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459B1 - 동력전달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동력전달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459B1
KR101837459B1 KR1020170136873A KR20170136873A KR101837459B1 KR 101837459 B1 KR101837459 B1 KR 101837459B1 KR 1020170136873 A KR1020170136873 A KR 1020170136873A KR 20170136873 A KR20170136873 A KR 20170136873A KR 101837459 B1 KR101837459 B1 KR 101837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rse
gear
shaft
stag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피니트랜스알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피니트랜스알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피니트랜스알파
Priority to KR1020170136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459B1/ko
Priority to US15/794,020 priority patent/US10525827B2/en
Priority to EP17198492.5A priority patent/EP3473471A1/en
Priority to JP2017207070A priority patent/JP2019078368A/ja
Priority to CN201711020137.3A priority patent/CN109693537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43Transmission unit disposed in on near the vehicle wheel, or between the differential gear unit and the wheel
    • B60K17/046Transmission unit disposed in on near the vehicle wheel, or between the differential gear unit and the wheel with planetary gearing having orbital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1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differential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 B60K1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of mechanica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60K17/34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differential means for driving one set of wheels, e.g. the front, at one speed and the other set, e.g. the rear, at a different speed
    • B60K17/35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differential means for driving one set of wheels, e.g. the front, at one speed and the other set, e.g. the rear, at a different speed including 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power transfer, e.g. viscous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differential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2Clutches
    • B60W2710/021Clutch engagement state
    • B60W2710/024Clutch engagement state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2Clutches
    • B60W2710/028Clutch input shaft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10Change speed gearings
    • B60W2710/1038Output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8Controlling power parameters of the driveline, e.g. determining the required po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 F16H2200/0034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the gear ratios comprising two forward spe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82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reverse speeds
    • F16H2200/0086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reverse speeds the gear ratios comprising two reverse spe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전달 장치의 작동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1변속부가 동력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전달받아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베벨기어회전축을 형성하는 베벨기어부를 통해 출력하는 동력 출력 단계와, 상기 동력 출력 단계에 의하여 입력된 동력을 변속하여 좌,우 휠이 구비된 휠 구동부로 전달하는 동력 변속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 변속 단계는, 상기 좌,우 휠과 연결된 액슬샤프트로부터 이격되고 평행되게 구비된 후진입력구동 샤프트 및 상기 액슬샤프트와 상기 후진입력구동 샤프트에 평행되게 구비된 전진입력구동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샤프트 구동 과정과, 상기 후진입력구동 샤프트 및 상기 전진입력구동 샤프트에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된 후진 클러치부 및 전진 클러치부 중 어느 하나에 작동유를 공급하여 상기 후진입력구동 샤프트 또는 전진입력구동 샤프트와 고정시키는 클러치 고정 과정과, 상기 클러치 고정 과정에 의하여 고정된 후진 클러치부 및 전진 클러치부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변속된 동력을 상기 액슬샤프트로 전달하는 변속동력 출력 과정을 포함하여,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다단 변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동력전달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CONTROL METHOD FOR POWER TRAIN APPARATUS}
본 발명은 동력전달 장치의 작동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차량의 동력전달 장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 발생부와, 동력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동력의 토크 및 속도를 변환시키는 동력 변환부와, 동력 변환부에 의하여 변환된 출력 토크 및 속도의 구동력을 다수의 휠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동력 발생부는, 화석연료의 연소를 기반으로 하는 내연기관 엔진, 전기력의 공급을 기반으로 하는 모터 엔진, 내연기관 엔진과 모터 엔진을 혼합한 방식의 하이브리드 엔진 및 기타 다른 타입의 원동기들에 구비되어 있다.
동력 변환부는, 일반적으로 동력 발생부로부터 출력된 구동력을 토크 변환시켜 출력하는 토크 컨버터(Torque converter)와, 회전속도를 변환시키는 트랜스미션(Transmission)을 포함한다.
동력 전달부는, 동력 변환부에 의하여 변환된 출력 토크 및 출력 속도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차동기어(Differential gear)와, 차동기어에 의하여 분배된 구동력을 좌우 휠측으로 전달하는 액슬샤프트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술한 동력 발생부와 동력 변환부 사이에는, 동력을 단속하는 클러치 장치가 더 구비된다. 이론적으로, 클러치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동력 발생부와 동력 변환부 사이에 구비될 수 있고, 동력 변환부와 동력 전달부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동력 전달부와 최종적으로 구동력을 전달받는 좌우 휠측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다.
클러치 장치는, 구동력을 전달하고 전달받는 각 부품 사이에 배치되어 동력의 전달을 일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동력 발생부의 작동 정지 없이도 차량이 정지 및 주행을 무리 없이 반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클러치 장치는, 일반 상용 차량의 경우 동력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구동력 에너지의 소모가 가장 적도록 동력 발생부와 동력 변환부 사이의 동력을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그러나, 반드시 클러치 장치의 위치가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적용되는 차량의 종류 및 특징들에 따라 클러치 장치의 구비 위치가 변경되어야 할 필요성이 큰 경우도 많다. 즉, 일반적인 상용 차량과 중량이 크고 특수한 작업에 사용되는 중장비 차량은 요구 토크 특성 및 요구 주행 속도가 상이하다. 따라서, 각 차량의 특성에 따른 주행 효율 및 작업 효율이 현저히 달라질 것인 바, 상술한 동력 발생부, 동력 변환부 및 동력 전달부의 구조 설계 또한 각 차량의 특성에 맞게 변경하여 설계할 필요성이 크다.
이와 같은 각 차량의 특성에 따라 상술한 동력 발생부, 동력 변환부 및 동력 전달부의 설계 변경은 차종에 따라 상이하므로, 이로 인한 구조 설계가 다수의 제조사에 의해 이루어지는 추세이며, 통합 구조의 설계가 난망한 문제가 있다.
아울러, 동력 변환부로부터 출력된 구동력은, 좌우 휠측으로 분배되어 전달되어야 하는 바, 통상 좌측 액슬 샤프트 및 우측 액슬 샤프트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된 차동기어에 베벨 기어를 매개로 연결되어 전달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베벨 기어의 회전축(이하, '베벨기어회전축'이라 함)은 전후 방향으로 대략 수평되게 구비된 한편, 좌측 액슬 샤프트와 우측 액슬 샤프트는 대략 좌우로 수평되게 구비된다.
여기서, 베벨 기어는 차동 기어에 구비된 베벨링 기어의 중심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치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술한 액슬샤프트에 대한 베벨기어회전축의 설계가 매우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즉, 베벨기어회전축과 베벨링 기어의 치합은 통상 구동력을 방향을 대략 직각방향으로 전환시켜 전달하는 구성인 점에서 일반적인 평기어의 치합은 불안정하고 스파이럴 기어 치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베벨기어회전축과 베벨링 기어의 회전축은 통상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되도록 설계되어야 하고, 베벨기어회전축과 베벨링 기어의 회전축 사이에 소정의 상하 높이차가 발생되도록 설계될 경우 베벨 기어와 베벨링 기어에 형성된 치형의 경사도가 커져야 하는 문제점으로 이어진다. 즉, 베벨 기어와 베벨링 기어에 형성된 치형의 경사도를 증가시키는 것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물론, 베벨 기어는 유니버셜 조인트 결합체로 이루어진 프로펠러샤프트(Propeller shaft)의 선단에 구비되는 한도에서는 액슬샤프트에 대한 베벨 기어의 상하 높이차 설계는 어느 정도의 여유 공차를 가지나, 어디까지나 프로펠러샤프트의 본연의 기능은 현가 장치에 의한 차체의 상하 높이차를 흡수하는 것에 있는 바, 그 기능을 넘어서는 설계 자유도는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최근에는 상술한 일반적인 차량의 동력전달 장치가 지게차와 같은 중장비 차량에도 그대로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례로, 본 발명의 출원인이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하여 등록한 등록특허 제10-0425277호가 대표적이다.
상기 등록특허는, 지게차와 같은 중장비 차량에 일반적인 차량의 동력전달 장치를 그대로 적용할 경우 발생되는 엔진의 소음 및 진동에 따른 문제점 및 중장비 차량의 회전반경의 최소화를 위해 안출되어 등록된 것으로서, 액슬샤프트의 액슬 허브 내에 트랜스미션 및 클러치 시스템(장치)을 통합 설치하여 제동 성능을 향상시키고 콤팩트하게 함으로써 엔진 마운팅과 액슬마운팅 설계를 자유롭게 하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였다.
그러나, 차동 기어가 구비된 좌측 액슬 샤프트 및 우측 액슬 샤프트에 트랜스미션 및 클러치 시스템이 통합 설치될 경우 하중이 집중되는 바, 각 구성을 보호하는 하우징이 견고하게 제조되어야 하는 한편, 기어간 치합이 정교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점에서 제조 비용을 크게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베벨 기어가 차동 기어에 구비된 베벨링 기어에 직접 치합되게 구비됨으로써 프로펠러샤프트를 포함하는 전체적인 동력전달 구성의 전후 길이가 길어져 구조 설계의 자유도를 제한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최근에는 동력 발생부로서, 전기력을 이용한 모터 엔진의 개발이 활발한 추세인 바, 기존의 내연기관 엔진으로부터 탈피하여 다양한 동력 발생부가 적용될 수 있는 통합적인 트랜스미션 구조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첫째, 동력 전달 구성의 전체적인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동력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둘째, 액슬샤프트의 편중된 하중이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소형화 설계가 가능한 동력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하며,
셋째, 중장비 차량에 적용된 경우에도, 2단 또는 4단 이상의 다단 변속이 가능한 동력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하고,
넷째, 출력 토크를 증대시키는 토크 컨버터를 일부 삭제할 수 있는 동력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하며,
다섯째, 동력 발생부를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모터 엔진으로 대체 가능한 동력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하고,
여섯째, 제품의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동력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의 작동 제어방법의 실시예는, 제1변속부가 동력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전달받아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베벨기어회전축을 형성하는 베벨기어부를 통해 출력하는 동력 출력 단계와, 상기 동력 출력 단계에 의하여 입력된 동력을 변속하여 좌,우 휠이 구비된 휠 구동부로 전달하는 동력 변속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 변속 단계는, 상기 좌,우 휠과 연결된 액슬샤프트로부터 이격되고 평행되게 구비된 후진입력구동 샤프트 및 상기 액슬샤프트와 상기 후진입력구동 샤프트에 평행되게 구비된 전진입력구동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샤프트 구동 과정과, 상기 후진입력구동 샤프트 및 상기 전진입력구동 샤프트에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된 후진 클러치부 및 전진 클러치부 중 어느 하나에 작동유를 공급하여 상기 후진입력구동 샤프트 또는 전진입력구동 샤프트와 고정시키는 클러치 고정 과정과, 상기 클러치 고정 과정에 의하여 고정된 후진 클러치부 및 전진 클러치부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변속된 동력을 상기 액슬샤프트로 전달하는 변속동력 출력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 구동 과정은, 상기 액슬샤프트와 동축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액슬샤프트로부터 이격되되, 상기 후진입력구동 샤프트 및 상기 전진입력구동 샤프트와 평행되게 구비되고 상기 후진입력구동 샤프트 및 상기 전진입력구동 샤프트와 동시에 치합되게 연결된 아이들러부를 이용하여 상기 후진입력구동 샤프트 및 전진입력구동 샤프트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과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 고정 과정은, 상기 후진 클러치부 중 후진1단 구동기어가 구비된 1단후진 클러치부에 작동유가 공급되어 상기 후진입력구동 샤프트와 상기 1단후진 클러치부를 고정시키는 후진1단 변속 구동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 고정 과정은, 상기 후진 클러치부 중 후진2단 구동기어가 구비된 2단후진 클러치부에 작동유가 공급되어 상기 후진입력구동 샤프트와 상기 2단후진 클러치부를 고정시키는 후진2단 변속 구동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 고정 과정은, 상기 전진 클러치부 중 전진1단 구동기어가 구비된 1단전진 클러치부에 작동유가 공급되어 상기 전진입력구동 샤프트와 상기 1단전진 클러치부를 고정시키는 전진1단 변속 구동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 고정 과정은, 상기 전진 클러치부 중 전진2단 구동기어가 구비된 2단전진 클러치부에 작동유가 공급되어 상기 전진입력구동 샤프트와 상기 2단전진 클러치부를 고정시키는 전진2단 변속 구동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속동력 출력 과정은, 상기 후진 클러치부 및 상기 전진 클러치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휠 중 좌측 휠과 연결된 좌측 액슬 샤프트 및 상기 휠 중 우측 휠과 연결된 우측 액슬 샤프트 사이에 구비된 차동기어부의 제1전달기어 및 제2전달기어 중 어느 하나와 치합되는 과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속동력 출력 과정은, 상기 후진 클러치부의 1단후진 클러치부가 상기 후진입력구동 샤프트와 고정되어 상기 1단후진 클러치부에 구비된 후진1단 구동기어가 상기 차동기어부의 제1전달기어 및 제2전달기어 중 어느 하나와 치합되는 후진1단 출력 구동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속동력 출력 과정은, 상기 후진 클러치부의 2단후진 클러치부가 상기 후진입력구동 샤프트와 고정되어 상기 2단후진 클러치부에 구비된 후진2단 구동기어가 상기 차동기어부의 제1전달기어 및 제2전달기어 중 어느 하나와 치합되는 후진2단 출력 구동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속동력 출력 과정은, 상기 전진 클러치부의 1단전진 클러치부가 상기 전진입력구동 샤프트와 고정되어 상기 1단전진 클러치부에 구비된 전진1단 구동기어가 상기 차동기어부의 제1전달기어 및 제2전달기어 중 어느 하나와 치합되는 전진1단 출력 구동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속동력 출력 과정은, 상기 전진 클러치부의 2단전진 클러치부가 상기 전진입력구동 샤프트와 고정되어 상기 2단전진 클러치부에 구비된 전진2단 구동기어가 상기 차동기어부의 제1전달기어 및 제2전달기어 중 어느 하나와 치합되는 전진2단 출력 구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째, 액슬샤프트를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베벨기어부의 베벨 기어와 연결되는 연결 부위를 자유롭게 정할 수 있으므로 설계 자유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액슬샤프트를 기준으로 변속 기능을 담당하던 구성들 일부를 별도의 축 상으로 분리 설치함으로써 전체적인 소형화 설계가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셋째, 종래 변속을 위한 복잡한 구성이 구비된 액슬샤프트로부터 변속 기능을 담당하는 구성들 일부를 외부로 분리시킴으로써 정교한 기어 제조가 불필요한 바, 전체적인 제품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넷째, 고토크의 출력을 요하는 중장비 차량에의 적용이 용이함은 물론, 다단 변속이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시예의 구성 중 제2변속부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D-D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8은 제2변속부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작용 효과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9a 내지 도 9c는 제2변속부의 일예에 따른 중립, 전진 및 후진 시의 동력전달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시예에서 제1변속부의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시예에서 제2변속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시예에서 제2변속부의 다른 예에 의한 1단 전진, 2단 전진, 1단 후진 및 2단 후진 시의 동력전달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작동 제어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의 실시예는, 차량에 적용된다. 여기서의 차량은, 일반적인 승용 차량은 물론, 트럭, 밴, 스포츠-유틸리티 차량, 중장비 차량 등 엔진 등과 같은 구동원(동력 발생부(1))으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토대로 주행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운송수단을 포함한다.
아울러, 도면에는 후륜 구동 동력전달 장치를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전륜 구동 동력전달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동력전달 장치에 의하여 전달하는 구동력의 원천이 되는 구동원(동력 발생부(1))은, 종래의 내연기관, 모터 엔진(M), 하이브리드 엔진 또는 기타 다른 타입의 원동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시예는, 동력 발생부(1)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전달받아 토크 컨버터(3)를 이용하여 토크 변환시킨 후 프로펠러샤프트(7)의 선단에 구비된 베벨기어부(도면부호 미표기)를 통해 좌측 휠(LW)부 및 우측 휠(RW)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계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력 발생부(1)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으로 정의되고, 동력 변환부는 발생된 동력에 의한 회전 속도 또는 출력 토크를 변환시키는 구성을 통칭하는 것이나,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동력 발생부(1)와 프로펠러샤프트(7) 사이에 구비된 구성 전체를 '제1변속부(Ⅰ)'라 정의하고, 프로펠러샤프트(7)와 후술하는 휠 구동부(Ⅲ) 사이에 구비된 구성 전체를 '제2변속부(Ⅱ)'라 정의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1변속부(Ⅰ)는 미도시 되었으나 변속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차체에 장착되고, 제2변속(Ⅱ) 및 휠 구동부(Ⅲ)는 상술한 변속 하우징과 구분되는 액슬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차체에 일체로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시예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구비된 베벨기어회전축을 형성하는 베벨기어부와 연결되어 제1변속부(Ⅰ)의 구동력이 입력되고, 입력된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전진 구동 출력 및 후진 구동 출력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여 출력하거나 입력된 구동력을 다단 변속시켜 출력하는 액슬 입력부(100)와, 액슬 입력부(100)로부터 출력된 구동력을 전달받아 좌측 휠(LW) 및 우측 휠(RW)과 연결된 휠 구동부(Ⅲ)로 출력하는 액슬 출력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슬 입력부(10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뒤에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액슬 출력부(200)는, 액슬 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된 전진 구동력 및 후진 구동력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단 변속된 구동력 중 어느 하나를 전달받아 차동기어부(210)를 통해 휠 구동부(Ⅲ)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액슬 출력부(200)는, 차동기어부(210)와, 차동기어부(210)를 중심으로 좌측 휠(LW) 및 우측 휠(RW)로 연장된 좌측 액슬 샤프트(221) 및 우측 액슬 샤프트(222)와, 브레이크 수단(230)을 포함할 수 있다.
차동기어부(210)는, 좌측차동기어 케이스(211)와, 우측차동기어 케이스(212)가 결합되어 형성된 차동기어케이스부(211,212)와, 차동기어케이스부(211,212)에 결합된 피니언샤프트(213)를 회전축으로 하는 차동피니언기어(218)와, 차동피니언기어(218)에 치합되어 최종적으로 액슬샤프트(220)에 연결되는 차동사이드기어(214,215)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차동기어 케이스(211)의 외주면과 우측차동기어 케이스(212)의 외주면에는 각각 좌측 차동전달기어(217) 및 우측 차동전달기어(216)가 평기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차동기어케이스부(211,212)의 내측을 형성하는 좌측차동기어 케이스(211)의 내주면은 차동기어케이스부(211,212)의 내측으로 삽설된 좌측 액슬 샤프트(221)의 선단부에 스플라인 기어 결합되어 있는 좌측 차동사이드기어(214)의 외측면과 치합된다.
아울러, 차동기어케이스부(211,212)의 내측을 형성하는 우측차동기어 케이스(212)의 내주면은 차동기어케이스부(211,212)의 내측으로 삽설된 우측 액슬 샤프트(222)의 선단부에 스플라인 기어 결합되어 있는 우측 차동사이드기어(215)의 외측면과 치합된다.
상술한 차동피니언기어(218)의 피니언샤프트(213)는 좌측 액슬 샤프트(221) 및 우측 액슬 샤프트(222)와는 직교되게 배치되고, 양단에 구비된 차동피니언기어(218)가 각각 좌측 차동사이드기어(214) 및 우측 차동사이드기어(215)의 내측면과 치합된다.
차동기어부(210)에 의하여 출력된 동력은 좌,우 휠(LW,RW)에 형성된 휠 구동부(Ⅲ)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휠 구동부(Ⅲ)는, 좌측 휠(LW)과 연결되게 구비된 좌측 휠 구동부(Ⅲ)와, 우측 휠(RW)과 연결되게 구비된 우측 휠 구동부(Ⅲ)를 포함할 수 있다. 차동기어부(210)로부터 전달된 동력에 의하여 좌측 휠 구동부(Ⅲ) 및 우측 휠 구동부(Ⅲ)를 회전시키는 방식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별도로 '좌측' 및 '우측' 이라는 용어로 구분하지 않고 '휠 구동부(Ⅲ)'의 각 구성 명칭만을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휠 구동부(Ⅲ)는, 브레이크 수단(230)이 구비될 수 있다. 브레이크 수단(230)은,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건식브레이크 수단 및 습식브레이크 수단 중 어느 하나가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습식브레이크 수단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습식브레이크 수단(230)은,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차동기어부(210)와 좌측 액슬 샤프트(221)의 선단 또는 차동기어부(210)와 우측 액슬 샤프트(222)의 선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습식브레이크 수단(230)은, 미도시 되었으나, 액슬샤프트(220)를 제동하는 브레이크피스톤 및 이에 의하여 상호 마찰되도록 구비된 브레이크디스크(232)와 패드(231)로 구비될 수 있다. 브레이크디스크(232)와 패드(231)가 압착하게 되면, 액슬샤프트(220) 및 이에 일체로 형성된 후술하는 감속기어부(300)의 선기어(311)가 제동될 수 있다.
좌측 액슬 샤프트(221)와 우측 액슬 샤프트(222)의 선단부에는 감속기어부(300)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시예에서, 감속기어부(300)는, 이중 유성기어 세트(Double Planetary)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이중 유성기어 세트는, 액슬샤프트(220)에 근접되게 배치된 제1유성기어(312)세트(310)와, 좌측 휠(LW) 및 우측 휠(RW)에 근접되게 배치된 제2유성기어(322)세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성기어(312)세트(310)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액슬샤프트(220)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제1선기어(311)와, 제1선기어(311)와 치합되고, 제1선기어(311)의 회전 동작에 따라 자전 및 공전하는 복수의 제1유성기어(312)와, 액슬 하우징(도면부호 미표기) 내에 고정되되 복수의 제1유성기어(312)를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복수의 제1유성기어(312)와 동시에 내주면 치합되는 제1링기어(313) 및 복수의 제1유성기어(312)의 각 회전 중심과 연결되어 복수의 제1유성기어(312)의 공전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캐리어(3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유성기어(322)세트(320)는, 제1캐리어(314)의 회전축과 동축으로 일체 연결된 제2선기어(321)와, 제2선기어(321)와 치합되고, 제2선기어(321)의 회전 동작에 따라 자전 및 공전하는 복수의 제2유성기어(322)와, 액슬 하우징 내에 고정되되 복수의 제2유성기어(322)를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복수의 제2유성기어(322)와 동시에 내주면 치합되는 제2링기어(323) 및 복수의 제2유성기어(322)의 각 회전 중심과 연결되어 복수의 제2유성기어(322)의 공전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캐리어(3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캐리어(324)는, 좌측 휠(LW) 및 우측 휠(RW)에 연결되어 최종적으로 좌측 휠(LW) 및 우측 휠(RW)에 감속된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시예는, 좌,우 액슬샤프트(220)의 선단과 좌,우 휠 사이에 이중 유성기어세트로 이루어진 감속기어부(300)를 구비함으로써, 차동기어부(210)와 좌측 액슬 샤프트(221) 및 우측 액슬 샤프트(222)에 연결되는 액슬 출력부(200)의 전체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상용 차량에 비하여 전후길이(전장) 및 좌우 폭이 짧은 지게차와 같은 중장비 차량의 경우에는 동력 발생부(1), 동력 변환부 및 동력 전달부 대부분의 구성이 운전석 아래인 차체의 가운데 부분에 집중될 수 밖에 없는 설계상의 난점이 있었다. 또한, 이로 인해 기존의 중장비 차량의 트랜스미션 조립체의 경우 좌,우 액슬샤프트(220)로 이루어진 액슬샤프트(220) 1축에 다수의 구성이 결합되어 있어 전체 체적이 증가되는 문제점으로 이어졌다. 이와 같은 체적의 증가는 트랜스미션 조립체의 외관을 형성하면서 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트랜스미션 하우징의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동력 변환부 및 동력 전달부를 이루는 개별 구성들은 수많은 기어의 조합체로 이루어지는 바, 정교한 기어의 제조를 위한 제조 비용의 증가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전달된 구동력을 감속시키면서 출력 토크를 증가시키는 감속기어부(300)를 종래 대비 액슬샤프트(220)의 중심 부위로부터 외측단으로 이동되게 위치 설계하되, 고토크의 출력 효과를 달성하도록 이중 유성기어 세트(Double Planetary)로 채용한 바, 실제로 액슬샤프트(220)에 하중이 편중될 수 있는 액슬 출력부(200)로부터 액슬 입력부(100)를 분리되도록 배치시켜, 액슬 출력부(200)의 전체 하중의 분산은 물론, 나아가 기존의 토크 컨버터(3)의 삭제 설계도 가능한 이점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감속기어부(300)의 위치 설계 및 구조 설계의 변경을 통해 구현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시예의 구성 중 제2변속부(Ⅱ)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D-D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8은 제2변속부(Ⅱ)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의 작용 효과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9a 내지 도 9c는 제2변속부(Ⅱ)의 일예에 따른 중립, 전진 및 후진 시의 동력전달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시예의 구성 중 제2변속부(Ⅱ)의 일예는, 도 2 내지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프로펠러샤프트(7)의 선단에 구비된 베벨기어부의 베벨 기어(9)를 매개로 제1변속부(Ⅰ)의 구동력이 입력된다.
베벨기어부와 액슬 입력부(100)는 베벨 기어(9)에 의하여 직각으로 연결된 직립 동력 연결방식을 취하되, 액슬 입력부(100)와 액슬 출력부(200)는 그 사이에 배치된 후술하는 아이들러부(131)와 함께 상호 평행되고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2변속부(Ⅱ)의 일예는, 도 2 내지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액슬 입력부(100)와 액슬 출력부(200) 사이에 구비되고, 액슬 입력부(100)에 의하여 입력된 동력이 전진 구동 출력 또는 후진 구동 출력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만 회전되고, 다른 구동 출력일 경우에는 회전되지 않도록 구비된 아이들러부(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변속부(Ⅰ)에는, 제2변속부(Ⅱ)의 액슬 입력부(100)에 회전 동력을 입력하기에 앞서 토크 변환시키는 토크 컨버터(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크 컨버터(3)는 토크 컨버터(3) 클러치를 구비하여 동력 발생부(1)의 출력축(도면부호 미표기)과 제1변속부(Ⅰ)의 입력축(도면부호 미표기)을 단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토크 컨버터(3)에 의해 출력된 구동 토크는, 선단에 베벨 기어(9)가 구비된 프로펠러샤프트(7)를 통하여 제2변속부(Ⅱ)의 액슬 입력부(100)로 전달된다. 프로펠러샤프트(7)는 일단과 타단 사이에 유니버셜 조인트 결합되어 회전되는 구성체로서, 미도시의 현가장치에 의한 차체의 높낮이 변화를 흡수하는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함은 주지된 바와 같다.
액슬 입력부(100)는, 액슬 출력부(200)의 액슬샤프트(220)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베벨기어부로부터 후술하는 입력구동 샤프트(110)가 동력을 입력받아 액슬 출력부(2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액슬 입력부(100)는, 베벨 기어(9)의 회전 중심인 베벨기어회전축과 직교되게 배치된 입력구동 샤프트(110)(Input driving shaft)와, 입력구동 샤프트(110)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베벨링 기어(101)와, 입력구동 샤프트(110)의 외주에 배치되어 유압의 공급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진 구동 및 후진 구동력으로 전환하는 전후진 클러치부(121,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구동 샤프트(110)의 외주면에는 전후진 클러치부(121,126)를 사이에 둔 일측 및 타측에 구비되어 전후진 클러치부(121,126)의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입력구동 샤프트(110)와 일체 회전되는 전진구동기어(129) 및 후진구동기어(124)가 구비된다.
전후진 클러치부(121,126)는, 전진구동기어(129) 측에 배치되어 유압의 공급에 따라 입력구동 샤프트(110)와 전진구동기어(129)를 고정시키는 전진클러치부(126)와, 후진구동기어(124) 측에 배치되어 작동유의 공급에 따라 입력구동 샤프트(110)와 후진구동기어(124)를 고정시키는 후진클러치부(121)를 포함한다.
즉, 작동유가 유로에 의하여 전진클러치부(126)로 공급되면 전진클러치부(126)의 마찰구성들(후술하는 마찰플레이트 및 마찰디스크)이 상호 압착에 의하여 입력구동 샤프트(110)와 전진구동기어(129)를 고정시킴으로써 입력구동 샤프트(110)의 회전시 전진구동기어(129)가 회전되도록 함과 아울러, 후진구동기어(124)는 회전되지 않는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반대로, 유압이 유로에 의하여 후진클러치부(121)로 공급되면 후진클러치부(121)의 마찰구성들(후술하는 마찰플레이트 및 마찰디스크)이 상호 압착에 의하여 입력구동 샤프트(110)와 후진구동기어(124)를 고정시킴으로써 입력구동 샤프트(110)의 회전시 후진구동기어(124)가 회전되도록 함과 아울러, 전진구동기어(129)는 정지상태로써 후진 구동력만을 출력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진클러치부(126)는, 미도시 되었으나, 내부 일측에 실린더가 구비된 중공형 전진클러치드럼과, 스프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실린더에 설치되고 작동유가 공급되면 유압에 의해 입력구동 샤프트(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환형 전진피스톤과, 전진클러치드럼의 내부 타측 내주면에 이격되게 하나 이상 결합된 환형 마찰플레이트(122)와, 입력구동 샤프트(110)에 일체결합되며 전진클러치드럼 내부로 연장형성된 전진커플링과, 전진커플링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 결합되어 마찰플레이트(122)와 양측면이 일정 간격으로 상호 교번되게 배치된 환형 마찰디스크(123)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후진클러치부(121)는, 미도시 되었으나, 내부 일측에 실린더가 구비된 중공형 후진클러치드럼과, 스프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실린더에 설치되고 작동유가 공급되면 유압에 의해 입력구동 샤프트(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환형 후진피스톤과, 후진클러치드럼의 내부 타측 내주면에 이격되게 하나 이상 결합된 환형 마찰플레이트(127)와, 입력구동 샤프트(110)에 일체결합되며 후진클러치드럼 내부로 연장형성된 후진커플링과, 후진커플링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 결합되어 마찰플레이트(127)와 양측면이 일정 간격으로 상호 교번되게 배치된 환형 마찰디스크(128)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시예에서는, 작동유가 공급되면 마찰 플레이트(122,127) 및 마찰디스크(123,128)가 상호 압착되도록 구성된 포지티브 시스템(Positive system)으로 구비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마찰플레이트(122,127)와 마찰디스크(123,128)가 상시 압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동유가 공급되면 상호 분리되면서 입력구동 샤프트(110)와 고정되게 구비되는 네거티브 시스템(Negative system)의 구체적인 적용도 가능하다.
이처럼, 전진클러치부(126) 및 후진클러치부(121)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하여 액슬 입력부(100)로부터 출력되는 회전 동력은 전진 동력과 후진 동력으로 구분되어 액슬 출력부(200)로 전달하거나, 액슬 입력부(100)에서 동력이 단속됨으로써 액슬 출력부(200)로 출력되지 않는 중립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이들러부(131)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입력구동 샤프트(110)와 액슬샤프트(220)의 사이에 배치되되, 입력구동 샤프트(110)와 액슬샤프트(220)에 평행되게 배치된 아이들러 샤프트(130)를 가진 아이들 기어(132)를 포함한다.
아이들 기어(132)는,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일측 외주면은 전진구동기어(129) 또는 후진구동기어(124) 중 어느 하나에 치합되도록 배치되고 타측 외주면은 후술하는 우측차동기어 케이스(212) 및 좌측차동기어 케이스(211)에 각각 구비된 좌측 차동전달기어(217) 및 우측 차동전달기어(216) 중 어느 하나에 치합되게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시예에서, 아이들러부(131)는, 아이들 기어(132)가 일측은 전진구동기어(129)와 치합되고 타측은 좌측차동기어 케이스(211)의 좌측 차동전달기어(217)와 치합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아이들 기어(132)가 일측은 후진구동기어(124)와 치합되고 타측은 우측차동기어 케이스(212)의 우측 차동전달기어(216)와 치합될 수 있다. 이 때에는, 제1변속부(Ⅰ)로부터 입력된 회전 동력의 회전 방향이 반대인 경우이다.
아이들 기어(132)는, 전진구동기어(129) 및 후진구동기어(124) 중 전진구동기어(129)와만 치합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액슬 출력부(200)가 입력받는 출력 구동은 액슬 입력부(100)-아이들러부(131)-액슬 출력부(200)를 통하여 전달되는 전진 구동 출력 및 액슬 입력부(100)-액슬 출력부(200)를 통하여 전달되는 후진 구동 출력으로 구분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액슬 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된 전진 구동 출력 또는 후진 구동 출력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아이들러부(131)의 아이들 기어(132)를 선택적으로 매개하여 차동기어부(210)로 전달되고, 차동기어부(210)는 양측의 좌측 액슬 샤프트(221) 및 우측 액슬 샤프트(222)를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출력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시예에서, 제2변속부(Ⅱ)의 일예는, 도 2 내지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액슬샤프트(220)에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전후진 클러치부(121,126)를 액슬샤프트(220)로부터 이격된 외부로 배치함으로써 차동기어부(210)를 포함하는 액슬샤프트(220)의 전체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즉, 액슬 입력부(100)는,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베벨기어부의 베벨기어회전축과 입력구동 샤프트(110)의 축 중심이 형성하는 연결각도가 고정된 상태로, 액슬샤프트(220)의 원주방향의 기결정된 위치에 고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액슬 입력부(100)는, 입력구동 샤프트(110)의 축 중심을 지나는 임의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액슬 입력부(100)가 구비된 측의 반원 범위 내의 기결정된 위치에 고정 가능하다.
이는, 액슬 입력부(100)가, 좌측 차동전달기어(217) 및 우측 차동전달기어(216)의 축 중심을 지나는 임의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액슬 입력부(100)가 구비된 측의 반원 범위 내의 기결정된 위치에 고정 가능한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
또한, 액슬 입력부(100)는, 아이들러부가 일측은 전진클러치부(126)의 전진구동기어(129)와 연결되고 타측은 좌측 차동전달기어(217) 및 우측 차동전달기어(216)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상태에서, 후진클러치부(121)의 후진구동기어(124)가 좌측 차동전달기어(217) 및 우측 차동전달기어(216) 중 나머지 하나의 축 중심을 지나는 임의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액슬 입력부(100)가 구비된 측의 반원 범위 내의 기결정된 위치에 치합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아이들러부의 아이들 기어는, 일측이 전진구동기어(129)와 치합된 상태로서, 타측은 좌측 차동전달기어(217)와 치합될 수 있다.
즉, 도 8의 (a) 내지 (d)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액슬 입력부(100)와 액슬샤프트(220) 사이에 아이들러부(131)의 아이들러 샤프트(130)라는 매개 축을 추가 설치함으로써 액슬샤프트(220)의 회전 중심에 대한 베벨기어부의 회전축과의 상하 높낮이 설계를 액슬샤프트(220) 축의 외주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즉, 종래에는, 베벨 기어(9)의 동력 전달 특수성에 기인하여 베벨기어부의 회전축과 베벨링 기어(101)의 회전축(즉, 액슬샤프트(220)의 중심축)에 대한 설계 자유도가 매우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제2변속부(Ⅱ)의 일예에 따르면, 베벨 기어(9)가 치합되는 베벨링 기어(101)를 액슬샤프트(220)로부터 분리된 액슬 입력부(100)의 입력구동 샤프트(110)에 구비함으로써 베벨 기어(9)와 베벨링 기어(101)를 기어 치합 효율이 가장 좋은 위치에 고정 설계하고, 상술한 기어 치합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는 한도에서 베벨기어부와 액슬 입력부(100)를 동시에 액슬 출력부(200)의 외주 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위치 설계가 가능하다.
따라서, 미도시의 액슬 하우징을 슬림하게 설계 가능함은 물론, 액슬 하우징의 외관 형상의 설계 자유도를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의 소형화 설계가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시예에서, 제2변속부(Ⅱ)의 일예에 따른 중립, 전진 및 후진 시의 변속 과정을 도 9a 및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립 구동 모습을 살펴본다.
중립 구동은, 도 9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작동유가 전후진 클러치부(121,126) 중 어디에도 공급되지 않는 상태이다. 따라서, 동력 발생부(1) 또는 동력 변환부에서 베벨기어부의 베벨 기어(9)를 통해 입력 구동 샤프트로 회전 동력이 입력되더라도, 전후진 클러치부(121,126)에 유압이 공급되지 않는 바, 전진클러치부(126) 및 후진클러치부(121)는 모두 작동되지 않는다. 이 경우, 전진구동기어(129)와 후진구동기어(124) 또한 회전되지 않게 되므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 중립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전진 구동 모습을 살펴본다.
도 9b를 참조하여, 전후진 클러치부(121,126)에 의하여 전진 구동이 이루어지는 동력 전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구동원에서 베벨기어부의 베벨 기어(9)를 통해 전후진 클러치부(121,126)로 입력된 회전동력은, 작동유의 공급에 따라 전진 클러치부(126)와 입력구동 샤프트(110)가 고정되어 전진구동기어(129)가 회전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아이들러부(131)의 아이들 기어(132)가 전진구동기어(129)와 치합되어 회전되면서 좌측 차동전달기어(217_를 회전시키고, 좌측 차동전달기어(217)의 회전에 의하여 좌측 액슬 샤프트(221) 및 우측 액슬 샤프트(222)가 전진 구동될 수 있다.
액슬샤프트(220)가 전진 구동 출력되면, 이중 유성기어 세트(Double planetary)로 이루어진 감속기어부(300)에 의하여 감속된 후 좌측 휠(LW) 및 우측 휠(RW)을 최종 전진 구동시킨다.
반대로, 후진 구동 모습을 살펴본다.
도 9c를 참조하여, 전후진 클러치부(121,126)에 의하여 후진 구동이 이루어지는 동력 전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구동원에서 베벨기어부의 베벨 기어(9)를 통해 전후진 클러치부(121,126)로 입력된 회전동력은, 작동유의 공급에 따라 후진 클러치부(121)와 입력구동 샤프트(110)가 고정되어 후진구동기어(124)를 회전 출력될 수 있다. 이때, 후진구동기어(124)가 우측 차동전달기어(216)와 직접 치합되어 우측 차동전달기어(216)를 회전시킬 수 있고, 우측 차동전달기어(216)의 회전에 의하여 우측 액슬 샤프트(222) 및 좌측 액슬 샤프트(221)가 후진 구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액슬샤프트(220)가 후진 구동 출력되면, 이중 유성기어 세트로 이루어진 감속기어부(300)에 의하여 감속된 후 좌측 휠(LW) 및 우측 휠(RW)을 최종 후진 구동시킨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시리예에서, 제2변속부(Ⅱ)의 일예는, 차동기어부(210) 또는 액슬샤프트(220)의 축상에서 분리한 후 평행된 입력구동 샤프트(110)가 구비되도록 전후진 클러치부(121,126)를 포함하는 액슬 입력부(100)를 마련함으로써 제품의 설계 자유도를 증진시키는 이점을 가진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시예의 구성 중 제1변속부(Ⅰ)의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상술한 제2변속부(Ⅱ)에 따르면, 도 10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변속부(Ⅰ)에 구비된 토크 컨버터(3)의 출력단(특히, 후술하는 도 14 내지 도 15e의 출력 샤프트(8))과 프로펠러샤프트(7)를 1축 선상에 직결시킬 수 있는 새로운 이점을 창출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경우, 토크 컨버터(3)의 출력단과 프로펠러샤프트(7)를 직결시키기 위해서는, 엔진의 출력축, 프로펠러샤프트(7)의 회전축 및 차동기어가 1축 선상에 위치되도록 설계되어야 하는 설계상의 제한이 있었다. 따라서, 설계상의 난점 또는 구조 설계상의 제한으로 인하여, 엔진의 출력축, 프로펠러샤프트(7)의 회전축 및 차동기어부(200)가 1축 선상에 위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토크 컨버터(3)의 출력축에 구비된 전달 기어와 치합되어, 구동 출력 전달을 매개하는 보상 기어부(5)가 반드시 구비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제2변속부(Ⅱ)의 일예에 따르면, 액슬샤프트(220)로부터 분리된 별도의 입력구동 샤프트(110)의 구비로 인하여, 프로펠러샤프트(7)의 입력단에 해당하는 베벨 기어(9)가 직접 차동기어부(210)에 연결되지 않고서도 입력구동 샤프트(110)에 일체로 형성된 베벨링 기어(101)의 형성 위치를 적절히 변경 설계함으로써 토크 컨버터(3)의 출력단(또는 출력 샤프트(8))이 프로펠러샤프트(7)와 1축 선상으로 직결되도록 설계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즉, 베벨링 기어(101)의 입력구동 샤프트(110)에 대한 구비 위치는, 제1변속부(Ⅰ)가 보상 기어부(5)를 더 포함하는 경우와 토크 컨버터(3)의 출력단이 프로펠러샤프트(7)와 1축 선상에 직결되게 구비될 때에는, 그렇지 않은 때와는 상이하게 설계 가능하다. 이는 후술하는 제2변속부(Ⅱ)의 또 다른 예에서, 베벨링 기어(501)의 다단구동 샤프트(511)에 대한 구비 위치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시예에서, 제2변속부(Ⅱ)의 일예는, 중립 구동과 전진 1단 및 후진 1단의 변속 실시예만으로 한정 구동되는 제한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는, 중립 구동과 최소 전진 2단 및 후진 2단의 변속이 가능한 제2변속부(Ⅱ)의 다른 예를 제안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시예에서 제2변속부(Ⅱ)의 다른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시예에서, 제2변속부(Ⅱ)의 다른 예는, 도 11에 참조된 바와 같이, 베벨기어부의 베벨 기어(9)와 연결되어, 제1변속부(Ⅰ)의 구동력이 입력되고, 입력된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전진 1,2단 및 후진 1,2단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액슬 입력부(400)와, 액슬 입력부(400)로부터 출력된 구동력을 전달받아 좌측 휠(LW) 및 우측 휠(RW)과 연결된 휠 구동부(Ⅲ)로 출력하는 액슬 출력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액슬 입력부(400)는, 도 11에 참조된 바와 같이, 베벨기어부의 베벨 기어(9)의 출력 구동을 입력받아 후진 1단 및 후진 2단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후진구동 입력부(421,426)와, 베벨기어부의 베벨 기어(9)의 출력 구동을 입력받아 전진 1단 및 전진 2단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전진구동 입력부(431,4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시예에서, 제2변속부(Ⅱ)의 일예는, 도 1 내지 도 9c에 참조된 바와 같이, 베벨기어부의 베벨 기어(9)를 통하여 입력된 동력을 전후진 클러치부(121,126) 및 아이들러부(131)를 이용하여 전진 또는 후진 구동 출력으로 구분하여 출력한 후 액슬 출력부(200)로 전달하되, 회전 속도의 변경이 없이 일정 속도로 출력되는 것에 한정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시예에서, 제2변속부(Ⅱ)의 다른 예는, 도 1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액슬 입력부(400)로 입력된 회전 구동이 후진구동 입력부(421,426)에 의하여 후진 1단 및 후진 2단 중 어느 하나로 출력됨은 물론, 전진구동 입력부(431,436)에 의하여 전진 1단 및 전진 2단 중 어느 하나로 출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후진구동 입력부(421,426)는, 액슬샤프트(220)를 기준으로 베벨기어부의 출력 구동을 입력받는 측에 상술한 입력구동 샤프트(11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배치된 후진입력구동 샤프트(411)와, 후진입력구동 샤프트(411)에 배치된 후진다단 클러치팩을 포함할 수 있다.
후진다단 클러치팩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동유의 공급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후진입력구동 샤프트(411)와 고정되도록 한 쌍의 클러치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후진다단 클러치팩은, 베벨기어부의 회전축과 직교되게 배치된 후진입력구동 샤프트(411)의 일측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베벨링 기어(401)와, 후진입력구동 샤프트(411)의 외주에 배치되어 유압의 공급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1단 후진 및 2단 후진 구동력으로 전환하는 1단후진 클러치부(426) 및 2단후진 클러치부(421)와, 후진입력구동 샤프트(411)와 일체로 회전되게 구비되되, 1단후진 클러치부(426) 및 2단후진 클러치부(421) 사이에 배치된 연결 구동기어(425)를 포함한다.
아울러, 후진다단 클러치팩은, 1단후진 클러치부(426)와 연동하여 회전되게 구비되고 후술하는 차동기어부(210)의 1단 차동전달기어(217)와 치합되어 후진 1단 구동력을 전달하는 후진1단 구동기어(429)와, 2단후진 클러치부(421)와 연동하여 회전되게 구비되고 후술하는 차동기어부(210)의 2단 차동전달기어(216)와 치합되어 후진 2단 구동력을 전달하는 후진2단 구동기어(4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진구동 입력부(431,436)는, 액슬샤프트(220)와 평행되게 구비됨과 동시에 후진구동입력 샤프트(411)와 평행되게 구비된 전진입력구동 샤프트(412)와, 전진입력구동 샤프트(412)에 배치된 전진다단 클러치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액슬샤프트(220)와 후진입력구동 샤프트(411) 및 전진입력구동 샤프트(412)는 도 11에 참조된 바와 같이, 모두 평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진다단 클러치팩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동유의 공급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전진입력구동 샤프트(412)와 고정되도록 한 쌍의 클러치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전진다단 클러치팩은, 후진입력구동 샤프트(411)와 평행되게 배치된 전진입력구동 샤프트(412)의 외주에 배치되어 유압의 공급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1단 전진 및 2단 전진 구동력으로 전환하는 1단전진 클러치부(436) 및 2단전진 클러치부(431)와, 전진입력구동 샤프트(412)와 일체로 회전되게 구비되되, 1단전진 클러치부(436) 및 2단전진 클러치부(431) 사이에 배치된 연결 종동기어(435)를 포함한다.
아울러, 전진다단 클러치팩은, 1단전진 클러치부(436)와 연동하여 회전되게 구비되고 후술하는 차동기어부(210)의 1단 차동전달기어(217)와 치합되어 전진 1단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진1단 구동기어(439)와, 2단전진 클러치부(431)와 연동하여 회전되게 구비되고 후술하는 차동기어부(210)의 2단 차동전달기어(216)와 치합되어 전진 2단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진2단 구동기어(4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시예에서, 제2변속부(Ⅱ)의 다른 예는, 도 1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액슬샤프트(220), 바람직하게는 차동기어부(2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되 일측은 후진다단 클러치팩의 연결 구동기어(425)와 치합되고, 타측은 전진다단 클러치팩의 연결 종동기어(435)와 치합되어 후진입력구동 샤프트(411)와 전진입력구동 샤프트(412)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아이들 기어(도면부호 미표기)가 구비된 아이들러부(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좌측차동기어 케이스(211)의 외주면과 우측차동기어 케이스(212)의 외주면에는 각각 상술한 후진1단 구동기어(429) 또는 전진1단 구동기어(439)와 치합되게 구비된 1단 차동전달기어(217) 및 상술한 후진2단 구동기어(424) 또는 전진2단 구동기어(434)와 치합되게 구비된 2단 차동전달기어(216)를 포함할 수 있다.
베벨기어부의 베벨 기어(9)로부터 입력된 구동력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진다단 클러치팩 및 후진다단 클러치팩 중 어느 하나를 고정하여 출력된 후 차동기어부(210)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변속된 다음, 양측의 좌측 액슬 샤프트(221) 및 우측 액슬 샤프트(222)를 통해 최종적으로 좌,우 휠(LW,RW)에 연결된 휠 구동부(Ⅲ)로 전달된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시예에서 제2변속부(Ⅱ)의 다른 예에 의한 1단 전진, 2단 전진, 1단 후진 및 2단 후진 시의 동력전달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시예에서, 제2변속부(Ⅱ)의 다른 예에 따른 중립, 전진 1단, 전진 2단, 후진 1단 및 후진 2단 시의 변속 과정을 도 11 내지 도 12d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립 구동 모습을 살펴본다.
중립 구동은, 도 1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작동유가 전진 클러치부(431,436) 및 후진 클러치부(421,426) 중 어디에도 공급되지 않는 상태이다. 따라서, 베벨기어부의 베벨 기어(9)를 통해 후진입력구동 샤프트(411)로 회전 동력이 입력되면, 후진입력구동 샤프트(411)가 회전되면서 연결 구동기어(425)가 동시에 회전되고, 연결 구동기어(425)와 연결 종동기어(435)를 동시에 치합하는 아이들러부(131)의 아이들 기어에 의하여 전진입력구동 샤프트(412)도 동시에 회전된다. 그러나, 이 경우 작동유가 전진 클러치부(431,436) 및 후진 클러치부(421,426) 중 어디에도 공급되지 않는 바, 전진 클러치부(431,436) 및 후진 클러치부(421,426)는 모두 작동되지 않고, 전진 클러치부(431,436)의 1단전진 클러치부(436)의 전진1단 구동기어(439), 전진 클러치부(431,436)의 2단전진 클러치부(431)의 전진2단 구동기어(434), 후진 클러치부(421,426)의 1단후진 클러치부(426)의 후진1단 구동기어(429) 및 후진 클러치부(421,426)의 2단후진 클러치부(421)의 후진2단 구동기어(424) 모두가 회전되지 않으므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 중립 상태가 된다.
이하에서는, 액슬 출력부(200)를 통해 다단으로 토크 및 회전수가 변경되도록 연동된 실시예로서 제 2 변속부(Ⅱ)를 설명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1단 또는 2단이 전진 또는 후진되어 작동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상기 제 2 변속부(Ⅱ)는, 상기 토크 컨버터(3)로부터 전달된 상기 구동력의 기 결정된 토크 및 회전수를 선택적으로 재조절시키는데, 여기서 재조절이란, 동력 발생부(1)에서 발생하는 동력 즉, 회전력에 포함된 토크 및 회전수 정보를 1차적으로 토크 컨버터(3)를 통해 조절하고, 조절된 상기 회전력을 액슬 입력부 및 액슬 출력부를 통해 다시 조절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재조절이란 회전 방향의 변화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전진 및 후진 상태로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회전방향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재조절은 구체적으로, 액슬 입력부(100) 및 액슬 출력부(20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우선, 액슬 입력부(100)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진 또는 후진을 결정하는 회전방향 등을 결정할 수 있고, 액슬 출력부(200)에서는 액슬 입력부(10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두 개의 특정단을 통해 좌우측의 휠로 전달함으로써 회전정보 즉, 토크 및 회전수를 재조절시킬 수 있다.
상기 특정단이란, 기어변속비를 변경시킬 수 있는 단수를 의미하며, 도 12를 통해 이하에서 구체적인 예로서 설명할 실시예는 두 개의 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연동된 아이들러부(131)를 통하여 동력의 인가 또는 차단을 통해 선택적으로 상기 두 개의 단에 동력을 인가하여 속도 및 토크를 변경할 수 있다.
즉,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 발생부(1)로부터 발생되는 토크가 제 1 변속부에 의해 변환되면, 토크가 변환된 상기 구동력이 제 2 변속부(Ⅱ)를 통해 액슬 출력부(200)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력은 상기 제 2 변속부(Ⅱ)의 액슬 입력부(400)를 통해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가 변경되어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방향의 변경은, 상기 액슬 입력부(400)에 포함되는 후진구동 입력부(421, 426) 및 전진구동 입력부(431, 436) 중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력이 전달되어 대응되는 상기 회전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이들러부(131)를 통해 구동력이 후진구동 입력부(421, 426) 및 전진구동 입력부(431, 436) 중 하나에 연결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아이들러부(131)는 후진구동 입력부(421, 426)와 연동되어 구동력을 액슬 출력부(200)에 전달하는 예시를 설명한다.
또한, 상기 회전 속도의 변경은, 후진구동 입력부(421, 426) 및 전진구동 입력부(431, 436)에 각각 포함된 1단(426, 436) 및 2단(421, 431) 클러치부 중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력이 전달되어 대응되는 회전 속도가 결정되며, 후진구동 입력부(421, 426)를 통해 액슬 출력부(200)로 상기 구동력이 전달되는 경우에, 구동력은 아이들러부(131)와 후진구동 입력부(421, 426) 및 상기 전진구동 입력부(431, 436) 중 하나와의 연동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네 가지의 경우를 전진 1단 구동 모습부터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a를 참조하여, 전진 클러치부(431,436)에 의하여 전진 1단 구동이 이루어지는 동력 전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베벨기어부의 베벨 기어(9)를 통해 후진입력구동 샤프트(411)로 회전 동력이 입력되면, 후진입력구동 샤프트(411)가 회전되면서 연결 구동기어(425)가 동시에 회전되고, 연결 구동기어(425)와 연결 종동기어(435)를 동시에 치합하는 아이들러부(131)의 아이들 기어에 의하여 전진입력구동 샤프트(412)도 동시에 회전된다. 여기서, 전진 클러치부(431,436)의 1단전진 클러치부(436)에 작동유가 공급되면, 1단전진 클러치부(436)가 전진입력구동 샤프트(412)와 고정되면서 전진1단 구동기어(439)가 연동 회전되고, 전진1단 구동기어(439)와 치합된 1단 차동전달기어(217)가 좌측 차동기어케이스(211)를 회전시키고, 좌측 차동기어케이스(211)의 회전에 의하여 좌측 액슬 샤프트(221) 및 우측 액슬 샤프트(222)가 전진1단 구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진 2단 구동 모습을 살펴본다.
도 12b를 참조하면, 전진 2단 구동 모습은, 전진 1단 구동 모습 중 전진입력구동 샤프트(412)의 회전 구동 경로까지는 동일하다. 여기서, 전진 클러치부(431,436)의 2단전진 클러치부(431)에 작동유가 공급되면, 2단전진 클러치부(431)가 전진입력구동 샤프트(412)와 고정되면서 전진2단 구동기어(434)가 연동 회전되고, 전진2단 구동기어(434)와 치합된 2단 차동전달기어(216)가 우측 자동기어케이스(212)를 회전시키고, 우측 차동기어케이스(212)의 회전에 의하여 우측 액슬 샤프트(222) 및 좌측 액슬 샤프트(221)가 전진2단 구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후진 1단 구동 모습을 살펴본다.
도 12c를 참조하여, 후진 클러치부(421,426)에 의하여 후진 1단 구동이 이루어지는 동력 전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베벨기어부의 베벨 기어(9)를 통해 후진입력구동 샤프트(411)로 회전 동력이 입력되면, 후진입력구동 샤프트(411)가 회전된다. 여기서, 후진 클러치부(421,426)의 1단후진 클러치부(426)에 작동유가 공급되면, 1단후진 클러치부(426)가 후진입력구동 샤프트(411)와 고정되면서 후진1단 구동기어(429)가 연동 회전되고, 후진1단 구동기어(429)와 치합된 1단 차동전달기어(217)가 좌측 차동기어케이스(211)를 회전시키고, 좌측 차동기어케이스(211)의 회전에 의하여 좌측 액슬 샤프트(221) 및 우측 액슬 샤프트(222)가 후진1단 구동될 수 있다. 이때, 후진입력구동 샤프트(411)의 연결 구동기어(425)와 치합된 연결 종동기어(435)가 회전되면서 전진입력구동 샤프트(412)를 연동 회전시키나, 전진 클러치부(431,436)에는 작동유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전진입력구동 샤프트(412)만이 공회전된다.
다음으로, 후진 2단 구동 모습을 살펴본다.
도 12d를 참조하면, 후진 2단 구동 모습은, 후진 1단 구동 모습 중 후진입력구동 샤프트(411)의 회전 구동 경로까지는 동일하다. 여기서, 후진 클러치부(421,426)의 2단후진 클러치부(421)에 작동유가 공급되면, 2단후진 클러치부(421)가 후진입력구동 샤프트(411)와 고정되면서 후진2단 구동기어(424)가 연동 회전되고, 후진2단 구동기어(424)와 치합된 2단 차동전달기어(216)가 우측 차동기어케이스(212)를 회전시키고, 우측 차동기어케이스(212)의 회전에 의하여 우측 액슬 샤프트(222) 및 좌측 액슬 샤프트(221)가 후진2단 구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시예에서, 제2변속부(Ⅱ)의 다른 예는 그 변형례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은 또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다른 실시예의 구체적인 작동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작동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제1변속부(I)가 동력 발생부(1)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전달받아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베벨기어회전축을 형성하는 베벨기어부를 통해 출력하는 동력 출력 단계와, 동력 출력 단계에 의하여 입력된 동력을 변속하여 좌,우 휠(LW,RW)이 구비된 휠 구동부(III)로 전달하는 동력 변속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동력 변속 단계는, 좌,우 휠(LW,RW)과 연결된 액슬샤프트(220)로부터 이격되고 평행되게 구비된 후진입력구동 샤프트(411) 및 액슬샤프트(220)와 후진입력구동 샤프트(411)에 평행되게 구비된 전진입력구동 샤프트(412)를 회전시키는 샤프트 구동 과정과, 후진입력구동 샤프트(411) 및 전진입력구동 샤프트(412)에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된 후진 클러치부 및 전진 클러치부(도면부호 미표기, 상술한 후진구동 입력부(421,426) 및 전진구동 입력부(431,436) 참조) 중 어느 하나에 작동유를 공급하여 후진입력구동 샤프트(411) 또는 전진입력구동 샤프트(412)와 고정시키는 클러치 고정 과정과, 클러치 고정 과정에 의하여 고정된 후진 클러치부 및 전진 클러치부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변속된 동력을 액슬샤프트(220)로 전달하는 변속동력 출력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샤프트 구동 과정은, 액슬샤프트(220)와 동축으로 구비되거나, 액슬샤프트(220)로부터 이격되되, 후진입력구동 샤프트(411) 및 전진입력구동 샤프트(412)와 평행되게 구비되고 후진입력구동 샤프트(411) 및 전진입력구동 샤프트(412)와 동시에 치합되게 연결된 아이들러부(131)를 이용하여 후진입력구동 샤프트(411) 및 전진입력구동 샤프트(412)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과정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클러치 고정 과정은, 후진1단 변속과 관련하여, 후진 클러치부 중 후진1단 구동기어(429)가 구비된 1단후진 클러치부(426)에 작동유가 공급되어 후진입력구동 샤프트(411)와 1단후진 클러치부(426)를 고정시키는 후진1단 변속 구동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 고정 과정은, 후진 2단 변속과 관련하여, 후진 클러치부 중 후진2단 구동기어(424)가 구비된 2단후진 클러치부(421)에 작동유가 공급되어 후진입력구동 샤프트(411)와 2단후진 클러치부(421)를 고정시키는 후진2단 변속 구동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 고정 과정은, 전진 1단 변속과 관련하여, 전진 클러치부 중 전진1단 구동기어(439)가 구비된 1단전진 클러치부(436)에 작동유가 공급되어 전진입력구동 샤프트(412)와 1단전진 클러치부(436)를 고정시키는 전진1단 변속 구동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클러치 고정 과정은, 전진 2단 변속과 관련하여, 전진 클러치부 중 전진2단 구동기어(434)가 구비된 2단전진 클러치부(431)에 작동유가 공급되어 전진입력구동 샤프트(412)와 2단전진 클러치부(431)를 고정시키는 전진2단 변속 구동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변속동력 출력 과정은, 후진 클러치부 및 전진 클러치부 중 어느 하나가 휠 중 좌측 휠(LW)과 연결된 좌측 액슬 샤프트(221) 및 휠 중 우측 휠(RW)과 연결된 우측 액슬 샤프트(222) 사이에 구비된 차동기어부(210)의 제1전달기어(217) 및 제2전달기어(216) 중 어느 하나와 치합되는 과정일 수 있다.
즉, 변속동력 출력 과정은, 후진 1단 변속과 관련하여, 후진 클러치부의 1단후진 클러치부(426)가 후진입력구동 샤프트(411)와 고정되어 1단후진 클러치부(426)에 구비된 후진1단 구동기어(429)가 차동기어부(210)의 제1전달기어(217) 및 제2전달기어(216) 중 어느 하나와 치합되는 후진1단 출력 구동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변속동력 출력 과정은, 후진 2단 변속과 관련하여, 후진 클러치부의 2단후진 클러치부(421)가 후진입력구동 샤프트(411)와 고정되어 2단후진 클러치부(421)에 구비된 후진2단 구동기어(424)가 차동기어부(210)의 제1전달기어(217) 및 제2전달기어(216) 중 어느 하나와 치합되는 후진2단 출력 구동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변속동력 출력 과정은, 전진 1단 변속과 관련하여, 전진 클러치부의 1단전진 클러치부(436)가 전진입력구동 샤프트(412)와 고정되어 1단전진 클러치부(436)에 구비된 전진1단 구동기어(439)가 차동기어부(210)의 제1전달기어(217) 및 제2전달기어(216) 중 어느 하나와 치합되는 전진1단 출력 구동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변속동력 출력 과정은, 전진 2단 변속과 관련하여, 전진 클러치부의 2단전진 클러치부(431)가 전진입력구동 샤프트(412)와 고정되어 2단전진 클러치부(431)에 구비된 전진2단 구동기어(434)가 차동기어부(210)의 제1전달기어(217) 및 제2전달기어(216) 중 어느 하나와 치합되는 전진2단 출력 구동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작동 제어방법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볼 것이다.
1 : 동력 발생부 3 : 토크 컨버터
5 : 보상 기어부 7 : 프로펠러 샤프트
8 : 전후진출력변환 샤프트 9 : 베벨 기어
20 : 전후진 출력부 21 : 전진변환 클러치부
26 : 후진변환 클러치부 100 : 액슬 입력부
101 : 베벨링 기어 110 : 입력구동 샤프트
121 : 전진클러치부 122, 127 : 마찰플레이트
123, 128 : 마팔디스크 124 : 후진구동기어
126 : 후진클러치부 129 : 전진구동기어
130 : 아이들러 샤프트 131 : 아이들러부
132 : 아이들 기어 200 : 액슬 출력부
210 : 차동기어부 211 : 좌측차동기어 케이스
212 : 우측차동기어 케이스 213 : 피니언샤프트
214 : 좌측 차동사이드기어 215 : 우측 차동사이드기어
216 : 우측 차동전달기어 217 : 좌측 차동전달기어
218 : 차동피니언기어 220 : 액슬샤프트
221 : 좌측 액슬 샤프트 222 : 우측 액슬 샤프트
230 : 브레이크 수단 231 : 패드
232 : 브레이크디스크 300 : 감속기어부
310 : 제1유성기어세트 311 : 제1선기어
312 : 제1유성기어 313 : 제1링기어
314 : 제1캐리어 320 : 제2유성기어세트
321 : 제2선기어 322 : 제2유성기어
323 : 제2링기어 324 : 제2캐리어
400 : 액슬 입력부 401 : 베벨링 기어
411 : 후진입력구동 샤프트 412 : 전진입력구동 샤프트
421, 426 : 후진구동 입력부 424 : 후진2단 구동기어
425 : 연결 구동기어 426 : 1단후진 클러치부
429 : 후진1단 구동기어 431 : 2단전진 클러치부
434 : 전진2단 구동기어 435 : 연결 종동기어
436 : 1단전진 클러치부 439 : 전진1단 구동기어
LW : 좌측 휠 RW : 우측 휠
I : 제1변속부 II : 변속부, 제2변속부
III : 휠 구동부 M : 모터 엔진

Claims (11)

  1. 제1변속부가 동력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전달받아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베벨기어회전축을 형성하는 베벨기어부를 통해 출력하는 동력 출력 단계와;
    상기 동력 출력 단계에 의하여 입력된 동력을 변속하여 좌,우 휠이 구비된 휠 구동부로 전달하는 동력 변속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 변속 단계는,
    상기 좌,우 휠과 연결된 액슬샤프트로부터 이격되고 평행되게 구비된 후진입력구동 샤프트 및 상기 액슬샤프트와 상기 후진입력구동 샤프트에 평행되게 구비된 전진입력구동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샤프트 구동 과정과;
    상기 후진입력구동 샤프트 및 상기 전진입력구동 샤프트에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된 후진 클러치부 및 전진 클러치부 중 어느 하나에 작동유를 공급하여 상기 후진입력구동 샤프트 또는 전진입력구동 샤프트와 고정시키는 클러치 고정 과정과;
    상기 클러치 고정 과정에 의하여 고정된 후진 클러치부 및 전진 클러치부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변속된 동력을 상기 액슬샤프트로 전달하는 변속동력 출력 과정을 포함하는, 동력전달 장치의 작동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구동 과정은, 상기 액슬샤프트와 동축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액슬샤프트로부터 이격되되, 상기 후진입력구동 샤프트 및 상기 전진입력구동 샤프트와 평행되게 구비되고 상기 후진입력구동 샤프트 및 상기 전진입력구동 샤프트와 동시에 치합되게 연결된 아이들러부를 이용하여 상기 후진입력구동 샤프트 및 전진입력구동 샤프트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과정인, 동력전달 장치의 작동 제어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고정 과정은,
    상기 후진 클러치부 중 후진1단 구동기어가 구비된 1단후진 클러치부에 작동유가 공급되어 상기 후진입력구동 샤프트와 상기 1단후진 클러치부를 고정시키는 후진1단 변속 구동을 포함하는, 동력전달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고정 과정은,
    상기 후진 클러치부 중 후진2단 구동기어가 구비된 2단후진 클러치부에 작동유가 공급되어 상기 후진입력구동 샤프트와 상기 2단후진 클러치부를 고정시키는 후진2단 변속 구동을 포함하는, 동력전달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고정 과정은,
    상기 전진 클러치부 중 전진1단 구동기어가 구비된 1단전진 클러치부에 작동유가 공급되어 상기 전진입력구동 샤프트와 상기 1단전진 클러치부를 고정시키는 전진1단 변속 구동을 포함하는, 동력전달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고정 과정은,
    상기 전진 클러치부 중 전진2단 구동기어가 구비된 2단전진 클러치부에 작동유가 공급되어 상기 전진입력구동 샤프트와 상기 2단전진 클러치부를 고정시키는 전진2단 변속 구동을 포함하는, 동력전달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속동력 출력 과정은,
    상기 후진 클러치부 및 상기 전진 클러치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휠 중 좌측 휠과 연결된 좌측 액슬 샤프트 및 상기 휠 중 우측 휠과 연결된 우측 액슬 샤프트 사이에 구비된 차동기어부의 제1전달기어 및 제2전달기어 중 어느 하나와 치합되는 과정인, 동력전달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변속동력 출력 과정은,
    상기 후진 클러치부의 1단후진 클러치부가 상기 후진입력구동 샤프트와 고정되어 상기 1단후진 클러치부에 구비된 후진1단 구동기어가 상기 차동기어부의 제1전달기어 및 제2전달기어 중 어느 하나와 치합되는 후진1단 출력 구동을 포함하는, 동력전달 장치의 작동 제어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변속동력 출력 과정은,
    상기 후진 클러치부의 2단후진 클러치부가 상기 후진입력구동 샤프트와 고정되어 상기 2단후진 클러치부에 구비된 후진2단 구동기어가 상기 차동기어부의 제1전달기어 및 제2전달기어 중 어느 하나와 치합되는 후진2단 출력 구동을 포함하는, 동력전달 장치의 작동 제어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변속동력 출력 과정은,
    상기 전진 클러치부의 1단전진 클러치부가 상기 전진입력구동 샤프트와 고정되어 상기 1단전진 클러치부에 구비된 전진1단 구동기어가 상기 차동기어부의 제1전달기어 및 제2전달기어 중 어느 하나와 치합되는 전진1단 출력 구동을 포함하는, 동력전달 장치의 작동 제어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변속동력 출력 과정은,
    상기 전진 클러치부의 2단전진 클러치부가 상기 전진입력구동 샤프트와 고정되어 상기 2단전진 클러치부에 구비된 전진2단 구동기어가 상기 차동기어부의 제1전달기어 및 제2전달기어 중 어느 하나와 치합되는 전진2단 출력 구동을 포함하는, 동력전달 장치의 작동 제어방법.
KR1020170136873A 2017-10-20 2017-10-20 동력전달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KR101837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873A KR101837459B1 (ko) 2017-10-20 2017-10-20 동력전달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US15/794,020 US10525827B2 (en) 2017-10-20 2017-10-26 Control method of power train system
EP17198492.5A EP3473471A1 (en) 2017-10-20 2017-10-26 Control method of power train system
JP2017207070A JP2019078368A (ja) 2017-10-20 2017-10-26 動力伝達装置の作動制御方法
CN201711020137.3A CN109693537A (zh) 2017-10-20 2017-10-27 动力传递装置的操作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873A KR101837459B1 (ko) 2017-10-20 2017-10-20 동력전달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459B1 true KR101837459B1 (ko) 2018-04-27

Family

ID=60244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873A KR101837459B1 (ko) 2017-10-20 2017-10-20 동력전달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25827B2 (ko)
EP (1) EP3473471A1 (ko)
JP (1) JP2019078368A (ko)
KR (1) KR101837459B1 (ko)
CN (1) CN10969353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49181B2 (ja) * 2020-07-02 2024-03-13 カワサキモータース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475B1 (ko) 2004-01-15 2004-07-30 한승우 베벨기어부와 차동기어부 사이에 설치된 단순구조형트랜스미션
US7086978B2 (en) 2000-04-07 2006-08-08 Tochigi Fuji Sangyo Kabushiki Kaisha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EP1468859B1 (en) 2003-04-01 2010-06-09 Technology Investments Limited A vehicle driveline
KR101150703B1 (ko) 2011-09-22 2012-06-08 현대티앤에이(주) 다상 토크컨버터를 포함하는 지게차 및 중장비용 동력전달장치
KR101525318B1 (ko) 2013-11-06 2015-06-0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유성기어열 장치를 이용하는 무단변속기 및 무단변속기 동력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44342A1 (de) * 1972-09-09 1974-03-21 Kloeckner Humboldt Deutz Ag Zahnraederwechselgetriebe in gruppenbauweise insbesondere fuer land- und/oder bauwirtschaftlich nutzbare motorfahrzeuge
JPH0178754U (ko) 1987-11-18 1989-05-26
FR2701746B1 (fr) * 1993-02-18 1995-05-19 Roumen Antonov Transmission avec dispositif de démarrage progressif, en particulier pour véhicule.
SE505993C2 (sv) 1994-06-29 1997-10-27 Volvo Ab Drivaggregat för ett motorfordon
DE19612690C1 (de) * 1996-03-29 1997-06-12 Mc Micro Compact Car Ag Zahnräderwechselgetriebe für ein Kraftfahrzeug
KR0168386B1 (ko) 1996-05-08 1999-01-15 박병재 차량용 무단 변속장치
JP3592078B2 (ja) 1998-05-26 2004-11-24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クタ
JP2000170851A (ja) 1998-12-07 2000-06-23 Komatsu Ltd 多軸式トランスミッション
DE19917724C2 (de) 1999-04-20 2003-01-02 Getrag Getriebe Zahnrad Antriebstrang für ein Kraftfahrzeug
KR100425277B1 (ko) 2000-08-12 2004-03-30 한승우 휠 트랜스밋션
US6616563B2 (en) * 2000-09-04 2003-09-09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Transmission of working vehicle
JP4133668B2 (ja) 2003-08-07 2008-08-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平行軸式変速機
KR100610107B1 (ko) * 2004-08-13 2006-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더블 클러치 변속기
KR100617460B1 (ko) 2005-03-30 2006-09-01 우영유압주식회사 베벨기어부와 차동기어부 사이에 설치된 단순구조형다단변속기
KR100685322B1 (ko) 2005-10-25 2007-02-22 우영유압주식회사 중장비용 3축 구동 다단트랜스미션
US7614227B2 (en) 2006-08-04 2009-11-10 Briggs And Stratton Corporation Rotary control valve for a hydrostatic transmission
JP4313828B2 (ja) * 2007-05-31 2009-08-1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左右駆動力配分装置
JP5312242B2 (ja) * 2008-12-16 2013-10-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トランスミッション
US8523727B2 (en) 2010-01-14 2013-09-03 Michael L. Valesh Multi ratio drive
DE102011110444A1 (de) 2011-08-11 2013-02-14 Getrag Ford Transmissions Gmbh Hybrid-Antriebsstrang
KR20140015637A (ko) 2011-12-16 2014-02-07 한승우 전후진 2단 전동용 액슬장치
CN104773063B (zh) 2015-01-16 2015-12-0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变速器、动力传动系统和车辆
TWI615294B (zh) 2016-01-15 2018-02-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具有雙離合器的電動車用兩速變速箱
US10844933B2 (en) * 2016-03-31 2020-11-24 Antonio Potignano Automatic manual transmission and method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6978B2 (en) 2000-04-07 2006-08-08 Tochigi Fuji Sangyo Kabushiki Kaisha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EP1468859B1 (en) 2003-04-01 2010-06-09 Technology Investments Limited A vehicle driveline
KR100442475B1 (ko) 2004-01-15 2004-07-30 한승우 베벨기어부와 차동기어부 사이에 설치된 단순구조형트랜스미션
KR101150703B1 (ko) 2011-09-22 2012-06-08 현대티앤에이(주) 다상 토크컨버터를 포함하는 지게차 및 중장비용 동력전달장치
KR101525318B1 (ko) 2013-11-06 2015-06-0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유성기어열 장치를 이용하는 무단변속기 및 무단변속기 동력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78368A (ja) 2019-05-23
US20190118651A1 (en) 2019-04-25
US10525827B2 (en) 2020-01-07
CN109693537A (zh) 2019-04-30
EP3473471A1 (en) 2019-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6782B1 (ko) 동력전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작동 제어 방법
KR101844189B1 (ko) 동력전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작동 제어 방법
KR101836781B1 (ko) 동력전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작동 제어 방법
KR101837458B1 (ko) 동력전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4372072B2 (ja) 変速伝動装置
KR101837460B1 (ko) 동력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4442654B2 (ja) 自動変速機
KR101836780B1 (ko) 동력전달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KR101837459B1 (ko) 동력전달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JP4110282B2 (ja) 自動変速機
CN109334348B (zh) 一种实现双速的重卡汽车双联驱动桥
JP4428419B2 (ja) 自動変速機
KR101841401B1 (ko) 동력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5039647B2 (ja) 動力伝達装置
US7226380B2 (en) Automatic speed changer
JP4442658B2 (ja) 自動変速機
JP4442656B2 (ja) 自動変速機
JP4428420B2 (ja) 自動変速機
JP4442657B2 (ja) 自動変速機
JP4428421B2 (ja) 自動変速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