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292B1 - 미세박판 고정지그 - Google Patents

미세박판 고정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292B1
KR101837292B1 KR1020160115028A KR20160115028A KR101837292B1 KR 101837292 B1 KR101837292 B1 KR 101837292B1 KR 1020160115028 A KR1020160115028 A KR 1020160115028A KR 20160115028 A KR20160115028 A KR 20160115028A KR 101837292 B1 KR101837292 B1 KR 101837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plate
fixing member
fixing
fine thi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상
김성현
최승건
최웅걸
진다솜
문기창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15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2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02Magnetic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15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sheet material or piles of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52PM holding devices
    • H01F7/0257Lifting, pick-up magnetic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면적 미세박판을 고정하는 미세박판 고정지그에 관한 것으로, 상기 대면적 미세박판이 부착되며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미세박판을 고정하는 제1고정부재; 상기 제1고정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고정부재에 밀착되는 상하이동부재; 상기 대면적 미세박판이 부착되는 상기 제1고정부재가 일면에 구비되는 본체부의 상부면 둘레면에 구비되며, 전압 인가 시 자성체로 변화되어 상기 대면적 미세박판을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대면적 미세박판을 2차적으로 고정하는 제2고정부재; 상기 본체부와 상기 상하이동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간극을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상하이동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상하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의 동작 제어 및 상기 제2고정부재에 전압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미세박판 고정지그를 제공한다.
따라서, 첫째, 대면적 미세박판이 자성에 의해 제1고정부재에 전체적으로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전기화학 가공 시 미세박판의 평탄도가 높아지고, 가공되는 형상의 가공오차가 감소하여 대면적 미세박판의 가공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자성에 의해 대면적 미세박판을 고정하므로 미세박판이 구겨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고, 상하이동부재의 전극에 의해 미세박판의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박판 고정지그{Fixing jig of fine thin plate}
본 발명은 미세박판 고정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이 용이하지 않은 가공물인 대면적 미세박판을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미세박판 고정지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면서 적용이 되는 소재인 미세박판에 대한 화면의 크기가 다양해지고, 스마트 TV, 노트북, 스마트 폰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보급률 포화로 업체의 성장 잠재력이 저하된 상태이다.
현재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중요시 되는 것은 곡면 디스플레이, 초미세 가공 등이 중요시 되고 있으며, 특히 초미세 및 균일성이 있는 가공을 위해서는 미세박판을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지그장치가 필요한데, 미세 박판 고정지그의 개발은 미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인 가공물 고정 지그는 두께가 5~50㎛인 미세박판은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기존 미세박판 고정기술은 진공흡착과 텐션을 이용한 고정법이 있지만, 진공흡착을 적용하면 미세박판이 고정되는 과정 중 미세박판이 구겨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텐션을 적용할 경우에는 특정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미세박판이 찢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미세박판을 고정 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고정작업의 시간 및 불량율에 차이가 크며, 다양한 크기와 두께의 미세박판을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지그를 제작해야 함에 따라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087124호(2016.07.21.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시간 및 불량율에 차이가 나지 않으며, 얇은 두께를 가지는 대면적 미세박판을 평탄도를 향상시키면서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미세박판 가공지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면적 미세박판을 고정하는 미세박판 고정지그에 관한 것으로, 상기 대면적 미세박판이 부착되며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미세박판을 고정하는 제1고정부재; 상기 제1고정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고정부재에 밀착되는 상하이동부재; 상기 대면적 미세박판이 부착되는 상기 제1고정부재가 일면에 구비되는 본체부의 상부면 둘레면에 구비되며, 전압 인가 시 자성체로 변화되어 상기 대면적 미세박판을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대면적 미세박판을 2차적으로 고정하는 제2고정부재; 상기 본체부와 상기 상하이동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간극을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상하이동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상하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의 동작 제어 및 상기 제2고정부재에 전압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미세박판 고정지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박판 고정지그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는 유리재질을 가지며 상기 대면적 미세박판이 부착되는 제1층과,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층의 하부에 밀착되며 상기 대면적 미세박판을 고정하기 위한 자성을 가지는 제2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에 밀착되는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하부면에는 전류 인가 시 상기 제2층으로 당겨지는 전극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둘레면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상하이동부재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는 거리측정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박판 고정지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대면적 미세박판이 자성에 의해 제1고정부재에 전체적으로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전기화학 가공 시 미세박판의 평탄도가 높아지고, 가공되는 형상의 가공오차가 감소하여 대면적 미세박판의 가공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자성에 의해 대면적 미세박판을 고정하므로 미세박판이 구겨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고, 상하이동부재의 전극에 의해 미세박판의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박판 고정지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하이동부재가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2고정부재가 본체부의 둘레면에 복수개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대면적 미세박판이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 및 전극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박판 고정지그(100)는 얇은 두께를 가지는 대면적 미세박판(1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제1고정부재(110)와, 상하이동부재(120)와, 제2고정부재(130)와, 센서부(140)와, 이동수단(150)과,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부재(110)는 자력을 이용하여 대면적 미세박판(10)을 고정하며, 상기 제1고정부재(110)는 제1층(112)과 제2층(114)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재(110)는 본체부(20)의 일면인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112)는 유리재질을 가지며, 상기 대면적 미세박판(10)이 밀착되고, 상기 제1층(112)은 유리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력을 통과시키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재질일 수 있으며, 상기 대면적 미세박판(10)이 부착되는 일면은 평탄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112)의 하부에는 제2층(114)이 밀착되며, 상기 제2층(114)은 얇은 대면적 미세박판(10)을 고정하기 위한 자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층(114)은 상기 본체부(20)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114)이 자성을 가짐으로 인하여 상기 대면적 미세박판(10)이 상기 제2층(114)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층(112)에 부착되어 상기 제2층(114)의 자성에 의해 간편하게 고정되게 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110)와 상기 본체부(20)의 상부에는 상하이동부재(120)가 구비되며, 상기 상하이동부재(120)는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고정부재(110)에 밀착되거나 탈착되게 된다.
상기 상하이동부재(120)의 일면인 하부면에는 전극(122)이 구비되며, 상기 전극(122)은 상기 상하이동부재(120)에 의해 상기 제1고정부재(110)에 인접하게 이동된 후 외부에서 전류 인가 시 자성을 가지는 상기 제2층(114)으로 당겨지며, 상기 전극(122)으로 인가되는 전류는 후술되는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전극(122)은 상기 제1고정부재(110)에 고정되는 상기 대면적 미세박판(10)의 평탄도를 향상시키면서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하이동부재(120)에 의해 상기 전극(122)이 상기 제1고정부재(110)에 인접하게 위치된 후 상기 전극(122)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전극(122)은 자성을 가지는 상기 제2층(114)으로 당겨짐으로써 상기 제1고정부재(110)에 고정되는 상기 대면적 미세박판(10)의 상면을 눌러 상기 대면적 미세박판(10)을 상기 제1고정부재(110)에 견고하게 고정하면서 상기 대면적 미세박판(10)의 평탄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고정부재(110)가 구비되는 상기 본체부(20)의 상부면 둘레에는 제2고정부재(130)가 구비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130)는 외부에서 전압 인가 시 상기 대면적 미세박판(10)을 2차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고정부재(130)는 상기 본체부(20)의 둘레면에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130)에 외부에서 전압이 인가 시 상기 제2고정부재(130)가 자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상기 제2고정부재(130)가 대면적 미세박판(10)을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대면적 미세박판(10)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상기 본체부(20)와 상기 상하이동부재(120)에는 각각 센서부(140)가 구비되며, 상기 센서부(140)는 복수개의 센서(142)로 구성되며 상기 센서부(140)는 상기 본체부(20)와 상기 상하이동부재(120) 및 상기 상하이동부재(120)와 상기 제1고정부재(110) 사이의 간극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센서부(140)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개의 센서(142)로는 거리측정센서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거리측정센서가 아닌 거리 측정에 사용되는 초음파 센서 및 적외선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110)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상기 상하이동부재(120)는 이동수단(150)과 연결되며, 상기 이동수단(150)은 상기 상하이동부재(1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동수단(150)은 모터(152)와 승강바(154)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152)와 상기 승강바(154)로 구성되는 상기 이동수단(150)은 일반적인 것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이동수단(150)의 동작은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이동수단(150)의 동작뿐 아니라 상기 제2고정부재(130)에 인가되는 전압과 상기 상하이동부재(120)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전극(122)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센서부(140)에서 상기 제1고정부재(110)와 상기 상하이동부재(120) 사이의 간극을 측정 후 상기 제어부(160)로 측정 데이터를 전달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제2고정부재(130)에 전압을 인가하거나 상기 전극(122)에 전류를 인가 후 상기 이동수단(150)을 동작시켜 상기 상하이동부재(120)에 의해 대면적 미세박판(10)이 손상되지 않는 위치까지 상기 상하이동부재(120)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대면적 미세박판(10)을 상기 제1고정부재(110)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대면적 미세박판(10)이 자성에 의해 제1고정부재(110)에 전체적으로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전기화학 가공 시 대면적 미세박판(10)의 평탄도가 높아지고, 가공되는 형상의 가공오차가 감소하여 대면적 미세박판(10)의 가공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1고정부재(110)와 제2고정부재(130)의 자성에 의해 대면적 미세박판(10)을 고정하므로 미세박판(10)이 구겨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고, 상하이동부재(120)의 전극(122)에 의해 미세박판(10)의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미세박판 고정지그 110 : 제1고정부재
112 : 제1층 114 : 제2층
120 : 상하이동부재 122 : 전극
130 : 제2고정부재 140 : 센서부
142 : 센서 150 : 이동수단
160 : 제어부

Claims (4)

  1. 대면적 미세박판을 고정하는 미세박판 고정지그에 관한 것으로,
    상기 대면적 미세박판이 부착되며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미세박판을 고정하는 제1고정부재;
    상기 제1고정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고정부재에 밀착되는 상하이동부재;
    상기 대면적 미세박판이 부착되는 상기 제1고정부재가 일면에 구비되는 본체부의 상부면 둘레면에 구비되며, 전압 인가 시 자성체로 변화되어 상기 대면적 미세박판을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대면적 미세박판을 2차적으로 고정하는 제2고정부재;
    상기 본체부와 상기 상하이동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간극을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상하이동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상하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의 동작 제어 및 상기 제2고정부재에 전압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미세박판 고정지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는,
    유리재질을 가지며 상기 대면적 미세박판이 부착되는 제1층과,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층의 하부에 밀착되며 상기 대면적 미세박판을 고정하기 위한 자성을 가지는 제2층을 포함하는 미세박판 고정지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에 밀착되는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하부면에는 전류 인가 시 상기 제2층으로 당겨지는 전극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박판 고정지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둘레면에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상하이동부재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거리측정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박판 고정지그.
KR1020160115028A 2016-09-07 2016-09-07 미세박판 고정지그 KR101837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028A KR101837292B1 (ko) 2016-09-07 2016-09-07 미세박판 고정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028A KR101837292B1 (ko) 2016-09-07 2016-09-07 미세박판 고정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292B1 true KR101837292B1 (ko) 2018-03-09

Family

ID=61727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028A KR101837292B1 (ko) 2016-09-07 2016-09-07 미세박판 고정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2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1324A (zh) * 2020-09-08 2020-11-17 苏州市运泰利自动化设备有限公司 笔记本测试夹紧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9961A (ja) 2003-07-17 2005-02-10 Nikon Corp リニアモータ装置、ステージ装置、及び露光装置
JP3885261B2 (ja) 1996-11-21 2007-02-21 東レ株式会社 基板支持具および基板の支持方法
JP4966343B2 (ja) 2005-04-05 2012-07-04 エーエスエムエル ネザーランズ ビー.ブイ. リソグラフィ装置及び物体テーブルを位置決めするための位置決めデバイスを利用したデバイス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5261B2 (ja) 1996-11-21 2007-02-21 東レ株式会社 基板支持具および基板の支持方法
JP2005039961A (ja) 2003-07-17 2005-02-10 Nikon Corp リニアモータ装置、ステージ装置、及び露光装置
JP4966343B2 (ja) 2005-04-05 2012-07-04 エーエスエムエル ネザーランズ ビー.ブイ. リソグラフィ装置及び物体テーブルを位置決めするための位置決めデバイスを利用したデバイス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1324A (zh) * 2020-09-08 2020-11-17 苏州市运泰利自动化设备有限公司 笔记本测试夹紧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1292B2 (ja) プローブカードへの基板当接方法
TWI447024B (zh) Mating device and bonding method
KR101658816B1 (ko) 웨이퍼 검사용 인터페이스 및 웨이퍼 검사 장치
US20120061875A1 (en) Template chuck, imprint apparatus, and pattern forming method
JP2007326212A (ja) 基板のリペア装置及びその方法
KR20140131429A (ko)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용 용접기
JP2006032942A (ja) 誘電膜の漏洩電流特性を検査する方法、及びこれを遂行するための装置
US8449716B2 (e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a substrate from a carrier substrate
CN106994431B (zh) 基板保持装置、涂布装置、基板保持方法
TW201302585A (zh) 薄板狀工件的黏附保持方法及薄板狀工件的黏附保持裝置以及製造系統
JP4566107B2 (ja) 粘着力兼厚み測定装置及びその測定方法
KR101837292B1 (ko) 미세박판 고정지그
JP2009302415A (ja) 荷電粒子線装置,試料保持システム,試料の保持方法、および、試料の離脱方法
JP2012145439A (ja) 基板厚み測定装置及び基板厚み測定方法
US11524392B2 (en) Minimal contact gripping of thin optical devices
KR101913579B1 (ko) 하향식 기판 에칭장치
JP5461534B2 (ja) 基板調査デバイス
CN110879510B (zh) 晶片配准及重叠测量系统以及有关方法
JP2010016279A (ja) 基板測定装置
JP2014168089A (ja) 基板重ね合わせ装置、基板重ね合わせ方法、及び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6266386B2 (ja) 半導体試験システム
KR101902604B1 (ko) 디스플레이 셀 검사 장치
KR102476313B1 (ko) 보호 필름 박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박리 방법
JP4218093B2 (ja) 試料の保持方法,試料の保持装置、および荷電粒子線装置
US10190865B2 (en) Verifying end effector flatness using electrical continu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