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7052B1 - 형태 변형이 가능한 조명등 - Google Patents

형태 변형이 가능한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7052B1
KR100517052B1 KR10-2003-0035436A KR20030035436A KR100517052B1 KR 100517052 B1 KR100517052 B1 KR 100517052B1 KR 20030035436 A KR20030035436 A KR 20030035436A KR 100517052 B1 KR100517052 B1 KR 100517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amp
power supply
terminal
ligh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5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4048A (ko
Inventor
남민영
Original Assignee
남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민영 filed Critical 남민영
Priority to KR10-2003-0035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7052B1/ko
Publication of KR20040104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4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0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조명등을 설치시 형태을 자유롭게 변형하여 설치할 수 있는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본 출원인에 의해 동일자로 출원되는 '조명등용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함에 따라 여러 개의 조명등을 설치시 필요로 하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그 구성을,
다수의 조명등을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조명등 프레임의 중앙으로 외부 전원이 연결되어 움직이 자유롭게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단에는 양측면으로 전원공급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 내에서 다수의 리이드선으로 연결되게 장착되는 다수의 결합단자와; 내측면 양측으로 전원연결단자가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결합단자의 끝단으로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전원공급단자와 접촉되게 상기 프레임으로 움직임 자유롭게 고정되고 상기 다른 조명등 프레임으로 상기 결합단자를 향하도록 움직임 자유롭게 장착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과 다른 조명등 프레임으로 설치된 지지프레임 사이로 그 지지프레임의 각 전원연결단자와 접촉되게 양측면에 전원인가단자가 형성되어 슬라이드 결합되는 슬라이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 변형이 가능한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형태 변형이 가능한 조명등{A transformable lightig}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조명등을 설치시 형태을 자유롭게 변형하여 설치할 수 있는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본 출원인에 의해 동일자로 출원되는 '조명등용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함에 따라 여러 개의 조명등을 설치시 필요로 하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형태 변형이 가능한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조명등을 다양한 형태로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각 조명등으로 리이드선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극히 제한적인 형태로 설치될 수 밖에 없었으며, 즉 여러 개의 조명등을 원하는 형태로 배치하여 설치하는 과정에서 각 조명등으로의 전원 공급을 리이드선을 통하여 그 조명등과 조명등을 연결시킴에 따라 상기 조명등과 조명등 사이에서 리이드선이 노출되어 졌다.
그에 따라 그 노출되는 리이드선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설치하고자 하는 조명등을 극히 제안된 형태인 서로 밀착시켜 설치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여러 개의 조명등을 다양한 형태로 설치하고자 할 때에도 단순히 나열되는 형태로의 설치가 불가피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다향한 형태로의 설치가 이루어 지지 않았던 것이다.
이렇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종래에도 각 조명등과 조명등 사이로 노출되는 리이드선을 별도의 커버 프레임을 설치하여 리이드선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같은 경우에는 별도의 커버 프레임을 설치해야 하는 추가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작업의 번거러움은 물론 설치 상의 비용 또한 상승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별도의 커버 프레임을 설치시에는 무엇 보다도 여러 개의 조명등이 다양한 형태로 설치시 상기 커버 프레임에 의해 그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는 조명등과 조화(調和)가 이루어 지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그리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본 출원인에 동일자로 출원되는 '조명등용 전원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조명등을 설치시 필요로 하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조명등을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조명등 프레임의 중앙으로 외부 전원이 연결되어 움직이 자유롭게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단에는 양측면으로 전원공급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 내에서 다수의 리이드선으로 연결되게 장착되는 다수의 결합단자와; 내측면 양측으로 전원연결단자가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결합단자의 끝단으로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전원공급단자와 접촉되게 상기 프레임으로 움직임 자유롭게 고정되고 상기 다른 조명등 프레임으로 상기 결합단자를 향하도록 움직임 자유롭게 장착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과 다른 조명등 프레임으로 설치된 지지프레임 사이로 그 지지프레임의 각 전원연결단자와 접촉되게 양측면에 전원인가단자가 형성되어 슬라이드 결합되는 슬라이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나타낸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에 따른 A-A선의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이며, 도 2b는 도 1에 따른 B-B선의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이고, 도 2c는 도 1에 따른 C-C선의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조명등을 설치하는 것에 있어,
본 발명은 상기 다수의 조명등 중에서도 중앙으로 위치하는 하나의 조명등 프레임(100)의 상면 중앙으로 통상의 리이드선에 의해 외부 전원이 연결되고 덮개가 스크류 고정되어 통상적인 핀결합이나 스크류 및 리베팅 등에 의해 움직이 자유롭게 고정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외측단에는 양측면으로 전원공급단자(22)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 내에서 다수의 리이드선으로 연결되게 장착되는 다수의 결합단자(20)와;
내측면 양측으로 전원연결단자(32)가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결합단자의 끝단으로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전원공급단자와 접촉되게 상기 조명등의 프레임(100)으로 통상의 핀결합이나 스크류 및 리베팅 등에 의해 움직임 자유롭게 고정되고 상기 다른 조명등의 프레임(100a)으로 상기 결합단자를 향하도록 이도 통상의 핀결합이나 스크류 및 리베팅 등에 의해 움직임 자유롭게 장착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30)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과 다른 조명등 프레임으로 설치된 지지프레임 사이로 그 지지프레임의 각 전원연결단자와 접촉되게 양측면에 전원인가단자(42)가 형성되어 슬라이드 결합되는 슬라이드부재(40)를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정중앙에 위치하는 조명등의 프레임은 공지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천정이나 벽 등으로 고정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다수의 조명등이 설치된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을 함에 따라 상기 중앙으로 설치되는 조명등의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그 조명등의 프레임(100)으로 다수의 결합단자(20)가 장착되어 움직임 자유로이 설치된 본체(10)와 그 결합단자로 일측이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으로 움직임 자유로이 설치된 지지프레임(30)과 다른 조명등의 프레임(100a)으로 움직임 자유로이 설치된 지지프레임(30)을 슬라이드부재(40)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중앙으로 설치된 조명등의 프레임을 기점으로 양측으로 위치한 다른 조명등의 프레임을 일정 간격으로 슬라이딩시켜 이격되게 설치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중앙으로 위치하여 설치된 조명등의 프레임에서 그 측으로 설치된 다른 조명등의 프레임을 슬라이딩하여 이격시킬 때, 각 프레임으로 설치된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으로 슬라이드 결합된 슬라이드부재를 사이에 두고 슬라이드됨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원연결단자와 그 슬라이드부재의 전원인가단자는 접촉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전원은 원활하게 공급하게 됨과 아울러 그 슬라이드부재가 지지대 역할을 하여 서로 이격된 상태로의 조명등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슬라이드부재에 결합되는 다른 조명등의 프레임(100a)으로 전원 공급을 위해 조명등의 프레임(100a)과 그에 결합된 지지프레임(30)을 일체로 관통하는 관통공(35)을 형성하고,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전원공급편에 납땜이나 커넥터 접속 등의 통상적인 접속방법에 의해 접속되는 전원선이 관통공을 통해 조명등의 프레임(100a)의 내측으로 연결되어 조명등과 접속되도록 한다.이에 따라, 다수의 조명등 프레임이 결합되더라도 외부의 전원이 결합단자(20)와 지지프레임(30) 및 슬라이드부재(40)를 거쳐 각각의 조명등 프레임으로 공급되게 되어 조명등의 원활한 점등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다수의 조명등이 변형된 형태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을 함에 따라 도 2와 같이 중앙으로 설치되는 조명등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으로 위치한 다른 조명등을 이격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렇게 이격되게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각 조명등의 프레임(100)(100a)으로 설치된 본체(10)나 지지프레임(30)이 움직임 자유로이 설치됨에 따라 상기 중앙으로 설치된 조명등의 프레임(100)을 기점으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양측으로 위치하는 다른 조명등의 프레임(100a)이 상,하측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전원 공급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에 의해 각 단자 간에 접촉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이므로, 전원은 원활하게 공급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중앙에 설치되는 조명등을 기점으로 그 양측으로 설치되는 다른 조명등을 다른 변형된 형태로의 설치가 간편하면서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해 다수의 조명등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을 함에 따라 중앙으로 설치되는 조명등의 프레임(100)을 기점으로 양측 및 상하로도 다른 조명등의 프레임(100a)을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 결합단자, 지지프레임 및 슬라이드부재를 같은 방식으로 상호 연결되게 설치함에 따라 서로 다른 조명등을 이격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점쇄선과 같이 상호 대응되는 위치의 기울기를 갖도록 변형된 형태로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해 다수의 조명등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을 함에 따라 이도 상기한 조명등의 프레임(100)을 기점으로 양측 및 상하로 위치하는 각각의 다른 조명등의 프레임(100a)으로 상기한 본체, 결합단자, 지지프레임 및 슬라이드부재를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상호 연결 설치함에 따라 상당히 많은 조명등을 전원 공급에 따른 리이드선의 노출됨 없이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뿐만 아니라 형태변형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도 가지는 것이다.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해 다수의 조명등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을 함에 따라 중앙으로 설치되는 조명등의 프레임(100)으로 다른 조명등의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중앙의 조명등 프레임으로 장착된 본체로 결합단자를 일측과 하측으로만 장착하여 조명등을 필요로 하는 형태인 기억('ㄱ')자 형태로도 설치가 용이함과 동시에 이 또한 중앙의 조명등 프레임을 기점으로 다른 조명등의 프레임을 경사지게 변형시켜 설치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지는 것이다.
도 5d는 본 발명에 의해 다수의 조명등이 설치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을 함에 따라 중앙으로 설치되는 조명등의 프레임(100)으로 장착된 본체로 결합단자를 양측과 하측으로만 장착하여 조명등을 필요로 하는 형태인 티('T')자 형태로도 설치가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이도 중앙의 조명등 프레임(100)을 기점으로 다른 조명등의 프레임(100a)을 경사지게 변형시켜 설치할 수 있는 조건도 구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동일자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는 '전원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조명등을 설치시 한 형태로의 설치가 아닌 필요로 하는 다양한 형태로의 조명등을 전원공급에 따른 리이드선의 노출없이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다수의 조명등을 필요로 하는 형태로 간편하면서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나타낸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
도 2a는 도 1에 따른 A-A선의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
도 2b는 도 1에 따른 B-B선의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
도 2c는 도 1에 따른 C-C선의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다수의 조명등이 설치된 실시예.
도 4는 도 3에 따른 다수의 조명등이 변형된 형태의 다른 실시예.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해 다수의 조명등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예.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해 다수의 조명등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예.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해 다수의 조명등이 설치된 또 다른 실시예.
도 5d는 본 발명에 의해 다수의 조명등이 설치되 또 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결합단자
22 : 전원공급단자
30 : 지지프레임
32 : 전원연결단자
40 : 슬라이드부재
42 : 전원인가단자
100,100a : 조명등 프레임

Claims (1)

  1. 다수의 조명등을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조명등 프레임(100)의 중앙으로 외부 전원이 연결되어 움직이 자유롭게 고정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외측단에는 양측면으로 전원공급단자(22)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 내에서 다수의 리이드선으로 연결되게 장착되는 다수의 결합단자(20)와;
    내측면 양측으로 전원연결단자(32)가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결합단자의 끝단으로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전원공급단자와 접촉되게 상기 프레임으로 움직임 자유롭게 고정되고 상기 다른 조명등 프레임(100a)으로 상기 결합단자를 향하도록 움직임 자유롭게 장착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30)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과 다른 조명등 프레임으로 설치된 지지프레임 사이로 그 지지프레임의 각 전원연결단자와 접촉되게 양측면에 전원인가단자(42)가 형성되어 슬라이드 결합되는 슬라이드부재(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 변형이 가능한 조명등.
KR10-2003-0035436A 2003-06-02 2003-06-02 형태 변형이 가능한 조명등 KR100517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436A KR100517052B1 (ko) 2003-06-02 2003-06-02 형태 변형이 가능한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436A KR100517052B1 (ko) 2003-06-02 2003-06-02 형태 변형이 가능한 조명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048A KR20040104048A (ko) 2004-12-10
KR100517052B1 true KR100517052B1 (ko) 2005-09-27

Family

ID=37379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5436A KR100517052B1 (ko) 2003-06-02 2003-06-02 형태 변형이 가능한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70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536B1 (ko) 2015-11-03 2017-03-08 안욱진 다변형 조명등 및 이의 거치대
KR101835990B1 (ko) 2016-09-02 2018-03-07 대구광역시 달서구 만능에이밍조명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333A (ko) 2009-07-28 2011-0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KR102139608B1 (ko) * 2019-05-15 2020-07-30 박병기 엣지형 조명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536B1 (ko) 2015-11-03 2017-03-08 안욱진 다변형 조명등 및 이의 거치대
KR101835990B1 (ko) 2016-09-02 2018-03-07 대구광역시 달서구 만능에이밍조명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048A (ko) 200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20098B2 (ja) ヒートシンク付きledコネクタ組立体
JP5806767B2 (ja) 照明装置
US20090310354A1 (en) Interconnection arrangement having mortise and tenon connection features
US8820971B2 (en) Decorative and functional light-emitting device lighting fixtures
US20200224839A1 (en) High-bay luminaire
CN105889782B (zh) 转接头、照明装置
CN203836632U (zh) 直管形灯以及照明装置
KR100517052B1 (ko) 형태 변형이 가능한 조명등
CA2474478A1 (en)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border lighting
KR101601390B1 (ko) 직관형 led 램프
KR100517051B1 (ko) 조명등용 전원 공급장치
KR102061657B1 (ko) 모듈 탈착식 led 조명등
US11428392B2 (en) Lighting apparatus
CN110553191B (zh) 一种基础照明和重点照明的组合式灯具
JP7428956B2 (ja) 照明器具
KR102073866B1 (ko) 탈부착형 천장등
US20190331324A1 (en) Clamping bracket for a driver of a lighting fixture
CN218820043U (zh) 一种吸顶灯
CN111947048B (zh) 一种自锁型模块化led灯
JP7311840B2 (ja) 照明装置およびそのリニューアル方法
CN212537647U (zh) 一种led吸顶灯具
CN210891500U (zh) 灯体连接件及照明灯具
JP2010080158A (ja) 照明点灯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H0724738Y2 (ja) 照明器具
KR200367568Y1 (ko) 천정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