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478B1 - 고함량의 글리터 펄을 포함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함량의 글리터 펄을 포함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478B1
KR101838478B1 KR1020160080224A KR20160080224A KR101838478B1 KR 101838478 B1 KR101838478 B1 KR 101838478B1 KR 1020160080224 A KR1020160080224 A KR 1020160080224A KR 20160080224 A KR20160080224 A KR 20160080224A KR 101838478 B1 KR101838478 B1 KR 101838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smetic composition
pearl
oil
gl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706A (ko
Inventor
임상우
서은주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0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478B1/ko
Publication of KR20180001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함량의 글리터 펄을 포함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글리터 펄을 함유하는 분체부 55 내지 65 중량%, 피막형성제와 휘발성 오일을 함유하는 오일부 40 내지 45 중량%를 포함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제품의 경우, 펄감이 향상되고 가루날림이 적으며 촉촉하면서도 새로운 사용감을 갖는 동시에 제형 안정도가 확보된 제품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함량의 글리터 펄을 포함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Ey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high concent of glitter pearl pigment}
본 발명은 고함량의 글리터 펄을 포함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글리터 펄을 함유하는 분체부 55 내지 65 중량%, 피막형성제와 휘발성 오일을 함유하는 오일부 40 내지 45 중량%를 포함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이 메이크업을 위한 화장품으로는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아이섀도 등이 있는데, 그 중 일반적인 아이섀도의 경우 펄 함량이 전체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50 중량%이고 화려한 펄감보다 피부 위에서의 잔잔한 펄감을 제공하였다. 이 후, 점차적으로 화려한 펄감 및 다양한 사용감에 대한 소비자들의 욕구가 늘어남에 따라 이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고함량의 펄 제품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으나, 펄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제형 안정도가 낮아지는 속성으로 인해 개발에 한계가 있다.
최근 출시된 고함량 펄 타입 아이섀도의 경우, 사용자 피부 위에서의 화려한 펄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펄 함량을 60중량% 까지 증가하였고, 에스테르계 오일과 스테아레이트 종류의 파우더 바인더를 다량으로 사용하여 제품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제형 안정도를 확보하였으나, 사용감이 거칠고 다양하게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일반 타입 아이섀도보다 펄감은 화려하면서도 현재의 고함량 펄 타입 아이섀도에서 나타나는 사용감의 한계(거친 사용감)의 극복을 통해 다양한 고객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한층 업그레이드된 고함량 펄 타입의 아이섀도를 위한 새로운 조성 및 공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펄제는 제형상에 적용되었을 때 성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으며, 펄제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그리고 입도가 커질수록 이러한 현상은 가중될 뿐만 아니라 펄제를 구성하는 기재의 강도가 높아질수록 이러한 현상이 심해진다. 이에 따라 펄제의 함량이 높은 화장료의 성형성 및 제형의 낙하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고함량의 오일바인더와 파우더바인더를 함유하여야 하거나 왁스를 다량 함유하여야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조성으로 제형화 할 경우, 제품 사용시 뻑뻑하고 묵직하거나 끈적이는 사용감, 고르지 않고 뭉치듯이 도포되는 등의 발림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낮은 점도의 오일바인더를 사용하고 파우더바인더를 병용할 수는 있으나, 끈적이는 사용감을 줄이기 위해 점도가 낮은 오일바인더를 사용할 경우 밀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존재하며, 파우더 바인더는 다량 사용할 경우 뻑뻑한 사용감을 나타내므로 적용할 수 있는 함량에 제약이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오일바인더의 함량이 높을시 발생하는 응집에 의한 도포시 고르게 발리지 않는 뭉침현상은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인 마이카 기반의 펄 안료보다 성형성이 떨어지는 글래스 및 합성마이카 기반의 글리터 펄을 고함량 적용하여 화려한 글리터감을 주는 고형 아이메이크업 화장료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휘발성 오일을 바인더로서 사용하여 성형성 및 촉촉한 사용감을 개선함과 동시에, 분산매로서도 사용하여 도포시 펄의 뭉침 현상을 개선 시키면서 피막형성제를 병용하여 도포시 휘발성 오일이 휘발되면서 피막이 형성되는 것을 이용하여 사용시 끈적임이 없이 밀착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펄 함량을 높이고, 제형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이드로 카본계, 실리콘계, 에스테르계 및 미네럴계 등의 다양한 오일의 종류 및 함량을 가지고 공정(헨슬 믹서, 만능 혼합기)에 초점을 두어 실험을 진행한 결과, 오일의 종류보다 점도(cps)와 함량이 중요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오일의 점도가 1000 cps 이하인 저점도 오일을 이용하여 아이섀도를 제조할 경우, 구체적으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글리터필을 함유하는 분체부 50 내지 60중량, 피막형성제와 저점도의 휘발성 오일을 함유하는 오일부 4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글리터감이 향상되고 가루날림이 적으며 촉촉하면서도 새로운 사용감을 갖는 동시에 제형 안정도가 확보된 제품을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KR 10-1140092 B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고향Žc의 글리터 펄을 함유하여 글리터감은 더욱 향상시키고 사용감이 촉촉하며 밀착력은 더욱 높아졌을 뿐만 아니라 가루날림이 적고 제형 안정도가 확보된 고함량의 글리터 펄을 포함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고함량의 글리터 펄을 포함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글리터 펄을 함유하는 분체부 55 내지 65 중량%, 피막형성제와 휘발성 오일을 함유하는 오일부 40 내지 45 중량%를 포함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용어 ‘글리터 펄’은 펄 안료 중에서 투명감과 광택감이 우수한 유리플레이크(Glass Flake) 혹은 합성운모(Synthetic Fluorphlogopite)를 기재로 하면서 높은 굴절률을 갖는 Titanium Dioxide(이산화티타늄), Iron Oxide(산화철) 등과 같은 금속산화물이 코팅되어 화려한 글리터감(반짝이는 입자감)을 나타내는 입도분포(D90)가 90 내지 300㎛인 펄제를 지칭하는 것으로, 펄 안료 중에서 천연운모를 기반으로 금속산화물이 코팅되어 입도분포(D90)가 90㎛ 미만의 잔잔한 광택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진주광택안료와 구분하였다. 또한, 펄 안료는 기재의 종류, 입자의 크기, 입도 분포의 범위에 따라 광택감 및 글리터감이 다르게 나타나며, 입자가 커질수록 잔잔한 광택감 보다는 화려한 글리터감이 강하게 나타난다.
종래에 펄 감이 우수한 아이 메이크업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펄 함량을 고함량으로 첨가하였는데, 이 경우 펄의 함량이 매우 많아 성형성 및 안정성에 있어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에 아이 메이크업 화장품 중 팩트형 타입의 화장품에 휘발성 성분의 오일을 포함하게 될 경우, 팩트형 타입은 밀폐가 잘 되지 않기 때문에 휘발성 오일이 쉽게 증발하게 되고, 이러한 증발은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중 필름형성제를 굳어지게 하며 화장료 조성물의 표면경화를 일으켜 사용시 발리지 않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뿐만 아니라 증발로 인해 화장료 조성물이 수축되면서 균열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면서도 우수한 펄 감을 주는 자 타입(Jar-type)의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아이섀도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연구노력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함량 및 성형 방식을 적용할 경우, 자타입(Jar-type)이 밀폐를 도와주어 보관중에는 휘발성 오일이 증발되지 않게 함으로써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시에만 휘발성 오일이 휘발 되면서 필름형성제의 피막형성을 도와주어 메이크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펄감, 사용감 및 지속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성형성 및 안정성 또한 개선된 자타입(Jar-type)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체부는 분체부 총 중량에 대하여 글리터 펄 70 내지 99 중량%, 체질안료 및 색소 1 내지 3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글리터 펄의 함량이 70 중량%보다 적어질 경우 본 명세서에서 추구하는 화려한 글리터감이 충분히 발현되지 못하고, 체질안료 및 색소의 함량은 아이메이크업 화장료의 기능인 발색력과 연관되어 색상에 따라 함량이 결정되므로 바람직하게는 글리터 펄 80 내지 90중량%, 체질안료 및 색소 10 내지 2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질안료는 통상적으로 파우더 제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희석제의 역할을 하는 화장료에 첨가할 수 있는 모든 파우더 형태의 안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탤크, 마이카, 합성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실리카, 티타늄 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보론나이트라이드, 나일론-12,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 메칠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실리콘 엘라스토머, 유색 진주광택안료, 색소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색 진주광택안료 및 색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일부는 오일부 총 중량에 대하여 피막형성제 5 내지 10 중량%, 휘발성 오일 10 내지 3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일부는 비휘발성 오일, 방부제 및 첨가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막형성제의 함량은 오일부 총 중량 대비 10 중량% 이상일 경우 뻑뻑한 사용감을 갖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5 중량% 이하일 경우 피막형성효과가 미미하므로, 오일부 총 중량 대비 5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7 내지 8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피막형성제를 포함함으로써 피부 도포시 피막이 형성되도록 하여 밀착력 및 지속력을 향상시켰다. 또한, 상기 휘발성 오일은 오일부 총 중량 대비 30 중량%보다 많아질 경우 조성물의 휘발도가 너무 높아져 캡이 열려있는 상태에서 조성물의 수축이나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오일부의 점도가 너무 낮아져 성형안정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바람직하게는 오일부 총 중량 대비 10 내지 30 중량%가 포함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휘발성 오일은 피부 도포시 휘발 되면서 피막형성제의 피막형성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작용하며, 오일바인더로서 조성물의 성형성을 부여한다. 또한 분산매로서 조성물에 함유된 비휘발성 오일 및 피막형성제의 분산상태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비휘발성 오일은 상온에서 휘발성을 갖지 않는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트리데실트리멜리테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트리이소스테아린, 디글리세릴세바케이트/이소팔미테이트,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이소스테아레이트,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피이지-12디메치콘/피피지-20크로스폴리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비휘발성 오일은 보습성 및 퍼짐성 등의 세부적인 사용감 구현에 따라 임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첨가제는 향 또는 컨셉성분이나 계면활성제 혹은 방부효과를 신장하는(boosting) 폴리올류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르면, 휘발성 오일을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비교예 4)의 경우, 휘발성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실시예 1)에 비해 도포시 뭉치는 현상, 뻑뻑한 사용감 및 낮은 낙하 안정성을 보여 전반적으로 좋지 않은 평가를 받았다. 이에 반해, 휘발성 오일을 포함하는 본원발명의 실시예 1의 경우 펄감, 사용감 및 안정성 측면에서 모두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원발명은 저점도의 휘발성 오일을 필수구성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의 피막형성을 도우고 오일바인더 및 분산매로서의 역할을 함으로써 사용감, 펄감 및 안정성을 높여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실험예 1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글리터 펄은 Glass Flake 및 Synthetic Fluorphlogopite 기반의 펄 안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구체적으로는 유리플레이크(Glass Flake (Glass, Calcium Sodium Borosilicate, Calcium Aluminum Borosilicate, Calcium Titanium Borosilicate)) 또는 합성운모(Synthetic Fluorphlogopite)를 기반으로 Titanium dioxide가 코팅되고 입도분포(D90)가 90내지300㎛ 의 화려한 글리터(반짝임) 효과를 내는 펄 안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펄 안료 중 일반적인 진주광택안료는 Natural Mica(천연운모)를 기반으로 Titanium dioxide(이산화티타늄) 및 Iron Oxide(산화철) 등의 금속산화물이 코팅되고 입도분포(D90)가 90㎛ 미만으로 잔잔하게 깔리는 광택 효과를 나타낸다.
글리터 펄은 일반적인 진주광택안료에 비해 글리터 효과가 우수하여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성형성과 사용감이 떨어지는 단점으로 인하여 적용 함량에 제약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는 펄 입자가 클수록 그리고 강도가 높을수록 우수한 글리터 효과를 가지나 이러한 형상 및 성상을 가지는 입자는 탄성이 높고 성형시 공극이 많이 형성되어 성형성이 좋지 못하다. 또한, 펄 입자의 강도가 높아지기 위해 입자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거슬거리는 사용감도 심해지기 때문에 펄 안료 중에서도 특히 글리터 펄을 고함량 적용하는 고형 아이메이크업 화장료를 만드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글리터 펄을 고함량 적용하면서도 성형성과 사용감이 우수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막형성제는 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Trimethylsiloxysilicate), 브이피/헥사데센코폴리머(VP/Hexadecene Copolymer), 덱스트린 이소스테아레이트(Dextrin Isostearate)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Trimethylsiloxysilicate)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오일은 저점도계 휘발성 오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소도데칸(Isododecane), 이소헥사데칸(Isohexadecane), 메칠트리메치콘(Methyl Trimethicone), 디메치콘(Dimethicone (2cSt 이하)), 카프릴릴메치콘(Caprylyl Methicone),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및 사이클로헥사실록산(Cyclohexasilox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상온에서 휘발성을 갖는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휘발성 오일은 피부 도포시 휘발 되면서 피막형성제의 피막형성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작용하며, 오일바인더로서 조성물의 성형성을 부여한다. 또한, 분산매로서 조성물에 함유된 비휘발성 오일 및 피막형성제의 분산 상태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일반적인 건식 프레스가 아닌 습식충전방식을 사용하여 밀폐형 용기에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인 건식프레스의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된 휘발성 오일이 쉽게 휘발되면서 화장료가 덩어리로 뭉쳐지며 성형되어 도포시 뭉치듯이 발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사이드 인젝션(side-injection) 타입의 습식충전방식으로 자타입(Jar-type) 용기에 직접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습식성형에서의 인젝션 기법은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번째는 백-인젝션(Back-injection)으로서, 팬 아래의 홀(구멍)을 통해 내용물을 주입하는 동시에 흡습성형하는 방법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구획이 나누어져 있는 팔레트 성형에 유리하나 성형조건 설정 및 정교한 멀티 성형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두 번째로는 프론트-인젝션(Front-injection)으로서, 팬 위쪽에서 내용물을 주입하고 흡습부로 이동한 뒤 흡습성형하는 방법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스월 및 그래픽 디자인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플라스틱 사출 팬 사용 및 정교한 멀티 성형이 어렵고, 성형 잔여물이 내용물 테두리에 찍혀 나오는 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세 번째로는 사이드-인젝션(Side-injection)으로서, 팬에 대한 제약이 적으며, 정교한 멀티 및 3D 성형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고가의 제조설비라는 단점이 있다. 특허, 본원발명의 경우 백-인젝션을 적용할 경우 홀(구멍)이 있는 특수한 구조의 용기만이 사용될 수 있어 용기 수급에 대한 어려움이 있고 홀(구멍)을 통해 휘발성 성분이 날아가는 문제점이 있으며, 프론트-인젝션은 용기에 내용물을 채운후 액상을 빼내면서 누르기 때문에 충진량이 제약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원발명에서는 사이드-인젝션(Side-injection)으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이섀도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르면, 건식성형방식으로 충진하여 성형한 비교예 5의 경우, 성형 용이성 및 사용감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좋지 않은 평가를 얻었으며, 프론트 인젝션 타입의 습식성형방식으로 충전을 한 비교예 6은 충전시에 내용물을 충분히 담지 못하는 평가를 얻었다. 이에 반해 사이드 인젝션 타입의 습식충전방식으로 충전한 본원발명 실시예 1은 성형 용이성 및 사용감 평가에서 모두 좋은 평가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원발명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은 사이드 인젝션 타입의 습식성형방식으로 충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2 참조).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아이 메이크업 제품(아이섀도)은 자타입(Jar-type)이 밀폐를 도와주어 휘발성 오일이 증발되지 않게 함으로써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시 증발되지 않았던 휘발성 오일이 휘발 되면서 필름형성제의 피막형성을 도와주어 메이크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펄 감, 사용감(촉촉한 감촉, 투명하고 뭉침이 없는 글리터감, 끈적임 없이 산뜻하면서 밀착력 있는 발림성) 및 지속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성형성 및 안정성 또한 개선하였다.
도 1은 인젝션 기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본원발명의 아이섀도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성분들의 함량 조성에 따라, 헨셀 믹서에 분체부를 투입한 후 저속(400~700rpm) 및 고속 (700~1500rpm)으로 혼합하였다. 그 후 리본 믹서 또는 만능 혼합기에 분체부 55 내지 60 중량%를 투입하고, 오일부 40 내지 45 중량%를 고르게 분사한 후 저속(400~700rpm)으로 혼합하였다.
혼합된 내용물을 자타입(Jar-type) 용기에 사이드 인젝션(side-injection) 타입의 습식성형방식으로 충전하여 성형하였다.
비교예 1 내지 4: 조성물 변화에 따른 아이섀도 조성물의 제조
< 비교예 1>
분체부에서 글리터 펄을 함유하지 않는 대신 진주광택안료만을 함유하도록 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오일부에서 피막형성제와 휘발성오일을 함유하지 않도록 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제조하였다.
< 비교예 3>
오일부에서 피막형성제를 함유하지 않도록 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제조하였다.
< 비교예 4>
오일부에서 휘발성오일을 함유하지 않도록 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2 비교예 3 비교예 4



분체부


합성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색소 0.5 0.5 0.5 0.5 0.5
실리카 1 1 1 1 1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1 1 1 1 1
마이카&티타늄디옥사이드 (진주광택안료) 6 56 6 6 6
글래스&티타늄디옥사이드 (글리터 펄) 50 - 50 50 50







오일부







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 (피막형성제) 3 3 - - 3
메칠트리메치콘 (휘발성 오일) 3 3 - 3 -
이소도데칸 (휘발성 오일) 3 3 - 3 -
이소헥사데칸 (휘발성 오일) 1 1 - 1 -
카프릴릴메치콘/디메치콘 (휘발성 오일) 1 1 - 1 -
트리데실트리멜리테이트 13 13 13 13 13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
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2 2 2 2 2
디메치콘&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8 8 8 8 8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4 4 4 4 4
방부제 및 첨가제 2 2 2 2 2
실험예 1: 사용감 및 성형 안정성 평가
상기 표 1에 대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에 대하여 사용감 및 성형성을 평가하였다.
사용감 측정은 30명의 panel을 선정하여 아래의 시료를 각각 제공하고, 눈두덩이에 사용 후 5점 만점으로 기준한 후 그 수치의 평균을 나타내었다.
사용감의 평가목록은 글리터감(반짝임 효과), 광택감, 밀착성, 지속성, 도포시 뭉침현상, 발림성(페이오프), 부드러운 사용감으로 정하였으며, 성형 안정성 확인을 위해 낙하 안정성을 함께 측정하였다. 낙하 안정성의 측정은 3mm 두께의 고무판 위로 70cm 높이에서 성형 제조품을 3회 수평 자유낙하시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평가 항목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글리터감(반짝임 효과) 4.9 2.1 4.7 4.8 4.8
광택감 4.6 4.5 4.0 4.6 4.1
밀착성 4.7 4.7 2.8 2.9 3.5
지속성 4.8 4.7 2.7 2.6 3.7
도포시 뭉침현상 4.8 3.5 3.1 4.0 3.0
발림성(페이오프) 4.7 3.3 3.6 3.9 2.7
부드러운 사용감 4.9 4.0 3.0 4.2 3.1
낙하 안정성 4.5 4.0 2.0 4.0 3.0
* 5: 매우 좋음, 4: 약간 좋음, 3: 보통, 2: 약간 나쁨, 1: 매우 나쁨
* 경도측정: Rheometer(Sun Scientific, CR-500DX) 및 JIS A type hardness tester로 측정
(Adapter: #6 (5φ), S. ADJ: 15, range: 0.1mm, Range: 500, T. speed: 2cm/min)
그 결과, 상기 표 2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경우, 펄 광택은 우수한 편이나 글리터감이 매우 약하게 나타나 아이 메이크업의 기능적인 제약이 있었다. 또한 너무 단단하여 케이킹 현상이 나타나면서 발림성이 떨어졌다. 비교예 2의 경우, 피막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아 밀착력 및 지속성이 약하였고, 비휘발성 오일만으로 구성되어 상대적으로 뻑뻑한 사용감이 나타나면서 낙하 안정성이 매우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비교예 3의 경우, 전반적으로 양호한 평가 수치가 나왔으나 피막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아 밀착력 및 지속성 항목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4의 경우, 도포시 뭉치는 현상과 뻑뻑한 사용감이 심하게 나타났고 낙하 안정성도 상대적으로 좋지 않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본원발명의 실시예 1은 전반적으로 우수한 평가를 받아 아이 메이크업 화장물로서의 기능 및 효과를 개선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5: 건식성형방식으로 제조된 아이섀도
실시예 1과 동일한 성분 및 성분비로 혼합된 내용물을 자타입(Jar-type) 용기에 건식성형방식으로 충전하여 성형하였다.
비교예 6: 습식성형방식으로 제조된 아이섀도
실시예 1과 동일한 성분 및 성분비로 혼합된 내용물을 자타입(Jar-type) 용기에 프론트 인젝션(front-injection) 타입의 습식성형방식으로 충전하여 성형하였다.
실험예 2: 성형 용이성 및 사용감 평가
상기 비교예 5 및 6의 조성물에 대하여 사용감 및 성형성을 평가하였다.
사용감 측정은 30명의 패널을 선정하여 아래의 시료를 각각 제공하고, 눈두덩이에 사용 후 5점 만점으로 기준한 후 그 수치의 평균을 나타내었다.
평가목록은 도포시 뭉침현상, 발림성(페이오프), 성형의 용이성으로 정하였으며, 성형 안정성 확인을 위해 낙하 안정성을 함께 측정하였다. 낙하 안정성의 측정은 3mm 두께의 고무판 위로 70cm 높이에서 성형 제조품을 3회 수평 자유낙하시켜 측정하였다. 평가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냈다.
평가 항목 실시예 1 비교예 5 비교예 6
도포시 뭉침현상 5.0 3.1 4.9
발림성(페이오프) 4.1 2.2 4.2
성형의 용이성 5.0 3.0 3.0
낙하 안정도 4.0 2.0 4.0
* 5: 매우 좋음, 4: 약간 좋음, 3: 보통, 2: 약간 나쁨, 1: 매우 나쁨
* 경도측정: Rheometer(Sun Scientific, CR-500DX) 및 JIS A type hardness tester로 측정
(Adapter: #6 (5φ), S. ADJ: 15, range: 0.1mm, Range: 500, T. speed: 2cm/min)
그 결과 상기 표 3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비교예 5의 경우, 건식성형시 내용물의 응집현상으로 인하여 성형 후 균일하지 못한 상태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페이오프시 내용물이 부서지면서 떠지는 현상과 도포시 뭉치듯이 발리는 현상이 강하게 나타나 사용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낙하 안정도 역시 상대적으로 좋지 못하였다. 또한 비교예 6의 경우, 전반적인 평가 항목에서 양호한 평가를 나타내었으나 프론트인젝션 방식으로 내용물을 충전할 시에 내용물의 양을 충분히 담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성형 방식상 상부에서만 흡습성형이 이루어지므로 내용물의 상하부 물성 편차가 발생하여 제품 사용시 내용물이 물러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원발명 실시예 1의 경우, 전반적으로 우수한 평가를 나타내었으며, 균일한 조성물의 상태와 균일한 발림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사이드인젝션(side-injection) 타입의 습식성형방식으로 충전하여 성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1)

  1.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글리터 펄을 함유하는 분체부 55 내지 65 중량%, 피막형성제와 휘발성 오일을 함유하는 오일부 40 내지 4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글리터 펄은 유리플레이크(Glass Flake) 또는 합성운모(Synthetic Fluorphlogopite) 기반으로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이 코팅된 입도분포(D90)가 90 내지 300㎛의 펄 안료이고, 상기 조성물은 습식 충전방식을 사용하여 밀폐형 용기에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부는 분체부 총 중량에 대하여 글리터 펄 70 내지 99 중량%, 체질안료 및 색소 1 내지 3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부는 오일부 총 중량에 대하여 피막형성제 5 내지 10 중량%, 휘발성 오일 10 내지 3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오일은 도포시 휘발되면서 피막형성제의 피막형성을 도우며, 오일바인더로서의 역할 및 분산매로서의 역할을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형성제는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Trimethylsiloxysilicate)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오일은 이소도데칸(Isododecane), 이소헥사데칸(Isohexadecane), 메칠트리메치콘(Methyl Trimethicone), 디메치콘(Dimethicone (2cSt 이하)), 카프릴릴메치콘(Caprylyl Methicone),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및 사이클로헥사실록산(Cyclohexasilox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상온에서 휘발성을 갖는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인젝션(Injection) 타입의 습식충전방식으로 자타입(Jar-type) 용기에 직접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인젝션(Injection) 타입은 사이드 인젝션(Side-Injection)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11.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a) 글리터 펄 70 내지 99 중량%, 체질안료 및 색소 1 내지 30 중량%를 함유하는 분체부를 준비하는 단계;
    b) 피막형성제 5 내지 10 중량%, 휘발성 오일 10 내지 30 중량%를 함유하는 오일부를 준비하는 단계;
    c) 상기 분체부와 오일부를 55 내지 60 중량% : 40 내지 45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및
    d) 상기 혼합된 조성물을 인젝션(Injection) 타입의 습식충전방식으로 자타입(Jar-type) 용기에 충전하는 단계.
KR1020160080224A 2016-06-27 2016-06-27 고함량의 글리터 펄을 포함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838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224A KR101838478B1 (ko) 2016-06-27 2016-06-27 고함량의 글리터 펄을 포함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224A KR101838478B1 (ko) 2016-06-27 2016-06-27 고함량의 글리터 펄을 포함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706A KR20180001706A (ko) 2018-01-05
KR101838478B1 true KR101838478B1 (ko) 2018-03-15

Family

ID=61001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224A KR101838478B1 (ko) 2016-06-27 2016-06-27 고함량의 글리터 펄을 포함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4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9520A (ko) * 2018-06-08 2019-12-18 코스맥스 주식회사 분말상의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370A (ko) 2018-10-30 2020-05-08 (주)아모레퍼시픽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1692B1 (ko) * 2019-09-30 2021-11-04 코스맥스 주식회사 나일론에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이 코팅된 원료를 포함하는 글리터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092B1 (ko) 2009-10-30 2012-04-30 (주)아모레퍼시픽 펄감이 향상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092B1 (ko) 2009-10-30 2012-04-30 (주)아모레퍼시픽 펄감이 향상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9520A (ko) * 2018-06-08 2019-12-18 코스맥스 주식회사 분말상의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117219B1 (ko) 2018-06-08 2020-06-01 코스맥스 주식회사 분말상의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706A (ko) 2018-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2762A (ko)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64504B1 (ko) 반고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1838478B1 (ko) 고함량의 글리터 펄을 포함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587783B1 (ko) 휘발성 유기 겔을 함유하는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10444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1789036B1 (ko) 구상 실리콘 t 레진을 주 체질안료로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117219B1 (ko) 분말상의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630825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62426B1 (ko) 발색력 및 글리터 효과가 향상된 아이 메이크업용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JP5170779B2 (ja) 油性固形化粧料
KR20160001139A (ko) 세리사이트를 과립화한 분체를 포함하는 분백류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1438369B1 (ko) 가교 고분자를 이용한 아이섀도 화장료 조성물
WO2019138793A1 (ja) 固形粉末化粧料及び固形粉末化粧料の製造方法
JP4484649B2 (ja) 固型粉末メーキャップ化粧料の製造方法
KR20150017142A (ko) 성형성을 향상시킨 파우더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163180B1 (ko) 돔형 분말 아이섀도우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2345404A1 (en) Pencil-shaped cosmetic and cosmetic product
KR102451349B1 (ko) 페이스트 상 에스터 오일과 다공성 구상 분체를 포함하는 분백류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1445099B1 (ko) 고함량 펄 파우더 및 오일바인더를 포함하는 루스타입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CN108078800B (zh) 油性化妆料
JP6325209B2 (ja) 固形棒状化粧料
CN109862867B (zh) 水润感优异的彩妆化妆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60070048A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89783B1 (ko) 부러짐 현상이 개선된 립메이크업 조성물
KR101144469B1 (ko) 수분산 바인더와 파우더 혼합물을 함유하는 오일-프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