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502B1 - 배수판 - Google Patents

배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502B1
KR101139502B1 KR1020090114196A KR20090114196A KR101139502B1 KR 101139502 B1 KR101139502 B1 KR 101139502B1 KR 1020090114196 A KR1020090114196 A KR 1020090114196A KR 20090114196 A KR20090114196 A KR 20090114196A KR 101139502 B1 KR101139502 B1 KR 101139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drain
bonding
portion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7700A (ko
Inventor
김현수
장대희
남창진
김용봉
나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강리메텍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강리메텍,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강리메텍
Priority to KR1020090114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502B1/ko
Publication of KR20110057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발명은 건축,조경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침투수가 구조체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침투수를 처리하기 위한 배수판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은 하나의 배수층(40)을 이룰 수 있도록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접합재(150)에 의해 상호 접합되는 복수의 배수부(100A,100B)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배수부(100A,100B)의 연결부분(100C)은 상기 접합재(150)가 열융착될 수 있도록 열가소성 소재의 접합층(10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100)을 제시한다.
배수판, 배수층, 방수, 접합, 열융착, 옥상녹화

Description

배수판{DRAIN BOARD}
본 발명은 건축,조경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침투수가 구조체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침투수를 처리하기 위한 배수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판은 침투수를 차단할 수 있도록 방수소재로 형성되며 침투수가 집수정 등으로 배수되어 처리될 수 있도록 배수로가 형성되어 구조체를 보호한다. 이와 같은 배수판은 용도에 따라 바닥배수판(즉, 지하침투수처리용), 벽체 배수판, 조경용 배수판 등으로 분류된다.
특히 도시는 점점 건축물이 과밀해짐에 따라서 녹지지대가 사라지고 있는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배수판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옥상이나 고층건물의 베란다에 녹지를 조성하는 옥상녹화공법이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런데, 배수판은 시공장소의 크기 및 형상 등에 따라서 여러개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인 바, 배수판의 연결부분을 통해 침투수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배수판의 연결부분을 긴밀하게 처리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수판의 연결부분을 긴밀하게 처리함으로써 방수성이 우수한 배수판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나의 배수층(40)을 이룰 수 있도록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접합재(150)에 의해 상호 접합되는 복수의 배수부(100A,100B)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배수부(100A,100B)의 연결부분(100C)은 상기 접합재(150)가 열융착될 수 있도록 열가소성 소재의 접합층(10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100)을 제시한다.
상기 접합층(109)은 상기 접합층(109)이 형성되는 배수부(100A,100B)의 모재(108)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합층(109)은 상기 배수부(100A,100B)의 전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합재(150)는 모재(154) 및, 상기 배수부(100A,100B)의 접합층(109)과 열융착될 수 있도록 상기 모재(154)의 저면에 형성된 열가소성 소재의 접합층(15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합재(150)의 모재(154)는 금속 또는 열경화성 수지 소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배수판의 연결부분에 열가소성 소재의 접합층을 형성하여 접합재 를 열융착함으로써 배수판의 연결부분을 틈새가 없도록 긴밀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발명에 따른 배수판(100)은 바닥배수판(100), 벽체배수판(100), 정원용 배수판(100) 등 여러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상녹화공법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옥상녹화공법의 일 예로써, 먼저, 슬래브(10) 위에 도포작업 또는 방수/방근시트에 의해 방수 및 방근층(20)을 조성하고, 방수 및 방근층(20) 위에 단열재를 설치하여 단열층(30)을 조성하며, 단열층(30) 위에 배수판(100)을 설치하여 공극(42)을 갖는 배수층(40)을 조성하며, 배수층(40) 위에 부직포 등에 의해 토양필터층(50)을 조성한 후, 토양필터층(50) 위에 녹지 조성을 위한 식생토(60)를 조성하면 옥상녹화를 위한 녹지를 조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옥상녹화공법 등에 이용되는 본발명에 따른 배수판(100)은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배수판(100)은 기본적으로 배수층(40)이 상술한 공극이 형성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수판(100)은 배수로(102A)를 형성하는 베이스(102)의 상측에 복수의 기둥(104)이 돌출 형성되거나, 베이스(102)의 하측에 침투수가 저수될 수 있는 공간(106A)을 갖는 컵(cup)(106)이 복수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배수판(100)은 베이스(102) 및 복수의 기둥(104)을 포함하여 구 성될 수 있다(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형 배수판(110)'이라 한다). 또는 도 7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배수판(100)은 베이스(102) 및 복수의 컵(10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형 배수판(120)'이라 한다). 여기서, 배수판(100)의 복수의 기둥(104) 및 컵(106)은 여러가지로 배치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열을 이루도록 균일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수판(100)은 복수개가 하나의 배수층(40)을 이룰 수 있도록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배수판(100)에 의해 하나의 배수층(40)을 이루는 경우, 하나의 배수층(40)을 이루는 복수의 배수판(100)을 배수부(100A,100B)라 한다.
복수의 배수부(100A,100B)는 복수의 배수부(100A,100B)의 연결부분이 방수될 수 있도록 상호 접합됨으로써, 복수의 배수부(100A,100B)의 연결부분 틈새를 통해 침투수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긴밀하게 처리된다.
이때, 복수의 배수부(100A,100B)는 테이프를 비롯하여 여러가지 접합방법에 의해 상호 접합될 수 있다.
특히 본발명은 복수의 배수부(100A,100B)가 접합재(150)와의 열융착에 의해 상호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아울러 복수의 배수부(100A,100B)의 연결부분(100C)에 접합재(150)와의 열융착을 위해 열가소성 소재로 형성된 접합층(10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배수부(100A,100B)의 접합층(109)과 접합재(150)가 열 또는 열과 압력에 의해 융해되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융착에 의해 복수의 배수 부(100A,100B)가 상호 접합되면, 복수의 배수부(100A,100B)의 연결부분(100C)이 구조적으로 일체화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배수부(100A,100B)의 연결부분(100C)의 틈새가 전혀 생기지 않도록 보다 긴밀하게 처리될 수 있으며 테이프처럼 복수의 배수부(100A,100B)의 접합부가 떨어질 염려가 없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접합층(109)을 형성함으로써, 접합층(109)이 형성된 배수부(100A,100B)의 모재(108)가 열가소성 소재로 한정될 필요가 없으며, 열융착시 복수의 배수부(100A,100B)의 연결부분(100C)의 형상이 융해에 의해 무너질 염려가 없다.
열가소성 소재는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비롯하여 열가소성이 우수하며 접합층(109)이 형성되는 배수부(100A,100B)의 모재(108)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형성될 수 있다면 어떠한 것이든 무방하다.
이와 같은 배수부(100A,100B)의 접합층(109)은 배수부(100A,100B)의 모재(108)의 저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보다 근본적으로 침투수가 복수의 배수부(100A,100B)의 연결부분(100C) 틈새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배수부(100A,100B)의 모재(108)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배수부(100A,100B)의 접합층(109)은 복수의 배수부(100A,100B)의 연결부분(100C)에만 한정되어 일부 형성될 수도 있으나, 나아가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부(100A,100B)의 모재(108)의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하나의 배수판(100)을 시공현장에 맞추어 복수의 배수부(100A,100B)로 잘라 사용하는 경우, 어디 위치에서 절단하더라도 접합재(150)를 열융착할 수 있기 때문에 배수판(100)의 제작 및 시공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그리고, 배수부(100A,100B)의 모재(108)에 접합층(109)을 형성하기 위치가 한정되지 않는 바, 배수부(100A,100B)의 모재(108)에 접합층(109)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배수부(100A,100B)의 모재(108)에 접합층(109)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부(100A,100B)의 모재(108)가 형상화되기 전에 배수부(100A,100B)의 모재(108)에 접합층(109)을 코팅이나 도포 등이 여러가지 방법에 의해 형성한 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층(109)이 형성된 모재(108)를 형상화할 수 있다. 이때, 형상화된 배수부(100A,100B)의 모재(108)는 형상이 복잡한데 반해, 형상화전 배수부(100A,100B)의 모재(108)는 평면으로서 단순하기 때문에 접합층(109)이 보다 용이하고 빈틈없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접합재(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152)가 열가소성 수지, 금속 등 열융착이 가능한 소재로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로써 접합재(150)는 모재(154) 및, 배수부(100A,100B)의 접합층(109)과 열융착될 수 있도록 모재(154)의 저면에 형성된 열가소성 소재의 접합층(156)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접합재(150)의 접합층(156)에 의해 접합재(150)는 복수의 배수부(100A,100B)의 연결부분(100C)에 열융착됨과 아울러, 접합재(150)의 모재(154)에 의해 복수의 배수부(100A,100B)의 연결부분(100C)을 보강,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접합재(150)의 모재(154)는 금속 또는 열경화성 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발명에 따른 배수판을 이용한 옥상녹화공법의 구성도.
도 2 이하는 본발명에 따른 배수판에 관한 것으로서,
도 2는 제1형 배수판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b는 배수판의 제조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또 다른 실시 예의 제1형 배수판의 접합재 열융착전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배수판의 접합재 열융착후 단면도.
도 7은 제2형 배수판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배수판 100A,100B; 배수부
100C; 볼록형 연결부 102; 베이스
102A; 배수로 104; 기둥
106; 컵 108; 모재
109; 접합층 110; 제1형 배수판
120; 제2형 배수판 150; 접합재

Claims (5)

  1. 하나의 배수층(40)을 이룰 수 있도록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접합재(150)에 의해 상호 접합되는 복수의 배수부(100A,100B)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배수부(100A,100B)는 각각, 배수부(100A,100B)의 모재(108) 및, 상기 복수의 배수부(100A,100B)의 연결부분(100C)에 상기 접합재(150)가 열융착될 수 있도록 상기 모재(108)에 코팅 또는 도포되는 열가소성 소재의 접합층(10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10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합층(109)은 상기 접합층(109)이 형성되는 배수부(100A,100B)의 모재(108)의 상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100).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합층(109)은 상기 배수부(100A,100B)의 전부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100).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재(150)는 모재(154) 및, 상기 배수부(100A,100B)의 접합층(109)과 열융착될 수 있도록 상기 모재(154)의 저면에 형성된 열가소성 소재의 접합층(15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100).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접합재(150)의 모재(154)는 금속 또는 열경화성 수지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100).
KR1020090114196A 2009-11-24 2009-11-24 배수판 KR101139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196A KR101139502B1 (ko) 2009-11-24 2009-11-24 배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196A KR101139502B1 (ko) 2009-11-24 2009-11-24 배수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700A KR20110057700A (ko) 2011-06-01
KR101139502B1 true KR101139502B1 (ko) 2012-05-02

Family

ID=44393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196A KR101139502B1 (ko) 2009-11-24 2009-11-24 배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5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413A (ko) * 2016-10-27 2018-05-09 주식회사 씨엠케미칼 마감재 일체형 벽체배수판 및 그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329B1 (ko) * 2010-10-26 2013-07-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보드 및 이를 이용한 배수판, 건물의 녹화구조물
KR101666447B1 (ko) * 2016-07-29 2016-10-14 지에스이앤씨(주) 조경시설용 인공지반 배수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887Y1 (ko) * 2001-05-28 2001-10-15 안덕노 버블형 중공판재
KR200431553Y1 (ko) 2006-09-04 2006-11-23 주식회사 파나텍 스폐이서가 구비된 배수판
KR100788201B1 (ko) 2006-10-17 2007-12-26 박재하 배수판 및 배수판 성형방법
KR20090052308A (ko) * 2009-04-06 2009-05-25 주식회사 서강하이텍 배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배수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887Y1 (ko) * 2001-05-28 2001-10-15 안덕노 버블형 중공판재
KR200431553Y1 (ko) 2006-09-04 2006-11-23 주식회사 파나텍 스폐이서가 구비된 배수판
KR100788201B1 (ko) 2006-10-17 2007-12-26 박재하 배수판 및 배수판 성형방법
KR20090052308A (ko) * 2009-04-06 2009-05-25 주식회사 서강하이텍 배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배수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413A (ko) * 2016-10-27 2018-05-09 주식회사 씨엠케미칼 마감재 일체형 벽체배수판 및 그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700A (ko)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31941B1 (en) Studded plate
KR100912923B1 (ko) 방수시트의 맞물림 이음구조가 적용된 통기성 단열 방수구조
US9476177B2 (en) Adherent layer
KR101139502B1 (ko) 배수판
KR102051495B1 (ko) 방수방근시트 및 그 시공방법
CN104652494A (zh) 用龙骨或粘条安装塑料排水板的方法
EP3108072A1 (en) Insulation wall and insulation plate for constructing the insulation wall
RU2679150C1 (ru) Многослойная защитная панель и система для стен подвала
KR200406964Y1 (ko) 방수시트
KR101139501B1 (ko) 배수판
RU2581056C2 (ru)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стеновых камней, комплект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кладки и кладка из строительного камня
KR101145882B1 (ko) 방수,방근,배수 기능을 일체화한 하이브리드 방근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US20140242361A1 (en) Roof-greening sheet
KR100917254B1 (ko) 파라펫구조물의 통기성 방수구조
JP2018154994A (ja) 排水溝構造、排水溝用金具、及び、排水溝構造の製造方法
JP2017101450A (ja) 防水シート及びトンネルの防水構造
KR101042626B1 (ko) 건축용 지붕 단열재
KR101156675B1 (ko) 배수판
KR101469911B1 (ko) 건축물의 단열 방수 구조
KR101285329B1 (ko) 보드 및 이를 이용한 배수판, 건물의 녹화구조물
KR101922161B1 (ko) 조경용 배수판 조립체
JP5213800B2 (ja) 屋上構造体及びその形成方法
JP6506986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
JP3119768U (ja) 花壇組立物
KR101181575B1 (ko) 방수, 방근 및 차토기능이 구비된 조경용 복합시트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