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511B1 - 임산부용 카시트 - Google Patents

임산부용 카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511B1
KR101833511B1 KR1020160112677A KR20160112677A KR101833511B1 KR 101833511 B1 KR101833511 B1 KR 101833511B1 KR 1020160112677 A KR1020160112677 A KR 1020160112677A KR 20160112677 A KR20160112677 A KR 20160112677A KR 101833511 B1 KR101833511 B1 KR 101833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oupled
pregnant
tongue plate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균
Original Assignee
김태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균 filed Critical 김태균
Priority to KR1020160112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5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6Type of passenger
    • B60R2021/0062Type of passenger woman, e.g. pregn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2Connections between seat belt and buckle tong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산부용 카시트에 관한 발명으로, 임산부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부, 등받이부의 하부에서 연장형성되는 좌판부, 등받이부의 측면의 일 지점에서 임산부의 정면방향으로 결합된 버클부 및 안전벨트부의 일 지점에서 임산부의 후면방향으로 결합된 텅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텅 플레이트부가 버클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임산부의 복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켜 임산부 및 태아를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임산부용 카시트{Assembly stool}
본 발명은 임산부용 카시트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슴 벨트부의 일 지점에 결합된 텅 플레이트부와 등받이부에 결합된 버클부의 탈착 가능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임산부의 복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전 벨트는 자동차의 주행 중 좌석에 앉은 승객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로 인해, 운송 수단의 충돌 사고 시, 충돌로 인해 승객에게 발생하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어 주행 중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에 대한 중요성이 나날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자동차뿐만 아니라 비행기, 열차 등 다양한 운송 수단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동차의 안전벨트는 일반적으로 성인을 기준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성인의 체형이 아닌 유아, 임산부 등에게는 자동차에 탑승하였을 때 몸에 비해 안전벨트가 너무 크게 조이거나(유아), 작게 조여(임산부)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었다.
이에 최근에는 유아용 혹은 임산부용 전용 카시트가 개발되고 있다. 카시트란, 자동차 또는 기타 운송수단의 좌석에 맞춤형으로 결합이 가능한 보조시트로, 유아 또는 임산부가 충돌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별도로 제작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임산부용 카시트에 임산부가 착석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임산부용 카시트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안전벨트 장치는 크게 가슴 벨트부(5a), 하체 벨트부(5b), 제1 벨트지지부(8), 제2 벨트지지부(9), 걸쇠부(6) 및 클램프(7)로 구성된다. 가슴 벨트부(5a)는 임산부(1)의 가슴을 경사지게 가로지르는 것으로, 임산부(1)의 상체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가슴 벨트부(5a)의 일단부는 제1 벨트지지부(8)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1 벨트지지부(8)는 미도시 하였지만, 자동차 프레임 내부의 리트렉터와 연결되어 길이 조정이 가능하다. 가슴 벨트부(5a)의 타단부는 걸쇠부(6)를 기준으로 방향이 바뀐다. 걸쇠부(6)는 자동차의 프레임에 결합된 클램프(7)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이 가능하다. 임산부(1)는 체형에 맞게 걸쇠부(6)를 당겨 클램프(7)에 결착하여 안전벨트 장치를 고정한다. 걸쇠부(6)를 기준으로 가슴 벨트부(5a)는 하체 벨트부(5b)로 방향이 바뀌어 연장형성된다. 하체 벨트부(5b)는 임산부(1)의 하체를 평행하게 가로지르는 것으로, 임산부(1)의 하체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하체 벨트부(5b)의 단부는 제2 벨트지지부(9)와 연결되어 이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임산부용 카시트(4)는 차 등받이(3) 및 차 좌석부(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의자 형상으로 제작되었으며 임산부(1)가 카시트(4)에 착석하고, 안전벨트 장치를 고정하는 방법으로 임산부(1)를 보호하였다.
그런, 종래의 임산부용 카시트(4)의 경우, 안전벨트 장치, 특히 가슴 벨트부(5a) 및 하체 벨트부(5b)의 형상이 별도로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임산부(1)의 복부(1a)를 가압하여 태아에게 충격이 그대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에서 A지점 및 B지점은 임산부(1)의 복부(1a)에 가해지는 압력의 범위를 도시한 것으로, 가슴 벨트부(5a) 및 하체 벨트부(5b) 모두 걸쇠부(6) 및 클램프(7)에 의해 팽팽하게 조여진 상태로 복부(1a)의 A지점 및 B지점을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카시트 및 안전벨트 구조로 인해 가슴 벨트부(5a) 및 하체 벨트부(5b)가 복부(1a) 내의 태아를 직접적으로 가압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심한 경우 유산까지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임산부(1) 및 임산부(1)의 복부(1a) 내의 태아를 안전벨트의 조임으로부터 보호하는 카시트의 발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임산부용 카시트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슴 벨트부의 일 지점에 결합된 텅 플레이트부와 등받이부에 결합된 버클부의 탈착 가능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임산부의 복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임산부용 카시트는, 임산부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부, 등받이부의 하부에서 연장형성되는 좌판부, 등받이부의 측면의 일 지점에서 임산부의 정면방향으로 결합된 버클부 및 안전벨트부의 일 지점에서 임산부의 후면방향으로 결합된 텅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텅 플레이트부가 버클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임산부용 카시트의 안전벨트부는, 임산부의 가슴을 경사지게 가로지르는 가슴 벨트부, 가슴 벨트부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좌석에 형성된 클램프와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걸쇠부 및 걸쇠부에 결합되어 임산부의 하체를 좌판부와 평행하게 가로지르는 하체 벨트부를 포함하고, 가슴 벨트부의 일 지점에서 텅 플레이트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임산부용 카시트의 텅 플레이트부는, 버클부에 탈착되는 텅 플레이트 본체, 텅 플레이트 본체에 결합되고, 일 지점에 홀이 형성된 띠 형상의 결착부 및 결착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리부를 포함하고, 결착부가 가슴 벨트부를 둘러싸도록 고리부가 홀에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임산부용 카시트의 홀은 결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임산부용 카시트의 버클부는, 텅 플레이트 본체가 삽입되는 버튼부 및 등받이부의 측면의 일 지점과 버튼부를 잇는 보조끈부를 포함하고, 버튼부가 눌려지는 동작에 의해 텅 플레이트 본체가 버튼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임산부용 카시트의 보조끈부의 재질은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임산부용 카시트의 등받이부의 측면의 상부에는 일면이 개방된 걸림홈이 형성되고, 가슴 벨트부가 걸림홈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임산부용 카시트의 좌판부의 중심부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지지부가 결합되고, 하체 벨트부는 가이드 홈을 관통하여 임산부의 하체가 삽입되는 한 쌍의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임산부용 카시트의 좌판부의 저면에는, 카시트의 후면으로 돌출되는 결착구가 형성되고, 결착구는 좌석의 아이에스오픽스(ISOFIX)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임산부용 카시트의 버클부 및 걸림홈은, 임산부를 기준으로 양 측면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텅 플레이트부 및 버클부의 결합에 의해 임산부 복부의 상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에 의해 임산부 복부의 하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걸림홈에 의해 자동차 사고시 가슴 벨트부가 임산부의 목을 조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버클부에 의해 자동차 뒷좌석 좌,우 불문하고 어디든지 카시트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착부의 복수 개의 홀 구성으로 텅 플레이트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리부에 의해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텅 플레이트부 및 버클부의 탈착 구조로 인해 카시트 결합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1은 종래의 임산부용 카시트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산부용 카시트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임산부용 카시트의 텅 플레이트부를 도시한 도면.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임산부용 카시트의 텅 플레이트부 및 버클부의 탈착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임산부용 카시트의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임산부용 카시트의 등받이부에 형성된 걸림홈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임산부용 카시트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 8a 및 8b는 종래의 임산부용 카시트와 본 발명에 따른 임산부용 카시트의 임산부에게 가해지는 압력의 차이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임산부용 카시트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산부용 카시트가 자동차의 좌석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임산부용 카시트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임산부용 카시트는 크게 등받이부(10), 좌판부(20), 텅 플레이트부(30), 버클부(40) 및 지지부(50)로 구성된다.
등받이부(10)는 임산부(1)의 등을 포함하는 상체를 받치는 역할을 하며, 임산부(1)가 카시트에 앉았을 때 편안함을 느끼도록 임산부(1)의 상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후면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임산부(1)의 착석시 편안함을 위해 머리 쿠션(11) 및 등 쿠션(12)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받이부(10)의 하부는 연장형성되어 좌판부(20)가 형성된다. 좌판부(20)는 임산부(1)의 하체를 받치는 역할을 하며, 특히 임산부(1)의 둔부가 착지되는 곳이다. 이에 임산부(1)의 둔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면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임산부(1)의 착석시의 편안함을 위해 좌판 쿠션(20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벨트부는 도 1의 종래의 안전벨트 장치와 유사하며, 임산부(1)의 가슴을 경사지게 가로지는 가슴 벨트부(5a), 가슴 벨트부(5a)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등받이부(3)에 형성된 클램프(7)와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걸쇠부(6), 걸쇠부(6)를 기준으로 방향이 변형되어 임산부(1)의 하체를 좌판부(20)와 평행하게 가로지르는 하체 벨트부(5b) 및 가슴 벨트부(5a)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1 벨트지지부(8)로 구성된다.
텅 플레이트부(30)는 등받이부(10)의 측면의 일 지점에 결합된 버클부(40)의 탈착이 가능하며, 안전벨트부의 가슴 벨트부(5a)의 일 지점에 임산부(1)의 후면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텅 플레이트부(30)의 상세한 구조 및 가슴 벨트부(5a)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텅 플레이트부(30)는 결착부(31), 텅 플레이트 본체(32) 및 고리부(311)를 포함한다. 결착부(31)는 일정한 두께를 지니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띠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착부(31)의 일단부에는 텅 플레이트 본체(32)가 결합된다. 텅 플레이트 본체(32)는 걸쇠 형상으로 뾰족한 단부가 형성되어 후술할 버클부(40)에 결합된다. 이때, 텅 플레이트 본체(32)는 결착부(31)와 연결부(33)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착부(31)에 텅 플레이트 본체(32)가 직접 결합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내구성이 증대되기 때문이다.
결착부(31)의 타단부에는 고리부(311)가 결합된다. 고리부(311)는 결착부(31)의 타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결합되어, 결착부(31)에 형성된 홀(310)에 결합된다. 이때, 고리부(311)는 결착부(31)의 타단부의 평면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되, 고리부(311)의 일 지점에서 결착부(31)의 타단부의 평면을 기준으로 평행하도록 꺾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리부(311)는 'ㄱ'자 형상으로 꺾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리부(311)를 홀(310)에 삽입하여 가슴 벨트부(5a)에 텅 플레이트부(30)를 고정할 때, 고리부(311)의 꺾인 단부가 결착부(31)에 걸려 홀(310)에서 이탈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결착부(31)의 타단부가 가슴 벨트부(5a)를 기준으로 한바퀴 감기는 형상이 되며, 고리부(311)를 홀(310)에 삽입하여 가슴 벨트부(5a)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이때, 홀(310)은 결착부(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홀(310)이 형성되면, 가슴 벨트부(5a)의 두께에 맞춤식으로 고리부(311)의 결합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리부(311)를 텅 플레이트 본체(32)에 가까운 위치의 홀(310)에 결합하는 경우, 가슴 벨트부(5a)를 임산부(1)의 가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고리부(311)를 텅 플레이트 본체(32)와 먼 위치의 홀(310)에 결합하는 경우, 가슴 벨트부(5a)를 임산부(1)의 복부(1a)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임산부(1)가 원하는 정도의 가슴 벨트부(5a)의 조임을 조절할 수 있어,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게 된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버클부(40)의 구조 및 텅 플레이트부(30)의 버클부(40)와의 탈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4a 및 4b를 참조하여 버클부(40)의 구조 및 탈착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버클부(40)는 버튼부(41) 및 보조끈부(42)를 포함한다. 또한, 임산부(1)의 정면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튼부(41)는 다시 버튼부 본체(410) 및 버튼(411)를 포함한다. 버튼부 본체(410)의 일면은 개방되어 버튼부 홈(412)이 형성되고, 버튼부 홈(412)에 텅 플레이트 본체(32)가 삽입되어 텅 플레이트부(30)와 버클부(40)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버튼부 본체(410)의 상면에는 버튼(411)이 결합되고, 텅 플레이트 본체(32)가 버튼부 홈(412)에 삽입된 경우 버튼(411)이 상승하고, 임산부(1) 혹은 보조자가 버튼(411)을 수직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텅 플레이트 본체(32)가 버클부(40)로부터 이탈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원터치(one-touch)로 임산부가 편리하게 텅 플레이트부(30)를 버클부(40)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다.
버튼부(41)의 버튼부 홈(412)의 맞은편 위치에는 보조끈부(42)가 결합된다. 보조끈부(42)의 일단부는 버튼부(41)와 결합되고, 타단부는 카시트 등받이부(10)에 측면에 형성된 보조끈부 결합홈(101)에 삽입된다. 이때, 버튼부(41)는 보조 고리부(413)에 의해 보조끈부(42)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끈부(42)는 카시트 등받이부(10)에 버클부(4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보조끈부(42)의 재질은 탄성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텅 플레이트부(30)가 버클부(40)에 결합되는 경우, 임산부(1)의 착석시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보조끈부(42)가 수축되어 임산부(1)의 착석시의 움직임에 편리함을 제공하며, 동시에, 사고시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는 지지부(5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지지부(50)를 관통하는 하체 벨트부(5b)의 결합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지지부(50)는 좌판부(20)의 상단 중심부에 결합된다. 이때, 지지부(50)에는 좌판부(20)의 수평방향으로 가이드 홈(50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체 벨트부(5b)는 가이드 홈(500)을 관통하고, 이로 인해 임산부(1)의 하체가 삽입되는 한 쌍의 루프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종래의 임산부(1)의 복부(1a)를 가로지르는 하체 벨트부(5b)와는 달리, 임산부(1)의 하체를 카시트에 견고히 고정하며, 복부(1a) 하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 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효과는 도 8에서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홈(1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걸림홈(100)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걸림홈(100)은 등받이부(10)의 측면 상부에 일면이 개방되도록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슴 벨트부(5a)는 걸림홈(100)을 관통하여 임산부(1)의 가슴을 경사지게 가로지른다. 걸림홈(100)의 걸림구조로 인해 가슴 벨트부(5a)는 휨 현상이 발생되게 된다. 종래의 가슴 벨트부(5a)가 임산부(1)를 조이는 경우,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임산부(1)의 가슴 및 복부(1a)를 가압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걸림홈(100)을 통과하는 가슴 벨트부(5a)의 경우, 가슴 벨트부(5a)에 휨 현상이 발생되어 압력이 분산되어 임산부(1)를 가압하게 된다. 이로 인해, 사고 시, 임산부(1) 및 임산부(1)의 태아에게 가해지는 가슴 벨트부(5a)의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걸림홈(100)의 측면에서의 위치는 임산부(1)의 목 부위와 평행한 위치 부근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경우, 자동차 충돌 사고가 발생하면, 순간적으로 임산부(1)의 몸이 앞으로 쏠리려 가슴 벨트부(5a)가 임산부(1)의 목을 조르게 되어 생명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1차적으로 걸림홈(100)에서 가슴 벨트부(5a)의 임산부(1)의 목 부분으로의 조임을 방지하여 임산부(1) 및 태아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임산부용 카시트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임산부용 카시트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7 및 도 9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카시트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다. 먼저 임산부(1)는 카시트에 착석한다. 가슴 벨트부(5a)를 걸림홈(100)을 관통하도록 경사지게 하여 가슴 벨트부(5a) 단부의 걸쇠부(6)를 클램프(7)에 결합한다. 이와 동시에, 하체 벨트부(5b)가 가이드 홈(500)을 관통하도록 하여 한 쌍의 루프를 만들고, 루프 내에 임산부(1)의 하체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후, 텅 플레이트부(30)를 가슴 벨트부(5a)에 결합하고, 버클부(40)에 삽입한다.
도 9는 다른 실시예로, 버클부(40)가 임산부(1)를 기준으로 등받이부(10)의 측면에 한 쌍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의 경우, 자동차의 뒷좌석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의 한 곳에만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는 버클부(40)가 양 측에 한 쌍으로 결합되어, 자동차의 뒷좌석 좌,우 불문하고 어디든지 카시트를 결합할 수 있는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8a는 종래의 카시트 착석시, 안전벨트부가 임산부(1)에게 가하는 압력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 착석시, 안전벨트부가 임산부(1)에게 가하는 압력을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카시트의 경우, 가슴 벨트부(5a)가 팽팽하게 당겨져 임산부(1)의 복부(1a)의 상부 A지점을 직접적으로 가압한다. 또한, 하부 B 지점의 경우, 평행한 하부 벨트부(5b)가 임산부(1)의 복부(1a)를 상측 방향으로 직접적으로 가압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는 A 지점의 경우, 가슴 벨트부(5a)가 텅 플레이트부(30) 및 버클부(40)에 의해 카시트의 후면방향으로 당겨져 가슴 벨트부(5a)의 휨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임산부(1)의 복부(1a)에 가해지는 압력이 분산된다. 또한, 복부(1a) 하부의 경우, 한 쌍의 루프가 형성되어 임산부(1)의 하체만을 가압하므로, 종래의 압력이 가해지는 B 지점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임산부(1)의 복부(1a)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켜 임산부(1) 및 태아에 미치는 악영향을 줄일 수 있으며, 자동차 추돌 사고의 경우에도 태아의 생명을 지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의 좌판부(20)의 저면에는 저면부(21)가 결합될 수 있고, 저면부(21)에는 카시트의 후면으로 돌출되는 결착구(미도시)가 형성되어, 등받이부(3)에 기 형성된 아이에스오픽스(ISOFIX)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결착구는 카시트 후면에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아이에스오픽스(ISOFIX)는 규격화된 별도의 클립으로, 2010년 이후 출시된 국내 차량에는 기본 사양으로 적용된다. 통상적으로 자동차 뒷자석 헤드레스트 부분과 좌석 하단 시트 사이에서 확인이 가능하며, 카시트를 자동차에 흔들림 없이 직접 고정할 수 있어 안전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부터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등받부 20...좌판부
30...텅 플레이트부 40...버클부
50...지지부 100...걸림홈

Claims (10)

  1. 안전벨트부가 구비된 좌석에 결합 가능한 임산부용 카시트에 있어서,
    임산부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하부에서 연장형성되는 좌판부;
    상기 등받이부의 측면의 일 지점에서 상기 임산부의 정면방향으로 결합된 버클부; 및
    상기 안전벨트부의 일 지점에서 상기 임산부의 후면방향으로 결합된 텅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텅 플레이트부가 상기 버클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안전벨트부는,
    상기 임산부의 가슴을 경사지게 가로지르는 가슴 벨트부;
    상기 가슴 벨트부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좌석에 형성된 클램프와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걸쇠부; 및
    상기 걸쇠부에 결합되어 상기 임산부의 하체를 상기 좌판부와 평행하게 가로지르는 하체 벨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슴 벨트부의 일 지점에서 상기 텅 플레이트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용 카시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텅 플레이트부는,
    상기 버클부에 탈착되는 텅 플레이트 본체;
    상기 텅 플레이트 본체에 결합되고, 일 지점에 홀이 형성된 띠 형상의 결착부; 및
    상기 결착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착부가 상기 가슴 벨트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고리부가 상기 홀에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용 카시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결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용 카시트.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버클부는,
    상기 텅 플레이트 본체가 삽입되는 버튼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측면의 일 지점과 상기 버튼부를 잇는 보조끈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가 눌려지는 동작에 의해 상기 텅 플레이트 본체가 상기 버튼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용 카시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조끈부의 재질은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용 카시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의 측면의 상부에는 일면이 개방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슴 벨트부가 상기 걸림홈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용 카시트.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의 중심부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지지부가 결합되고,
    상기 하체 벨트부는 상기 가이드 홈을 관통하여 상기 임산부의 하체가 삽입되는 한 쌍의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용 카시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의 저면에는,
    상기 카시트의 후면으로 돌출되는 결착구가 형성되고,
    상기 결착구는 상기 좌석의 아이에스오픽스(ISOFIX)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용 카시트.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버클부 및 상기 걸림홈은,
    상기 임산부를 기준으로 양 측면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용 카시트.
KR1020160112677A 2016-09-01 2016-09-01 임산부용 카시트 KR101833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677A KR101833511B1 (ko) 2016-09-01 2016-09-01 임산부용 카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677A KR101833511B1 (ko) 2016-09-01 2016-09-01 임산부용 카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511B1 true KR101833511B1 (ko) 2018-03-02

Family

ID=61729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677A KR101833511B1 (ko) 2016-09-01 2016-09-01 임산부용 카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5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237B1 (ko) * 2012-08-24 2014-01-2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임산부용 벨트 안전장치
KR101645164B1 (ko) * 2015-06-02 2016-08-03 한예령 임산부용 카시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237B1 (ko) * 2012-08-24 2014-01-2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임산부용 벨트 안전장치
KR101645164B1 (ko) * 2015-06-02 2016-08-03 한예령 임산부용 카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47505B1 (en) Child's safety restraining vest
US7997658B2 (en) Four point seat restraint system
EP2163423B1 (en) Harness storage system for child car seats
US8210617B2 (en) Child restraint system
US8979197B2 (en) Child seat having an anchoring harness
KR101645164B1 (ko) 임산부용 카시트
JP2002079859A (ja) 補助シートへの子供用ショルダ・ハーネスの取付け具
US20110291451A1 (en) Safety belt buckle and assembly for a vehicle child seat
JP2016530164A (ja) 6点拘束方式の改善された補助拘束システム
KR20160149328A (ko) 어린이 안전시트로 사용가능한 차량용 보조시트
EP2895358B1 (en) Safety belt retention device
US20080111410A1 (en) Safety Device for Infant Chairs Being Applicable to Vehicles
US5957537A (en) Restraining device for children
KR101833511B1 (ko) 임산부용 카시트
US10710549B2 (en) Seat belt pull through device for a car seat called a Buckleze Pull
WO2022231565A1 (en) A child safety harness
GB2588782A (en) A harness
CN220973983U (zh) 安全带保护装置和儿童安全座椅
JPH058215Y2 (ko)
US7784873B2 (en) Auxiliary seat belt device
JP3073382U (ja) 車両用幼児防護用品
JP3071646U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3073383U (ja) 車両用幼児防護用品
KR200196884Y1 (ko)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시트구조
WO2020225007A1 (en) A backrest for a booster cushion with spaced apart head restrai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