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899B1 - 무선이어폰용 충전기를 구비한 휴대용 스피커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이어폰용 충전기를 구비한 휴대용 스피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899B1
KR101912899B1 KR1020170172003A KR20170172003A KR101912899B1 KR 101912899 B1 KR101912899 B1 KR 101912899B1 KR 1020170172003 A KR1020170172003 A KR 1020170172003A KR 20170172003 A KR20170172003 A KR 20170172003A KR 101912899 B1 KR101912899 B1 KR 101912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epression
battery
charger
wireless ear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철
김병철
Original Assignee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2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8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25Accumulators or arrangements for 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무선이어폰용 충전기를 구비한 휴대용 스피커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이어폰용 충전기를 구비한 휴대용 스피커장치는, 무선이어폰을 충전기에 넣어서 무선이어폰의 배터리를 충전할 때, 충전기를 스피커유닛에 인입할 수 있다. 그러면, 무선이어폰의 충전시에도, 모바일 전자기기에서 무선이어폰으로 전송된 음향 관련 데이터를 스피커유닛을 통하여 재생하여 들을 수 있으므로, 편리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이어폰용 충전기를 구비한 휴대용 스피커장치 {PORTABLE SPEAKER DEVICE WITH CHARGER FOR WIRELESS EARPHONE}
본 발명은 무선이어폰의 충전중에도 무선이어폰에 전송된 음향 관련 데이터를 스피커유닛을 통하여 들을 수 있는 무선이어폰용 충전기를 구비한 휴대용 스피커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전자기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사용자들은 모바일 전자기기에 저장된 음향 관련 데이터,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으로 실시간 모바일 전자기기로 전송되는 외부 서버의 음향 관련 데이터를 시간과 장소에 무관하게 들으면서 감상한다. 모바일 전자기기에는 데이터를 이어폰, 헤드셋 및 스피커를 통하여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이 기본적으로 지원된다.
기술이 더욱 발달함에 따라, 모바일 전자기기로부터 데이터를 무선통신으로 전송받아 재생할 수 있는 무선이어폰, 휴대용 스피커 및 무선헤드셋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무선이어폰에는 스피커부, 무선통신부 및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가 설치된다. 그런데, 무선이어폰은 귀바퀴 또는 외이도(外耳道)에 삽입되므로, 대단히 소형이다. 이로 인해, 배터리도 대단히 소형이므로, 상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이 짧다. 그러므로, 무선이어폰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자주 배터리를 충전해 주어야 한다.
무선이어폰의 배터리는 별도의 충전기에서 충전된다. 그러므로, 충전기에 무선이어폰을 연결한 다음 충전할 때에는, 무선이어폰으로 전송된 음향 관련 데이터를 재생하여 들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충전기를 구비한 휴대용 스피커와 관련한 선행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09645호(2005년 11월 22일)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무선이어폰용 충전기를 구비한 휴대용 스피커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이어폰의 충전중에도 무선이어폰으로 전송된 음향 관련 데이터를 재생하여 들을 수 있는 무선이어폰용 충전기를 구비한 휴대용 스피커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이어폰용 충전기를 구비한 휴대용 스피커장치는, 음향을 재생하는 제1스피커부, 충전가능한 제1배터리 및 전파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제1무선통신부를 가지는 스피커유닛; 상기 스피커유닛에 인입 및 인출되고, 상기 제1배터리와 접속되어 충전되는 제2배터리를 가지며, 음향을 재생하는 제2스피커부와 상기 제2배터리와 접속되어 충전되는 제3배터리와 전파를 이용하여 상기 제1무선통신부와 통신하는 제2무선통신부가 설치된 무선이어폰을 충전시키는 충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이어폰용 충전기를 구비한 휴대용 스피커장치는, 무선이어폰을 충전기에 넣어서 무선이어폰의 배터리를 충전할 때, 충전기를 스피커유닛에 인입할 수 있다. 그러면, 무선이어폰의 충전시에도, 모바일 전자기기에서 무선이어폰으로 전송된 음향 관련 데이터를 스피커유닛을 통하여 재생하여 들을 수 있으므로, 편리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피커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피커유닛과 충전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피커유닛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피커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걸림돌기와 슬라이딩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충전기의 저면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도 5에 도시된 걸림돌기가 충전기에 의하여 하강하는 것을 보인 측면도.
도 8a 및 도 8b는 도 5에 도시된 걸림돌기가 슬라이딩부재에 의하여 하강하는 것을 보인 측면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충전기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2케이스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무선이어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또는 제3항목"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설치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된다, 결합된다,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별도로 마련되어 형성되거나, 결합되거나, 설치된 것 뿐만 아니라,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하나의 몸체인 일체로 된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이어폰용 충전기를 구비한 휴대용 스피커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피커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피커유닛과 충전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피커장치는 스피커유닛(100)과 충전기(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휴대할 수 있다. 스피커유닛(100)은 충전기(200)의 배터리(220)(도 9 참조)를 충전할 수 있고, 충전기(200)는 무선이어폰(300)의 제3배터리(340)(도 11 참조)를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충전기(200)는 스피커유닛(100)에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스피커유닛(100)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피커유닛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피커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유닛(100)은 제1케이스(110), 제어부(120), 제1스피커부(130), 제1배터리(140) 및 통신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케이스(1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 결합된 상부케이스(111)와 하부케이스(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케이스(111)의 하면 및 하부케이스(113)의 상면은 각각 개방되며, 상부케이스(111)의 하단면(下端面)과 하부케이스(113)의 상단면(上端面)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제1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제어부(120)가 설치될 수 있고, 음향을 재생하는 제1스피커부(13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충전가능한 제1배터리(140)가 설치될 수 있고, 모바일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150)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1스피커부(130)로 공급되는 전기신호를 제어할 수 있고, 제1배터리(140) 및 통신부(150)와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배터리(140)는 제1스피커부(130)로 전기신호를 공급할 수 있고, 통신부(15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1배터리(140)는 유선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다.
제1스피커부(130)는 전기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疏密波)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輻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음향이 재생된다.
통신부(150)는 유선으로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와 통신하는 유선통신부(151) 및 전파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와 통신하는 제1무선통신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에 저장된 음향 관련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로 전송되는 외부 서버의 음향 관련 데이터는 제1스피커부(130)에서 재생된다.
제1케이스(110)의 상부케이스(111)의 상면에는 하측으로 함몰된 함몰부(111a)가 형성될 수 있고, 함몰부(111a)의 전면은 상부케이스(111)의 전면 외측과 연통될 수 있다.
충전기(200)는 제2케이스(210)를 포함하며, 슬라이딩되면서 함몰부(111a)에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충전기(200)는 제1케이스(110)의 전면 외측과 연통된 함몰부(111a)를 통하여 슬라이딩되면서 함몰부(111a)에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충전기(200)가 스피커유닛(100)에 인입 및 인출되는 구조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걸림돌기와 슬라이딩부재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충전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부(111a)를 형성하는 상부케이스(111)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안내레일(111b)이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제2케이스(21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제1안내로(211a)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케이스(110)의 전면 외측과 연통된 함몰부(111a)측으로 케2케이스(210)를 삽입하여 슬라이딩시키면, 제1안내로(211a)에 안내레일(111b)이 삽입된다. 이로 인해, 제2케이스(210)가 함몰부(111a)를 따라 안정되게 슬라이딩되어 함몰부(111a)에 인입된다.
제2케이스(210)가 함몰부(111a)에 완전하게 인입되면, 제2케이스(210)의 후면에 형성된 접속홈(211b)(도 10 참조)에 함몰부(111a)에 형성된 단자(160)가 삽입 접속된다. 그러면, 충전기(200)의 배터리(220)가 스피커유닛(100)의 배터리(1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된다.
제2케이스(210)가 함몰부(111a)를 따라 더욱 안정되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함몰부(111a)를 형성하는 제1케이스(110)의 상면에는 제2안내로(111c)가 형성될 수 있고, 제2케이스(210)의 하면에는 돌기(211c)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함몰부(111a)측으로 케2케이스(210)를 삽입하여 슬라이딩시키면, 돌기(211c)가 제2안내로(111c)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므로, 제2케이스(210)가 안정되게 슬라이딩된다.
돌기(211c)는, 충전기(200)를 바닥 등에 놓고 무선이어폰(300)을 충전할 때, 제2케이스(210)가 바닥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한다.
제2케이스(210)가 함몰부(111a)에 완전하게 인입되면, 함몰부(111a)를 형성하는 제1케이스(110)의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으로 인하여 제2케이스(210)가 제1케이스(110)의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으로 각각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제2케이스(210)가 함몰부(111a)에 완전하게 인입되면, 제1안내로(211a)와 안내레일(111b)에 의하여 제2케이스(210)가 함몰부(111a)의 상측을 통하여 함몰부(111a)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2케이스(210)가 함몰부(111a)에 완전하게 인입되면, 제2케이스(210)가 제1케이스(110)의 전면을 통하여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제2케이스(210)가 제1케이스(110)의 전면을 통하여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피커유닛(100)의 제1케이스(110)에는 걸림돌기(115)가 형성될 수 있고, 충전기(200)의 제2케이스(210)에는 걸림돌기(115)가 삽입 결합되는 걸림홈(211d)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115)는 제1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측 부위가 함몰부(111a)를 형성하는 제1케이스의 상면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홈(211d)은 제2케이스(21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2케이스(210)가 함몰부(111a)에 완전하게 인입되면, 걸림홈(211d)에 걸림돌기(115)가 삽입되어 걸리므로, 제2케이스(210)는 제1케이스(110)의 전면을 통하여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걸림돌기(115)는 승강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제2케이스(210)가 함몰부(111a)를 따라 제1케이스(110)의 후면측으로 슬라이딩하면 하강하고, 제2케이스(210)가 함몰부(111a)에 완전하게 인입되면 상승하여 걸림홈(211d)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홈(211d)에 삽입되어 걸린 걸림돌기(115)는 슬라이딩부재(117)에 의하여 하강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걸림돌기(115)의 상측 부위는 함몰부(111a)를 형성하는 제1케이스(110)의 상면 상측으로 돌출되어 함몰부(111a)에 위치될 수 있고, 하측 부위는 제1케이스(1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걸림돌기(115)는 탄성부재(119a)에 의하여 제1케이스(110)의 상측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으며, 걸림돌기(115)의 상측 부위는 탄성부재(119a)에 의하여 항상 함몰부(111a)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2케이스(210)가 함몰부(111a)에 인입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제2케이스(210)의 후면과 걸림돌기(115)의 상측 부위가 접촉하고, 이로 인해 걸림돌기(115)는 하강할 수 있다. 하강된 걸림돌기(115)는 제2케이스(210)가 함몰부(111a)에 완전하게 인입되면, 탄성부재(119a)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승하면서 걸림홈(211d)에 삽입되어 걸린다.
제2케이스(210)가 함몰부(111a)에 인입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걸림돌기(115)가 용이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제2케이스(210)의 후면과 접촉하는 걸림돌기(115)의 상측 부위는 경사진 제1경사면(115a)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115)가 걸림홈(211d)에 삽입되어 있으면, 함몰부(111a)으로부터 제2케이스(210)를 인출할 수 없다. 함몰부(111a)로부터 제2케이스(210)를 인출하기 위하여, 슬라이딩부재(117)를 이용하여 걸림홈(211d)에 삽입된 걸림돌기(115)를 하강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117)는 전단부측은 제1케이스(110)의 전면 외측에 위치되고 후단부측은 제1케이스(11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부재(117)의 후단부측은 걸림돌기(115)의 하측 부위와 접촉할 수 있다. 그리하여, 슬라이딩부재(117)가 제1케이스(11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하면, 상호 접촉하는 슬라이딩부재(117)의 후단부측과 걸림돌기(115)의 하측 부위의 작용에 의하여 걸림돌기(115)가 하강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117)에 의하여 걸림돌기(115)가 용이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상호 접촉하는 슬라이딩부재(117)의 후단부측과 걸림홈(211d)의 하측 부위는 상호 대응되게 경사진 제2경사면(117a)(115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117)는 탄성부재(119b)에 의하여 제1케이스(110)의 전면 외측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으며, 도 4의 미설명 부호 118은 슬라이딩부재(117)를 지지하는 지지판이다.
충전기(200)의 제2케이스(210)에 의하여 걸림돌기(115)가 하강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는 도 5에 도시된 걸림돌기가 충전기에 의하여 하강하는 것을 보인 측면도이다.
걸림돌기(115)는 탄성부재(119a)에 의하여 상측으로 탄성 지지되므로, 걸림돌기(115)의 상측 부위는 함몰부(111a)(도 4 참조)에 위치되어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부(111a)를 형성하는 제1케이스(110)의 상면에 제2케이스(210)의 하면을 접촉시킨 다음, 제2케이스(210)를 슬라이딩시켜 함몰부(111a)에 인입시킨다. 그러면, 제2케이스(210)의 후면과 걸림돌기(115)의 상측 부위에 형성된 경사면(115a)이 접촉되므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115)가 하강한다.
걸림돌기(115)가 하강한 상태에서, 제2케이스(210)를 슬라이딩시켜 함몰부(111a)에 완전히 인입하면, 탄성부재(119a)의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돌기(115)가 상승하여 제2케이스(210)의 걸림홈(211d)에 삽입된다.
슬라이딩부재(117)에 의하여 걸림돌기(115)가 하강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도 5에 도시된 걸림돌기가 슬라이딩부재에 의하여 하강하는 것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115)가 제2케이스(210)의 걸림홈(211d)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부재(117)를 함몰부(111a)(도 4 참조)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슬라이딩부재(117)의 제2경사면(117a)과 걸림돌기(115)의 제2경사면(115b)이 상호 접촉한다.
도 8a에 도시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부재(117)를 함몰부(111a)측으로 더 슬라이딩시키면, 걸림돌기(115)가 하강하여 걸림홈(211d)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면, 제2케이스(210)를 함몰부(111a)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충전기(200)에 대하여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충전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2케이스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무선이어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200)는 스피커유닛(100)의 제1케이스(110)에 인입 및 인출될 수 있으며, 제2케이스(210)와 제2배터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케이스(210)는 하부케이스(211)와 하부케이스(211)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커버(215)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211)의 상면에는 무선이어폰(300)이 안치되는 안치홈(211e)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케이스(211)에는 전술한 제1안내로(211a), 접속홈(211b), 돌기(211c)(도 6 참조) 및 걸림홈(211d)(도 6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배터리(220)는 제2케이스(2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스피커유닛(100)의 제1배터리(140)로부터 충전될 수 있고, 무선이어폰(300)을 충전시킬 수 있다.
무선이어폰(300)은 하우징(310), 제어부(320), 제2스피커부(330), 제3배터리(340) 및 제2무선통신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제2스피커부(330)로 공급되는 전기신호를 제어할 수 있고, 제2배터리(340) 및 제2무선통신부(350)와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배터리(340)는 제2스피커부(330)로 전기신호를 공급할 수 있고, 제2무선통신부(35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2스피커부(330)는 하우징(3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음향을 재생할 수 있다. 제3배터리(340)는 제2배터리(220)와 접속되어 충전될 수 있으며, 무선이어폰(300)을 안치홈(211e)에 안치시키면, 무선이어폰(300)의 단자와 충전기(200)의 단자가 접속되어 충전된다. 제2무선통신부(350)는 전파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으며, 제1무선통신부(151) 및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이어폰(300)은 소형이므로, 제3배터리(340)도 소형이다. 이로 인해, 제3배터리(340)를 자주 충전해 주어야 한다.
무선이어폰(300)의 제3배터리(340)를 충전하기 위하여, 무선이어폰(300)을 충전기(200)에 넣은 다음, 충전기(200)를 스피커유닛(100)의 함몰부(111a)에 인입하면, 무선이어폰(300)의 제3배터리(340)가 충전된다.
이때,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에서 음향 관련 데이터가 무선통신으로 무선이어폰(300)에 전송되고, 무선이어폰(300)으로 전송된 데이터는 스피커유닛(100)으로 전송되므로, 스피커유닛(100)을 통하여 음향을 재생하여 들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이어폰용 충전기를 구비한 휴대용 스피커장치는, 충전기(200)에 무선이어폰(300)을 넣어서 무선이어폰(300)을 충전할 때, 충전기(200)를 스피커유닛(100)의 함몰부(111a)에 인입할 수 있다. 그러면, 무선이어폰(300)의 충전시에도,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에서 무선이어폰(300)에 전송된 음향 관련 데이터를 스피커유닛(100)을 통하여 재생하여 들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스피커유닛
200: 충전기
300: 무선이어폰

Claims (10)

  1.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에 설치된 제1스피커부, 상기 제1케이스에 설치된 제1배터리 및 상기 제1케이스에 설치된 제1무선통신부를 가지는 스피커유닛;
    상기 스피커유닛에 인입 및 인출되는 제2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제1배터리와 접속되어 충전되는 제2배터리를 가지며, 제2스피커부와 상기 제2배터리에 접속되어 충전되는 제3배터리와 상기 제1무선통신부와 통신하는 제2무선통신부를 가지는 무선이어폰을 충전시키는 충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케이스의 상면에는 하측으로 함몰되어 일측이 상기 제1케이스의 외측과 연통된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제1케이스의 외측과 연통된 상기 함몰부을 통하여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함몰부에 인입 및 인출되며,
    상기 함몰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케이스의 부위에는 상기 제2케이스의 하면측에 삽입되어 상기 제2케이스가 상기 제1케이스의 외측과 연통된 상기 함몰부를 통하여 상기 제1케이스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은 상기 제1케이스의 외측에 위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1케이스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걸림돌기의 하측 부위와 접촉하며,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하강시키는 슬라이딩부재가 설치되며,
    상호 접촉하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부위와 상기 걸림돌기의 부위는 상호 대응되게 경사진 제2경사면으로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피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케이스의 측면 및 상기 제2케이스의 측면에는 상호 삽입 결합되어 상기 제2케이스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안내레일 및 제1안내로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피커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케이스의 상면 및 상기 제2케이스의 하면에는 상호 삽입 결합되어 상기 제2케이스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제2안내로 및 돌기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피커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의 하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피커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의 상측 부위는 상기 함몰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케이스의 상면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케이스의 하면 부위에 삽입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와 접촉하는 하측 부위는 상기 제1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케이스의 상면 상측으로 탄성 지지되며,
    상기 제2케이스가 상기 함몰부에 인입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상기 제2케이스에 상기 걸림돌기의 상측 부위가 접촉되어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피커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가 상기 함몰부에 인입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상기 제2케이스와 접촉하는 상기 걸림돌기의 상측 부위는 경사진 제1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피커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172003A 2017-12-14 2017-12-14 무선이어폰용 충전기를 구비한 휴대용 스피커장치 KR101912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003A KR101912899B1 (ko) 2017-12-14 2017-12-14 무선이어폰용 충전기를 구비한 휴대용 스피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003A KR101912899B1 (ko) 2017-12-14 2017-12-14 무선이어폰용 충전기를 구비한 휴대용 스피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2899B1 true KR101912899B1 (ko) 2018-10-29

Family

ID=64101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003A KR101912899B1 (ko) 2017-12-14 2017-12-14 무선이어폰용 충전기를 구비한 휴대용 스피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89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3211A (en) * 2018-04-28 2019-10-30 Tymphany Acoustic Tech Huizhou Co Ltd Wireless earphone charging cradle
WO2020111604A1 (ko) * 2018-11-27 2020-06-04 박태수 이어폰 충전 케이스
CN113630679A (zh) * 2020-05-08 2021-11-09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无线耳机充电装置
US11653129B2 (en) * 2021-09-01 2023-05-16 Daimond Smith Multimodal audio broadcast assembl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3211A (en) * 2018-04-28 2019-10-30 Tymphany Acoustic Tech Huizhou Co Ltd Wireless earphone charging cradle
GB2573211B (en) * 2018-04-28 2022-12-21 Tymphany Acoustic Tech Huizhou Co Ltd Wireless earphone charging cradle
WO2020111604A1 (ko) * 2018-11-27 2020-06-04 박태수 이어폰 충전 케이스
CN113630679A (zh) * 2020-05-08 2021-11-09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无线耳机充电装置
US11653129B2 (en) * 2021-09-01 2023-05-16 Daimond Smith Multimodal audio broadcast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899B1 (ko) 무선이어폰용 충전기를 구비한 휴대용 스피커장치
US10104463B2 (en) Wireless sound equipment
EP3627501B1 (en) Headphones, wrist-worn voice interaction device and system
CN108184184B (zh) 蓝牙耳机
US7627289B2 (en) Wireless stereo headset
US10063952B2 (en) Acoustic pillow
CN102792713B (zh) 个人音频设备
SE1750005A1 (en) A storage and charging capsule for wireless earbuds
US20080187162A1 (en) Headset having wired/wireless sub-earphohe
US20110019860A1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combined electrical socket and microphone opening
US20070230735A1 (en) Selective type headset
US20060234780A1 (en) Speakerphone with detachable ear bud
US10863013B2 (en) Portable device case for removably attaching accessories
KR20050066696A (ko) 무선이어폰 충전어댑터
CN101981949A (zh) 用于将放大的音频信号传给用户的系统
WO2015180182A1 (zh) 耳机座
KR100497675B1 (ko) 무선전화기용케이싱및무선전화기를가진케이싱을포함하는조립체
WO2018067688A1 (en) Portable device case for removably attaching accessories
JP2012100248A (ja) クレードル
CN205693869U (zh) 全无线可自由组合的蓝牙耳机音箱
KR20130097462A (ko) 음향출력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
CN212115613U (zh) 耳机系统
KR20210030458A (ko) 휴대용 음향기기
US8185168B2 (en) Handset with docking headset
CN207530582U (zh) 一种无线耳机的无线充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