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473B1 -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473B1
KR101832473B1 KR1020127034235A KR20127034235A KR101832473B1 KR 101832473 B1 KR101832473 B1 KR 101832473B1 KR 1020127034235 A KR1020127034235 A KR 1020127034235A KR 20127034235 A KR20127034235 A KR 20127034235A KR 101832473 B1 KR101832473 B1 KR 101832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valve
value
actuator
re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4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1251A (ko
Inventor
미하엘 비르코브스키
라이너 베버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111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1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40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essentially read only memories
    • F02D41/2425Particular ways of programming the data
    • F02D41/2429Methods of calibrating or learning
    • F02D41/2451Methods of calibrating or learning characterised by what is learned or calibrated
    • F02D41/2464Characteristics of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F02D2041/202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 F02D2041/2024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the control switching a load after time-on and time-off pulses
    • F02D2041/2027Control of the current by pulse width modulation or duty cycl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F02D2041/202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 F02D2041/2037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for preventing bouncing of the valve nee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F02D2041/202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 F02D2041/2055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with means for determining actual opening or closing ti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F02D2041/202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 F02D2041/2058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using information of the actual current val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50/00Engine control related to specific problems or objectives
    • F02D2250/14Timing of measurement, e.g. synchronisation of measurements to the engin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8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 F02D41/3809Common rail control systems
    • F02D41/3836Controlling the fuel pressure
    • F02D41/3845Controlling the fuel pressure by controlling the flow into the common rail, e.g. the amount of fuel pum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력(F_1)을 갖는 스프링(32), 스프링력(F_1)에 반작용하는 액추에이터력(F_2)을 갖는 액추에이터(42) 및 액추에이터(42)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핀(34)을 갖는 밸브(20)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밸브(20)를 개방하기 위해, 제 1 작동 모드에서, 핀(34)이 밸브(20)가 폐쇄되는 것을 허용하는 위치에 있는 전류의 초기값(I_0)으로부터 시작하여 사전 규정된 비일정한 프로파일을 갖는 전류(I)가 액추에이터(42)에 인가되고, 전류의 측정된 값(I_AV)이 연대적인 순서로 결정되고, 전류의 측정된 값(I_AV)의 프로파일이 액추에이터(42)에 인가된 전류의 프로파일로부터 사전 규정된 정도로 일탈하자마자 전류의 기준값(I_REF)이 전류의 현재 측정된 값(I_AV)을 취한다. 전류의 기준값(I_REF)은 액추에이터력(F_2)이 스프링력(F_1)에 동일한 것을 표현한다. 제 2 작동 모드에서, 전류의 초기값(I_0)으로부터 시작하여 전류의 최종값(I_F)까지 사전 규정된 비일정한 프로파일을 갖는 전류가 액추에이터(42)에 인가된다. 기준값(I_REF)은 전류의 초기값(I_0)과 최종값(I_F) 사이에 있다. 전류의 최종값(I_F)에서 핀(34)은 밸브(20)가 폐쇄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위치에 있다.

Description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VALVE}
본 발명은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의 내연기관용 커먼레일(common rail) 분사 시스템용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고압 펌프에 사용된다.
이러한 밸브는 특히 이들이 예를 들어 고압 펌프 내에서와 같은 연속적인 부하를 받게 되면, 무거운 부하를 받게 된다. 고압 펌프는 예를 들어 2000 bar 또는 그 초과의 압력을 받게 되기 때문에, 엄격한 요구가 이러한 펌프 내의 밸브에 부여된다. 노이즈가 이들 밸브의 폐쇄 중 및 개방 중의 모두에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의 정밀하고 비용 효율적인 작동이 가능해지는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에 의해 성취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량은 종속 청구항에 특징화되어 있다.
본 발명은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대응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밸브는 스프링력을 갖는 스프링, 스프링력에 반작용하는 액추에이터력을 갖는 액추에이터 및 액추에이터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핀을 갖는다.
밸브를 개방하기 위해, 제 1 작동 모드에서, 핀이 밸브가 폐쇄되는 것을 허용하는 위치에 있는 전류의 초기값으로부터 시작하여 사전 규정된 비일정한 프로파일을 갖는 전류가 액추에이터에 인가된다. 전류의 측정된 값이 연대적인 순서로 결정되고, 전류의 측정된 값의 프로파일이 액추에이터에 인가된 전류의 프로파일로부터 사전 규정된 정도로 일탈하자마자 전류의 기준값이 전류의 현재 측정된 값을 취한다. 전류의 기준값은 액추에이터력이 스프링력에 동일하다는 사실을 표현한다. 제 2 작동 모드에서, 전류의 초기값으로부터 시작하여 전류의 최종값까지 사전 규정된 비일정한 프로파일을 갖는 전류가 액추에이터에 인가된다. 기준값은 전류의 초기값과 최종값 사이에 놓인다. 전류의 최종값에서 핀은 밸브가 폐쇄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위치에 있다.
액추에이터에 인가된 전류의 프로파일로부터 전류의 측정된 값의 프로파일의 사전 규정된 정도로의 일탈은 전류의 측정된 값과 인가된 전류의 값 사이의 차이가 사전 규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밸브에 의한 노이즈의 발생이 작게 유지될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밸브의 신뢰적인 충분히 고속의 개방이 발생할 수 있는 이러한 방식으로 밸브가 저속으로 개방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더욱이, 밸브의 마모는 작게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밸브의 비용 효율적인 디자인이 가능하다.
일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 1 작동 모드에서, 사전 규정된 선형 프로파일을 갖는 전류가 액추에이터에 인가되고, 시간 경과에 따른 전류의 변화의 현재값이 전류의 2개의 연속적인 측정값의 함수로서 결정되고, 전류의 기준값은, 시간 경과에 따른 전류의 변화의 현재값이 시간 경과에 따른 전류의 변화의 이전값으로부터 사전 규정된 정도로 일탈하자마자 전류의 현재 측정된 값을 취하고, 제 2 작동 모드에서, 사전 규정된 선형 프로파일을 갖는 전류가 액추에이터에 인가된다.
시간 경과에 따른 전류의 변화의 이전의 값들 중 하나로부터 시간 경과에 따른 전류의 변화의 현재값의 사전 규정된 정도로의 일탈은 시간 경과에 따른 전류의 변화의 이전의 값들 중 하나로부터 시간 경과에 따른 전류의 변화의 현재값의 차이가 사전 규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스프링은 밸브를 개방하도록 설계된다. 제 1 작동 모드에서, 인가된 전류는 전류의 초기값으로부터 시작하여 선형으로 감소한다. 전류의 초기값에 대해 액추에이터력은 스프링력보다 크다. 제 2 작동 모드에서, 인가된 전류는 전류의 초기값으로부터 시작하여 선형으로 감소하고, 최종값은 기준값보다 작다. 이는 무전류 상태일 때 개방되는 밸브의 노이즈의 발생이 작게 유지되고 무전류 상태일 때 개방하는 밸브의 신뢰적이고 연대적으로 적절한 개방이 발생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더욱이, 개방되고 무전류 상태인 밸브의 마모가 작게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인가된 전류는 펄스폭 변조의 함수로서 설정된다. 이는 인가된 전류가 매우 용이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전류의 측정된 값을 결정하기 위한 시점은 펄스폭 변조된 전류의 최대값의 시점에 의존한다. 이는 전류의 2개의 연속적인 측정된 값의 함수로서 시간 경과에 따른 전류의 변화의 값의 결정이 매우 용이한 방식으로 보장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펄스폭 변조의 주파수는 전류의 측정된 값을 결정하기 위한 시점에 의존한다. 이는 전류의 측정된 값을 결정하기 위한 시점이 측정을 위한 요구에 따라 사전 규정될 수 있고, 펄스폭 변조의 주파수가 이들 측정된 값에 적응될 수 있고, 그 결과 예를 들어 펄스폭 변조된 전류의 최대값의 시점이 전류의 측정된 값을 결정하기 위한 시점에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전류의 측정된 값은 션트 저항(shunt resistor)에서의 전압의 함수로서 결정된다. 이는 전류를 신뢰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특히 간단한 가능성을 구성한다.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전류의 기준값은 밸브 내의 또는 밸브의 사전 규정된 영역 내의 유체의 온도의 함수로서 결정된다. 이는 전류의 기준값이 밸브의 다양한, 특히 온도 의존성 작동 조건 하에서 결정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밸브는 내연기관의 분사 시스템 내에 배열되고, 전류의 기준값은 내연기관의 특성값의 함수로서 결정된다. 이는 전류의 기준값이 내연기관의 상이한 작동 조건 하에서 결정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전류의 기준값은 작동점 의존 특성 다이어그램에 저장된다. 이는 전류의 기준값이 특히 제 1 작동 모드의 범주 내에서, 밸브의 또는 내연기관의 다양한 작동 조건에 대해 저장될 수 있고, 제 2 작동 모드 중에 밸브의 또는 내연기관의 각각의 현재 작동 상태에 대해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전류의 초기값 및 전류의 최종값은 전류의 기준값이 초기값과 최종값의 산술 평균인 방식으로 사전 규정된다. 이는 전류의 기준값이 액추에이터력이 스프링력보다 큰 초기값과 밸브가 막 개방된 최종값 사이의 중간에 신뢰적으로 놓이는 장점을 갖는다. 이는 밸브의 매우 확고한 제어를 허용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개략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종방향 섹션에서 밸브를 갖는 펌프의 개략도이며,
도 2는 종방향 섹션에서 밸브의 개략도이며,
도 3은 3개의 작동 상태에서 밸브의 개략도이며,
도 4는 밸브의 제어 중에 전류 프로파일의 개략도이다.
동일한 디자인 또는 기능을 갖는 요소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에 의해 특징화된다.
도 1은 펌프 하우징(12)을 갖는 펌프(10)를 도시하고 있다. 펌프(10)는 특히 고압 펌프로서, 바람직하게는 래디얼 피스톤 펌프로서 구현된다. 펌프 피스톤(14)이 펌프 하우징(12)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펌프 하우징(12) 내에는 펌프 피스톤(14)의 일 단부에 압력 공간(16)이 존재한다. 압력 공간(16)을 유체로 충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압력 공간(16)은 바람직하게는 입구 밸브로서 구현되는 밸브(20)가 배열되는 공급 라인(18)을 갖는다. 입구 밸브로서 구현되는 밸브(20)는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절환식 밸브(digitally switched valve)로서 구현된다. 밸브(20)는 압력 공간(16)의 충전을 용이하게 하고 충전 중에 공급 라인(18)으로부터 유체의 역류를 방지한다. 압력 공간(16)은 출구 밸브로서 구현되는 다른 밸브(24)가 배열되어 있는 배출 라인(22)을 또한 갖는다. 이 방식으로, 유체는 압력 공간(16)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펌프(10)는 편심 링(28)에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회전 방향(D)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구동 샤프트(26)를 또한 갖는다. 편심 링(28) 대신에, 캠 샤프트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펌프(10)는 또한 크랭크 구동 펌프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리세스(30)를 갖는 밸브 하우징(29)을 갖는 밸브(20)를 도시하고 있다. 리세스(30) 내에는 스프링(32), 핀(34) 및 밀봉 요소(36)가 배열된다. 스프링(32)은 이것이 리세스(30)의 벽 상에 지지되는 점에서 핀(34)을 경유하여 밀봉 요소(36)에 예비 응력을 가한다. 핀(34)은 제 1 원통형 부분(34a) 및 제 2 원통형 부분(34b)을 갖고, 제 1 부분(34a)은 제 2 부분(34b)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리세스(30) 내에는 밸브 하우징(29)에 대해 고정하여 배열되고 절결부(40)를 갖는 밀봉 시트(38)가 또한 존재한다. 유체는 밀봉 요소(36)가 밀봉 시트(38)에 대해 지지되지 않으면 절결부(40)를 경유하여 유동할 수 있다.
밸브(20)는 특히 솔레노이드로서 구현되는 액추에이터(42)를 또한 갖는다. 핀(34)의 제 1 부분(34a)은 액추에이터(42) 내부에 배열되고, 액추에이터(42)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어지는 명세서에서, 펌프(10) 및 밸브(20)의 기능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회전 방향(D)에서 구동 샤프트(26)의 회전 이동에 의해, 펌프 피스톤(14)은 상기 펌프 피스톤(14)이 하사점에 도달할 때까지 편심핀(28)에 의해 구동 샤프트(26)를 향해 이동된다. 이와 관련하여, 밸브(20)는 스프링(32)의 스프링력(F_1) 및 밸브(20)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압력차에 의해 개방된다. 밀봉 요소(36)는 밀봉 시트(38)(도 3)로부터 상승된다. 압력 공간(16)은 이제 유체로 충전된다. 회전 방향(D)에서 구동 샤프트(26)의 추가의 회전 이동의 결과로서, 펌프 피스톤(14)은 구동 샤프트(26)로부터 이격하여 편심링(28)에 의해 이동되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압력 공간(16) 내에 위치된 유체를 밀봉한다. 사전 결정된 시점에서, 밸브(20)는 액추에이터(42)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폐쇄되고, 그 결과로서 스프링력(F_1)에 반작용하는 액추에이터력(F_2)이 핀(34) 상에 작용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력(F_2)의 방향에서 핀(34)의 이동 및 밸브(20)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만연한 압력 조건의 결과로서, 밀봉 요소(36)는 밀봉 시트(38)에 대해 지지되게 될 수 있고, 절결부(40)를 통한 유체의 유동이 방지된다. 압력 공간(16) 내에서 압축되는 유체는 이제 펌프(10)로부터 출구 밸브로서 구현되는 다른 밸브(24)를 경유하여 완전히 방출될 수 있다. 펌프 피스톤(14)은 이제 상사점에 도달한다.
펌프(10)가 내연기관의 분사 시스템의 고압 연료 펌프이면, 고압이 인가되는 연료는 커먼레일이라 칭하는 고압 연료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로서 구현되는 유체 어큐뮬레이터에 도달할 수 있다.
밸브(20)의 개방 중 및 폐쇄 중의 모두에, 기계적 및 유압적 원인에 기인하여 밸브(20)에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밸브(20)의 개방 중에 발생하는 노이즈가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된다. 밸브의 개방 중에, 제 1 단계에서 밀봉 요소(36)는 밸브 하우징(29)(도 3a)과 접촉하게 되고, 그 결과 제 1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밸브 하우징(29)과의 접촉 후에, 밀봉 요소(36)는 핀(34)의 방향으로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고, 반면에 핀(34)은 자체로서는 스프링(32)의 스프링력(F_1)에 의해 밀봉 요소(36)를 향해 이동된다. 밀봉 요소(36) 및 핀(34)의 부분(34a)이 서로에 대해 충돌하면, 추가의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도 3b). 이어지는 명세서에서, 핀(34)은 스프링(32)의 스프링력(F_1)을 통해서 밀봉 시트(38)에 대해 이동된다. 핀(34)의 부분(34a)이 밀봉 시트(38)에 대해 충돌하면, 추가의 노이즈가 발생한다(도 3c).
이어지는 명세서에서, 밸브(20)의 제어가 무전류 상태일 때 개방되는 밸브에 대해 상세히 예시된다(도 4). 물론, 이는 무전류 상태일 때 폐쇄되는 밸브에 대응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밸브(20)를 개방하기 위해, 제 1 작동 모드에서 사전 규정된 프로파일을 갖는 전류가 액추에이터(42) 상에 인가된다. 제 1 작동 모드는 또한 검출 모드라 칭할 수 있다. 인가된 전류는 초기 전류(I_0)로부터 시작하여 감소된다. 전류의 초기값(I_0)에 대해, 액추에이터력(F_2)은 스프링력(F_1)보다 크다. 그 결과, 핀(34)은 스프링력(F_1)에 대항하여 스프링(32)의 방향으로 가압된다. 밸브(20)는 이 상태에서 폐쇄될 수 있다. 밸브(20)가 펌프(10) 내에 배열되면, 인가된 전류는 펌프 피스톤(14)이 상사점에 도달할 때 초기값(I_0)을 취한다.
도 4의 전류의 프로파일의 고분해능 도시는 또한 펄스폭 변조에 기인하는 전류의 변동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전류의 프로파일은 선형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펄스폭 변조의 단지 비교적 매우 작은 변동만이 전류의 선형 프로파일에 중첩된다.
이어지는 명세서에서, 전류의 측정된 값(I_AV)은 연대적인 순서로 결정된다. 시간 경과에 따른 전류의 변화의 현재값(I_grad)은 전류의 2개의 연속적인 측정된 값(I_AV)의 함수로서 결정된다. 전류는 시간 경과에 따른 전류의 변화의 현재값(I_grad)이 시간 경과에 따른 전류의 변화의 이전값(I_grad_p)으로부터 사전 규정된 정도로 일탈할 때까지, 즉 시간 경과에 따른 전류의 변화의 이전값(I_grad_p)으로부터 시간 경과에 따른 전류의 변화의 현재값(I_grad) 사이의 편차가 사전 규정된 임계값을 초과할 때까지 선형 방식으로 감소된다. 이러한 상황은 도 4의 확대 상세도에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시간 경과에 따른 전류의 변화의 현재값(I_grad)은 여기서 포지티브값을 달성하고, 반면에 시간 경과에 따른 전류의 변화의 이전값(I_grad_p)은 네거티브값을 갖는다. 시간 경과에 따른 전류의 변화의 이전값(I_grad_p)에 대한 시간 경과에 따른 전류의 변화의 값(I_grad)의 변화는 스프링력(F_1)의 방향에서 핀(34)의 이동에 기인하여 액추에이터(42) 내의 역전류의 유도에 의해 발생된다. 전류의 기준값(I_REF)은 이어서 전류의 현재 측정된 값(I_AV)을 취한다. 전류의 기준값(I_REF)은 액추에이터력(F_2)이 스프링력(F_1)에 동일하다는 사실을 표현한다.
인가된 전류는 바람직하게는 펄스폭 변조의 함수로서 설정된다. 특히, 전류의 측정된 값(I_AV)을 검출하기 위한 시점이 펄스폭 변조된 전류의 최대값의 시점에 의존하면 유리하다. 시간 경과에 따른 전류의 변화의 값(I_grad)은 이 경우에 특히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펄스폭 변조된 전류의 2개의 연속적인 피크값 사이의 차이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펄스폭 변조의 주파수는 전류의 측정된 값(I_AV)을 결정하기 위해 원하는 시점에 적응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전류의 측정된 값(I_AV)을 결정하기 위한 원하는 측정점에 펄스폭 변조된 전류의 최대값들 사이의 거리를 적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류의 측정된 값(I_AV)이 션트 저항에서 전압 측정에 의해 결정되면 특히 유리하다.
검출 모드라 칭하는 제 1 작동 모드는 특히 밸브(20)의 온도 또는 밸브(20) 내의 유체의 온도와 같은 주위 조건의 함수로서 또는 예를 들어 내연기관의 회전 속도 또는 운전 시간과 같은 내연기관의 특성값의 함수로서 수행될 수 있다. 밸브(20)의 또는 내연기관의 다양한 작동 상태에 대해 결정된 전류의 기준값(I_REF)의 저장은 작동점 의존 특성 다이어그램에 저장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 결과, 전류의 기준값(I_REF)은 제 1 작동 모드의 범주 내에서 밸브(20)의 또는 내연기관의 다양한 작동 조건에 대해 저장될 수 있다.
동작 모드라 또한 칭하는 제 2 작동 모드에서, 사전 규정된 프로파일을 갖는 전류가 액추에이터(42) 상에 인가된다. 전류는 액추에이터력(F_2)이 스프링력(F_1)보다 큰 초기값(I_0)으로부터 시작하여 재차 선형으로 감소한다. 전류의 선형 감소는 이제 전류의 최종값(I_F)까지 발생한다. 전류의 최종값(I_F)은 기준값(I_REF)보다 작다. 밸브(20)가 펌프(10) 내에 배열되면, 인가된 전류는 펌프 피스톤(14)이 하사점 부근에 있을 때 최종값(I_F)을 취한다.
최종값(I_F)은 핀(34)이 밸브(20)가 폐쇄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위치에 있는 사실을 표현한다. 달리 말하면, 이는 스프링력(F_1)이 액추에이터력(F_2)보다 단지 약간만 큰 것을 의미한다. 핀(34)은 온건한 방식으로 밀봉 요소(36)와 접촉하게 될 수 있고 따라서 밀봉 시트(38)에 대한 밀봉 요소(36)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고, 그 결과 밸브(20)가 효과적으로 개방 유지될 수 있다. 핀(34)의 저속 이동의 결과로서, 밸브(20)에 의한 노이즈의 발생은 매우 작게 유지될 수 있고, 밸브(20)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뢰적으로 충분히 고속으로 개방될 수 있다. 더욱이, 핀(34)의 저속 이동의 결과로서 밸브(20)의 마모가 낮게 유지될 수 있다.
전류의 초기값(I_0) 및 전류의 최종값(I_F)이 전류의 기준값(I_REF)이 초기값(I_O)과 최종값(I_F) 사이에 중간에 놓이는 방식으로 사전 규정되면 특히 유리하다. 이는 밸브(20)의 매우 확고한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기준값(I_REF)은 대응 방식으로 펄스폭 변조 전류의 펄스 듀티비를 적응함으로써 전류의 초기값(I_0) 및 최종값(I_F)에 대해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전류의 기준값(I_REF)은 전류의 초기값(I_0)으로부터 전류의 최종값(I_F)으로의 전류 프로파일의 구배를 적응시킴으로써 적응될 수 있다.

Claims (12)

  1. 스프링력(F_1)을 갖는 스프링(32), 스프링력(F_1)에 반작용하는 액추에이터력(F_2)을 갖는 액추에이터(42) 및 상기 액추에이터(42)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핀(34)을 갖는 밸브(20)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밸브(20)를 개방하기 위해, 제 1 작동 모드에서,
    - 상기 핀(34)이 밸브(20)가 폐쇄되는 것을 허용하는 위치에 있는 전류의 초기값(I_0)으로부터 시작하여 사전 규정된 비일정한 프로파일을 갖는 전류가 상기 액추에이터(42)에 인가되고,
    - 전류의 측정된 값(I_AV)이 연대적인 순서로 결정되고,
    - 전류의 측정된 값(I_AV)의 프로파일이 상기 액추에이터(42)에 인가된 전류의 프로파일로부터 사전 규정된 정도로 일탈하자마자 전류의 기준값(I_REF)이 전류의 현재 측정된 값(I_AV)을 취하고, 상기 전류의 기준값(I_REF)은 액추에이터력(F_2)이 스프링력(F_1)에 동일하다는 사실을 표현하고,
    제 2 작동 모드에서,
    - 전류의 초기값(I_0)으로부터 시작하여 전류의 최종값(I_F)까지 사전 규정된 비일정한 프로파일을 갖는 전류가 액추에이터(42)에 인가되고, 상기 기준값(I_REF)은 전류의 초기값(I_0)과 최종값(I_F) 사이에 놓이고 전류의 최종값(I_F)에서 상기 핀(34)은 밸브(20)가 폐쇄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위치에 있는,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작동 모드에서,
    - 사전 규정된 선형 프로파일을 갖는 전류가 상기 액추에이터(42)에 인가되고,
    - 시간 경과에 따른 전류의 변화의 현재값(I_grad)이 전류의 2개의 연속적인 측정값(I_AV)의 함수로서 결정되고,
    - 전류의 기준값(I_REF)은, 시간 경과에 따른 전류의 변화의 현재값(I_grad)이 시간 경과에 따른 전류의 변화의 이전값(I_grad_p)으로부터 사전 규정된 정도로 일탈하자마자 전류의 현재 측정된 값(I_AV)을 취하고,
    상기 제 2 작동 모드에서,
    - 사전 규정된 선형 프로파일을 갖는 전류가 상기 액추에이터(42)에 인가되는,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32)은 상기 밸브(20)를 개방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제 1 작동 모드에서,
    - 인가된 전류는 전류의 초기값(I_0)으로부터 시작하여 선형으로 감소하고, 전류의 초기값(I_0)에 대해 액추에이터력(F_2)은 스프링력(F_1)보다 크고,
    상기 제 2 작동 모드에서,
    - 상기 인가된 전류는 전류의 초기값(I_0)으로부터 시작하여 선형으로 감소하고,
    - 최종값(I_F)은 기준값(I_REF)보다 작은,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가된 전류는 펄스폭 변조의 함수로서 설정되는,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전류의 측정된 값(I_AV)을 결정하기 위한 시점은 펄스폭 변조된 전류의 최대값의 시점에 의존하는,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펄스폭 변조의 주파수는 전류의 측정된 값(I_AV)을 결정하기 위한 시점에 의존하는,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류의 측정된 값(I_AV)은 션트 저항에서의 전압의 함수로서 결정되는,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류의 기준값(I_REF)은 밸브(20) 내의 또는 밸브(20)의 사전 규정된 영역 내의 유체의 온도의 함수로서 결정되는,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20)는 내연기관의 분사 시스템 내에 배열되고, 전류의 기준값(I_REF)은 내연기관의 특성값의 함수로서 결정되는,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류의 기준값(I_REF)은 작동점 의존 특성 다이어그램에 저장되는,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류의 초기값(I_0) 및 전류의 최종값(I_F)은 전류의 기준값(I_REF)이 초기값(I_0)과 최종값(I_F)의 산술 평균인 방식으로 사전 규정되는,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12. 스프링력(F_1)을 갖는 스프링(32), 스프링력(F_1)에 반작용하는 액추에이터력(F_2)을 갖는 액추에이터(42) 및 상기 액추에이터(42)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핀(34)을 갖는 밸브(20)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 1 작동 모드에서,
    - 상기 핀(34)이 밸브(20)가 폐쇄되는 것을 허용하는 위치에 있는 전류의 초기값(I_0)으로부터 시작하여 사전 규정된 비일정한 프로파일을 갖는 전류를 상기 액추에이터(42) 상에 인가하고,
    - 전류의 연대적으로 연속적으로 측정된 값(I_AV)을 결정하고,
    - 전류의 측정된 값(I_AV)의 프로파일이 상기 액추에이터(42)에 인가된 전류의 프로파일로부터 사전 규정된 정도로 일탈하자마자 전류의 기준값(I_REF)에 의해 전류의 현재 측정된 값(I_AV)을 취하고, 상기 전류의 기준값(I_REF)은 액추에이터력(F_2)이 스프링력(F_1)에 동일하다는 사실을 표현하고,
    제 2 작동 모드에서,
    - 전류의 초기값(I_0)으로부터 시작하여 전류의 최종값(I_F)까지 사전 규정된 비일정한 프로파일을 갖는 전류를 액추에이터(42)에 인가하고, 상기 기준값(I_REF)은 전류의 초기값(I_0)과 최종값(I_F) 사이에 놓이고 전류의 최종값(I_F)에서 상기 핀(34)은 밸브(20)가 폐쇄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위치에 있도록 설계되는,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KR1020127034235A 2010-06-02 2011-05-30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8324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22536.3 2010-06-02
DE102010022536A DE102010022536A1 (de) 2010-06-02 2010-06-02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eines Ventils
PCT/EP2011/058838 WO2011151288A1 (de) 2010-06-02 2011-05-30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eines venti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251A KR20130111251A (ko) 2013-10-10
KR101832473B1 true KR101832473B1 (ko) 2018-02-26

Family

ID=44484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4235A KR101832473B1 (ko) 2010-06-02 2011-05-30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03458B2 (ko)
KR (1) KR101832473B1 (ko)
CN (1) CN103026038B (ko)
DE (1) DE102010022536A1 (ko)
WO (1) WO20111512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22536A1 (de) 2010-06-02 2011-12-0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eines Ventils
JP5577289B2 (ja) * 2011-03-30 2014-08-20 アズビル株式会社 ポジショナ
DE102011075269B4 (de) 2011-05-04 2014-03-0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eines Ventils
JP6011447B2 (ja) * 2013-05-10 2016-10-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噴射弁の制御装置
JP5772884B2 (ja) * 2013-06-24 2015-09-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噴射弁駆動システム
EP2860390A1 (en) 2013-10-10 2015-04-1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Flow distribution measurement of a liquid spray stream by cooling a sensing wire
DE102014206231A1 (de) * 2014-04-02 2015-10-0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Hochdruckpumpe eines Einspritzsystems und Einspritzsystem
DE102014219536B4 (de) * 2014-09-26 2022-02-03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r Ermittlung einer Betätigungskraft eines Stellaktuators sowie Betätigungseinrichtung mit einem Stellaktuator
DE102015219036A1 (de) * 2015-10-01 2017-04-0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Hochdruckpumpe für einen Brennkraftmotor
JP6464076B2 (ja) * 2015-11-17 2019-02-06 ヤンマー株式会社 燃料噴射ポンプ
DE102016219954B3 (de) * 2016-10-13 2018-01-2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m Überprüfen eines Drucksensors eines Hochdruckeinspritzsystems, Steuervorrichtung, Hochdruckeinspritzsystem und Kraftfahrzeug
EP3346121B1 (de) * 2017-01-10 2019-09-1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Magnetventil für ein kraftstoffeinspritzsystem und kraftstoffhochdruckpumpe
DE102017207685A1 (de) * 2017-05-08 2018-11-0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Ansteuern mindestens eines Magnetventil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42836A1 (de) 1989-12-23 1991-06-27 Daimler Benz Ag Verfahren zur bewegungs- und lagezustandserkennung eines durch magnetische wechselwirkung zwischen zwei endpositionen beweglichen bauteiles eines induktiven elektrischen verbrauchers
US20050066940A1 (en) 2003-09-26 2005-03-31 Sheikh Ahmed Esa Apparatus and method for accurate detection of locomotive fuel injection pump solenoid closure
WO2007090228A1 (en) 2006-02-06 2007-08-16 Orbital Australia Pty Limited Fuel injectio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8703213A1 (es) * 1985-04-25 1987-02-16 Kloeckner Wolfgang Dr Procedimiento para el accionamiento de una maquina motriz de combustion interna
JP3165930B2 (ja) 1992-03-26 2001-05-14 株式会社ボッシュオートモーティブシステム 燃料噴射装置
GB9420617D0 (en) * 1994-10-13 1994-11-30 Lucas Ind Plc Drive circuit
DE19745536C1 (de) * 1997-10-15 1999-05-27 Siemens Ag Verfahren zum Steuern eines elektromechanischen Stellgeräts
EP1131541B1 (en) * 1998-11-06 2002-09-11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Method of compensation for flux control of an electromechanical actuator
US6128175A (en) * 1998-12-17 2000-10-03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nically reducing the impact of an armature in a fuel injector
DE19860272B4 (de) * 1998-12-24 2005-03-10 Conti Temic Microelectroni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mindern der Geräuschentwicklung bei elektromagnetisch betätigten Vorrichtungen
DE19920181A1 (de) * 1999-05-03 2000-11-09 Fev Motorentech Gmbh Verfahren zur Regelung der Ankerauftreffgeschwindigkeit an einem elektromagnetischen Aktuator durch eine kennfeldgestützte Regelung der Bestromung
JP3800896B2 (ja) * 1999-12-03 2006-07-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磁アクチュエータの制御装置
GB2377025A (en) 2001-06-29 2002-12-31 Motorola Inc A valve closure detection method and means
US6741441B2 (en) * 2002-02-14 2004-05-25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Electromagnetic actuator system and method for engine valves
JP3743396B2 (ja) * 2002-06-10 2006-02-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磁駆動弁の制御装置
DE10347056A1 (de) 2003-10-07 2005-05-12 Daimler Chrysler Ag Verfahren zur Regelung eines Magnetventils
DE102004062073B4 (de) * 2004-12-23 2015-08-13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mpensation von Prelleffekten in einem piezogesteuerten Einspritzsystem einer Verbrennungskraftmaschine
FR2906593B1 (fr) * 2006-10-03 2008-12-05 Valeo Sys Controle Moteur Sas Dispositif et procede de commande d'une soupape avec controle de l'energie consommable.
GB2450523A (en) 2007-06-28 2008-12-31 Woodward Governor Co Method and means of controlling a solenoid operated valve
EP2060762A1 (en) 2007-11-15 2009-05-20 Delphi Technologies, Inc. Glitch detector and method of detecting glitch events
DE102010022536A1 (de) 2010-06-02 2011-12-0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eines Ventils
EP2402584A1 (en) * 2010-06-30 2012-01-04 Hitachi Ltd. Method and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igh-pressure fuel supply pump
EP2453122B1 (en) * 2010-11-12 2016-09-07 Hitachi, Ltd. Method and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igh-pressure fuel supply pump configured to supply pressurized fuel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42836A1 (de) 1989-12-23 1991-06-27 Daimler Benz Ag Verfahren zur bewegungs- und lagezustandserkennung eines durch magnetische wechselwirkung zwischen zwei endpositionen beweglichen bauteiles eines induktiven elektrischen verbrauchers
US20050066940A1 (en) 2003-09-26 2005-03-31 Sheikh Ahmed Esa Apparatus and method for accurate detection of locomotive fuel injection pump solenoid closure
WO2007090228A1 (en) 2006-02-06 2007-08-16 Orbital Australia Pty Limited Fuel injec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0022536A1 (de) 2011-12-08
WO2011151288A1 (de) 2011-12-08
CN103026038B (zh) 2015-11-25
US9103458B2 (en) 2015-08-11
CN103026038A (zh) 2013-04-03
US20130134335A1 (en) 2013-05-30
KR20130111251A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473B1 (ko)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941948B1 (ko) 밸브 제어 방법 및 장치
US9316478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when a closing point of a hydraulic valve has been reached
US5904126A (en) Pump control system
US9200580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n injection valve
US20110118958A1 (en) Method for adapting the performance of a fuel prefeed pump of a motor vehicle
US20090114003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a diverter valv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a compressor
US7905136B2 (en) Method of operating a fuel injector
US11193442B2 (en) Fuel injection control device
KR102069928B1 (ko)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6415770B1 (en) High pressure fuel supply system and method
JP4436939B2 (ja) 内燃機関の作動方法、記憶媒体及び内燃機関
EP1201905B1 (en) A device for detecting failure in a high pressure fuel supply system
KR102170835B1 (ko) 고압 분사 시스템의 압력 센서를 검사하기 위한 방법, 제어 장치, 고압 분사 시스템 및 모터 차량
JP5724953B2 (ja) 燃料噴射弁の異常判定装置
KR20110010825A (ko) 고압 연료 펌프 제어 방법
JP2007040265A (ja) 燃料噴射装置の製造方法
KR20180122683A (ko) 저압 펌프의 작동을 위한 조작 변수에 대한 설정 값의 결정 방법
JP2019529783A (ja) 自動車の高圧噴射システムの高圧ポンプを動作させる方法ならびに制御装置および自動車
US20240151189A1 (en) Fuel Injection Control Device
US20050121535A1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and regulating the closing and opening times of a piezo control valve
AU695103B2 (en) Pump control system
US20170030288A1 (en) Method for Operating a High Pressure Pump of an Injection System and an Inj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