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538B1 - 다중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승강되는 구동유닛이 구비된 시추기 - Google Patents

다중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승강되는 구동유닛이 구비된 시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538B1
KR101834538B1 KR1020160135949A KR20160135949A KR101834538B1 KR 101834538 B1 KR101834538 B1 KR 101834538B1 KR 1020160135949 A KR1020160135949 A KR 1020160135949A KR 20160135949 A KR20160135949 A KR 20160135949A KR 101834538 B1 KR101834538 B1 KR 101834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nit
driving unit
casing
mov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원
조민재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35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538B1/ko
Priority to PE2019000785A priority patent/PE20190871A1/es
Priority to PCT/KR2017/009755 priority patent/WO201807473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16Machines for digging other holes in the soil
    • E02F5/20Machines for digging other holes in the soil for vertical hol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5/00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00Rotary drilling
    • E21B3/02Surface drives for rotary 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7Drills for drilling shallow holes, e.g. for taking soil samples or for drilling post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시추기는 길게 형성되는 프레임이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되며,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유닛 및 상기 프레임유닛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유닛의 슬라이딩과 연동하여 슬라이딩되고,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싱 및 상기 수용공간상에 상기 케이싱의 길이에 대응하게 구비되는 드릴파이프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다중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승강되는 구동유닛이 구비된 시추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다중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승강되는 구동유닛이 구비된 시추기{ELEVATING DRIVE-UNIT IN THE CENTER OF THE MULTI-FRAME EQUIPPED WITH A DRILLING MACHINE}
본 발명은 각종 지반 굴착 또는 천공하는 작업지역에서 사용되는 시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추기의 장착되어 승강되는 다중프레임 및 이에 중심부에 배치된 구동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프레임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작업중에 발생되는 외력에 대응할 수 있는 시추장치에 관한 것이다.
급격한 산업화 현상과 공업이 발전함에 따라 천연가스나 석유와 같은 같은 지구 자원의 사용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구 자원들의 안정적인 생산과 공급이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문제로 각광받고 있다.
따라서 유전 등이 매몰된 유전지대에 해저 채굴 기술이나 지반 굴착 기술의 발달이 요구됨에 따라 이러한 유전의 개발에 적합한 시추설비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기술은 충격에 의해 암석을 파쇄하여 지각을 천공하는 충격식이일반적인데, 이러한 시추설비는 레일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 케이싱 및 드릴파이프가 상하진동 또는 회전하면서 지반을 굴착 또는 천공하도록 구비되어 작업중에 발생되는 전단력 등과 같은 외력에 대응하지 못하고 시추설비에 손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지반을 굴착하는 과정 중에 케이싱 및 드릴파이프의 마모나 손상에 대응하여 교체하거나, 케이싱 및 드릴파이프가 지반에 깊숙히 삽입되어 새로운 케이싱 및 드릴파이프를 용접하여 작업을 이어나가게 되는데, 이런한 과정에서 케이싱 및 드릴파이프를 절단하고 용접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케이싱 및 드릴파이프의 교체 작업으로 인한 시추 설비의 가동률을 저하시키게 되어 이에 따른 공사기간의 지연은 개별 현장의 문제에 그치지 않고 전체 사업 일정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고 커다란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케이싱 및 드릴파이프에 작용되는 전단력을 최소화하고 신속하게 승강되는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다중프레임의 중심부에 케이싱 및 드릴파이프가 결합된 구동유닛이 배치되어 지반을 천공하면서 발생되는 전단력과 같은 외력으로부터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
또한 구동유닛이 다중프레임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다중프레임과 연동하여 승강하는 구조는, 케이싱 및 드릴파이가 장착된 구동유닛이 신속하게 승강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길게 형성되는 프레임이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되며,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유닛 및 상기 프레임유닛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유닛의 슬라이딩과 연동하여 슬라이딩되고,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싱 및 상기 수용공간상에 상기 케이싱의 길이에 대응하게 구비되는 드릴파이프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유닛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제1공간이 형성되며 내측면에 레일이 형성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레일을 통해 상기 고정프레임의 길이에 대응하여 슬라이딩되며, 내부에 제2공간이 형성되는 이동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제2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의 슬라이딩과 연동하여 슬라이딩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제2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구동유닛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은, 이동프레임이 슬라이딩 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동일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서로 다른 속도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케이싱 및 상기 드릴파이프가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별도의 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중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승강되는 구동유닛이 구비된 시추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프레임유닛의 중심부에 구동유닛이 배치되어 슬라이딩되는 구조로 구비되어 지반을 천공하면서 시추장치에 작용되는 전단력에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프레임유닛과 구동유닛이 서로 연동되는 도르래 구조를 가짐으로 동일 시간 내에 프레임유닛이 이동하는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이동하여 신속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구동유닛에 결합되는 케이싱 및 드릴파이프에 개별적으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어서 지반의 상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굴착을 시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승강되는 구동유닛이 구비된 시추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승강되는 구동유닛이 구비된 시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승강되는 구동유닛이 구비된 시추장치에서 구동유닛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승강되는 구동유닛이 구비된 시추장치에서 구동유닛이 프레임유닛의 중심부에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상하 이동되는 구동유닛이 구비된 시추장치에서 구동유닛이 프레임유닛과 연동하여 승강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승강되는 구동유닛(300)이 구비된 시추기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승강되는 구동유닛(300)이 구비된 시추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다중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승강되는 구동유닛(300)이 구비된 시추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승강되는 구동유닛(300)이 구비된 시추기에서 구동유닛(300)의 결합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지반을 천공하기 위한 시추기(1)에 관한 것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유닛(100) 및 프레임유닛(100)의 중심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유닛(300)을 포함하는 시추설비(10)가 상기 시추기(1)에 결합되어 있다.
프레임유닛(100)은, 길게 형성되는 프레임이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되며,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프레임유닛(10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제1공간(A)이 형성되며 내측면에 레일이 형성되는 고정프레임(120) 및 상기 레일을 통해 고정프레임(120)의 길이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되며, 내부에 제2공간(B)이 형성되는 이동프레임(14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유닛(100)은 시추기(1)에 결합되어 지반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고정프레임(120)은 시추기(1)에 결합되어 상부를 향해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고정프레임(120)의 내측에 결합되는 이동프레임(140)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레일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레일은 고정프레임(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형성되며 따라서 이동프레임(140)이 고정프레임(120)의 제1공간(A)으로 삽입 결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프레임(140)의 양측의 외측면에서는 고정프레임(120)의 내측에 양측면에 구비된 레일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공간(A)은 일면이 개방되어 이동프레임(140)이 삽입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고정프레임(120)의 양측은 레일이 형성되고, 전면은 개방되어 이동프레임(140)이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며, 후면은 폐쇄되어 시추기(1)에 결합되게 된다.
계속해서 이동프레임(140)이 고정프레임(12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도록 회전롤(미도시)과 이와 연계된 와이어(미도시)가 구비되어 도르래(pulley)의 원리에 의해 슬라이딩 되는 힘을 제공받게 된다.
구체적으로 이동프레임(140)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롤과 상기 회전롤에 일부가 권취되는 형태로 상기 와이어가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가 이동프레임(140)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기 회전롤을 통해 이동을 하면서 이동프레임(140)이 고정프레임(120)상에서 슬라이딩되도록 힘을 제공받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롤은 이동프레임(140)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는 이동프레임(140)의 측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구동유닛(300)은 이동프레임(140)의 제2공간(B)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공간(B)은 이동프레임(140)의 내부에 형성되어 구동유닛(300)이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공간으로, 구동유닛(300)이 삽입되는 전면은 개방되고, 후면은 폐쇄되어 있다.
그리고 양측에는 레일이 형성되어 구동유닛(300)이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한다.
구동유닛(300)은 이동프레임(140)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프레임유닛(100)의 슬라이딩과 연동하여 슬라이딩되고, 구동유닛(300)의 하부에는 지반을 천공하기 위해 케이싱(360) 및 드릴파이프(340)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이동프레임(140)과 구동유닛(300)이 연동하여 슬라이딩 되는 것을 설명하자면, 이동프레임(140)이 상부로 이동할 경우, 구동유닛(300) 또한 이동프레임(140)의 슬라이딩과 연동하여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구동유닛(300)이 이동프레임(140)과 연동하여 동시에 이동할 때, 구동유닛(300)과 이동프레임(140)은 서로 다른 속도를 가지게 된다.
구동유닛(300)이 상부로 이동하는 이유는, 구동유닛(300) 하단부에 결합되는 케이싱(360) 및 드릴파이프(340)가 지반에 삽입되어 새로운 케이싱(360) 및 드릴파이프(340)로 교체하기 위함으로 좀 더 자세한 내용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이동프레임(140)에 대해 설명하자면, 이동프레임(140)은 상부로만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프레임(140)의 상부에서는 도르래가 구비되어 고정프레임(120)의 상부에서 이동프레임(140)이 하부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하는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이동프레임(140)은 상부로만 이동하게 되고, 구동유닛(300)은 이동프레임(140)과 연동하여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하지만 구동유닛(300)은 하단부에 케이싱(360) 및 드릴파이프(340)가 결합되어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구동유닛(300)은 상부 또는 하부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며,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 중에, 이동프레임(140)과 함께 슬라이딩 이동할 때는 이동프레임(140)의 이동속도보다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계속해서 구동유닛(300)의 하단부에는 케이싱(360) 및 드릴파이프(340)가 결합된다.
여기서 구동유닛(300)은 케이싱(360) 및 드릴파이프(340)를 회전시키기 위해 별도의 모터(M)가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모터(M)는 구동유닛(300)상에 복수 개로 구비되어 케이싱(360) 및 드릴파이프(340)에 회전력을 제공하며, 케이싱(360)과 드릴파이프(340)에 직결되어 회전력 전달에 용이하다.
또한 케이싱(360) 및 드릴파이프(340)가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며, 케이싱(360) 및 드릴파이프(340)의 위치에 인접하게 복수 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유닛(300)이 적층구조로 구비되어 각각 케이싱(360) 및 드릴파이프(340)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구동유닛(300)은 드릴파이프(340)가 결합되는 제1회전부(310) 및 케이싱(360)이 결합되는 제2회전부(320)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유닛(300)은 제1회전부(310)와 제2회전부(320)가 적층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케이싱(360) 및 드릴파이프(34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M) 또한 제1회전부(310)와 제2회전부(320)에 각각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부(310)에 두개의 모터(M), 제2회전부(320)에 두개의 모터(M)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1회전부(310)에 구비된 모터(M)는 드릴파이프(340)에 회전력을 제공하고, 제2회전부(320)에 구비된 모터(M)는 케이싱(360)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계속해서, 구동유닛(300)은 제2공간(B)에 수용되어 구동유닛(30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 하는 하우징(330)을 포함한다.
하우징(330)은 케이싱(360) 및 드릴파이프(34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유닛(300)을 제2공간(B)상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이동프레임(140)의 내부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하우징(330)은 이동프레임(140) 내부에서 구동유닛(300)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고, 내부에 구동유닛(300)을 수용하여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그리고 하우징(330)은 하우징(33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제2공간(B)의 너비에 대응된 크기로 삽입된 하우징(330)의 너비보다 넓게 형성되어 이동프레임(140)의 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드부재(332)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가드부재(332)는 플레이트(PLATE)형태로 형성되어 하우징(330) 및 이동프레임(140)의 일부를 폐쇄하며, 하우징(330)의 이동에 대응하여 함께 이동하도록 하우징(330) 및 이동프레임(140)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가드부재(332)는 이동프레임(140)에 결합되는 구조로, 프레임의 너비에 대응된 너비를 가지고 프레임의 길이의 일부에 결합되도록 단턱구조로 형성되어 이동프레임(140)이 외력에 의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부재(332)는 하우징(330)의 너비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 이동프레임(140)에 단턱구조로 결합되어 있고, 이와 같은 형태로 이동프레임(140)상에서 슬라이딩과 함께 이동프레임(140)이 외력에 의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구동유닛(30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구동유닛(30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케이싱(360) 및 드릴파이프(340)가 하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유닛(100)은 고정프레임(120) 및 이동프레임(140)으로 구비되어 이동프레임(140)이 고정프레임(120)의 제1공간(A)상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어 구동유닛(300)이 슬라이딩 되는 범위를 안내한다.
하지만 프레임유닛(100)은 고정프레임(120) 및 이동프레임(140)에 한정되지 않고 프레임을 추가하여 구동유닛(300)의 슬라이딩 범위를 확장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유닛(100)이 고정프레임(120), 이동프레임(140)의 구성에 추가프레임이 더 구비되어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프레임의 개수에 따라 슬라이딩범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동프레임(140)과 연동하여 슬라이딩되는 구동유닛(300)은 프레임유닛(100)의 개수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범위가 확장되게 된다.
구동유닛(300)은 프레임유닛(100)의 중심부, 즉 이동프레임(140)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이동프레임(140)이 슬라이딩되는 방향을 따라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구동유닛(300)과 이동프레임(140)이 서로 연동하여 슬라이딩 되도록 하우징(330)의 상부에 상기 회전롤이 구비되어 이동프레임(140)과 함께 도르래 구조로 연동된다.
다시 말해, 이동프레임(140)이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하면, 구동유닛(300)은 이동프레임(140)의 중심부에 위치하였다가, 이동프레임(140)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부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다음 도 4내지 도 5를 통해 구동유닛(300)에 관해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승강되는 구동유닛(300)이 구비된 시추기에서 구동유닛(300)이 프레임유닛(100)의 중심부에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상하 이동되는 구동유닛(300)이 구비된 시추기에서 구동유닛(300)이 프레임유닛(100)과 연동하여 승강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유닛(300)이 프레임유닛(100)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있다. 정확하게는 이동프레임(140)의 제2공간(B)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구동유닛(300)은 하우징(330)에 의해 외부와 연통된 제2공간(B)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구동유닛(300)은 이동프레임(140)의 슬라이딩과 연동하여 슬라이딩 된다고 앞서 설명하였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프레임(140)이 정지해 있을 때, 구동유닛(300)이 프레임유닛(100)의 중심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동유닛(300)이 프레임유닛(100)의 중심부에 위치한 이유는, 구동유닛(30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케이싱(360) 및 드릴파이프(340)가 회전을 통해 지반을 천공하게 되는 과정 중에 가해지는 뒤틀림과 같은 전단 응력과 인장 응력과 같은 외력으로부터 구동유닛(300)을 보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이동프레임(140) 내부에 구비된 구동유닛(300)은 이동프레임(140) 내부에서 승강하며, 지반을 천공하면서 발생되는 외부 충격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구동유닛(300)이 지반을 천공하기위해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하더라도 구동유닛(300)은 이동프레임(140) 및 고정프레임(120)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기 때문에 외력으로부터 보호가 가능하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구동유닛(300)과 이동프레임(140)은 서로 연동하여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승강되는 구동유닛(300)이 구비된 시추기에서 구동유닛(300)과 이동프레임(140)이 서로 연동하여 슬라이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구동유닛(300)과 이동프레임(140)은 상부로 이동할 때 연동하여 슬라이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프레임(140)과 함께 구동유닛(300)이 상부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이동프레임(140)이 상부로 이동하는 속도가 'S' 일 때, 구동유닛(300)이 상부로 이동하는 속도는 '2S'로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구동유닛(300)이 이동프레임(140)과 연동하여 상부로 이동하는 속도는 이동프레임(140)이 상부로 이동하는 속도의 2배의 속도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는 구동유닛(30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케이싱(360) 및 드릴파이프(340)의 교체작업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구동유닛(300)이 하부로 슬라이딩되면서 지반을 천공하게 되고, 케이싱(360) 및 드릴파이프(340)의 전체 길이만큼 지반으로 삽입되어 구동유닛(300)과 케이싱(360) 및 드릴파이프(340) 사이에 추가로 케이싱(360) 및 드릴파이프(340)를 삽입하여 지반을 더욱 깊이 천공하기 위해 구동유닛(300)이 상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추가 케이싱(360) 및 드릴파이프(340)가 삽입되기 위해서는 구동유닛(300)의 이동속도가 빨라서 교체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구동유닛(300)의 이동속도를 2배로 한정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예 일 뿐,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이 가능하고 구동유닛(300)의 슬라이딩 속도가 이동프레임(140)의 슬라이딩 속도보다 빠르다고 서로 연동가능하게 슬라이딩 되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권리 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에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시추기 10: 시추설비
100: 프레임유닛 120: 고정프레임
140: 이동프레임 300: 구동유닛
310: 제1회전부 320: 제2회전부
330: 하우징 340: 드릴파이프
360: 케이싱 A: 제1공간
B: 제2공간 M: 모터
R: 레일

Claims (6)

  1. 길게 형성되는 프레임이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되며,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유닛; 및
    천공 작업 중에 가해지는 외력에서 보호되도록 상기 프레임유닛 중 어느 하나의 상하방향에 따른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유닛의 슬라이딩과 연동하여 서로 다른 속도로 슬라이딩되고, 하부에는 길게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싱 및 상기 수용공간상에 상기 케이싱의 길이에 대응하게 구비되는 드릴파이프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유닛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제1공간이 형성되며 내측면에 레일이 형성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레일을 통해 상기 고정프레임의 길이에 대응하여 슬라이딩되며, 내부에 제2공간이 형성되는 이동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제2공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구동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프레임은 고정프레임과 함께 상기 하우징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이동프레임의 내측 중심부에 수용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의 슬라이딩과 연동되어 상기 중심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다중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승강되는 구동유닛이 구비된 시추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제2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의 슬라이딩과 연동하여 슬라이딩 되는 다중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승강되는 구동유닛이 구비된 시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구동유닛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구동유닛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가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다중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승강되는 구동유닛이 구비된 시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이동프레임이 슬라이딩 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동일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서로 다른 속도로 슬라이딩 되는 다중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승강되는 구동유닛이 구비된 시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케이싱 및 상기 드릴파이프가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별도의 모터가 포함되는 다중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승강되는 구동유닛이 구비된 시추기.
KR1020160135949A 2016-10-19 2016-10-19 다중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승강되는 구동유닛이 구비된 시추기 KR101834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949A KR101834538B1 (ko) 2016-10-19 2016-10-19 다중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승강되는 구동유닛이 구비된 시추기
PE2019000785A PE20190871A1 (es) 2016-10-19 2017-09-06 Metodo para el reemplazo automatico de la carcasa y el tubo de perforacion y maquina de perforacion que las comprende
PCT/KR2017/009755 WO2018074735A1 (ko) 2016-10-19 2017-09-06 케이싱 및 드릴파이프의 자동교체 방법 및 이를 포함한 시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949A KR101834538B1 (ko) 2016-10-19 2016-10-19 다중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승강되는 구동유닛이 구비된 시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4538B1 true KR101834538B1 (ko) 2018-03-07

Family

ID=61688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949A KR101834538B1 (ko) 2016-10-19 2016-10-19 다중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승강되는 구동유닛이 구비된 시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53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6793A (ja) * 2001-03-02 2002-11-12 Aichi Corp 高所作業車
KR200384053Y1 (ko) * 2005-02-07 2005-05-11 김동호 천공장비의 케이싱 구조
KR101625800B1 (ko) * 2015-05-22 2016-05-30 이봉수 회전 및 신축형 리더장치와 이를 가지는 천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6793A (ja) * 2001-03-02 2002-11-12 Aichi Corp 高所作業車
KR200384053Y1 (ko) * 2005-02-07 2005-05-11 김동호 천공장비의 케이싱 구조
KR101625800B1 (ko) * 2015-05-22 2016-05-30 이봉수 회전 및 신축형 리더장치와 이를 가지는 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51681A (zh) 一种土木工程用岩土取样机械装置
CN102305068B (zh) 一种掘进机
KR101801208B1 (ko) 케이싱 및 드릴파이프를 독립적으로 회전제어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추기
KR101834538B1 (ko) 다중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승강되는 구동유닛이 구비된 시추기
CN104196449A (zh) 钻井法凿井垂直钻进钻具
CN103256048B (zh) 综采钻煤机组开采方法
CN205437213U (zh) 一种垂直钻孔装置
CN113464135A (zh) 一种煤矿掘进用的防护装置
KR101769084B1 (ko) 터널 굴착용 암벽 절삭장치 및 절삭방법
CN109184713B (zh) 一种用于切割隧道前方孤石的激光装置
CN209942828U (zh) 环缝万向钻孔机
KR101579789B1 (ko) 천공기용 로드 공급장치
KR101816510B1 (ko) 착탈 가능한 스위벨유닛이 구비된 시추기
CN214997442U (zh) 一种新型管幕施工设备
CN207499804U (zh) 一种长螺杆钻机
KR101922114B1 (ko) 진입암 길이 조절형 굴착용 암벽 절삭장치
JP4191187B2 (ja) オーガロッド振れ止め装置及び地盤改良機、並びに地盤改良工法
KR20180045895A (ko) 상호 간격이 조절되는 구동유닛이 구비된 시추기 및 이를 이용한 케이싱 및 드릴파이프의 자동교체방법
CN203335073U (zh) 综采钻煤机组及综采钻煤机
CN205823182U (zh) 一种新型的自动钻机
CN210685860U (zh) 一种用于山体施工的打孔钻机装置
KR101603758B1 (ko) 천공기용 더블 함마장치
CN209687409U (zh) 一种挖掘钻机防偏钻杆装置
CN208605192U (zh) 一种地下岩石通道单向整体切割设备
CN210977363U (zh) 一种钻井用岩芯地面割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