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282B1 - 휴대단말기용 심카드 트레이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심카드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282B1
KR101833282B1 KR1020170077162A KR20170077162A KR101833282B1 KR 101833282 B1 KR101833282 B1 KR 101833282B1 KR 1020170077162 A KR1020170077162 A KR 1020170077162A KR 20170077162 A KR20170077162 A KR 20170077162A KR 101833282 B1 KR101833282 B1 KR 101833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head
width
sim card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보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엠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엠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엠글로벌
Priority to KR1020170077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2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심카드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단말기의 슬롯에 착탈되며, 기계가공을 통해 성형되면서 상기 슬롯의 입구를 밀폐시키는 금속소재의 트레이헤드와, 상기 트레이헤드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면서 심카드가 안착되어 슬롯 내부로 삽입되는 비금속소재의 트레이바디로 구성된 휴대단말기용 심카드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헤드는 상기 슬롯의 입구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헤드몸체와, 상기 헤드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트레이바디의 단부와 밀착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에서 돌출되어 트레이바디의 내부로 인서트되는 인서트편을 포함하되, 상기 인서트편은 상기 지지편의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짐으로써 지지편에 대해 내측으로 단차지는 협폭부와, 상기 협폭부의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가짐으로써 협폭부에 대해 외측으로 단차지는 광폭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공정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제품구성간의 견고한 결합력을 향상시켜 제품의 안전한 사용수명 또한 확보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심카드 트레이 {SIM Tray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심카드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트레이헤드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제조공정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제품구성간의 견고한 결합력을 향상시켜 제품의 안전성 또한 확보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심카드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기에는 심(SIM) 카드가 구비되는데, 심카드는 가입자 식별모듈(SubscriberIdentification Module)을 구현한 IC카드이다.
상기 심카드는 휴대단말기의 슬롯에 삽입되어 내부의 접점단자와 접촉하면서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소켓속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이 때, 심카드 트레이는 심카드를 안착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슬롯에 끼워짐으로써 심카드를 휴대단말기의 소켓에 안정적으로 장착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심카드 트레이에 대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554128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개시된 종래의 심카드 트레이는 도 7 내지 도 9에 일 예시된 것처럼, 금속소재의 커버(1)와 비금속소재의 받침(2)을 포함하면서 받침(2)이 커버(1)에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화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심카드 트레이는 커버(1)와 받침(2)이라는 이종 재질간의 결합을 위해 커버(1)에 쓰루홀(4)이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 바, 커버(1)의 성형과정에서 받침(2)으로 인서트되는 결합편(3)의 성형을 위한 CNC 기계가공 공정 이외에 별도로 쓰루홀(4)의 형성을 위한 홀 가공공정을 추가적으로 거쳐야만 함과 함께, 도 9에 일 예시된 것처럼, 결합편(3)의 기계가공 방향과 홀 가공의 방향이 상호간에 직각을 이루므로, CNC 기계가공 이후에 커버(1)의 방향을 바꾸어 단품 별로 홀 가공이 이루어져야만 해서, 제조공정 및 제조설비가 복잡해지고 제조시간 또한 증가되어 전체적으로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심카드 트레이는, 인서트 사출시 쓰루홀(4)에 받침(2)의 사출물이 침투 고착되어 커버(1)와 받침(2) 사이의 결합력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받침에 인서트되는 결합편(3)이 단순한 플랫 형상임과 함께,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쓰루홀(4)에 침투 고착되는 사출물만으로는 결합력이 제한될 수 밖에 없어, 장시간 안정적인 사용을 위한 커버(1)와 받침(2) 사이의 견고한 결합력을 담보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554128호 : 휴대단말기용 SIM카드 트레이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홀 가공공정이 불필요하도록 트레이헤드의 구조를 개선하여 제조공정을 보다 단순화함으로써 제조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화된 트레이헤드와 트레이바디가 상호간에 보다 견고한 결합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장시간 사용안전성을 담보하면서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심카드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휴대단말기의 슬롯에 착탈되며, 기계가공을 통해 성형되면서 상기 슬롯의 입구를 밀폐시키는 금속소재의 트레이헤드와, 상기 트레이헤드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면서 심카드가 안착되어 슬롯 내부로 삽입되는 비금속소재의 트레이바디로 구성된 휴대단말기용 심카드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헤드는 상기 슬롯의 입구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헤드몸체와, 상기 헤드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트레이바디의 단부와 밀착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에서 돌출되어 트레이바디의 내부로 인서트되는 인서트편을 포함하되, 상기 인서트편은 상기 지지편의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짐으로써 지지편에 대해 내측으로 단차지는 협폭부와, 상기 협폭부의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가짐으로써 협폭부에 대해 외측으로 단차지는 광폭부와, 상기 광폭부의 폭방향 양쪽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파스너홈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용 심카드 트레이가 개시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심카드 트레이에 의하면,
트레이바디로 인서트되는 트레이헤드의 인서트편에 쓰루홀이 전혀 형성되지 않으므로 별도의 홀가공 공정을 거칠 필요없이 CNC 기계가공 공정만을 통해 트레이헤드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성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종래기술에 비하여 제조공정 및 설비가 보다 단순화되고 제조시간 또한 단축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생산성의 향상 및 제조비용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트레이헤드의 인서트편이 협폭부와 광폭부로 단차진 구조를 가지면서 광폭부에 다수의 파스너홈이 형성되어 인서트편 전체에 넓은 접합면적에서 많은 양의 사출물이 충진 고착되므로, 종래기술에 비하여 보다 향상된 결합력을 제공하게 되며, 그에 따라 트레이헤드와 트레이바디 상호간의 견고한 결합력에 의해 장시간 사용안전성을 담보하면서 사용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휴대단말기에 착탈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심카드 트레이를 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심카드 트레이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헤드를 일 예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
도 5와 도 6은 종래기술의 심카드 트레이와 본 발명에 따른 심카드 트레이에 대한 인장력 테스트 모습을 각각 일 예시한 도면,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심카드 트레이를 일 예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B-B”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
도 9는 종래기술에 따른 커버를 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심카드 트레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되어”, “형성되어”, “돌출되어”, “결합되어”, “설치되어”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구비, 형성, 돌출, 결합,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심카드 트레이(100)가 일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심카드 트레이(100, 이하, “트레이”라 약칭함.)는 도 1에 일 예시된 것처럼, 심카드(S.C)가 안착되면서 휴대단말기(H)의 슬롯(H.s)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서, 트레이헤드(10)와, 트레이바디(20)를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트레이헤드(10)는 본 발명의 트레이(100)가 슬롯(H.s)에 끼워지면 슬롯(H.s)의 입구를 커버링하여 밀폐시키는 요소이다.
이러한 트레이헤드(10)는 도 2 내지 도 4에 일 예시된 것처럼, 헤드몸체(11)와, 지지편(12)과, 인서트편(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몸체(11)는 슬롯(H.s)의 입구를 커버하는 부분으로, 따라서 슬롯(H.s)의 입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편(12)은 상기 헤드몸체(11)의 일면에서 일정 폭(w1)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편(12)은 후술하는 트레이바디(20)의 인서트 사출시 형합되는 금형에 긴밀하게 물리면서 금형 내에서 트레이헤드(10)의 위치를 고정시킴과 함께, 금형 내로 주입된 트레이바디(20) 형성용 합성수지가 밀려나지 않도록 지지하여 인서트 사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기여한다.
상기 지지편(12)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트레이바디(20)가 트레이헤드(10)에 일체화되면 트레이바디(20)의 단부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상기 인서트편(13)은 상기 지지편(12)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트레이바디(20)의 인서트 사출시 트레이바디(20) 내부로 인서트되어 트레이바디(20)와 일체화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인서트편(13)은 상호간에 상대적인 폭을 달리하면서 순차적으로 형성된 협폭부(14)와 광폭부(15)로 구성된다.
상기 협폭부(14)는 상기 지지편(12)에서 돌출되는 부분으로, 지지편(12)의 폭(w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폭(w2)을 갖는다.
상기 광폭부(15)는 상기 협폭부(14)에서 돌출되는 부분으로, 협폭부(14)의 폭(w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폭(w3)을 갖는다.
이렇게 지지편(12)으로부터 광폭부(15)까지 상호간의 상대적인 폭의 차이에 따라, 협폭부(14)는 지지편(12)과의 폭 차이(w2〈 w1)에 의해 지지편(12)에 대하여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광폭부(15)는 협폭부(14)와의 폭 차이(w3 〉w2)에 의해 협폭부(14)에 대하여 외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이를 지지편(12)으로부터 광폭부(15)까지 전체적으로 보게 되면, 도 4에 일 예시된 것처럼 대략‘H’자 형상을 갖게 된다.
한편, 도 2와 도 3에 일 예시된 것처럼, 상기 광폭부(15)의 폭방향 양쪽의 측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파스너홈(16)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파스너홈(16)은 바람직하게는 반원형 내지 반타원형의 형상으로 요입 형성될 수 있으며, 트레이바디(20)의 인서트 사출시 합성수지가 협폭부(14)로 보다 용이하게 주입 및 충진되게 하는 작용과 함께, 인서트된 광폭부(15)와 트레이바디(20)의 일체화되는 접합면 및 합성수지의 양을 증가시켜 트레이헤드(10)와 트레이바디(20) 상호간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위와 같은 구성의 트레이헤드(10)는 일 예로 알루미늄, 스테인리스스틸 등과 같은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며, CNC 기계가공을 통해 상기한 구성을 갖는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헤드(10)는 전술한 것처럼, 지지편(12)과 인서트편(13)이 ‘H’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 대신, 종래기술과 같은 쓰루홀이 전혀 형성되지 않는 구성이므로, 도 3과 같이 일방향에서 CNC 기계가공 공정만을 통해 상기한 구성의 트레이헤드(10)로 성형될 수 있으며, 별도의 홀 가공공정이 전혀 필요없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트레이바디(20)는 상기 트레이헤드(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심카드(S.C)가 안착되어 슬롯(H.s) 내부로 삽입되는 요소이다.
상기 트레이바디(20)는 심카드(S.C)가 안착될 수 있으면서 슬롯(H.s)에 삽입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데, 트레이바디(20) 자체의 구성은 본 발명의 특징과 무관하면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관련한 다양한 구성이 공지되어 있는 바, 공지된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별한 구성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트레이바디(20)는 비금속소재,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메틸렌(Poly Oxy Methylene)수지, 폴리아세탈(Poly Acetal)수지 및 폴리아미드(Polyamide)수지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인서트 사출을 통해 상기 트레이헤드(10)의 일측에 일체화되어 형성된다.
즉, CNC 기계가공을 통해 성형된 상기 트레이헤드(10)를 사출 금형에 인서트시킨 후, 트레이바디(20) 형성을 위한 합성수지를 금형으로 주입함으로써 트레이바디(20)는 트레이헤드(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트레이바디(20)의 인서트 사출 성형과정에서, 트레이헤드(10)의 지지편(12)과 협폭부(14) 및 광폭부(15)의 구조에 따라, 도 4에 일 예시된 것처럼, 금형으로 주입된 합성수지는 지지편(12)과 광폭부(15) 사이의 공간(S)으로 충진이 되며, 그에 따라 협폭부(14)의 외면뿐만 아니라 광폭부(15)의 후면 전체에 걸쳐 합성수지가 접합 고착되므로, 일체화되는 트레이헤드(10)와 트레이바디(20) 상호간의 결합력이 증대된다.
더 나아가, 광폭부(15)에 형성된 파스너홈(16)으로도 합성수지가 침투 고착되면서 일체화되는 접합면 및 합성수지의 양이 증가되므로 트레이헤드(10)와 트레이바디(20) 상호간의 결합력이 더욱 극대화된다.
이러한 결합력의 증대효과는 아래의 비교실험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비교 실험예
본 비교 실험은 도 5와 도 6에 예시된 것과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트레이(A)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B) 각각의 시료에 대하여 수차례 인장력을 테스트한 것이다.
(1) 테스트 장비 : DS2-500N 인장력 TEST기 (IMADA社)
(2) 테스트 방법
도 5와 도 6에 각각 예시된 것처럼, 트레이헤드(10)를 TEST기의 베이스(BASE)에 바이스로 고정한 후, 트레이바디(20)를 고리에 걸어 접합부가 떨어질 때까지 인장력을 가하였으며, 트레이바디(20)가 파손되어 접합부를 더이상 테스트 또는 확인할 수 없는 경우 그 최대 인장력을 확인하였다.
(3) 테스트 결과
시료 No. 종래 트레이(A) 본 발명 트레이(B)
1 3.02 4.19
2 3.04 4.5
3 3.03 4.21
4 3.32 4.77
5 3.31 4.23
6 3.75 4.29
7 3.41 4.45
8 3.69 4.25
9 3.78 4.02
10 3.69 4.02
11 3.17 4.3
MIN. 3.02 4.02
MAX. 3.78 4.77
AVER. 3.383 4.294
STD 0.302 0.216
(단위: Kgf)
상기한 인장력의 테스트 결과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는 비교대상인 종래의 트레이에 대비하여 최소(MIN) 및 최대(MAX) 인장력 값이 25% 이상 향상되었음과 함께, 평균(AVER) 인장력 값에 있어서도 25% 이상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의 이종재질(트레이헤드(10)와 트레이바디(20)) 상호간의 결합이 보다 견고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여러 시료들간의 인장력 편차(STD) 또한 종래에 비하여 본 발명의 트레이가 좁은 범위 내에서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 의하면, 이종 재질 간의 결합력에 대한 높은 신뢰도를 가지고 대량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100)는 트레이헤드(10)의 구조개선에 따라 별도의 홀가공 공정없이 기계가공 공정과 인서트 사출공정을 통해 제조가 가능하여 전체적으로 생산시간의 단축 및 생산성의 향상을 통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과 함께, 이종재질인 트레이헤드(10)와 트레이바디(20) 상호간의 결합력 극대화를 통해 트레이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트레이헤드 11: 헤드몸체
12: 지지편 13: 인서트편
14: 협폭부 15: 광폭부
16: 파스너홈 20: 트레이바디

Claims (2)

  1. 휴대단말기(H)의 슬롯(H.s)에 착탈되며, 기계가공을 통해 성형되면서 상기 슬롯(H.s)의 입구를 밀폐시키는 금속소재의 트레이헤드(10)와, 상기 트레이헤드(10)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면서 심카드(S.C)가 안착되어 슬롯(H.s) 내부로 삽입되는 비금속소재의 트레이바디(20)로 구성된 휴대단말기용 심카드 트레이(100)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헤드(10)는 상기 슬롯(H.s)의 입구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헤드몸체(11)과, 상기 헤드몸체(11)에서 돌출되어 상기 트레이바디(20)의 단부와 밀착되는 지지편(12)과, 상기 지지편(12)에서 돌출되어 트레이바디(20)의 내부로 인서트되는 인서트편(13)을 포함하되,
    상기 인서트편(13)은 상기 지지편(12)의 폭(w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폭(w2)을 가짐으로써 지지편(12)에 대해 내측으로 단차지는 협폭부(14)와, 상기 협폭부(14)의 폭(w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폭(w3)을 가짐으로써 협폭부(14)에 대해 외측으로 단차지는 광폭부(15)와, 상기 광폭부(15)의 폭방향 양쪽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파스너홈(16)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용 심카드 트레이.
  2. 삭제
KR1020170077162A 2017-06-19 2017-06-19 휴대단말기용 심카드 트레이 KR101833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162A KR101833282B1 (ko) 2017-06-19 2017-06-19 휴대단말기용 심카드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162A KR101833282B1 (ko) 2017-06-19 2017-06-19 휴대단말기용 심카드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282B1 true KR101833282B1 (ko) 2018-02-28

Family

ID=61400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162A KR101833282B1 (ko) 2017-06-19 2017-06-19 휴대단말기용 심카드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28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8646B2 (ja) 1997-03-28 2001-07-16 禎 助川 骨材、固化材及び液体の混合方法及び混合装置
KR101554128B1 (ko) * 2014-12-20 2015-09-21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sim 카드 트레이
KR101641104B1 (ko) 2015-12-17 2016-07-20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접촉 불량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8646B2 (ja) 1997-03-28 2001-07-16 禎 助川 骨材、固化材及び液体の混合方法及び混合装置
KR101554128B1 (ko) * 2014-12-20 2015-09-21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sim 카드 트레이
KR101641104B1 (ko) 2015-12-17 2016-07-20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접촉 불량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0899B2 (en) Waterproof electrical receptacle assembly
EP3101737B1 (en) Retaining block and modular plug insert
US20200266556A1 (en) Connector terminal and connector
US20150099384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terminal retaining seal
CN110323589B (zh) 汇流条组件、端子块以及车辆装置
KR101860690B1 (ko) 커넥터
US10847924B2 (en) Contact device and contact system
CN109716593A (zh) 具有基架和固定元件的保持框架组件以及用于装配其的方法
JP4992659B2 (ja) コネクタ
KR101833282B1 (ko) 휴대단말기용 심카드 트레이
US20010043006A1 (en) Webbing insertion member
US10625944B2 (en) Profiled bel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20210115955A1 (en) Dual component sealing fastener and coupling assembly including same
KR102585070B1 (ko) 플러그 및 플러그에 대한 진동 보호부를 부착하는 방법
FI111000B (fi) Järjestely langattoman päätelaitteen lisävarusteen kiinnittämiseksi
US20140045378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Housing
CN112631110A (zh) 用于手表的表壳中部/表耳连接设备
JP2012164520A (ja) 中継コネクタ
KR20100035638A (ko) 안전벨트의 버클의 프레임 부재
CN105979814B (zh) 用于固定带锁扣的锁扣盖的两个半壳的连接元件
US9209562B2 (en) Lever connector
US11207954B2 (en) Hook assemblies
KR101295289B1 (ko) 양방향 삽입이 가능한 심커넥터 접속단자
US20130295791A1 (en) Connector
US20180375247A1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