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164B1 - 바닥 배수판 - Google Patents

바닥 배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164B1
KR101838164B1 KR1020160058768A KR20160058768A KR101838164B1 KR 101838164 B1 KR101838164 B1 KR 101838164B1 KR 1020160058768 A KR1020160058768 A KR 1020160058768A KR 20160058768 A KR20160058768 A KR 20160058768A KR 101838164 B1 KR101838164 B1 KR 101838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late portion
protrusion
protrusions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7914A (ko
Inventor
안찬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주
Priority to KR1020160058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164B1/ko
Publication of KR20170127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23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collecting water in bas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바닥 배수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배수판은 수지시트를 가열된 상태로 금형에 진공흡착시켜 진공성형되고, 사각의 판부와, 상기 판부 상부로 개방된 요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판부의 가장자리 안쪽 면에 상기 판부로부터 하향 돌출된 복수의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 둘레의 상기 판부의 가장자리 4면 중 이어진 2면에 상기 판부 상부로 개방된 제1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판부로부터 하향 돌출된 복수의 제1돌기부와, 상기 기둥부 둘레의 상기 판부의 가장자리 4면 중 나머지 이어진 2면에 상기 판부의 상부로 개방되어 상기 제1돌기부가 끼워질 수 있는 형태의 제2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판부로부터 하향 돌출된 복수의 제2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부와 제1돌기부와 제2돌기부가 상기 수지시트 일면 방향으로 함께 융기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지시트의 융기된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가 상기 판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Description

바닥 배수판{drainage plate for bottom of underground}
본 발명은 바닥 배수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가 용이함은 물론 건축물 바닥의 배수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마련된 바닥 배수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지하층을 시공할 때는 바닥으로 결로 및 용출수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바닥 배수판이 사용된다.
건축물 바닥의 배수시공을 할 때는 먼저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에서 그 위에 바닥 배수판을 깔고, 바닥 배수판 상부로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데, 바닥 배수판은 저부에 배수로를 형성하여 기초 콘크리트로 침투한 지하수를 집수정 쪽으로 안내하여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건축물 바닥의 방수층을 이루게 된다.
바닥 배수판은 통상 사각의 판부와, 판부 상부로 개방된 요홈을 형성하도록 판부로부터 하향 돌출된 복수의 기둥부를 구비하는 사출물로 마련된다.
기둥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그 사이를 통해 배수로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건축물 바닥의 배수시공시 복수개의 바닥 배수판은 기초 콘크리트 상부에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연접하도록 깔려 배수층을 이루게 되는데, 이때 바닥 배수판 사이에 틈새가 형성될 경우에는 바닥 배수판 상부로 타설되는 바닥 콘크리트가 배수로로 유입될 우려가 생긴다.
따라서 바닥 배수판은 외곽 쪽에 돌기와 홀들을 구비하여 연접한 상태로 이웃하게 되는 바닥 배수판 사이가 결속되도록 함으로써, 바닥 배수판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바닥 배수판은 인접한 것끼리 판부 가장자리가 상호 포개어지도록 하고, 상호 포개어지는 판부 가장자리에 상기 돌기와 홀을 형성할 경우, 구조가 단순해 지면서 그 제작성이 용이해질 것으로 기대되는 바이다.
그러나 사출성형 되는 종래 바닥 배수판은 판부가 두껍고 유연성에 한계가 있어 인접한 바닥 배수판의 판부 가장자리를 상호 포개어지도록 겹칠 경우, 한 쪽 바닥 배수판의 판부가 들뜨게 되면서 바닥 배수판 사이로 틈새가 벌어질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 바닥 배수판은 판부의 외곽 중 일부에 판부로부터 하향 단차를 갖는 연결살이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한 쪽 바닥 배수판의 연결살이 다른 쪽 바닥 배수판의 연결살이 없는 부위의 판부 가장자리와 포개어지도록 하고, 바닥 배수판 사이의 결속을 위한 돌기나 홀들이 연결살 및 연결살의 위치에 대응하는 판부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마련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해 지면서 제작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닥 배수시공시 상호 결속된 상태로 연접하여 기초 콘크리트 위에 깔린 바닥 배수판 사이는 접착테이프로 접착되거나 별도의 연결부재를 통해 한 번 더 결속되어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사출성형되어 탄력이 없는 종래 바닥 배수판은 접착테이프나 연결부재의 설치과정에서 작업자가 미리 깔아놓은 바닥 배수판 사이를 밟게 되거나, 기초 콘크리트 상면이 평평하지 못할 경우, 바닥 배수판 사이가 결속이 해제되면서 분리되는 일이 많아 바닥 배수시공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상호 간에 안정적인 결속이 가능하면서도 제작이 용이한 바닥 배수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건축물 바닥의 배수시공성을 향상시킬 수는 바닥 배수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지시트를 가열된 상태로 금형에 진공흡착시켜 진공성형되고, 사각의 판부와, 상기 판부 상부로 개방된 요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판부의 가장자리 안쪽 면에 상기 판부로부터 하향 돌출된 복수의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 둘레의 상기 판부의 가장자리 4면 중 이어진 2면에 상기 판부 상부로 개방된 제1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판부로부터 하향 돌출된 복수의 제1돌기부와, 상기 기둥부 둘레의 상기 판부의 가장자리 4면 중 나머지 이어진 2면에 상기 판부의 상부로 개방되어 상기 제1돌기부가 끼워질 수 있는 형태의 제2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판부로부터 하향 돌출된 복수의 제2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부와 제1돌기부와 제2돌기부가 상기 수지시트 일면 방향으로 함께 융기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지시트의 융기된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가 상기 판부를 형성하는 바닥 배수판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돌기부와 상기 기둥부는 수직방향의 길이가 동일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돌기부는 상기 제2돌기부에 비해 폭이 좁고 수평방향의 길이가 짧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돌기부는 상기 기둥부와 수직방향의 길이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홈은 상기 제1돌기부가 끼워질 수 있게 마련된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와 통하도록 상기 끼움부로부터 안쪽의 기둥부 사이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제1돌기부 사이의 상기 판부에는 상부로 개방된 제3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판부로부터 하향 돌출된 제3돌기부가 마련되고, 복수의 상기 제2돌기부 사이의 상기 판부에는 상기 판부의 상부로 개방되어 상기 제3돌기부가 끼워질 수 있는 형태의 제4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판부로부터 하향 돌출된 제4돌기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3돌기부 및 제4돌기부의 폭은 상기 제1돌기부 및 제2돌기부보다 작게 마련되고, 상기 제3돌기부 및 제4돌기부의 길이는 상기 제1돌기부 및 제2돌기부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배수판은 얇은 수지시트를 가열된 상태로 금형에 진공흡착시키는 방식으로 진공성형되어 탄력과 유연성을 겸비하므로, 상호 간에 안정적인 결속이 가능하면서도 제작이 용이해 질 수 있다.
또한 진공성형되어 탄력과 유연성을 겸비하는 바닥 배수판은 작업자가 밟게 되는 경우나, 표면이 평평하지 못한 기초 콘크리트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상호 간에 분리될 우려가 적어 건축물 바닥의 배수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배수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바닥 배수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1의 바닥 배수판 한 쌍이 기초 콘트리트 위에서 상호 연접하게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을 절취선 A-A선을 따라 절취한 후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바닥 배수판 상부로 바닥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배수판의 일 변형 예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로, 한 쌍의 바닥 배수판이 기초 콘크리트 위에 상호 연접하게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배수판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평면도로, 한 쌍의 바닥 배수판이 기초 콘트리트 위에서 상호 연접하게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7을 절취선 B-B를 따라 절취한 후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배수판(10)은 건축물의 바닥 시공과정에서 기초 콘크리트(1)와 바닥 콘크리트(2) 사이에 방수층(3)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의 판부(11)와, 판부(11) 상부로 개방된 요홈(12a)을 형성하도록 판부(11)의 가장자리 안쪽 면에 판부(11)로부터 하향 돌출된 복수의 기둥부(12)를 구비한다. 기둥부(12)는 그 사이가 일정 간격 상호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바닥 배수판(10)는 기초 콘크리트(1)가 타설된 상태에서 그 위에 상호 연접하여 깔리도록 배치되고, 이 상태의 바닥 배수판(10) 상부에는 도 5와 같이 바닥 콘크리트(2)가 타설되는데, 이로 인해 기둥부(12) 안쪽의 요홈(12a)에 바닥 배수판(10) 상부로 타설되는 바닥 콘크리트(2)가 채워지면서 기둥부(12)는 기초 콘크리트(1)에 밀착되고, 이 상태에서 기둥부(12) 사이는 배수로(4)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바닥 배수판(10)을 통해 기초 콘크리트(1)와 바닥 콘크리트(2) 사이에 배수로(4)가 형성된 상태에서는 기초 콘크리트(1)로 지하수가 침투하게 되더라도 침투된 지하수는 배수로(4)를 따라 일측으로 위치하는 집수정(미도시) 쪽으로 안내하여 배수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건물 바닥은 지하수에 대한 방수구조를 갖게 된다.
바닥 콘크리트(2)가 타설되기 전 인접한 바닥 배수판(10) 사이는 접착테이프로 접착되어 그 사이로 틈새가 벌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 바닥 배수판(10)은 기둥부(12) 둘레의 판부(11)의 가장자리 4면 중 연이어진 2면에 판부(11) 상부로 개방된 제1홈(13a)을 형성하도록 판부(11)로부터 하향 돌출된 복수의 제1돌기부(13)와, 기둥부(12) 둘레의 판부(11)의 가장자리 4면 중 나머지 연이어진 2면에 판부(11)의 상부로 개방되어 제1돌기부(13)가 끼워질 수 있는 형태의 제2홈(14a)을 형성하도록 판부(11)로부터 하향 돌출된 복수의 제2돌기부(14)를 포함한다. 제1돌기부(13)와 제2돌기부(14)는 각각 해당 판부(11) 가장자리의 1면 양측으로 한 쌍씩 마련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바닥 배수판(10)은 바닥 배수시공과정에서 판부(11) 가장자리가 상호 포개어지도록 겹쳐진다. 이때는 한 쪽 바닥 배수판(10)의 제1돌기부(13) 쪽 가장자리가 다른 쪽 바닥 배수판(10)의 제2돌기부(14) 쪽 자장자리를 덮는 방식으로 복수의 바닥 배수판(10)은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상호 연접되게 연결되는데, 연접과정에서 제1돌기부(13)는 제2돌기부(14) 안쪽의 제2홈(14a)으로 삽입되어 인접한 바닥 배수판(10) 사이를 수평방향으로 상호 분리가 억제된 상태로 결속시킨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바닥 배수판(10)은 상호 간의 안정적인 결속이 가능하면서도 제작이 용이하도록 진공성형된다.
진공성형은 플랙시블한 수지시트를 가열하여 무르게 한 뒤에 대기 압력작용으로 인해 금형에 압착하여 성형하는 성형방식을 가리킨다. 바닥 배수판(10)을 진공성형 할 때는 우선 원하는 바닥 배수판(10)의 최종 모양으로 금형을 제작하고, 제작한 금형을 진공상태를 만들어주는 장치에 놓고 금형 위에 가열된 수지시트를 얹는다. 수지시트는 롤 형태로 감겨져 있는 상태에서 풀려지면서 금형 쪽으로 이동되고, 이동과정에서 가열될 수 있다. 수지시트가 성형되기에 충분할 만큼 유연해지면, 수지시트 아래에 놓은 금형이 위나 아내로 올라가면서 유연해진 수지시트에 최종 바닥 배수판(10) 모양의 금형이 합쳐지게 된다. 금형과 수지시트의 완벽한 흡착을 위해 아래쪽을 다시 진공상태로 만든 후, 수지시트가 냉각될 때까지 이 흡착 상태를 유지한다. 냉각이 완료되면 수지시트는 금형으로 제거되어 금형의 형태대로 진공성형이 완료된다.
수지시트를 진공성형하여 바닥 배수판(10)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기둥부(12)와 제1돌기부(13)와 제2돌기부(14)는 함께 수지시트의 일면 방향으로 융기되어 형성되고, 상기 판부(11)는 융기되지 않은 나머지 부위의 수지시트를 통해 플랙시블하게 형성된다.
수지시트를 진공성형하여 제작된 바닥 배수판(10)은 판부(11)가 얇게 마련됨은 물론 탄력과 유연성을 겸비하여 플랙시블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 배수판(10)은 상호 간의 결속을 위한 제1 및 제2돌기부(13,14)가 형성된 가장자리를 제1돌기부(13)가 제2홈(14a)에 끼워지도록 상호 포개어지도록 한 상태에서도 제1돌기부(13) 쪽 바닥 배수판(10)의 판부(11)가 들뜨게 되는 것이 억제되고, 이에 따라 바닥 배수판(10) 사이에서 들뜸 현상으로 인해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 부호 11a는 양쪽 판부(11)의 가장자리가 겹쳐지는 과정에서 탄력적으로 굽혀진 상부 쪽 판부(11)의 밴딩부를 가리킨다.
그리고 바닥 배수판(10)은 상호 간의 결속을 위한 제1 및 제2돌기부(13,14)가 판부(11) 가장자리에 직접 형성됨에 따라 전체적인 구조가 간소화되어 금형의 구조가 단순해 지면서 제작성도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진공성형되어 탄력과 유연성을 겸비하는 바닥 배수판(10)은 바닥 콘크리트(2)를 타설하기 전, 작업자가 바닥 배수판(10) 사이에 접착테이프를 접착시키기 위해 미리 깔아놓은 바닥 배수판(10) 사이를 밟고 다니는 경우에도 판부(11)가 탄력적으로 휘어지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가해진 압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본래의 상태로 다시 안전하게 복귀하면서 바닥 배수판(10) 사이의 결속이 해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닥 배수판(10)을 사용하게 되면, 바닥 배수시공과정에서 바닥 배수판(10) 사이가 분리되는 것이 억제되면서 바닥 배수시공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닥 배수판(10)에 있어서, 제1돌기부(13)는 수직방향 길이(L1)가 제2돌기부(14)의 수직방향 길이(L2)에 비해 짧게 마련되고, 제2돌기부(14)의 수직방향 길이(L2)는 기둥부(12)와 같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호 겹쳐지는 바닥 배수판(10) 사이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제2돌기부(14)는 기초 콘크리트(1)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여 바닥 배수판(10) 사이가 과도하게 저부로 눌려지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바닥 배수판(10) 사이가 분리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제2홈(14a)은 제1돌기부(13)가 끼워질 수 있게 마련된 끼움부(14b)와, 끼움부(14b)와 통하도록 끼움부(14b)로부터 안쪽의 기둥부(12) 사이로 연장된 연장부(14c)를 포함하여 'T'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부(14c)는 바닥 배수판(10) 사이가 결속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상부로 노출되는데, 이에 따라 바닥 배수판(10) 상부로 타설되는 바닥 콘크리트(2)는 연장부(14c)를 통해 제2홈(14a) 안쪽으로 충진되어 양생과정에서 제1돌기부(13)를 제2홈(14a)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바닥 배수판(10) 사이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제2홈(14a)으로 삽입되는 제1돌기부(13)의 삽입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제1돌기부(13)와 제2돌기부(14)는 상부에 비해 하부의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또 제1돌기부(13)는 그 폭(W1)이 제2홈(14a)의 끼움부(14b) 폭(W2)보다 좁게 마련되고, 제1돌기부(13)의 수평방향 길이(L3)는 끼움부(14b)의 수평방향 길이(L4)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바닥 배수판(10) 사이를 연결할 때는 제1돌기부(13)가 형성된 일측 바닥 배수판(10)의 가장자리가 제2돌기부(14)가 형성된 타측 배수판(10)의 가장자리에 포개어지도록 양쪽 바닥 배수판(10)의 가장자리의 대략적인 위치만 맞추게 되면, 제1돌기부(13)가 제2홈(14a)의 끼움부(14b)에 끼워지게 되면서 인접한 바닥 배수판(10) 사이는 간단히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바닥 배수판(10´)의 일 변형 예를 도시한 도 6과 같이, 상기 제1 및 제2돌기부(13´,14)는 상기 기둥부(12)와 수직방향의 길이가 동일하게 마련될 수도 있는데, 이때는 바닥 배수판(10´) 사이가 제1 및 제2돌기부(13´,14)를 통해 기초 콘크리트(1)에 대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때도 제1돌기부(13´)는 제2홈(14a)에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제2돌기부(14)에 비해 폭이 좁고 수평방향 길이가 짧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배수판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돌기부(13) 사이의 판부(11)에는 상부로 개방된 제3홈(15a)을 형성하도록 판부(11)로부터 하향 돌출된 제3돌기부(15)가 마련되고, 복수의 제2돌기부(14) 사이의 판부(11)에는 판부(11)의 상부로 개방되어 제3돌기부(15)가 끼워질 수 있는 형태의 제4홈(16a)을 형성하도록 판부(11)로부터 하향 돌출된 제4돌기부(16)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및 제2돌기부(13,14)의 배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3돌기부(15) 및 제4돌기부(16)의 폭(W3, W4)은 제1돌기부(13) 및 제2돌기부(14)의 폭(W1,W2)보다 작게 마련되고, 제1 및 제2돌기부(13,14)의 배열방향을 따라 제3돌기부(15) 및 제4돌기부(15)의 수평방향 길이(L5)는 제1돌기부(13) 및 제2돌기부(14)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3돌기부(15)와 제4돌기부(16)는 얇은 띠 형태로 마련되어 제1돌기부(13) 사이와 제2돌기부(14)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바닥 배수판(10˝)의 구조에 따르면, 바닥 배수판(10˝) 사이가 결속된 상태에서 제4홈(16a)에 삽입된 제3돌기부(15)가 겹쳐진 판부(11) 사이에서 제1돌기부(13) 사이나 제2돌기부(14) 사이를 차단함으로써, 바닥 배수판(10˝) 사이에 접착테이프를 붙이지 않더라도 바닥 배수판(10˝) 사이로 바닥 콘크리트(2)가 침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 이때는 접착테이프를 붙이는 공정이 삭제됨에 따라 바닥의 배수시공 속도나 작업성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0: 바닥 배수판 11:판부
12a: 요홈 12: 돌기부
13a: 제1홈 13: 제1돌기부
14a: 제2홈 14: 제2돌기부

Claims (5)

  1. 플랙시블한 수지시트를 가열된 상태로 금형에 진공흡착시켜 진공성형되고,
    사각의 판부와, 상기 판부 상부로 개방된 요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판부의 가장자리 안쪽 면에 상기 판부로부터 하향 돌출된 복수의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 둘레의 상기 판부의 가장자리 4면 중 이어진 2면에 상기 판부 상부로 개방된 제1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판부로부터 하향 돌출된 복수의 제1돌기부와, 상기 기둥부 둘레의 상기 판부의 가장자리 4면 중 나머지 이어진 2면에 상기 판부의 상부로 개방되어 상기 제1돌기부가 끼워질 수 있는 형태의 제2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판부로부터 하향 돌출된 복수의 제2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부와 제1돌기부와 제2돌기부가 상기 수지시트 일면 방향으로 함께 융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홈은 상기 제1돌기부가 끼워질 수 있게 마련된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와 통하도록 상기 끼움부로부터 안쪽의 기둥부 사이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바닥 배수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기부와 상기 기둥부는 수직방향의 길이가 동일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돌기부는 상기 제2돌기부에 비해 폭이 좁고 수평방향의 길이가 짧게 마련된 바닥 배수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돌기부는 상기 기둥부와 수직방향의 길이가 동일하게 마련된 바닥 배수판.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돌기부 사이의 상기 판부에는 상부로 개방된 제3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판부로부터 하향 돌출된 제3돌기부가 마련되고,
    복수의 상기 제2돌기부 사이의 상기 판부에는 상기 판부의 상부로 개방되어 상기 제3돌기부가 끼워질 수 있는 형태의 제4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판부로부터 하향 돌출된 제4돌기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3돌기부 및 제4돌기부의 폭은 상기 제1돌기부 및 제2돌기부보다 작게 마련되고, 상기 제3돌기부 및 제4돌기부의 길이는 상기 제1돌기부 및 제2돌기부보다 길게 마련된 바닥 배수판.
KR1020160058768A 2016-05-13 2016-05-13 바닥 배수판 KR101838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768A KR101838164B1 (ko) 2016-05-13 2016-05-13 바닥 배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768A KR101838164B1 (ko) 2016-05-13 2016-05-13 바닥 배수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914A KR20170127914A (ko) 2017-11-22
KR101838164B1 true KR101838164B1 (ko) 2018-03-13

Family

ID=60809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768A KR101838164B1 (ko) 2016-05-13 2016-05-13 바닥 배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1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914A (ko) 201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68587B1 (en) Structure comprising two or more elongated tongue-and-groove building elements
USRE48151E1 (en) Hard surface veneer and wood polymer composite flooring tile
JP6004519B2 (ja) コンクリート養生型枠およびコンクリート部材の構築方法
KR102051495B1 (ko) 방수방근시트 및 그 시공방법
KR101838164B1 (ko) 바닥 배수판
JP5177826B1 (ja) 建物のモルタル塗り外壁通気層形成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建物のモルタル塗り外壁通気層形成工法
KR101285774B1 (ko)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녹화조성구조물
KR101641050B1 (ko) 바닥용 배수판
KR101275273B1 (ko) 지하수 배수장치
KR200475927Y1 (ko) 인조 잔디용 복합 패드 및 이를 갖는 인조 잔디 구조체
KR101428733B1 (ko) 가변성 아치형 샌드위치패널
KR101139502B1 (ko) 배수판
CA2118581A1 (en) Permanent form for placing basement concrete wall
KR100799697B1 (ko) 지하바닥용 배수판
KR102239977B1 (ko) 바닥 배수판 및 바닥 배수판 시스템
KR200394986Y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판의 연결구조
JP6851659B2 (ja) ログ材
JP5547829B1 (ja) 覆工材
KR101649958B1 (ko) 방수블록구조
KR101469911B1 (ko) 건축물의 단열 방수 구조
JP4372710B2 (ja) 湧水パネルとそれを用いた湧水処理構造
KR101795869B1 (ko) 바닥용 배수판
KR101498806B1 (ko) 분리형 매립 실런트 및 이의 시공방법
WO2007083216A1 (en) Interlocking building block
KR101935251B1 (ko) 칸막이용 패널의 몰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