2 푸시 알림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푸시 알림 메시지는 상기 메뉴에 대응하는 메뉴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 노출 레벨 별 적어도 하나의 알림 노출 방법이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림 노출 방법은 팝업 알림 방법, 상태 알림 바 표시 방법, 앱 아이콘 표시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방법들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표시될 알림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소정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과 상기 이벤트 신호에 따라 상기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메뉴를 식별하는 수단과 상기 식별된 메뉴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알림 노출 레벨을 확인하는 수단과 상기 확인된 알림 노출 레벨에 상응하는 알림 노출 방법으로 상기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화면에 표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알림 노출 레벨은 상기 알림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기기 외부에 커버가 장착된 경우, 상기 화면상에서 상기 커버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영역을 감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영역에 상기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와 연동하여 알림 노출을 제어하는 서버는 제1 푸시 알림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는 수단과 상기 제1 푸시 알림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지시하는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사용자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푸시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메뉴의 알림 노출 레벨을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결정된 알림 노출 레벨을 포함하는 제2 푸시 알림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메뉴의 중요도에 따라 알림 메시지의 노출을 제어하는 하는 것이 가능한 알림 노출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화면상에 표시되는 알림 메시지에 대한 카테고리(메뉴) 별 사용자 피드백에 기반하여 알림 노출 레벨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알림 노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화면상에 표시되는 팝업 알림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에 기반하여 카테고리(메뉴) 별 알림 메시지의 노출 횟수를 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원하지 않는 알림 메시지의 노출을 최소화시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고리 별 알림 메시지가 표시되는 메뉴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상태 바를 이용한 알림 메시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 창을 이용한 알림 메시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 알림 창의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 알림 창에서 상세 보기 버튼이 선택되었을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 알림 창을 화면상에서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용 타일(Tile) 및 배지(Badge)를 이용한 알림 메시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용 타일(Tile) 및 배지(Badge)를 이용하여 알림 메시지가 표시된 경우에 있어서의 화면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노출 레벨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호도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노출 제어 서버의 내부 구조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서의 알림 노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서의 알림 노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서의 알림 노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로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가능한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기기 등에서 사용되는 응용 소프트웨어를 “앱”이라 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응용 소프트웨어와 “앱” 또는 "어플"을 혼용해서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센싱부(120), 출력부(130), A/V(Audio/Video) 입력부(140), 메모리부(150), 입력 키 모듈(160), 외부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갖는 모바일 기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모바일 기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모바일 기기(100)와 모바일 기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 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모바일 기기(100)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 등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 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Guide) 등의 정보가 방송 관련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 중계기, 리피터, 펨토셀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및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송/수신 모듈을 의미하며,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모바일 기기(100)에 내장되거나 소정의 인터페이스 단자를 통해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 수신 모듈(119)은 측위 위성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1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거나, 획득하기 위한 모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00)는 GPS 수신 모듈(119)에 의해 획득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교통 정보, 관광 정보, 날씨 정보, 지도 정보, 일정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획득 또는 추출하고, 획득 또는 추출된 정보를 화면의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획득된 정보들은 무선망을 통해 푸시 알림 메시지의 형태로 수신될 수 있으며, 해당 푸시 알림 메시지의 수신 시 잠금 화면상에서 팝업 알림의 형태로 표시되거나, 화면 일측에 표시되는 상태 알림바(Status Notification Bar)-이하, 간단히 "알림바"라 명함-에 아이콘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팝업 알림 방법은 잠금 화면상에 팝업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잠금 화면 팝업 알림 방법, 홈 화면상에 팝업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홈 화면 팝업 알림 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만약, 모바일 기기(100)에 케이스 등이 장착된 경우, 모바일 기기(100)는 해당 케이스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노출된 화면 표시 영역에 팝업 알림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모바일 기기(100)는 케이스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화면 표시 영역을 감지하는 센싱 기능이 탑재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화면 표시 영역을 감지하는 센싱 기능은 센싱부(12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모바일 기기(100)는 전면뿐만 아니라 측면에도 화면 표시 수단(디스플레이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기기(100)의 전면 디스플레이 모듈이 케이스에 의해 가려지고, 측면 디스플레이 모듈이 외부 노출된 경우, 모바일 기기(100)는 케이스에 가려지지 않은 측면 디스플레이 모듈에 팝업 알림 메시지 또는 알림바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모바일 기기(100)가 전면 디스플레이 모듈만이 구비되어 있고, 주름 기능이 구비된 케이스가 장착된 경우,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팝업 알림 창 또는 알림바의 크기는 가려지지 않은 화면 표시 영역의 크기에 따라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즉, 케이스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화면 표시 영역이 넓을 경우, 팝업 알림 창 및 알림바가 크게 표시될 수 있다. 반면, 케이스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화면 표시 영역이 좁을 경우, 팝업 알림 창 및 알림바가 작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푸시 알림 메시지는 별도의 팝업 알림 메시지 및(또는) 알림바상의 아이콘 등의 표시 없이 관련된 응용 소프트웨어 또는 앱에 직접 전달될 수도 있다. 이때, 해당 응용 소프트웨어 또는 앱에 대응하는 응용 타일의 일측에 해당 푸시 알림 메시지의 수신 알림이 배지(Badge)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수신된 푸시 알림 메시지를 일괄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소정의 알림 응용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알림 응용 소프트웨어는 수신된 푸시 알림 메시지를 미리 정의된 카테고리 별로 구분하고, 구분된 푸시 알림 메시지의 수신 알림을 해당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화면상의 특정 알림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카테고리는 날씨, 교통, 일정, 알람, 통화 내역, 펌웨어 다운로드, 뉴스, 방송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알림 영역-이하, "메뉴"라 명함-은 바(Bar)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메뉴는 날씨 메뉴, 교통 메뉴, 일정 메뉴, 연락관리 메뉴, 모닝 메뉴, 뉴스 메뉴, 방송 메뉴, 네트워크 메뉴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에 의해 특정 메뉴가 선택된 경우, 해당 메뉴에 대응되는 상세한 내역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뉴 구조는 후술할 도면들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센싱부(120)는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모바일 기기(100) 내부 또는 외부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센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센싱부(120)에 의해 수집되는 센싱 정보는 모바일 기기(100)의 개폐 상태 정보, 모바일 기기(100)의 위치 정보, 사용자 접촉 유무 정보, 모바일 기기(100)의 방위 및 고도 정보, 모바일 기기(100)의 회전 및 움직임 정보, 모바일 기기(100)의 속도/가속도/감속 정보, 모바일 기기(100) 외부의 온도/습도/광도 정보, 주변 기기 연결 감지 정보-예를 들면, 이어폰 연결 및 제거-, 주변 소리 정보, 외부 통신 기기와의 연결 정보 등과 같이 모바일 기기(100)의 내/외부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센싱부(12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고 이를 제어부(180)에 전달하는 음성 인식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푸시 알림 메시지 수신 시, 모바일 기기(120)는 음향 출력 모듈(133)을 통해 해당 푸시 알림 메시지에 대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해당 음성 안내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음성 응답을 센싱부(120)에서 음성 인식하여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음성 인식을 통해 해당 푸시 알림 메시지에 대한 확인을 원할 경우, 제어부(180)는 해당 푸시 알림 메시지를 팝업 알림 메시지 형태로 표시하거나 소정 푸시 알림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해당 푸시 알림 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20)는 모바일 기기(100)에 케이스가 장착된 경우, 케이스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화면 표시 영역의 크기 및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18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감지된 크기 및 위치에 기반하여 팝업 알림 창 및 알림바가 케이스에 가려지지 않은 화면 표시 영역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해당 팝업 알림 창 및 알림바의 크기 및 표시 위치를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모듈(131), 음향 출력 모듈(133), 알람부(135) 및 햅틱 모듈(13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모바일 기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모바일 기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특히,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팝업 알림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을 수집할 수 있는 소정의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 피드백을 수집하기 위한 팝업 창의 구조는 후술할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100) 바디 중 디스플레이 모듈(131)이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3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31)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특히,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모바일 기기(100)의 내부 영역 또는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싱 모듈(121)이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싱 모듈(121)은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의미한다. 근접 센싱 모듈(121)은 접촉식 센싱 모듈(123)에 비해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근접 센싱 모듈(12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싱 모듈(121)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33)은 호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방송 수신 모드, 알림 제어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알림 제어 모드는 수신되는 푸시 알림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에 기반하여 카테고리 및 중요도에 따라 푸시 알림 메시지의 노출 레벨을 동적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노출 레벨에 대응하는 노출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푸시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소정 환경 설정 모드일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33)은 모바일 기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3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33)은 모바일 기기(100)의 일측에 구비된 이어폰잭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모듈(133)은 푸시 알림 메시지 수신 시, 수신된 푸시 알림 메시지의 종류(카테고리 또는 범주)에 따라, 소정의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일 예로, 교통 정보 관련 푸시 알림 메시지의 경우, 음향 출력 모듈(133)은 "교통 관련 정보가 수신되었습니다. 확인하시겠습니까?"와 같은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 모듈(135)은 모바일 기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모바일 기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또한, 알람 모듈(135)은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31)이나 음향 출력 모듈(13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3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3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37)이 발생시키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햅틱 모듈(137)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3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3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37)은 모바일 기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다양한 기능의 햅틱 모듈들이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서로 연동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4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141)와 마이크(14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4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3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4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5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4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43)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변환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 통신 모듈(113)을 통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반면, 음성 인식 모드의 경우, 수신된 음성 신호가 센싱부(12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센싱부(120)는 탑재된 음성 인식 수단을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한 후 음성 인식 결과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음성 인식 결과에 따라 모바일 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80)는 날씨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음성 안내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대한 음성 인식 결과가 해당 날씨 정보의 확인을 원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화면을 알림 응용 소프트웨어의 날씨 메뉴로 전환시킬 수 있다.
마이크(143)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부(15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주소록, 수신된 푸시 알림 메시지, 일정 정보, 알람 설정 정보, 푸시 알림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음성 안내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응용 프로그램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응용 프로그램은 일정 관리 응용 소프트웨어, 알람 설정 응용 소프트웨어, 알림 응용 소프트웨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50)는 알림 응용 소프트웨어의 알림 노출 제어 알고리즘을 실행하기 위한 각종 파라메터 정보를 유지할 수도 있다. 물론, 알림 노출 제어 알고리즘이 외부 서버-이하, "알림 노출 제어 서버"라 명함-에 탑재된 경우, 해당 알고리즘과 관련된 파라메터가 모바일 기기(100)의 메모리부(150)에 유지되지 않을 수도 있다.
메모리부(150)는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키 모듈(160)은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 키 모듈(160)은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부(170)는 모바일 기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외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모바일 기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모바일 기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모바일 기기(100)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모바일 기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소정의 포트를 통하여 모바일 기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모바일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포함한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응용 프로그램, 위젯의 설치 및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80)는 화면상에 표시된 팝업 알림 창을 통해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무선상에서의 소정의 제어 절차를 통해 무선 알림 노출 제어 서버에 송신할 수도 있다.
만약, 알림 노출 제어 알고리즘이 모바일 기기(100)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내부적으로 팝업 알림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사용자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소정 알림 노출 제어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알림 노출 제어 알고리즘에 대해 세부 내용은 후술할 도면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예에서는 제어부(180)가 화면상에 표시된 팝업 알림 창을 통해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상태 알림 바 및 앱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사용자 피드백 정보가 수집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알림 메시지가 상태 알림 바를 통해 표시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메뉴 화면으로 전환된 경우, 제어부(180)는 해당 알림 메시지에 대해 사용자가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상태 알림 바에 표시된 알림 메시지에 대해 긍정 피드백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새롭게 수신된 알림 메시지가 존재함이 홈 화면상에서 앱 아이콘의 일측에 배지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해당 앱 아이콘(응용 타일)을 선택하면 메뉴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해당 알림 메시지에 대해 긍정 피드백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새롭게 수신된 알림 메시지가 존재함이 상태 알림 바 및(또는) 앱 아이콘에 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에 의한 인터액션(interaction)이 없는 경우, 즉, 메뉴 화면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해당 알림 메시지에 대해 부정 피드백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00)는 상태 알림 바 또는 앱 아이콘의 선택을 통해 메뉴 화면으로 전환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에 대한 소정 선호도 조사 버튼을 메뉴 화면의 일측에 표시하거나, 소정 선호도 조사 팝업 창을 표시하여 해당 알림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을 수집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하부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 및 출력을 제어하고, 그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모듈은 상술한 무선 통신부(110), 센싱부(120), 출력부(130), A/V 입력부(140), 메모리부(150), 입력 키 모듈(160), 외부 인터페이스부(17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5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고리 별 알림 메시지가 표시되는 메뉴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따른 메뉴 화면(200)은 날씨 메뉴(210), 일정 메뉴(220), 연락관리 메뉴(230), 교통 메뉴(240), 알람 메뉴(2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날씨 메뉴(210)은 날씨 관련 알림 메시지, 일정 메뉴(220)는 사용자 설정된 일정 관련 알림 메시지, 연락관리 메뉴(230)는 최근 통화 내역 및 일정 기간 동안 통화 이력이 없는 번호로부터 전화가 오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알림 메시지, 교통 메뉴(240)는 교통 정보와 관련된 알림 메시지, 알람 메뉴(250)는 사용자 설정된 알람에 관련된 알림 메시지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도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메뉴 화면(200)은 네트워크 연결 상태와 관련된 알림 메시지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메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메뉴 화면(200)은 해당 일자에 상응하는 이슈(뉴스, 모닝콜, 일정, 날씨, 뮤직 등을 포함함) 및 고객 맞춤형 알림 메시지를 기상과 동시에 제공하는 모닝메시지 메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고객 맞춤형 알림 메시지는 사용자의 위치 및 휴일 여부에 따라 적응적으로 제공되는 알림 메시지일 수 있다.
각 메뉴의 일측에는 해당 메뉴에 대응되는 메뉴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으며, 신규 알림 메시지의 존재 여부에 따라 메뉴 아이콘이 메뉴 화면(200)상에서 상이하게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신규 알림 메시지가 존재하는 메뉴 아이콘과 존재하지 않는 메뉴 아이콘의 색깔이 서로 상이하게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신규 알림 메시지가 존재하는 메뉴 아이콘이 깜박거리게 표시될 수도 있다. 이때, 신규 알림 메시지가 존재하는 메뉴가 메뉴 화면(200)의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특정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메뉴의 내용이 펼쳐져 보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메뉴 화면(200)상에서 날씨 메뉴(210) 및 일정 메뉴(220)에 확인하지 않은 알림 메시지가 존재함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에 의해 날씨 메뉴(210)이 선택되면, 도면 번호 29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씨와 관련된 알림 내역이 날씨 메뉴(210)의 하단 일측에 펼쳐져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메뉴 화면(200)은 메뉴 추가 버튼(26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메뉴 추가 버튼(260)을 이용하여 새로운 메뉴를 추가하거나 이미 메뉴 화면(200)에 포함된 메뉴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뉴 화면(200)은 음성 인식 버튼(270) 및 사용자 설정 버튼(28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만약, 음성 인식 버튼(270)이 선택되면, 모바일 기기(100)는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하게 되며, 모바일 기기(10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따라 메뉴 화면(200)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음성 인식 버튼(270)을 클릭한 후, "날씨 메뉴"라고 말하면, 날씨 메뉴(210)가 펼쳐져 보일 수 있다. 만약, 음성 입력에 따른 음성 인식 결과가 복수개인 경우, 사용자 선택 가능한 소정 음성 인식 선택 팝업 창이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음성 인식 선택 팝업 창을 통해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날씨 메뉴"라 음성 입력된 경우, 음성 인식 선택 팝업 창은 "날씨 메뉴 열기", "날씨 메뉴 닫기", "날씨 메뉴 직장", "날씨 메뉴 설정" 등의 선택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설정 버튼(280)은 초기 메뉴 화면(200)을 설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사용자 설정 버튼(280)을 클릭하면, 소정 통합 알림 설정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통합 알림 설정 메뉴를 통해 사용자의 생년 월일 및 성별 정보, 집/직장/학교 주소 정보, 알림 노출 방식, 알림 통보 방식, 알림 선호도 초기화, 알림 노출 제어 서비스 가입 및 탈퇴 등의 옵션 사항들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생년 월일 및 성별 정보는 나이 및 성별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알림 메시지를 필터링하여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알림 노출 방식은 팝업 노출, 알림바 노출, 배지 노출, 타일 노출 등의 알림 노출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알림 노출 방식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알림 통보 방식은 알림 노출 시 사용자에게 청각 또는(및) 촉각적으로 통보하는 방식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효과음, 진동, 무음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알림 선호도 초기화는 기 수집된 사용자의 피드백 정보를 초기화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사용자는 기 수집된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초기화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알림 노출 제어 서비스 가입 및 탈퇴는 본 발명에 따른 알림 노출 제어 서비스를 실행 또는 중지시키기 위한 옵션 사항이다.
또한, 통합 알림 설정 메뉴를 통해 사용자는 메뉴 화면(200)에 포함시킬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통합 알림 설정 메뉴를 통해 개인 선호도에 따라 메뉴 별 중요도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모바일 기기(100) 또는 알림 노출 제어 서버는 사용자 설정된 중요도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 별 초기 알림 노출 레벨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메뉴의 종류 및 해당 메뉴의 중요도에 따라 해당 메뉴의 알림 노출 레벨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해 사용되는 소정 파라메터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파라메터는 알림 노출 제어 알고리즘에 적용되는 파라메터일 수 있다.
일 예로, 알림 노출 레벨을 올리거나(상향 조정하거나) 내리기(하향 조정하기) 위한 기준 파라메터(reference parameter)로서, 해당 메뉴에 대응하는 누적 긍정 피드백 횟수, 누적 부정 피드백 횟수, 연속 수신된 긍정 피드백 횟수, 연속 수신된 부정 피드백 횟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파라메터에 대한 임계값은 메뉴의 종류 및 해당 메뉴의 중요도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일 예로, 만약, 일정 메뉴가 날씨 메뉴에 비해 중요도가 높은 경우, 일정 메뉴는 날씨 메뉴에 비해 보다 빠르게 알림 노출 레벨이 조절될 수 있도록 일정 메뉴에 대응되는 연속된 긍정 피드백 횟수에 대한 임계값이 날씨 메뉴의 그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반면, 일정 메뉴를 위한 연속된 부정 피드백 횟수에 대한 임계값은 보다 느리게 알림 노출 레벨이 조절될 수 있도록 날씨 메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값이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상태 바를 이용한 알림 메시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새로운 알림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모바일 기기(100)는 잠금 화면(300)상의 상태 알림 바(310)에 신규 알림 메시지가 존재함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태 알림 바(310)상에 해당 메뉴 아이콘 및 수신된 푸시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소정 알림 문자열이 표시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에 의해 상태 알림 바(310)가 아래로 드래그(Drag)되는 경우(S301), 도면 번호 3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규 알림 메시지에 상응하는 요약 내역 화면이 아래로 펼쳐져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요약 내역 화면은 해당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메뉴 아이콘, 메뉴 이름, 간단한 알림 문자열, 메시지 수신 시간, 해당 메뉴에 상응하여 확인되지 않은 메시지의 개수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요약 내역 화면에 표시된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클릭하는 경우, 모바일 기기(100)는 메뉴 화면(200)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때, 메뉴 화면(200)상에는 클릭된 정보에 대응되는 메뉴의 내용이 펼쳐져 표시될 수 있다.
만약, 요약 내역 화면이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소정 화면 닫기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S303), 펼쳐진 요약 내역 화면은 다시 닫힐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요약 내역 화면이 펼쳐진 상태에서, 해당 알림 메시지의 상세 내역을 확인하고 싶지 않은 경우, 지우기 버튼(330)을 클릭하여, 해당 알림 메지지를 바로 삭제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 창을 이용한 알림 메시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상세하게, 도 4a는 잠금 화면 상태에서의 팝업 창을 이용한 알림 메시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고, 도 4b는 홈 화면 상태에서의 팝업 창을 이용한 알림 메시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100)는 새로운 알림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팝업 알림 창(410)을 잠금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팝업 알림 창(410)은 메뉴 아이콘(411), 간단한 메시지 수신 알림 문자열(413), 상세 보기 버튼(415), 도움말 버튼(417), 제1 피드백 버튼(418). 제2 피드백 버튼(419)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 보기 버튼(415)이 클릭되면, 모바일 기기(100)는 메뉴 화면(200)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때, 메뉴 화면(200)상에는 해당 메뉴 아이콘(411)에 대응되는 메뉴의 내용이 펼쳐져 표시될 수 있다.
제1 피드백 버튼(418) 내지 제2 피드백 버튼(419)은 해당 알림 팝업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즉 피드백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피드백 버튼(418)은 일명 "좋아요" 버튼으로서, 사용자가 표시된 알림 팝업 메시지가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선택될 수 있다. 반면, 제2 피드백 버튼(419)은 일명 "싫어요" 버튼으로서 해당 알림 팝업 메시지가 유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피드백 정보는 모바일 기기(100) 또는 소정 알림 노출 제어 서버에 의해 수집될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100) 또는 소정 알림 노출 제어 서버는 수집된 사용자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카테고리(메뉴) 별 알림 메시지의 노출 레벨 및 그에 따른 노출 방법을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움말 버튼(417)은 팝업 알림 창(410)에 포함된 버튼의 용도를 사용자에 설명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세하게, 도움말 버튼(417)이 선택되면, 상세 보기 버튼(415), 제1 피드백 버튼(418), 제2 피드백 버튼(419)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소정 도움말 팝업 창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일예로, 도움말 팝업 창은 도면 번호 4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드백 버튼(418) 및 제2 피드백 버튼(419)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제1 피드백 버튼(418), 제2 피드백 버튼(419)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이 눌려진 경우, 팝업 알림 창(410)은 잠금 화면상에서 사라질 수 있다.
또한, 팝업 알림 창(410)은 사용자와의 아무런 인터랙션(interaction) 없이 미리 정의된 소정 시간이 경과된 경우, 자동으로 사라질 수도 있다.
상기한 2가지 경우에 있어서, 잠금 화면상에서 팝업 알림 창(410)이 사라진 경우, 상태 알림 바(430)에는 사라진 팝업 알림 창(410)에 대응하는 메뉴 아이콘(411) 및 간단한 메시지 수신 알림 문자열(413)이 표시될 수도 있다. 만약, 간단한 메시지 수신 알림 문자열(413)이 긴 경우, 해당 문자열은 롤링(rolling)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한 도 4a의 예에서 상세 보기 버튼(510)이 선택된 경우, 모바일 기기(100) 또는 알림 노출 제어 서버는 제1 피드백 버튼(418)이 선택된 것과 동일하게 사용자가 해당 팝업 알림 메시지에 대해 유용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한 도 4b는 홈 화면상에서의 팝업 알림 창 표시 예를 보여준다. 여기서, 팝업 알림 창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한 도 4a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 알림 창의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 알림 창(510)은 상기한 도 4b에 도시된 팝업 알림 창(410)에 포함된 제1 피드백 버튼(418) 및 제2 피드백 버튼(419) 대신에 알림 줄이기 버튼(51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 줄이기 버튼(511)은 상기한 제2 피드백 버튼(419)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알림 줄이기 버튼(411)이 눌려지면, 해당 메뉴에 대한 정보 제공 횟수가 줄어들 수 있다. 반면, 상세 보기 버튼(510)이 선택된 경우, 모바일 기기(100) 또는 알림 노출 제어 서버는 사용자가 해당 팝업 알림 메시지에 대해 유용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메뉴에 대한 정보 제공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도움말 버튼(520)이 선택된 경우, 도면 번호 5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움말 팝업 창이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 알림 창에서 상세 보기 버튼이 선택되었을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 알림 창(410)의 상세 보기 버튼(415)이 선택 -즉, 탭(Tap)-된 경우(S610), 팝업 알림 창(410)이 흐리게 퍼지면서 사라질 수 있다(S620). 연이어, 미리 정의된 시간 경과 후, 메뉴 화면(200)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표시된 메뉴 화면(200)상에는 기 팝업 표시되었던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메뉴 아이콘이 메뉴 화면(200)의 맨 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해당 메뉴 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해 직관적으로 식별(인지) 가능하도록 강조 표시될 수 있다(S630). 이후, 미리 정의된 시간이 경과 하면, 강조 표시된 메뉴 아이콘은 일반 상태로 전환되고, 해당 메뉴의 상세 내용이 펼쳐져서 표시될 수도 있다(S640).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 알림 창을 화면상에서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상세하게, 도 7a 내지 7b는 연속적으로 팝업 알림 창이 화면상에 출력되는 경우, 특정 팝업 알림 창을 화면상에서 제거하거나 팝업 알림 창의 표시 순서를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을 참조하면, 팝업 알림 창은 복수개가 하나의 화면상에 동시에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가장 최근에 출력된 팝업 알림 창이 최상위 레이어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소정의 터치 동작을 통해 특정 팝업 알림 창을 화면상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일 예로, 일 예로,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특정 팝업 알림 창을 화면 하단으로 플립(Flip)하여 해당 팝업 알림 창을 화면상에서 제거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팝업 알림 창이 하나의 화면상에 동시에 중첩되어 표시된 경우, 사용자는 좌/우 플립(Flip) 동작을 통해 중첩된 팝업 알림 창의 표시 순서를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좌/우 플립된 최상위 팝업 알림 창은 제일 뒷면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용 타일(Tile) 및 배지(Badge)를 이용한 알림 메시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알림 응용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응용 타일(810)의 일측에 사용자에 의해 확인되지 않은 알림 메시지의 개수 정보(820)가 배지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응용 타일의 외곽 일측에는 사용자에 의해 확인되지 않은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메뉴의 개수 정보(830)가 배지의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한 도 8을 참조하면, 응용 타일(810)에 상응하여 사용자에 의해 확인되지 않은 알림 메시지(820)의 개수는 2이고, 사용자에 의해 확인되지 않은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메뉴의 개수(830)는 1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용 타일(Tile) 및 배지(Badge)를 이용하여 알림 메시지가 표시된 경우에 있어서의 화면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알림 응용 소프트웨어에 대응되는 응용 타일이 선택되면, 모바일 기기(100)는 알림 응용 소프트웨어를 로딩한 후 메뉴 화면(200)을 표시한다(S910 내지 S930).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확인되지 않은 알림 메시지가 2개이고, 해당 알림 메시지를 상응하는 메뉴의 개수가 2개-예를 들면, 날씨 메뉴 및 교통 메뉴일 수 있음-인 경우, 상기한 930 단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날씨 메뉴와 교통 메뉴에 대응되는 메뉴 아이콘이 강조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노출 레벨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알림 노출 레벨 테이블(1000)은 알림 노출 레벨(1010) 필드, 잠금 화면 팝업 알림(1020) 필드, 홈 화면 팝업 알림(1030) 필드, 알림바 표시(1040) 필드, 앱 아이콘 표시(1050)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알림 노출 레벨(1010)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알림 노출 방법이 매핑될 수 있다. 일 예로, 알림 노출 레벨 A의 경우, 잠금 화면 팝업 알림(1020), 홈 화면 팝업 알림(1030), 알림바 표시(1040) 및 앱 아이콘 표시(1050)가 모두 활성화될 수 있다. 즉, 특정 메뉴의 알림 노출 레벨이 A인 경우, 해당 메뉴와 관련된 알림 메시지는 잠금 화면 및 홈 화면 상에서 팝업 창으로 표시될 뿐만 아니라 알림 바 및 알림 노출 제어 응용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앱 아이콘-즉, 응용 타일-상에도 사용자에 의해 확인되지 않은 알림 메시지가 존재함이 표시될 수 있다.
반면, 특정 메뉴의 알림 노출 레벨이 D인 경우, 해당 메뉴와 관련된 알림 메시지는 오직 앱 아이콘에만 표시될 수 있다.
상기한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알림 노출 레벨 별 알림 노출 방법만이 정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노출 레벨 테이블(1000)은 알림 노출 레벨 별 알림 노출 횟수 제어 방법이 추가적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일 예로, 특정 메뉴에 대응되는 알림 노출 레벨이 상위 레벨인 경우, 해당 메뉴에 대응되는 알림 메시지가 보다 높은 빈도로 사용자에 노출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반대로, 특정 메뉴에 대응되는 알림 노출 레벨이 하위 레벨인 경우, 해당 메뉴에 대응되는 알림 메시지가 보다 적은 빈도로 사용자에 노출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피드백(선호도)에 기반하여 결정된 알림 노출 레벨에 따라 해당 메뉴에 상응하는 알림 노출 횟수가 적응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날씨 메뉴의 경우, 현재 결정된 알림 노출 레벨이 A인 경우, 2시간 간격으로 현재 날씨 정보가 사용자에 노출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의 피드백에 따라, 날씨 메뉴에 대응되는 알림 노출 레벨이 D로 변경된 경우, 매일 아침 미리 정의된 시간에 한번만 현재 날씨 정보가 사용자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메뉴의 종류 및 미리 설정된 메뉴 별 중요도에 따라 알림 노출 횟수가 제어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알람 메뉴 및 네트워크 메뉴의 경우, 현재 알림 노출 레벨에 상관없이 해당 알람 이벤트 및 네트워크 연결 및 해제 이벤트 등이 발생되면 노출 횟수에 제한 없이, 이벤트 발생 즉시 해당 이벤트 발생에 대한 알림 메시지가 사용자에 노출될 수 있다. 즉, 이벤트 기반으로 알림 노출이 제어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호도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호도 정보 데이터베이스(1100)는 메뉴 별 긍정 카운터(1103), 부정 카운터(1105), 연속 긍정 카운터(1107), 연속 부정 카운터(1109), 현재 알림 노출 레벨(111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에 따른 선호도 정보가 소정 알림 노출 제어 서버에 의해 수집되는 경우, 선호도 정보 데이터베이스(1100)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 사용자 식별자(1101)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 식별자(1101)는 전화 번호, 로그인 아이디, 이름,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i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긍정 카운터(1103)는 현재까지 수신된 긍정 사용자 피드백의 개수를 의미하며, 부정 카운터(1105)는 현재까지 수신된 부정 사용자 피드백의 개수를 의미한다.
연속 긍정 카운터(1107)는 연속적으로 수신된 긍정 사용자 피드백의 개수를 의미하며, 부정 사용자 피드백이 수신되면 0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연속 부정 카운터(1109)는 연속적으로 수신된 부정 사용자 피드백의 개수를 의미하며, 긍정 사용자 피드백이 수신되면 0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현재 알림 노출 레벨(1111)은 해당 메뉴에 대한 현재까지의 사용자 피드백에 기반하여 결정된 알림 노출 레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100) 또는 알림 노출 제어 서버는 주기적 또는 매번 사용자 피드백을 수신할 때 마다 선호도 정보 데이터베이스(1100)를 참조하여 해당 메뉴에 대한 알림 노출 레벨을 상향시키거나 하향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전체 수신된 사용자 피드백의 개수가 소정 제1 기준치 이상이고, 전체 수신된 사용자 피드백 중 긍정 카운터(1103) 값의 비율이 소정 제2 기준치 이상인 경우, 알림 노출 레벨이 상향 조정될 수 있다. 반면, 전체 수신된 사용자 피드백의 개수가 상기 제1 기준치 이상이고, 전체 수신된 사용자 피드백 중 부정 카운터(1105) 값의 비율이 소정 제3 기준치 이상인 경우, 알림 노출 레벨이 하향 조정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연속 긍정 카운터(1107)가 미리 정의된 제4 기준치 이상인 경우, 알림 노출 레벨이 상향 조정될 수 있다. 반면, 연속 부정 카운터(1109) 값이 미리 정의된 제4 기준치 이상인 경우, 알림 노출 레벨이 하향 조정될 수 있다.
상기한 제1 내지 제4 기준치는 해당 메뉴의 종류, 중요도 및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알림 노출 제어 서버가 사용자 피드백을 수집하는 경우, 알림 노출 제어 서버는 소정의 알림 노출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알림 노출 레벨이 변경되면, 소정의 제어 신호를 통해 해당 모바일 기기(100)에 알림 노출 레벨이 변경되었음을 통보할 수도 있다.
상기한 도 11의 예에서는 사용자 피드백 정보가 메뉴 별로 수집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메뉴의 중요도 및 특성에 따라 메뉴들을 소정 메뉴 그룹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메뉴 그룹 별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날씨 메뉴와 교통 메뉴가 하나의 메뉴 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날씨 메뉴와 교통 메뉴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을 하나로 통합하여 수집할 수 있다. 이때, 통합 수집된 사용자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메뉴 그룹에 대한 알림 노출 레벨이 결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노출 제어 서버의 내부 구조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노출 제어 서버(1200)는 제어부(1210)과 통신부(1220), 선호도 수집 모듈(1230), 알림 노출 레벨 결정 모듈(1240),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250), 선호도 정보 데이터베이스(1260), 알림 노출 레벨 테이블(1270), 푸시 알림 메시지 생성 모듈(1280), 운용자 콘솔(1290)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 모듈(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210)는 알림 노출 제어 서버(1200)의 전반적인 동작과 입/출력을 제어하고, 운용자 콘솔(1290)상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10)는 운용자 콘솔(1290)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에 따라, 하부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고 하부 모듈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운용자 콘솔(1290)에 제공할 수도 있다.
통신부(1220)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서버) 및 모바일 기기(100)와의 통신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네트워크는 인터넷망일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는 이동통신망, 무선 인터넷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부(1220)는 인터넷망에 연결된 날씨 정보 제공 서버, 교통 정보 제공 서버, 뉴스 정보 제공 서버, 네이버(Naver), 다움(Daum), 구글(Google) 등의 포털 서버,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 등으로부터 다양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된 컨텐츠는 푸시 알림 메시지의 형태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해당 모바일 기기에 전송될 수 있다.
통신부(122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모바일 기기(100)로부터 알림 노출 제어를 위한 사용자 설정 정보 및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설정 정보는 일정 정보 및 알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설정 정보는 메뉴 별 중요도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선호도 수집 모듈(1230)은 모바일 기기(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선호도 정보 데이터베이스(1260)를 갱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예로, 선호도 수집 모듈(1230)은 부정 사용자 피드백이 수신되면 연속 긍정 카운터(1107)의 값을 0으로 초기화하거나, 긍정 사용자 피드백이 수신되면 연속 부정 카운터(1109)의 값을 0으로 초기화시킬 수 있다.
또한, 선호도 수집 모듈(1230)은 제어부(12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선호도 정보 데이터베이스(1260)상에 특정 사용자를 위한 통계 필드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도 있다. 여기서, 통계 필드는 상기한 도 12의 사용자 식별자(1101) 필드, 메뉴 또는 메뉴 그룹 별 긍정 카운터(1103) 필드, 부정 카운터(1105) 필드, 연속 긍정 카운터(1107) 필드, 연속 부정 카운터(1109) 필드, 현재 알림 노출 레벨(1111)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만약, 모바일 기기(100) 사용자가 소정 메뉴 설정을 통해 알림 노출 제어 서비스를 비활성화시킨 경우, 제어부(1210)는 선호도 정보 데이터베이스(1260)상의 해당 사용자에 대응되는 통계 필드를 초기화시키거나 삭제하도록 선호도 수집 모듈(1230)에 소정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반면, 모바일 기기(100) 사용자가 소정 메뉴 설정을 통해 알림 노출 제어 서비스를 활성화시킨 경우, 선호도 정보 데이터베이스(1260)상에 해당 사용자에 대응되는 통계 필드를 새롭게 추가하거나 기 생성된 통계 필드를 초기화시킬 수 있다.
알림 노출 레벨 결정 모듈(1240)은 선호도 정보 데이터베이스(1260) 및 미리 정의된 알림 노출 제어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해당 메뉴 또는 메뉴 그룹의 알림 노출 레벨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결정된 알림 노출 레벨은 선호도 정보 데이터베이스(1260)상의 해당 메뉴 또는 메뉴 그룹의 현재 알림 노출 레벨(1111) 필드에 기록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250)는 사용자 식별자 정보, 일정 정보, 알람 설정 정보, 집/회사 주소 정보, 전화 번호 정보, 이름 및 성별 정보, 생년 월일 정보, 메뉴 선택 정보, 메뉴 별 중요도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소정 메뉴 설정 화면을 통해 메뉴 화면(200)에 포함될 메뉴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으며, 메뉴 선택 정보가 소정의 제어 절차를 통해 알림 노출 제어 서버(1200)로 전송될 수 있다.
알림 노출 레벨 테이블(1270) 및 선호도 정보 데이터베이스(1260)는 상기한 도 10 내지 도 11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푸시 알림 메시지 생성 모듈(1280)은 제어부(12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푸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푸시 알림 메시지는 응용 소프트웨어 식별 정보 및 메뉴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 메뉴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0)는 무선망을 통해 푸시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면 응용 소프트웨어 식별자를 통해 수신된 푸시 알림 메시지를 알림 응용 소프트웨어에 라우팅할 수 있다. 연이어, 알림 응용 소프트웨어는 메뉴 식별자를 통해 해당 푸시 알림 메시지가 어느 메뉴에 대응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만약, 모바일 기기(100)에 수신되는 모든 푸시 알림 메시지가 알림 응용 소프트웨어에 전달되는 경우, 상기한 응용 소프트웨어 식별자는 상기 푸시 알림 메시지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운용자 콘솔(1290)은 화면 디스플레이 모듈 및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화면 디스플레이 모듈은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알림 노출 제어 서버(1200) 운용자는 운용자 콘솔(1290)을 통해 알림 노출 제어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각종 파라메터를 설정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서의 알림 노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100)는 무선망을 통해 메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푸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1301).
모바일 기기(100)는 메뉴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푸시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메뉴를 식별한다(S1303)
모바일 기기(100)는 식별된 메뉴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알림 노출 레벨을 소정 기록 영역을 참조하여 확인할 수 있다(S1305). 여기서, 모바일 기기(100)는 사용자 피드백에 기반하여 결정된 알림 노출 레벨을 상기 기록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이 후, 모바일 기기(100)는 확인된 알림 노출 레벨에 상응하여 미리 정의된 알림 노출 방법에 따라 상기 식별된 메뉴에 대응되는 새로운 알림 메시지가 존재함을 표시할 수 있다(S1307). 여기서, 알림 노출 방법은 상기한 도 10의 알림 노출 레벨 테이블(1000)을 참조하여 확인될 수 있다.
상기한 도 13의 예에서는 모바일 기기(100)가 사용자 피드백에 기반하여 메뉴 별 알림 노출 레벨을 결정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노출 제어 서버(1200)가 모바일 기기(100)로부터 수집된 사용자 피드백에 기반하여 메뉴 별 알림 노출 레벨을 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알림 노출 제어 서버(1200)에 의해 결정된 알림 노출 레벨은 푸시 알림 메시지에 포함되어 모바일 기기(100)에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도 13의 예에서는 푸시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소정 메뉴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100)가 수신된 푸시 알림 메시지가 대응되는 메뉴를 식별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00)는 수신된 푸시 알림 메시지의 내용에 기반하여 해당 푸시 알림 메시지에 상응하는 메뉴를 식별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푸시 알림 메시지에 날씨 관련 내용-예를 들면, 온도, 습도, 비, 눈, 바람 등을 포함함-이 포함된 경우, 해당 푸시 알림 메시지가 날씨 메뉴에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서의 알림 노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100)는 무선망을 통해 푸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푸시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메뉴를 식별하고, 식별된 메뉴의 알림 노출 레벨을 확인할 수 있다(S1401).
연이어, 모바일 기기(100)는 확인된 알림 노출 레벨에 상응하는 알림 노출 방법을 미리 저장된 알림 노출 레벨 테이블(1000)을 참조하여 확인할 수 있다(S1403).
모바일 기기(100)는 확인된 알림 노출 방법에 팝업 알림이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1405). 여기서, 팝업 알림은 잠금 화면 팝업 알림, 홈 화면 팝업 알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팝업 알림이 포함된 경우, 모바일 기기(100)는 소정 선호도 수집 버튼을 포함하는 팝업 알림 창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1407). 이 후, 모바일 기기(100)는 표시된 팝업 알림 창을 통해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1409).
모바일 기기(100)는 수집된 사용자 피드백 정보 및 미리 정의된 알림 노출 제어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상기 식별된 메뉴에 대응하는 알림 노출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S1411). 이때, 결정된 알림 노출 레벨은 소정 기록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이 후, 모바일 기기(100)는 해당 메뉴에 대응하는 푸시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면 기 결정된 알림 노출 레벨에 따라 해당 푸시 알림 메시지의 알림 노출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140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만약, 확인된 알림 노출 방법이 팝업 알림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모바일 기기(100)는 알림 바 및(또는) 앱 아이콘의 일측에 상기 식별된 메뉴에 대응하는 푸시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S1413).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서의 알림 노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기기(100)는 무선망을 통해 푸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뿐만 아니라 내부적으로 소정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모바일 기기(100)는 알림 메시지를 이벤트 트리거드(Event Triggered)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일정 정보의 경우, 모바일 기기(100)의 소정 기록 영역에 유지될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100)는 현재 시간과 설정된 일정 정보를 비교하여 알림이 필요한 일정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알림이 필요한 일정이 존재하는 경우, 모바일 기기(100) 내부적으로 소정 일정 알림 이벤트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일정 알림 이벤트 발생이 감지하면, 모바일 기기(100)는 일정 메뉴에 대응하여 기 결정된 알림 노출 레벨에 기반하여 해당 일정 정보를 사용자에 노출시킬 수 있다. 물론, 무선망을 통해 수신된 푸시 알림 메시지도 상기한 이벤트 트리거드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100)는 무선망을 통해 푸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내부적으로 알림 메시지가 생성된 경우, 새롭게 표시될 알림 메시지가 존재함을 알리기 위한 소정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S1501).
이때, 이벤트 신호는 메뉴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 메뉴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100)는 해당 이벤트 신호에 대응되는 알림 메시지를 구성하여 소정 기록 영역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 후, 모바일 기기(100)는 발생된 이벤트 신호에 대응되는 알림 메시지의 메뉴를 식별할 수 있다(S1503).
모바일 기기(100)는 식별된 메뉴에 대응되는 알림 노출 레벨을 확인하고(S1505), 확인된 알림 노출 레벨에 상응하여 미리 정의된 알림 노출 방법에 따라 식별된 메뉴에 대응되는 새로운 알림 메시지가 존재함을 표시할 수 있다(S1507).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00)는 알림 노출 레벨에 대응되는 알림 노출 횟수 제어 방법이 미리 정의된 경우, 해당 알림 노출 횟수 제어 방법에 따라 해당 알림 메시지를 노출할 타이밍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해당 알림 노출 레벨에 대응되는 알림 노출 횟수 제어 방법이 2시간에 1번 노출하는 것으로 정의된 경우, 모바일 기기(100)는 노출 시간이 도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해당 노출 시간이 도래한 경우에 한해 해당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에 노출시킬 수도 있다.
다른 일 예로, 특정 메뉴의 알림 노출 레벨에 대응되는 알림 노출 횟수 제어 방법이 하루에 5번 노출하는 것으로 정의된 경우, 모바일 기기(100)는 해당 메뉴에 대해 당일 노출된 알림 메시지의 누적 개수가 5 미만인 경우에 한해, 해당 메뉴에 대응되는 알림 메시지가 노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특정 메뉴의 알림 노출 레벨에 대응되는 알림 노출 횟수 제어 방법이 무조건 노출로 정의된 경우, 모바일 기기(100)는 해당 메뉴에 대응되는 알림 메시지가 존재하면, 해당 알림 노출 레벨에 대응되는 알림 노출 방법으로 해당 알림 메시지를 노출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모바일 기기 200: 메뉴 화면
410: 팝업 알림 창 511: 알림 줄이기 버튼
1000: 알림 노출 레벨 테이블 1100: 선호도 정보 데이터베이스
1200: 알림 노출 제어 서버 1240: 알림 노출 레벨 결정 모듈

Claims (33)

  1. 모바일 기기에서의 알림 노출 제어 방법에 있어서,
    표시될 알림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소정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이벤트 신호에 따라 상기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메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메뉴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알림 노출 레벨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알림 노출 레벨에 상응하는 알림 노출 방법으로 상기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알림 노출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노출 방법은 팝업 알림 방법, 상태 알림바 표시 방법, 앱 아이콘 표시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림 노출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알림 방법은 잠금 화면 팝업 알림 방법, 홈 화면 팝업 알림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림 노출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노출 레벨 별 적어도 하나의 상기 알림 노출 방법이 할당되는 알림 노출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노출 레벨은 상기 메뉴 별 사용자 피드백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알림 노출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피드백 중 긍정 피드백의 수신 비율이 소정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알림 노출 레벨이 상향 조정되는 알림 노출 제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피드백 중 부정 피드백의 수신 비율이 소정 제2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알림 노출 레벨이 하향 조정되는 알림 노출 제어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피드백 중 연속 수신된 긍정 피드백의 수신 개수가 소정 제3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알림 노출 레벨이 상향 조정되는 알림 노출 제어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피드백 중 연속 수신된 부정 피드백의 수신 개수가 소정 제4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알림 노출 레벨이 하향 조정되는 알림 노출 제어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노출 레벨의 초기값은 상기 메뉴 별 중요도에 기반하여 할당되는 알림 노출 제어 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알림 방법은 소정 선호도 수집 버튼을 포함하는 팝업 알림 창을 상기 화면의 일측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노출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도 수집 버튼은 사용자로부터의 긍정 피드백을 수집하기 위한 제1 버튼 및 부정 피드백을 수집하기 위한 제2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림 노출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알림 창은 상기 메뉴를 이미지를 통해 식별하기 위한 메뉴 아이콘, 상기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문자열, 상기 알림 메시지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상세 보기 버튼, 상기 선호도 수집 버튼에 대한 도움말을 제공하기 위한 도움말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알림 노출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보기 버튼이 선택되면, 적어도 하나의 메뉴로 구성된 소정 메뉴 화면으로 전환되되, 상기 메뉴 화면에 상기 식별된 메뉴에 대응되는 상기 메뉴 아이콘이 직관적 인지 가능하도록 강조 표시되는 알림 노출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메뉴가 상기 메뉴 화면의 상단에 표시되는 알림 노출 제어 방법.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알림 바 표시 방법은 상기 화면에 포함된 상태 알림 바의 일측에 상기 식별된 메뉴에 대응되는 메뉴 아이콘 및 상기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소정 알림 문자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노출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알림 바가 아래로 드래그(Drag)되면, 상기 알림 메시지에 상응하는 소정 요약 내역 화면이 아래로 펼쳐져 표시되는 알림 노출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요약 내역 화면은 상기 메뉴 아이콘, 상기 메뉴 아이콘에 대응되는 메뉴 이름, 상기 알림 문자열, 상기 알림 메시지의 수신 시간, 상기 메뉴 아이콘에 상응하는 확인되지 않은 메시지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노출 제어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의 종류 및 중요도에 따라 상기 알림 노출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소정 알림 노출 제어 알고리즘의 임계값이 상이하게 설정되는 알림 노출 제어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날씨 메뉴, 교통 메뉴, 일정 메뉴, 알람 메뉴, 연락관리 메뉴, 모닝 메뉴, 뉴스 메뉴, 방송 메뉴, 네트워크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림 노출 제어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신호는 소정 메뉴 식별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메뉴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메뉴가 식별되는 알림 노출 제어 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메뉴가 식별되는 알림 노출 제어 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노출 레벨에 대응하여 미리 정의된 알림 노출 횟수 제어 방법에 따라 상기 화면상에서의 상기 알림 메시지의 노출 빈도가 제어되는 알림 노출 제어 방법.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중요도에 따라 상기 화면상에서의 상기 알림 메시지의 노출 빈도가 제어되는 알림 노출 제어 방법.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 외부에 커버가 장착된 경우, 상기 화면상에서 상기 커버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영역에 상기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이 표시되는 알림 노출 제어 방법.
  26. 서버에서 모바일 기기의 알림 노출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푸시 알림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푸시 알림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지시하는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푸시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메뉴의 알림 노출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알림 노출 레벨을 포함하는 제2 푸시 알림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알림 노출 제어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푸시 알림 메시지는 상기 메뉴에 대응하는 메뉴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는 알림 노출 제어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노출 레벨 별 적어도 하나의 알림 노출 방법이 정의되는 알림 노출 제어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노출 방법은 팝업 알림 방법, 상태 알림 바 표시 방법, 앱 아이콘 표시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림 노출 제어 방법.
  30. 제 1항 내지 제 2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31. 표시될 알림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소정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
    상기 이벤트 신호에 따라 상기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메뉴를 식별하는 수단;
    상기 식별된 메뉴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알림 노출 레벨을 확인하는 수단; 및
    상기 확인된 알림 노출 레벨에 상응하는 알림 노출 방법으로 상기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화면에 표시하는 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알림 노출 레벨은 상기 알림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 외부에 커버가 장착된 경우, 상기 화면상에서 상기 커버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영역을 감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영역에 상기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이 표시되는 모바일 기기.
  33. 모바일 기기와 연동하여 알림 노출을 제어하는 서버에 있어서,
    제1 푸시 알림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는 수단;
    상기 제1 푸시 알림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지시하는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수단;
    상기 사용자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푸시 알림 메시지에 대응되는 메뉴의 알림 노출 레벨을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결정된 알림 노출 레벨을 포함하는 제2 푸시 알림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서버.
KR1020140043772A 2014-04-11 2014-04-11 알림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531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772A KR101531209B1 (ko) 2014-04-11 2014-04-11 알림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772A KR101531209B1 (ko) 2014-04-11 2014-04-11 알림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1209B1 true KR101531209B1 (ko) 2015-06-24

Family

ID=53519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772A KR101531209B1 (ko) 2014-04-11 2014-04-11 알림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2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6741A1 (ko) * 2016-07-20 2018-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알림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839093B1 (ko) * 2015-10-29 2018-03-16 시아오미 아이엔씨.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80066622A (ko) * 2016-12-09 2018-06-19 코아레스 주식회사 메시지 내용에 따른 푸쉬 알림 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8527A (ko) * 2005-06-10 2006-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장치 관리 프로토콜을 위한 알림 메시지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8527A (ko) * 2005-06-10 2006-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장치 관리 프로토콜을 위한 알림 메시지 처리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093B1 (ko) * 2015-10-29 2018-03-16 시아오미 아이엔씨.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US10264085B2 (en) 2015-10-29 2019-04-16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presenting push notifications
WO2018016741A1 (ko) * 2016-07-20 2018-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알림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80010018A (ko) * 2016-07-20 2018-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알림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545665B1 (ko) 2016-07-20 2023-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알림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80066622A (ko) * 2016-12-09 2018-06-19 코아레스 주식회사 메시지 내용에 따른 푸쉬 알림 제공 방법
KR101894020B1 (ko) * 2016-12-09 2018-08-31 백남욱 메시지 내용에 따른 푸쉬 알림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918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572096B (zh) 移动终端及其应用控制方法
US907582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867992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40160316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698973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8452339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521244B2 (en) Mobile terminal displaying application execution icon groups for corresponding predetermined events
US9141273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terminal
KR20130005174A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EP2680122A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3900563B (zh) 电子设备及其处理方法
US20140104141A1 (en) Mobile terminal
KR2012007838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애플리케이션 그룹화 방법
KR101531209B1 (ko) 알림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569116B1 (ko) 일정 알림 방법 및 그 장치
US85490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erv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service zone
KR10160916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컨텐츠 업로드 방법
KR101525513B1 (ko) 모바일 기기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00311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50094057A (ko) 이동단말 제어방법
KR2014004461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643254B1 (ko) 타임라인 바 기반의 직관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067291A (ko) 단말기 및 아이콘 표시 방법
KR101665524B1 (ko)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