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804B1 - 케이블의 윤활제 도포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의 윤활제 도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804B1
KR101834804B1 KR1020170104420A KR20170104420A KR101834804B1 KR 101834804 B1 KR101834804 B1 KR 101834804B1 KR 1020170104420 A KR1020170104420 A KR 1020170104420A KR 20170104420 A KR20170104420 A KR 20170104420A KR 101834804 B1 KR101834804 B1 KR 101834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block
lubricant
support
rotat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조
Original Assignee
씨피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피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피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4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6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by rubbing contact, e.g. by brushes, by pad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이 포설되면서 자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중 그 케이블의 표면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기술로서, 땅속에 케이블을 포설할 때 그 포설되는 케이블이 맨홀을 통해 땅속으로 이동하는 중 그 맨홀 주변에서 그 케이블의 외표면에 윤활제를 자동으로 도포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트롤러를 통한 펌핑부의 펌핑 압력 조정으로 토출블록의 토출압력을 조절함에 따라 케이블의 외표면에 대한 윤활제의 도포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Description

케이블의 윤활제 도포 장치 {lubricant application device for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이 포설되면서 자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중 그 케이블의 표면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땅속에 케이블을 포설할 때 그 포설되는 케이블이 맨홀을 통해 땅속으로 이동하는 중 그 맨홀 주변에서 그 케이블의 외표면에 윤활제를 자동으로 도포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전봇대 없이 땅속으로 케이블(예: 전선)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케이블이 땅속에 미리 설치된 관로를 경유한다.
[도 1]은 케이블이 포설되는 지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로서, 지중의 관로(30)는 대략 400미터 정도 길이로 형성되며, 그 관로(30)의 각 단부에 제 1 맨홀(10)과 제 2 맨홀(20)이 연결되어 지상으로 통한다. 이때, 그 관로(30)의 내측에는 복수 개의 끈이 관로(30) 형성시부터 미리 마련된다.
여기서, 제 1 맨홀(10) 주변에 롤링된 상태의 케이블이 구비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제 1 맨홀(10) 속으로 들어가 그 케이블의 선단부를 관로(30) 내의 끈에 묶는다.
그리고, 작업자가 제 2 맨홀(20) 속으로 들어가 관로(30) 내의 끈을 제 2 맨홀(20) 주변에 위치하는 포설장치에 연결한다.
이어서, 포설장치가 동작하여 관로(30) 내의 끈을 당기면 제 1 맨홀(10)로 진입하는 케이블은 자신이 연결된 끈을 따라 관로(30)를 경유하여 제 2 맨홀(20) 밖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관로(30)는 직선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여러번 꺾이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 결과, 관로(30)를 경유하는 케이블의 피복에 상처가 나거나 그 케이블이 관로(30)를 따라 이동하는데 있어서 원활하지 못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관로(30)를 경유하는 케이블의 이송시 그 케이블의 외표면에 윤활제를 자동으로 도포하는 장치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제 1 맨홀(10)로 진입하는 케이블은 제 2 맨홀(20) 주변의 포설장치가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 움직이게 되므로 그 케이블은 이리저리 흔들리거나 꼬이는 외력을 받게 된다.
이러한 외력에도 불구하고 케이블이 맨홀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그 케이블의 외표면에 윤활제가 원활하게 도포되도록 하는 장치의 구현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력에 의해 땅속으로 포설 중인 케이블에 대해 안정적으로 윤활제를 도포할 수 있는 케이블의 윤활제 도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의 직경 또는 포설 중인 케이블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그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롤링 수단의 구조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는 케이블의 윤활제 도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블이 포설되면서 자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중 그 케이블의 표면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장치로서, 베이스(110); 베이스의 상면에 거치되어 제자리 회전하며 외력에 의해 이송중인 케이블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하부 회전롤러(120); 하부 회전롤러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로 하부 회전롤러와 협동으로 제자리 회전하면서 이송중인 케이블의 상부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상부 회전롤러(130); 복수 개의 상부 회전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하방향으로 액상의 윤활제를 낙하시키는 토출블록(140); 토출블록으로부터 낙하되는 윤활제가 자신의 외표면에 떨어지도록 토출블록의 연직하부에 배치된 상태로 제자리 회전하면서 자신의 외표면에 붙어있는 액상의 윤활제를 이송중인 케이블의 표면에 도포하는 회전 브러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회전 브러쉬(150)는, 상부 회전롤러와 하부 회전롤러 사이에 맞물려 이송중인 케이블의 상부 외표면에 액상의 윤활제를 도포하도록 복수 개의 상부 회전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 브러쉬(151); 상부 회전롤러와 하부 회전롤러 사이에 맞물려 이송중인 케이블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부 브러쉬와 소정 거리 이격배치되며 상부 회전롤러와 하부 회전롤러 사이에 맞물려 이송중인 케이블의 하부 외표면에 액상의 윤활제를 도포하도록 복수 개의 하부 회전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 브러쉬(1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회전롤러(13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그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블록(131); 제 1 지지블록과 대향하는 상부 회전롤러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그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블록(132); 제 1 지지블록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베이스에 고정되는 제 1 로드부(133); 제 2 지지블록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베이스에 고정되는 제 2 로드부(134); 제 1,2 로드부에 관통된 상태로 제 1,2 지지블록의 상면에 안착되며 제 1,2 로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1,2 지지블록과 일체로 움직이는 블록고정 플레이트(135); 블록고정 플레이트의 연직 상부에 블록고정 플레이트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제 1,2 로드부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지지 플레이트(136); 지지 플레이트를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한 후 하단부가 블록고정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지지 플레이트와의 나사결합에 따른 회전에 따라 블록고정 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나사봉(13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토출블록(140)은 회전 브러쉬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속이 빈 사면체의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의 내측에 채워지는 액상의 윤활제를 회전 브러쉬에 균일하게 낙하시킬 수 있도록 저면에 다수의 관통홀(14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토출블록과 호스로 연결되어 토출블록에 액상의 윤활제를 공급하는 탱크부; 토출블록으로부터 탱크부로 공급되는 액상의 윤활제를 소정 압력으로 펌핑시키는 펌핑부; 펌핑부의 펌핑 압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하부 회전롤러(120)는 이송중인 케이블의 하부가 끼워지도록 자신이 회전하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 절개된 하부 절개홈(120a)이 자신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될 수 있고, 상부 회전롤러(130)는 이송중인 케이블의 상부가 끼워지도록 자신이 회전하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 절개된 상부 절개홈(130a)이 자신의 길이 방향으로 하부 절개홈에 대응하여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케이블의 직경 또는 포설 중인 케이블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그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롤링 수단의 구조를 간편하게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외력에 의해 땅속으로 포설 중인 케이블에 대해 안정적으로 윤활제를 도포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컨트롤러를 통한 펌핑부의 펌핑 압력 조정으로 토출블록의 토출압력을 조절함에 따라 케이블의 외표면에 대한 윤활제의 도포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도 나타낸다.
[도 1]은 케이블이 포설되는 지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의 윤활제 도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일부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2]의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블록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케이블이 포설되는 지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의 윤활제 도포 장치는 제 1 맨홀(10)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관로(30)를 통해 제 1 맨홀(10)과 연통되는 제 2 맨홀(20)의 주변에는 포설장치(미도시)가 배치된다. 그 포설장치는 관로(30) 내의 끈을 통해 제 1 맨홀(10)로 진입하는 케이블을 제 2 맨홀(20) 부분까지 끌어당긴다.
그 결과, 제 1 맨홀(10)로 진입하는 케이블은 그 선단부가 포설장치로부터 받는 외력에 의해 이리저리 움직이거나 비틀리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의 윤활제 도포 장치는 케이블의 선단부가 포설장치로부터 받는 외력에도 불구하고 그 케이블의 외표면에 윤활제를 원활하게 도포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의 윤활제 도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일부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케이블(C)이 포설되면서 자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중 그 케이블(C)의 표면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장치로서, 베이스(110), 하부 회전롤러(120), 상부 회전롤러(130), 제 1 지지블록(131), 제 2 지지블록(132), 제 1 로드부(133), 제 2 로드부(134), 블록고정 플레이트(135), 지지 플레이트(136), 나사봉(137), 토출블록(140), 회전 브러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110)는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 형태의 몸체로부터 그 몸체의 양단부가 상방향으로 절곡됨에 따라 [도 2]에서와 같이 각각의 베이스 측벽(111,112)이 마련된다.
하부 회전롤러(120)는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베이스(110)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복수 개의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하부 회전롤러(120)는 베이스(110)의 상면에 거치되고 자신의 양단부가 각각의 베이스 측벽(111,112)에 연결되어 제자리 회전하며 외부 포설장치의 구동력에 따라 이송중인 케이블(C)의 하부를 가이드한다.
여기서, 본 발명을 경유하는 케이블(C)은 포설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움직이게 되므로 하부 회전롤러(120)는 능동적인 회전운동 없이 케이블(C)의 움직임에 다라 피동적으로 가이드하는 제자리 회전을 한다.
한편, 하부 회전롤러(120)는 바람직하게는 이송중인 케이블(C)의 하부가 끼워지도록 자신이 회전하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 절개된 하부 절개홈(120a)이 자신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된다.
상부 회전롤러(130)는 하부 회전롤러(120)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로 하부 회전롤러(120)와 협동으로 제자리 회전하면서 이송중인 케이블(C)의 상부를 가이드한다.
여기서도, 상부 회전롤러(130)는 하부 회전롤러(120)와 마찬가지로 능동적인 회전운동 없이 케이블(C)의 움직임에 다라 피동적으로 가이드하는 제자리 회전을 한다.
다른 한편, 상부 회전롤러(130)는 바람직하게는 이송중인 케이블(C)의 상부가 끼워지도록 자신이 회전하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 절개된 상부 절개홈(130a)이 자신의 길이 방향으로 하부 절개홈(120a)에 대응하여 복수 개 형성된다.
이때, 제 1 지지블록(131)은 상부 회전롤러(13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그 일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제 2 지지블록(132)은 제 1 지지블록(131)과 대향하는 상부 회전롤러(130)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그 타단부를 지지한다.
그리고, 제 1 로드부(133)는 제 1 지지블록(131)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베이스 측벽(111)에 고정되고, 제 2 로드부(134)는 제 2 지지블록(132)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베이스 측벽(112)에 고정된다.
여기서, 블록고정 플레이트(135)는 제 1,2 로드부(133,134)에 관통된 상태로 제 1,2 지지블록(131,132)의 상면에 안착되며 제 1,2 로드부(133,134)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1,2 지지블록(131,132)과 일체로 움직인다.
그리고, 지지 플레이트(136)는 블록고정 플레이트(135)의 연직 상부에 블록고정 플레이트(135)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제 1,2 로드부(133,134)의 상단부에 고정된다.
또한, 나사봉(137)은 지지 플레이트(136)를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한 후 자신의 하단부가 블록고정 플레이트(135)에 연결된다. 여기서, 나사봉(137)은 지지 플레이트(136)와의 나사결합에 따른 회전으로 블록고정 플레이트(135)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나사봉(137)의 시계방향/반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136)에 대해 상부 회전롤러(130), 제 1,2 지지블록(131,132), 블록고정 플레이트(135)는 일체로 제 1,2 로드부(133,134)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토출블록(140)은 복수 개의 상부 회전롤러(130) 사이에 배치되어 하방향으로 액상의 윤활제를 낙하시킨다. 이를 위해, 토출블록(140)은 호스(210)를 통해 윤활제를 담고 있는 탱크부(미도시)에 연결되어 그 호스(210)를 통해 탱크부로부터 윤활제를 제공받는다.
회전 브러쉬(150)는 토출블록(140)으로부터 낙하되는 윤활제가 자신의 외표면에 떨어지도록 토출블록(140)의 연직하부에 배치되며, 현재 위치에서 제자리 회전함에 따라 자신의 외표면에 붙어있는 액상의 윤활제를 이송중인 케이블(C)의 표면에 도포한다.
여기서, 회전 브러쉬(150)는 바람직하게는 상부 브러쉬(151)와 하부 브러쉬(152)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브러쉬(151)는 [도 4]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상부 회전롤러(130)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상부 회전롤러(130)와 하부 회전롤러(120) 사이에 맞물려 이송중인 케이블(C)의 상부 외표면에 액상의 윤활제를 도포한다.
하부 브러쉬(152)는 상부 회전롤러(130)와 하부 회전롤러(120) 사이에 맞물려 이송중인 케이블(C)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부 브러쉬(151)와 소정 거리 이격배치되되 복수 개의 하부 회전롤러(130)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상부 회전롤러(130)와 하부 회전롤러(120) 사이에 맞물려 이송중인 케이블(C)의 하부 외표면에 액상의 윤활제를 도포한다.
한편, 탱크부(미도시)는 토출블록(140)과 호스(210)로 연결되어 토출블록(140)에 액상의 윤활제를 공급하고, 펌핑부(미도시)는 토출블록(140)으로부터 탱크부로 공급되는 액상의 윤활제를 소정 압력으로 펌핑시킨다.
여기서, 컨트롤러(미도시)는 펌핑부의 펌핑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토출블록(140)의 하방향으로 낙하되는 윤활제의 양을 조정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의 (a)는 나사봉(137)의 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136)에 대해 상부 회전롤러(130), 제 1,2 지지블록(131,132), 블록고정 플레이트(135)가 일체로 제 1,2 로드부(133,134)를 따라 연직 상방향으로 움직인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의 (b)는 나사봉(137)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136)에 대해 상부 회전롤러(130), 제 1,2 지지블록(131,132), 블록고정 플레이트(135)가 일체로 제 1,2 로드부(133,134)를 따라 연직 하방향으로 움직인 상태를 나타낸다.
즉, 베이스(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설치된 각각의 상부 회전롤러(130)와 하부 회전롤러(120) 간 거리를 각각의 나사봉(137)을 통해 독립적으로 조정함에 따라 하나의 맨홀로 진입하는 케이블(C)은 다른 하나의 맨홀 주변에 설치된 포설장치가 끌어당기는 외력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그 안정적으로 이동하는 케이블(C)의 외표면에 대한 윤활제의 도포작업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블록을 발췌하여 확대 분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토출블록(140)은 자신의 연직 하부에 배치되는 회전 브러쉬(15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속이 빈 사면체의 블록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토출블록(140)은 바람직하게는 저면에 다수의 관통홀(141)을 형성함에 따라 자신의 내측에 채워지는 액상의 윤활제를 자신의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 브러쉬(150)에 균일하게 낙하시킬 수 있다.
한편, 토출블록(140)의 상면에는 탱크부와 연통되는 호스(210)의 일단부가 끼워지는 주입공(142)이 형성될 수 있다.
10 : 제 1 맨홀
20 : 제 2 맨홀
30 : 관로
110 : 베이스
111, 112 : 베이스 측벽
120 : 하부 회전롤러
120a : 하부 절개홈
130 : 상부 회전롤러
130a : 상부 절개홈
131 : 제 1 지지블록
132 : 제 2 지지블록
133 : 제 1 로드부
134 : 제 2 로드부
135 : 블록고정 플레이트
136 : 지지 플레이트
137 : 나사봉
140 : 토출블록
141 : 관통홀
142 : 주입공
150 : 회전 브러쉬
151 : 상부 브러쉬
152 : 하부 브러쉬
161 : 제 3 지지블록
162 : 제 4 지지블록
163 : 제 5 지지블록
164 : 제 6 지지블록
210 : 호스
C : 케이블

Claims (6)

  1. 케이블이 포설되면서 자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중 그 케이블의 표면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장치로서,
    베이스(110);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거치되어 제자리 회전하며 외력에 의해 이송중인 케이블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하부 회전롤러(120);
    상기 하부 회전롤러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하부 회전롤러와 협동으로 제자리 회전하면서 이송중인 케이블의 상부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상부 회전롤러(130);
    상기 복수 개의 상부 회전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하방향으로 액상의 윤활제를 낙하시키는 토출블록(140);
    상기 토출블록으로부터 낙하되는 윤활제가 자신의 외표면에 떨어지도록 상기 복수 개의 상부 회전롤러 사이에 대응하는 상기 토출블록의 연직하부에 배치된 상태로 제자리 회전하면서 자신의 외표면에 붙어있는 액상의 윤활제를 상기 상부 회전롤러와 상기 하부 회전롤러 사이에 맞물려 이송중인 케이블의 상부 외표면에 도포하는 상부 브러쉬(151)와, 상기 토출블록으로부터 낙하되는 윤활제가 자신의 외표면에 떨어지도록 상기 복수 개의 하부 회전롤러 사이에 대응하는 상기 토출블록의 연직하부에 배치된 상태로 제자리 회전하면서 자신의 외표면에 붙어있는 액상의 윤활제를 상기 상부 회전롤러와 상기 하부 회전롤러 사이에 맞물려 이송중인 케이블의 하부 외표면에 도포하는 하부 브러쉬(152)를 구비하는 회전 브러쉬(1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케이블의 윤활제 도포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회전롤러(13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그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블록(131);
    상기 제 1 지지블록과 대향하는 상기 상부 회전롤러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그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블록(132);
    상기 제 1 지지블록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제 1 로드부(133);
    상기 제 2 지지블록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제 2 로드부(134);
    상기 제 1,2 로드부에 관통된 상태로 상기 제 1,2 지지블록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제 1,2 로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1,2 지지블록과 일체로 움직이는 블록고정 플레이트(135);
    상기 블록고정 플레이트의 연직 상부에 상기 블록고정 플레이트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 1,2 로드부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지지 플레이트(136);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한 후 하단부가 상기 블록고정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의 나사결합에 따른 회전에 따라 상기 블록고정 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나사봉(137);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윤활제 도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토출블록(140)은 상기 회전 브러쉬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속이 빈 사면체의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의 내측에 채워지는 액상의 윤활제를 상기 회전 브러쉬에 균일하게 낙하시킬 수 있도록 저면에 다수의 관통홀(1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윤활제 도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토출블록과 호스로 연결되어 상기 토출블록에 액상의 윤활제를 공급하는 탱크부;
    상기 토출블록으로부터 상기 탱크부로 공급되는 액상의 윤활제를 소정 압력으로 펌핑시키는 펌핑부;
    상기 펌핑부의 펌핑 압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윤활제 도포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부 회전롤러(120)는 이송중인 케이블의 하부가 끼워지도록 자신이 회전하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 절개된 하부 절개홈(120a)이 자신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회전롤러(130)는 이송중인 케이블의 상부가 끼워지도록 자신이 회전하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 절개된 상부 절개홈(130a)이 자신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하부 절개홈에 대응하여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윤활제 도포 장치.
KR1020170104420A 2017-08-17 2017-08-17 케이블의 윤활제 도포 장치 KR101834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420A KR101834804B1 (ko) 2017-08-17 2017-08-17 케이블의 윤활제 도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420A KR101834804B1 (ko) 2017-08-17 2017-08-17 케이블의 윤활제 도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4804B1 true KR101834804B1 (ko) 2018-03-06

Family

ID=61727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420A KR101834804B1 (ko) 2017-08-17 2017-08-17 케이블의 윤활제 도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8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6393A (zh) * 2020-02-27 2021-08-27 CpK室内装饰材料股份有限公司 氨基甲酸酯和石墨烯内部饰板
CN117225638A (zh) * 2023-11-13 2023-12-15 兴化市新光合金材料有限公司 一种不锈钢丝表面涂油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9519A (ja) * 2000-04-25 2001-11-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管路内へのケーブル送込み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9519A (ja) * 2000-04-25 2001-11-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管路内へのケーブル送込み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6393A (zh) * 2020-02-27 2021-08-27 CpK室内装饰材料股份有限公司 氨基甲酸酯和石墨烯内部饰板
CN117225638A (zh) * 2023-11-13 2023-12-15 兴化市新光合金材料有限公司 一种不锈钢丝表面涂油设备
CN117225638B (zh) * 2023-11-13 2024-02-23 兴化市新光合金材料有限公司 一种不锈钢丝表面涂油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804B1 (ko) 케이블의 윤활제 도포 장치
US11146047B2 (en) Cable pulling apparatus for cable tray
US784541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jecting or retrieving tubewire into or out of coiled tubing
KR102149670B1 (ko) 송전용 지중케이블 와인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송전용 지중케이블 설치시스템
KR102374358B1 (ko) 케이블포설장치
KR100911238B1 (ko) 배전선의 배전위치 조정대
US11241820B2 (en) Machine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laying cables in a helix on the outer surface of a unit element of a fluid transport duct
KR20130053770A (ko)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
US3934647A (en) Pipe laying system
KR100923920B1 (ko) 케이블 포설용 써포트 로울러
KR102616987B1 (ko) 케이블 포설장치용 이동대차, 케이블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
KR102329579B1 (ko) 전선 케이블 포설장치
KR20120127082A (ko) 트레이의 케이블 포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
DE202012004882U1 (de) Rohrführungseinrichtung, Rohrschieber und Rollenbock
US20180266416A1 (en) Grouting material delivery and application system
KR101771688B1 (ko)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매설 및 고정장치
KR102081258B1 (ko) 배전선로의 작업시 안전 장치
CN205578901U (zh) 一种可调节电缆支架
US20190219216A1 (en) Internal Pipe Lining System Having Self-Propelled, Self-Powered Propulsion Devices
EP3306170A1 (en) Calibrating device
AT515064A1 (de) Verfahren zur gleichzeitigen Einbringung einer Mehrzahl von Rohren in ein Leerrohr und Rohrbündelvorschubeinrichtung
US2906499A (en) Directional drilling apparatus
GB2488026A (en) Frame and cradle for launching self-propelled mole into sidewall of pit
KR101120958B1 (ko) 자주식 일체화 지중 관로 포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관로 포설공법
KR102125972B1 (ko) 전선 권취드럼 거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