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9442A - 음향 출력장치 - Google Patents

음향 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9442A
KR20170109442A KR1020160033581A KR20160033581A KR20170109442A KR 20170109442 A KR20170109442 A KR 20170109442A KR 1020160033581 A KR1020160033581 A KR 1020160033581A KR 20160033581 A KR20160033581 A KR 20160033581A KR 20170109442 A KR20170109442 A KR 20170109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ing
display unit
display
sound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양하
유정윤
이주헌
김성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3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9442A/ko
Publication of KR20170109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4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6Spatial arrangements of separate transducers responsive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6Arranging circuit leads; Relieving strain on circuit l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3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음향 출력장치는 가압시에 팝업(pop-up)되는 제1 표시부; 상기 제1 표시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표시부를 수용하며 측면에 제1 음향홀이 형성되는 제1 울림통; 상기 제1 울림통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음향홀을 통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제1 스피커 모듈; 상기 제1 표시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가압시에 팝업되는 제2 표시부; 상기 제2 표시부의 가장자리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표시부를 지지하며 외부에 노출되는 영역에 제2 음향홀이 형성되는 제2 울림통; 상기 제2 울림통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음향홀을 통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제2 스피커 모듈; 및 상기 제2 울림통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울림통을 지지하는 제3 울림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는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경사진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왕복이동하고, 상기 제2 표시부는 상하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향 출력장치{SOUND OUTPUT APPARATUS}
본 발명은 전 방향으로 소리를 발생시키는 음향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향 출력 장치, 예컨대 스피커는 전기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장치로서 특정 방향을 향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특정 방향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만 출력되는 음향을 제대로 청취할 수 있다.
또한, 최근, 포터블(portable) 음향 출력 장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다른 전자 기기와 연동되어 음향 출력을 담당하는, 음향 출력 장치의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와 구조, 그리고 다양한 크기를 가진다. 예를 들면, 저음의 출력을 담당하는 음향 출력 장치와 고음 출력을 담당하는 음향 출력장치는 그 형태, 구조, 크기 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대부분의 음향 출력장치는 사각형상의 딱딱한 느낌의 디자인을 가지고 있었으며, 한 방향으로만 출력되어 다른 방향에 있는 사람에게는 음향의 크기가 작아 잘 들리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하나의 음향 출력장치는 음향이 출력되는 부분이 한 곳이어서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출력하는데 곤란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전 방향으로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는 음향 출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압시에 팝업(pop-up)되는 제1 표시부; 상기 제1 표시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표시부를 수용하며 측면에 제1 음향홀이 형성되는 제1 울림통; 상기 제1 울림통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음향홀을 통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제1 스피커 모듈; 상기 제1 표시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가압시에 팝업되는 제2 표시부; 상기 제2 표시부의 가장자리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표시부를 지지하며 외부에 노출되는 영역에 제2 음향홀이 형성되는 제2 울림통; 상기 제2 울림통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음향홀을 통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제2 스피커 모듈; 및 상기 제2 울림통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울림통을 지지하는 제3 울림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는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경사진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왕복이동하고, 상기 제2 표시부는 상하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울림통은 상기 제1 표시부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하부면에 제1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울림통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울림통을 수용하는 어퍼 베이스; 상기 어퍼 베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울림통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부 일측이 상기 어퍼 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제1 후크를 향하여 노출되도록 상기 어퍼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후크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제1 래치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울림통의 내측면으로 노출되는 한 쌍의 제1 기어; 및 상기 한 쌍의 제1 기어와 기어 결합하도록 상기 어퍼 베이스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기어와 제1 랙 기어는 상기 제1 후크와 제1 래치 스위치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울림통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울림통의 외측으로 보다 돌출되는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어퍼 베이스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부에 걸림되어 상기 제1 울림통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울림통의 하부면에 제2 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울림통의 하부에 형성되고 내부 바닥면에 상기 제2 후크를 향하여 형성되어 상기 제2 후크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제2 래치 스위치가 형성되는 바닥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재와 상기 제2 울림통의 하부면 사이에는 상기 제2 울림통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울림통은 상기 어퍼 베이스가 수용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부분보다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단차지는 형성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분에 상기 제2 스피커 모듈이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3 울림통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 부분을 향하여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돌출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2 기어; 및 상기 제2 부분의 외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기어와 기어 결합하는 한 쌍의 제2 랙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기어와 제2 랙 기어는 상기 제3 울림통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닥부재는 상기 제2 래치 스위치가 구비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제2 울림통을 향하여 형성되는 중공형의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의 하단은 수평 방향으로 보다 돌출 형성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체결부의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닥부재의 하부에 배터리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의 양측에 제3 스피커 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3 스피커 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은 상기 제3 울림통에 형성되는 제3 음향홀을 통하여 외부에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3 울림통의 하부에는 제3 울림통을 덮는 하부 케이스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 상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 스피커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기판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피커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이 전 방향(omnidirection)을 향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한 번의 푸시에 의해 음향 출력장치의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출력하기 위하여 표시부들을 가압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팝업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외관이 매끄러운 원통형 또는 텀블러 형으로 제작함으로써 미려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으며, 휴대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표시부가 팝업된 상태의 음향 출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의 CC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의 상측 내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B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의 제3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DD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의 외관 일부를 절개한 상태에서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상태에 있는 음향 출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EE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의 전체 분해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100)와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원통형(cylinder) 또는 텀블러(tumbler) 형상의 음향 출력장치(100)가 개시되는데, 도 12에서는 상기 음향 출력장치(100)의 전체 분해사시도를 도시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1, 도 2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1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중공부를 형성하는 구성들은 대부분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음향 출력장치(100)는 외관이 원통 또는 텀블러 형상이고 내부에 다수의 음향 출력부들(110,120,130)이 구비된다. 상기 음향 출력장치(100)의 하부면은 밀폐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음향 출력장치(100)는 상측을 향하여 팝업되어 음향이 출력되는 제1 음향 출력부(110)와, 상기 제1 음향 출력부(110)의 하부에 제2 음향 출력부(120)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음향 출력부(120)의 하부에 제3 음향 출력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음향 출력부(110,120,130)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주파수 대역은 중첩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음향 출력장치(100)는 상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는 원통 또는 텀블러 형상이며,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들(111,121)이 상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가압시에 팝업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음향 출력장치(100)는 가압시에 팝업(pop-up)되는 제1 표시부(111)와, 상기 제1 표시부(111)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가압시에 팝업되는 제2 표시부(12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11,121)는 일예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일 수 있으며, 제1 및 제2 표시부(111,121)가 독립적으로 승강(pop up and down,move up and down)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표시부(111)를 가압하면 제1 표시부(111)만 팝업되고, 제1 표시부(111)가 팝업된 상태에서 가압하면 하강(pop down)하여 원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표시부(111)를 가압하면 팝업되고, 제1 표시부(111)가 팝업된 상태에서 제2 표시부(121)를 가압하면 제2 표시부(121)도 팝업되어 제1 및 제2 표시부(111,121)가 동시에 팝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표시부(111) 또는 제2 표시부(121)만을 독립적으로 가압하여 어느 하나의 표시부만 팝 다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표시부(111,121)가 팝업되지 않은 상태(un-pop/pop down)인 최초 상태를 제1 상태라고 명명하고, 제1 표시부(111)만 팝업되는 상태를 제2 상태, 제2 표시부(121)만 팝업되는 상태를 제3 상태, 제1 및 제2 표시부(111,121)가 동시에 팝업되는 상태를 제4 상태로 명명하기로 한다.
이는 제1 및 제2 표시부(111,121)의 팝업 상태를 기준으로 한 것이며, 음향을 출력하는 제1 내지 제3 스피커 모듈(113,123,134)의 작동 여부와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제1 표시부(111)가 팝업되는 제2 상태에서 제1 스피커 모듈(113)만 동작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제1 스피커 모듈(113)과 제3 스피커 모듈(134)이 동시에 동작할 수도 있다. 이는 제3 상태에서도 마찬가지여서, 제3 상태에서 제2 스피커 모듈(123)만 동작하는 경우와 제2 스피커 모듈(123)과 제3 스피커 모듈(134)이 함께 동작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표시부(111)가 팝업되면 제1 주파수 대역의 음향이 출력되고, 제2 표시부(121)가 팝업되면 제2 주파수 대역의 음향이 출력된다.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 대역은 일부 중첩될 수도 있으며, 서로 보완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 주파수 대역의 음향이 고주파 대역의 음향이라면 제2 주파수 대역의 음향은 제1 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대역의 음향일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11,121)가 팝업되는 경우에는 스테레오 사운드(stereo sound)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후술하는 제3 스피커 모듈(134)에 의한 음향이 추가됨으로써 더욱 음향의 크기를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11,121)가 팝업되면 별도의 전원을 켜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음향이 출력되고, 팝다운시키면 자동으로 출력되는 음향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동작이 불필요하고, 팝업시키는 동작이 전원 공급을 위한 동작이 되고, 팝다운시키는 동작이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동작이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별도의 전원 버튼이나 전원 키를 눌러 전원을 공급하고,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및 제2 표시부(111,121)를 팝업시키면 음향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11,121)가 팝업될 때 음향을 출력하는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1113,123) 외에 제3 스피커 모듈(134)에 의해 음향이 출력되면 가장 큰 사운드가 방출될 수 있다.
도 2는 제1 및 제2 표시부(111,121)가 팝업되지 않은 상태(pop down 또는 unpop)의 음향 출력장치(100)의 단면도로 최초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표시부(111)의 하부에는 상기 제1 표시부(111)를 수용하며 측면에 제1 음향홀(114)이 형성되는 제1 울림통(11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울림통(112)의 내부에는 상기 제1 음향홀(114)을 통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제1 스피커 모듈(113)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제1 스피커 모듈(113)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이 상기 제1 울림통(112)의 내부에서 진동하면서 제1 음향홀(114)을 통하여 외부를 향하여 방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표시부(111)가 팝업된 상태의 음향 출력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의 CC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음향 출력장치(100)는 제1 음향 출력부(110)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1 음향 출력부(110)는 상기 제1 스피커 모듈(113), 상기 제1 표시부(11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울림통(112), 상기 제1 울림통(112)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울림통(112)을 수용하는 어퍼 베이스(116), 상기 제1 표시부(111)를 팝업/다운시키는 팝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 출력부(110)는 직접 음향을 발생시키는 부분(예를 들면, 제1 스피커 모듈(113))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되어 상기 제1 표시부(111)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는 부분을 포함하여 명명하였다. 즉, 도 2와 도 4에서의 위치 또는 상태가 변동되는 부분과, 위치 및 상태가 변하지 않더라도 제1 울림통(112)을 지지하는 어퍼 베이스(116)를 포함하여 제1 음향 출력부(110)로 지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간단히 말해, 제1 상태와 제2 상태에서의 위치 또는 상태가 변하는 부분이 제1 음향 출력부(110)이다.
이는 편의상 구분한 것으로, 상기 제1 상태와 제2 상태에서의 위치가 변하는 부분만을 제1 음향 출력부(110)로 명명할 수도 있다. 이는 후술하는 제2 음향 출력부(120)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제1 표시부(111)를 팝업/다운시키는 제1 팝업부재는 상기 제1 울림통(112)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1 후크(115)와, 상기 어퍼 베이스(116)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울림통(11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117)와, 상부 일측이 상기 어퍼 베이스(116)를 관통하여 상기 제1 후크(115)를 향하여 노출되도록 상기 어퍼 베이스(116)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후크(115)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제1 래치 스위치(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후크(115), 제1 래치 스위치(118), 및 제1 탄성부재(117)를 포함하여 제1 팝업부재라고 명명하였으나, 이는 편의상 이와 같이 구분한 것이어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후크(115) 및 제1 래치 스위치(118)의 결합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 후크(115)가 제1 래치 스위치(118)와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후크(115)가 제1 래치 스위치(118)의 상단으로 삽입되면, 상기 제1 후크(115)는 상기 제1 래치 스위치(118)에 의해 물리게 되어 빠지지 않게 된다. 이후, 상기 제1 후크(115)가 제1 래치 스위치(118)에 물려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후크(115)를 재차 가압하면 상기 제1 래치 스위치(118)가 이완되어 상기 제1 후크(115)의 고정이 해제된다. 즉, 상기 제1 후크(115)를 반복적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제1 래치 스위치(118)에 고정 및 분리가 반복된다. 이는 후술하는 제2 후크(125) 및 제2 래치 스위치(126)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제1 표시부(111)를 가압시에 상기 제1 탄성부재(117)에 의해 제1 표시부(111)가 수용된 제1 울림통(112)이 팝업될 때, 상기 제1 탄성부재(117)에 의한 탄성력이 큰 경우에는 상기 제1 울림통(112), 제1 스피커 모듈(113) 등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울림통(112)이 상승할 때 발생되는 상기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댐핑(damping) 기구가 구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100)의 사시도 중 제1 표시부(111) 및 제1 스피커 모듈(113)을 제거한 상태에서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B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울림통(112)의 내측면으로 노출되는 한 쌍의 제1 기어(141a,141b)와, 상기 한 쌍의 제1 기어(141a,141b)와 기어 결합하도록 상기 어퍼 베이스(116)의 내측면에 한 쌍의 제1 랙 기어(142a,142b)(rack gear)가 구비된다. 상기 제1 기어(141a,141b)는 댐핑 기어(damping gear)이며, 이는 후술하는 제2 기어(143a,143b)도 마찬가지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기어(141)는 관통홀(112b)를 통하여 제1 울림통(112)의 내부로 노출된다.
상기 제1 기어(141a,141b)는 제1 탄성부재(117)에 의한 복원력을 저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일예로 내부에 오일이 충진되어 있으며 유압에 의해 상기 제1 탄성부재(117)의 복원력에 의한 상기 제1 울림통(112)의 상승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기능을 하므로 유압기어로 호칭될 수도 있다. 이는 제2 기어(143a,143b)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즉, 제2 기어(143a,143b)는 제2 탄성부재(128)에 의한 복원력을 저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제2 울림통(122)의 상승 속도를 감속시킨다.
상기 한 쌍의 제1 기어(141a,141b)와 제1 랙 기어(142a,142b)는 상기 어퍼 베이스(116)의 중심,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후크(115)와 제1 래치 스위치(118)의 중심축(X1)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기어(141a,141b)와 제1 랙 기어(142a,142b)의 기어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울림통(112)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일측으로 치우치는 것(tilting)을 방지한다.
상기 제1 울림통(112)은 상기 중심축(X1)을 따르는 방향으로 승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기어(141a,141b)는 상기 제1 울림통(112)에 결합된 채 상기 제1 랙 기어(142a,142b)와 기어 결합하면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탄성부재(117)에 의해 상기 제1 울림통(112)이 갑자기 상승하는 것을 완화시킨다. 이때, 상기 제1 탄성부재(117)는 상기 제1 울림통(112)의 하부면과 접촉되어 상기 제1 울림통(112)을 위로 상승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1 탄성부재(117)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음향 출력부(110)가 갑자기 상승하게 되어 제1 음향 출력부(110)에 충격을 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음향 출력부(110)가 천천히 상승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기어(141a,141b)를 상기 제1 랙 기어(142a,142b)와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제1 탄성부재(117)에 의한 탄성력을 저지함으로써 상기 제1 음향 출력부(110)가 천천히 상승하도록 한다. 상기 제1 기어(141a,141b)는 상기 제1 울림통(112)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에서는 상기 제1 울림통(112)의 바닥면과 측면이 교차되는 지점에 쌍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후술하는 제2 기어(143a,143b) 및 제2 랙 기어(144a,144b)에서도 특별히 저촉되지 않는 한 상기 제1 기어(141a,141b) 및 상기 제1 랙 기어(142a,142b)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울림통(112)이 팝업될 때 상기 음향 출력장치(100), 보다 구체적으로 어퍼 베이스(116)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울림통(112)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울림통(112)의 외측(또는 경방향)으로 보다 돌출되는 테두리부(112a)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112a)는 상기 어퍼 베이스(116)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부(116b)에 걸림되어 상기 제1 울림통(112)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한다. 상기 걸림부(116b)가 없다면, 상기 테두리부(112a)가 제2 표시부(121)의 내주면에 걸릴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제2 표시부(121)에 충격을 가하게 되어 제2 표시부(121)를 훼손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100)의 제3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DD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기어(143a,143b), 제2 랙 기어(144a,144b) 및 제2 탄성부재(128)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음향 출력장치(100)의 외관 일부를 절개한 상태에서의 내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100)는 제2 음향 출력부(120)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2 음향 출력부(120)는 제2 표시부(121), 제2 스피커 모듈(123), 상기 제2 스피커 모듈(123)이 수용되는 제2 울림통(122) 및 제2 팝업부재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2 음향 출력부(120)는 직접 음향을 발생시키는 부분(예를 들면, 제2 스피커 모듈(123))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되어 상기 제2 표시부(121)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는 부분 중 상기 제1 음향 출력부(110)를 제외한 부분을 포함하여 지칭하기로 한다. 즉, 도 2와 도 8에서의 위치 또는 상태가 변동되는 부분과, 위치 및 상태가 변하지 않더라도 제2 울림통(122)을 지지하는 바닥부재(127)를 포함하여 제2 음향 출력부(120)로 지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간단히 말해, 제1 상태와 제3 상태에서의 위치 또는 상태가 변하는 부분이 제2 음향 출력부(120)이다. 다만, 이는 편의상 이와 같이 구분한 것으로, 제2 음향 출력부(120)을 제1 상태와 제3 상태에서의 위치가 변하는 부분만을 제2 음향 출력부(120)로 명명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표시부(121)는 상기 제1 표시부(111)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가압시에 팝업 및 팝다운되고, 상기 제2 울림통(122)은 상기 제2 표시부(121)의 가장자리에서부터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표시부(121)를 지지하며 외부에 노출되는 영역에 제2 음향홀(124)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음향홀(124)은 상기 제2 울림통(122)의 측면, 보다 구체적으로 측면 상부에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표시부(121)를 가압시에 상기 제2 울림통(122)은 직상방으로 팝업되는데, 제1 상태에서는 팝 다운(pop down) 또는 언 팝(unpop)되어 있다가, 상기 제2 표시부(121)가 가압되면 제2 표시부(121)가 팝업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제2 울림통(122)의 측면이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제2 울림통(122)은 중공형이고 일예로 원통형 또는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울림통(122)은 제2 후크(125)와 제2 래치 스위치(126)의 중심축(X2)(또는 제3 울림통(131)의 중심축(X2)) 방향을 따라 승강한다.
이때, 상기 제2 표시부(121)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제2 울림통(122)이 하강하는 경우, 제2 울림통(122)의 과도한 하강을 제한하는 구조가 필요한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3 울림통(131)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받침부(131a)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울림통(122)의 단차지는 부분이 걸리도록 하였다. 즉, 제2 울림통(122)의 제1 및 제2 부분(122a,122b)를 연결하는 부분이 받침부(131a)에 걸림되도록 한다. 상기 받침부(131a)는 돌출부(132) 보다 위에 형성된다.
상기 제2 스피커 모듈(123)은 상기 제2 울림통(122)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음향홀(124)을 통하여 음향을 출력한다. 상기 제2 울림통(122)은 상기 어퍼 베이스(116)가 수용되는 제1 부분(122a)과 상기 제1 부분(122a)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부분(122a)보다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제2 부분(122b)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122b)에 상기 제2 스피커 모듈(123)이 수용된다. 상기 제2 음향홀(124)은 상기 제1 부분(122a)의 상부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2 팝업부재는 제2 후크(125), 제2 래치 스위치(126) 및 제2 탄성부재(128)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2 후크(125)는 상기 제2 울림통(122)의 하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래치 스위치(126)는 상기 제2 울림통(122)의 하부에 형성되고 내부 바닥면에 상기 제2 후크(125)를 향하여 형성되어 상기 제2 후크(125)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데, 상기 제2 래치 스위치(126)는 바닥부재(127)에 형성된다.
상기 바닥부재(127)는 상기 제2 래치 스위치(126)가 구비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바닥부(127a)와, 상기 바닥부(127a)로부터 상기 제2 울림통(122)을 향하여 형성되는 중공형의 체결부(127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부재(127)와 상기 제2 울림통(122)의 하부면 사이에는 상기 제2 울림통(12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128)가 구비된다.
상기의 제2 팝업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울림통(122)이 팝업되는데, 상기 제1 울림통(112)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울림통(122)도 상기 제2 탄성부재(128)에 의해 팝업시에 충격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팝업부재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 팝업부재에서도 상기 제2 울림통(122)이 팝업되는 속도를 낮추어서 음향 출력장치(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킨다. 즉, 상기 제1 울림통(112)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 울림통(122)의 상승 이동을 제한하도록 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부분(122b)의 하단은 수평 방향으로 보다 돌출 형성되는 돌기(129b)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129b)는 상기 체결부(127b)의 상하 방향(또는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129a)에 삽입되어 가이드 홈(129a)의 내부에서만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제2 울림통(122)이 최대로 상승하는 구간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울림통(122)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울림통(122)을 지지하는 제3 울림통(131)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3 울림통(131)은 외관을 형성하고, 음향 출력장치(100)의 외관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3 울림통(131)은 외부 케이스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상기 제2 탄성부재(128)에 의해 상기 제2 울림통(122)이 과도하게 빠른 속도로 상승하는 경우에는 음향 출력장치(100) 내부의 부품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장치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음향 출력장치(100)는 상기 제3 울림통(131)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 부분(122b)을 향하여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돌출부(132)에 각각 형성되는 제2 기어(143a,143b) 및 상기 제2 부분(122b)의 외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기어(143a,143b)와 기어 결합하는 한 쌍의 제2 랙 기어(144a,144b)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랙 기어(144a,144b)는 제2 후크(125)와 제2 래치 스위치(126)의 중심축(X2)을 향하여 기어가 형성될 수도 있고, 원주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한 쌍의 제2 기어(143a,143b)와 제2 랙 기어(144a,144b)는 상기 제3 울림통(131)의 중심축(X2)을 기준으로 점대칭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기어(141a,141b,142a,142b)와 제1 및 제2 랙 기어(143a,143b,144a,144b)는 중심축(X1,X2)을 기준으로 점대칭 또는 선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상기 제2 랙 기어(144)의 기어가 제2 울림통(122)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이는 앞서 설명한 제1 랙 기어(142a,142b)와는 다소 상이하다.
상기 제2 기어(143a,143b) 및 제2 랙 기어(144a,144b)의 관계는 앞서 설명한 제1 기어(141a,141b) 및 제1 랙 기어(142a,142b)와 동일하므로 제2 기어(143a,143b) 및 제2 랙 기어(144a,144b)에 대한 설명은 제1 기어(141a,141b) 및 제1 랙 기어(142a,142b)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11,121)는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음향 출력장치(100)의 상면이 경사면이 되도록 하고, 상기 제1 표시부(111)는 상기 경사진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왕복이동하고, 상기 제2 표시부(121)는 상하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 표시부(111)는 상기 경사면에 법선 방향(normal direction)으로 팝업/팝다운되며, 상기 제2 표시부(121)는 상기 음향 출력장치(100)의 상하 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팝업/팝다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표시부(111)와 제2 표시부(121)의 팝업/팝다운되는 방향을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즐거움(fun)을 선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상태에 있는 음향 출력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EE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바닥부재(127)의 하부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 음향 출력부(110,120,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50)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150)의 양측에 제3 스피커 모듈(134)이 구비된다. 상기 제3 스피커 모듈(134)은 배터리(15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됨으로써 스테레오 사운드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3 스피커 모듈(134)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은 상기 제3 울림통(131)에 형성되는 제3 음향홀(133)을 통하여 외부에 출력된다. 상기 제3 음향홀(133)은 상기 제3 울림통(131)의 측면 모든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음향홀(114,124)과는 다소 이격되도록 제3 음향홀(133)의 하부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3 음향 출력부(130)는 제3 스피커 모듈(134) 및 제3 울림통(131)을 포함한다.
한편, 도 2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표시부(121)는 상부 케이스(160)에 수용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160)는 상기 제2 울림통(122)이 팝다운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음향홀(124)을 가리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160)에는 볼륨 조절부(162)가 관통되어 외부에 노출되도록 관통홀(161)이 형성되며, 상기 볼륨 조절부(162)에 의해 음향 출력장치(100)의 볼륨 크기가 조절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100)에서의 제1 내지 제3 음향홀(133)을 통해 출력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3 음향홀(133)을 통해 출력되는 경우는 항시 가능하다. 이는 제3 음향홀(133)은 음향 출력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항시 노출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1 음향홀(114)을 통해 음향이 출력되는 경우는 제2 상태 및 제4 상태에서 가능하고, 제2 음향홀(124)을 통해 출력되는 경우는 제3 상태 및 제4 상태에서 가능하다. 제4 상태에서도 제3 음향홀(133)을 통해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표시부(111,121)를 팝업시키기 위해서 제1 및 제2 표시부(111,121) 중 어느 것을 먼저 팝업시키고, 나머지 표시부를 팝업시킬 수 있다. 즉, 제1 표시부(111)를 먼저 팝업시킨 상태에서 제2 표시부(121)를 팝업시킬 수도 있고, 제2 표시부(121)를 먼저 팝업시킨 상태에서 제1 표시부(111)를 팝업시킬 수도 있다. 제2 표시부(121)를 먼저 팝업시키더라도 제1 표시부(111)도 함께 팝업되므로, 제2 표시부(121)가 먼저 팝업되더라도 제1 표시부(111)를 가압하면 제1 표시부(111)를 추가적으로 팝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음향 출력장치(100)에 의하면 상기 제1 내지 제3 음향홀(114,124,133)이 음향 출력장치(100)의 외주면에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어 어느 방향에 있든지 동일한 음질로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즉, 전방향(ommidirectional)에서 동일한 음질로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스피커 모듈(113)에 의해 출력되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음향은 전 대역(full-range speaker)일 수 있고, 상기 제2 스피커 모듈(123)에 의해 출력되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음향은 저주파수 대역(low frequency band)으로 제2 음향 출력부(120)는 우퍼 스피커 모듈(woofer speaker module)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스피커 모듈(134)에 의해 출력되는 제3 주파수 대역의 음향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초저역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20Hz~20kHz일 수 있고, 제2 주파수 대역은 2-3kHz일 수 있고,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은 50~100Hz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내지 제3 주파수 대역은 일부 대역이 서로 중첩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제1 내지 제3 주파수 대역으로 갈수록 점점 주파수가 낮아지거나 높아질 수도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스피커 모듈(113,123,134)은 음향이 출력되도록 진동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스피커 모듈(113,123,134)의 전후에 음압차를 발생시키는 진동판(미도시), 마그넷(미도시), 보이스 코일(미도시) 등의 부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11,121)는 플레이트 형상이고,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11,121)의 하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11,121)를 터치시에 상기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도록 터치 센서 및 터치 회로기판(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 울림통(131)의 하부에는 제3 울림통(131)을 덮는 하부 케이스(151)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151) 상에는 회로기판(152)이 구비되며, 상기 회로기판(152)는 상기 제1 내지 제3 스피커 모듈(113,123,134)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회로기판(152) 상에는 다수의 전자부품들이 실장된다. 상기 회로기판(152)과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11,121)에 구비되는 터치 회로기판(미도시)은 연성회로기판 또는 연성 케이블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11,121)를 터치함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volume up/down), 음향의 재생 순서(previous/next/pause), 출력되는 음향의 종류(equalizer, EQ)를 선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른 전자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드, 예를 들면,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모드를 표시할 수 있고, 조명(LED) 표시가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분위기(mood)를 조성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151)는 음향 출력장치(100)의 하단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부 케이스(151)의 일 측면에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인터페이스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일 예로, USB일 수 있으며, 음향 출력장치(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장치(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재(127)와 하부 케이스(151)의 사이에는 배터리(150)가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15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전원 케이블 또는 와이어가 상기 배터리(150)와 상기 회로기판(152)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3 스피커 모듈(113,123,134)은 상기 회로기판(152)과 연결되고, 상기 회로기판(152)은 상기 배터리(150)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에서는 제1 내지 제3 음향 출력부(110,120,130)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이 360도의 모든 방향으로 출력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100)의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표시부(111) 및 제2 표시부(121)에는 다양한 음향 제어 표시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음향 출력장치(100)는 근거리 통신에 의해 페어링(pairing)이 가능한 전자기기와 페어링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의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뿐만 아니라 NFC에 의한 페어링도 포함한다. 상기 제1 표시부(111) 또는 제2 표시부(121)를 가압하면 음향 출력장치(100)에 전원이 공급되어(power on)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 또는 제3 상태로 변환된다. 상태가 변환되면, 곧 바로 페어링 모드로 진입한다. 만약, 음향 출력장치(100)의 주변에 페어링 가능한 전자기기(200)가 있는 경우, 상기 전자기기(200)에는 블루투스에 의해 페어링이 가능한 리스트에 상기 음향 출력장치(100)가 생성되며, 상기 전자기기(200)에 암호를 입력한 후 상기 음향 출력장치(100)와 페어링을 실시하면 된다.
상기에서는 블루투스에 의한 페어링 모드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와이파이에 의한 페어링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작동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에 의한 페어링 이외에 NFC에 의해 페어링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100)는 동시에 두 개의 전자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100)의 사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전자기기(200a)와 먼저 페어링을 실시한 후, 음향 출력장치(100)의 전원을 차단한 후 제2 전자기기(200b)와 페어링을 실시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전자기기(200a,200b) 중 어느 하나를 메인 전자기기(primary device)로 지정할 수 있고, 메인 전자기기에 의해 음향이 출력된다.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의 또 다른 사용예인데,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음향 출력장치(100)를 이용하여 입체 음향(stereo sound)을 즐길 수 있다. 즉, 하나의 전자기기(200)와 두 개의 음향 출력장치(100a,100b)를 페어링(dual play)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1. 가압시에 팝업(pop-up)되는 제1 표시부;
    상기 제1 표시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표시부를 수용하며 측면에 제1 음향홀이 형성되는 제1 울림통;
    상기 제1 울림통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음향홀을 통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제1 스피커 모듈;
    상기 제1 표시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가압시에 팝업되는 제2 표시부;
    상기 제2 표시부의 가장자리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표시부를 지지하며 외부에 노출되는 영역에 제2 음향홀이 형성되는 제2 울림통;
    상기 제2 울림통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음향홀을 통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제2 스피커 모듈; 및
    상기 제2 울림통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울림통을 지지하는 제3 울림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는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경사진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왕복이동하고, 상기 제2 표시부는 상하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울림통은 상기 제1 표시부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하부면에 제1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울림통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울림통을 수용하는 어퍼 베이스;
    상기 어퍼 베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울림통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부 일측이 상기 어퍼 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제1 후크를 향하여 노출되도록 상기 어퍼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후크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제1 래치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울림통의 내측면으로 노출되는 한 쌍의 제1 기어; 및
    상기 한 쌍의 제1 기어와 기어 결합하도록 상기 어퍼 베이스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기어와 제1 랙 기어는 상기 제1 후크와 제1 래치 스위치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울림통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울림통의 외측으로 보다 돌출되는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어퍼 베이스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부에 걸림되어 상기 제1 울림통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울림통의 하부면에 제2 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울림통의 하부에 형성되고 내부 바닥면에 상기 제2 후크를 향하여 형성되어 상기 제2 후크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제2 래치 스위치가 형성되는 바닥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재와 상기 제2 울림통의 하부면 사이에는 상기 제2 울림통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울림통은,
    상기 어퍼 베이스가 수용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부분보다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단차지는 형성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분에 상기 제2 스피커 모듈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울림통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 부분을 향하여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돌출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2 기어; 및
    상기 제2 부분의 외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기어와 기어 결합하는 한 쌍의 제2 랙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기어와 제2 랙 기어는 상기 제3 울림통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는,
    상기 제2 래치 스위치가 구비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제2 울림통을 향하여 형성되는 중공형의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의 하단은 수평 방향으로 보다 돌출 형성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체결부의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의 하부에 배터리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의 양측에 제3 스피커 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3 스피커 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은 상기 제3 울림통에 형성되는 제3 음향홀을 통하여 외부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울림통의 하부에는 제3 울림통을 덮는 하부 케이스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 상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 스피커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기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KR1020160033581A 2016-03-21 2016-03-21 음향 출력장치 KR201701094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581A KR20170109442A (ko) 2016-03-21 2016-03-21 음향 출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581A KR20170109442A (ko) 2016-03-21 2016-03-21 음향 출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442A true KR20170109442A (ko) 2017-09-29

Family

ID=60035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581A KR20170109442A (ko) 2016-03-21 2016-03-21 음향 출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94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576A (ko) * 2018-07-27 2020-02-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팝업 트위터 스피커 장치
CN113766053A (zh) * 2021-09-06 2021-12-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扬声器模组、电子设备和控制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576A (ko) * 2018-07-27 2020-02-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팝업 트위터 스피커 장치
CN113766053A (zh) * 2021-09-06 2021-12-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扬声器模组、电子设备和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1084B1 (en) Voice controlled assistant
KR101164015B1 (ko) 스마트폰용 거치대 겸용 스피커음량 확장장치
US9351066B2 (en) Expandable speaker
CN209299516U (zh) 一种扬声器模组及电子设备
US20060126882A1 (en) Earphone
CN113853801A (zh) 电子装置
KR20130076250A (ko) 스피커 장치를 위한 공명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CN106170029B (zh) 一种立体声移动终端
KR101778970B1 (ko) 음향 출력장치
CN102348140A (zh) 音频放射性的反射式音箱结构
US20140056447A1 (en) Speaker
US9426594B2 (en) Miniature speaker
KR101844379B1 (ko) 핸드폰 거치 스피커
US10154350B2 (en) Micro-speaker using slope for connecting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of the base wall to avoid lead bumping
US9456281B2 (en) Miniature speaker
US9338534B2 (en) Miniature speaker
CN108337926A (zh) 声音收集装置
US9467759B2 (en) Speaker box
KR20170109442A (ko) 음향 출력장치
US9374637B2 (en) Electronic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354147B1 (ko) 음향 출력장치
KR20150143276A (ko) 투웨이 블루투스 스피커
KR101718044B1 (ko) 음향 출력장치
CN107928029B (zh) 分体式智能手环
JP2006157199A (ja) スライド型携帯端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