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391B1 - 저압 과열증기를 이용한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탄화 시스템에서 발생된 폐액을 처리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저압 과열증기를 이용한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탄화 시스템에서 발생된 폐액을 처리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391B1
KR101833391B1 KR1020170081136A KR20170081136A KR101833391B1 KR 101833391 B1 KR101833391 B1 KR 101833391B1 KR 1020170081136 A KR1020170081136 A KR 1020170081136A KR 20170081136 A KR20170081136 A KR 20170081136A KR 101833391 B1 KR101833391 B1 KR 101833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low
carbonized
cooling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곤
김용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70081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3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391B1/ko
Priority to PCT/KR2018/006582 priority patent/WO201900463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4Treating liquids
    • G21F9/06Processing
    • G21F9/08Processing by evaporation; by distillation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4Treating liquids
    • G21F9/20Disposal of liquid waste
    • G21F9/22Disposal of liquid waste by storage in a tank or other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압의 과열증기를 이용하여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탄화시켜 감량화시키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호퍼로 투입된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파쇄기로 일정한 크기로 파쇄한 후 탄화로에 공급하는 공급설비; 상기 공급설비에서 일정 크기로 파쇄되어 공급된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회전하는 스크류가 설치된 탄화로에서 수평으로 이송하는 동안 재열증기발생기에서 탄화로에 공급된 저압의 과열증기를 직분사하여 탄화시킨 후 탄화부산물과 탄화가스를 분리하여 탄화부산물탱크와 송풍기로 각각 배출하는 탄화설비; 일정 온도의 과열증기를 생산하여 상기 탄화로와 재열증기발생기로 공급하는 포화증기발생기와, 상기 포화증기발생기에서 발생된 포화증기를 재가열하여 일정 온도의 재열증기를 생산하여 탄화로에 공급하는 다단의 재열증기발생기와, 상기 탄화로에서 배출된 순환증기와 포화증기발생기에서 생산된 포화증기를 재열증기발생기로 공급하는 송풍기가 구비된 열원설비; 상기 탄화로에서 발생되어 분리된 고온의 탄화가스를 공랭식 열교환으로 냉각시키는 냉각설비; 상기 냉각설비에서 냉각된 탄화가스에 세정액을 분사하여 액점, 액막, 기포에 의해서 탄화가스에 함유된 먼지를 분리하여 포집하는 세정설비; 상기 세정설비를 거친 탄화가스와 냉각설비에서 열교환으로 발생된 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설비; 상기 제습설비에서 수분이 제거된 탄화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과 방사능 물질을 다단으로 설치된 헤파필터로 제거하고 상기 냉각설비를 통과한 가스와 헤파필터를 통과한 가스를 혼합하여 대기 중으로 최종 방출시키는 백연저감설비를 포함하는 저압 과열증기를 이용한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탄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냉각설비, 세정설비 및 제습설비에서 각각 분리된 응축수, 입자상 물질, 수용성 가스 및 방사성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폐기물을 저장하는 일정 용량의 폐액저장탱크; 상기 폐액저장탱크에서 액체폐기물을 공급받아 수분을 증발시키는 운전을 수행하고, 증발운전이 종료되면 건조운전을 통해 수분함유량을 저감시켜 과립물로 배출하는 증발건조기; 상기 증발건조기에서 증발된 증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및 비말을 분리하는 습분분리기; 상기 증발건조기에서 공급되는 폐액을 증발증기를 이용하여 예열하는 재생열교환기; 상기 증발건조기에서 발생된 증기를 냉각 응축시켜 일정 온도이하의 물로 응축하는 냉각응축기; 상기 냉각응축기에서 냉각된 후 배출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일정 용량의 응축수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가연성 잡고체를 포함하는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저압의 과열증기로 탄화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액체폐기물의 부피를 감량함으로써 원자력발전소에서 연간 발생하는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을 대략 1/5가량 줄일 수 있어 방사성폐기물의 처분비용의 절감과 영구처분장의 사용수명 연장으로 건설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압 과열증기를 이용한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탄화 시스템에서 발생된 폐액을 처리하는 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Waste Liquor Producted by Middle and Low level Radiative Waste Carbonization System Using Low Pressure Superheated Vapor}
본 발명은 저압의 과열증기를 이용하여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탄화하는 시스템에서 발생된 폐액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서 중, 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영구 처분장이 경주에 건설되어 운영되고 있으나, 이미 처분장으로 인도된 방사성 폐기물을 포함하여 지금까지 원자력발전소에 보관중인 중, 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드럼을 모두 처분장으로 인도할 시점이 되면 처분장의 저장용량을 초과할 우려가 있어 신규 처분장의 건설계획을 앞당겨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방사성 폐기물의 감량화가 절실한 실정이다. 현재 방사성 폐기물 1개 드럼 처분비용으로 대략 1,300만원이 소요되고 있다. 향후 방사성 폐기물은 더욱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그 처분비용도 점점 더 불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처분장 인도대상 방사성 폐기물은 농축폐액, 폐수지, 폐필터, 잡고체, 슬러지 등으로 이중에서 잡고체 발생량이 전체 방사성 폐기물 발생량의 대략 80%를 차지하고 있다. 잡고체 폐기물은 방호복, 양말, 장갑, 제염지, 비닐, 플라스틱, 목재, 금속류, 고무, 보온재 등으로 드럼에 압축하여 저장 및 보관하고 있다.
잡고체 방사성 폐기물 중에는 부피감량이 가능한 폐기물이 상당량 차지하고 있어 이들의 부피를 감량할 수 있다면 처분장 인도대상 드럼의 수량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처분장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처분비용도 절감할 수 있어 원자력발전소 운용에 따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3499호(2013.11.28.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5390호(2013.05.28.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69612호(2003.01.29. 공고)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압 과열증기를 이용하여 가연성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탄화 시스템에서 발생된 폐액을 증발, 건조 및 분리하여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탄화시킨 후 발생된 폐액의 부피를 저감시켜 환경과 재처리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호퍼로 투입된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파쇄기로 일정한 크기로 파쇄한 후 탄화로에 공급하는 공급설비; 상기 공급설비에서 일정 크기로 파쇄되어 공급된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회전하는 스크류가 설치된 탄화로에서 수평으로 이송하는 동안 재열증기발생기에서 탄화로에 공급된 저압의 과열증기를 직분사하여 탄화시킨 후 탄화부산물과 탄화가스를 분리하여 탄화부산물탱크와 송풍기로 각각 배출하는 탄화설비; 일정 온도의 과열증기를 생산하여 상기 탄화로와 재열증기발생기로 공급하는 포화증기발생기와, 상기 포화증기발생기에서 발생된 포화증기를 재가열하여 일정 온도의 재열증기를 생산하여 탄화로에 공급하는 다단의 재열증기발생기와, 상기 탄화로에서 배출된 순환증기와 포화증기발생기에서 생산된 포화증기를 재열증기발생기로 공급하는 송풍기가 구비된 열원설비; 상기 탄화로에서 발생되어 분리된 고온의 탄화가스를 공랭식 열교환으로 냉각시키는 냉각설비; 상기 냉각설비에서 냉각된 탄화가스에 세정액을 분사하여 액점, 액막, 기포에 의해서 탄화가스에 함유된 먼지를 분리하여 포집하는 세정설비; 상기 세정설비를 거친 탄화가스와 냉각설비에서 열교환으로 발생된 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설비; 상기 제습설비에서 수분이 제거된 탄화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과 방사능 물질을 다단으로 설치된 헤파필터로 제거하고 상기 냉각설비를 통과한 가스와 헤파필터를 통과한 가스를 혼합하여 대기 중으로 최종 방출시키는 백연저감설비를 포함하는 저압 과열증기를 이용한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탄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냉각설비, 세정설비 및 제습설비에서 각각 분리된 응축수, 입자상 물질, 수용성 가스 및 방사성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폐기물을 저장하는 일정 용량의 폐액저장탱크; 상기 폐액저장탱크에서 액체폐기물을 공급받아 수분을 증발시키는 운전을 수행하고, 증발운전이 종료되면 건조운전을 통해 수분함유량을 저감시켜 과립물로 배출하는 증발건조기; 상기 증발건조기에서 증발된 증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및 비말을 분리하는 습분분리기; 상기 증발건조기에서 공급되는 폐액을 증발증기를 이용하여 예열하는 재생열교환기; 상기 증발건조기에서 발생된 증기를 냉각 응축시켜 일정 온도이하의 물로 응축하는 냉각응축기; 상기 냉각응축기에서 냉각된 후 배출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일정 용량의 응축수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저압 과열증기를 이용한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탄화 시스템에서 발생된 폐액을 처리하는 장치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증발건조기 표면에 복수의 밴드히터가 결합되고, 증발건조기 내부의 온도를 가열시키는 가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냉각응축기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공랭시키는 공랭식냉각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연성 잡고체를 포함하는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저압의 과열증기로 탄화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액체폐기물의 부피를 감량함으로써 원자력발전소에서 연간 발생하는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드럼을 대략 1/5가량 줄일 수 있어 방사성폐기물의 처분비용의 절감과 영구처분장의 사용수명 연장으로 건설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영구처분장의 수명 연장으로 원자력발전소 운영의 안정성과 지역갈등 해소 및 방사성폐기물의 영구처분에 따른 추가적인 건설 필요성을 연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 저압 과열증기를 이용한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탄화 시스템에서 탄화설비를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저압 과열증기를 이용한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탄화 시스템의 탄화설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 저압 과열증기를 이용한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탄화 시스템에서 탄화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 저압 과열증기를 이용한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탄화 시스템에서 탄화가스처리설비를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저압 과열증기를 이용한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탄화 시스템에서 탄화가스처리설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저압 과열증기를 이용한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탄화 시스템에서 폐액을 처리하는 장치를 나타낸 계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저압 과열증기를 이용한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탄화 시스템에서 발생된 폐액을 처리하는 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탄화시키는 설비와 탄화과정에서 발생되는 탄화가스를 처리하는 설비, 그리고 탄화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액을 처리하는 장치로 구분된다.
먼저, 가연성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탄화시키는 설비로서, 도 1 내지 도 3에서, 공급설비는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예컨대, 의류, 장갑, 폐지 등 가연성 폐기물을 호퍼(10)로 투입하고, 호퍼(10)에서 파쇄기(12)로 폐기물을 일정한 크기로 파쇄한 후에 탄화설비로 공급하는 것이다. 공급설비는 탄화설비의 탄화효율을 높이고 원활한 연속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파쇄기(12)를 이용한다. 파쇄기(12)는 파쇄기제어패널(13)의 작동(RUN) 및 정지(STOP) PBS(Push Button Switch)로 모터(11)를 구동시키고 파쇄기인버터에 의하여 속도조절이 가능하다. 더욱이 파쇄기(12)는 가연성 방사성폐기물을 일정한 크기로 파쇄한 후 호퍼(10)를 통해 탄화설비로 투입된다.
탄화설비는 공급설비에서 일정 크기로 파쇄된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에 과열증기를 직분사하여 탄화시켜 부피를 감량한다. 탄화설비는 회전하는 스크류(27)가 설치된 탄화로(20)를 포함한다. 탄화로(20)는 대략 원통형의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수평으로 설치된다. 탄화로(20)에는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이 투입되는 투입구(21), 재열증기발생기(55)에서 재열증기가 투입되는 증기유입구(22), 탄화부산물이 배출되는 탄화부산물배출구(23) 및 탄화가스가 배출되는 탄화가스배출구(24)가 형성된다. 또한, 탄화로(20) 내측벽에 재열증기발생기(55)에서 유입된 재열증기를 좌우측면과 하측면에 걸쳐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26)이 형성된 챔버(25)가 설치된다.
탄화로(20)에 설치된 스크류(27)는 모터(29)의 구동으로 작동된다. 모터(29)는 탄화설비제어패널(30)의 작동(RUN) 및 정지(STOP) PBS(Push Button Switch)로 구동되고 인버터에 의하여 스크류의 속도조절이 가능하다. 더욱이 모터(29)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가연성 방사성폐기물이 탄화부산물배출구(23)에 도달할 때까지 충분히 탄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탄화로(20)는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이 투입되는 투입구(21) 앞단, 즉, 파쇄기(12)와 탄화로(20) 사이에는 이중 슬라이드게이트(14)가 설치되고, 이중 슬라이드게이트(14) 사이에는 호퍼가 설치되어 탄화로(20)에 설치된 타이머에 각각의 솔레노이드밸브가 교차 동작하여 가연성 폐기물을 투입과 배출 때에 외부공기를 차단하고 연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탄화로(20)의 탄화부산물배출구(23)와 탄화부산물 저장탱크(28) 사이에 이중 슬라이드게이트(15)가 설치되고, 이중 슬라이드게이트(15) 사이에는 호퍼가 설치되어 탄화로(20)에 설치된 타이머에 각각의 솔레노이드밸브가 교차 동작하여 탄화부산물 저장탱크(28)에 탄화부산물을 배출 때에 외부공기를 차단하고 균질한 탄화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탄화로(20)는 공급된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회전하는 스크류(27)로 수평으로 이송시키는 동안 재열증기발생기(55)에서 공급된 저압의 과열증기를 직분사하여 탄화시킨 후 탄화부산물과 탄화가스를 분리하여 각각의 배출구를 통해 탄화부산물탱크와 송풍기로 각각 배출한다.
열원설비는 일정 온도 이상의 과열증기를 생산하여 탄화로(20)에 필요한 열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즉, 열원설비는 500도 이상의 과열증기를 포화증기발생기(50)에서 생산하여 탄화로(20)와 재열증기발생기(55)로 공급한다. 포화증기발생기(50)는 공급된 시상수를 증발기를 통하여 일정 온도, 예컨대, 100도 이상의 포화증기를 생산한다. 증발기는 복수의 히터를 이용하여 시상수를 가열하여 포화증기로 생산한다. 포화증기발생기(50)는 탄화설비제어패널(30)의 작동(START) 및 정지(STOP) PBS(Push Button Switch)로 구동된다. 포화증기발생기(50)에서 생산된 포화증기는 순환 송풍기(40)를 통해 순환라인에 공급된다. 순환 송풍기(40)는 탄화설비제어패널(30)의 작동(START) 및 정지(STOP) PBS(Push Button Switch)로 구동되고 속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포화증기발생기(50)에서 발생된 포화증기는 탄화로(20), 재열증기발생기(55) 및 순환라인을 통해 공급된다.
또한, 재열증기발생기(55)는 포화증기발생기(50)에서 발생된 포화증기가 순환 송풍기(40)를 이용하여 순환라인을 통해 유입되면 이를 재가열하여 일정 온도, 예컨대, 500도 이상의 저압의 과열증기를 생산하여 탄화로(20) 및 순환라인에 공급한다. 재열증기발생기(55)는 다단으로 설치되어 각 단마다 복수의 전기히터(Flanged Immersion Heater)를 이용하여 이송되는 포화증기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더욱이 재열증기발생기(55)에 설치된 재열증기발생기제어패널(57)로 각각의 전기히터를 작동(START) 및 정지(STOP) PBS(Push Button Switch)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설계된다. 더욱이 재열증기발생기(55)의 입력온도와 지시계를 포함하는 온도 컨트롤러로 각각 설정되어 있는 온도 값에 따라 재열증기발생기(55) 각 단의 전기히터를 온 또는 오프하여 500도 이상의 저압 과열증기를 생산하여 순환 송풍기(40)로 순환시킨다.
다음으로, 가연성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탄화설비로 탄화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가스와 수분을 제거하고 배출가스로 인한 오염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탄화가스, 즉, 폐가스를 처리하는 설비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5에서, 냉각설비는 탄화로(20)에서 발생되어 분리된 고온의 탄화가스를 공랭식 열교환으로 냉각시킨다. 냉각설비에는 가스냉각기(60)와 가스냉각팬(61)이 포함된다. 가스냉각기(60)는 열교환기로 탄화가스에 포함된 열을 모터로 구동되는 가스냉각팬(61)에서 송풍된 공기로 냉각시킨다. 가스냉각기(60)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동안 응축수는 응축수 저장탱크(69)로 분리되어 배출되고 냉각된 탄화가스는 세정설비로 공급된다.
세정설비는 냉각설비에서 냉각된 탄화가스에 세정액을 분사하여 액점, 액막, 기포에 의해서 탄화가스에 함유된 먼지를 분리하여 포집한다. 세정설비에는 세정탑(62)과, 세정탑(62)에 세정액을 분무하는 복수의 스프레이펌프(63), 그리고 세정탑에서 세정된 탄화가스를 시상수로 냉각시키는 응축기(64)가 포함된다. 세정탑(62)은 벤튜리관으로 유입된 탄화가스를 스프레이펌프(63)에서 공급된 세정액으로 흡입한 후 스프레이펌프(63)에서 분사된 세정액을 탄화가스에 분무한다. 그리고 탄화가스에서 분리된 먼지는 세정탑(62) 하부에 침전되어 응축수 저장탱크(69)로 분리 배출된다. 그리고 세정탑(62)에서 먼지가 분리된 탄화가스는 응축기(64)로 공급되어 냉각된다. 응축기(64)에서 탄화가스를 응축하는 동안 발생되는 응축수는 응축수 저장탱크(69)로 분리 배출된다.
제습설비는 세정설비의 세정탑(62)과 응축기(64)를 거친 탄화가스와 냉각설비의 가스냉각기(60)에서 열교환으로 발생된 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다. 제습설비는 제습기(65)를 포함한다. 제습기(65)를 통해 탄화가스에서 제습된 물은 응축수 저장탱크(69)로 분리 배출된다. 제습기(65)를 거친 탄화가스는 대기로 방출되거나 백연저감설비로 배출된다.
백연저감설비는 제습설비의 제습기(65)에서 수분이 제거된 탄화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과 방사능 물질을 다단으로 설치된 헤파필터(66)로 제거한다. 그리고 냉각설비의 가스냉각기(60)를 통과한 가스와 헤파필터(66)를 통과한 가스를 믹싱챔버(67)에서 혼합하여 송풍팬(68)을 통해 대기 중으로 최종 방출시킨다.
응축수 저장탱크(69)는 냉각설비, 세정설비 및 제습설비에서 각각 분리된 응축수, 입자상 물질, 수용성 가스 및 방사성 물질을 임시 저장한다.
또한, 탄화가스처리설비는 컨트롤패널(70)의 제어로 냉각, 세정, 응축, 제습, 필터링 및 백연저감 등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가연성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탄화설비로 탄화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액체폐기물을 처리하여 부피를 저감시키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6에서, 폐액 처리 장치로서, 폐액저장탱크(80)는 탄화가스처리설비의 냉각설비, 세정설비 및 제습설비 등에서 각각 분리된 응축수, 입자상 물질, 수용성 가스 및 방사성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폐기물을 저장한다. 폐액저장탱크(80)는 증발건조기(81)로 안정적인 공급을 위하여 저장탱크로 대략 300리터의 용량이 적용된다. 폐액저장탱크(80)는 탄화가스처리설비의 응축수탱크(69)에서 액체폐기물을 공급받는다. 더욱이 응축수탱크(69)가 폐액저장탱크(80)로 대체될 수 있다.
증발건조기(81)는 폐액저장탱크(80)에서 액체폐기물을 공급받아 수분을 증발시키는 운전을 수행하고, 증발운전이 종료되면 건조운전을 통해 수분함유량을 저감시켜 과립물로 배출하는 것이다. 증발건조기(81)에는 교반기(82)가 포함되고, 교반기(82)는 저속 운전된다. 또한, 증발건조기(81) 하부 표면에는 복수의 밴드히터(83)가 결합되어 증발건조기(81)를 가열시킨다. 또한, 증발건조기(81)에는 순환라인을 통해 증발건조기(81) 내부의 온도를 가열시키는 가열기(84)가 더 구비된다. 가열기(84)에서 가열된 열기는 송풍팬(89)으로 순환라인을 거쳐 증발건조기(81) 내부로 공급된다.
습분분리기(85)는 증발건조기(81)에서 증발된 증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및 비말을 분리한다. 따라서 습분분리기(85)는 기수를 분리하는 필터 등이 포함된다.
재생열교환기(86)는 증발건조기(81)에서 공급되는 폐액을 증발증기를 이용하여 예열하는 것이다. 재생열교환기(86)는 시간당 대략 5,000kcal 이상의 재생열을 교환한다. 그리고 냉각응축기(87)는 증발건조기(81)에서 발생된 증기를 냉각 응축시켜 일정 온도이하의 물로 응축하는 것이다. 냉각응축기(87)의 냉각응축용량은 시간당 대략 35,000kcal 이상이다.
응축수탱크(88)는 냉각응축기(87)에서 냉각된 후 배출된 응축수를 저장한다. 응축수탱크(88)는 냉각응축기(87)에서 냉각응축수를 펌프(91)로 공급받고 응축수탱크(88)에 저수된 응축수를 펌프(89)를 통해 배출한다. 또한, 공랭식냉각기(93)는 냉각팬으로 냉각수를 냉각시킨 후에 냉각응축기(87)로 공급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저압 과열증기를 이용한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탄화 시스템에서 발생된 폐액을 처리하는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원자력발전소의 운용 중에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수집한 후 탄화효율을 높이고 원활한 연속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급설비의 호퍼(10)에 넣고 파쇄기(12)로 일정 크기로 파쇄한다. 이때, 파쇄기제어패널(13)을 이용하여 파쇄기(12)의 작동을 위하여 속도조절이 가능한 모터(11)를 제어한다. 파쇄기(12)는 파쇄된 가연성의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는 탄화설비의 탄화로(20)로 공급된다. 탄화로(20)의 투입구(21)에는 이중 슬라이드게이트(14)와 호퍼를 탄화설비제어패널(30)의 제어로 타이머가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의 교차 동작으로 가연성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투입할 때에 외부공기를 차단하면서 파쇄된 폐기물을 연속적으로 투입한다.
탄화로(20)로 투입된 폐기물은 탄화설비제어패널(30)의 제어로 모터(29)의 구동으로 스크류(27)가 회전한다. 그리고 탄화로(20)에는 재열증기발생기(55)에서 공급된 저압의 과열증기가 챔버(25)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된 분사노즐(26)을 통해 분사된다. 즉, 탄화로(20)에 투입된 가연성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은 스크류(27)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동되는 동안 챔버(25)에 형성된 분사노즐(26)을 통해 분사된 저압의 과열증기에 직접 접촉되어 탄화된다. 탄화로(20)의 스크류(27) 회전속도는 대략 0.37 RPM 내외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탄화로(20)의 스크류(27)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가연성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이 탄화부산물배출구(23)에 도달할 때까지 분사된 저압 과열증기에 의해 충분히 탄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탄화부산물배출구(23)에도 이중 슬라이드게이트(15)와 그 사이의 호퍼를 통해 탄화설비제어패널(30)의 제어로 타이머가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의 교차 동작으로 가연성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배출할 때에 외부공기를 차단하고 균질한 탄화부산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열원설비의 포화증기발생기(50)에서 전기히터(51)의 작동으로 대략 100도 이상의 포화증기를 생산하여 순환 송풍기(40)와 순환라인을 통해 공급한다. 이때, 포화증기발생기(50)와 순환 송풍기(40)는 탄화설비제어패널(30)의 제어로 작동되고, 순환 송풍기(40)는 속도의 조절이 가능한 것이 좋다. 포화증기발생기(50)에서 발생된 포화증기는 탄화로(20), 재열증기발생기(55) 및 순환라인으로 각각 공급된다. 재열증기발생기(55)는 포화증기발생기(50)에서 공급된 포화증기를 복수 단에 각각 설치된 전기히터(56)로 가열하여 대략 600도 이상의 저압 재열증기를 생산하여 탄화로(20) 및 순환라인으로 공급한다. 재열증기발생기(55)는 재열증기발생기제어패널(57)의 제어로 설정된 온도의 재열증기를 생산한다. 더욱이 재열증기발생기(55)로는 탄화로(20)의 탄화가스배출구(24)에서 배출된 탄화가스가 순환 송풍기(40)를 통해 유입된다.
다음으로, 탄화로(20)의 탄화가스배출구(24)에서 배출된 고온의 탄화가스는 냉각설비, 세정설비, 제습설비 및 백연저감설비를 거쳐 컨트롤패널(70)의 제어로 처리된다. 즉, 탄화로(20)에서 발생되어 탄화가스배출구(24)를 통해 배출된 고온의 탄화가스는 가스냉각팬(61)이 구비된 가스냉각기(60)를 거쳐 열교환되어 냉각된다. 냉각된 탄화가스는 세정설비의 세정탑(62)으로 공급되어 스프레이펌프(63)에서 공급된 세정액으로 세정된다. 이때, 생성되는 액점, 액막, 기포 등에 의해 탄화가스에 포함된 먼지가 분리 및 포집된다. 일부 제거되지 않은 기체 부산물은 응축기(64)를 통과하면서 남아 있는 수분과 수용성가스를 응축하여 제거한다. 그리고 헤파필터(66)의 성능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습설비의 제습기(65)로 탄화가스 중 수분을 90% 이상 제거한다. 제습된 탄화가스는 백연저감설비에 다단으로 구성된 헤파필터(66)를 거쳐 입자상 물질과 방사능 물질이 각각 제거된다. 최종적으로 믹싱챔버(67)를 통과한 후에 송풍팬(68)을 통해 대기로 방출된다. 또한, 세정탑에 저장된 응축수와 입자상 물질, 수용성 가스와 방사성 물질 등은 응축수 저장탱크(69)로 배출되어 보관된다.
다음은 가연성 폐기물의 과열증기에 의한 탄화과정에서 생성된 액체폐기물에 대하여 액체 방사성폐기물 저감으로 방사성폐기물의 부피감량비가 크고 제염계수가 1,000 이상인 증발기술을 이용하여 폐액을 증발 건조시킨다. 증발처리용량은 폐액을 대략 50리터/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응축수 저장탱크(69)에 보관된 응축수, 즉, 액체폐기물을 증발건조기(81)에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폐액저장탱크(80)가 구비된다. 폐액저장탱크(80)는 대략 300리터 규모이다. 증발건조기(81)는 폐액저장탱크(80)로부터 폐액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아 복수의 밴드히터(83)와 가열기(84)에 의해 발생된 열로 액체폐기물을 증발시킨다. 증발건조기(81) 내 액체폐기물이 일정 농축도 이상이 되면 증발운전은 종료하고 건조운전을 수행하여 수분함유량을 과립물을 만들 수 있을 만큼 크게 줄인 다음에 배출할 수 있도록 교반기(82)를 저속 운전한다. 증발건조기의 용량은 대략 250리터 규모이다.
또한, 증발건조기(81)에서 증발된 증기에는 이물질과 비말 등이 함께 배출되므로 습분분리기(85)에서 이를 각각 분리한다. 그리고 증발건조기(81)에서 공급되는 폐액을 증발증기를 이용하여 재생열교환기(86)에서 예열하여 시간당 대략 5,000kcal로 열교환한다. 또한, 냉각응축기(87)는 증발건조기(81)에서 발생된 증기를 냉각 응축시켜 물로 응축시킨다. 이때, 냉각 응축 용량은 시간당 대략 35,000kcal 이다. 냉각응축기(87)는 공랭식냉각기(93)로부터 냉각된 냉각수를 공급받는다. 이후, 냉각응축기(87)에서 냉각된 응축수는 응축수탱크(92)에 저장된 후 분석을 통해 배출 여부를 확인한 후 환경으로 배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탄화 시스템을 통해 가연성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탄화과정에서 생성된 탄화부산물의 부피와 중량을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실험조건으로 의류(3Kg 및 27L), 장갑(1.3Kg 및 1L), 폐지(0.7Kg 및 0.8L)의 총 중량 5Kg 및 부피 28.8L의 폐기물을 대략 3시간 20분 동안 탄화시킨 후 탄화부산물의 중량은 0.6Kg으로 88% 저감되었고, 부피는 5L 가량으로 82.6%로 저감되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호퍼 11: 모터 12: 파쇄기 13: 파쇄기제어패널 14, 15: 슬라이드게이트 20: 탄화로 21: 투입구 22: 증기유입구 23: 탄화부산물배출구 24: 탄화가스배출구 25: 챔버 26: 분사노즐 27: 스크류 28: 탄화부산물 저장탱크 29: 모터 30: 탄화설비제어패널 40: 순환 송풍기 50: 포화증기발생기 51: 전기히터 55: 재열증기발생기 56: 전기히터 57: 재열증기발생기제어패널 60: 가스냉각기 61: 가스냉각팬 62: 세정탑 63: 스프레이펌프 64: 응축기 65: 제습기 66: 헤파필터 67: 믹싱챔버 68: 송풍팬 69: 응축수 저장탱크 70: 컨트롤패널 80: 폐액저장탱크 81: 증발건조기 82: 밴드히터 83: 가열기 84: 습분분리기 85: 재생열교환기 86: 냉각응축기 87: 응축수탱크 88: 송풍팬 89-91: 펌프 92: 공랭식냉각기

Claims (3)

  1. 호퍼로 투입된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파쇄기로 일정한 크기로 파쇄한 후 탄화로에 공급하는 공급설비; 상기 공급설비에서 일정 크기로 파쇄되어 공급된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회전하는 스크류가 설치된 탄화로에서 수평으로 이송하는 동안 재열증기발생기에서 탄화로에 공급된 저압의 과열증기를 직분사하여 탄화시킨 후 탄화부산물과 탄화가스를 분리하여 탄화부산물탱크와 송풍기로 각각 배출하는 탄화설비; 일정 온도의 과열증기를 생산하여 상기 탄화로와 재열증기발생기로 공급하는 포화증기발생기와, 상기 포화증기발생기에서 발생된 포화증기를 재가열하여 일정 온도의 재열증기를 생산하여 탄화로에 공급하는 다단의 재열증기발생기와, 상기 탄화로에서 배출된 순환증기와 포화증기발생기에서 생산된 포화증기를 재열증기발생기로 공급하는 송풍기가 구비된 열원설비; 상기 탄화로에서 발생되어 분리된 고온의 탄화가스를 공랭식 열교환으로 냉각시키는 냉각설비; 상기 냉각설비에서 냉각된 탄화가스에 세정액을 분사하여 액점, 액막, 기포에 의해서 탄화가스에 함유된 먼지를 분리하여 포집하는 세정설비; 상기 세정설비를 거친 탄화가스와 냉각설비에서 열교환으로 발생된 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설비; 상기 제습설비에서 수분이 제거된 탄화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과 방사능 물질을 다단으로 설치된 헤파필터로 제거하고 상기 냉각설비를 통과한 가스와 헤파필터를 통과한 가스를 혼합하여 대기 중으로 최종 방출시키는 백연저감설비; 상기 파쇄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파쇄기제어패널; 상기 탄화로, 송풍기 및 포화증기발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탄화설비제어패널; 상기 재열증기발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재열증기발생기제어패널을 포함하는 저압 과열증기를 이용한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탄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냉각설비, 세정설비 및 제습설비에서 각각 분리된 응축수, 입자상 물질, 수용성 가스 및 방사성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폐기물을 저장하는 일정 용량의 폐액저장탱크;
    상기 폐액저장탱크에서 액체폐기물을 공급받아 수분을 증발시키는 운전을 수행하고, 증발운전이 종료되면 건조운전을 통해 수분함유량을 저감시켜 과립물로 배출하는 증발건조기;
    상기 증발건조기에서 증발된 증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및 비말을 분리하는 습분분리기;
    상기 증발건조기에서 공급되는 폐액을 증발증기를 이용하여 예열하는 재생열교환기;
    상기 증발건조기에서 발생된 증기를 냉각 응축시켜 일정 온도이하의 물로 응축하는 냉각응축기;
    상기 냉각응축기에서 냉각된 후 배출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일정 용량의 응축수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저압 과열증기를 이용한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탄화 시스템에서 발생된 폐액을 처리하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발건조기 표면에 복수의 밴드히터가 결합되고, 증발건조기 내부의 온도를 가열시키는 가열기를 더 포함하는 저압 과열증기를 이용한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탄화 시스템에서 발생된 폐액을 처리하는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응축기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공랭시키는 공랭식냉각기를 더 포함하는 저압 과열증기를 이용한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탄화 시스템에서 발생된 폐액을 처리하는 장치.
KR1020170081136A 2017-06-27 2017-06-27 저압 과열증기를 이용한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탄화 시스템에서 발생된 폐액을 처리하는 장치 KR101833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136A KR101833391B1 (ko) 2017-06-27 2017-06-27 저압 과열증기를 이용한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탄화 시스템에서 발생된 폐액을 처리하는 장치
PCT/KR2018/006582 WO2019004630A1 (ko) 2017-06-27 2018-06-11 저압 과열증기를 이용한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탄화 시스템에서 발생된 폐액을 처리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136A KR101833391B1 (ko) 2017-06-27 2017-06-27 저압 과열증기를 이용한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탄화 시스템에서 발생된 폐액을 처리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391B1 true KR101833391B1 (ko) 2018-02-28

Family

ID=61401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136A KR101833391B1 (ko) 2017-06-27 2017-06-27 저압 과열증기를 이용한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탄화 시스템에서 발생된 폐액을 처리하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33391B1 (ko)
WO (1) WO20190046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8799A (zh) * 2019-11-25 2020-02-04 成都天保节能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蒸汽重整装置冷凝液收集再利用系统及其工艺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16341B (zh) * 2020-08-04 2022-07-12 天津科技大学 一种基于界面蒸发放射性废水分离回收固液放射性废弃物的装置及方法
CN112275036B (zh) * 2020-10-14 2022-06-17 太仓中化环保化工有限公司 一种用于制冷剂生产过程汇总副产物分离设备
CN112516725B (zh) * 2020-11-19 2022-03-11 中国原子能科学研究院 一种钠气溶胶去除装置及其设计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881B1 (ko) * 2002-06-07 2005-07-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방사성폐기물의 소각·용융처리장치 및 공정
KR100721911B1 (ko) * 2006-07-19 2007-05-28 (주)청명씨에스 과열증기를 이용한 폐기물 열처리장치
KR101530909B1 (ko) * 2015-01-15 2015-06-23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과열증기를 이용한 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의 부피 감량 시스템
KR101585455B1 (ko) * 2014-10-31 2016-01-15 한국수력원자력(주) 액체 방사성 폐기물의 증발건조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622B1 (ko) * 2014-09-29 2015-05-21 신한열기 주식회사 백연 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881B1 (ko) * 2002-06-07 2005-07-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방사성폐기물의 소각·용융처리장치 및 공정
KR100721911B1 (ko) * 2006-07-19 2007-05-28 (주)청명씨에스 과열증기를 이용한 폐기물 열처리장치
KR101585455B1 (ko) * 2014-10-31 2016-01-15 한국수력원자력(주) 액체 방사성 폐기물의 증발건조 처리장치
KR101530909B1 (ko) * 2015-01-15 2015-06-23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과열증기를 이용한 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의 부피 감량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8799A (zh) * 2019-11-25 2020-02-04 成都天保节能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蒸汽重整装置冷凝液收集再利用系统及其工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04630A1 (ko)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3391B1 (ko) 저압 과열증기를 이용한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탄화 시스템에서 발생된 폐액을 처리하는 장치
CN108947181B (zh) 循环蒸汽再加热污泥干燥系统
KR100269052B1 (ko) 폐쇄루프형 건조기 및 물질 건조법
CN110127984B (zh) 一种污泥低温热泵干化设备
US10967323B2 (en) Exhaust gas purifying and heat recovering system and method for sludge treatment
CN1032495C (zh) 干洗中回收溶剂的方法和装置
KR102171442B1 (ko) 배기가스의 열회수를 이용한 염색업종 텐터 후단의 고점성 오염물질 처리공정
JP2021529933A (ja) 湿式マトリックス用の乾燥装置及び湿式マトリックスの相対的な乾燥方法
KR20130039603A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사료 제조장치
KR101833398B1 (ko) 저압 과열증기를 이용한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탄화 시스템
CN108607532A (zh) 活性炭吸附再生器及安装有吸附再生器的废气处理线
CN208161311U (zh) 活性炭VOCs处理器及安装有该处理器的废气处理线
CN210718432U (zh) 含水煤炭产品的干化系统
JPS61209099A (ja) 汚泥の乾燥・焼却方法および装置
KR960014030B1 (ko) 진공증발기 폐수처리설비
KR20210148610A (ko) 고속건조장치
CN212532713U (zh) 连续式污泥干化装置
CN217979594U (zh) 一种转笼循环风干燥系统
EP4215220A1 (en) Liquid recovery system and waste disinfection apparatus
CN209307204U (zh) 一种沼气燃烧热量利用污泥干化系统
CN109133571B (zh) 用于污泥干化的废气的净化和热回收系统及方法
CN216998119U (zh) 污泥干化处理系统
CN113981155B (zh) 一种控温控湿皮革除味系统
KR930007714Y1 (ko) 폐수 스러지(Sludge) 건조장치
JP2001247303A (ja) 活性炭再生装置及び活性炭再生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