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301B1 -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301B1
KR101833301B1 KR1020170019428A KR20170019428A KR101833301B1 KR 101833301 B1 KR101833301 B1 KR 101833301B1 KR 1020170019428 A KR1020170019428 A KR 1020170019428A KR 20170019428 A KR20170019428 A KR 20170019428A KR 101833301 B1 KR101833301 B1 KR 101833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engaging jaw
housing
case body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70019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3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 G01P1/02Housings
    • G01P1/026Housings for speed measuring devices, e.g. pulse genera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16Elements for restraining, 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parts, e.g. for zero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와 하우징 간의 상호 결합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기둥형상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고, 케이블을 통해 차량의 전자제어유닛과 연결되는 터미널;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장착되는 센서부;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 및 센서부를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몸체를 이루는 케이스바디부; 상기 케이스바디부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을 인서트 사출하기 위한 금형에 형성된 안착부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오삽입방지부; 및 상기 케이스바디부의 상부 외주면 또는 하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금형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금형으로부터 사출압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유동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오삽입방지부는, 상기 케이스바디부의 둘레를 따라 상호 등간격으로 이격되고, 평면상 각각 상호 비대칭형상으로 배치된다.

Description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SENSOR ASSEMBLY FOR ROTATING BODY MEASUR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와 하우징 간의 상호 결합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변속기에는 홀 소자(Hall IC)를 이용하여 휠과 같이 회전하는 회전체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 등을 측정하기 위한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가 구비되어 있다.
예컨대, 회전체가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유도 자기장의 변화 등을 센서부가 감지하여 회전방향을 감지하며, 또한 감지된 자기장의 변화 등을 회전수로 환산하여 회전체의 회전속도를 감지한다.
한편, 센서부와 연결된 차량의 전자제어유닛은 이러한 회전방향, 회전속도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회전체의 회전속도 등을 제어한다.
이러한 센서부는 홀 소자가 접속된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의 저부에 수평하게 배치된 영구자석을 포함한다.
한편, 홀 소자는 회전체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케이스와 홀 소자 사이에는 절연체가 더 개재되어 있다.
여기서, 케이스는 내부 구성품들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종래의 차량용 속도센서에서는 케이스의 내부에 절연체가 더 개재되고, 영구자석이 절연인쇄회로기판의 아래에서 적층되는 구조로 이뤄진다.
그리고, 종래의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는 홀 소자, 인쇄회로기판 및 영구자석 등을 플라스틱으로 된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한 후, 그 케이스의 외주면에 합성수지재의 하우징이 인서트 사출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의 구성품들을 감싸는 케이스는 외부에 하우징을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형성할 때,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에 배치된다.
그리고, 하우징은 케이스가 배치된 금형에 주물이 주입되면서 케이스의 외주면에 인서트 사출로 형성된다.
이때, 종래에는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에 케이스를 잘못 배치하거나, 케이스의 배치위치가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지 않고 삐뚤어진 상태로 배치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케이스와 하우징 간의 결합에 불량이 발생되었다.
상기한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하우징을 케이스의 외주면에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형성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을 케이스의 외주면에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인서트 사출 할 수 있는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는, 기둥형상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고, 케이블을 통해 차량의 전자제어유닛과 연결되는 터미널;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장착되는 센서부;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 및 센서부를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몸체를 이루는 케이스바디부; 상기 케이스바디부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을 인서트 사출하기 위한 금형에 형성된 안착부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오삽입방지부; 및 상기 케이스바디부의 상부 외주면 또는 하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금형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금형으로부터 사출압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유동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오삽입방지부는, 상기 케이스바디부의 둘레를 따라 상호 등간격으로 이격되고, 평면상 각각 상호 비대칭형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오삽입방지부는, 상기 케이스바디부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상부원판;
상기 상부원판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이격배치된 하부원판; 상기 상부원판과 상기 하부원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제1걸림턱; 상기 상부원판과 상기 하부원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걸림턱의 반대방향면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제2걸림턱; 상기 상부원판과 상기 하부원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걸림턱과 상기 제2걸림턱으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제3걸림턱; 상기 상부원판과 상기 하부원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3걸림턱의 반대방향면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제4걸림턱;을 포함하되, 상기 제1걸림턱과 상기 제2걸림턱은 평면상 상호 비대칭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걸림턱과 상기 제4걸림턱은 평면상 상호 비대칭 형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케이스바디부의 상부 외주면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상호 이격배치된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케이스바디부의 하부 외주면에서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돌기; 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돌기 및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을 관통하되, 상기 하우징의 인서트 사출설형이 완료되면 상기 케이스바디부로부터 컷팅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케이스바디부의 상부에서 상기 터미널의 타단에 연결되는 센서단자부재; 및 상기 터미널에 접속되고, 홀 소자가 통전 가능하게 부착된 인쇄회로기판;를 포함한다.
상기 터미널과 센서단자부재는 상호 저항용접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은, 그 외주면을 감싸면서 사출방식으로 형성되되, 플랜지의 상면과 하면을 상호 연통시키는 볼트구멍이 형성된 브라켓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의 제조방법은, 케이블과 연결된 다수개의 터미널을 인서트 사출을 위한 금형에 배치하는 터미널배치단계;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터미널을 감싸는 기둥형상의 케이스를 형성하는 케이스형성단계;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센서부를 장착시키는 센서부장착단계; 센서부가 장착된 케이스를 인서트 사출을 위한 금형에 배치하는 케이스배치단계;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케이스를 감싸는 하우징을 형성하는 하우징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몸체를 이루는 케이스바디부; 상기 케이스바디부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을 인서트 사출하기 위한 금형에 형성된 안착부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오삽입방지부;가 포함되되, 상기 케이스배치단계에서, 인서트 사출을 위한 상기 금형에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오삽입방지부가 안착되어 상기 케이스바디부의 배치위치를 정확하게 배치시킨다.
상기 오삽입방지부는, 상기 케이스바디부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상부원판; 상기 상부원판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이격배치된 하부원판; 상기 상부원판과 상기 하부원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제1걸림턱; 상기 상부원판과 상기 하부원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걸림턱의 반대방향면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제2걸림턱; 상기 상부원판과 상기 하부원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걸림턱과 상기 제2걸림턱으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제3걸림턱; 상기 상부원판과 상기 하부원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3걸림턱의 반대방향면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제4걸림턱;을 포함하되, 상기 제1걸림턱과 상기 제2걸림턱은 평면상 상호 비대칭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걸림턱과 상기 제4걸림턱은 평면상 상호 비대칭 형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케이스바디부의 상부 외주면 또는 하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금형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금형으로부터 사출압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유동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케이스바디부의 상부 외주면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상호 이격배치된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케이스바디부의 하부 외주면에서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돌기 및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을 관통하되, 상기 하우징의 인서트 사출설형이 완료되면 상기 케이스바디부로부터 컷팅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은, 제1걸림턱 내지 제4걸림턱은 평면상 상호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에 케이스를 잘못 배치하거나, 케이스의 배치위치가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지 않고 삐뚤어진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플레이트와 고정돌기가 금형의 내부에 고정됨으로써, 케이스가 사출압에 의해 금형의 내부에서 움직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에서 하우징을 제외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삽입방지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와 금형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와 금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미널과 센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의 제조방볍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에서 하우징을 제외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삽입방지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와 금형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와 금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미널과 센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 조립체는 케이스(100)와 터미널(200)과 센서부(300) 및 하우징(400)을 포함한다.
케이스(100)는 바 형태의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차량용 부품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재를 사출하여 성형된다.
케이스(100)는 차량의 전자제어유닛(ECU; 미 도시)으로부터 연장된 케이블(600)의 커넥터와 연결된다.
한편, 케이블(600)의 일측은 케이스(100)의 외측으로부터 노출되며, 전자제어유닛 측의 커넥터에 접속된다.
그리고, 케이블(600)의 타측은 케이스(100)의 중간 공간부에 노출된다.
케이스(100)는 일정한 규격의 커넥터에 대응한 크기를 가지며 다수개로 이루어진 케이블(600)이 인서트 사출 형태로 결합된다.
이러한 케이스(100)는 케이스바디부(110)와 오삽입방지부(120)와 유동방지부(130)를 포함한다.
케이스바디부(110)는 케이스(100)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회전체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각종 부품들을 수용한다.
오삽입방지부(120)는 다수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케이스바디부(11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상호 등간격으로 이격된다.
그리고, 오삽입방지부(120)는 금형(700)에 형성된 안착부(710)에 안착된다.
한편, 상기 금형(700)은 케이스바디부(110)의 외주면에 하우징(400)을 인서트 사출하기 위한 금형(700)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삽입방지부(120)는 평면상 각각 상호 비대칭형상으로 배치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400)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700)의 안착부(710)도 오삽입방지부(1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케이스(100)가 하우징(400)을 인서트 사출하기 위한 금형(700)에 배치될 때, 오삽입방지부(120)와 금형(700)의 안착부(710)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밖에 없음으로써, 케이스(100)가 금형(700)에 오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오삽입방지부(120)는 상부원판(121)과, 하부원판(122)과, 제1걸림턱(123)과, 제2걸림턱(124)과, 제3걸림턱(125) 및 제4걸림턱(126)을 포함한다.
상부원판(121)은 케이스바디부(110)의 상부 외주면에 원판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원판(122)은 케이스바디부(110)의 외주면에서 상기 상부원판(121)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걸림턱(123)은 케이스바디부(110)에서 상부원판(121)과 하부원판(122) 사이에 배치되고, 케이스바디부(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걸림턱(124)은 상부원판(121)과 하부원판(122) 사이에 배치되고, 케이스바디부(11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제1걸림턱(123)의 반대방형면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된다.
제3걸림턱(125)은 상부원판(121)과 하부원판(122) 사이에 배치되고, 케이스바디부(110)의 외주면에서 제1걸림턱(123)과 제2걸림턱(124)으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된다.
제4걸림턱(126)은 상부원판(121)과 하부원판(122) 사이에 배치되고, 케이스바디부(110)의 외주면둘레를 따라 제3걸림턱(125)의 반대방향면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걸림턱(123)과 제2걸림턱(124)은 평면상 상호 비대칭 형상으로 배치되고, 제3걸림턱(125)과 제4걸림턱(126)은 상호 비대칭 형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금형(700)의 안착부(710)도 제1걸림턱(123) 내지 제4걸림턱(126)과 각각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케이스(100)가 하우징(400)을 인서트 사출하기 위한 금형(700)에 배치될 때, 오삽입방지부(120)와 금형(700)의 안착부(710)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밖에 없게 된다.
예컨대, 안착부(710)를 제1걸림턱(123)이 안착되는 제1안착부(711), 제2걸림턱(124)이 안착되는 제2안착부(712) 및 제3걸림턱(125)이 안착되는 제3안착부(713)로 정의 할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안착부(711)에 제1걸림턱(123)이 안착되면, 제2걸림턱(124)은 제2안착부(712)에 배치되고, 제3걸림턱(125)은 제3안착부(713)에 각각 배치된다.
이에 반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안착부(711)에 제2걸림턱(124)이 안착되면, 제1걸림턱(123)과 제2걸림턱(124)은 상호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2안착부(712)과 제1걸림턱(123)은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제3걸림턱(124)이 제3안착부(713)에 배치되는 과정에서 제2안착부(712)의 모서리부분과 케이스바디부(110)가 서로 부딪히게 된다.
이로 인해, 케이스(100)가 금형(700)에 제대로 배치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제1걸림턱(123) 내지 제4걸림턱(126)은 평면상 상호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케이스(100)가 금형(700)에 잘못 삽입을 시도 할 경우, 오삽입방지부(120)가 안착부(710)에 잘못 배치 된 것임을 바로 확인 할 수 있어 하우징(400)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700)에 케이스(100)를 잘못 배치하거나, 케이스(100)의 배치위치가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지 않고 삐뚤어진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오삽입방지부(120)는 케이스(100)와 하우징(400) 간의 결합에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유동방지부(130)는 다수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케이스바디부(110)의 상부 외주면 또는 하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그리고 유동방지부(130)는 금형(700) 내부에 형성된 삽입부(720)에 고정되어 케이스바디부(110)가 상기 금형(700)으로부터 사출압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유동방지부(130)는 고정플레이트(131) 및 고정돌기(132)를 포함한다.
한편, 금형(700) 내부에 형성된 삽입부(720)는 유동방지부(13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고정플레이트(131)와 대응되는 플레이트삽입부(721) 및 고정돌기(132)와 대응되는 돌기삽입부(722)로 이루어진다.
고정플레이트(131)는 다수개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케이스바디부(110)의 상부,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원판(121)의 상면에서 케이스바디부(11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상호 등간격으로 이격된다.
이러한 고정플레이트(131)는 금형(700)의 플레이트삽입부(721)에 고정된다.
고정돌기(132)는 원기둥의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케이스바디부(110)의 하부 외주면에서 바깥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고정돌기(132)는 금형(700)의 돌기삽입부(722)에 고정된다.
따라서, 고정플레이트(131) 및 고정돌기(132)가 금형(700)의 삽입부(720)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하우징(400)을 형성하기 위한 주물이 금형(700)에 주입될 때, 케이스(100)가 사출압에 의해 금형(700)의 내부에서 움직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동방지부(130)는 상기 오삽입방지부(120)와 함께 케이스(100)와 하우징(400) 간의 결합에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고정돌기(132)는 인서트 사출 시, 하우징(400)의 외주면을 관통한다.
그리고 하우징(400)과 케이스(100) 간의 인서트 사출 공정이 완료되면 고정돌기(132)는 하우징(400)으로부터 컷팅됨이 바람직하다.
터미널(200)은 케이스(100)의 내부에 내장되고, 케이블(600)을 통해 차량의 전자제어유닛과 연결된다.
터미널(200)은 일단이 케이블(600)과 연결되고, 타단은 절곡되어 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된다.
터미널(200)의 일단과 케이블(600)의 연결부위는 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터미널(200)과 케이블(600)은 상호 겹쳐지게 형성되고, 겹쳐진 부위는 용접 또는 납땜을 등을 통해 상호 접속된다.
이로 인해 터미널(200)과 케이블(600)이 상호 쉽게 단선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센서부(300)는 케이스바디부(110)의 전방에 장착된 것으로서, 회전체의 회전속도 등을 검출한다.
이러한 센서부(300)는 센서단자부재(310) 및 인쇄회로기판(320)를 포함한다.
센서단자부재(310)는 케이스바디부(110)의 상부에서 외부로 노출된 터미널(200)의 타단에 연결된다.
한편, 센서단자부재(310)와 터미널(200)은 상호 저항용접 방식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센서단자부재(310)와 터미널(20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열변형도가 적고, 저비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다.
인쇄회로기판(320)은 터미널(200)에 접속되고, 홀 소자가 전기적으로 통전가능하게 부착된 것으로서, 일반적인 속도 센서 측정 원리와 같이 영구자석(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일정한 크기의 자장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홀 소자는 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 자계를 인가하면 전압이 변하는 원리로 작동하는 것으로서, 속도를 측정하려는 계측 대상물인 회전체와 홀 소자 사이의 일정 간격(air-gap)에서 발생되는 거리차에 따른 영구자석의 자속 변화를 감지하여 온/오프 신호 또는 하이(high)/로우(low)신호를 터미널(200) 및 케이블(600)을 통해 전자제어유닛에 입력시킨다.
하우징(400)은 일단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케이스(100)의 외주면에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결합되어 케이스(100) 및 센서부(300) 등 각종 부품들을 감싼다.
이러한 하우징(400)에는 브라켓(500)이 형성된다.
브라켓(500)은 상기 케이스(100)의 일부와 하우징(400)의 일부를 감싸면서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브라켓(500)은 케이스(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하우징(400)의 일단과 케이스(100)의 일단이 배치되는 케이스(100)의 일부를 감싸면서 하우징(400)이 케이스(100)의 외주면에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결합될 때, 동시에 사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브라켓(500)의 플랜지에는 플랜지의 상면과 하면을 상호 연통시키는 볼트구멍(510)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구멍(510)은 별도의 볼트가 관통되어 센서조립체가 외부 부착물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의 제조방볍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의 제조방법은 터미널배치단계(S100)와, 케이스형성단계(S200)와. 센서부장착단계(S300)와, 케이스배치단계((S400) 및 하우징 및 브라켓 형성단계(S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터미널배치단계(S100)는 케이블(600)과 연결된 다수개의 터미널(200)을 인서트 사출을 위한 금형에 상호 이격시켜 배치하는 단계이다.
케이스형성단계(S200)는 금형을 이용하여 인서트 사출을 함으로써, 터미널(200)을 감싸는 기둥형상의 케이스(10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센서부장착단계(S300)는 케이스(100)의 전방에 센서부(300)를 삽입하여 장착하는 단계이다.
케이스배치단계(S400)는 센서부(300)가 장착된 케이스(100)를 인서트 사출을 위한 금형(700)에 배치하는 단계이다.
한편, 케이스형상단계(S200)에서 하우징(400)을 인서트 사출하기 위한 금형(700)에 케이스(100)를 배치 할 때, 케이스(100)가 금형(700)에 오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케이스(100)의 외주면에 오삽입방지부(120)가 형성된다.
오삽입방지부(120)는 케이스바디부(110)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상부원판(121)과, 상부원판(121)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이격배치된 하부원판(122)과, 상부원판(121)과 하부원판(122) 사이에 배치되고 케이스(100)의 외주면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제1걸림턱(123)과, 상부원판(121)과 하부원판(122) 사이에 배치되고 제1걸림턱(123)의 반대방향면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제2걸림턱(124)과, 상부원판(121)과 하부원판(122) 사이에 배치되고 제1걸림턱(123)과 제2걸림턱(124)으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제3걸림턱(125) 및 상부원판(121)과 하부원판(122) 사이에 배치되고 제3걸림턱(125)의 반대방향면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제4걸림턱(126)을 포함한다.
그리고, 하우징(400)의 인서트 사출을 위한 금형(700)에 오삽입방지부(120)가 안착되는 안착부(710)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걸림턱(123)과 제2걸림턱(124)과 제3걸림턱(125) 및 제4걸림턱(126)은 케이스바디부(110)에서 상부원판(121)과 하부원판(122) 사이에 배치되고, 케이스(1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상호 등간격으로 이격된다.
그리고, 제1걸림턱(123)과 제2걸림턱(124)은 평면상 상호 비대칭 형상으로 배치되고, 제3걸림턱(125)과 제4걸림턱(126)은 상호 비대칭 형상으로 배치된다.
이로 인해, 케이스(100)가 하우징(400)을 인서트 사출하기 위한 금형에 배치될 때, 오삽입방지부(120)와 금형(700)의 안착부(710)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밖에 없게 된다.
유동방지부(130)는 케이스바디부(110)의 상부 외주면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상호 이격배치된 고정플레이트(131)와, 케이스바디부(110)의 하부 외주면에서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돌기(132)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우징(400)의 인서트 사출을 위한 금형(700)에 유동방지부(130)가 삽입되는 삽입부(720)가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플레이트(131) 및 고정돌기(132)는 금형(700)의 삽입부(720)에 각각 고정된다.
이로 인해 하우징(400)을 형성하기 위한 주물이 금형(700)에 주입될 때, 케이스(100)가 사출압에 의해 금형(700)의 내부에서 움직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 및 브라켓형성단계(S500)는 케이스(100)의 전방에 하우징(400)을 장착하여 하우징(400)이 센서부(300)와 케이스(100)를 감싸도록 하고, 동시에 브라켓(500)이 케이스(100)의 일부와 하우징(400)의 일단을 감싸도록 하는 단계이다.
한편, 고정돌기(132)는 하우징(400)의 외주면을 관통하되, 하우징(400)의 인서트 사출설형이 완료되면 상기 케이스(100)하우징(400)으로부터 컷팅되도록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은 제1걸림턱(123) 내지 제4걸림턱(126)은 평면상 상호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하우징(400)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700)에 케이스(100)를 잘못 배치하거나, 케이스(100)의 배치위치가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지 않고 삐뚤어진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플레이트(131) 및 고정돌기(132)가 금형(700)의 삽입부(720)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케이스(100)가 사출압에 의해 금형(700)의 내부에서 움직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케이스 110: 케이스바디부
210: 오삽입방지부 121: 상부원판
122: 하부원판 123: 제1걸림턱
124: 제2걸림턱 125: 제3걸림턱
126: 제4걸림턱 130: 유동방지부
131: 고정플레이트 132: 고정돌기
200: 터미널 300: 센서부
310: 센서단자부재 320: 인쇄회로기판
400: 하우징 500: 브라켓
10: 볼트구멍 600: 케이블
700: 금형 710: 안착부
711: 제1안착부 712: 제2안착부
713: 제3안착부 720: 삽입부
721: 플레이트삽입부 722:돌기삽입부

Claims (12)

  1. 기둥형상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고, 케이블을 통해 차량의 전자제어유닛과 연결되는 터미널;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장착되는 센서부;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 및 센서부를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몸체를 이루는 케이스바디부;
    상기 케이스바디부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을 인서트 사출하기 위한 금형에 형성된 안착부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오삽입방지부; 및
    상기 케이스바디부의 상부 외주면 또는 하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금형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금형으로부터 사출압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유동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오삽입방지부는,
    상기 케이스바디부의 둘레를 따라 상호 등간격으로 이격되고, 평면상 각각 상호 비대칭형상으로 배치된 것
    인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삽입방지부는,
    상기 케이스바디부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상부원판;
    상기 상부원판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이격배치된 하부원판;
    상기 상부원판과 상기 하부원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제1걸림턱;
    상기 상부원판과 상기 하부원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걸림턱의 반대방향면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제2걸림턱;
    상기 상부원판과 상기 하부원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걸림턱과 상기 제2걸림턱으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제3걸림턱;
    상기 상부원판과 상기 하부원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3걸림턱의 반대방향면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제4걸림턱;을 포함하되,
    상기 제1걸림턱과 상기 제2걸림턱은 평면상 상호 비대칭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걸림턱과 상기 제4걸림턱은 평면상 상호 비대칭 형상으로 배치된 것
    인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케이스바디부의 상부 외주면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상호 이격배치된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케이스바디부의 하부 외주면에서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
    인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을 관통하되,
    상기 하우징의 인서트 사출설형이 완료되면 상기 케이스바디부로부터 컷팅되는 것
    인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케이스바디부의 상부에서 상기 터미널의 타단에 연결되는 센서단자부재; 및
    상기 터미널에 접속되고, 홀 소자가 통전 가능하게 부착된 인쇄회로기판;를 포함하는 것
    인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과 센서단자부재는 상호 저항용접 방식으로 연결된 것
    인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그 외주면을 감싸면서 사출방식으로 형성되되, 플랜지의 상면과 하면을 상호 연통시키는 볼트구멍이 형성된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
    인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
  8. 케이블과 연결된 다수개의 터미널을 인서트 사출을 위한 금형에 배치하는 터미널배치단계;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터미널을 감싸는 기둥형상의 케이스를 형성하는 케이스형성단계;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센서부를 장착시키는 센서부장착단계;
    센서부가 장착된 케이스를 인서트 사출을 위한 금형에 배치하는 케이스배치단계;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케이스를 감싸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을 감싸는 브라켓을 동시에 형성하는 하우징 및 브라켓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몸체를 이루는 케이스바디부;
    상기 케이스바디부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을 인서트 사출하기 위한 금형에 형성된 안착부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오삽입방지부;가 포함되되,
    상기 케이스배치단계에서, 인서트 사출을 위한 상기 금형에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오삽입방지부가 안착되어 상기 케이스바디부의 배치위치를 정확하게 배치시키는 것
    인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삽입방지부는,
    상기 케이스바디부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상부원판;
    상기 상부원판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이격배치된 하부원판;
    상기 상부원판과 상기 하부원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제1걸림턱;
    상기 상부원판과 상기 하부원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걸림턱의 반대방향면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제2걸림턱;
    상기 상부원판과 상기 하부원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걸림턱과 상기 제2걸림턱으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제3걸림턱;
    상기 상부원판과 상기 하부원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3걸림턱의 반대방향면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제4걸림턱;을 포함하되,
    상기 제1걸림턱과 상기 제2걸림턱은 평면상 상호 비대칭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걸림턱과 상기 제4걸림턱은 평면상 상호 비대칭 형상으로 배치된 것
    인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바디부의 상부 외주면 또는 하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금형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금형으로부터 사출압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유동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인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케이스바디부의 상부 외주면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상호 이격배치된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케이스바디부의 하부 외주면에서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
    인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을 관통하되,
    상기 하우징의 인서트 사출설형이 완료되면 상기 케이스바디부로부터 컷팅되는 것
    인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20170019428A 2017-02-13 2017-02-13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833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428A KR101833301B1 (ko) 2017-02-13 2017-02-13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428A KR101833301B1 (ko) 2017-02-13 2017-02-13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301B1 true KR101833301B1 (ko) 2018-02-28

Family

ID=61401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428A KR101833301B1 (ko) 2017-02-13 2017-02-13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3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6227A (ja) * 1991-09-06 1993-03-19 Sumitomo Electric Ind Ltd 回転センサ
KR100848787B1 (ko) * 2007-02-22 2008-07-28 한국하니웰 주식회사 속도 센서
KR20100055753A (ko) * 2008-11-18 2010-05-27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휠 스피드센서의 성형장치
KR20150093008A (ko) * 2014-02-06 2015-08-17 주식회사 만도 휠 속도센서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6227A (ja) * 1991-09-06 1993-03-19 Sumitomo Electric Ind Ltd 回転センサ
KR100848787B1 (ko) * 2007-02-22 2008-07-28 한국하니웰 주식회사 속도 센서
KR20100055753A (ko) * 2008-11-18 2010-05-27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휠 스피드센서의 성형장치
KR20150093008A (ko) * 2014-02-06 2015-08-17 주식회사 만도 휠 속도센서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80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be sensor assembly
JP6035685B2 (ja) 車輪速センサおよび車輪速センサの製造方法
US7893578B2 (en) Electric motor with discrete circuit board and sensor case
EP1600780B1 (en) Rotational sensor
US9678096B2 (en) Wheel speed sensor and wire harness
JP3891208B2 (ja) 点火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60017433A1 (en) Rotation sensor
US20120306484A1 (en) Magnetic detection apparatus
JP2011510310A (ja) 磁界センサ
US11131593B2 (en) Sensor device
US10670484B2 (en) Pressure sensor unit including snap fit circular seal
US9523592B2 (en) Rotation detector
EP1860444A1 (en) Rotation sensor
US20110273854A1 (en) Magnetic Field Sensor
KR101833301B1 (ko)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JP4672052B2 (ja) 回転センサ装置
US6422075B1 (en) Low cost sensor package for bearing mount
JP4207308B2 (ja) 回転検出センサ
EP0669534B1 (en) Method of producing a sensor assembly for an electromagnetic detecting device, and sensor assembly produced thereby
JP7157906B2 (ja) 移動体検出装置、及び移動体検出装置の製造方法
US11536594B2 (en) Sensor component, pre-assembly arrangement for a sensor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sensor component
KR101672038B1 (ko) 회전체 속도 측정용 센서 구조체
JP4681447B2 (ja) 回転検出センサ
JP2014108539A (ja) インサート成形品、インサート成形方法、及びインサート成形装置
JP3572043B2 (ja) 磁気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