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862B1 -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 - Google Patents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862B1
KR101833862B1 KR1020160065183A KR20160065183A KR101833862B1 KR 101833862 B1 KR101833862 B1 KR 101833862B1 KR 1020160065183 A KR1020160065183 A KR 1020160065183A KR 20160065183 A KR20160065183 A KR 20160065183A KR 101833862 B1 KR101833862 B1 KR 101833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anel
flange
connector
panel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3865A (ko
Inventor
임현국
Original Assignee
(주)한국미래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미래기술 filed Critical (주)한국미래기술
Priority to KR1020160065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862B1/ko
Priority to PCT/KR2017/003120 priority patent/WO2017204450A1/ko
Publication of KR20170133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4Inserts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결합홀이 형성된 금속패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파이프 형상의 결합부 및 결합부의 외주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금속패널의 결합홀과 직경이 동일한 플랜지로 구성된 연결구; 플랜지의 테두리 지점에서 금속패널과 플랜지 사이를 서로 고정하는 고정부; 및 금속패널에 적층되는 복수의 강화섬유시트;를 포함하는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 {FIBER REINFORCED COMPOSITE PANEL WITH VERTICALLY INSERTED CONNECTOR}
본 발명은 금속패널과 강화섬유시트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복합패널에 너트 등의 연결구를 안정적으로 인서트 하고, 인서트된 상태에서도 유효하게 결합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인서트 과정이 비교적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량화 소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탄소섬유 등을 이용한 복합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탄소섬유는 금속에 비해 인장방향으로의 강도가 높고 가벼운 장점이 있으나 굽힘 강도에 약한 단점도 있다.
이러한 복합재에 너트나 볼트 등의 연결구를 인서트 하여 타 부품과의 결합을 위한 기술도 소개되고 있다.
종래의 경우 일 예로 스테빌라이저바를 만드는 방법이 소개된다. 이는, 하부몰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에 와이어를 삽입하고, 상기 홈의 양 끝단에 조인트너트를 각각 삽입하고, 상기 조인트너트 후면에 형성된 홈에 상기 와이어의 끝단을 삽입하고 접착한 후, 상기 와이어와 상기 조인트너트를 감싸는 폴리우레탄을 발포하고 상기 하부몰드위로 상부몰드를 덮어서 폴리우레탄 코어를 만드는 제1단계; 상기 폴리우레탄 코어의 외주면에 탄소섬유를 브레이딩 하는 제2단계; 상기 브레이딩 된 탄소섬유에 수지를 침투시키는 제3단계: 및 상기 조인트너트에 조인트볼트를 체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2015-0012512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금속패널과 강화섬유시트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복합패널에 너트 등의 연결구를 안정적으로 인서트 하고, 인서트된 상태에서도 유효하게 결합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인서트 과정이 비교적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은, 결합홀이 형성된 금속패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파이프 형상의 결합부 및 결합부의 외주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금속패널의 결합홀과 직경이 동일한 플랜지로 구성되고, 결합홀에 삽입시 플랜지가 결합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금속패널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연결구; 플랜지의 테두리 지점에서 금속패널과 플랜지 사이를 서로 고정하는 고정부; 및 금속패널에 적층되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고, 금속패널의 결합홀과 동일한 지점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금속패널에의 적층시 연결구가 관통홀을 통해 관통하는 복수의 강화섬유시트;를 포함한다.
결합홀과 플랜지는 직경이 동일한 원형의 형상이며, 플랜지는 결합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외주면이 결합홀의 내주면에 접할 수 있다.
고정부는 금속패널과 플랜지를 연결하는 스폿 용접부일 수 있다.
금속패널과 플랜지는 두께가 동일할 수 있다.
금속패널과 연결구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구의 연장된 길이는 금속패널과 강화섬유시트가 결합된 복합패널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연결구의 단부는 최외측의 강화섬유시트가 이루는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연결구는 플랜지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파이프 형상으로 연장된 상측결합부 및 플랜지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파이프 형상으로 연장된 하측결합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측결합부와 하측결합부는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파이프 형상이며 내측이 함께 통공될 수 있다.
상측결합부는 금속패널의 상방으로 돌출되고 하측결합부는 금속패널의 하방으로 돌출되며, 금속패널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강화섬유시트가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에 따르면, 금속패널과 강화섬유시트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복합패널에 너트 등의 연결구를 안정적으로 인서트 하고, 인서트된 상태에서도 유효하게 결합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인서트 과정이 비교적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의 연결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의 연결구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의 금속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의 금속패널에 연결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의 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의 연결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의 연결구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의 금속패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의 금속패널에 연결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의 단면도로써,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은, 결합홀(120)이 형성된 금속패널(100);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파이프 형상의 결합부(320,340) 및 결합부(320,340)의 외주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금속패널(100)의 결합홀(120)과 직경이 동일한 플랜지로 구성되고, 결합홀(120)에 삽입시 플랜지(360)가 결합홀(120)에 끼워진 상태에서 금속패널(100)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연결구(300); 플랜지(360)의 테두리 지점에서 금속패널(100)과 플랜지(360) 사이를 서로 고정하는 고정부(S); 및 금속패널(100)에 적층되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고, 금속패널(100)의 결합홀(120)과 동일한 지점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금속패널(100)에의 적층시 연결구(300)가 관통홀을 통해 관통하는 복수의 강화섬유시트(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경우 금속패널(100)이 구비되고, 그 일면에 강화섬유시트(500)가 적층되는 샌드위치 구조를 갖는다. 이를 통해 금속패널(100)의 장점과 강화섬유시트(500)의 장점을 융합하도록 한다. 강화섬유로는 탄소섬유, 아라미드, 케블라 등의 다양한 섬유가 활용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샌드위치 구조의 복합패널을 다른 부품과 결합함에 있어 그 결합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금속 재질의 연결구(300)가 필요한데, 본 발명의 경우 그 연결구(300)를 비교적 쉽게 장착하고, 또한 결합시, 사용시 강도가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데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패널(100)에는 결합홀(120)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1 내지 2와 같이 연결구(3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파이프 형상의 결합부(320,340)로 구성된다. 또한 결합부(320,340)의 외주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금속패널(100)의 결합홀(120)과 직경이 동일한 플랜지(360)가 형성된다. 연결구(300)는 결합홀(120)에 삽입시 플랜지(360)가 결합홀(120)에 끼워진 상태에서 금속패널(100)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한다.
한편, 도 4와 같이 고정부(S)는 플랜지(360)의 테두리 지점에서 금속패널(100)과 플랜지(360) 사이를 서로 고정하고, 도 5와 같이 강화섬유시트(500)는 금속패널(100)에 적층되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고, 금속패널(100)의 결합홀(120)과 동일한 지점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금속패널(100)에의 적층시 연결구(300)가 관통홀을 통해 관통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일단 금속패널(100)과 강화섬유시트(500)가 적층되어 복합적인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연결구(300)는 금속패널(100)에 고정되기 때문에 그 위치와 결합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금속패널(100)의 결합홀(120)과 플랜지(360)는 직경이 동일한 원형의 형상이며, 플랜지(360)는 결합홀(120)에 끼워진 상태에서 외주면이 결합홀(120)의 내주면에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구(300)는 결합홀(120)에 삽입시 플랜지(360)가 결합홀(120)에 끼워진 상태에서 금속패널(100)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한다. 이를 통해 연결구(300)는 금속패널(100)의 수평방향으로 그 최초의 조립위치가 규제되며 타 부품과의 연결 상태에서의 연결강도를 확보한다.
한편, 고정부(S)는 도 4와 같이 금속패널(100)과 플랜지(360)를 연결하는 스폿 용접부일 수 있다. 고정부(S)는 플랜지(360)의 테두리 지점에서 금속패널(100)과 플랜지(360) 사이를 서로 고정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연결구(300)의 최초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플랜지(360)는 금속패널(100)과의 연결을 수행하며 동시에 연결구(300)의 위치를 규제하는 것이다.
그리고 금속패널(100)과 플랜지(360)는 두께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연결구(300)가 수직 인서트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후에 적층될 강화섬유시트(500)는 일정한 평면을 비교적 쉽게 이룰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금속패널(100)과 연결구(300)는 알루미늄 등으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고정부(S)를 통한 용접시 용접 방식이나 재질의 선택에 있어 하나의 재질만을 고려하면 되기 때문에 선택의 폭이 넓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결구(300)의 연장된 길이는 도 5와 같이 금속패널(100)과 강화섬유시트(500)가 결합된 복합패널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연결구(300)의 단부는 최외측의 강화섬유시트(500)가 이루는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복합패널이 완성된 상태에서 외부로 연결구(300)가 돌출되지 않고 인서트되도록 함으로써 타 부품과 복합패널이 면접촉을 이룰 경우 면-면으로 단차 없이 접촉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부품 간의 지지력이 상승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연결구(300)는 플랜지(360)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파이프 형상으로 연장된 상측결합부(320) 및 플랜지(360)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파이프 형상으로 연장된 하측결합부(34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측결합부(320)와 하측결합부(340)는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파이프 형상이며 내측이 함께 통공될 수 있다. 또한, 상측결합부(320)는 금속패널(100)의 상방으로 돌출되고 하측결합부(340)는 금속패널(100)의 하방으로 돌출되며, 금속패널(100)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강화섬유시트(500)가 적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최종적으로 도 5와 같은 단면의 상태를 이룬다. 연결구(300)는 상하로 관통된 형상이기 때문에 연결구(300)를 통해 연결핀이나 샤프트 등이 관통할 수 있고, 상측결합부(320)와 하측결합부(340)는 강화섬유시트(500)의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틀어짐이 없이 규체되고, 플랜지(360)를 통해 금속패널(100)에 고정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연결구(300)는 어느 방향으로나 토크가 작용하더라도 복합패널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연결구(300)와 강화섬유시트(500)의 사이 및 금속패널(100)과 강화섬유시트(500)의 사이에는 절연성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차후에 발생할 수 있는 전이부식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금속패널 300 : 연결구
500 : 강화섬유시트

Claims (9)

  1. 결합홀이 형성된 금속패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파이프 형상의 결합부 및 결합부의 외주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금속패널의 결합홀과 직경이 동일한 플랜지로 구성되고, 결합홀에 삽입시 플랜지가 결합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금속패널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연결구;
    플랜지의 테두리 지점에서 금속패널과 플랜지 사이를 서로 고정하는 고정부; 및
    금속패널에 적층되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고, 금속패널의 결합홀과 동일한 지점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금속패널에의 적층시 연결구가 관통홀을 통해 관통하는 복수의 강화섬유시트;를 포함하고,
    플랜지는 외주면이 결합홀의 내주면에 접하고, 연결구는 외주면이 관통홀의 내주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결합홀과 플랜지는 직경이 동일한 원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
  3.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부는 금속패널과 플랜지를 연결하는 스폿 용접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
  4. 청구항 1에 있어서,
    금속패널과 플랜지는 두께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
  5. 청구항 1에 있어서,
    금속패널과 연결구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구의 연장된 길이는 금속패널과 강화섬유시트가 결합된 복합패널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연결구의 단부는 최외측의 강화섬유시트가 이루는 평면상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구는 플랜지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파이프 형상으로 연장된 상측결합부 및 플랜지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파이프 형상으로 연장된 하측결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측결합부와 하측결합부는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파이프 형상이며 내측이 함께 통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측결합부는 금속패널의 상방으로 돌출되고 하측결합부는 금속패널의 하방으로 돌출되며, 금속패널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강화섬유시트가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
KR1020160065183A 2016-05-27 2016-05-27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 KR101833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183A KR101833862B1 (ko) 2016-05-27 2016-05-27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
PCT/KR2017/003120 WO2017204450A1 (ko) 2016-05-27 2017-03-23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183A KR101833862B1 (ko) 2016-05-27 2016-05-27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865A KR20170133865A (ko) 2017-12-06
KR101833862B1 true KR101833862B1 (ko) 2018-03-05

Family

ID=60412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183A KR101833862B1 (ko) 2016-05-27 2016-05-27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33862B1 (ko)
WO (1) WO20172044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843B1 (ko) * 2018-12-24 2020-10-16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하드웨어의 인서트 결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390559B1 (ko) * 2021-11-19 2022-04-27 (주)테라엔지니어링 보강 부재를 이용하여 smc 시트와 프리프레그 간의 일체 성형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8448A (ja) 2007-09-26 2009-04-16 Toyoda Gosei Co Ltd 樹脂要素部品の接合構造
JP2012153068A (ja) 2011-01-27 2012-08-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インサート構造を有するサンドイッチ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141048A (ja) * 2013-01-25 2014-08-07 Toyota Industries Corp 機能部材一体型繊維強化複合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4074A (ja) * 1994-07-22 1996-02-06 Mitsubishi Heavy Ind Ltd Frp管継手及びその製造法
KR200275909Y1 (ko) * 2001-05-24 2002-05-18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섬유강화 복합소재 이음관
JP5907422B2 (ja) * 2012-03-30 2016-04-26 広島県 繊維強化樹脂材料部材の締結構造
US20160114641A1 (en) * 2013-05-28 2016-04-28 Toray Industries, Inc. Vehicle link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588213B1 (ko) * 2015-01-30 2016-01-2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대구경관의 연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8448A (ja) 2007-09-26 2009-04-16 Toyoda Gosei Co Ltd 樹脂要素部品の接合構造
JP2012153068A (ja) 2011-01-27 2012-08-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インサート構造を有するサンドイッチ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141048A (ja) * 2013-01-25 2014-08-07 Toyota Industries Corp 機能部材一体型繊維強化複合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04450A1 (ko) 2017-11-30
KR20170133865A (ko) 201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92083B1 (en) Joint structure for fiber reinforced resin and metal, and joining method for fiber reinforced resin and metal
JP6177611B2 (ja) 相互薄板状の金属シートで補強された積層複合材の屈曲および補強部材
US10118254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a side body structure of a vehicle and a side body structure of a vehicle
CN102317154B (zh) 一种复合结构桁架的方法与系统
US7959058B1 (en) Hybrid composite welded joint
US20120157217A1 (en) Frp drive shaft
US8302312B2 (en) Method for producing a fuselage airframe of an aircraft
US20070175966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etallic-composite joint with compliant, non-corrosive interface
KR101833862B1 (ko) 연결구가 수직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
US8808822B2 (en) Joint structure for fiber reinforced resin and metal, and joining method for fiber reinforced resin and metal
KR101840742B1 (ko) 연결구가 수평 인서트된 강화섬유 복합패널
JP2017132063A (ja) 繊維強化樹脂構造体
US20170313030A1 (en) Composite material with insert-molded attachment steel
CN105570266A (zh) 用于车辆板状部件的紧固装置
KR101846648B1 (ko) 접합구조를 갖는 복합재 부품
JP2008044347A (ja) Frp成形物の継手構造および継手接合方法
JP6852505B2 (ja) 接合構造
JP2019167063A (ja) 車両用ホイール
US20140272317A1 (en) Adhesive joint for joining panels
JP3261664B2 (ja) 繊維強化樹脂複合材中空梁の交差結合方法
EP4279754A1 (en) Joints of composite frames for optics support structure
JP3132754U (ja) セラミック複合装甲板構造体
JP6313973B2 (ja) 積層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10083852A (ko) 자동차용 복합재 패널의 스틸 브라켓 접합 방법 및 패널 접합용 스틸 브라켓 어셈블리
JP2001090209A (ja) 繊維強化複合材梁の交差結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