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907B1 - 가구부재용 면취툴 - Google Patents

가구부재용 면취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907B1
KR101837907B1 KR1020170103847A KR20170103847A KR101837907B1 KR 101837907 B1 KR101837907 B1 KR 101837907B1 KR 1020170103847 A KR1020170103847 A KR 1020170103847A KR 20170103847 A KR20170103847 A KR 20170103847A KR 101837907 B1 KR101837907 B1 KR 101837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fered
chamfering
wheel
fastening member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광천
Original Assignee
고광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광천 filed Critical 고광천
Priority to KR1020170103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5/00Machines designed for producing special profiles or shaped work,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27C5/08Round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03Mechanical surface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illing, Drilling, And Turning Of Wo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 면취팁이 고정된 하부 면취휠과 상부 면취팁이 고정된 상부 면취휠 사이의 간격이 하부 및 상부 면취휠 사이에 개재되는 간격조절링의 개수에 의해 조절되면서 하부 및 상부 면취팁이 단계적으로 전체길이에 걸쳐 면취가공을 위해 사용됨에 따라 면취팁의 교체나 재가공으로 인한 시간이 절감되어 전체적으로 생산능률이 배가될 수 있도록 한 가구부재용 면취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부재용 면취툴은, 중앙에는 제 1 관통공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하부 면취팁이 고정된 다수의 하부 윙돌기가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하부 면취휠과, 중앙에는 제 2 관통공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상부 면취팁이 고정된 다수의 상부 윙돌기가 상기 하부 윙돌기 사이로 배열되게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상부 면취휠과,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공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 면취휠을 지지하며 중앙에는 제 1 회전축공이 형성되는 제 1 체결부재와, 상기 상부 면취휠의 제 2 관통공을 통해 돌출되는 상기 제 1 체결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며 중앙에는 상기 제 1 회전축공에 연통되는 제 2 회전축공이 형성되는 제 2 체결부재와, 상기 하부 및 상부 면취휠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 1 체결부재에 관통결합되고 상기 하부 및 상부 면취팁의 마모정도에 따라 개수가 감소되면서 상기 하부 및 상부 면취휠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다수의 간격조절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구부재용 면취툴{CHAMFERING TOOL FOR FURNITURE}
본 발명은 재단된 가구부재의 가장자리면을 다듬질하는 가구용 면취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 면취팁이 고정된 하부 면취휠과 상부 면취팁이 고정된 상부 면취휠 사이의 간격이 하부 및 상부 면취휠 사이에 개재되는 간격조절링의 개수에 의해 조절되면서 하부 및 상부 면취팁이 단계적으로 전체길이에 걸쳐 면취가공을 위해 사용됨에 따라 면취팁의 교체나 재가공으로 인한 시간이 절감되어 전체적으로 생산능률이 배가될 수 있도록 한 가구부재용 면취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목재를 다수의 가구부재들로 재단한 후 가구부재의 가장자리를 면취가공을 통해 다듬질한 다음 후속 조립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특히 책상 상판, 문짝 또는 주방가구는 평판의 가장자리를 면취가공한 후에 가장자리의 보호를 위해 예를 들어 에나멜 재질의 에지보드를 부착하게 되는데, 이러한 면취가공은 에지보드의 부착상태를 더욱 미려하게 만든다.
이러한 면취가공에 사용되는 가구용 면취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1-0120112호(2011.11.03. 공개)에는 본체 상부의 테이블에 서포터를 고정 설치하고, 서포터에는 승강수단의 핸들을 회전할 때 승하강 조절되는 승강대판을 설치하고, 승강대판에 모터를 결합하며, 모터축에 결합된 면취용 라우터(면취툴)를 구동되게 한 판재용 모서리 면취기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에 라우터와 직각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핀구멍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테이블에 안치되며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다수개의 핀구멍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핀이 4 모서리 중 적어도 1개소 이상의 모서리 하부에 조립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용 모서리 면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가구용 면취장치는 통상 회전구동되면서 실제 면취가공을 하는 면취툴을 포함한다.
이러한 면취툴의 일 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31073호(2001.07.19. 공고)에는 중앙에 축결합공이 형성된 몸체의 외주면에 절삭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삭날부에 V홈이 형성된 초경팁을 부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장치의 면취툴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31576호(2006.11.23. 공고)에는 V홈이 형성된 다이아몬드 팁을 소틸 소재의 생크 날개(W)에 형성된 팁 부착홈에 부착하고, 상기 생크 날개의 팁 부착홈 배면에는 팁 지지커버를 형성하고, 상기 팁 지지커버에는 상기 다이아몬드 팁의 V홈과 회전반대방향으로 연속되는 V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장치의 면취툴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면취장치의 면취툴은 단일 원판의 가장자리에 면취팁이 부착되는 구조로만 형성됨에 따라, 면취팁의 마모시에 즉각적으로 교체장착하거나 면취팁을 재절삭가공하여 다시 장착하여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1-0120112호(2011.11.03. 공개)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31073호(2001.07.19. 공고) 특허문헌 3 :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31576호(2006.11.23.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부 면취팁이 고정된 하부 면취휠과 상부 면취팁이 고정된 상부 면취휠 사이의 간격이 하부 및 상부 면취휠 사이에 개재되는 간격조절링의 개수에 의해 조절되면서 하부 및 상부 면취팁이 단계적으로 전체길이에 걸쳐 면취가공을 위해 사용됨에 따라 면취팁의 교체나 재가공으로 인한 시간이 절감되어 전체적으로 생산능률이 배가될 수 있도록 한 가구부재용 면취툴을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중앙에는 제 1 관통공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하부 면취팁이 고정된 다수의 하부 윙돌기가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하부 면취휠과, 중앙에는 제 2 관통공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상부 면취팁이 고정된 다수의 상부 윙돌기가 상기 하부 윙돌기 사이로 배열되게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상부 면취휠과,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공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 면취휠을 지지하며 중앙에는 제 1 회전축공이 형성되는 제 1 체결부재와, 상기 상부 면취휠의 제 2 관통공을 통해 돌출되는 상기 제 1 체결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며 중앙에는 상기 제 1 회전축공에 연통되는 제 2 회전축공이 형성되는 제 2 체결부재와, 상기 하부 및 상부 면취휠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 1 체결부재에 관통결합되고 상기 하부 및 상부 면취팁의 마모정도에 따라 개수가 감소되면서 상기 하부 및 상부 면취휠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다수의 간격조절링을 포함하는 가구부재용 면취툴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 윙돌기는 상기 하부 면취휠의 가장자리에 90도 각도간격으로 1개씩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상부 윙돌기는 상기 상부 면취휠의 가장자리에 90도 각도간격으로 1개씩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 면취팁이 고정되는 상기 하부 윙돌기의 반경방향 외측단부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후육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면취팁이 고정되는 상기 상부 윙돌기의 반경방향 외측단부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후육부 사이에 위치됨에 따라서 하부 및 상부 면취휠 사이의 상대회전을 방지하는 제 2 후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다수의 간격조절링은 상기 하부 및 상부 면취팁의 마모 진행에 따라 상기 하부 면취휠과 제 1 체결부재 사이 및 상기 상부 면취휠과 제 2 체결부재 사이로 1개씩 위치이동되어 상기 하부 및 상부 면취휠 사이에 개재되는 개수가 감소되면서 상기 하부 및 상부 면취휠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다수의 간격조절링은 4개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부재용 면취툴에 의하면, 하부 면취팁이 고정된 하부 면취휠과 상부 면취팁이 고정된 상부 면취휠 사이의 간격이 하부 및 상부 면취휠 사이에 개재되는 간격조절링의 개수에 의해 조절되면서 하부 및 상부 면취팁이 단계적으로 전체길이에 걸쳐 면취가공을 위해 사용됨에 따라 면취팁의 교체나 재가공으로 인한 시간이 절감되어 전체적으로 생산능률이 배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부재용 면취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부재용 면취툴의 분해조립도.
도 3 내지 도 5는 하부 및 상부 면취휠 사이에 개재되는 간격조절링을 개수를 4개, 2개, 0개로 단계적으로 조절하여 가구부재의 가장자리를 면취가공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부재용 면취툴의 사용상태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부재용 면취툴(1)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앙에는 제 1 관통공(11)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하부 면취팁(15)이 고정된 다수의 하부 윙돌기(13)가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하부 면취휠(10)과, 중앙에는 제 2 관통공(21)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상부 면취팁(25)이 고정된 다수의 상부 윙돌기(23)가 하부 윙돌기(13) 사이로 배열되게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상부 면취휠(20)과, 제 1 및 제 2 관통공(11, 21)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하단은 하부 면취휠(10)을 지지하며 중앙에는 제 1 회전축공(31)이 형성되는 제 1 체결부재(30)와, 상부 면취휠(20)의 제 2 관통공(21)을 통해 돌출되는 제 1 체결부재(30)의 상단에 결합되며 중앙에는 제 1 회전축공(31)에 연통되는 제 2 회전축공(41)이 형성되는 제 2 체결부재(40)와, 하부 및 상부 면취휠(10, 20) 사이에 개재되어 제 1 체결부재(30)에 관통결합되고 하부 및 상부 면취팁(15, 25)의 마모정도에 따라 개수가 감소되면서 하부 및 상부 면취휠(10, 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다수의 간격조절링(50)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부 면취휠(10)은 상부 면취휠(20)과 상호조합되어 회전구동되면서 가구부재(3)의 가장자리를 면취하는 회전식 면취부재이다.
하부 면취휠(10)의 중앙에는 제 1 체결부재(30)가 관통결합되는 제 1 관통공(11)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 면취휠(10)의 가장자리에는 하부 면취팁(15)이 고정될 다수의 하부 윙돌기(13)가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하부 윙돌기(13)는 하부 면취휠(10)의 가장자리에 90도 각도간격으로 1개씩 총 4개가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 면취팁(15)이 고정되는 하부 윙돌기(13)의 반경방향 외측단부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후육부(13a)를 포함한다.
하부 윙돌기(13)의 제 1 후육부(13a)에 고정되는 하부 면취팁(15)은 실제 가구부재(3)의 가장자리에 접하여 가구부재(3)의 가장자리를 면취하는 절취날에 해당하는 것으로, 초경합금 재질로 제조된다. 하부 면취팁(15)은 하부 윙돌기(13)의 제 1 후육부(13a)에 형성된 절취부위에 예를 들어 접합 등에 의한 방법으로 고정된다. 하부 면취팁(15)이 고정되는 절취부위는 일정 경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면취휠(10)과 조를 이루는 상부 면취휠(20)은 하부 면취휠(10)과 상호조합되어 회전구동되면서 가구부재(3)의 가장자리를 면취하는 회전식 면취부재이다.
상부 면취휠(20)의 중앙에는 제 1 체결부재(30)가 관통결합되는 제 2 관통공(21)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 면취휠(20)의 가장자리에는 상부 면취팁(25)이 고정될 다수의 상부 윙돌기(23)가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상부 윙돌기(23)는 상부 면취휠(20)의 가장자리에 90도 각도간격으로 1개씩 총 4개가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하부 윙돌기(13)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면취팁(25)이 고정되는 상부 윙돌기(23)의 반경방향 외측단부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제 1 후육부(13a) 사이에 위치됨에 따라 하부 및 상부 면취휠(10, 20) 사이의 상대회전을 방지하는 제 2 후육부(23a)를 포함한다.
하부 면취휠(10)과 상부 면취휠(20)은 서로 측면이 대응되게 끼워지는 하부 윙돌기(13)의 제 1 후육부(13a)와 상부 윙돌기(23)의 제 2 후육부(23a)에 의해 상하방향으로는 상대이동될 수 있지만, 회전구동축(5)을 중심으로 하는 상대회전은 불가능하게 서로 적층된다.
상부 윙돌기(23)의 제 2 후육부(23a)에 고정되는 상부 면취팁(25)은 실제 가구부재(3)의 가장자리에 접하여 가구부재(3)의 가장자리를 면취하는 절취날에 해당하는 것으로, 초경합금 재질로 제조된다. 상부 면취팁(25)은 상부 윙돌기(23)의 제 2 후육부(23a)에 형성된 절취부위에 예를 들어 접합 등에 의한 방법으로 고정된다. 상부 면취팁(25)이 고정되는 절취부위는 하부 면취팁(15)이 고정되는 절취부위와 반대방향의 경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하부 면취휠(10)과 상부 면취휠(20)은 제 1 관통공(11)과 제 2 관통공(11, 21)을 관통하는 제 1 체결부재(30)에 끼워져 적층결합된다.
제 1 체결부재(30)은 차후에 설명될 제 2 체결부재(40)와 함께 하부 면취휠(10)과 상부 면취휠(20)을 상하에서 가압하여 적층결합하는 구성부재이다.
제 1 체결부재(30)의 하단은 하부 면취휠(10)이 하부로 이탈될 수 없게 지지한다. 또한 제 1 체결부재(30)의 중앙에는 회전구동축(5)이 결합되는 제 1 회전축공(31)이 전체 길이에 걸쳐 관통형성된다. 제 1 회전축공(31)은 회전구동이 용이하도록 키이(key)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면취휠(20)의 제 2 관통공(21)을 통해 돌출되는 제 1 체결부재(30)의 상단은 제 2 체결부재(40)의 결합공(43)에 압입 또는 나사결합 등에 의해 체결된다.
전술한 상부 면취휠(20)의 제 2 관통공(21)을 통해 돌출되는 제 1 체결부재(30)의 상단에는 제 2 체결부재(40)가 결합된다.
제 2 체결부재(40)는 제 2 체결부재와 함께 하부 면취휠(10)과 상부 면취휠(20)을 상하에서 가압하여 적층결합하는 구성부재로, 특히 상부 면취휠(20)이 상부로 임의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제 2 체결부재(40)의 중앙에는 제 1 회전축공(31)에 연통되는 제 2 회전축공(41)이 관통형성된다. 제 2 회전축공(41)은 회전구동이 용이하도록 키이(key)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회전축공(41)의 하부에는 제 1 체결부재(30)의 상단이 결합되는 결합공(43)이 제 2 회전축공(41)에 연통되게 형성된다. 결합공(43)은 제 2 회전축공(41) 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다.
전술한 하부 면취휠(10) 및 상부 면취휠(20) 사이에는 다수의 간격조절링(50)이 개재된다.
다수의 간격조절링(50)은 하부 및 상부 면취팁(15, 25)의 마모정도에 따라 개수가 감소되면서 하부 및 상부 면취휠(10, 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에 따라, 하부 면취팁(15)과 상부 면취팁(25)이 단계적으로 전체길이에 걸쳐 면취가공을 위해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면취팁의 교체나 재가공으로 인한 시간이 절감되도록 하는 구성부재이다.
다수의 간격조절링(50)은 제 1 체결부재(30)에 관통결합될 수 있도록 정중앙에 관통공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다수의 간격조절링(50)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 면취휠(10) 및 상부 면취휠(20) 사이에 개재되어 사용되다가, 하부 및 상부 면취팁(15, 25)의 마모 진행에 따라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 면취휠(10)과 제 1 체결부재(30) 사이 및 상부 면취휠(20)과 제 2 체결부재(40) 사이로 1개씩 위치이동되어 하부 및 상부 면취휠(10, 20) 사이에 개재되는 개수가 감소되면서 하부 및 상부 면취휠(10, 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다수의 간격조절링(50)은 4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다수의 간격조절링(50)이 4개인 경우를 가정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부재용 면취툴(1)의 사용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부재용 면취툴(1)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 면취휠(10) 및 상부 면취휠(20) 사이에 4개의 간격조절링(50)이 개재된 상태로 회전구동축(5)에 결합되어 고속으로 회전구동되면서 가구부재(3)의 가장자리의 면취가공을 위해 사용된다.
사용시간의 경과에 따라 하부 및 상부 면취팁(15, 25)의 마모가 어느 정도 진행되면,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 면취휠(10) 및 상부 면취휠(20) 사이에 개재된 4개의 간격조절링(50) 중 1개는 하부 면취휠(10)과 제 1 체결부재(30) 사이로 위치이동시키고 다른 1개는 상부 면취휠(20)과 제 2 체결부재(40) 사이로 위치이동시켜 하부 면취휠(10) 및 상부 면취휠(20) 사이의 간격을 좁힌 상태로 회전구동축(5)에 결합하여 사용한다. 이 때 하부 면취팁(15) 중 사용되지 않던 하측부분과 상부 면취팁(25) 중 사용되지 않던 상측부분이 면취가공에 사용된다.
사용시간의 경과에 따라 하부 및 상부 면취팁(15, 25)의 마모가 더 진행되면,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 면취휠(10) 및 상부 면취휠(20) 사이에 개재된 2개의 간격조절링(50) 중 1개는 하부 면취휠(10)과 제 1 체결부재(30) 사이로 위치이동시키고 나머지 1개는 상부 면취휠(20)과 제 2 체결부재(40) 사이로 위치이동시켜 하부 면취휠(10) 및 상부 면취휠(20) 사이의 간격을 더욱 좁힌 상태로 회전구동축(5)에 결합하여 사용한다. 이 때 하부 면취팁(15) 중 사용되지 않던 최하측부분과 상부 면취팁(25) 중 사용되지 않던 최상측부분이 면취가공에 사용된다.
이 경우에 하부 면취휠(10) 및 상부 면취휠(20) 사이에는 간격조절링(50)이 개재되지 않고 하부 면취휠(10)과 제 1 체결부재(30) 사이 및 상부 면취휠(20)과 제 2 체결부재(40) 사이에 각각 2개의 간격조절링(50)이 개재되어 사용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부재용 면취툴(1)을 사용할 경우에, 하부 면취팁(15)이 고정된 하부 면취휠(10)과 상부 면취팁(25)이 고정된 상부 면취휠(20) 사이의 간격이 하부 및 상부 면취휠(10, 20) 사이에 개재되는 간격조절링(40)의 개수에 의해 조절되면서 하부 및 상부 면취팁(15, 25)이 단계적으로 전체길이에 걸쳐 면취가공을 위해 사용됨에 따라 면취팁의 교체나 재가공으로 인한 시간이 절감되어 전체적으로 생산능률이 배가될 수 있다.
위에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가구부재용 면취툴
3 : 가구부재
5 : 회전구동축
10 : 하부 면취휠
11 : 제 1 관통공
13 : 하부 윙돌기
13a : 제 1 후육부
15 : 하부 면취팁
20 : 상부 면취휠
21 : 제 2 관통공
23 : 상부 윙돌기
23a : 제 2 후육부
25 : 상부 면취팁
30 : 제 1 체결부재
31 : 제 1 회전축공
40 : 제 2 체결부재
41 : 제 2 회전축공
43 : 결합공
50 : 간격조절링

Claims (5)

  1. 중앙에는 제 1 관통공(11)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하부 면취팁(15)이 고정된 다수의 하부 윙돌기(13)가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하부 면취휠(10);
    중앙에는 제 2 관통공(21)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상부 면취팁(25)이 고정된 다수의 상부 윙돌기(23)가 상기 하부 윙돌기(13) 사이로 배열되게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상부 면취휠(20);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공(11, 21)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 면취휠(10)을 지지하며 중앙에는 제 1 회전축공(31)이 형성되는 제 1 체결부재(30);
    상기 상부 면취휠(20)의 제 2 관통공(21)을 통해 돌출되는 상기 제 1 체결부재(30)의 상단에 결합되며 중앙에는 상기 제 1 회전축공(31)에 연통되는 제 2 회전축공(41)이 형성되는 제 2 체결부재(40); 및
    상기 하부 및 상부 면취휠(10, 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 1 체결부재(30)에 관통결합되고 상기 하부 및 상부 면취팁(15, 25)의 마모정도에 따라 개수가 감소되면서 상기 하부 및 상부 면취휠(10, 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다수의 간격조절링(50)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간격조절링(50)은 상기 하부 및 상부 면취팁(15, 25)의 마모 진행에 따라 상기 하부 면취휠(10)과 제 1 체결부재(30) 사이 및 상기 상부 면취휠(20)과 제 2 체결부재(40) 사이로 1개씩 위치이동되어 상기 하부 및 상부 면취휠(10, 20) 사이에 개재되는 개수가 감소되면서 상기 하부 및 상부 면취휠(10, 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용 면취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윙돌기(13)는 상기 하부 면취휠(10)의 가장자리에 90도 각도간격으로 1개씩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상부 윙돌기(23)는 상기 상부 면취휠(20)의 가장자리에 90도 각도간격으로 1개씩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용 면취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면취팁(15)이 고정되는 상기 하부 윙돌기(13)의 반경방향 외측단부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후육부(13a)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면취팁(25)이 고정되는 상기 상부 윙돌기(23)의 반경방향 외측단부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후육부(13a) 사이에 위치됨에 따라 상기 하부 및 상부 면취휠(10, 20) 사이의 상대회전을 방지하는 제 2 후육부(23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용 면취툴.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간격조절링(50)은 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재용 면취툴.
KR1020170103847A 2017-08-16 2017-08-16 가구부재용 면취툴 KR101837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847A KR101837907B1 (ko) 2017-08-16 2017-08-16 가구부재용 면취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847A KR101837907B1 (ko) 2017-08-16 2017-08-16 가구부재용 면취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907B1 true KR101837907B1 (ko) 2018-03-13

Family

ID=61660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847A KR101837907B1 (ko) 2017-08-16 2017-08-16 가구부재용 면취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9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9546A (ja) * 2004-06-14 2005-12-22 Sankyo Diamond Industrial Co Ltd 側面円形加工用研削工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9546A (ja) * 2004-06-14 2005-12-22 Sankyo Diamond Industrial Co Ltd 側面円形加工用研削工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5469B2 (en) Adapter for mounting a tool on an oscillating drive
US2794303A (en) Power-driven hand tool
EP1688217B1 (en) Powertool with an eccentric stroke adjusting mechanism
JP6625245B2 (ja) 回転装置
US10414012B2 (en) Grinding pad apparatus
CN104985571B (zh) 工作头
CN207171837U (zh) 一种分体式砂轮
US4637173A (en) Rotating grinding or polishing disc
KR101837907B1 (ko) 가구부재용 면취툴
CA2845469C (en) Circular saw blade with multiple mounting hole patterns
US4815543A (en) Activated rock cutting assembly
WO2007011289A1 (en) Device for a grinding machine
GB2034229A (en) Precision strip-cutting machine
JP6768111B1 (ja) 回転工具
JP2013503753A (ja) インナフライス
JP3176325U (ja) 取付角度可変切断装置
ITMI20010756A1 (it) Dispositivo per la lavorazione dei dorsi di blocchi di libro o di opuscoli per l'applicazione di collante con una testa di utensile
KR101072989B1 (ko) 스핀들 분리형 공구홀더
TWM583338U (zh) 輕量化分條機刀套改良結構
JP2013000881A (ja) 本の中身の背を加工する装置
CN210678415U (zh) 基准孔对正装置
JP7076013B2 (ja) チップ保持部材、面取り機、および切削チップ
CN208305338U (zh) 陶瓷碗自动描线设备
CN214686384U (zh) 多功能头电动工具
KR200229678Y1 (ko) 결합용통공과 연삭날을 구비한 그라인드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