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244B1 - 탭핑장치 - Google Patents

탭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244B1
KR101834244B1 KR1020160083702A KR20160083702A KR101834244B1 KR 101834244 B1 KR101834244 B1 KR 101834244B1 KR 1020160083702 A KR1020160083702 A KR 1020160083702A KR 20160083702 A KR20160083702 A KR 20160083702A KR 101834244 B1 KR101834244 B1 KR 101834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moving
tapping
tab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3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918A (ko
Inventor
심형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남
Priority to KR1020160083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244B1/ko
Publication of KR20180003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16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in holes of workpieces by taps
    • B23G1/18Machines with one working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02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on an external or internal cylindrical or conical surface, e.g. on recesses
    • B23G1/04Machines with one working-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44Equipment or accessories specially designed for machines or devices for thread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구인 탭을 제자리에서 회전되게 하고 가공물을 이동시켜 탭핑을 함에 따라 탭핑의 정밀도를 좀 더 향상시킴으로써 고정밀도의 탭핑이 가능한 탭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상의 뒷쪽으로 설치되고, 회전축이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회전축의 단부에는 드릴이나 탭이 장착 고정되는 척이 장착되어 있는 정역모터와; 상기 정역모터의 앞쪽인 베이스판 상의 앞쪽으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과 마주보는 위치에 가공물이 고정되며, 가공물의 뒷쪽 이동과 원위치 복귀가 가능하게 구성되어, 가공물의 뒷쪽 이동과 앞쪽 복귀이동을 통해 가공물에 원형홀이나 원형홈 또는 탭홀이나 탭홈을 가공할 수 있는 가공물 이동수단과; 상기 정역모터를 외부 조작을 통해 정역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탭핑장치{Tapping apparatus}
본 발명은 탭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구인 탭을 제자리에서 회전되게 하고 가공물을 이동시켜 탭핑을 함에 따라 탭핑의 정밀도를 좀 더 향상시킴으로써 고정밀도의 탭핑이 가능한 탭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품이나 관 또는 턴버클 바디 등의 가공물에 탭홈이나 탭홀을 가공할 경우에는 선반이나 밀링머신 또는 머시닝센터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선반이나 밀링머신 또는 머시닝센터 등은 범용 공작기계는 가격이 비싼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근래에는 탭핑만을 전용으로 하는 탭핑(Tapping)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에, 종래의 탭핑장치의 일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193336호의 "간이 탭핑기"(이하, "종래의 간이 탭핑기"라 한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간이 탭핑기는 마그네트베이스의 골조에 핸들을 가지는 작동베드를 설치하고 작동베드의 전면에는 에어건을 취부하는 고정대를 부착한 것에 있어서, 에어건 고정대의 하방 작동베드에는 스핀들 취부대를 볼트로 부착하여 이에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면서 통상의 탭과 척을 끼울 수 있는 스핀들을 가지는 스핀들 장치구를 볼트로 결합하고, 스핀들의 상단부는 에어건 고정대에 설치한 에어건의 내부로 삽입 설치하여 에어건의 작동에 따라 스핀들이 정ㆍ역회전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간이 탭핑기는 가공물이 정지된 상태에서 탭이 수직으로 하강하면서 가공물에 탭을 천공함으로써, 탭이 하강 중에 미세하게 움직임에 따라 탭핑의 정밀도가 떨어져 고정밀도의 탭핑 가공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간이 탭핑기는 가공물을 고정하는 수단이 별도로 없음에 따라, 부피가 큰 가공물의 가공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193336호의 "간이 탭핑기"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탭을 제자리에서 회전되게 하고 가공물을 이동시켜 탭핑을 함으로써 탭핑의 정밀도를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부피가 큰 가공물도 용이하게 탭핑할 수 있도록 하는 탭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공물 고정수단이 상부에 구비된 이동대를 좌,우측 가이드축을 따라 가공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탭의 가공시 이동대가 흔들리거가 상부로 튀어오르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탭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탭 가공시 가공물 이동수단의 이동대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가공의 초기 위치까지 이동시키게 되면, 탭의 회전을 통한 당김에 의해 이동대가 가공의 완료 위치까지 자동을 이동되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탭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탭 가공시 가공이 완료되면 탭의 반대회전과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이동대가 원위치인 앞쪽으로 자동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탭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대 이동수단을 통해 이동대를 가공의 초기 위치까지 자동으로 이동시킬 있도록 하는 탭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탭 방향으로 자동 이동하는 이동대의 거리를 자유로이 세팅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가공물의 종류나 부피에 따라 탭 방향으로 자동 이동하는 이동대의 거리를 정확하게 세팅하여 탭핑의 정밀도를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탭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공물의 가공 길이에 따라 이동대의 복귀 위치를 세팅하는 스톱퍼부를 조정함에 따라, 가공물의 가공 길이와 상응되게 이동대의 복귀 이동거리를 최소로 줄임으로써 탭핑의 가공 효율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탭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상의 뒷쪽으로 설치되고, 회전축이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회전축의 단부에는 드릴이나 탭이 장착 고정되는 척이 장착되어 있는 정역모터와; 상기 정역모터의 앞쪽인 베이스판 상의 앞쪽으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과 마주보는 위치에 가공물이 고정되며, 가공물의 뒷쪽 이동과 원위치 복귀가 가능하게 구성되어, 가공물의 뒷쪽 이동과 앞쪽 복귀이동을 통해 가공물에 탭홀이나 탭홈을 가공할 수 있는 가공물 이동수단과; 상기 정역모터를 외부 조작을 통해 정역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의 상기 가공물 이동수단은, 베이스판 상의 앞쪽에 앞뒷쪽으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며 사이의 좌,우측에는 좌,우측 가이드축이 수평으로 구비되는 앞,뒷쪽 수직판과, 상기 좌,우측 가이드축에 전후면이 관통되어 좌,우측 가이드축을 따라 앞뒷쪽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과 마주보는 위치에 가공물을 고정하는 가공물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핑장치.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의 상기 이동대의 후면과 뒷쪽 수직판의 전면 사이에는 상기 좌,우측 가이드축의 외주연에 상기 이동대를 앞쪽으로 밀어 복귀시키는 스프링이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는 상기 조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외부 조작을 통해 상기 이동대를 탭핑 가공의 초기 위치까지 뒷쪽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대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의 상기 앞쪽 수직판에는 상기 이동대의 앞쪽 복귀위치를 세팅하는 스톱퍼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탭을 제자리에서 회전되게 하고 가공물을 이동시켜 탭핑을 하여 탭핑의 정밀도를 좀 더 향상시킴으로써, 고정밀도의 탭핑을 가능하는 탭핑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고, 부피가 큰 가공물도 탭핑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물 고정수단이 상부에 구비된 이동대를 좌,우측 가이드축을 따라 가공 위치로 이동시킴에 따라, 탭 가공시 이동대가 흔들리거가 상부로 튀어오르는 것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이 확보된 태핑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탭 가공시 가공물 이동수단의 이동대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가공의 초기 위치까지 이동시키게 되면, 탭의 회전을 통한 당김에 의해 이동대가 가공의 완료 위치까지 자동을 이동되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이 향상된 태핑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탱 가공시 가공이 완료되면 탭의 반대 회전과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이동대가 원위치인 앞쪽으로 자동 복귀되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이 좀 더 향상된 태핑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대 이동수단을 통해 이동대를 가공의 초기 위치까지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이 좀 더 향상된 태핑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탭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대의 거리를 자유로이 세팅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가공물의 종류나 부피에 따라 탭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대의 거리를 정확하게 세팅하여 탭핑의 정밀도를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물의 가공 길이에 따라 이동대의 복귀 위치를 세팅하는 스톱퍼부를 조정함에 따라, 가공물의 가공 길이와 상응되게 이동대의 복귀 이동거리를 최소로 줄임으로써 탭핑의 가공 효율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정면도이며,
도 1c는 가공물 이동수단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가공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 2b는 가공 상태를 나타내며,
도 2c는 도 2b의 A부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정면도이며, 도 1c는 가공물 이동수단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가공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 2b는 가공 상태를 나타내며, 도 2c는 도 2b의 A부 확대도이다.
참고로, 도 1a에서 ⓐ 방향은 앞쪽, ⓑ 방향은 뒷쪽, ⓒ 방향은 우측, ⓓ 방향은 좌측을 각각 의미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는 베이스판(1)과, 상기 베이스판(1) 상의 뒷쪽으로 설치되고 탭(T)을 통해 탭홀(또는 탭홈)을 가공하는 정역모터(2)와, 상기 정역모터(2)의 앞쪽인 베이스판(1) 상의 앞쪽으로 구비되어 가공물(W)을 상기 정역모터(2)쪽으로 이동시키는 가공물 이동수단(3)과, 상기 정역모터(2)를 외부 조작을 통해 정역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미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정역모터(2)는 베이스판(1) 상의 뒷쪽에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축이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회전축의 단부에는 탭(T)이 장착 고정되는 척(C)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척(C)은 여러 종류가 이미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조작 제어부는 정역모터(2)와 연결되어 외부 조작을 통해 정역모터(2)를 정역방향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가공물 이동수단(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역모터(2)의 앞쪽인 베이스판(1) 상의 앞쪽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가공물(W)을 상기 정역모터(2)의 회전축에 장착된 탭(T)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가공물 이동수단(3)은 상기 회전축과 마주보는 위치에 가공물(W)이 고정되며, 가공물(W)의 뒷쪽 이동과 원위치 복귀가 가능하게 구성되어 가공물(W)의 뒷측 이동과 앞쪽 복귀이동을 통해 가공물(W)에 탭홀이나 탭홈을 가공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가공물 이동수단(3)은 가공물(W)을 앞쪽과 뒷쪽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판(1) 상의 앞쪽에 앞,뒷쪽으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며 사이의 좌,우측에는 좌,우측 가이드축(311)(312)이 수평으로 구비되는 앞,뒷쪽 수직판(31a)(31b)과, 상기 좌,우측 가이드축(311)(312)에 전후면이 관통되어 좌,우측 가이드축(311)(312)을 따라 앞뒷쪽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대(32)와, 상기 이동대(32)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과 마주보는 위치에 가공물(W)을 고정하는 가공물 고정수단(33)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가공물 고정수단(33)이 상부에 구비된 이동대(32)를 좌,우측 가이드축(311)(312)을 따라 가공 위치로 이동시킴에 따라, 탭(T) 가공시 이동대(32)가 흔들리거가 상부로 튀어오르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가공물 고정수단(33)은 가공물(W)을 볼트의 체결을 통해 고정하는 공지된 여러 종류의 바이스로 구성될 수 있고, 가공물(W)의 형상에 상응되게 제조되어 상기 이동대(32)의 상부에 고정되고 가공물(W)을 이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가공물 고정지그(331)로 구성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턴버클 몸체를 고정하는 가공물 고정지그(331)를 도시하였다.
상기 이동대(32)의 후면과 뒷쪽 수직판(31a)의 전면 사이에는 상기 좌,우측 가이드축(311)(312)의 외주연에 탭(T) 가공시 가공이 완료되면 탭(T)의 반대 회전과 스프링(313)의 탄발력에 의해 이동대(32)가 원위치인 앞쪽으로 자동 복귀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대(32)를 앞쪽으로 밀어 복귀시키는 스프링(313)인 압축코일스프링이 더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앞쪽 수직판(31b)에는 상기 이동대(32)의 앞쪽 복귀위치를 세팅할 수 있도록 스톱퍼부(34)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부(34)는 가공물(W)의 가공 길이에 따라 이동대(32)의 복귀 위치를 세팅할 수 있도록, 상기 앞쪽 수직판(31b)에 수평으로 관통되는 탭홀(341)과, 탭홀(341)에 관통 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뒷쪽으로의 돌출 길이가 조정되는 나사축(342)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나사축(342)의 앞쪽 단부에는 나사축(342)을 회전시키는 회전 손잡이부(342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뒷쪽 단부에는 상기 이동대(32)의 전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탄성부재(342b)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공물(W)의 가공 길이에 따라 이동대(32)의 복귀 위치를 세팅하는 상기 스톱퍼부(34)를 조정함에 따라, 가공물(W)의 가공 길이와 상응되게 이동대(32)의 복귀 이동거리를 최소로 줄임으로써 탭핑의 가공 효율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탭핑장치를 사용하여 가공물(W)에 탭홀(또는 탭홈)을 성형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가공물 이동수단(3)에 구비된 가공물 고정수단(33)에 가공물(W)을 고정하고, 상기 정역모터(2)의 회전축에 장착된 척(C)에 탭(T)을 장착한다.
다음 상기 조작 제어부(4)의 외부 조작을 통해 정역모터(2)를 구동시켜 회전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다음 상기 가공물 이동수단(3)을 구성하는 이동대(32)를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수동으로 앞쪽에서 뒷쪽으로 이동시키면서, 가공물(W)에 형성된 홀(또는 홈)을 회전되는 탭(T)에 삽입시켜 탭(T)이 초기 가공을 시작할 때 이동대(32)에서 손을 놓는다. 그러면, 탭(T)이 회전되면서 암나사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가공물(W)을 잡아당기게 됨으로써 가공물(W)과 이동대(32)가 함께 탭(T)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가공물(W)의 홀(또는 홈)에 암나사가 가공 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암나사의 가공이 완료되면 작업자가 조작 제어부(4)를 조작하여 상기 정역모터(2)의 회전축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탭(T)이 암나사가 형성된 탭홀(또는 탭홈)에서 풀리게 됨으로써, 가공물(W)과 이동대(32)가 원위치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가공물(W)이 탭(T)에서 이탈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가공물(W)이 탭(T)에서 이탈되는 순간에는 상기 좌,우측 가이드축(311)(312)에 장착된 스프링(313)의 탄발력으로 인해 이동대(32)가 원위치로 이동함으로 가공물(W)에 탭홀(또는 탭홈)의 가공을 완료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탭(T)을 제자리에서 회전되게 하고 가공물(W)을 이동시켜 탭핑을 하여 탭핑의 정밀도를 좀 더 향상시킴으로써, 고정밀도의 탭핑을 가능하는 태핑장치를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탭(T) 가공시 가공물 이동수단(3)의 이동대(32)를 수동으로 가공의 초기 위치까지 밀게 되면, 탭(T)의 회전을 통한 당김에 의해 이동대(32)가 가공의 완료 위치까지 자동을 이동되게 함으로써 탭홀(또는 탬홈)의 가공시 편리성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탭핑장치는 상기 조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외부 조작을 통해 상기 이동대(32)를 탭핑 가공의 초기 위치까지 뒷쪽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대 이동수단(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대 이동수단(5)은 외부의 조작을 통해 이동대(32)를 가공의 초기 위치까지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판(1)의 하부 앞쪽의 좌측에 구비되어 구동모터(52)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스프로킷(51)과, 상기 뒷쪽 수직판(31a)의 좌측에 장착되는 중간 스프로킷(53)과, 상기 구동 스프로킷(51)의 둘레에 일단이 고정되고 중간은 상기 중간 스프로킷(53)에 감겨지며 타단은 상기 이동대(32)에 연결 고정되는 체인(54)과, 상기 구동모터(52)와 연결되고 상기 조작 제어부(4)와 연결되는 풋 스위치(55)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대 이동수단(5)은 탭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대(32)의 거리를 자유로이 세팅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대의 후면에서 뒷쪽으로 돌출되는 수평 센서봉(56)과, 상기 수평 센서봉(56)에 삽입되어 세트 스크류(571)를 통해 앞뒷쪽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센싱 접촉부재(57)와, 상기 뒷쪽 수직판(31a)의 우측에 구비되고 상기 센싱 접촉부재(57)가 접촉되며 상기 조작 제어부(4)와 연결되는 접촉센서(58)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센싱 접촉부재(57)는 접촉센서(58)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앞쪽이 좁고 뒷쪽이 넓은 원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이동대(32)가 뒷쪽으로 이동되어 상기 센싱 접촉부재(57)가 상기 접촉센서(58)에 접촉되는 시점은 가공물(W)에 형성된 홀(또는 홈)에 회전되는 탭(T)이 삽입되어 탭(T)을 초기에 가공하는 시점이다. 그러므로, 상기 가공물(W)의 종류나 부피에 따라 상기 센싱 접촉부재(57)의 위치를 변화시킴에 따라, 가공물의 종류나 부피에 따라 탭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대의 거리를 정확하게 세팅하여 탭핑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조작 제어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조작을 통해 정역모터(2)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작 제어부는 상기 풋 스위치(55)을 외부 조작을 통해 온(ON)시키면 상기 구동모터(52)를 작동시켜 상기 이동대(32)를 뒷쪽으로 이동시키고, 이동대(52)가 뒷쪽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접촉센서(58)에 접촉부재(57)가 접촉되는 순간에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52)의 전원을 차단시켜 이동대(32)를 정지시키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대 이동수단(5)을 포함하는 탭핑장치를 사용하여 가공물(W)에 탭홀(또는 탭홈)을 성형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가공물 이동수단(3)에 구비된 가공물 고정수단(33)에 가공물(W)을 고정하고, 상기 정역모터(2)의 회전축에 장착된 척(C)에 탭(T)을 장착한다.
다음 상기 조작 제어부의 외부 조작을 통해 정역모터(2)를 구동시켜 회전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다음 상기 이동대 이동수단(5)의 풋 스위치(55)를 작업자가 누르게 되면, 조작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구동모터(52)가 작동됨으로써, 구동모터(52)의 작동에 의해 구동 스프로킷(51)이 체인(54)을 감아 당겨줌으로써, 이동대(32)을 탭(T)의 방향인 뒷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이동대(32)가 뒷쪽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조작 제어부에서는 상기 접촉센서(58)에 접촉부재(57)가 접촉되는 순간에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52)의 전원을 차단시켜 이동대(32)를 정지시키고, 이와 같이 이동대가 정지된 시점에서는 가공물(W)에 형성된 홀(또는 홈)에 회전되는 탭(T)이 삽입되어 탭(T)을 초기에 가공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탭(T)이 회전되면서 암나사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가공물(W)을 잡아당기게 됨으로써 가공물(W)과 이동대(32)가 함께 탭(T)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가공물(W)의 홀(또는 홈)에 암나사가 가공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암사사가 형성되는 과정에서는 체인(54)은 하부로 처지게 되는 것이다.(도 2b 참조)
다음 상기와 암나사의 가공이 완료되면 작업자가 조작 제어부(4)를 조작하여 상기 정역모터(2)의 회전축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탭(T)이 암나사가 형성된 탭홀(또는 탭홈)에서 풀리게 됨으로써, 가공물(W)과 이동대(32)가 원위치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가공물(W)이 탭(T)에서 이탈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가공물(W)이 탭(T)에서 이탈되는 순간에는 상기 좌,우측 가이드축(311)(312)에 장착된 스프링(313)의 탄발력으로 인해 이동대(32)가 원위치로 이동함으로 가공물(W)에 탭홀(또는 탭홈)의 가공을 완료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이동대(32)가 원위치로 복귀 이동되면, 상기 체인(54)은 다시 긴장되면서 구동 스프로킷(51)에서 풀리게 됨으로써 긴장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도 1b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대 이동수단을 통해 이동대를 가공의 초기 위치까지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이 좀 더 향상된 태핑장치를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베이스판
2 : 정역모터
3 : 가공물 이동수단
31a : 뒷쪽 수직판, 31b : 앞쪽 수직판
311 : 좌측 가이드축, 312 : 우측 가이드축,
313 : 스프링
32 : 이동대
33 : 가공물 고정수단
331 : 가공물 고정지그
34 : 스톱퍼부
341 : 탭홀, 342 : 나사축, 342a : 회전 손잡이부,
342b : 탄성부재
5 : 이동대 이동수단
51 : 구동 스프로킷
52 : 구동모터
53 : 중간 스프로킷
54 : 체인
55 : 풋 스위치
56 : 수평 센서봉
57 : 접촉부재
571 : 세트 스크류
58 : 접촉센서
W : 가공물
T : 탭
C : 척

Claims (11)

  1. 베이스판(1);
    상기 베이스판(1) 상의 뒷쪽으로 설치되고, 회전축이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회전축의 단부에는 탭(T)이 장착 고정되는 척(C)이 장착되어 있는 정역모터(2);
    상기 정역모터(2)의 앞쪽인 베이스판(1) 상의 앞쪽으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과 마주보는 위치에 가공물(W)이 고정되며, 가공물(W)의 뒷쪽 이동과 원위치 복귀가 가능하게 구성되어, 가공물(W)의 뒷쪽 이동과 앞쪽 복귀이동을 통해 가공물(W)에 탭홀이나 탭홈을 가공할 수 있는 가공물 이동수단(3);
    상기 정역모터(2)를 외부 조작을 통해 정역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4);
    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물 이동수단(3)은 베이스판(1)상의 앞쪽에 앞뒷쪽으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며 사이의 좌,우측에는 좌,우측 가이드축(311)(312)이 수평으로 구비되는 앞,뒷쪽 수직판(31a)(31b)과, 상기 좌,우측 가이드축(311)(312)에 전후면이 관통되어 좌,우측 가이드축(311)(312)을 따라 앞뒷쪽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대(32)와, 상기 이동대(32)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과 마주보는 위치에 가공물(W)을 고정하는 가공물 고정수단(33)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대(32)의 후면과 뒷쪽 수직판(31a)의 전면 사이에는 상기 좌,우측 가이드축(311)(312)의 외주연에 상기 이동대(32)를 앞쪽으로 밀어 복귀시키는 스프링(313)이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핑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핑장치는 상기 조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외부 조작을 통해 상기 이동대(32)를 탭핑 가공의 초기 위치까지 뒷쪽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대 이동수단(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 이동수단(5)은 상기 베이스판(1) 상의 하부 앞쪽의 좌측에 구비되어 구동모터(52)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스프로킷(51)과, 상기 뒷쪽 수직판(31a)의 좌측에 장착되는 중간 스프로킷(53)과, 상기 구동 스프로킷(51)의 둘레에 일단이 고정되고 중간은 상기 중간 스프로킷(53)에 감겨지며 타단은 상기 이동대(32)에 연결 고정되는 체인(54)과, 상기 구동모터(52)와 연결되고 상기 조작 제어부(4)와 연결되는 풋 스위치(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핑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 이동수단(5)은 상기 이동대의 후면에서 뒷쪽으로 돌출되는 수평 센서봉(56)과, 상기 수평 센서봉(56)에 삽입되어 세트 스크류(571)를 통해 앞뒷쪽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센싱 접촉부재(57)와, 상기 뒷쪽 수직판(31a)의 우측에 구비되고 상기 센싱 접촉부재(57)가 접촉되며 상기 조작 제어부(4)와 연결되는 접촉센서(5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핑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제어부(4)는 상기 풋 스위치(55)을 외부 조작을 통해 온(ON)시키면 상기 구동모터(52)를 작동시켜 상기 이동대(32)를 뒷쪽으로 이동시키고, 이동대(52)가 뒷쪽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접촉센서(58)에 접촉부재(57)가 접촉되는 순간에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52)의 전원을 차단시켜 이동대(32)를 정지시키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핑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물 고정수단(33)은 가공물(W)을 볼트의 체결을 통해 고정하는 바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핑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물 고정수단(33)은 가공물(W)의 형상에 상응되게 제조되어 상기 이동대(32)의 상부에 고정되고 가공물(W)을 이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가공물 고정지그(33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핑장치.
  10.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앞쪽 수직판(31b)에는 상기 이동대(32)의 앞쪽 복귀위치를 세팅하는 스톱퍼부(3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핑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부(34)는 상기 앞쪽 수직판(31b)에 수평으로 관통되는 탭홀(341)과, 탭홀(341)에 관통 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뒷쪽으로의 돌출 길이가 조정되고, 앞쪽 단부에는 회전 손잡이부(342a)가 형성되며, 뒷쪽 단부에는 상기 이동대(32)의 타측면에 밀착되는 탄성부재(342b)가 구비되는 나사축(3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핑장치.
KR1020160083702A 2016-07-01 2016-07-01 탭핑장치 KR101834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702A KR101834244B1 (ko) 2016-07-01 2016-07-01 탭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702A KR101834244B1 (ko) 2016-07-01 2016-07-01 탭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918A KR20180003918A (ko) 2018-01-10
KR101834244B1 true KR101834244B1 (ko) 2018-03-05

Family

ID=60998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702A KR101834244B1 (ko) 2016-07-01 2016-07-01 탭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2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0237A (zh) * 2019-10-30 2020-01-03 佛山市冠哲金属实业有限公司 一种槽钢类门踏板侧部多孔攻丝总成
CN111975140A (zh) * 2020-08-15 2020-11-24 高邮市汽车标准件厂 一种螺母螺纹加工设备
CN116810059B (zh) * 2023-06-02 2024-04-02 无锡超捷汽车连接技术有限公司 一种车用限位安装螺栓加工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525B1 (ko) 2009-09-30 2010-09-15 오애자 태핑 드릴링 머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525B1 (ko) 2009-09-30 2010-09-15 오애자 태핑 드릴링 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918A (ko) 201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244B1 (ko) 탭핑장치
ITBO20040217A1 (it) Testa operatrice per macchine utensili pluriasse
KR100982525B1 (ko) 태핑 드릴링 머신
JPH06328308A (ja) ドリルプレス
JP2004017274A (ja) 面取機
US4713887A (en) XY table
EP3998132A1 (en) Power tool
JP3466108B2 (ja) 双挟み台倍力万力
JP5335556B2 (ja) 加工装置
JPS57144641A (en) Machine tool
KR100798637B1 (ko) 탁상용 직선 면취기
CN211249217U (zh) 铣床用固定夹具
KR101751293B1 (ko) 정밀가공용 가공부품 고정장치
DE59902148D1 (de) Spanneinrichtung einer machinenspindel
JP2011016180A (ja) 加工装置
CN210335094U (zh) 一种液压接头快速成型装置
CN213470380U (zh) 一种cnc加工机用定位结构
RU160853U1 (ru) Сверлильный станок
KR101855160B1 (ko) 평면 각 및 가공 토크 조절 구조를 가지는 탭 드릴 머신
JP3237654U (ja) コレット用錆取装置
US20120087754A1 (en) Tapping attachment
CN218488653U (zh) 一种加工设备
JP4368555B2 (ja) 電動工具
CN109732372B (zh) 一种金工实习辅助教学装备
JP3215559B2 (ja) ネジ切り旋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