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963B1 -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 - Google Patents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963B1
KR101833963B1 KR1020170124239A KR20170124239A KR101833963B1 KR 101833963 B1 KR101833963 B1 KR 101833963B1 KR 1020170124239 A KR1020170124239 A KR 1020170124239A KR 20170124239 A KR20170124239 A KR 20170124239A KR 101833963 B1 KR101833963 B1 KR 101833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reversing
inverting
earthquake
pipe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준규
Original Assignee
우성안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성안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성안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4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9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1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the flexible liner being everte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cleaning or refurbishing water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설된 관로에 반전튜브를 투입하여 보수하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으로서, 지중에 매설된 관로를 천공하여 작업홀을 형성시키는 사전준비단계; 상기 작업홀에 반전장치를 투입한 후 반전장치에 연결된 반전튜브의 단부를 관로에 끼워 고정시키는 반전장치 설치단계; 상기 반전장치의 반전튜브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관로의 내주연에 밀착되게 상기 반전튜브를 반전시키는 반전튜브 설치단계; 상기 반전장치에서 상기 반전튜브를 분리한 후 상기 작업홀에서 상기 반전장치를 인출시키는 반전장치 철거단계; 상기 작업홀에 내진보강장치를 투입한 후 상기 내진보강장치의 체결링을 상기 관로에 설치된 반전튜브의 단부에 끼우는 내진보강장치 설치단계; 상기 내진보강장치로 관로에 설치된 반전튜브의 내측에 보강링을 설치하는 보강링 설치단계; 상기 내진보강장치에 통기공들이 형성된 기밀패널을 설치하는 기밀패널 설치단계; 상기 내진보강장치에 설치된 스팀기로 상기 반전튜브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단계; 및 상기 내진보강장치를 상기 반전튜브 및 상기 작업홀에서 분리한 후 상기 작업홀을 폐쇄하는 마감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로의 보수를 위해 반전장치를 설치하여 반전튜브를 반전시켜 관로의 기밀과 수밀을 유지시키고, 관로에 내진보장강치를 설치하여 반전튜브의 내부에 보강링을 설치하여 지지력을 향상시켜 지진에 대한 내진기능을 갖도록 한 후 스팀기로 반전튜브를 경화시킴으로써, 관로의 균열을 보수함과 동시에 지진시 파손에 취약한 부분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 {Non-excavated pipe repairing method with seismic function}
본 발명은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로의 균열을 보수함과 아울러 지진시 파손에 취약한 부분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 상하수도 관로의 개보수공사에 있어 지면을 굴착하고 난후 신관으로 교체하거나 보수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지면굴착에 의한 관로 개보수공법은 종합적인 하수관로가 시급한 상황에서 적절하지 못하다. 즉, 상기 공법은 주변환경을 손상시키고, 또 공사 후 토양의 침식으로 인해 지면의 침하 등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폐기물 처리의 곤란성이 따르며, 혼잡 지역의 경우 교통체증을 유발하고, 시민에게 불편을 주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도로를 해체하지 않고도 하수관로의 보수를 수행하는 비굴착 공법이 국내 현실에 맞게 다수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비굴착 공법은 관로의 준설 및 세정, CCTV 탐사, 관로 내의 돌출물 커팅, 반전삽입, 온수열경화 및 연결관 천공작업을 거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비굴착공법에서 상기 반전삽입공정은 부직포 내에 열경화성 에폭시수지를 함침시켜 제조한 반전튜브를 별도로 제작하고, 맨홀 위 지상에 작업을 위하여 가대를 사각틀로 형성한 반전가대를 소정 높이로 설치한다. 그리고 보강튜브를 반전가대 상부와 보수관로 입구까지 길이만큼 절단한 후, 상기 반전가대에 보강튜브를 장착하고, 또 상기 보강튜브의 타단부에 엘보우관을 설치, 고정한다. 이후, 상기 반전튜브를 아래로 내려 보강튜브에 삽입한 후, 상기 반전튜브의 일단부를 뒤집어 엘보우관 외주면에 고정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보강튜브 내에 물을 부어 수압에 의해 관로 내부에 서서히 상기 반전튜브를 반전시키고, 반전튜브 내부로 온수를 주입하여 상기 반전튜브를 경화시킨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수압으로 반전튜브를 뒤집기 위해서는 반전가대를 매우 크고 튼튼하게 제작해야 하는바, 장치의 설치비용이 매우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반전튜브 내측으로 한 번 유입된 물은 재사용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물 낭비가 심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7586호에서는 반전튜브에 투입되는 물을 대체하여 압축공기를 투입함으로써, 장치의 설치비용을 절감하고 물낭비를 해소하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물을 공급하거나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반전튜브를 반전시켜 관로를 보수하는 공법은 누수가 발생하는 관로에 기밀을 유지시키는 기능만 가지고 있고, 지지력이 약하여 균열이 발생된 관로가 지속적인 토압이나 지진에 의한 충격에 의해 파손시 함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어, 파손된 관로의 기밀을 유지시킴은 물론 지진에 의한 진동이나 충격시 관로를 내부에서 지지하여 보강함으로써,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진보강기능을 갖는 반전튜브의 시공 기술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로의 보수를 위해 반전장치를 설치하여 반전튜브를 반전시켜 관로의 기밀과 수밀을 유지시키고, 관로에 내진보장강치를 설치하여 반전튜브의 내부에 보강링을 설치하여 지지력을 향상시켜 지진에 따른 내진기능을 갖도록 한 후 스팀기로 반전튜브를 경화시킴으로써 관로의 균열을 보수함과 아울러, 지진시 파손에 취약한 부분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관로에 반전튜브를 투입하여 보수하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으로서,
지중에 매설된 관로를 천공하여 작업홀을 형성시키는 사전준비단계;
상기 작업홀에 반전장치를 투입한 후 반전장치에 연결된 반전튜브의 단부를 관로에 끼워 고정시키는 반전장치 설치단계;
상기 반전장치의 반전튜브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관로의 내주연에 밀착되게 상기 반전튜브를 반전시키는 반전튜브 설치단계;
상기 반전장치에서 상기 반전튜브를 분리한 후 상기 작업홀에서 상기 반전장치를 인출시키는 반전장치 철거단계;
상기 작업홀에 내진보강장치를 투입한 후 상기 내진보강장치의 체결링을 상기 관로에 설치된 반전튜브의 단부에 끼우는 내진보강장치 설치단계;
상기 내진보강장치로 관로에 설치된 반전튜브의 내측에 보강링을 설치하는 보강링 설치단계;
상기 내진보강장치에 통기공들이 형성된 기밀패널을 설치하는 기밀패널 설치단계;
상기 내진보강장치에 설치된 스팀기로 상기 반전튜브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단계; 및
상기 내진보강장치를 상기 반전튜브 및 상기 작업홀에서 분리한 후 상기 작업홀을 폐쇄하는 마감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전장치는 직립관부와 상기 직립관부의 하부에 절곡되게 형성되는 체결관부로 이루어진 하우징본체와,
상기 직립관부에 형성되는 압축공기주입부와,
상기 체결관부의 외면에 끼움되어 고정되고 상기 반전튜브의 단부에 끼움되는 고정링과,
상기 직립관부로 인입되고 상기 체결관부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반전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진보강장치는 일단에 작동구가 형성된 작동하우징과,
상기 작동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압실린더와,
상기 가압실린더의 축에 설치되며 전면부에는 지지바들이 형성된 가압패널과,
상기 지지바들에 끼움되며 상기 관로에 설치된 반전튜브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반전튜브를 지지하는 보강링과,
상기 작동하우징에 설치되는 스팀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강링의 외경은 상기 관로에 반전되면서 설치된 반전튜브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전면부의 테두리에는 라운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은 관로의 보수를 위해 반전장치를 설치하여 반전튜브를 반전시켜 관로의 기밀과 수밀을 유지시키고, 관로에 내진보장강치를 설치하여 반전튜브의 내부에 보강링을 설치하여 지지력을 향상시켜 지진에 대한 내진기능을 갖도록 한 후 스팀기로 반전튜브를 경화시킴으로써, 관로의 균열을 보수함과 동시에 지진시 파손에 취약한 부분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에 있어, 반전장치가 관로에 인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에 있어, 반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에 있어, 내진보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에 있어, 반전장치가 관로에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에 있어, 반전장치가 관로에 끼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에 있어, 반전장치의 반전튜브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반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에 있어, 내진보강장치를 관로에 인입시킨 후 보강링을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에 있어, 내진보강장치를 관로에 인입시킨 후 다른 보강링을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에 있어, 내진보강장치를 통해 반전튜브에 스팀을 공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에 있어, 관로에서 내진보강장치를 분리한 후 관로를 매립하는 마감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에 있어, 반전장치가 관로에 인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에 있어, 반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에 있어, 내진보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에 있어, 반전장치가 관로에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에 있어, 반전장치가 관로에 끼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에 있어, 반전장치의 반전튜브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반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에 있어, 내진보강장치를 관로에 인입시킨 후 보강링을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에 있어, 내진보강장치를 관로에 인입시킨 후 다른 보강링을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에 있어, 내진보강장치를 통해 반전튜브에 스팀을 공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에 있어, 관로에서 내진보강장치를 분리한 후 관로를 매립하는 마감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은 지중에 매설된 관로에 반전튜브(14)를 투입하여 보수하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으로서, 이에 이와 같은 관로보수공법은 사전준비단계와 반전장치 설치단계와 반전튜브 설치단계와 반전장치 철거단계와 내진보강장치 설치단계와 보강링 설치단계와 기밀패널 설치단계와 스팀공급단계와 마감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전준비단계는 지중에 매설된 관로(100)를 천공하도록 보수할 지점의 지반을 굴착한 후 천공기로 관로(100)를 천공하여 작업홀(110)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반전장치 설치단계는 상기 작업홀(110)에 반전장치(10)를 투입한 후 반전장치(10)에 연결된 반전튜브의 단부를 관로(100)에 끼워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반전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관부(111)와 상기 직립관부(111)의 하부에 절곡되게 형성되는 체결관부(112)로 이루어진 하우징본체(11)와, 상기 직립관부(111)에 형성되는 압축공기주입부(12)와, 상기 체결관부(112)의 외면에 끼움되어 고정되고 상기 반전튜브(14)의 단부에 끼움되는 고정링(13)과, 상기 직립관부(111)로 인입되고 상기 체결관부(112)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반전튜브(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직립관부(111)와 상기 체결관부(112)는 상호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직립관부(111)의 상부에는 압축공기가 주입될 때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덮개를 더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링(13)은 상기 직립관부(111)의 단부에 끼움되어 접착 또는 융착되고, 재질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전튜브(14)는 부직포 내에 열경화성 에폭시수지를 함침시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반전튜브(14)는 열에 의해 경화되고 탄성을 갖는 것이면 그 재질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반전튜브(14)는 상기 직립관부(111)와 체결관부(112)를 관통한 후 단부를 뒤집어 말아 상기 고정링(13)에 끼운 후 접착하여 고정시키게 되며, 이 상태에서 도 1과 같이 상기 관로(100)의 작업홀(110)에 인입시키게 된다.
상기 반전튜브 설치단계는 상기 반전장치(10)의 반전튜브(14)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관로(100)의 내주연에 밀착되게 상기 반전튜브(14)를 반전시키는 반전튜브(14)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반전장치(10)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작업홀(110)에 끼운 후 도 5에서와 같이 반전시킬 관로(100)에 상기 체결관부(112)의 단부와 상기 고정링(13) 및 상기 반전튜브(14)를 끼우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링(13)과 상기 반전튜브(14)의 탄성에 의해 상기 관로(100)에 억지끼움되어 밀폐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반전장치(10)의 압축공기주입부(12)를 통해 상기 하우징본체(11)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투입하여 상기 반전튜브(14)를 반전시켜 도 6에서와 같이 관로(100)의 내측면을 가압하면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균열이 발생되거나 파손된 관로(100)를 보수하여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반전장치 철거단계는 상기 반전장치(10)의 고정링(13)에서 상기 반전튜브(14)를 분리한 후 상기 작업홀(110)에서 상기 반전장치(10)를 인출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고정링(13)에는 상기 반전튜브(14)의 단부가 끼워지는데, 반전튜브(14)의 탄성에 의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반전장치(10) 철거단계에서 상호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내진보강장치 설치단계는 상기 작업홀(110)에 내진보강장치(20)를 투입한 후 상기 내진보강장치(20)의 체결링(27)을 상기 관로(100)에 설치된 반전튜브(14)의 단부에 끼우는 단계이다.
상기 체결링(27)은 상기 작동구(211)를 감싸도록 작동하우징(21)에 끼움되어 접착 또는 융착되고, 재질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진보강장치(20)는 일단에 작동구(211)가 형성된 작동하우징(21)과, 상기 작동하우징(21)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압실린더(22)와, 상기 가압실린더(22)의 축에 설치되며 전면부에는 지지바(231)들이 형성된 가압패널(23)과, 상기 지지바(231)들에 끼움되며 상기 관로(100)에 설치된 반전튜브(14)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반전튜브(14)를 지지하는 보강링(24)과, 상기 작동하우징(21)에 설치되는 스팀기(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압패널(23)은 원형의 패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실린더(22)의 축에 탈착가능하게 나사체결되거나 홈을 형성하여 나사체결된다. 상기 가압패널(23)에는 전면부에 상기 지지바(231)들의 단부가 용접되어 고정되며, 상기 지지바(231)들은 후술될 보강링(24)이 이송과정에서 반전튜브(14)의 내측면에 걸림되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면부에 환형으로 배치시키거나 열십자 방향으로 배치시키게 된다.
상기 가압패널(23)은 마찰을 줄이도록 반전된 상기 반전튜브(14)의 내경보다는 외경을 작게 형성시키고, 상기 보강링(24)의 내경보다는 외경을 크게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보강링(24)은 상기 지지바(231)들이 지지되도록 끼움됨과 아울러 상기 가압패널(23) 및 상기 가압실린더(22)에 의해 상기 반전튜브(14)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하우징(21)에는 상기 가압실린더(22)를 대체하여 이송축을 갖는 리니어모터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이송축을 가압패널(23)에 연결한 후 가압패널(23)을 입력된 거리만큼 이송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가압실린더(22)를 리니어모터에 설치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상기 보강링 설치단계는 상기 내진보강장치(20)로 관로(100)에 설치된 반전튜브(14)의 내측에 보강링(24)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보강링(24)의 외경은 상기 관로(100)에 반전되면서 설치된 반전튜브(14)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전면부의 테두리에는 라운딩부(241)가 형성된다. 상기 라운딩부(241) 및 상기 보강링(24)의 외면에는 안내롤러를 더 설치하여 이동과정 중 걸림되거나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패널(23)에는 일면에 바이브레이터를 더 나사체결하거나 용접하여, 진동이 상기 보강링(24)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강링(24)이 이동과정 중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강링(24)의 외경을 상기 반전튜브(14)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시켜, 반전튜브(14)에 끼움시 상기 반전튜브(14)의 내측면을 가압하면서 지지,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반전튜브(14)가 스팀에 의해 경화되기 이전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보강링(24)을 억지끼움시켜 반전튜브(14)에 끼운 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강링(24)에 라운딩부(241)가 형성되어 보강링(24)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반전튜브(14)의 내측면에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반전튜브(14)의 반전되는 과정에서 반전튜브(14)의 끝단부가 관로(100)에 밀착되지 않고 말리게 되는데, 상기 보강링(24)을 반전튜브(14)의 끝단부 부분에 끼움으로써 말린 반전튜브(14)를 관로(100)의 내측면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기밀패널 설치단계는 상기 내진보강장치(20)에 통기공들이 형성된 기밀패널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관로(100)에서 상기 내진보강장치(20)를 분리한 후 가압실린더(22)에 체결된 가압패널(23)을 분리하고 가압실린더(22)의 축에 다수의 통기공(261)이 형성된 기밀패널(26)을 탈착가능하게 나사체결 또는 홈을 형성하여 나사체결한 후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내진보강장치(20)를 관로(100)에 설치된 반전튜브(14)의 단부에 끼운 후 상기 가압실린더(22)를 작동시켜 상기 기밀패널을 상기 보강링(24)에 끼움되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기밀패널(26)의 통기공(261)으로 스팀의 일부가 유출되어 내부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르게는, 상기 기밀패널(26)을 상기 관로(100)에 설치된 반전튜브(14)의 끝단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상기 스팀공급단계는 상기 내진보강장치(20)에 설치된 스팀기(25)로 상기 반전튜브(14)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단계이다.
상기 기밀패널(26)이 상기 보강링(24)에 끼움된 상태에서 상기 스팀기(25)로 상기 반전튜브(14)에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여 상기 반전튜브(14)를 경화시키게 된다.
이어서, 상기 마감단계는 상기 내진보강장치(20)를 상기 반전튜브(14) 및 상기 작업홀(110)에서 분리한 후 상기 작업홀(110)을 덮개로 덮은 후 모르타르나 실리콘으로 밀폐시켜 폐쇄시킨 후 굴착된 지면을 메우는 단계로서, 이렇게 함에 의해 비굴착식 관로보수공사가 완료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에 따르면, 반전장치를 이용하여 반전튜브로 매립된 관로의 내부에 보수하고, 내진보강장치를 관로에 설치하여 관로에 설치된 반전튜브의 내측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지진이 발생시 관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누수차단 기능에만 한정된 반전튜브에서 발생하는 지진에 대한 취약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반전장치 11 : 하우징본체
111 : 직립관부 112 : 체결관부
12 : 압축공기주입부 13 : 고정링
14 : 반전튜브
20 : 내진보강장치 21 : 작동하우징
211 : 작동구 22 : 가압실린더
23 : 가압패널 231 : 지지바
24 : 보강링 241 : 라운딩부
25 : 스팀기 26 : 기밀패널
261 : 통기공 27 : 체결링
100 : 관로 110 : 작업홀

Claims (4)

  1. 지중에 매설된 관로에 반전튜브를 투입하여 보수하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으로서,
    지중에 매설된 관로를 천공하여 작업홀을 형성시키는 사전준비단계;
    상기 작업홀에 반전장치를 투입한 후 반전장치에 연결된 반전튜브의 단부를 관로에 끼워 고정시키는 반전장치 설치단계;
    상기 반전장치의 반전튜브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관로의 내주연에 밀착되게 상기 반전튜브를 반전시키는 반전튜브 설치단계;
    상기 반전장치에서 상기 반전튜브를 분리한 후 상기 작업홀에서 상기 반전장치를 인출시키는 반전장치 철거단계;
    상기 작업홀에 내진보강장치를 투입한 후 상기 내진보강장치의 체결링을 상기 관로에 설치된 반전튜브의 단부에 끼우는 내진보강장치 설치단계;
    상기 내진보강장치로 관로에 설치된 반전튜브의 내측에 보강링을 설치하는 보강링 설치단계;
    상기 내진보강장치에 통기공들이 형성된 기밀패널을 설치하는 기밀패널 설치단계;
    상기 내진보강장치에 설치된 스팀기로 상기 반전튜브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단계; 및
    상기 내진보강장치를 상기 반전튜브 및 상기 작업홀에서 분리한 후 상기 작업홀을 폐쇄하는 마감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내진보강장치는 일단에 작동구가 형성된 작동하우징과, 상기 작동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압실린더와, 상기 가압실린더의 축에 설치되며 전면부에는 지지바들이 형성된 가압패널과, 상기 지지바들에 끼움되며 상기 관로에 설치된 반전튜브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반전튜브를 지지하는 보강링과, 상기 작동하우징에 설치되는 스팀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전장치는 직립관부와 상기 직립관부의 하부에 절곡되게 형성되는 체결관부로 이루어진 하우징본체와,
    상기 직립관부에 형성되는 압축공기주입부와,
    상기 체결관부의 외면에 끼움되어 고정되고 상기 반전튜브의 단부에 끼움되는 고정링과,
    상기 직립관부로 인입되고 상기 체결관부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반전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링의 외경은 상기 관로에 반전되면서 설치된 반전튜브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전면부의 테두리에는 라운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
KR1020170124239A 2017-09-26 2017-09-26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 KR101833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239A KR101833963B1 (ko) 2017-09-26 2017-09-26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239A KR101833963B1 (ko) 2017-09-26 2017-09-26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963B1 true KR101833963B1 (ko) 2018-03-02

Family

ID=61729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239A KR101833963B1 (ko) 2017-09-26 2017-09-26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9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8183A (ja) * 1999-10-08 2001-04-20 Kajima Corp 既設管きょの内面補修工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セグメントのリング組立兼搬送装置
KR100925041B1 (ko) * 2009-07-22 2009-11-03 주식회사 라텍이엔지 상하수도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8183A (ja) * 1999-10-08 2001-04-20 Kajima Corp 既設管きょの内面補修工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セグメントのリング組立兼搬送装置
KR100925041B1 (ko) * 2009-07-22 2009-11-03 주식회사 라텍이엔지 상하수도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1199B1 (ko) 관로 보수용 비굴착 반전장치
KR100588821B1 (ko) 균일 팽창이 가능한 패커를 구비하는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
KR100553240B1 (ko) 관로보수용 튜브 공기압 연속반전장치
KR20100027768A (ko) 패커를 이용한 비굴착식 하수관로 보수 장치 및 방법
US5190705A (en) Method for lining large-diameter pipes
US10436374B2 (en) Grooved sealing member for sealing pipes and other underground structures and method of using
CA2435838A1 (en) Method of repairing flow passage
KR101457586B1 (ko) 반전튜브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보수공법
KR102235985B1 (ko) Led 광원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관로 보수·보강 장치 및 공법
CN102345465A (zh) 盾构到达箍紧密封装置
KR101833963B1 (ko) 내진기능을 갖는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
KR101776914B1 (ko) 상하수도 비굴착 관로 스팀공급공법 및 장치
KR101754189B1 (ko) 관로보수용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
KR20020008563A (ko) 보호막을 갖춘 수지이송성형법을 이용한 하수관보수·보강 공법
KR101515163B1 (ko) 하수관로 보수장치
KR100934194B1 (ko) 부압을 이용한 라이너 튜브 보수장치 및 방법
KR101861488B1 (ko) 비굴착 상하수도 부분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
KR20060122361A (ko) 관로 비굴착 몰탈 주입공법
KR102269518B1 (ko) 반전튜브 공급수단을 구비하는 반전튜브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보수공법
KR200369219Y1 (ko) 관로용 비굴착식 부분 보수장치
KR101696844B1 (ko) 비굴착 관로 보수용 반전튜브 반전장치
KR200365487Y1 (ko) 관로보수용 튜브 공기압 연속반전장치
KR101109660B1 (ko) 상하수도 비굴착 관로 보수공법 및 장치
US1068871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habilitating, repairing, and replacing manholes and connected sewer lines
KR102621243B1 (ko) 진동 충격을 이용한 상하수도관 보수 장치 및 보수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