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969B1 - 음향 출력장치 - Google Patents

음향 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969B1
KR101832969B1 KR1020160094527A KR20160094527A KR101832969B1 KR 101832969 B1 KR101832969 B1 KR 101832969B1 KR 1020160094527 A KR1020160094527 A KR 1020160094527A KR 20160094527 A KR20160094527 A KR 20160094527A KR 101832969 B1 KR101832969 B1 KR 101832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latch
sound output
case
acou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1728A (ko
Inventor
유현선
박승종
서상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FR1657343A priority Critical patent/FR3040252B1/fr
Priority to EP16181880.2A priority patent/EP3133828B1/en
Priority to US15/236,181 priority patent/US10200781B2/en
Priority to CN201610670742.4A priority patent/CN106470375B/zh
Priority to JP2016160096A priority patent/JP6194079B2/ja
Publication of KR20170021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1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incorporating only one transdu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음향 출력장치는 하부는 밀폐되고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부 일측에 테두리를 따라서 음향홀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스피커 모듈과, 상기 제1 스피커 모듈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스피커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방사(radiate)되도록 음향을 가이드하는 제1 음향 경로 형성부를 포함하는 제1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1 스피커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음향 출력부를 승하강시키는 승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제1 음향 출력부를 하강시키는 제1 상태와 상기 제1 음향 출력부를 팝업(pop-up)시키는 제2 상태를 구현하고, 상기 제1 상태에서는 제1 음향 출력부의 작동이 멈추게 되고, 제2 상태에서는 제1 음향 출력부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향 출력장치{SOUND OUTPUT APPARATUS}
본 발명은 전 방향으로 소리를 발생시키는 음향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향 출력 장치, 예컨대 스피커는 전기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장치로서 특정 방향을 향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특정 방향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만 출력되는 음향을 제대로 청취할 수 있다.
또한, 최근, 포터블(portable) 음향 출력 장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다른 전자 기기와 연동되어 음향 출력을 담당하는, 음향 출력 장치의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와 구조, 그리고 다양한 크기를 가진다. 예를 들면, 저음의 출력을 담당하는 음향 출력 장치와 고음 출력을 담당하는 음향 출력장치는 그 형태, 구조, 크기 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대부분의 음향 출력장치는 사각형상의 딱딱한 느낌의 디자인을 가지고 있었으며, 한 방향으로만 출력되어 다른 방향에 있는 사람에게는 음향의 크기가 작아 잘 들리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하나의 음향 출력장치는 음향이 출력되는 부분이 한 곳이어서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출력하는데 곤란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전 방향으로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는 음향 출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부는 밀폐되고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부 일측에 테두리를 따라서 음향홀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스피커 모듈과, 상기 제1 스피커 모듈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스피커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방사(radiate)되도록 음향을 가이드하는 제1 음향 경로 형성부를 포함하는 제1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1 스피커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음향 출력부를 승하강시키는 승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제1 음향 출력부를 하강시키는 제1 상태와 상기 제1 음향 출력부를 팝업(pop-up)시키는 제2 상태를 구현하고, 상기 제1 상태에서는 제1 음향 출력부의 작동이 멈추게 되고, 제2 상태에서는 제1 음향 출력부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음향 출력부는, 상기 제1 음향 경로 형성부의 외곽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음향 경로 형성부로부터 반사되는 음향을 외부로 가이드하는 제1 음향 전달부; 상기 제1 음향 전달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제1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피커 모듈이 수용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제2 상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음향 경로 형성부는, 상면은 하부를 향하여 리세스되어 있고, 하부면은 중심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상부 케이스는, 보다 내측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벽부;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에 상기 제1 벽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 벽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벽부를 잇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벽부 및 제2 벽부에 의해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는 원통형의 슬라이딩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가 상기 제1 상태 및 제2 상태의 변화에 따라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상부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제1 스피커 모듈의 하부에 접촉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반대 측면에는 상기 제2 상부 케이스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플런저(plunger)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제2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고, 중심부에 상기 플런저가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상부 케이스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댐핑기어(damping gear); 상기 댐핑기어에 결합하는 한 쌍의 랙 기어(rack gear)가 상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래치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중심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래치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걸림되는 래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래치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원통형의 하부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는, 보다 상측에 구비되는 제1 하부 케이스; 및 상기 제1 하부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부 케이스 및 제2 하부 케이스의 내부는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외부 케이스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상기 음향홀을 통하여 외부로 음향이 출력되는 제2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음향 출력부는, 상기 중공부에 구비되고, 하부를 향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제2 스피커 모듈; 및 상기 제2 스피커 모듈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스피커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을 측면을 향하도록 반사시키는 제2 음향 경로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스피커 모듈에서의 음향 출력 방향은 상기 제1 스피커 모듈에서의 음향 출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하부 케이스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제3음향 출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3 음향 출력부는 상기 제2 스피커 모듈의 후면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에 의한 진동에 의해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는 진동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음향 출력장치의 측면을 향하여 볼록 또는 오목하도록 형성되는 러버부재; 상기 러버부재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러버부재와 함께 진동하는 금속부재; 및 상기 러버부재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음향 경로 형성부의 상측에는 외부에 노출되는 원판 형상의 데코 플레이트가 배치되고, 상기 데코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데코 플레이트를 터치시에 상기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도록 터치 회로기판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데코 플레이트의 테두리에는 링 형상의 라이팅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라이팅부재는 최외곽의 테두리에서 중심을 향하여 아래로 단차부가 형성되고, 단차부에는 상기 데코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데코 플레이트를 누르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고, 다시 상기 데코 플레이트를 누르면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래치 스위치는, 상측 양 단부가 이루는 거리가 가변되는 래치; 상기 래치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래치에 결합되는 래치 몸체; 상기 래치 몸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래치 케이스; 상기 래치 몸체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래치 케이스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래치 몸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 상기 래치 케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래치를 향하여 돌출되는 가이드 레버; 및 상기 래치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레버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제1 경로 및 제2 경로가 형성되는 경로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의 스트로크시에 상기 가이드 레버가 선택적으로 제1 경로 또는 제2 경로에 수용되며, 상기 가이드 레버가 상기 제1 경로 또는 제2 경로에 수용됨에 따라 상기 제1 음향 출력부가 승하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피커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을 반사시킴으로써 전 방향(omnidirection)을 향하여 음향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한 번의 푸시에 의해 음향 출력장치의 전원을 온/오프시킴과 동시에 곧 바로 다른 전자기기와 페어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외관이 매끄러운 원통형 또는 텀블러 형으로 제작함으로써 미려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으며, 휴대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의 제1 상태에서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의 제2 상태에서의 정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의 제1 상태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의 제2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2a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도 2b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구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음향 출력장치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평면도이고, 도 6c는 도 6b의 AA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음향 경로 형성부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정면도이고, 도 7c는 도 7b의 BB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음향 전달부의 몰드부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음향 전달부의 그릴부(grill portion)의 사시도이고,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음향 전달부의 평면도이고, 도 8d는 도 8c의 DD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부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평면도이고, 도 10c는 도 10b에서의 EE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상부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11b는 도 11a의 평면도이고, 도 11c는 도 11b의 FF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하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하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16b는 도 16a의 GG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음향 경로 형성부의 사시도이고, 도 17b는 도 17a의 평면도이고, 도 17c는 도 17b의 HH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캡의 정면도이고, 도 18b는 도 18a의 II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고, 도 1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캡의 사시도이다.
도 19a 내지 도 1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 스위치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핑기어의 정면도이고, 도 20b는 도 20a의 JJ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제어 표시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기긱의 사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의 또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와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100)의 제1 상태에서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100)의 제2 상태에서의 정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100)의 제1 상태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2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100)의 제2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100)의 분해사시도이다. 즉,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a 및 도 1b의 단면도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원통형(cylinder) 또는 텀블러(tumbler) 형상의 음향 출력장치(100)가 개시되는데, 이하에서는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1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음향 출력장치(100)는 외부에 노출되고 원통 또는 텀블러 형상의 외부 케이스(101)의 내부에 다수의 음향 출력부들이 구비된다. 상기 외부 케이스(101)는 하부면은 밀폐되고, 상부면은 개방되어 개구부(102)가 형성된 형태이고, 하부에 테두리를 따라서 음향홀(103)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음향 출력장치(100)는 상기 외부 케이스(101)의 상부를 통하여 음향이 출력되는 제1 음향 출력부(200)와, 상기 외부 케이스(101)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음향홀(103)을 통하여 외부로 음향이 출력되는 제2 음향 출력부(4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 음향 출력부(400)에서는 상기 외부 케이스(101)의 주변으로 전방향(360도,omnidirection)으로 음향이 출력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개구부(102)는 제1 음향 출력부(200)에 의해 가로막혀 원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개구부(102)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영역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제1 음향 출력부(200)가 제거된 상태에서의 외부 케이스(101)의 상면 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 출력부(200)에서는 후술하는 제1 스피커 모듈(280)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이 상기 외부 케이스(101)의 개구부(102)에 형성되는 제1 음향 경로 형성부(240)에 막혀 상기 제1 음향 경로 형성부(240)와 외부 케이스(101)의 사이의 개구부(102)로 새어나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음향 경로 형성부(240)는 상기 개구부(102)보다 작은 원판 형상이고, 상기 개구부(102)가 원형의 링 형상으로 되어 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음향 출력장치(100)의 어느 방향에 있든지 동일한 음질로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음향홀(103)이 모든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어, 음향 출력장치(100)의 모든 방향에서 동일한 음질로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부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외부 케이스(101)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고, 승하강이 가능하며 제1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출력하는 제1 음향 출력부(200)와, 상기 외부 케이스(101)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동일 또는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제2 음향 출력부(400) 및 상기 제1 음향 출력부(200) 및 제2 음향 출력부(400)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음향 출력부(200) 및 제2 음향 출력부(400)에서의 주파수 대역과 동일 또는 상이한 제3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출력하는 제3 음향 출력부(500)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전 대역(full-range speaker)일 수 있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저주파수 대역(low frequency band)으로 제2 음향 출력부(400)는 우퍼 스피커 모듈(woofer speaker module)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초저역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20Hz~20kHz일 수 있고, 제2 주파수 대역은 2-3kHz일 수 있고,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은 50~100Hz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내지 제3 주파수 대역은 일부 대역이 서로 중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먼저, 상기 제1 음향 출력부(2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음향 출력부(200)는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는데, 하강하여 보다 아래에 위치한 상태인 제1 상태와 제1 상태에서 팝업(pop-up)되어 보다 위로 상승한 상태인 제2 상태로 구현된다. 상기 제1 상태에서는 제1 음향 출력부(200)의 작동이 멈추게 되고, 제2 상태에서는 제1 음향 출력부(200)가 작동된다. 즉, 상기 제1 음향 출력부(200)는 승하강이 가능하며,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환시에는 전원이 공급되어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상태에서는 제1 음향 출력부(200) 뿐만 아니라, 제2 음향 출력부(400)와 제3 음향 출력부(500)도 작동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음향 출력부(200)에 의해 음향 출력장치(100) 전체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 출력부(200)는 직접 음향을 발생시키는 부분(예를 들면, 제1 스피커 모듈(280))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 상태의 변화에 따라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는 부분을 포함하여 지칭하기로 한다. 즉, 도 2a와 도 2b에서의 위치가 변동되는 부분을 제1 음향 출력부(200)로 지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4a는 도 2a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음향 출력부(200) 주변의 제1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2b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음향 출력부(200) 주변의 제2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음향 출력부(200)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제1 스피커 모듈(280)이 상기 외부 케이스(101)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스피커 모듈(280)의 하부에는 상기 제1 음향 출력부(200)를 승하강시키는 승강기구(300)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스피커 모듈(280)의 상부에는 상기 제1 스피커 모듈(280)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을 외부로 흐르게 하는 제1 음향 전달부(250)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음향 전달부(250)의 상측에는 상기 제1 스피커 모듈(280)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이 외부로 방사(radiate)되도록 음향을 가이드하는 제1 음향 경로 형성부(240)가 배치된다. 즉, 상기 제1 스피커 모듈(280)은 음향이 상측으로 출력되도록 상하로 진동하여 상기 제1 스피커 모듈(280)의 전후에 음압차를 발생시키는 진동판(281)이 상부에 형성되고, 마그넷(미도시), 보이스 코일(미도시) 등의 부품이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스피커 모듈(280)은 내부에 관통홀(272, 도 10a 참조)이 형성되는 제1 상부 케이스(270)와 상기 제1 상부 케이스(27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피커 모듈(280)이 수용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제2 상부 케이스(290)의 내부에 수용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272)을 통하여 상기 제1 스피커 모듈(28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이 상기 제1 음향 전달부(250)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상부 케이스(270)의 가장자리는 무빙 가이드 커버(260,moving guide cover)에 결합된다. 상기 제2 상부 케이스(290)는 상기 제1 상부 케이스(27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상부 케이스(270)와 제2 상부 케이스(290)의 사이에 상기 제1 스피커 모듈(280)이 수용된다. 상기 제2 상부 케이스(290)는 승하강 방향으로 격벽 구조에 의해 가이드홈(295)이 형성된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상부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11b는 도 11a의 평면도이고, 도 11c는 도 11b의 FF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상부 케이스(290)는 보다 내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제1 벽부(291)와, 상기 제2 상부 케이스(290)의 상단에서 상기 제1 벽부(291)의 외부로 절곡되어 아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벽부(29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벽부(291)와 제2 벽부(292)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벽부(291)와 제2 벽부(292)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홈(29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상부 케이스(270)와 제2 상부 케이스(290)는 테두리를 따라서 결합되어, 일체로 승하강한다.
상기 제1 상부 케이스(270)의 상부에는 상기 제1 음향 전달부(250)가 결합되고, 상기 제1 음향 전달부(250)는 내부가 빈 원통 형상이고, 그 내부에는 제1 음향 경로 형성부(240)가 배치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음향 전달부(250)의 몰드부(251,mold portion)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음향 전달부(250)의 그릴부(grill portion)의 사시도이며,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음향 전달부(250)의 평면도이고, 도 8d는 도 8c의 DD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음향 전달부(250)는 외부 표면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몰드부(251)와 상기 몰드부(251)의 내부에 위치하는 그릴부(252)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몰드부(251)와 그릴부(252)의 결합은 상기 몰드부(251) 및 그릴부(252)의 내부에 구비되는 후크(251a,252a)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후크(251a,252a)는 상기 몰드부(251) 및 그릴부(252)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몰드부(251) 및 그릴부(252)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다. 상기 그릴부(252)를 통해 제1 스피커 모듈(280)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이 외부로 향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음향 전달부(250)는 제1 음향 출력부(200)의 음향을 전달하는 통로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몰드부(251)의 외곽에는 천(jersey)으로 된 마감부재(253)가 구비되어 외부로부터의 먼지 등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몰드부(251)는 상기 그릴부(252)의 외곽에서 그릴부(252)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몰드부(251)는 제2 상태에서 음향이 외부로 출력될 수 있을 정도의 영역에만 몰딩되고 나머지 부분은 막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몰드부(251)의 내측에는 다수의 홈(251b)들이 형성되고, 상기 홈(251b)들은 상기 그릴부(252)의 내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홈(252b)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홈(251b,252b)도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음향의 반사를 최소화하여 외부로 새어나가도록 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음향 경로 형성부(240)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정면도이고, 도 7c는 도 7b의 BB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음향 경로 형성부(240)는 대략 반구 형상이고, 상면은 하부를 향하여 리세스되어 있으며, 하부면으로부터 아래를 향하여 다수의 보스(245)가 형성되어 결합부재(172,도 3 참조)에 의해 상기 제1 상부 케이스(270)와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1 음향 경로 형성부(240)의 하부면은 중심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부(242a,242b,242)에 의해 제1 스피커 모듈(280)에서 발생된 음향이 상부가 아닌 측면을 향하도록 한다. 이는 상기 제1 음향 경로 형성부(240)는 상기 데코 플레이트(210)에 의해 막혀 있기 때문에 제1 스피커 모듈(28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상부가 아닌 측면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음향 출력부(200)에서의 음향의 이동 경로(L1)는 상기 제1 스피커 모듈(280)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이 상기 제1 음향 경로 형성부(240)의 경사부(242)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제1 음향 전달부(250)을 통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상기 제1 음향 경로 형성부(240)는 중심에는 상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보스(243)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음향 경로 형성부(240)의 상면은 상기 보스(243)을 중심으로 대칭 형상이다. 상기 보스(243)에는 결합부재(171)에 의해 NFC(220) 및 터치 회로기판(230)이 상기 제1 음향 경로 형성부(240)에 결합된다.(도 2a, 도 3 참조)
또한, 도 2b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제1 음향 경로 형성부(240)는 음향의 경로를 상방에서 측방으로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카메라에서 빛의 굴절 방향을 변경하는 렌즈와 같은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음향 경로 형성부(240)는 음향 렌즈(acoustic lens)로 칭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 경로 형성부(240)의 상측에는 외부에 노출되는 데코 플레이트(210,decoration plate)가 배치되며, 상기 데코 플레이트(210)는 원판 형상이고, 상기 데코 플레이트(210)의 하부에는 상기 데코 플레이트(210)를 터치시에 상기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도록 터치 회로기판(230)이 구비된다. 상기 데코 플레이트(210)를 터치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volume up/down,214a,214b), 음향의 재생 순서(previous/next/pause,215a,215b,216), 출력되는 음향의 종류(equalizer, EQ,213)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다른 전자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드(212), 예를 들면,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모드를 표시할 수 있고, 조명(217,LED) 표시가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분위기(mood)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회로기판(230)과 상기 데코 플레이트(210)의 사이에는 접착부재(225)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데코 플레이트(210)를 터치 회로기판(230)에 부착시킨다. 또한, 상기 접착부재(225)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225)는 내부에 관통홀(225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225a)을 관통하여 NFC(220)가 구비되는데, 상기 NFC(220) 상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관통홀(225a)을 관통하여 상기 데코 플레이트(210)에 직접 접촉하게 되고, 하면은 상기 터치 회로기판(230)에 부착된다.
즉, 상기 터치 회로기판(230)은 상기 데코 플레이트(210)의 배면에 원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데코 플레이트(210)와 상기 터치 회로기판(230)의 사이에는 상기 터치 회로기판(230)보다 작은 원형의 NFC(220)가 구비된다. 상기 NFC(220)는 다른 전자기기가 상기 NFC(220)에 접촉되거나 거의 접촉되는 상태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와 같이 근거리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것과는 다른 것이다. 상기 데코 플레이트(210)의 테두리에는 링 형상의 라이팅부재(235)가 구비되며, 상기 라이팅부재(235)는 LED의 빛이 외부에 비춰질 수 있도록 광가이드(light guide)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음향 출력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음향 출력장치(100)와 다른 음향 출력장치(100) 사이, 또는 음향 출력장치(100)와 다른 음향 출력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에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 중, 음향 출력장치에 구비된 NFC 모듈은 10cm 안팎의 거리에서 단말 간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NFC 모듈은 카드 모드, 리더 모드 및 P2P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NFC 모듈이 카드 모드로 운용되기 위해서, 음향 출력장치(100)는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보안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보안 모듈이란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예컨대,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SIM(Universal SIM)), Secure micro SD 및 스티커 등 물리적 매체일 수도 있고, 음향 출력장치에 임베디드되어 있는 논리적 매체(예컨대, embeded SE(Secure element))일 수도 있다. NFC 모듈과 보안 모듈 사이에는 SWP(Single Wire Protocol)에 기반한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NFC 모듈이 카드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 음향 출력장치는 전통적인 IC 카드처럼 저장하고 있는 카드 정보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NFC 모듈은 근처에 위치한 전자기기로부터 정보를 받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즉, NFC 모듈이 리더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NFC 모듈이 리더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 음향 출력장치는 외부의 태그(Tag)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이때, 음향 출력장치가 태그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는 NFC 포럼에서 정하는 데이터 교환 포맷(NFC Data Exchange Format)으로 코딩될 수 있다. NFC 모듈이 P2P(Peer-to-Peer)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 음향 출력장치는 다른 음향 출력장치와 P2P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P2P 통신에는 LLCP(Logical Link Control Protocol) 가 적용될 수 있다. P2P 통신을 위해 음향 출력장치와 다른 음향 출력장치 또는 다른 전자기기 사이에는 커넥션(connection)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생성되는 커넥션은 1개의 패킷을 교환하고 종료되는 비접속형 모드(connectionless mode)와 연속적으로 패킷을 교환하는 접속형 지향 모드(connection-oriented mode)로 구분될 수 있다. P2P 통신을 통해, 전자적 형태의 명함, 연락처 정보, 디지털 사진, URL 등의 데이터 및 블루투스, Wi-Fi 연결을 위한 셋업 파라미터 등이 교환될 수 있다. 다만, NFC 통신의 가용 거리는 짧으므로, P2P 모드는 크기가 작은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팅부재(235)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평면도이고, 도 6c는 도 6b의 AA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라이팅부재(235)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라이팅부재(235)의 중심으로부터 동심원을 이루면서 단차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라이팅부재(235)는 작은 두께를 갖는 링 형상인데, 최외곽의 테두리(235a)에서 중심을 향하여 아래로 단차지도록 형성되고, 단차부(235b)에는 상기 데코 플레이트(210)가 안착되어 상기 데코 플레이트(210)와 라이팅부재(235)는 동일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팅부재(235)는 접착부재(236)에 의해 제1 음향 경로 형성부(240)의 상측에 부착된다. (도 3 참조)
상기 제1 음향 경로 형성부(240) 또한 상기 라이팅부재(235)와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단차지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음향 경로 형성부(240)의 단차지는 구조에 의해 상기 라이팅부재(235)가 안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1 음향 경로 형성부(240)의 일부는 상기 제1 음향 전달부(250)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1 음향 경로 형성부(2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상부로 볼록한 형상이며, 상기 제1 음향 경로 형성부(24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음향 경로 형성부(240)에는 관통홀(244)가 형성되고, 무빙 가이드 커버(260)에는 관통홀(261)이 형성되어 결합부재(172)에 의해 제1 음향 경로 형성부(240)와 무빙 가이드 커버(260)가 결합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 가이드 커버(260)의 사시도이고,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부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평면도이고, 도 10c는 도 10b에서의 EE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상부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11b는 도 11a의 평면도이고, 도 11c는 도 11b의 FF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상기 제1 음향 전달부(250)는 상기 제1 상부 케이스(270)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상부 케이스(270)는 제2 상부 케이스(290)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상부 케이스(270)는 내부에 관통홀(272)이 형성된 링 형상이고, 내측(273)은 외측(274)보다 상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측(273)에는 상기 제1 음향 경로 형성부(240)와 결합되는 보스(271)가 다수 형성되며, 상기 외측(274)에는 링 형상의 무빙 가이드 커버(260)(moving guide cover)와 결합되도록 관통홀(275,276)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상부 케이스(270)의 내측에서는 결합부재(173,도 3 참조)가 상기 무빙 가이드 커버(260)로부터 제1 상부 케이스(270)를 향하여 관통되어, 상기 무빙 가이드 커버(260) 를 상기 제1 상부 케이스(270)에 결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무빙 가이드 커버(260)를 상기 제1 상부 케이스(27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73)는 상기 무빙 가이드 커버(260)와 제1 상부 케이스(270)를 상기 제2 상부 케이스(290)에 결합시킨다. 상기 결합부재(173)는 상기 무빙 가이드 커버(260), 상기 제1 상부 케이스(270) 및 제2 상부 케이스(290)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상부 케이스(270)의 외측(274)에는 삼각형과 사각형을 이루는 관통홀(275,27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홀(275,276) 중 삼각형을 이루는 관통홀(275)은 도 9에 도시된 무빙 가이드 커버(260)의 관통홀(26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결합부재(173)에 의해 상기 무빙 가이드 커버(260)와 제1 상부 케이스(270)가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사각형을 이루는 관통홀(276)은 도 11a에 도시된 관통홀(294)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결합부재(173)에 의해 상기 제1 상부 케이스(270)가 상기 제2 상부 케이스(290)에 결합되게 된다.
즉, 상기 제2 상부 케이스(290)는 보다 내측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벽부(291)와 상기 제1 벽부(291)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1 벽부(291)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 벽부(292)와, 상기 제1 및 제2 벽부(291,292)를 잇는 절곡부(29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절곡부(293)에 나사홀(294)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173)가 고정되도록 한다.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상부 케이스(290)는 제1 벽부(291)와 제2 벽부(292)에 의해 가이드홈(295)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295)에는 슬라이딩 가이드(310)가 제1 상태 및 제2 상태의 변화에 따라 삽입되거나 인출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에 도시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310)의 벽부(312)는 고정된 상태에 있고, 상기 벽부(312)에 의해 제2 상부 케이스(290)의 가이드홈(295)의 이동이 유도된다.
또한, 상기 제2 상부 케이스(290)의 내부에는 상기 제1 스피커 모듈(280)의 하부와 접촉하는 돌출부(297)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97)와 반대 측면에는 상기 제2 상부 케이스(290)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플런저(298,plunger)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스피커 모듈(280)의 하부는 상부를 향하여 리세스되는 홈(282)이 형성되고, 상기 홈(282)에는 충격완화부재(161,도 2a 및 도 3 참조)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297)와 상기 제1 스피커 모듈(280) 사이의 충격을 완화하도록 한다. 즉, 상기 충격완화부재(161)는 스피커 쿠션(speaker cushion)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상부 케이스(290)의 하부에는 승강기구(300)가 구비되는데, 상기 승강기구(300)는 중심부에 상기 플런저(298)가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제1 탄성부재(330)와, 상기 제1 탄성부재(330)의 일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댐핑기어(320,damping gear)와, 상기 댐핑기어(320)에 기어 결합하는 한 쌍의 랙 기어(351,rack gear)가 상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래치 플레이트(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핑기어(320)는 상기 제1 탄성부재(330)에 의한 복원력을 저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내부에 오일이 충진되어 있으며 유압에 의해 상기 제1 탄성부재(330)의 복원력에 의한 상기 제2 상부 케이스(290)의 상승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기능을 하므로 유압기어로 호칭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구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음향 출력장치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 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2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핑기어의 정면도이고, 도 20b는 도 20a의 JJ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상기 한 쌍의 댐핑기어(320)는 상기 랙 기어(351)와 직접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기어(321)와, 상기 기어(321)의 일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오일(326,oil)이 구비되는 바디(3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디(326)의 일 단부는 결합홀(327)이 형성되어 결합부재(174,도 3 참조)에 의해 제2 상부 케이스(290)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바디(322)의 타 단부는 홈(32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 상부 케이스(290)에 거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댐핑기어(320)는 상기 제2 상부 케이스(290)에 결합된 채 상기 랙 기어(351)와 기어 결합하면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탄성부재(330)에 의해 상기 제2 상부 케이스(290)가 갑자기 상승하는 것을 완화시킨다. 또한, 상기 바디(322)에는 커버(323)가 결합되어 내부를 밀폐시키며, 내부에는 로터리(326,rotary)가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탄성부재(330)는 상기 제2 상부 케이스(290)의 하부면과 접촉되어 상기 제2 상부 케이스(290)를 위로 상승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1 탄성부재(330)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음향 출력부(200)가 갑자기 상승하게 되어 제1 음향 출력부(200)에 충격을 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음향 출력부(200)가 천천히 상승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댐핑기어(320)를 상기 랙 기어(351)와의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제1 탄성부재(330)에 의한 탄성력을 저지함으로써 상기 제1 음향 출력부(200)가 천천히 상승하도록 한다. 상기 댐핑기어(320)는 원형의 플레이트인 래치 플레이트(350) 상에 형성되고, 쌍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2a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탄성부재(330)의 중심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래치 스위치(340)가 구비된다. 상기 래치 플레이트(350)의 중심부에는 관통홀(35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352)의 주위에는 보다 상승된 위치에 내측 리브(353,rib)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리브(353)에 상기 래치 스위치(340)가 걸림된다. 상기 내측 리브(353)는 상기 래치 스위치(340)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대략 사각 형상을 예시하였다. 상기 내측 리브(353)의 외곽에는 원형의 외측 리브(35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리브(353)와 외측 리브(354)의 사이에는 상기 제1 탄성부재(330)가 안착된다.이때, 상기 외측 리브(354)는 상기 내측 리브(353)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데코 플레이트(210)를 누르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고, 다시 상기 데코 플레이트(210)를 누르면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100)는 래치 스위치(340)를 구비한다.
도 19a 내지 도 1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 스위치(340)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a는 제1 상태에서의 래치 스위치(340)를 도시한 것이고, 도 19b는 오버 스트로크로 작동되었을 때의 래치 스위치(340)를 도시한 것이며, 도 19c는 제2 상태에서의 래치 스위치(340)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9d는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환되는 과정에서의 래치 스위치(340)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9a 내지 도 19d를 참조하여, 래치 스위치(340)의 구조 및 작동 메커니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래치 스위치(340)는 일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래치(341)와, 상기 래치(341)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래치(341)에 결합되는 래치 몸체(342)와, 상기 래치 몸체(342)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래치 케이스(3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래치 몸체(342)는 상기 래치 케이스(343)로 삽입될수록 상기 래치(341)의 단부가 이루는 거리(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래치 몸체(342)가 상승할수록 상기 래치(341)의 단부가 이루는 거리는 작아지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래치(341)의 일 단부는 상기 래치 몸체(342)에 결합되고, 타 단부는 개방된 상태인데, 상기 래치(341)의 이동 상태에 따라 타 단부가 이루는 거리는 변하게 된다.
이때, 제1 상태에서의 상기 래치(341)의 단부(개방단)가 이루는 거리는 D1이고, 오버 스트로크 상태에서의 상기 래치(341)의 단부가 이루는 거리는 D2이며, 제2 상태에서 상기 래치(341)의 단부가 이루는 거리는 D3이다.
또한, 상기 래치 몸체(342)의 하부에는 상기 래치 케이스(343)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래치 몸체(34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348)가 구비된다. 상기 래치 (341) 및 래치 몸체(342)를 가압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래치 몸체(342)는 상기 제2 탄성부재(348)에 의해 자동으로 상승하게 된다. 제1 상태에서 상기 래치(341)의 단면은 상기 플런저(298)의 돌출된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제1 상태에서 상기 데코 플레이트(210)를 가압하여 상기 플런저(298)가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플런저(298)는 상기 래치 몸체(342)의 상부 및 상기 래치(341)의 내측면과 접촉하게 되고, 래치(341)의 내측면과 접촉된 상태로 더욱 래치(341)를 하부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래치(341)는 오버 스트로크(over stroke)가 발생되어 상기 래치 몸체(342)의 하단이 상기 래치 케이스(343)의 내측면과 거의 접촉되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래치 케이스(343)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래치(341)를 향하여 돌출되는 가이드 레버(346)가 구비되고, 상기 래치(341)의 스트로크시 상기 가이드 레버(346)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345c,345d)이 상기 래치 몸체(342)와 상기 래치 케이스(343)의 사이에 마련된다. 예를 들면, 상기 래치(341)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버(346)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구분할 수 있도록 경로 구획부(344,345)가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경로 구획부(344,345)에 의해 적어도 두 개의 경로(345c,345d)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래치(341)의 스트로크시에 상기 가이드 레버(346)가 선택적으로 제1 경로(345c) 또는 제2 경로(345d)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경로 구획부(344,345)는 상기 래치 몸체(342)의 상측에 형성되고, 일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1 경로 구획부(344)와, 상기 래치 몸체(342)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경로 구획부(344)와 이격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버(346)를 향한 부분(345a)은 볼록한 형상이고, 반대 부분(345b)은 오목하여 하트 형상을 갖는 제2 경로 구획부(3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래치 스위치(340)의 제1 상태 및 제2 상태에서의 작동 메커니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가이드 레버(346)는 일 단부는 상기 래치 케이스(343)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고, 타 단부는 절곡되어 대략 'L' 형상으로 형성된다. 절곡된 부분(346b)이 상기 제2 경로 구획부(345)에 걸림되게 된다.
먼저,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태에서는 상기 래치 몸체(342)가 래치 케이스(343)의 내부로 수용되어 제2 탄성부재(348)가 압축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레버(346)에 의해 상기 제2 경로 구획부(345)가 고정되어 상기 래치 몸체(342)가 위로 상승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341)의 내측면을 플런저(298)가 가압하면 상기 래치 몸체(342)는 아래로 이동하여 더욱 상기 제2 탄성부재(348)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 레버(346)의 타 단부(346b)는 상기 제2 경로 구획부(345)로부터 이탈되게 되며, 상기 제2 경로 구획부(345)와 이격 형성되는 제1 경로 구획부(344)에 의해 제1 경로(345c)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1 경로 구획부(344)는 상기 가이드 레버(346)의 자유단(346b)을 상기 래치 몸체(342)를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후, 상기 래치(341)를 가압하는 외력을 제거하면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 몸체(342)는 상승 이동하게 되고, 상기 래치 몸체(342)의 하단 일측에 구비되는 돌기(343a)에 의해 상기 가이드 레버(346)는 상기 래치 몸체(342)로부터 점점 멀어지게 되고, 상기 돌기(343a)에 의해 상기 가이드 레버(346)는 상기 래치 몸체(342)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다. 이로써 제2 상태가 구현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댐핑기어(320)에 의해 감속되어 상기 래치 몸체(342)가 천천히 상승하게 된다.
이후, 상기 래치(341)가 재차 가압되면 다시 제1 상태로 변환되어야 하는데, 이에 대하여 도 19d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c에 도시된 제2 상태에서 상기 래치(341)가 가압되면, 상기 제2 경로 구획부(345)가 제1 경로 구획부(344)에 앞서 상기 가이드 레버(346)의 자유단(346b)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2 경로 구획부(345)는 상기 가이드 레버(346)를 향하여 볼록한 형상이므로 가이드 레버(346)와 접촉시에 가이드 레버(346)를 일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레버(346)는 상기 제1 경로(345c)와는 다른 제2 경로(345d)에 수용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레버(346)가 제2 경로(345d)에 배치된 상태에서 계속하여 래치(341)가 가압되면, 오버 스트로크가 발생된다. 이때, 상기 래치(341)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제2 탄성부재(348)에 의해 상기 래치(341) 및 래치 몸체(342)는 상승 이동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 레버(346)의 자유단(346b)은 상기 제2 경로 구획부(345)의 오목한 부분(345b)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래치 몸체(342)의 이동을 저지하게 된다. 이로써 다시 제1 상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래치 플레이트(350)는 중앙에 상기 래치 스위치(340)가 수용될 수 있는 관통홀(352,도 13 참조)이 형성되고, 상기 래치 스위치(340)의 주변에는 한 쌍의 랙 기어(351)가 상부를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랙 기어(351)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는 상기 승강기구(300)에 의해 제1 음향 출력부(200)가 승하강시 균형을 이루면서 승하강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랙 기어(351)를 래치 플레이트(35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 대칭되도록 형성하는데, 상기 랙 기어(351)의 형성 위치 또한 상기 래치 플레이트(35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 대칭되는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래치 플레이트(350)의 하부에는 메인 회로기판(360)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 회로기판(360) 상에는 다수의 전자부품들이 실장된다. 상기 메인 회로기판(360)과 상기 터치 회로기판(230)은 연성회로기판(131) 또는 연성 케이블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래치 플레이트(350) 의 하부에는 다수의 보스(355)들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회로기판(360)의 하부로부터 상기 보스를 향하는 결합부재(177)에 의해 메인 회로기판(360)이 상기 래치 플레이트(350)에 결합된다.
상기 래치 플레이트(350)의 하부에는 하부 케이스(410,420)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 회로기판(360)의 외곽에는 다수의 홈(36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410)의 상면은 상측을 향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보스(412)가 형성되어 상기 보스(412)가 상기 홈(361)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메인 회로기판(360)을 고정시키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하부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하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상기 하부 케이스(410,420)는 원통형이고, 상측에 구비되는 제1 하부 케이스(410)와 상기 제1 하부 케이스(4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 하부 케이스(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하부 케이스(410) 및 제2 하부 케이스(420)의 내부는 중공부가 형성이며, 상기 중공부에는 제2 스피커 모듈(490)이 구비된다. 상기 제2 스피커 모듈(490)은 상기 제1 스피커 모듈(280)의 형성 방향과는 반대이다. 즉, 상기 제2 스피커 모듈(490)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은 하부를 향하여 외부로 방출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 하부 케이스(410)의 상측은 밀폐되어 있으나, 하부는 개방된 상태이며, 측면은 양 방향을 향하여 관통홀(4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홀(411)에는 진동부재(530)가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진동부재(530)에 의해 상기 관통홀(411)이 밀폐되며, 진동부재(530)에 의해 제3 음향 출력부(50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음향 출력부(200)와 제2 음향 출력부(400)는 내부에 음향 증폭기(amplifier)가 내장되는 액티브 스피커(active speaker) 또는 파워드 스피커(powered speaker)이나, 상기 제3 음향 출력부(500)는 상기 음향 증폭기가 내장되어 있지 않은 패시브 스피커(passive speaker)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3 음향 출력부(500)는 외부로부터 음압 형성을 위한 별도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3 음향 출력부(500)를 형성하기 위한 음압 형성 방안이 필요한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음향 출력부(400)의 진동을 이용하였다. 즉, 상기 제2 음향 출력부(400)는 상하로 진동하는 진동판(491)이 구비되는데, 상기 진동판(491,cone)이 하부를 향하여 볼록한 경우를 (+)음압이라고 하고, 상기 진동판(491)이 상부를 향하여 볼록한 경우를 (-)음압이라고 할 때, 상기 제3 음향 출력부(500)에서는 상기 제2 음향 출력부(400)의 진동판(491)이 (-)음압인 상태를 (+)음압으로 인식하고, 제2 음향 출력부(400)의 진동판(491)이 (+)음압인 상태를 (-)음압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음압 형성을 위하여 진동부재(530)는 대략 사각 형상의 프레임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2 음향 출력부(400)는 제2 스피커 모듈(490)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2 스피커 모듈(490)의 하부에는 진동판(491)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음향홀(49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진동판(491)의 진동에 의해 진동판(491)의 정면으로 음향이 출력될 수도 있으나, 상기 제2 스피커 모듈(490)의 후면으로도 상기 진동판(491)에 의한 진동이 전달되어 음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피커 모듈(490)의 후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음압 차이가 상기 진동부재(530)에 전달되고, 상기 진동부재(530) 역시 진동부재(530)의 전면과 후면으로 진동하면서 음압 차이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발생된 음향은 상기 진동부재(530)의 외부를 향하여 출력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101)와 내부 케이스의 사이로 전달된 후, 외부 케이스(101)의 하부에 형성되는 음향홀(103)을 통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도 2b에서는 상기 제3 음향 출력부(500)에 의한 음향 경로(L3)를 도시하였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16b는 도 16a의 GG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상기 진동부재(530)는 대략 사각 형상의 러버부재(531)와, 상기 러버부재(531)의 내부에 구비되는 금속부재(5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러버부재(531)의 외측에는 상기 제1 하부 케이스(410)의 관통홀(411)에 결합시키기 위한 프레임(533)이 형성된다. 상기 러버부재(531)는 상기 금속부재(532)와 함께 하나의 진동판처럼 진동하여 음향을 발생시키며, 상기 러버부재(531)는 일 예로, 실리콘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533)은 결합부재(181,도 3참조)에 의해 상기 제1 하부 케이스(41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러버부재(531a,531b)는 전면 또는 후면으로 볼록하도록 할 수 있는데,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볼록 또는 오목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볼록 또는 오목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제1 러버부재(531a)는 외부를 향하여 볼록하고, 제2 러버부재(531b)는 내부를 향하여 볼록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16b에서는 상기 러버부재(531a,531b)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볼록하도록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한편, 상기 제2 음향 출력부(400)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을 하부로 유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음향 출력부(200)에서와 유사하게 제2 음향 경로 형성부(44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하부 케이스(420)의 상측 및 하측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스피커 모듈(490)은 상기 제2 하부 케이스(420)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제2 스피커 모듈(490)의 단부에는 상기 제2 스피커 모듈(49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의 경로(L2)를 외부로 유인하기 위한 제2 음향 경로 형성부(440)가 형성된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음향 경로 형성부의 사시도이고, 도 17b는 도 17a의 평면도이고, 도 17c는 도 17b의 HH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c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음향 경로 형성부(440)는 상기 제2 스피커 모듈(490)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이고, 그 중심을 기준으로 하부를 향하여 아래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441a,441b)은 상기 제1 음향 경로 형성부(240)와 유사하게 직선 또는 평면보다는 곡선 또는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음향 경로 형성부(440)의 하부에는 보조 회로기판(450)이 구비되며, 상기 보조 회로기판(450)은 상기 메인 회로기판(3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음향 출력부(400)를 제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 회로기판(450)의 하부에는 상기 보조 회로기판(450)을 고정시키기 위한 회로기판 고정 플레이트(460)가 구비되고, 상기 회로기판 고정 플레이트(460)는 하부 캡(470)에 수용된다. 상기 하부 캡(470)은 음향 출력장치(100)의 하단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부 캡(470)의 일 측면에는 관통홀(473)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473)을 통하여 인터페이스부(10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캡(470)의 바닥면에는 바닥 플레이트(48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캡(470)에는 작은 관통홀(47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472)을 통하여 엘이디 렌즈(471)에 의해 빛이 외부에 비춰지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부(104)는 일 예로, USB일 수 있으며, 음향 출력장치(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04)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장치(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04)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음향 경로부(440)의 중심에는 관통홀(443)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443)은 회로기판 고정 플레이트(460)의 중심에 형성되는 보스(461,도 3 참조)와 연통되어 결합부재(183)에 의해 상기 제2 음향 경로 형성부(440), 보조 회로기판(450) 및 회로기판 고정 플레이트(460)가 결합된다. 또한, 도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캡(470)의 내부에는 다수의 보스(475)가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 고정 플레이트(460)에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410,420)의 내부에는 배터리(495)가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495)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전원 공급용 케이블(133) 또는 와이어가 상기 배터리(495)와 상기 보조 회로기판(45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메인 회로기판(360)은 연성회로기판(131) 또는 연성 케이블에 의해 상기 보조 회로기판(4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메인 회로기판(360)은 상기 터치 회로기판(230)과 연성회로기판(132) 또는 연성 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터치 회로기판(230), 메인 회로기판(360) 및 보조 회로기판(450)은 상기 배터리(495)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제1 내지 제3 음향 출력부(200,400,500)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이 360도의 모든 방향으로 출력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101)의 하부에는 음향홀(103)이 형성되고, 상기 음향홀(103)을 통하여 제2 및 제3 음향 출력부(400,500)에 의해 외부로 출력되는 음향이 외부로 출력된다.
이때, 제2 및 제3 음향 출력부(400,500)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이 출력되는 영역을 구분하여 특정 영역으로 보다 집중적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캡(470)의 사시도인데, 도 18c를 참조하면, 하부 캡(470)를 세 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캡(470)으로부터 돌출되는 리브(477)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리브(477)는 외부 케이스(101)에 형성되는 음향홀(103)을 일부 가릴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캡(470)을 중심부(476)에서만 상기 회로기판 고정 플레이트(460)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 캡(470)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한다면, 상기 제2 및 제3 음향 출력부(400,500)에 의해 외부로 출력되는 음향의 방사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하부 캡(470)을 회전시킴으로써 편의에 따라 음향의 출력 방향을 바꿀 수도 있다. 도 18c에서는 120도 간격으로 리브(477)가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이와 유사하게, 제1 음향 출력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의 방사 방향을 특정 각도로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음향 전달부(250)의 일부 영역을 밀폐시킴으로써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100)는 다수의 개소에서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진동에 의해 일부 구성이 취약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많은 진동이 발생하는 곳에는 충격완화부재(161,162,163,164,165)를 배치하였다.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495)와 제1 하부 케이스(410)의 내측면 사이에 충격완화부재(165)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하부 케이스(420)의 외측면에도 충격완화부재(163)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진동부재(530)와 상기 제1 하부 케이스(410)의 외주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충격완화부재(16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의 충격완화부재(161,162,163,164,165)는 인접한 기구물들간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음(noise)을 저감시키고 소리가 외부로 새는 음샘 방지를 위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133) 등을 부착시키기 위하여 와이어 부착 테이프(166)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100)의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플레이트(210)에는 다양한 음향 제어 표시부(211)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100)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음향 출력장치(100)는 근거리 통신에 의해 페어링(pairing)이 가능한 전자기기와 페어링을 해야 사용할 수 있다. 이때의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뿐만 아니라 NFC(220)에 의한 페어링도 포함한다. 데코 플레이트(210)를 가압하면 음향 출력장치(100)에 전원이 공급되어(power on)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환되고, 곧 바로 페어링 모드로 진입한다. 상기 음향 출력장치(100)가 페어링 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기 위하여 라이팅부재(235)가 2초 동안 2회 깜빡(blinking)거리고, 페어링 모드로 진입한 후 10분 동안 주변에 페어링 가능한 전자기기가 없으면 페어링 모드는 꺼지게 된다. 만약, 음향 출력장치(100)의 주변에 페어링 가능한 전자기기가 있는 경우, 상기 전자기기에는 블루투스에 의해 페어링이 가능한 리스트에 상기 음향 출력장치(100)가 생성되며, 상기 전자기기에 암호를 입력한 후 상기 음향 출력장치(100)와 페어링을 실시하면 된다.
상기 페어링 방법은 전원이 켜질 때 자동으로 페어링 되도록 하는 방법(easy pairing)인데, 상기 전자기기를 제1 전자기기라 할 때, 상기 제1 전자기기와 다른 제2 전자기기와도 페어링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전에 페어링된 적이 있는 전자기기를 다시 페어링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전에 페어링된 적이 있는 전자기기는 상기 제1 전자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수동으로 직접 페어링(manual pairing)을 실시해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데코 플레이트(210)를 가압하여 전원을 켠 상태에서 블루투스 표시부(212)를 일정 시간 터치하게 되면, 음향 출력장치(100)는 페어링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페어링 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2초 동안 2회 깜빡거리게 되고, 제2 전자기기 또는 전에 페어링한 적이 있는 전자기기에 페어링 가능한 전자기기의 리스트로 출력된다. 이때, 제2 전자기기 또는 전에 페어링한 적이 있는 전자기기에 암호를 입력하여 페어링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암호를 입력하는 단계는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블루투스에 의한 페어링 모드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와이파이에 의한 페어링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작동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에 의한 페어링 이외에 NFC에 의해 페어링이 가능하다.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NFC가 활성화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상기 음향 출력장치(100)의 데코 플레이트(210) 상에 접촉시키면, 상기 전자기기에서는 상기 음향 출력장치(100)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페어링되거나, 페어링 여부를 묻는 경우에는 '예'를 선택하여 음향 출력장치(100)와 다른 전자기기가 페어링되도록 한다. 일단 NFC에 의해 상기 음향 출력장치(100)와 다른 전자기기가 페어링된 이후에는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음향 출력장치(100)로부터 일정 범위 내의 영역에 위치해 있으면 계속하여 페어링을 유지하게 된다. 이후, 페어링을 차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기기를 다시 상기 데코 플레이트(210)에 근접시키면 페어링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100)는 동시에 두 개의 전자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기긱의 사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1 전자기기(600a)와 먼저 페어링을 실시한 후, 음향 출력장치(100)의 전원을 차단한 후 제2 전자기기(600b)와 페어링을 실시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전자기기(600a,600b) 중 어느 하나를 메인 전자기기(primary device)로 지정할 수 있고, 메인 전자기기에 의해 음향이 출력된다.
한편,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의 또 다른 사용예인데,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음향 출력장치(100)를 이용하여 입체 음향(stereo sound)을 즐길 수 있다. 즉, 하나의 전자기기(600)와 두 개의 음향 출력장치(100a,100b)를 페어링(dual play)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음향 출력장치(100a)를 전자기기(600)와 먼저 페어링을 실시한 후, 제2 음향 출력장치(100b)의 블루투스 표시부(212)와 볼륨 다운 버튼(214a)을 동시에 2초 동안 누르고, 제1 음향 출력장치(100)의 블루투스 표시부(212)와 볼륨 업 버튼(214b)을 2초 동안 누르게 되면 라이팅부재(235)는 2초에 1회 깜빡거리게 된다. 이후, 잠시 후에 상기 제1 음향 출력장치(100a)와 제2 음향 출력장치(100b)가 동시에 하나의 전자기기(600)에 페어링되어 입체 음향을 즐길 수 있다. 이때, 입체 음향을 멈추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음향 출력장치(100a) 또는 제2 음향 출력장치(100a)의 블루투스 표시부(212)와 볼륨 업 버튼(214a)을 동시에 누르거나 블루투스 표시부(212)와 볼륨 다운 버튼(214b)을 동시에 2초 동안(long touch) 누르면 된다. 일예로, 상기 제2 음향 출력장치(100a)의 블루투스 표시부(212)와 볼륨 업 버튼(214b)을 동시에 누르면 제2 음향 출력장치(100b)와 상기 전자기기(600)와는 페어링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볼륨 업 버튼(214a) 또는 볼륨 다운 버튼(214b)을 이용하여 페어링을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블루투스 표시부(212)와 재생 속도와 관련된 버튼(215a,215b,216)을 이용하여 페어링을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이퀄라이저 모드(equalizer mode)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모드인 Bass Boost Mode(Low-Band Boost), 제2 모드인 Treble Boost (High-Band Boost), 제3 모드인 Power Boost Mode (Full-Band Boost)를 상호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음향 제어 표시부(211)의 이퀄라이저 버튼(213,EQ button)을 터치(short touch)하게 되면 제1 모드의 경우에는 상기 라이팅부재(235)가 1회 깜빡거리고, 제2 모드의 경우에는 상기 라이팅부재(235)가 2회 깜빡거리고, 제3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라이팅부재(235)가 3회 깜빡거리게 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어느 모드로 작동되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음향 제어 표시부(211)에는 상기에 적시한 것 이외에도, 이전/다음(previous/next) 순서로 이동시키는 버튼(215a,215b), 재생/일시정지(play/pause) 버튼(216), 라이팅부재(235)를 제어하는 버튼(217)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버튼들은 터치 방식에 의해 작동된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6)

  1. 하부는 밀폐되고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부 일측에 테두리를 따라서 음향홀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스피커 모듈과, 상기 제1 스피커 모듈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스피커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방사(radiate)되도록 음향을 가이드하는 제1 음향 경로 형성부를 포함하는 제1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1 스피커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음향 출력부를 승하강시키는 승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제1 음향 출력부를 하강시키는 제1 상태와 상기 제1 음향 출력부를 팝업(pop-up)시키는 제2 상태를 구현하고, 상기 제1 상태에서는 제1 음향 출력부의 작동이 멈추게 되고, 제2 상태에서는 제1 음향 출력부가 작동되며,
    상기 제1 음향 출력부는,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제1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피커 모듈이 수용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제2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상부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제1 스피커 모듈의 하부에 접촉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반대 측면에는 상기 제2 상부 케이스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플런저(plunger)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제2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고,
    중심부에 상기 플런저가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상부 케이스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댐핑기어(damping gear);
    상기 한 쌍의 댐핑기어에 결합하는 한 쌍의 랙 기어(rack gear)가 상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래치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중심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래치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걸림되는 래치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 출력부는,
    상기 제1 음향 경로 형성부의 외곽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음향 경로 형성부로부터 반사되는 음향을 외부로 가이드하는 제1 음향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부 케이스는 상기 음향 전달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 경로 형성부는,
    상면은 하부를 향하여 리세스되어 있고, 하부면은 중심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 케이스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벽부;
    상기 제1 벽부의 외측에 상기 제1 벽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 벽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벽부를 잇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벽부 및 제2 벽부에 의해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는 원통형의 슬라이딩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가 상기 제1 상태 및 제2 상태의 변화에 따라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원통형의 하부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는,
    제1 하부 케이스; 및
    상기 제1 하부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부 케이스 및 제2 하부 케이스의 내부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상기 음향홀을 통하여 외부로 음향이 출력되는 제2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음향 출력부는,
    상기 중공부에 구비되고, 하부를 향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제2 스피커 모듈; 및
    상기 제2 스피커 모듈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스피커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을 측면을 향하도록 반사시키는 제2 음향 경로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피커 모듈에서의 음향 출력 방향은 상기 제1 스피커 모듈에서의 음향 출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 케이스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제3음향 출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3 음향 출력부는 상기 제2 스피커 모듈의 후면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에 의한 진동에 의해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는 진동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음향 출력장치의 측면을 향하여 볼록 또는 오목하도록 형성되는 러버부재;
    상기 러버부재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러버부재와 함께 진동하는 금속부재; 및
    상기 러버부재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 경로 형성부의 상측에는 외부에 노출되는 원판 형상의 데코 플레이트가 배치되고,
    상기 데코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데코 플레이트를 터치시에 상기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도록 터치 회로기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 플레이트의 테두리에는 링 형상의 라이팅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라이팅부재는 최외곽의 테두리에서 중심을 향하여 아래로 단차부가 형성되고, 단차부에는 상기 데코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 플레이트를 누르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고, 다시 상기 데코 플레이트를 누르면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스위치는,
    상측 양 단부가 이루는 거리가 가변되는 래치;
    상기 래치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래치에 결합되는 래치 몸체;
    상기 래치 몸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래치 케이스;
    상기 래치 몸체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래치 케이스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래치 몸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
    상기 래치 케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래치를 향하여 돌출되는 가이드 레버; 및
    상기 래치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레버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제1 경로 및 제2 경로가 형성되는 경로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의 스트로크시에 상기 가이드 레버가 선택적으로 제1 경로 또는 제2 경로에 수용되며, 상기 가이드 레버가 상기 제1 경로 또는 제2 경로에 수용됨에 따라 상기 제1 음향 출력부가 승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KR1020160094527A 2015-08-18 2016-07-26 음향 출력장치 KR101832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57343A FR3040252B1 (fr) 2015-08-18 2016-07-29 Dispositif de sortie audio
EP16181880.2A EP3133828B1 (en) 2015-08-18 2016-07-29 Sound output apparatus
US15/236,181 US10200781B2 (en) 2015-08-18 2016-08-12 Sound output apparatus
CN201610670742.4A CN106470375B (zh) 2015-08-18 2016-08-15 声音输出设备
JP2016160096A JP6194079B2 (ja) 2015-08-18 2016-08-17 音響出力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06322P 2015-08-18 2015-08-18
US62/206,322 2015-08-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728A KR20170021728A (ko) 2017-02-28
KR101832969B1 true KR101832969B1 (ko) 2018-02-28

Family

ID=58543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527A KR101832969B1 (ko) 2015-08-18 2016-07-26 음향 출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9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591B1 (ko) * 2019-11-05 2021-02-17 주식회사 세라젬 내장형 스피커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59338A (en) * 2008-04-25 2009-10-28 Paul Graham Dobson Omni-directional loudspeaker
KR101066527B1 (ko) * 2011-05-18 2011-09-21 이상옥 무지향성 스피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59338A (en) * 2008-04-25 2009-10-28 Paul Graham Dobson Omni-directional loudspeaker
KR101066527B1 (ko) * 2011-05-18 2011-09-21 이상옥 무지향성 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728A (ko) 201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970B1 (ko) 음향 출력장치
JP6194079B2 (ja) 音響出力装置
US9167086B1 (en) Bluetooth headset with audio recording capabilities
KR101756675B1 (ko) 넥밴드형 블루투스 스피커
US10863013B2 (en) Portable device case for removably attaching accessories
WO2016179917A1 (zh) 一种耳机、终端以及音频处理方法
US9369559B1 (en) Portable Bluetooth speaker system for smart phones
KR20190104134A (ko) 제거가능한 부착 액세서리들에 대한 휴대용 디바이스 케이스
US11589150B2 (en) Wireless listening device
US20220217463A1 (en) Wireless listening device
US9374637B2 (en) Electronic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JP6585287B2 (ja) 携帯用スピーカ装置
KR101912899B1 (ko) 무선이어폰용 충전기를 구비한 휴대용 스피커장치
US9467759B2 (en) Speaker box
KR101832969B1 (ko) 음향 출력장치
KR101718044B1 (ko) 음향 출력장치
US20220369021A1 (en) Acoustic output apparatuses
KR20150143276A (ko) 투웨이 블루투스 스피커
KR20170067059A (ko) 음향 출력장치
KR20170109442A (ko) 음향 출력장치
CN110166906B (zh) 包括具有被动振动器的微型扬声器模块的颈带式扬声器
KR102345345B1 (ko) 전자기기
WO2021169719A1 (zh) 终端保护壳及音频播放系统
CN108156549B (zh) 一种tws耳机
CN108156548B (zh) 一种tws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