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393B1 - 통신케이블 트레이 - Google Patents

통신케이블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393B1
KR101836393B1 KR1020170126751A KR20170126751A KR101836393B1 KR 101836393 B1 KR101836393 B1 KR 101836393B1 KR 1020170126751 A KR1020170126751 A KR 1020170126751A KR 20170126751 A KR20170126751 A KR 20170126751A KR 101836393 B1 KR101836393 B1 KR 101836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rner fastener
cable tray
groove
cutt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상
Original Assignee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70126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3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6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directly on or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02G3/263Installation, e.g. suspension, of conduit channel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8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와이어로 된 철망 형태의 케이블 트레이에 곡선구간을 형성하는데 적용할 수 있도록 한 통신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측면벤딩와이어(28)의 반대편에 위치된 측면커팅와이어(24)의 안쪽에 밀착되는 원호형의 내측 코너고정구(30); 케이블 트레이(20)의 곡선구간(21)에 형성된 부채살 와이어(22)의 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절곡부(23)를 삽입하기 위해 내측 코너고정구(30)의 내측 곡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수직반원홈(32); 측면커팅와이어(24)를 사이에 두고 내측 코너고정구(30)와 만나서 수직절곡부(23)의 외측에 밀착되는 외측 코너고정구(40); 외측 코너고정구(40)와 내측 코너고정구(30)를 연결하는 고정볼트(50)(52); 내측 코너고정구(30)의 양단에 형성되는 결합홈(35)(36); 외측 코너고정구(40)의 양단에 형성되어 결합홈(35)(36)에 끼워지는 돌기부(45)(46)를 포함하여 구성된 통신케이블 트레이에 있어서, 측면커팅와이어(24)를 삽입하기 위해 외측 코너고정구(40)의 외측 곡면을 따라 상하 높이 차를 두고 형성되는 수평반원홈(42)(44)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Description

통신케이블 트레이{Communication Cable Tray}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을 포설하는데 이용되는 통신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와이어로 된 철망 형태의 케이블 트레이에 곡선구간을 형성하는데 적용할 수 있도록 한 통신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한 통신케이블의 포설은 통신케이블의 보수와 점검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고, 특히 경량의 통신케이블을 설치하는 경우 통풍이 용이하고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금속와이어를 이용한 철망형태의 통신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한 포설이 늘고 있다.
이와 같은 통신케이블 트레이는 다양한 경로의 구조물을 지나면서 다수의 곡선구간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이 경우 부채꼴 모양으로 성형된 별도의 철판을 이용해서 철망으로 된 케이블 트레이와 용접하거나 다수의 스크류와 클램프를 이용해서 연결부위를 결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용접에 의한 접합은 화재의 위험이 있고, 용접불량으로 인해 내구성이 취약하게 되며, 미관이 깔끔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미 통신케이블이 포설된 상태에서 중간에 경로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는 용접 스패터에 의해 포설된 통신케이블이 손상되기 때문에 내열시트를 통신케이블에 씌운 다음 작업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크게 지연되는 단점을 갖고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618944호 (2006.09.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금속와이어를 이용해서 철망 형태로 된 케이블 트레이에 곡선구간을 편리하게 형성할 수 있는 통신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통신케이블 트레이는, 측면벤딩와이어의 반대편에 위치된 측면커팅와이어의 안쪽에 밀착되는 원호형의 내측 코너고정구; 케이블 트레이의 곡선구간에 형성된 부채살 와이어의 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절곡부를 삽입하기 위해 내측 코너고정구의 내측 곡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수직반원홈; 측면커팅와이어를 사이에 두고 내측 코너고정구와 만나서 수직절곡부의 외측에 밀착되는 외측 코너고정구; 외측 코너고정구와 내측 코너고정구를 연결하는 고정볼트; 내측 코너고정구의 양단에 형성되는 결합홈; 외측 코너고정구의 양단에 형성되어 결합홈에 끼워지는 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통신케이블 트레이에 있어서, 측면커팅와이어를 삽입하기 위해 외측 코너고정구의 외측 곡면을 따라 상하 높이 차를 두고 형성되는 수평반원홈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부채살 와이어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는 바닥커팅와이어를 따라 원호형으로 구부려서 설치되고, 바닥커팅와이어를 덮는 플렉시블 한 연질보호대; 연질보호대의 저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바닥커팅와이어가 삽입되는 하부개방홈; 부채살 와이어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해 연질보호대의 상면에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연질보호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하부개방홈과 상하로 엇갈리게 직교하면서 만나 서로 이어진 통로를 형성하는 상부개방홈; 연질보호대의 한쪽 측면으로부터 상부개방홈과 하부개방홈을 향해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어진 통로를 형성하는 측면절개홈; 측면절개홈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부채살 와이어를 끼워서 물기 위한 걸림홈을 더 포함해서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측면벤딩와이어(28)를 구부릴 때 모이게 되는 수직절곡부(23)과 측면커팅와이어(24)를 내측 코너고정구(30)와 외측 코너고정구(40)에 의해 신속하고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내측 코너고정구(30)와 외측 코너고정구(40)의 사이에 위치되는 수직절곡부(23)와 측면커팅와이어(24)가 내측 코너고정구(30)에 형성된 수직반원홈(32)과 외측 코너고정구(40)에 형성된 수평반원홈(42)(44)에 각각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수직절곡부(23)와 측면커팅와이어(24)를 내측 코너고정구(30)와 외측 코너고정구(4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채살 와이어(22)의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내측 코너고정구(30)와 외측 코너고정구(40)를 밀착시킬 때 돌기부(45)(46)가 결합홈(35)(36)에 삽입되면서 체결구멍(47)(48)과 탭구멍(37)(38)의 중심이 자동으로 일치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볼트(50)(52)의 체결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바닥커팅와이어(25)와 부채살 와이어(22)에 결합되는 연질보호대(60)에 의해 날카로운 절단면을 갖는 바닥커팅와이어(25)를 은폐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 트레이(20)에 포설되는 통신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연질보호대(60)를 성형할 때는 직선형으로 성형한 다음 부채살 와이어(22)와 바닥커팅와이어(25)에 결합할 때는 연질보호대(60)를 원호형으로 구부려서 설치한 다음 절단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연질보호대(60)의 성형과 취급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연질보호대(60)에 형성되어 있는 측면절개홈(66)을 이용해서 부채살 와이어(22)의 아래쪽에서 연질보호대(60)를 끼울 수 있기 때문에 연질보호대(60)를 부채살 와이어(22)와 바닥커팅와이어(25)에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측면절개홈(66)에 형성된 걸림홈(66a)(66b)에 부채살 와이어(22)가 걸려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연질보호대(60)가 부채살 와이어(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연질보호대(60)에 형성된 상부개방홈(64)에 의해 부채살 와이어(22)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평면도로서, 벤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상태로부터 측면벤딩와이어를 벤딩해서 곡선구간을 형성한 것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상태 사시도
도 5는 도 4를 저면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도 4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측 코너고정구와 외측 코너고정구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을 반대편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질보호대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를 저면에서 본 사시도
도 11은 도 9를 반대편에서 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질보호대를 부채살 와이어와 바닥커팅와이어에 끼우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측면벤딩와이어(28)의 반대편에 위치된 측면커팅와이어(24)의 안쪽에 밀착되는 원호형의 내측 코너고정구(30); 케이블 트레이(20)의 곡선구간(21)에 형성된 부채살 와이어(22)의 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절곡부(23)를 삽입하기 위해 내측 코너고정구(30)의 내측 곡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수직반원홈(32)을 포함한다.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20)의 중간에 곡선구간(21)을 형성하는 과정은, 일직선으로 되어 있는 바닥직선와이어(26)와 측면직선와이어(27)를 절단해서 부채살 와이어(22)에 연결된 바닥커팅와이어(25)와 수직절곡부(23)에 연결된 측면커팅와이어(24)를 남기면 벤딩을 위한 준비작업을 마치게 된다.
이때 절단하고 남은 바닥커팅와이어(25)와 측면커팅와이어(24)의 길이는 부채살 와이어(22)의 직경보다 다소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고, 절단작업은 곡선구간(21)에 해당하는 부위에서만 한다.
그 다음 케이블 트레이(20)의 곡선구간(21)에 위치된 측면벤딩와이어(28)를 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구부리게 되면, 수직절곡부(23)와 측면커팅와이어(24)는 가깝게 모이고, 측면벤딩와이어(28)는 원호형으로 벤딩되며, 평행하던 부채살 와이어(22)는 부채살 모양으로 배열되고, 바닥커팅와이어(25)는 부채살 와이어(22)를 따라 파선형태를 이루면서 원호형으로 배열된다.
내측 코너고정구(3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해서 성형될 수 있으며, 측면벤딩와이어(28)와 동심을 이루는 원호형으로 형성한다.
본 발명은 측면커팅와이어(24)를 사이에 두고 내측 코너고정구(30)와 만나서 수직절곡부(23)의 외측에 밀착되는 외측 코너고정구(40); 측면커팅와이어(24)를 삽입하기 위해 외측 코너고정구(40)의 외측 곡면을 따라 상하 높이 차를 두고 형성되는 수평반원홈(42)(44)을 포함한다.
외측 코너고정구(40)의 바깥쪽 중앙에는 보강리브(49)를 형성해서 휨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며, 외측 코너고정구(4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해서 성형될 수 있으며 측면벤딩와이어(28)와 동심을 이루는 원호형으로 형성한다.
본 발명은 외측 코너고정구(40)와 내측 코너고정구(30)를 연결하는 고정볼트(50)(52); 내측 코너고정구(30)의 양단에 형성되는 결합홈(35)(36); 외측 코너고정구(40)의 양단에 형성되어 결합홈(35)(36)에 끼워지는 돌기부(45)(46)를 포함한다.
고정볼트(50)(52)를 삽입하기 위한 체결구멍(47)(48)을 외측 코너고정구(40)의 양단에 형성하고, 내측 코너고정구(30)의 양단에는 체결구멍(47)(48)과 중심이 일치되는 탭구멍(37)(38)을 형성해서 체결구멍(47)(48)으로 삽입된 고정볼트(50)(52)를 탭구멍(37)(38)에 결합함으로써 내측 코너고정구(30)와 외측 코너고정구(40)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결합홈(35)(36)과 돌기부(45)(46)는 내측 코너고정구(30)와 외측 코너고정구(40)의 결합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돌기부(45)(46)가 결합홈(35)(36)에 끼워졌을 때 체결구멍(47)(48)의 중심과 탭구멍(37)(38)의 중심이 서로 일치되도록 해서 조립을 간편하게 한다.
본 발명은 부채살 와이어(22)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는 바닥커팅와이어(25)를 따라 원호형으로 구부려서 설치되고, 바닥커팅와이어(25)를 덮는 플렉시블 한 연질보호대(60)를 포함한다.
연질보호대(60)는,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를 이용해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으로 성형한 다음 부채살 와이어(22)와 바닥커팅와이어(25)에 끼울 때 구부려서 조립하고 불필요한 부분은 절단해서 제거한다.
본 발명은 연질보호대(60)의 저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바닥커팅와이어(25)가 삽입되는 하부개방홈(62); 부채살 와이어(22)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해 연질보호대(60)의 상면에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연질보호대(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하부개방홈(62)과 상하로 엇갈리게 직교하면서 만나 서로 이어진 통로를 형성하는 상부개방홈(64)을 포함한다.
하부개방홈(62)은 연질보호대(60)의 저면에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면 역(逆) U자 모양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상부개방홈(64)은 연질보호대(60)의 상면에 형성된 것으로, 부채살 와이어(22)의 간격에 맞게 형성한다.
즉, 부채살 와이어(22)는 곡선구간(21)의 중심으로 향할수록 사이가 좁아지기 때문에 그 간격에 맞는 각기 다른 간격의 상부개방홈(64)이 형성된 여러 가지 치수의 연질보호대(60)를 성형해서 사용한다.
본 발명은 연질보호대(60)의 한쪽 측면으로부터 상부개방홈(64)과 하부개방홈(62)을 향해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어진 통로를 형성하는 측면절개홈(66); 측면절개홈(66)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부채살 와이어(22)를 끼워서 물기 위한 걸림홈(66a)(66b)을 포함한다.
측면절개홈(66)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질보호대(60)를 90도 돌린 상태에서 부채살 와이어(22)를 진입시키기 위한 것이며, 걸림홈(66a)(66b)은 예를 들면 부채살 와이어(22)의 직경에 맞는 오목한 원호형으로 형성해서 연질보호대(60)가 부채살 와이어(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20)에 곡선구간(21)을 형성하는 과정은 곡선구간(21)에 위치된 측면직선와이어(27)와 바닥직선와이어(26)를 절단석, 와이어커터, 쇠톱과 같은 절단공구를 이용해서 절단하게 되면, 짧은 길이의 바닥커팅와이어(25)와 측면커팅와이어(24)가 곡선구간(21)에 남게 된다.
이때 바닥커팅와이어(25)의 길이는 부채살 와이어(22)의 직경보다 다소 큰 길이로 절단해야만 연질보호대(6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직선형으로 되어 있던 측면벤딩와이어(28)를 도 2의 화살표방향으로 구부리게 되면, 측면벤딩와이어(28)가 원호형으로 벤딩되며, 평행하던 부채살 와이어(22)는 부채살 모양으로 배열되고, 수직절곡부(23)와 측면커팅와이어(24)는 좁은 간격으로 모여서 원호모양을 형성하게 되며, 바닥커팅와이어(25)는 원호형으로 배열된다.
첨부도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20)에 형성된 곡선구간(21)에 위치된 수직절곡부(23)와 측면커팅와이어(24)를 내측 코너고정구(30)와 외측 코너고정구(40)를 이용해서 결속하는 과정은, 내측 코너고정구(30)에 형성된 수직반원홈(32)에 수직절곡부(23)를 삽입하면, 내측 코너고정구(30)가 측면커팅와이어(24)의 안쪽에 밀착된다.
이후 외측 코너고정구(40)에 형성된 수평반원홈(42)(44)에 측면커팅와이어(24)를 삽입하면서 외측 코너고정구(40)를 수직절곡부(23)의 바깥쪽에 밀착시키게 되면, 내측 코너고정구(30)와 외측 코너고정구(40)가 서로 만나서 밀착되고, 수직절곡부(23)와 측면커팅와이어(24)는 내측 코너고정구(30)와 외측 코너고정구(40)의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외측 코너고정구(40)에 형성된 돌기부(45)(46)를 내측 코너고정구(30)에 형성된 결합홈(35)(36)에 끼우게 되면, 외측 코너고정구(40)에 형성된 체결구멍(47)(48)의 중심이 내측 코너고정구(30)에 형성된 탭구멍(37)(38)의 중심과 일치된다.
이후 고정볼트(50)(52)를 체결구멍(47)(48)으로 삽입한 다음 탭구멍(37)(38)에 결합하면, 내측 코너고정구(30)와 외측 코너고정구(40)가 결합되고, 내측 코너고정구(30)와 외측 코너고정구(40)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수직절곡부(23)와 측면커팅와이어(24)가 각각 수직반원홈(32)과 수평반원홈(42)(44)에 끼워져 걸려 있기 때문에 내측 코너고정구(30)와 외측 코너고정구(40)의 상하좌우 움직임을 방지하게 된다.
곡선구간(21)에 위치된 바닥커팅와이어(25)는 날카롭게 절단된 상태이기 때문에 통신케이블(도시생략)을 케이블 트레이(20)에 그대로 포설하는 경우 통신케이블이 손상될 우려가 있는데, 연질보호대(60)를 이용해서 바닥커팅와이어(25)를 덮으면 통신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연질보호대(60)를 케이블 트레이(20)에 설치하는 과정은 첨부도면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질보호대(60)를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서 측면절개홈(66)이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연질보호대(60)를 부채살 와이어(22)의 밑면을 향해 상승시키면, 도 12의 (B)와 같이 연질보호대(60)가 부채살 와이어(22)의 하부에 밀착된다.
그 다음 도 12의 (B)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연질보호대(60)를 수평이동시키게 되면,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커팅와이어(25)가 하부개방홈(62)으로 삽입되는데, 이때 연질보호대(60)를 도 12의 (C)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게 되면, 부채살 와이어(22)가 도 1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개방홈(64)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부채살 와이어(22)가 측면절개홈(66)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홈(66a)(66b)에 걸리면서 연질보호대(60)가 부채살 와이어(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연질보호대(60)를 부채살 와이어(22)와 바닥커팅와이어(25)에 순차적으로 끼워가면서 구부리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질보호대(60)가 원호형으로 구부러진 상태로 케이블 트레이(20)에 설치되며, 날카로운 절단면을 갖는 바닥커팅와이어(25)가 연질보호대(60)에 의해 은폐되기 때문에 케이블 트레이(20)에 포설되는 통신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20 : 케이블 트레이 21 : 곡선구간
22 : 부채살 와이어 23 : 수직절곡부
24 : 측면커팅와이어 25 : 바닥커팅와이어
26 : 바닥직선와이어 27 : 측면직선와이어
28 : 측면벤딩와이어 30 : 내측 코너고정구
32 : 수직반원홈 35,36 : 결합홈
37,38 : 탭구멍 40 : 외측 코너고정구
42,44 : 수평반원홈 45,46 : 돌기부
47,48 : 체결구멍 49 : 보강리브
50,52 : 고정볼트 60 : 연질보호대
62 : 하부개방홈 64 : 상부개방홈
66 : 측면절개홈 66a,66b : 걸림홈

Claims (2)

  1. 측면벤딩와이어(28)의 반대편에 위치된 측면커팅와이어(24)의 안쪽에 밀착되는 원호형의 내측 코너고정구(30);
    케이블 트레이(20)의 곡선구간(21)에 형성된 부채살 와이어(22)의 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절곡부(23)를 삽입하기 위해 상기 내측 코너고정구(30)의 내측 곡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수직반원홈(32);
    상기 측면커팅와이어(24)를 사이에 두고 상기 내측 코너고정구(30)와 만나서 상기 수직절곡부(23)의 외측에 밀착되는 외측 코너고정구(40);
    상기 외측 코너고정구(40)와 상기 내측 코너고정구(30)를 연결하는 고정볼트(50)(52);
    상기 내측 코너고정구(30)의 양단에 형성되는 결합홈(35)(36);
    상기 외측 코너고정구(40)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35)(36)에 끼워지는 돌기부(45)(46);
    를 포함하여 구성된 통신케이블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팅와이어(24)를 삽입하기 위해 상기 외측 코너고정구(40)의 외측 곡면을 따라 상하 높이 차를 두고 형성되는 수평반원홈(42)(44);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 트레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채살 와이어(22)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는 바닥커팅와이어(25)를 따라 원호형으로 구부려서 설치되고, 상기 바닥커팅와이어(25)를 덮는 플렉시블 한 연질보호대(60);
    상기 연질보호대(60)의 저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커팅와이어(25)가 삽입되는 하부개방홈(62);
    상기 부채살 와이어(22)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연질보호대(60)의 상면에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질보호대(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개방홈(62)과 상하로 엇갈리게 직교하면서 만나 서로 이어진 통로를 형성하는 상부개방홈(64);
    상기 연질보호대(60)의 한쪽 측면으로부터 상기 상부개방홈(64)과 상기 하부개방홈(62)을 향해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어진 통로를 형성하는 측면절개홈(66);
    상기 측면절개홈(66)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부채살 와이어(22)를 끼워서 물기 위한 걸림홈(66a)(66b);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 트레이.
KR1020170126751A 2017-09-29 2017-09-29 통신케이블 트레이 KR101836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751A KR101836393B1 (ko) 2017-09-29 2017-09-29 통신케이블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751A KR101836393B1 (ko) 2017-09-29 2017-09-29 통신케이블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6393B1 true KR101836393B1 (ko) 2018-03-08

Family

ID=61725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751A KR101836393B1 (ko) 2017-09-29 2017-09-29 통신케이블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3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292B1 (ko) 2021-04-06 2021-09-01 주식회사 와이디이엔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정보통신용 케이블 트레이
KR102296297B1 (ko) 2021-04-06 2021-09-01 주식회사 와이디이엔지 높이 및 폭 조절이 가능한 정보통신용 케이블 트레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0904B2 (ja) * 2001-12-06 2008-10-08 イ. セ. エム. グルップ ワイヤケーブルトレーの2つの部分を互いに連結する連結用継ぎ目板、連結用継ぎ目板を備えたワイヤケーブルトレー及びかかる継ぎ目板で連結された2つの部分を有するワイヤケーブルトレー
EP2719040B1 (fr) 2011-06-07 2015-04-08 Legrand France Accessoire d'angle pour chemins de cables en fi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0904B2 (ja) * 2001-12-06 2008-10-08 イ. セ. エム. グルップ ワイヤケーブルトレーの2つの部分を互いに連結する連結用継ぎ目板、連結用継ぎ目板を備えたワイヤケーブルトレー及びかかる継ぎ目板で連結された2つの部分を有するワイヤケーブルトレー
EP2719040B1 (fr) 2011-06-07 2015-04-08 Legrand France Accessoire d'angle pour chemins de cables en fil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292B1 (ko) 2021-04-06 2021-09-01 주식회사 와이디이엔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정보통신용 케이블 트레이
KR102296297B1 (ko) 2021-04-06 2021-09-01 주식회사 와이디이엔지 높이 및 폭 조절이 가능한 정보통신용 케이블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1884A (en) Interlocking cable support tray system
KR101836393B1 (ko) 통신케이블 트레이
US10598352B2 (en) Downlight with spring fixing structure
JP4446317B2 (ja) ワイヤケーブルトレー用接続板
RU2431911C1 (ru) Решетчатый желоб, соединение решетчатых желобов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го решетчатого желоба
KR20000022370A (ko) 케이블 트레이 유닛 및 그의 조립 커플링
US20070009220A1 (en) Distribution cable tray with a clamping collar receiver device
JP2006311785A (ja) プロテクタ
JPH0514497B2 (ko)
US7452157B2 (en) Connecting butt straps for wire cable trays wire cable trays equipped with same wire cable tray assemblies connected with same
US8006948B2 (en) Corner accesory for ducts
US11128113B2 (en)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mesh cable trays and mesh cable tray section
US20030116682A1 (en) Joining member for a mesh cable tray
KR200480703Y1 (ko) 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커버
US6460638B1 (en) Bushing for protecting an electrical wire passing through a hole in a structural member
KR102410814B1 (ko) 가요전선관 연결용 커넥터 천장 고정판
US9912135B2 (en) Cross arm covers for utility poles and related methods
KR20160135599A (ko) 행거 클램핑 장치
US20240044460A1 (en) Recessed Curved Channel Light System
US20060179725A1 (en) Cover secured around a pipe passed through a building for ornamental and leakage-preventing purposes
US1676486A (en) Conduit for electric conductors
US20060037630A1 (en) Acoustic insulation blanket for dishwashers
JPH0317992A (ja) 電気ホットプレートとその取付装置
CN219656146U (zh) 密封组件和烟机
KR20110008871U (ko) 아울렛 박스의 공용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