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990B1 - 만능에이밍조명기구 - Google Patents

만능에이밍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990B1
KR101835990B1 KR1020160113113A KR20160113113A KR101835990B1 KR 101835990 B1 KR101835990 B1 KR 101835990B1 KR 1020160113113 A KR1020160113113 A KR 1020160113113A KR 20160113113 A KR20160113113 A KR 20160113113A KR 101835990 B1 KR101835990 B1 KR 101835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member
axial direction
frame
joint frame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환
Original Assignee
대구광역시 달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광역시 달서구 filed Critical 대구광역시 달서구
Priority to KR1020160113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만능에이밍조명기구가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만능에이밍조명기구는 일단이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지주와 연결되는 지지암, 상기 지지암의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지지암과 연결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의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연결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이음프레임, 상기 제1이음프레임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1이음프레임과 결합하는 제1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연결프레임,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지면에 광을 비추는 제1광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만능에이밍조명기구{universal aiming lighting equipment}
본 발명은 만능에이밍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원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광원이 비추는 광의 방향 및 광원이 비추는 광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만능에이밍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과 농촌의 도시화에 따라 도로 주변의 가로등, 보안등, 터널등과 공업단지의 방범등 기타 조명등이 증가되면서 농작물의 생육에 야간 조명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가로등은 어두운 장소에 설치되어 광원으로부터 빛을 추사함으로써 운전자 및 보행자의 시야 확보를 통한 사고예방 및 범죄예방을 위하여 설치하는 등을 일컫는 것이다. 가로등은 등주의 선단부를 구부려 조명등을 설치하는 하이웨이 형, 등주의 선단부에 가로로 수평암을 결합한 후 수평암에 조명등을 설치하는 브라켓형, 등주의 선단부에 조명등을 설치하는 주두형 등으로 분류된다.
가로등에 사용되는 광원으로는 대부분이 고전력을 사용하는 나트륨등, 수은등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현시대에 들어서 소비전력이 낮은 LED를 이용한 가로등으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LED(light-emitting diode)는 GaP, GaAs 등의 화합물 반도체의 PN 접합에 전류가 흐를 때 빛이 발생하는 현상을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소자로서, 반응시간이 일반전구에 비하여 빠르고, 소비전력이 백열등의 20% 수준으로 낮아 고효율의 조명수단으로 다방면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전력소모는 비교적 적은 반면 밝기가 매우 밝다는 장점이 있다.
LED는 빛의 직진성은 우수하지만 확산성이 좋지 못하기 때문에, 조사하고자 하는 방향을 조절하고자 할 때, 조명기구 전체의 설치각도를 변경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다.
만능에이밍조명기구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한국실용신안등록 KR20-0221987 "가로등의 방향전환구조“, 한국실용신안등록특허 ”등기구의 광원 위치 조절장치“ 등이 있다. ”가로등의 방향전환구조“에 관한 종래 기술에는 방향전환구조를 갖는 가로등의 등기구로 가로등을 좌우로 선회시켜 조사되는 범위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원하는 지역을 밝힐 수 있는 가로등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기구의 광원 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종래 기술에는 사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등기구로 가로등 지주 상단에 지지대와 가로부재가 힌지축으로 연결되도록 결합하고,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가로등의 각도를 조절하여 빛의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로등의 등기구는 가로등의 방향을 전환하거나 조사각도를 조절하여 어두운 부분을 보완할 경우 본래의 조사범위를 벗어나게 되어 조명을 받지 못하는 부분이 발생되어 사고가 발생될 위험성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로등은 빛의 조도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추기가 힘들고, 균일한 조도가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어두운 부분에서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여 눈을 더욱 피로하게 하고, 도로에 조명되는 조도가 규정값 이하로 낮아 안전운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만능에이밍조명기구에 관한 기술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광원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광원이 비추는 광의 방향 및 광원이 비추는 광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만능에이밍조명기구가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만능에이밍조명기구는 일단이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지주와 연결되는 지지암, 상기 지지암의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지지암과 연결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의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연결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이음프레임, 상기 제1이음프레임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1이음프레임과 결합하는 제1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연결프레임,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지면에 광을 비추는 제1광원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제1이음프레임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제1광원이 상기 지면에 비추는 상기 광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만능에이밍조명기구는 광원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광원이 비추는 광의 방향 및 광원이 비추는 광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음으로써 야간에 도로 주변의 각종 농작물의 정상적인 성장을 저해하는 일이 전혀 없게 되고, 주택가에 살고 있는 주민들이 수면장애, 불면증 등에 시달리지 않고 정상적으로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만능에이밍조명기구의 개념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제1광원이 제2접속프레임을 통하여 연결프레임에 배치된 배치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제1광원이 제1접속프레임을 통하여 제1슬라이딩부재에 배치된 배치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제1광원이 각각 제1접속프레임 및 제2접속프레임을 통하여 각각 제1슬라이딩부재 및 연결프레임에 배치된 배치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제2광원이 제3접속프레임을 통하여 제2슬라이딩부재에 배치된 배치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제1광원 및 제2광원이 각각 제1접속프레임 및 제3접속프레임을 통하여 각각 제1슬라이딩부재 및 제2슬라이딩부재에 배치된 배치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만능에이밍조명기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어지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형성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결합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만능에이밍조명기구의 개념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의 (a)는 만능에이밍조명기구의 우측면도이며, 도 1의 (b)는 지지암과 연결된 하우징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1의 (c)는 하우징 내부의 지지암과 연결된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제1광원이 제2접속프레임을 통하여 연결프레임에 배치된 배치도이다. 도 2의 (a)는 지면과 대향하는 하우징의 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의 (b)는 하우징 내부의 지지암과 연결된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의 (c)는 제1광원과 연결된 제2접속프레임이 연결프레임에 배치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의 (d)는 aa'선에 따른 제2접속플레임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제1광원이 제1접속프레임을 통하여 제1슬라이딩부재에 배치된 배치도이다. 도 3의 (a)는 지면과 대향하는 하우징의 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의 (b)는 하우징 내부의 지지암과 연결된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의 (c)는 bb'선에 따른 연결프레임과 제1이음프레임이 연결된 부분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의 (d)는 cc'선에 따른 제1이음프레임과 제1슬라이딩부재가 연결된 부분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제1광원이 각각 제1접속프레임 및 제2접속프레임을 통하여 각각 제1슬라이딩부재 및 연결프레임에 배치된 배치도이다. 도 4의 (a)는 지면과 대향하는 하우징의 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의 (b)는 하우징 내부의 지지암과 연결된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의 (c)는 dd'선에 따른 제1접속프레임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제2광원이 제3접속프레임을 통하여 제2슬라이딩부재에 배치된 배치도이다. 도 5의 (a)는 지면과 대향하는 하우징의 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의 (b)는 하우징 내부의 지지암과 연결된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의 (c)는 ee'선에 따른 제1이음프레임, 제1이음프레임과 연결된 제1슬라이딩부재 및 제1슬라이딩부재와 연결된 제2슬라이딩부재까지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의 (d)는 ff'선에 따른 제2이음프레임 및 제2이음프레임과 연결된 제2슬라이딩부재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제1광원 및 제2광원이 각각 제1접속프레임 및 제3접속프레임을 통하여 각각 제1슬라이딩부재 및 제2슬라이딩부재에 배치된 배치도이다. 도 6의 (a)는 지면과 대향하는 하우징의 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의 (b)는 하우징 내부의 지지암과 연결된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의 (c)는 gg'선에 따른 제3접속프레임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만능에이밍조명기구(10)는 지주(110), 지지암(120), 연결프레임(130), 제1이음프레임(140), 제1슬라이딩부재(150) 및 제1광원(30)을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만능에이밍조명기구(10)는 제1접속프레임(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만능에이밍조명기구(10)는 제2접속프레임(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만능에이밍조명기구(10)는 제1이음부재(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만능에이밍조명기구(10)는 제2이음프레임(200), 제2슬라이딩부재(210) 및 제2광원(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만능에이밍조명기구(10)는 제3접속프레임(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만능에이밍조명기구(10)는 제2이음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만능에이밍조명기구(10)는 하우징(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주(110)는 일단이 고정부재(100)에 고정된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00)는 지주(110)의 상기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홈(102a)이 형성된 지면(102)이 될 수 있다. 그 결과, 지주(110)의 상기 일단은 지면(102)의 홈(102a)을 통하여 지면(10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주(110)는 지면(10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고정부재(100)는 지면(102)에 안착되며, 지주(110)의 상기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제1관통홈(미도시)을 가지는 베이스(미도시)가 될 수 있다. 그 결과, 지주(110)의 상기 일단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관통홈에 삽입될 수 있다. 예로서, 지주(110)의 상기 일단은 고정부재(100)의 상기 제1관통홈과 나사결합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르게는 지주(110)의 상기 일단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관통홈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에 삽입된 후 용접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주(110)는 상기 베이스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지지암(120)은 지주(110)의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지주(110)와 연결된다.
일례로, 지주(110)의 외주면은 지지암(12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제2관통홈(112)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지지암(120)의 상기 일단은 지주(110)의 제2관통홈(112)에 삽입될 수 있다. 예로서, 지지암(120)의 상기 일단은 지주(110)의 제2관통홈(112)과 상기 나사결합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르게는 지지암(120)의 상기 일단은 지주(110)의 제2관통홈(112)을 통하여 지주(110)에 삽입된 후 상기 용접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지암(120)은 지주(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지주(110)의 상기 외주면은 지지암(120)의 상기 일단이 지주(110)의 상기 외주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제1관통홀(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지지암(120)의 상기 일단은 지주(110)의 상기 제1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로서, 지지암(120)의 외주면의 일부는 지주(110)의 상기 제1관통홀의 내주면과 상기 나사결합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르게는 지지암(120)은 지주(110)의 상기 제1관통홀을 통하여 지주(110)에 삽입된 후 상기 용접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지암(120)은 지주(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연결프레임(130)은 지주(110)를 기준으로 지지암(120)의 양쪽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지지암(120)은 지주(110)의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암(120)의 상기 외주면은 지주(110)의 타단이 지지암(120)의 상기 외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제2관통홀(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지주(110)의 상기 타단은 지지암(120)의 상기 제2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로서, 지지암(120)의 상기 제2관통홀의 내주면은 지주(110)의 상기 타단 또는 상기 타단과 인접한 부분과 상기 나사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르게는 지지암(120)은 지주(110)의 상기 타단이 지지암(120)의 상기 제2관통홀을 통하여 삽입된 후 상기 용접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지암(120)은 지주(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연결프레임(130)은 지주(110)의 상기 축방향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암(120)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130)은 지지암(120)의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지지암(120)과 연결된다. 연결프레임(130)이 지지암(120)의 상기 축방향과 이루는 상기 각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102)방향으로 90도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광원(30)은 연결프레임(130)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지지암(120)의 상기 외주면은 연결프레임(13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제3관통홈(122)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일단은 지지암(120)의 제3관통홈(122)에 삽입될 수 있다. 예로서,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일단은 지지암(120)의 제3관통홈(122)의 내주면과 상기 나사결합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르게는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일단은 지지암(120)의 제3관통홈(122)을 통하여 지지암(120)에 삽입된 후 상기 용접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연결프레임(130)은 지지암(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이음프레임(140)은 연결프레임(130)의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연결프레임(130)과 연결된다. 제1이음프레임(140)이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축방향과 이루는 상기 각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도 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이음프레임(140)은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제1이음프레임(140)은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축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이음프레임(140)의 제1축은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연결프레임(130)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제1이음프레임(140)은 다음의 조건식1을 만족하는 제1이음프레임(140)의 인접한 제1축 사이의 이루는 각도를 가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조건식1>
θ=360/n
여기서, ‘θ’는 제1이음프레임(140)의 인접한 제1축 사이의 이루는 상기 각도를 의미하며, ‘n'은 제1이음프레임(140)의 제1축의 개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음프레임(140)의 제1축의 상기 개수가 2인 경우(n=2), 제1이음프레임(140)의 인접한 제1축 사이의 이루는 상기 각도는 180도(θ=180)이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이음프레임(140)은 연결프레임(130)과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음프레임(140)은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이음프레임(140)은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다르게는, 제1이음프레임(140)은 연결프레임(130)의 타단이 제1이음프레임(14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1채널(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이음프레임(140)은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제1채널을 통하여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제1이음프레임(140)의 외주면에는 제1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며, 연결프레임(130)에는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제1돌출부가 연결프레임(13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2채널(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이음프레임(140)은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제2채널을 따라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130)의 외주면은 원형이 아닌 형상을 가지며, 제1이음프레임(140)의 내주면은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외주면의 상기 형상과 대응하여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외주면과 밀착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연결프레임(130)은 제1이음프레임(140)이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축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외주면의 형상 및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내주면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일례로,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내주면은 제1체결용 탄성돌기(142)를 가지며,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외주면은 제1이음프레임(140)의 제1체결용 탄성돌기(142)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1체결용 홈(132)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이음프레임(140) 및 연결프레임(130)은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1체결용 탄성돌기(142) 및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1체결용 홈(132)을 가지며, 제1체결용 탄성돌기(142) 및 제1체결용 홈(132)은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제1이음프레임(140)이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제1이음프레임(140)의 제1체결용 탄성돌기(142)는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외주면이 제1체결용 탄성돌기(142)에 가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제1이음프레임(140)이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변형된 제1체결용 탄성돌기(142)는 연결프레임(130)의 제1체결용 홈(132)과 접촉하며, 제1체결용 탄성돌기(142)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1체결용 홈(132)과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체결용 탄성돌기(142)는 제1체결용 홈(132)에 억지 끼움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이음프레임(140)은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멈출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이음프레임(140)은 제1광원(30)이 지면(102)에 비추는 광의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능에이밍도로조명기구는 제1삽입체(5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이음프레임(140)은 제1삽입체(50a)가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외주면과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내주면 사이를 관통하여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3관통홀이 형성되며,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외주면에는 제1삽입체(50a)와 결합할 수 있는 제4관통홈(134)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이음프레임(140) 및 연결프레임(130)은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3관통홀 및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4관통홈(134)을 가지며, 제3관통홀 및 제4관통홈(134)은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제1이음프레임(140)이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제1이음프레임(140)의 제3관통홀은 연결프레임(130)의 제4관통홈(134)과 대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삽입체(50a)는 제1이음프레임(140)의 제3관통홀로 삽입되어 연결프레임(130)의 제4관통홈(134)과 결합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이음프레임(140)은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멈출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이음프레임(140)은 제1광원(3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제1슬라이딩부재(150)는 제1이음프레임(140)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1이음프레임(140)과 결합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광원(30)은 제1슬라이딩부재(150)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슬라이딩부재(150)는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축방향으로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제1광원(3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라이딩부재(150)는 제1이음프레임(140)이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3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슬라이딩부재(150)는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제3채널을 통하여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다르게는, 제1이음프레임(140)은 제1슬라이딩부재(150)가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4채널(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슬라이딩부재(150)는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제4채널을 따라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제1슬라이딩부재(150)는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슬라이딩부재(150)는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일례로,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능에이밍조명기구(10)는 제2삽입체(5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슬라이딩부재(150)는 제2삽입체(50b)가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외주면 및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제3채널의 내주면 사이를 관통하여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제3채널로 삽입될 수 있는 제5관통홀(164a)이 형성되며,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외주면에는 제1슬라이딩부재(150)를 관통하여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상기 내부로 삽입된 제2삽입체(50b)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5관통홈(146)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슬라이딩부재(150) 및 제1이음프레임(140)은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4관통홀(153) 및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5관통홈(146)을 가지며, 제4관통홀(153) 및 제5관통홈(146)은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제1슬라이딩부재(150)가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제4관통홀(153)은 제1이음프레임(140)의 제5관통홈(146)과 대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2삽입체(50b)는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제4관통홀(153)로 삽입되어 제1이음프레임(140)의 제5관통홈(146)과 결합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슬라이딩부재(150)는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멈출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이음프레임(140)은 제1광원(3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제3채널의 상기 내주면은 제2체결용 탄성돌기(152)를 가지며,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외주면은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제2체결용 탄성돌기(152)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체결용 홈(148)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슬라이딩부재(150) 및 제1이음프레임(140)은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2체결용 탄성돌기(152) 및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2체결용 홈(148)을 가지며, 제2체결용 탄성돌기(152) 및 제2체결용 홈(148)은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제1슬라이딩부재(150)가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제2체결용 탄성돌기(152)는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외주면이 제2체결용 탄성돌기(152)에 가하는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제1슬라이딩부재(150)가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변형된 제2체결용 탄성돌기(152)는 연결프레임(130)의 제2체결용 홈(148)과 접촉하며, 제2체결용 탄성돌기(152)의 상기 복원력에 의하여 제2체결용 홈(148)과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체결용 탄성돌기(152)는 제2체결용 홈(148)에 상기 억지 끼움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슬라이딩부재(150)는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멈출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이음프레임(140)은 제1광원(3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1접속프레임(160)은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속프레임(160)이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축방향과 이루는 상기 각도는 지면(102)방향으로 90도 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접속프레임(160)은 제1슬라이딩부재(15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외면은 제1체결부(154)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접속프레임(160)은 외면에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제1체결부(154)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제2체결부(162a)가 형성된 제1몸체(162)를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제1몸체(162)의 제2체결부(162a)는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제1체결부(154)와 결합하며, 제1접속프레임(160)은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제1체결부(154)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때 제1광원(30)은 제1몸체(162)와 연결되어, 제1몸체(162)를 통하여 제1슬라이딩부재(15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접속프레임(160)은 제1광원(3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제1체결부(154) 및 제1몸체(162)의 제2체결부(162a)는 볼 소켓 조인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제1체결부(154)로는 제1볼(154a)이 형성되며, 제1몸체(162)의 제2체결부(162a)로는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제1볼(154a)과 결합할 수 있는 제1소켓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제1볼(154a)은 제1몸체(162)의 제1소켓과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접속프레임(160)은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제1볼(154a)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접속프레임(160)은 제1광원(3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제1체결부(154) 및 제1몸체(162)의 제2체결부(162a)는 유니버셜 조인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만능에이밍조명기구(10)는 제1연결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제1체결부(154)로는 제1회전축(미도시)이 형성되며, 제1몸체(162)의 제2체결부(162a)로는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상기 제1회전축과 서로 방향이 다른 제2회전축(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재의 일단은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상기 제1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의 타단은 제1몸체(162)의 상기 제2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접속프레임(160)은 상기 제1연결부재를 통하여 제1슬라이딩부재(15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광원(30)은 상기 제1연결부재를 통하여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연결부재를 통하여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상기 제1회전축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제1몸체(162)의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도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접속프레임(160)은 제1광원(3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제1접속프레임(160)은 제3슬라이딩부재(164)를 가질 수 있다.
제3슬라이딩부재(164)는 제1몸체(162)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1몸체(162)와 결합할 수 있다. 그 결과, 제3슬라이딩부재(164)는 제1몸체(162)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때 제1광원(30)은 제1접속프레임(160)의 제3슬라이딩부재(164)와 연결되어, 제3슬라이딩부재(164)를 통하여 제1몸체(16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3슬라이딩부재(164)는 제1광원(30)이 상기 광의 상기 방향으로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슬라이딩부재(164)는 제1몸체(162)의 상기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3슬라이딩부재(164)는 제1몸체(162)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1몸체(162)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다르게는, 제3슬라이딩부재(164)는 제1몸체(162)가 제3슬라이딩부재(164)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5채널(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3슬라이딩부재(164)는 제3슬라이딩부재(164)의 상기 제5채널을 통하여 제1몸체(162)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1몸체(162)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제1몸체(162)는 제3슬라이딩부재(164)가 제1몸체(16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6채널(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3슬라이딩부재(164)는 제1몸체(162)의 상기 제6채널을 따라 제1몸체(162)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일례로,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능에이밍조명기구(10)는 제3삽입체(5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슬라이딩부재(164)는 제3삽입체(50c)가 제3슬라이딩부재(164)의 외주면 및 상기 내주면을 관통하여 제3슬라이딩부재(164)의 상기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5관통홀(164a)이 형성되며, 제1몸체(162)의 상기 외주면에는 제3삽입체(50c)와 결합할 수 있는 제6관통홈(16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슬라이딩부재(164) 및 제1몸체(162)는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5관통홀(164a) 및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6관통홈(162b)을 가지며, 제5관통홀(164a) 및 제6관통홈(162b)은 제1몸체(162)의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제3슬라이딩부재(164)가 제1몸체(162)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1몸체(162)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제3슬라이딩부재(164)의 제5관통홀(164a)은 제1몸체(162)의 제6관통홈(162b)과 대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3삽입체(50c)는 제3슬라이딩부재(164)의 제5관통홀(164a)을 통하여 제3슬라이딩부재(164)의 상기 내부로 삽입되어 제6관통홈(162b)과 결합할 수 있다. 그 결과, 제3슬라이딩부재(164)는 제1몸체(162)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1몸체(162)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멈출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몸체(162)는 제1광원(3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슬라이딩부재(164)의 상기 내주면은 제3체결용 탄성돌기(164b)를 가지며, 제1몸체(162)의 상기 외주면은 제3슬라이딩부재(164)의 제3체결용 탄성돌기(164b)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3체결용 홈(162c)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3슬라이딩부재(164) 및 제1몸체(162)는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3체결용 탄성돌기(164b) 및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3체결용 홈(162c)을 가지며, 제3체결용 탄성돌기(164b) 및 제3체결용 홈(162c)은 제1몸체(162)의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제3슬라이딩부재(164)가 제1몸체(162)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1몸체(162)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제3슬라이딩부재(164)의 제3체결용 탄성돌기(164b)는 제1몸체(162)의 상기 외주면이 제3체결용 탄성돌기(164b)에 가하는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제3슬라이딩부재(164)가 제1몸체(162)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1몸체(162)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변형된 제3체결용 탄성돌기(164b)는 제1몸체(162)의 제3체결용 홈(162c)과 접촉하며, 제3체결용 탄성돌기(164b)의 상기 복원력에 의하여 제3체결용 홈(162c)과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체결용 탄성돌기(164b)는 제3체결용 홈(162c)에 상기 억지 끼움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제3슬라이딩부재(164)는 제1몸체(162)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1몸체(162)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멈출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3슬라이딩부재(164)는 제1광원(3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제2접속프레임(180)은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제2접속프레임(180)이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축방향과 이루는 상기 각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102)방향으로 90도 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2접속프레임(180)은 연결프레임(130)과 회동가능하게 연결프레임(130)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프레임(130)의 외면은 제3체결부(136)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접속프레임(180)은 외면에 연결프레임(130)의 제3체결부(136)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제4체결부(182a)가 형성된 제3몸체(182)를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제3몸체(182)의 제4체결부(182a)는 연결프레임(130)의 제3체결부(136)와 결합하며, 제2접속프레임(180)은 연결프레임(130)의 제3체결부(136)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때, 제1광원(30)은 제3몸체(182)와 연결되어, 제3몸체(182)를 통하여 연결프레임(13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접속프레임(180)은 제1광원(3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130)의 제3체결부(136) 및 제3몸체(182)의 제4체결부(182a)는 상기 볼 소켓 조인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130)의 제3체결부(136)로는 제2볼(136a)이 형성되며, 제3몸체(182)의 제4체결부(182a)로는 연결프레임(130)의 제2볼(136a)과 결합할 수 있는 제2소켓(182a')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연결프레임(130)의 제2볼(136a)은 제3몸체(182)의 제2소켓(182a')과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접속프레임(180)은 연결프레임(130)의 제2볼(136a)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접속프레임(180)은 제1광원(3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연결프레임(130)의 제3체결부(136) 및 제3몸체(182)의 제4체결부(182a)는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만능에이밍조명기구(10)는 제2연결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130)의 제3체결부(136)로는 제3회전축(미도시)이 형성되며, 제3몸체(182)의 제4체결부(182a)로는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제3회전축과 서로 방향이 다른 제4회전축(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연결부재의 일단은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제3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의 타단은 제3몸체(182)의 상기 제4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접속프레임(180)은 상기 제2연결부재를 통하여 연결프레임(130)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광원(30)은 상기 제2연결부재를 통하여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제3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연결부재를 통하여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제3회전축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제3몸체(182)의 상기 제4회전축을 중심으로도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접속프레임(180)은 제1광원(3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제2접속프레임(180)은 제5슬라이딩부재(184)를 가질 수 있다.
제5슬라이딩부재(184)는 제3몸체(182)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3몸체(182)와 결합할 수 있다. 그 결과, 제5슬라이딩부재(184)는 제3몸체(182)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때, 제1광원(30)은 제2접속프레임(180)의 제5슬라이딩부재(184)와 연결되어, 제5슬라이딩부재(184)를 통하여 제3몸체(18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광원(30)이 상기 광의 상기 방향으로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슬라이딩부재(184)는 제3몸체(182)의 상기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5슬라이딩부재(184)는 제3몸체(182)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3몸체(182)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다르게는, 제5슬라이딩부재(184)는 제3몸체(182)가 제5슬라이딩부재(184)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7채널(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5슬라이딩부재(184)는 제5슬라이딩부재(184)의 상기 제7채널을 통하여 제3몸체(182)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3몸체(182)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제3몸체(182)는 제5슬라이딩부재(184)가 제3몸체(18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8채널(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5슬라이딩부재(184)는 제3몸체(182)의 상기 제8채널을 따라 제3몸체(182)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능에이밍도로조명기구는 제4삽입체(50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5슬라이딩부재(184)는 제4삽입체(50d)가 제5슬라이딩부재(184)의 상기 외주면 및 상기 내주면을 관통하여 제5슬라이딩부재(184)의 상기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6관통홀(184a)이 형성되며, 제3몸체(182)의 상기 외주면에는 제4삽입체(50d)와 결합할 수 있는 제7관통홈(18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5슬라이딩부재(184) 및 제3몸체(182)는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6관통홀(184a) 및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7관통홈(182b)을 가지며, 제6관통홀(184a) 및 제7관통홈(182b)은 제3몸체(182)의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제5슬라이딩부재(184)가 제3몸체(182)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3몸체(182)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제5슬라이딩부재(184)의 제6관통홀(184a)은 제3몸체(182)의 제7관통홈(182b)과 대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4삽입체(50d)는 제5슬라이딩부재(184)의 제6관통홀(184a)을 통하여 제5슬라이딩부재(184)의 상기 내부로 삽입되어 제7관통홈(182b)과 결합할 수 있다. 그 결과, 제5슬라이딩부재(184)는 제3몸체(182)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3몸체(182)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멈출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3몸체(182)는 제1광원(3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슬라이딩부재(184)의 상기 내주면은 제4체결용 탄성돌기(184b)를 가지며, 제3몸체(182)의 상기 외주면은 제5슬라이딩부재(184)의 제4체결용 탄성돌기(184b)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4체결용 홈(182c)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5슬라이딩부재(184) 및 제3몸체(182)는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4체결용 탄성돌기(184b) 및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4체결용 홈(182c)을 가지며, 제4체결용 탄성돌기(184b) 및 제4체결용 홈(182c)은 제3몸체(182)의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제5슬라이딩부재(184)가 제3몸체(182)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3몸체(182)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제5슬라이딩부재(184)의 제4체결용 탄성돌기(184b)는 제3몸체(182)의 상기 외주면이 제4체결용 탄성돌기(184b)에 가하는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제5슬라이딩부재(184)가 제3몸체(182)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3몸체(182)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변형된 제4체결용 탄성돌기(184b)는 제3몸체(182)의 제4체결용 홈(182c)과 접촉하며, 제4체결용 탄성돌기(184b)의 상기 복원력에 의하여 제4체결용 홈(182c)과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4체결용 탄성돌기(184b)는 제4체결용 홈(182c)에 상기 억지 끼움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제5슬라이딩부재(184)는 제3몸체(182)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3몸체(182)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멈출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5슬라이딩부재(184)는 제1광원(3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제1이음부재(190)는 일단이 제1접속프레임(160) 또는 제2접속프레임(180)(이하 제1연결부라 함)과 연결되며, 타단이 제1광원(30)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이음부재(190)는 상기 일단이 상기 제1연결부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연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연결부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접속프레임(160)은 제1몸체(162) 및 제3슬라이딩부재(164)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이음부재(190)의 상기 일단은 제1접속프레임(160)의 제3슬라이딩부재(164)와 연결되어, 제3슬라이딩부재(164)를 통하여 제1몸체(162)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접속프레임(180)은 제3몸체(182) 및 제5슬라이딩부재(184)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제1이음부재(190)의 상기 일단은 제5체결부(미도시)를 가지며, 제1이음부재(190)의 상기 일단과 대향하는 상기 제1연결부의 면은 상기 제5체결부와 연결될 수 있는 제6체결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이음부재(190)의 상기 타단은 제7체결부(미도시)를 가지며, 제1이음부재(190)의 상기 타단과 대향하는 제1광원(30)은 상기 제7체결부와 연결될 수 있는 제8체결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제5체결부 및 상기 제7체결부는 각각 제5체결용 탄성돌기(미도시) 및 제6체결용 탄성돌기(미도시)이며, 상기 제6체결부 및 상기 제8체결부는 각각 상기 제5체결용 탄성돌기 및 상기 제6체결용 탄성돌기와 연결될 수 있는 제5체결용 홈(미도시) 및 제6체결용 홈(미도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5체결용 탄성돌기 및 상기 제6체결용 탄성돌기는 각각 상기 제5체결용 홈 및 상기 제6체결용 홈에 상기 억지 끼움 고정될 수 있다.
다르게는 제1이음부재(190)의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은 상기 제1연결부 및 제1광원(30)과 각각 상기 용접을 통하여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광원(30)은 연결프레임(130), 제1슬라이딩부재(150)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배치된다. 또한, 제1광원(30)은 지면(102)에 상기 광을 비춘다. 제1광원(30)은 예를 들어, LED램프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제1광원(30)은 제1접속프레임(160)과 연결되어, 제1접속프레임(160)을 통하여 제1슬라이딩부재(15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접속프레임(160)은 제1몸체(162) 및 제3슬라이딩부재(164)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광원(30)은 제1접속프레임(160)의 제3슬라이딩부재(164)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광원(30)은 연결프레임(130)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광원(30)은 제2접속프레임(180)과 연결되어, 제2접속프레임(180)을 통하여 연결프레임(130)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접속프레임(180)은 제3몸체(182) 및 제5슬라이딩부재(184)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광원(30)은 제2접속프레임(180)의 제5슬라이딩부재(184)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이음프레임(200)은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제1슬라이딩부재(15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이음프레임(200)이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축방향과 이루는 상기 각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도 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2이음프레임(200)은 제1슬라이딩부재(150)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이음프레임(200)은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축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이음프레임(200)의 제2축은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된 제1슬라이딩부재(150)와 각각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제1이음프레임(140)은 제1축의 개수가 2개이며, 제1이음프레임(140)의 인접한 제1축 사이의 이루는 상기 각도는 180도일 수 있다. 이때 제1슬라이딩부재(150)(이하 제1부 및 제2부라 함)는 상기 2개의 제1축을 가지는 제1이음프레임(140)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부와 연결된 제2이음프레임(200)의 제2축은 제1부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 제1부와 연결된 제2이음프레임(200)은 다음의 조건식2를 만족하는 상기 제1부와 연결된 제2이음프레임(200)의 인접한 제2축 사이의 이루는 각도를 가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부와 연결된 제2이음프레임(200)은 제1부와 연결된 제2이음프레임(200)과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건식2>
?=360/n
여기서, ‘?’는 제2이음프레임(200)의 인접한 제2축 사이의 이루는 상기 각도를 의미하며, ‘n'은 제2이음프레임(200)의 제2축의 개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와 연결된 제2이음프레임(200)의 제2축의 상기 개수가 2인 경우(n=2), 제1부와 연결된 제2이음프레임(200)의 인접한 제2축 사이의 이루는 상기 각도는 180도(?=180)이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2이음프레임(200)은 제1슬라이딩부재(150)와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이음프레임(200)은 제1슬라이딩부재(150)가 제2이음프레임(2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9채널(203)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이음프레임(200)은 제2이음프레임(200)의 제9채널(203)을 통하여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다르게는, 제2이음프레임(200)은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상기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이음프레임(200)은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제2이음프레임(200)의 외주면에는 제2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며, 제1슬라이딩부재(150)에는 제2이음프레임(200)의 상기 제2돌출부가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상기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10채널(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이음프레임(200)은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상기 제10채널을 따라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상기 외주면은 사각형인 형상을 가지며, 제2이음프레임(200)의 내주면은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상기 외주면의 상기 형상과 대응하여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상기 외주면과 밀착할 수 있는 상기 사각형의 상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슬라이딩부재(150)는 제2이음프레임(200)이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축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상기 외주면의 형상 및 제2이음프레임(200)의 상기 내주면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일례로,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이음프레임(200)의 제9채널(203)의 내주면은 제7체결용 탄성돌기(201)를 가지며,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상기 외주면은 제2이음프레임(200)의 제7체결용 탄성돌기(201)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7체결용 홈(155)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이음프레임(200) 및 제1슬라이딩부재(150)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7체결용 탄성돌기(201) 및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7체결용 홈(155)을 가지며, 제7체결용 탄성돌기(201) 및 제7체결용 홈(155)은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제2이음프레임(200)이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제2이음프레임(200)의 제7체결용 탄성돌기(201)는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상기 외주면이 제7체결용 탄성돌기(201)에 가하는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제2이음프레임(200)이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변형된 제7체결용 탄성돌기(201)는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제7체결용 홈(155)과 접촉하며, 제7체결용 탄성돌기(201)의 상기 복원력에 의하여 제7체결용 홈(155)과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7체결용 탄성돌기(201)는 제7체결용 홈(155)에 억지 끼움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이음프레임(200)은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멈출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이음프레임(200)은 제1광원(3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능에이밍조명기구(10)는 제5삽입체(50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이음프레임(200)은 제5삽입체(50e)가 제2이음프레임(200)의 상기 외주면과 제2이음프레임(200)의 제9채널(203)의 상기 내주면 사이를 관통하여 제2이음프레임(200)의 상기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7관통홀(202)이 형성되며,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상기 외주면에는 제5삽입체(50e)와 결합할 수 있는 제8관통홈(156)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이음프레임(200) 및 제1슬라이딩부재(150)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7관통홀(202) 및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8관통홈(156)을 가지며, 제7관통홀(202) 및 제8관통홈(156)은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제2이음프레임(200)이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제2이음프레임(200)의 제7관통홀(202)은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제8관통홈(156)과 대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5삽입체(50e)는 제2이음프레임(200)의 제7관통홀(202)로 삽입되어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제8관통홈(156)과 결합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이음프레임(200)은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멈출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이음프레임(200)은 제1광원(3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제2슬라이딩부재(210)는 제2이음프레임(200)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2이음프레임(200)과 결합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슬라이딩부재(210)는 제2이음프레임(20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때 제2광원(40)은 제2슬라이딩부재(2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광원(4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슬라이딩부재(210)는 제2이음프레임(200)이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11채널(2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슬라이딩부재(210)는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제11채널(212)을 통하여 제2이음프레임(200)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2이음프레임(20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다르게는, 제2이음프레임(200)은 제2슬라이딩부재(210)가 제2이음프레임(200)의 상기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12채널(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슬라이딩부재(210)는 제2이음프레임(200)의 상기 제12채널을 따라 제2이음프레임(20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제2슬라이딩부재(210)는 제2이음프레임(200)의 상기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슬라이딩부재(210)는 제2이음프레임(200)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2이음프레임(20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일례로,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능에이밍조명기구(10)는 제6삽입체(50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슬라이딩부재(210)는 제6삽입체(50f)가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외주면 및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제11채널(212)의 내주면 사이를 관통하여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제11채널(212)로 삽입될 수 있는 제8관통홀(214)이 형성되며, 제2이음프레임(200)의 상기 외주면에는 제2슬라이딩부재(210)를 관통하여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상기 내부로 삽입된 제6삽입체(50f)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9관통홈(204)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슬라이딩부재(210) 및 제2이음프레임(200)은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8관통홀(214) 및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9관통홈(204)을 가지며, 제8관통홀(214) 및 제9관통홈(204)은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제2슬라이딩부재(210)가 제2이음프레임(200)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2이음프레임(20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제8관통홀(214)은 제2이음프레임(200)의 제9관통홈(204)과 대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6삽입체(50f)는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제8관통홀(214)로 삽입되어 제2이음프레임(200)의 제9관통홈(204)과 결합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슬라이딩부재(210)는 제2이음프레임(200)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2이음프레임(20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멈출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이음프레임(200)은 제1광원(3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제11채널(212)의 상기 내주면은 제8체결용 탄성돌기(216)를 가지며, 제2이음프레임(200)의 상기 외주면은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제8체결용 탄성돌기(216)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8체결용 홈(205)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슬라이딩부재(210) 및 제2이음프레임(200)은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8체결용 탄성돌기(216) 및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8체결용 홈(205)을 가지며, 제8체결용 탄성돌기(216) 및 제8체결용 홈(205)은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제2슬라이딩부재(210)가 제2이음프레임(200)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2이음프레임(20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제8체결용 탄성돌기(216)는 제2이음프레임(200)의 상기 외주면이 제8체결용 탄성돌기(216)에 가하는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제2슬라이딩부재(210)가 제2이음프레임(200)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2이음프레임(20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변형된 제8체결용 탄성돌기(216)는 연결프레임(130)의 제8체결용 홈(205)과 접촉하며, 제8체결용 탄성돌기(216)의 상기 복원력에 의하여 제8체결용 홈(205)과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8체결용 탄성돌기(216)는 제8체결용 홈(205)에 상기 억지 끼움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슬라이딩부재(210)는 제2이음프레임(200)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2이음프레임(20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멈출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이음프레임(200)은 제2광원(4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3접속프레임(220)은 제2이음프레임(200)의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제3접속프레임(220)이 제2이음프레임(200)의 상기 축방향과 이루는 상기 각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102)방향으로 90도 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3접속프레임(220)은 제2슬라이딩부재(21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슬라이딩부재(210)는 외면에 제9체결부(218)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접속프레임(220)은 외면에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제9체결부(218)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제10체결부(222a)가 형성된 제4몸체(222)를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제4몸체(222)의 제10체결부(222a)는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제9체결부(218)와 결합하며, 제3접속프레임(220)은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제9체결부(218)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때 제2광원(40)은 제4몸체(222)와 연결되어, 제4몸체(222)를 통하여 제2슬라이딩부재(2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3접속프레임(220)은 제2광원(4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제9체결부(218) 및 제4몸체(222)의 제10체결부(222a)는 상기 볼 소켓 조인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제9체결부(218)로는 제3볼(218a)이 형성되며, 제4몸체(222)의 제10체결부(222a)로는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제3볼(218a)과 결합할 수 있는 제3소켓(222a')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제3볼(218a)은 제4몸체(222)의 제3소켓(222a')과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접속프레임(220)은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제3볼(218a)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3접속프레임(220)은 제2광원(4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제9체결부(218) 및 제4몸체(222)의 제10체결부(222a)는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만능에이밍조명기구(10)는 제3연결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제9체결부(218)로는 제5회전축(미도시)이 형성되며, 제4몸체(222)의 제10체결부(222a)로는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상기 제5회전축과 서로 방향이 다른 제6회전축(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연결부재의 일단은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상기 제5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3연결부재의 타단은 제4몸체(222)의 상기 제6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제3접속프레임(220)은 상기 제3연결부재를 통하여 제2슬라이딩부재(2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광원(40)은 상기 제3연결부재를 통하여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상기 제5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제3연결부재를 통하여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상기 제5회전축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제4몸체(222)의 상기 제6회전축을 중심으로도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3접속프레임(220)은 제2광원(4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제3접속프레임(220)은 제6슬라이딩부재(224)를 가질 수 있다.
제6슬라이딩부재(224)는 제4몸체(222)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4몸체(222)와 결합할 수 있다. 그 결과, 제6슬라이딩부재(224)는 제4몸체(222)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때 제2광원(40)은 제3접속프레임(220)의 제6슬라이딩부재(224)와 연결되어, 제6슬라이딩부재(224)를 통하여 제4몸체(22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6슬라이딩부재(224)는 제2광원(40)이 조절된 상기 광의 상기 방향으로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슬라이딩부재(224)는 제4몸체(222)의 상기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6슬라이딩부재(224)는 제4몸체(222)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4몸체(222)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다르게는, 제6슬라이딩부재(224)는 제4몸체(222)가 제6슬라이딩부재(224)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13채널(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6슬라이딩부재(224)는 제6슬라이딩부재(224)의 상기 제13채널을 통하여 제4몸체(222)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4몸체(222)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제4몸체(222)는 제6슬라이딩부재(224)가 제4몸체(22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14채널(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6슬라이딩부재(224)는 제4몸체(222)의 상기 제14채널을 따라 제4몸체(222)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일례로,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능에이밍도로조명기구는 제7삽입체(50g)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6슬라이딩부재(224)는 제7삽입체(50g)가 제6슬라이딩부재(224)의 상기 외주면 및 상기 내주면을 관통하여 제6슬라이딩부재(224)의 상기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9관통홀(224a)이 형성되며, 제4몸체(222)의 상기 외주면에는 제7삽입체(50g)와 결합할 수 있는 제10관통홈(22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6슬라이딩부재(224) 및 제4몸체(222)는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9관통홀(224a) 및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10관통홈(222b)을 가지며, 제9관통홀(224a) 및 제10관통홈(222b)은 제4몸체(222)의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제6슬라이딩부재(224)가 제4몸체(222)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4몸체(222)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제6슬라이딩부재(224)의 제9관통홀(224a)은 제4몸체(222)의 제10관통홈(222b)과 대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7삽입체(50g)는 제6슬라이딩부재(224)의 제9관통홀(224a)을 통하여 제6슬라이딩부재(224)의 상기 내부로 삽입되어 제10관통홈(222b)과 결합할 수 있다. 그 결과, 제6슬라이딩부재(224)는 제4몸체(222)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4몸체(222)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멈출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4몸체(222)는 제1광원(3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슬라이딩부재(224)의 상기 내주면은 제9체결용 탄성돌기(224b)를 가지며, 제4몸체(222)의 상기 외주면은 제6슬라이딩부재(224)의 제9체결용 탄성돌기(224b)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9체결용 홈(222c)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6슬라이딩부재(224) 및 제4몸체(222)는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9체결용 탄성돌기(224b) 및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9체결용 홈(222c)을 가지며, 제9체결용 탄성돌기(224b) 및 제9체결용 홈(222c)은 제4몸체(222)의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제6슬라이딩부재(224)가 제4몸체(222)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4몸체(222)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제6슬라이딩부재(224)의 제9체결용 탄성돌기(224b)는 제4몸체(222)의 상기 외주면이 제9체결용 탄성돌기(224b)에 가하는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제6슬라이딩부재(224)가 제4몸체(222)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4몸체(222)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변형된 제9체결용 탄성돌기(224b)는 제4몸체(222)의 제9체결용 홈(222c)과 접촉하며, 제9체결용 탄성돌기(224b)의 상기 복원력에 의하여 제9체결용 홈(222c)과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9체결용 탄성돌기(224b)는 제9체결용 홈(222c)에 상기 억지 끼움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제6슬라이딩부재(224)는 제4몸체(222)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4몸체(222)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멈출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6슬라이딩부재(224)는 제1광원(3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제2이음부재(230)는 일단이 제3접속프레임(220)과 연결되며, 타단이 제2광원(40)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이음부재(230)는 상기 일단이 제3접속프레임(22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제3접속프레임(220)과 연결되며, 제3접속프레임(220)의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접속프레임(220)은 제4몸체(222) 및 제6슬라이딩부재(224)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이음부재(230)의 상기 일단은 제3접속프레임(220)의 제6슬라이딩부재(224)의 외주면과 연결되어, 제6슬라이딩부재(224)를 통하여 제4몸체(222)와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제2이음부재(230)의 상기 일단은 제11체결부(미도시)를 가지며, 제2이음부재(230)의 상기 일단과 대향하는 제3접속프레임(220)의 면은 상기 제11체결부와 연결될 수 있는 제12체결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이음부재(230)의 상기 타단은 제13체결부(미도시)를 가지며, 제2이음부재(230)의 상기 타단과 대향하는 제2광원(40)은 상기 제13체결부와 연결될 수 있는 제14체결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제11체결부 및 상기 제13체결부는 각각 제10체결용 탄성돌기(미도시) 및 제11체결용 탄성돌기(미도시)이며, 상기 제12체결부 및 상기 제14체결부는 각각 상기 제10체결용 탄성돌기 및 상기 제11체결용 탄성돌기와 연결될 수 있는 제10체결용 홈(미도시) 및 제11체결용 홈(미도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0체결용 탄성돌기 및 상기 제11체결용 탄성돌기는 각각 상기 제10체결용 홈 및 상기 제11체결용 홈에 상기 억지 끼움 고정될 수 있다.
다르게는 제2이음부재(230)의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은 제3접속프레임(220) 및 제2광원(40)과 각각 상기 용접을 통하여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2광원(40)은 제2슬라이딩부재(2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광원(40)은 지면(102)에 상기 광을 비춘다. 제2광원(40)은 예를 들어, LED램프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제2광원(40)은 제1접속프레임(160)과 연결되어, 제3접속프레임(220)을 통하여 제2슬라이딩부재(210)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는, 제3접속프레임(220)은 제4몸체(222) 및 제6슬라이딩부재(224)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광원(40)은 제3접속프레임(220)의 제6슬라이딩부재(224)와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240)은 지지암(120)과 연결되며, 제1광원(30), 제2광원(40)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240)은 지면(102)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241) 및 개구부(241)를 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내부공간(242)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광원(30), 제2광원(40)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발생하는 열은 하우징(240)의 개구부(241)를 통하여 상기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40)의 내부공간(242)은 제1영역(242a)과 제2영역(242b)으로 나뉠 수 있다. 이때 제1영역(242a)에는 연결프레임(130), 제1이음프레임(140), 제1슬라이딩부재(150), 제1광원(30), 제2이음프레임(200), 제2슬라이딩부재(210) 및 제2광원(40)(이하 광원조절부라 함)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영역(242b)은 소정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제2영역(242b)를 통하여 상기 광원조절부로 접근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작업자는 하우징(240)의 제2영역(242b)을 통하여 제1이음프레임(140)을 연결프레임(130)의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거나, 제1접속프레임(160)의 제3슬라이딩부재(164) 또는 제2접속프레임(180)의 제5슬라이딩부재(184)를 각각 제1몸체(162)의 상기 축방향 또는 제3몸체(182)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광원(3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자는 하우징(240)의 제2영역(242b)을 통하여 제1슬라이딩부재(150)를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광원(3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자는 하우징(240)의 제2영역(242b)을 통하여 제1접속프레임(160) 또는 제2접속프레임(180)을 각각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제1체결부(154) 또는 연결프레임(130)의 제3체결부(136)를 중심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광원(3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자는 하우징(240)의 제2영역(242b)을 통하여 제2슬라이딩부재(210)를 제2이음프레임(20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광원(4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자는 하우징(240)의 제2영역(242b)을 통하여 제3접속프레임(220)의 제6슬라이딩부재(224)를 제4몸체(222)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광원(4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자는 하우징(240)의 제2영역(242b)을 통하여 제3접속프레임(220)을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제9체결부(218)를 중심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광원(4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영역(242b)에는 전원공급부(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제1광원, 제2광원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하 전원공급대상이라 함)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대상에 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전원공급대상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작업자는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전원공급대상에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차단하거나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240)은 제2영역(242b)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문(2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문을 통하여 외부적인 환경들로부터 보호를 받을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만능에이밍조명기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의 (a)는 하우징 내부의 지지암과 연결된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의 ()는 gg'선에 따른 연결프레임과 제1이음프레임이 연결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만능에이밍조명기구(20)는 지주(110), 지지암(120), 연결프레임(300), 제1이음프레임(140), 제1슬라이딩부재(150) 및 제1광원(30)을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만능에이밍조명기구(10)는 제1접속프레임(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만능에이밍조명기구(10)는 제2접속프레임(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만능에이밍조명기구(10)는 제1이음부재(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만능에이밍조명기구(10)는 제2이음프레임(200), 제2슬라이딩부재(210) 및 제2광원(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만능에이밍조명기구(10)는 제3접속프레임(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만능에이밍조명기구(10)는 제2이음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만능에이밍조명기구(10)는 하우징(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앞서 상술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서술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연결프레임(3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가 변형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300)은 제2몸체(310) 및 제4슬라이딩부재(320)를 가질 수 있다.
제2몸체(310)는 지지암(120)의 상기 축방향과 상기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지지암(120)과 연결될 수 있다. 제2몸체(310)가 지지암(120)의 상기 축방향과 이루는 상기 각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102)방향으로 90도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연결프레임(300)의 제2몸체(310)의 일단이 지지암(120)의 제3관통홈(122)에 삽입될 수 있다. 예로서, 연결프레임(300)의 제2몸체(310)의 상기 일단은 지지암(120)의 제3관통홈(122)의 상기 내주면과 상기 나사결합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르게는 연결프레임(300)의 제2몸체(310)의 상기 일단은 지지암(120)의 제3관통홈(122)을 통하여 지지암(120)에 삽입된 후 상기 용접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연결프레임(300)은 지지암(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4슬라이딩부재(320)는 제2몸체(310)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2몸체(310)와 결합할 수 있다. 그 결과, 제4슬라이딩부재(320)는 제2몸체(310)의 상기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때 제1광원(30)은 연결프레임(300)의 제4슬라이딩부재(32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4슬라이딩부재(320)는 제1광원(3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몸체(310)는 제4슬라이딩부재(320)가 제2몸체(310)의 상기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15채널(310a)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4슬라이딩부재(320)는 제2몸체(310)의 제15채널(310a)을 따라 제2몸체(31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다르게는, 제4슬라이딩부재(320)는 제2몸체(310)가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16채널(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4슬라이딩부재(320)는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상기 제16채널을 통하여 제2몸체(310)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2몸체(31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제4슬라이딩부재(320)는 제2몸체(310)의 상기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4슬라이딩부재(320)는 제2몸체(310)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2몸체(31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일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능에이밍조명기구(20)는 제8삽입체(50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몸체(310)는 제8삽입체(50h)가 제2몸체(310)의 외주면 및 제2몸체(310)의 제15채널(310a)의 내주면 사이를 관통하여 제2몸체(310)의 제15채널(310a)로 삽입될 수 있는 제10관통홀(310b)이 형성되며,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상기 외주면에는 제2몸체(310)를 관통하여 제2몸체(310)의 상기 내부로 삽입된 제8삽입체(50h)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11관통홈(32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몸체(310) 및 제4슬라이딩부재(3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10관통홀(310b) 및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11관통홈(320a)을 가지며, 제10관통홀(310b) 및 제11관통홈(320a)은 제2몸체(310)의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제4슬라이딩부재(320)가 제2몸체(310)의 제15채널(310a)을 따라 제2몸체(31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제2몸체(310)의 제10관통홀(310b)은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제11관통홈(320a)과 대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8삽입체(50h)는 제2몸체(310)의 제10관통홀(310b)로 삽입되어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제11관통홈(320a)과 결합할 수 있다. 그 결과, 제4슬라이딩부재(320)는 제2몸체(310)의 제15채널(310a)을 따라 제2몸체(31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멈출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몸체(310)는 제1광원(3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몸체(310)의 제15채널(310a)의 상기 내주면은 제12체결용 탄성돌기(310c)를 가지며,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상기 외주면은 제2몸체(310)의 제12체결용 탄성돌기(310c)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12체결용 홈(320b)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몸체(310) 및 제4슬라이딩부재(3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12체결용 탄성돌기(310c) 및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12체결용 홈(320b)을 가지며, 제12체결용 탄성돌기(310c) 및 제12체결용 홈(320b)은 제2몸체(310)의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제4슬라이딩부재(320)가 제2몸체(310)의 제15채널(310a)을 따라 제2몸체(31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제12체결용 탄성돌기(310c)는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상기 외주면이 제2몸체(310)의 제12체결용 탄성돌기(310c)에 가하는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제4슬라이딩부재(320)가 제2몸체(310)의 제15채널(310a)을 따라 제2몸체(31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변형된 제12체결용 탄성돌기(310c)는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제12체결용 홈(320b)과 접촉하며, 제12체결용 탄성돌기(310c)의 상기 복원력에 의하여 제12체결용 홈(320b)과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2체결용 탄성돌기(310c)는 제12체결용 홈(320b)에 상기 억지 끼움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제4슬라이딩부재(320)는 제2몸체(310)의 상기 제15채널(310a)을 따라 제2몸체(31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멈출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몸체(310)는 제1광원(3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1이음프레임(140)은 제2몸체(310)의 상기 축방향과 상기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연결프레임(300)의 제4슬라이딩부재(320)와 연결된다. 제1이음프레임(140)이 제2몸체(310)의 상기 축방향과 이루는 상기 각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도 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이음프레임(140)은 연결프레임(300)의 제4슬라이딩부재(320)와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음프레임(140)은 연결프레임(300)의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상기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이음프레임(140)은 연결프레임(300)의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2몸체(31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다르게는, 제1이음프레임(140)은 연결프레임(300)의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타단이 제1이음프레임(14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17채널(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이음프레임(140)은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제17채널을 통하여 연결프레임(300)의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제2몸체(31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제1이음프레임(140)의 외주면에는 제1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며, 연결프레임(300)의 제4슬라이딩부재(320)에는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제1돌출부가 연결프레임(300)의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18채널(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이음프레임(140)은 연결프레임(300)의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상기 제18채널을 따라 제2몸체(31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300)의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외주면은 사각형인 형상을 가지며, 제1이음프레임(140)의 내주면은 연결프레임(300)의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상기 외주면의 상기 형상과 대응하여 연결프레임(300)의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상기 외주면과 밀착할 수 있는 상기 사각형의 상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연결프레임(300)의 제4슬라이딩부재(320)는 제1이음프레임(140)이 제2몸체(310)의 상기 축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연결프레임(300)의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상기 외주면의 형상 및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내주면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일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300)의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상기 외주면은 제1이음프레임(140)의 제1체결용 탄성돌기(142)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1체결용 홈(132)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제1체결용 탄성돌기(142)는 연결프레임(300)의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제1체결용 홈(132)과 결합할 수 있다. 이하 제1이음프레임(140)의 제1체결용 탄성돌기(142) 및 연결프레임(300)의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제1체결용 홈(132)의 구조 및 동작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다른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상기 외주면에는 제1삽입체(50a)와 결합할 수 있는 제4관통홈(134)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제4관통홈(134)은 제1이음프레임(140)의 제3관통홀(144)로 삽입된 제1삽입체(50a)와 결합할 수 있다. 이하 제1삽입체(50a), 제1이음프레임(140)의 제3관통홀(144) 및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제4관통홈(134)의 구조 및 동작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제1광원(30)은 연결프레임(300)의 제4슬라이딩부재(320)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광원(30)은 제2접속프레임(180)과 연결되어, 제2접속프레임(180)을 통하여 제4슬라이딩부재(3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접속프레임(180)은 연결프레임(300)제2몸체(310)의 상기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제2접속프레임(180)이 제2몸체(310)의 상기 축방향과 이루는 상기 각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102)방향으로 90도 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접속프레임(180)은 연결프레임(300)의 제4슬라이딩부재(32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프레임(300)의 제4슬라이딩부재(3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프레임(300)의 제4슬라이딩부재(320)는 외면에 제3체결부(136)를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제2접속프레임(180)의 제4체결부(182a)는 연결프레임(300)의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제3체결부(136)와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연결프레임(300)의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제3체결부 및 제2접속프레임(180)의 제4체결부(182a)의 구조 및 동작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도록 한다.
제2접속프레임(180)은 제3몸체(182) 및 제4슬라이딩부재(184)를 가질 수 있다. 제3몸체(182)는 연결프레임(300)의 상기 축방향과 상기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3몸체는 외면에 연결프레임(300)의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제3체결부(136)와 대향하여 연결프레임(300)의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제3체결부(136)와 회동가능하게 연결프레임(300)의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제3체결부(136)와 연결할 수 있는 제4체결부(182a)를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제3몸체(182)의 제4체결부(182a)는 연결프레임(300)의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제3체결부(136)와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연결프레임(300)의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제3체결부(136) 및 제3몸체(182)의 제4체결부(182a)의 구조 및 동작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도록 한다.
정리하면, 도 7에서 도시한 변형된 연결프레임(300)은 제1이음프레임(140) 또는 연결프레임(300)의 제4슬라이딩부재(320)가 연결프레임(300)의 제2몸체(31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제1광원(3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접속프레임(160)의 제3슬라이딩부재(164) 또는 제2접속프레임(180)의 제5슬라이딩부재(184)는 제1몸체(162)의 상기 축방향 또는 제3몸체(182)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제1광원(3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슬라이딩부재(150)는 제1이음프레임(14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제1광원(3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접속프레임(160) 또는 제2접속프레임(180)은 각각 제1슬라이딩부재(150)의 제1체결부(154) 또는 연결프레임(300)의 제4슬라이딩부재(320)의 제3체결부(136)를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제1광원(3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슬라이딩부재(210)는 제2이음프레임(200)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제2광원(4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3접속프레임(220)의 제6슬라이딩부재(224)는 제4몸체(222)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제2광원(4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3접속프레임(220)은 제2슬라이딩부재(210)의 제9체결부(218)를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제2광원(40)이 지면(102)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10, 20 : 만능에이밍도로조명기구
30 : 제1광원
40 : 제2광원
50a : 제1삽입체
50b : 제2삽입체
50c : 제3삽입체
50d : 제4삽입체
50e : 제5삽입체
50f : 제6삽입체
50g : 제7삽입체
50h : 제8삽입체
100 : 고정부재
102 : 지면
102 : 홈
110 : 지주
112 : 제2관통홈
120 : 지지암
122 : 제3관통홈
130, 300 : 연결프레임
132 : 제1체결용 홈
134 : 제4관통홈
136 : 제3체결부
136a : 제2볼
140 : 제1이음프레임
142 : 제1체결용 탄성돌기
144 : 제3관통홀
146 : 제5관통홈
148 : 제2체결용 홈
150 : 제1슬라이딩부재
151 : 제3채널
152 : 제2체결용 탄성돌기
153 : 제4관통홀
154 : 제1체결부
154a : 제1볼
155 : 제7체결용 홈
156 : 제8관통홈
160 : 제1접속프레임
162 : 제1몸체
162a : 제2체결부
162a' : 제1소켓
162b : 제6관통홈
162c : 제3체결용 홈
164 : 제3슬라이딩부재
164a : 제5관통홀
164b : 제3체결용 탄성돌기
180 : 제2접속프레임
182 : 제3몸체
182a : 제4체결부
182a' : 제2소켓
182b : 제7관통홈
182c : 제4체결용 홈
184 : 제5슬라이딩부재
184a : 제6관통홀
184b : 제4체결용 탄성돌기
190 : 제1이음부재
200 : 제2이음프레임
201 : 제7체결용 탄성돌기
202 : 제7관통홀
203 : 제9채널
204 : 제9관통홈
205 : 제8체결용 홈
210 : 제2슬라이딩부재
212 : 제11채널
214 : 제8관통홀
216 : 제8체결용 탄성돌기
218 : 제9체결부
218a : 제3볼
220 : 제3접속프레임
222 : 제4몸체
222a : 제10체결부
222a' : 제3소켓
222b : 제10관통홈
222c : 제9체결용 홈
224 : 제6슬라이딩부재
224a : 제9관통홀
224b : 제9체결용 탄성돌기
230 : 제2이음부재
240 : 하우징
241 : 개구부
242 : 내부공간
242a : 제1영역
242b : 제2영역
244 : 개폐문
310 : 제2몸체
310a : 제15채널
310b : 제10관통홀
310c : 제12체결용 탄성돌기
320 : 제4슬라이딩부재
320a : 제11관통홈
320b : 제12체결용 홈

Claims (10)

  1. 일단이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지주와 연결되는 지지암;
    상기 지지암의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지지암과 연결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의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연결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이음프레임;
    상기 제1이음프레임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1이음프레임과 결합하는 제1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연결프레임,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지면에 광을 비추는 제1광원을 포함하되,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제1이음프레임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제1광원이 상기 지면에 비추는 상기 광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제1이음프레임의 상기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접속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는 외면에 제1체결부를 가지고,
    상기 제1접속프레임은 외면에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의 상기 제1체결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제2체결부가 형성된 제1몸체를 가지며,
    상기 제1광원은 상기 제1몸체와 연결되어, 상기 제1몸체를 통하여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에 배치되되,
    상기 제1몸체의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의 상기 제1체결부와 결합하며, 상기 제1접속프레임은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의 상기 제1체결부를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제1광원이 상기 지면에 비추는 상기 광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만능에이밍조명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음프레임의 상기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이음프레임;
    상기 제2이음프레임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2이음프레임과 결합하는 제2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에 배치되며, 상기 지면에 상기 광을 비추는 제2광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제2이음프레임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제2광원이 상기 지면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만능에이밍조명기구.
  3. 일단이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지주와 연결되는 지지암;
    상기 지지암의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지지암과 연결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의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연결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이음프레임;
    상기 제1이음프레임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1이음프레임과 결합하는 제1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연결프레임,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지면에 광을 비추는 제1광원을 포함하되,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제1이음프레임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제1광원이 상기 지면에 비추는 상기 광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지지암의 상기 축방향과 상기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지지암과 연결되는 제2몸체; 및
    상기 제2몸체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2몸체와 결합하는 제4슬라이딩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1이음프레임은 상기 제2몸체의 상기 축방향과 상기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기 제4슬라이딩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제1광원은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기 제4슬라이딩부재에 배치되되,
    상기 제4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제2몸체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제1광원이 상기 지면에 비추는 상기 광의 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만능에이밍조명기구.
  4. 제1항 또는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프레임은
    상기 제1몸체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1몸체와 결합하는 제3슬라이딩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1광원은 상기 제1접속프레임의 상기 제3슬라이딩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제3슬라이딩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1몸체와 연결되며,
    상기 제3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제1몸체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제1광원이 상기 광의 상기 방향으로 상기 지면에 비추는 상기 광의 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만능에이밍조명기구.
  5. 일단이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지주와 연결되는 지지암;
    상기 지지암의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지지암과 연결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의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연결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이음프레임;
    상기 제1이음프레임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1이음프레임과 결합하는 제1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연결프레임,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지면에 광을 비추는 제1광원을 포함하되,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제1이음프레임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제1광원이 상기 지면에 비추는 상기 광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제1이음프레임의 상기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이음프레임;
    상기 제2이음프레임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2이음프레임과 결합하는 제2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에 배치되며, 상기 지면에 상기 광을 비추는 제2광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제2이음프레임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제2광원이 상기 지면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지지암의 상기 축방향과 상기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지지암과 연결되는 제2몸체; 및
    상기 제2몸체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2몸체와 결합하는 제4슬라이딩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1이음프레임은 상기 제2몸체의 상기 축방향과 상기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기 제4슬라이딩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제1광원은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기 제4슬라이딩부재에 배치되되,
    상기 제4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제2몸체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제1광원이 상기 지면에 비추는 상기 광의 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만능에이밍조명기구.
  6. 제3항 또는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상기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상기 제4슬라이딩부재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접속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4슬라이딩부재는 외면에 제3체결부를 가지고,
    상기 제2접속프레임은 외면에 상기 제4슬라이딩부재의 상기 제3체결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제4체결부가 형성된 제3몸체를 가지며,
    상기 제1광원은 상기 제3몸체와 연결되어, 상기 제3몸체를 통하여 상기 제4슬라이딩부재에 배치되되,
    상기 제2접속프레임의 상기 제4체결부는 상기 제4슬라이딩부재의 상기 제3체결부와 결합하며, 상기 제2접속프레임은 상기 제4슬라이딩부재의 상기 제3체결부를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제1광원이 상기 지면에 비추는 상기 광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만능에이밍조명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속프레임은
    상기 제3몸체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3몸체와 결합하는 제5슬라이딩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1광원은 상기 제2접속프레임의 상기 제5슬라이딩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제5슬라이딩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3몸체와 연결되며,
    상기 제5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제3몸체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제1광원이 상기 광의 방향으로 상기 지면에 비추는 상기 광의 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만능에이밍조명기구.
  8. 일단이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지주와 연결되는 지지암;
    상기 지지암의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지지암과 연결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의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연결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기 축방향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이음프레임;
    상기 제1이음프레임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1이음프레임과 결합하는 제1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연결프레임,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지면에 광을 비추는 제1광원을 포함하되,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제1이음프레임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제1광원이 상기 지면에 비추는 상기 광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제1이음프레임의 상기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이음프레임;
    상기 제2이음프레임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2이음프레임과 결합하는 제2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에 배치되며, 상기 지면에 상기 광을 비추는 제2광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제2이음프레임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제2광원이 상기 지면에 비추는 상기 광의 상기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이음프레임의 상기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접속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는 외면에 제9체결부를 가지고,
    상기 제3접속프레임은 외면에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의 상기 제9체결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제10체결부가 형성된 제4몸체를 가지며,
    상기 제2광원은 상기 제4몸체와 연결되어, 상기 제4몸체를 통하여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에 배치되되,
    상기 제4몸체의 제6체결부는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의 제5체결부와 결합하며, 상기 제3접속프레임은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의 상기 제9체결부를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제2광원이 상기 지면에 비추는 상기 광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만능에이밍조명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접속프레임은
    상기 제4몸체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4몸체와 결합하는 제6슬라이딩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2광원은 상기 제3접속프레임의 상기 제6슬라이딩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제6슬라이딩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4몸체와 연결되며,
    상기 제6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제4몸체의 상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제2광원이 상기 광의 상기 방향으로 상기 지면에 비추는 상기 광의 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만능에이밍조명기구.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과 연결되며, 상기 제1광원 및, 제2광원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제1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지면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공간은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나뉘되,
    상기 제1영역에는 상기 연결프레임, 상기 제1이음프레임,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 상기 제1광원, 상기 제2이음프레임,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제2광원-이하 광원조절부라 함-이 배치되며,
    상기 제2영역은 소정의 크기를 가져, 작업자는 상기 제2영역을 통하여 상기 광원조절부로 접근할 수 있는 만능에이밍조명기구.
KR1020160113113A 2016-09-02 2016-09-02 만능에이밍조명기구 KR101835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113A KR101835990B1 (ko) 2016-09-02 2016-09-02 만능에이밍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113A KR101835990B1 (ko) 2016-09-02 2016-09-02 만능에이밍조명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990B1 true KR101835990B1 (ko) 2018-03-07

Family

ID=61688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113A KR101835990B1 (ko) 2016-09-02 2016-09-02 만능에이밍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9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8316A (ja) 2003-11-21 2005-06-16 Denyo Co Ltd 投光機
KR100517052B1 (ko) 2003-06-02 2005-09-27 남민영 형태 변형이 가능한 조명등
JP2011060515A (ja) 2009-09-08 2011-03-2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照明器具
KR101635274B1 (ko) 2014-10-14 2016-06-30 한국광기술원 등기구의 배광각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052B1 (ko) 2003-06-02 2005-09-27 남민영 형태 변형이 가능한 조명등
JP2005158316A (ja) 2003-11-21 2005-06-16 Denyo Co Ltd 投光機
JP2011060515A (ja) 2009-09-08 2011-03-2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照明器具
KR101635274B1 (ko) 2014-10-14 2016-06-30 한국광기술원 등기구의 배광각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0967B2 (en) Housing for intelligent lights
KR20090043215A (ko) 가로등용 조명장치
KR101553506B1 (ko) 광 조사각 및 조사 방향 조절이 용이한 엘이디 조명장치
US20050018434A1 (en) Positional luminaire
KR101835990B1 (ko) 만능에이밍조명기구
CN203442735U (zh) 灯架结构及具有其的led灯具
KR101782069B1 (ko) Led 가로등
KR200471915Y1 (ko) 조명장치
CN206429879U (zh) 一种led照明装置
KR101580617B1 (ko) 빛의 조사구간 선택이 용이한 실외용 엘이디등기구
KR102648163B1 (ko) 보행등용 확산 가로등
CN203322822U (zh) 角度可调式多用途led灯
KR101329235B1 (ko) 등기구의 각도조절장치
KR101325098B1 (ko) 조명유닛
CN207213674U (zh) 一种变焦led灯
KR200169537Y1 (ko) 가로등 기구
KR20160024407A (ko) 호환성이 뛰어난 조사위치 조절형 실외용 엘이디램프
KR101547270B1 (ko) 조사방향 선택이 자유로운 엘이디램프 등기구
KR101604641B1 (ko) Led 램프 판넬 세트
CN217082361U (zh) 一种住宅绿色装修用可调节照明装置
CN220471510U (zh) 一种模组化led投光灯
CN208967528U (zh) 模组化灯体及模组化灯具
CN109931534A (zh) 一种便于更换灯芯的led筒灯
CN212805350U (zh) 一种六边形led投光灯灯组
CN211853658U (zh) 一种便于调节照射角度和安装的led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