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352B1 -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 - Google Patents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352B1
KR101832352B1 KR1020160119797A KR20160119797A KR101832352B1 KR 101832352 B1 KR101832352 B1 KR 101832352B1 KR 1020160119797 A KR1020160119797 A KR 1020160119797A KR 20160119797 A KR20160119797 A KR 20160119797A KR 101832352 B1 KR101832352 B1 KR 101832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g
fluid
flow
discharge slit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예
김도헌
손민
송우석
김진원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아트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아트닉스 filed Critical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19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3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2B27/2292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이 개시되며, 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은 내부를 따라 제1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핀틀 로드 및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유로와 연결되는 제1 분사 출구가 형성되는 핀틀 팁을 포함하는 핀틀부; 상기 제1 유로에 산화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1 유로의 상단을 둘러싸는 산화제 공급부; 및 상기 핀틀 로드의 외주면을 따라 제2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핀틀 팁과의 사이에 제2 분사 출구가 형성되도록 상기 핀틀부를 간격을 두고 둘러싸는 연료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핀틀 로드는 그 외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연료 공급부는, 상기 제2 유로로 연료를 공급하도록 상기 격벽의 상측에 형성되는 연료 공급 챔버 및 상기 격벽의 하측에 형성되는 압력 보상 챔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GENERATION MODULE OF THE BIG FOG SCREEN}
본원은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안개를 분사하여 형성된 안개 스크린에 광 영상을 영사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안개 스크린 형성 방법은, 안개 스크린에 대응하는 영역의 하단 부분까지 안개가 일정하게 공급 및 유지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고, 안개 스크린의 선명도가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1883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개 스크린의 하단까지 안개가 일정하게 분사되고, 높은 선명도를 확보할 수 있는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은,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유체를 공급받아 포그를 생성하여 포그 배출구로 배출하는 포그 발생기 모듈; 및 상기 포그 발생기 모듈의 상측에 위치하며, 외부 공기를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공급하는 기류 형성 팬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는, 상기 포그 배출구에 대응하여 포그 배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포그 발생기 모듈의 앞쪽 및 뒤쪽 각각에 기류 배출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본원의 제2 측면에 따른 포그 발생기 모듈은, 유체를 공급받아 포그를 생성하는 포그 발생 장치; 및 상기 포그 발생 장치에서 생성된 포그를 공급받아 포그 배출구로 하향 이동시키는 포그 이동 경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포그를 생성하는 포그 발생기 모듈의 포그 배출구에 대응하여 포그 배출 슬릿이 형성되고 포그 발생기 모듈의 앞쪽 및 뒤쪽 각각에 기류 배출 슬릿이 형성됨으로써, 포그 배출 슬릿을 통해 포그가 배출되어 형성되는 안개 스크린을 사이에 두고 안개 스크린의 전방 및 후방 각각에 기류가 형성될 수 있어, 안개 스크린을 형성하는 포그가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안개 스크린의 하단까지 이룰 수 있고, 안개 스크린의 선명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을 그 하우징 내부의 일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플레이트를 상측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플레이트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 1에서 하부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는 구성 및 펌프의 도시를 점선으로 간략화하거나 생략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그 발생기 모듈을 내부까지 투시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입체도이다.
도 4a는 포그 발생 장치의 포그 이동 경로부와 이웃하는 면이 제거된 포그 발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4b는 포그 공급 슬릿을 설명하기 위해 포그 발생 장치의 포그 이동 경로부와 이웃하는 면이 제거되지 않은 포그 발생 장치를 도 4a와는 다른 시점에서 바라보고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그 발생기 모듈을 하측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보고 내부까지 투시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입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상단, 하측, 하단, 전방, 앞쪽, 후방, 뒤쪽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상단,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하단, 전반적으로 4시 방향이 전방 및 앞쪽, 전반적으로 10시 방향이 후방 및 뒤쪽 등이 될 수 있다. 전방, 앞쪽, 후방 및 뒤쪽과 관련된 또 다른 예로, 도 2a에서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후방 및 뒤쪽,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전방 및 앞쪽 등이 될 수 있다. 다만,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의 실제적인 적용에 있어서,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은 그 필요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상태 이외에도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은 스크린이 형성되도록 안개를 일정하게 공급 및 유지시키는 장치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에 따르면, 기존의 안개 스크린보다 큰 안개 스크린이 형성될 수 있고, 안개 스크린 사용을 통한 광고 효과 극대화로 제품 수요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본원의 발명의 명칭에 있어서 "대형"이라는 용어는 안개 스크린의 크기를 소정 크기 이상으로만 한정하려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되며, 기존의 안개 스크린보다 크면서도 높은 선명도를 가질 수 있는 안개 스크린이 충분히 제공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이하 '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라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을 그 하우징 내부의 일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은 하우징(1)을 포함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은 포그 발생기 모듈(2)을 포함한다. 포그 발생기 모듈(2)은 유체를 공급받아 포그(fog, 안개)를 생성하여 후술할 포그 배출구(2211)로 배출한다. 예시적으로, 유체는 물에 오일을 첨가한 나노에머젼일 수 있다. 여기서, 물은 정수된 물일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포그 발생기 모듈(2)은 하우징(1)의 하부 플레이트(12) 상에 배치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1)의 상측에는 개구부(11)가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은 기류 형성 팬(3)을 포함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류 형성 팬(3)은 포그 발생기 모듈(2)의 상측에 위치한다. 또한, 기류 형성 팬(3)은 외부 공기를 개구부(11)를 통해 하우징(1) 내부로 공급한다.
도 2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플레이트를 상측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플레이트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 1에서 하부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는 구성 및 펌프의 도시를 점선으로 간략화하거나 생략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2a 및 도 2b는 포그 발생기 모듈이 복수개 배치되는 경우(예를 들면, 포그 배출 슬릿 및 포그 발생기 모듈 뒤쪽의 기류 배출 슬릿이 포그 발생기 모듈 앞쪽의 기류 배출 슬릿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 대칭되게 각 2개씩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하고, 먼저 뒤쪽(도 2b 기준 10시 방향 쪽)에 배치된 포그 발생기 모듈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하우징(1)의 하부 플레이트(12)에는, 포그 배출 슬릿(121)이 형성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포그 배출 슬릿(121)은 포그 배출구(2211)에 대응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2b를 참조하면, 포그 발생기 모듈(2)은 포그 배출구(2212)가 포그 배출 슬릿(121)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a에는 포그 발생기 모듈(2)의 위치(2')가 점선으로 도시되었다. 이에 따라,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포그 발생기 모듈(2)이 배출한 포그가 포그 배출 슬릿(121)을 통해 하우징(1)의 하측으로 이동되어 안개 스크린(9)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안개 스크린(9)은 사각 평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유체가 물에 오일이 첨가된 나노에머젼인 경우, 유체의 점도가 높아져 발생된 포그가 스크린(9)의 하단까지 충분히 공급 및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b를 참조하면, 포그 배출 슬릿(121)은 형성하고자 하는 안개 스크린(9)의 폭에 대응하여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공 형태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하부 플레이트(12)에는 기류 배출 슬릿(122a, 122b)이 형성된다.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류 배출 슬릿(122a, 122b)은 포그 발생기 모듈(2)의 앞쪽 및 뒤쪽 각각에 형성된다.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류 형성 팬(3)에 의해 하우징(1) 내부로 공급된 기류는 기류 배출 슬릿(122a, 122b)을 통해 하우징(1)의 하측으로 이동되며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기류 배출 슬릿(122a, 122b)이 포그 발생기 모듈(2)의 앞쪽 및 뒤쪽 각각에 형성되므로, 앞쪽에 형성되는 기류 배출 슬릿(122a) 및 뒤쪽에 형성되는 기류 배출 슬릿(122b) 사이에는 포그 배출 슬릿(121)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개 스크린(9)을 이루는 포그가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안개 스크린(9)의 하단까지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앞뒤 양측 기류에 의해 외부 공기 흐름 등 안개 스크린의 전면 및 후면에 대한 주변 환경의 영향이 최소화되거나 차단될 수 있어, 안개 스크린(9)을 이루는 안개의 분산이 최소화될 수 있고, 스크린 면이 보다 일정하고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개 스크린(9)의 하단 부분까지 일정하게 분사되기 어려웠던 종래와 달리, 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이 형성하는 안개 스크린(9)은 하단 부분의 선명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기류 배출 슬릿(122a, 122b)은 형성하고자 하는 안개 스크린(9)의 폭에 대응하여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공 형태일 수 있다. 외부 공기가 기류 배출 슬릿(122a, 122b)을 통과하여 형성하는 기류는 안개 스크린(9)의 폭과 동일하거나, 안개 스크린(9)의 폭보다 큰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류는 안개 스크린(9) 전폭을 커버하며 안개 스크린(9)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도 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포그 배출 슬릿(121)과 기류 배출 슬릿(122a, 122b)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형성되는 안개 스크린(9)의 전면 및 후면의 보다 일정하고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포그 발생기 모듈(2)은 기류 형성 팬(3)에 의해 공급되는 외부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포그 발생기 모듈(2)의 앞쪽 및 뒤쪽에 형성된 기류 배출 슬릿(122a, 122b) 중 어느 하나로 흘러 가는 흐름 경로(131)가 형성되도록, 하우징(1)의 전방 플레이트(13) 및 후방 플레이트(14) 중 어느 하나와 흐름 경로(131)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공기는 흐름 경로(131)를 따라 이동하며 기류 배출 슬릿(122a, 122b)을 통과하기 전부터 일정한 하향 기류를 형성한 상태에서 기류 배출 슬릿(122a, 122b)으로 유입되므로, 보다 균일하게 기류 배출 슬릿(122a, 122b)을 통과할 수 있고, 하부 플레이트(12)의 하측에서 보다 강한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류 형성 팬(3)은 횡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는 횡류형 팬일 수 있다. 종래의 안개 공급 장치는 원심형 팬을 사용하였기에, 안개를 스크린에 일정하게 공급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본 안개 스크린 형성 모듈에 의하면, 기류 형성 팬(3)에 횡 방향(도 1 기준 2시-8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기류 배출 슬릿(122a, 122b)에 대응하는 횡류형 팬이 적용됨으로써, 기류 배출 슬릿(122a, 122b)에 횡 방향을 따라 보다 편차 없이 균일하게 외부 공기가 공급될 수 있고, 기류를 하부 플레이트(12)의 하측으로 보다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은 탱크(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탱크(4)는 상부가 개구될 수 있다. 또한, 탱크(4)는 하부 플레이트(12)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를 두고 하측에 이격 배치되어, 포그 배출 슬릿(121)을 통과한 포그가 액화된 유체를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거리는, 형성하고자 하는 안개 스크린(9)(예를 들면, 사각 형상의 스크린 영역)의 높이 이상일 수 있다. 안개 스크린(9)을 형성하는 포그는 안개 스크린(9)의 하단에 대응하는 영역까지 공급된 후 그 하측에 배치된 탱크(4) 내로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포그 배출 슬릿(121)을 통과한 포그는 안개 스크린(9)을 형성하고, 또한, 탱크(4)의 개구된 부분의 횡 방향 폭은 포그 배출 슬릿(121)의 횡 방향 폭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안개 스크린(9)의 전폭을 이루는 포그가 탱크(4)의 외측으로 낙하하지 않고 온전히 탱크(4) 내로 낙하되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은 펌프부(44)를 포함한다. 펌프부(44)는 탱크(4) 내의 유체를 포그 발생기 모듈(2)로 공급할 수 있다.
즉, 안개 스크린(9) 형성 후, 액화된 유체는 탱크(4)에 저장되고 펌프(44)와 펌프의 라인을 통해 포그 발생기 모듈(2)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탱크(4)의 바닥면은 어느 한쪽으로 경사구배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탱크(4) 내의 유체는 어느 한쪽으로 모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탱크(4)의 바닥면은 펌프부(44)로의 유체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펌프부(44)가 탱크(4)로부터 물을 유입하는 부분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구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에 있어서, 도 1, 도 2a 및 도 2b를 함께 참조하면, 포그 발생기 모듈(2), 포그 배출 슬릿(121) 및 포그 발생기 모듈(2) 뒤쪽의 기류 배출 슬릿(122b) 등의 관련 구성들은, 안개 스크린(9)이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이중으로 형성되도록, 포그 발생기 모듈(2) 앞쪽(도 1에서 10시 방향 뒤쪽의 포그 발생기 모듈(2) 기준으로 그 앞쪽)의 기류 배출 슬릿(122a)을 기준(중심)으로 전후 방향(도 1 기준 10시-4시 방향)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면부호 122a의 기류 배출 슬릿을 중간 기류 배출 슬릿(122a)이라 칭하고, 도면부호 122b의 기류 배출 슬릿을 외측 기류 배출 슬릿(122b)이라 칭하기로 한다.
이에 따르면,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장치는,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된 2개군의 포그 발생기 모듈(2)(예시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포그 발생기 모듈(2)는 1개군 당 2개씩 횡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2 개군의 포그 발생기 모듈(2) 각각이 2 개의 포그 배출 슬릿(121) 각각을 통해 포그를 배출함으로써, 이중 안개 스크린(9)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2 개의 안개 스크린(9) 사이에는 중간 기류 배출 슬릿(122a)을 통해 기류가 형성될 수 있고, 2 개의 안개 스크린(9)의 전방 및 후방 각각에도 외측 기류 배출 슬릿(122b)을 통해 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중간 기류 배출 슬릿(122a)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를 통해 2개의 안개 스크린(9)이 상호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안개 스크린(9)이 보다 명확하게 2중 형성될 수 있어, 스크린 선명도를 보다 높일 수 있고, 안개 스크린(9)을 보다 대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a를 참조하면, 2개의 포그 배출 슬릿(121)은 외측 기류 배출 슬릿(122b)보다 중간 기류 배출 슬릿(122a)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중 안개 스크린(9)의 상호 대향하는 면이 중간 기류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보다 일정하고 균일한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어, 이중 안개 스크린(9)에 의한 선명도 향상 효과가 보다 높게 발휘될 수 있다.
또한, 이중 안개 스크린(9)이 전후 방향 양측의 외측 기류 배출 슬릿(122b) 사이에 위치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이중 안개 스크린(9)은 외측 기류 배출 슬릿(122)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에 의해 주변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2 개의 포그 발생기 모듈(2) 중 하나의 포그 발생기 모듈(2)(도 1 기준 10시 방향 뒤쪽의 포그 발생기 모듈)과 하우징(1)의 후방 플레이트(14) 사이에는 흐름 경로(131)와 대응하는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포그 발생기 모듈(2)(도 1 기준 4시 방향 앞쪽의 포그 발생기 모듈)과 하우징(1)의 전방 플레이트(13) 사이에는 흐름 경로(131)와 대응하는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앞쪽의 포그 발생기 모듈(2)과 뒤쪽의 포그 발생기 모듈(2) 사이에 중간 기류 배출 슬릿(122a)으로 외부 공기가 이동되는 소정의 경로가 형성되도록, 앞쪽의 포그 발생기 모듈(2)과 뒤쪽의 포그 발생기 모듈(2)은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즉,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포그 발생기 모듈(2)은 중간 기류 배출 슬릿(122a) 및 외측 기류 배출 슬릿(122b) 상에 소정의 외부 공기 이동 경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중간 기류 배출 슬릿(122a) 및 외측 기류 배출 슬릿(122b)을 가리지 않는 범위에서 하우징(13) 내부에 적정히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그 발생기 모듈을 내부까지 투시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입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에 있어서, 포그 발생기 모듈(2)은 포그 발생 장치(21)를 포함할 수 있다. 포그 발생 장치(21)는 유체를 공급받아 포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a는 포그 발생 장치의 포그 이동 경로부와 이웃하는 면이 제거된 포그 발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4b는 포그 공급 슬릿을 설명하기 위해 포그 발생 장치의 포그 이동 경로부와 이웃하는 면이 제거되지 않은 포그 발생 장치를 도 4a와는 다른 시점에서 바라보고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a를 참조하면, 포그 발생 장치(21)는 포그를 생성하는 포그 발생기(2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그 발생 장치(21)는 포그 발생기(212)의 상측에 배치되어 포그 생성을 위한 유체를 공급받아 수용하는 스토리지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포그 발생기(212)는 스토리지부(213)에 수용된 유체를 가진시켜 포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토리지부(213)는 유체를 전달받아 하향 분무하는 분무 노즐 유닛(2131)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펌프부(44)에 의해 탱크(4)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는 분무 노즐 유닛(2131)으로 전달될 수 있고, 분무 노즐 유닛(2131)은 펌프부(44)에 의해 공급 받은 유체를 하향 분무할 수 있다. 이처럼 분무를 통해 흐름판(2132) 상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횡 방향에 대한 유체 공급의 균일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4a를 참조하면, 스토리지부(213)는 분무 노즐 유닛(2131)의 하측에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흐름판(21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부(213)는 흐름판(2132)의 비스듬한 상면을 흘러 이동한 유체를 전달받아 수용하는 스토리지 유닛(213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이러한 포그 발생 장치(21)에 있어서, 포그 발생기(212)는 횡 방향(도 4a 기준 대략 2시-4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분무 노즐 유닛(2131)은 복수 개가 횡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토리지 유닛(2133)에는 횡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유체 수용부(213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도면에는 명확히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포그 발생기(212)는 복수 개의 유체 수용부(21331) 각각의 하측에 위치하여 복수 개의 유체 수용부 각각에 수용된 유체를 가진시키는 진동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유체 수용부(21331) 내 로부터 포그가 형성될 수 있고, 형성된 포그는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포그 공급 슬릿(211) 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포그 공급 슬릿(211)을 통과하여 포그 이동 경로(2212)로 진입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진동자는 고주파 진동자일 수 있다.
기존의 안개 발생 장치는 물에 잠긴 상태에서 작동하여 포그를 발생시켰기 때문에, 장치에 이물질이 생기기 쉬웠다. 그러나, 상술한 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은 스토리지부(213)만 유체와 접촉되고, 유체를 가진하는 포그 발생기(212)가 스토리지부(213)와 별도로 스토리지부(213)의 하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포그 발생기(212)에 이물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흐름판(2132)은 복수 개의 분무 노즐 유닛(2131)으로부터 분무된 유체가 복수 개의 유체 수용부(21331)로 나뉘어 전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흐름판(2132)은 횡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유체 수용부(21331) 각각은, 공급되는 유체의 수위가 서로 동일해지도록, 동일한 레벨에 마련된 유량 제어용 수로(21332)를 통해 이웃하는 유체 수용부(21331)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분무 노즐 유닛(2131)의 분무 및 흐름판(2132)의 분배에 의해 복수 개의 유체 수용부(21331)에는 유체가 상당히 균일하게 공급 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유체 수용부(21331) 별로 공급되는 유체량에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유량 제어용 수로(21332)에 의해 복수 개의 유체 수용부(21331)의 유체 레벨이 서로 동일해지는 방향으로 수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들간의 유기적인 조합에 의한 작용을 통해, 복수 개의 유체 수용부(21331) 각각의 유체량은 서로 동일해지도록 충분히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유체 수용부(21331)는 포그 발생기(212)로 유체를 공급하는 하단의 홀 크기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유체 수용부(21331)가 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포그 발생기(212) 상에서 횡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복수 개의 유체 수용부(21331)는 포그 발생기(212)로 유체를 공급하는 하단의 홀 크기가 서로 동일함으로써, 포그 발생기(212)의 횡 방향을 따라 유체가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에 따르면,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포그 발생기(212)의 상측에 스토리지 유닛(2133)이 배치되는데, 예시적으로, 포그 발생기(212)에 의해 유체 수용부(21331) 내에서 생성된 포그는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포그 공급 슬릿(211) 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포그 공급 슬릿(211)을 통과하여 포그 이동 경로(2212)로 진입될 수 있다. 유체 수용부(21331) 내로의 유체 공급 측면과 발생된 포그의 이동 측면을 고려하면,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분무 노즐 유닛(2131)과 스토리지 유닛(2133)은 서로 오버랩되지 않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토리지부(213)는 분무 노즐 유닛(2131)으로부터 분무된 유체가 흐름판(2132) 및 스토리지 유닛(2133)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흐름판(2132) 및 스토리지 유닛(2133)의 양측에 구비되는 측면판(213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판(2135)에 의해 분무 노즐 유닛(2131)에서 분무된 유체가 옆으로 흘러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4a를 참조하면, 스토리지부(213)는 유체받이(2136)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받이(2136)는 스토리지 유닛(2133)의 용량을 초과한 유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그 발생기 모듈을 하측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보고 내부까지 투시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입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포그 발생기 모듈(2)은 포그 발생 장치(21)에서 생성된 포그를 공급받아 포그 배출구(2211)로 하향 이동시키는 포그 이동 경로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포그 이동 경로부(22)는, 하단에 포그 배출구(2211)가 형성되고, 포그 배출구(2211) 상에 상하 방향을 따라 포그 이동 경로(2212)가 형성되는 케이스(2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그 이동 경로부(22)는 포그 이동 경로(2212)의 최상단에 배치되어 포그 이동 경로(2212) 내의 포그를 하향 이동시키는 유동력을 제공하는 안개 유동 팬(22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포그 배출구(2211) 및 포그 이동 경로(2212)의 횡단면은, 포그 배출 슬릿(121)으로부터 배출되는 포그의 횡 방향에 대한 균일성이 높아지도록, 포그 배출 슬릿(121)에 대응하여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포그 발생 장치(21)는 포그 이동 경로부(22)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포그 발생 장치(21)는 포그 이동 경로부(22)와 이웃하는 면에 포그 이동 경로부(22)에 포그를 공급하는 포그 공급 슬릿(2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포그 공급 슬릿(211)은 포그 이동 경로(2212)로 공급되는 포그의 횡 방향에 대한 균일성이 높아지도록,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포그 발생기(212)가 생성한 포그가 포그 공급 슬릿(211)을 통해 포그 이동 경로(2212)로 이동하는데 있어, 포그의 이동의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토리지 유닛(2133)과 포그 발생기(212)를 중심으로 흐름판(2132)과 분무 노즐 유닛(2131)이 배치된 쪽의 반대편에 포그 발생 장치(21)의 포그 이동 경로부(22)와 이웃하는 면 및 포그 공급 슬릿(21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안개 유동 팬(224)은, 포그 이동 경로(2212) 내에서 하향 이동되는 포그의 횡 방향에 대한 균일성이 높아지도록, 복수 개가 횡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구비될 수 있다.
기존의 안개 발생 장치는 물에 잠긴 상태에서 작동하여 장치에 이물질이 생기기 쉬웠으나, 상술한 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은 모듈화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부분만 물에 잠기게 하는 장치와 물에 오일을 첨가하여 점도를 높인 유체(나노에머젼)가 스크린 하단까지 분무되는 구조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기존의 안개 공급 장치는 원심형 팬을 사용하여 안개 스크린으로 형성하는데 있어 안개의 일정한 공급이 어려웠으나, 상술한 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은 횡류형 팬과 두 개의 스크린을 이용하여 대형 안개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그 발생기 모듈(이하 '본 포그 발생기 모듈'이라 함)(2)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포그 발생기 모듈(2)은 전술한 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에 포함되는 구성이므로, 앞서 살핀 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포그 발생기 모듈(2)은 포그 발생 장치(21)를 포함한다. 포그 발생 장치(21)는 유체를 공급받아 포그를 생성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포그 발생 장치(21)는 포그를 생성하는 포그 발생기(2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a를 참조하면, 포그 발생 장치(21)는 포그 발생기(212)의 상측에 배치되어 포그 생성을 위한 유체를 공급받아 수용하는 스토리지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포그 발생기(212)는 스토리지부(213)에 수용된 유체를 가진시켜 포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토리지부(213)는 유체를 전달받아 하향 분무하는 분무 노즐 유닛(21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토리지부(213)는 분무 노즐 유닛(2131)의 하측에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흐름판(21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토리지부(213)는 흐름판(2132)의 비스듬한 상면을 흘러 이동한 유체를 전달받아 포그 발생기(212)로 공급하는 스토리지 유닛(21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포그 발생 장치(21)에 있어서,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포그 발생기(212)는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무 노즐 유닛(2131)은 복수 개가 횡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토리지 유닛(2133)에는 횡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유체 수용부(213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포그 발생기(212)는 복수 개의 유체 수용부(21331) 각각의 하측에 위치하여 복수 개의 유체 수용부 각각에 수용된 유체를 가진시키는 진동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흐름판(2132)은 복수 개의 분무 노즐 유닛(2131)으로부터 분무된 유체가 복수 개의 유체 수용부(21331)로 나뉘어 전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유체 수용부(21331) 각각은, 공급되는 유체의 수위가 서로 동일해지도록, 동일한 레벨에 마련된 유량 제어용 수로(21332)를 통해 이웃하는 유체 수용부(21331)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토리지부(213)는 분무 노즐 유닛(2131)으로부터 분무된 유체가 흐름판(2132) 및 스토리지 유닛(2133)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흐름판(2132) 및 스토리지 유닛(2133)의 양측에 구비되는 측면판(213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판(2135)에 의해 유체가 옆으로 흘러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본 포그 발생기 모듈(2)은 포그 발생 장치(21)에서 생성된 포그를 공급받아 포그 배출구(2211)로 하향 이동시키는 포그 이동 경로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포그 이동 경로부(22)는, 하단에 포그 배출구(2211)가 형성되고, 포그 배출구(2211) 상에 상하 방향을 따라 포그 이동 경로(2212)가 형성되는 케이스(2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그 이동 경로부(22)는 포그 이동 경로(2212)의 최상단에 배치되어 포그 이동 경로(2212) 내의 포그를 하향 이동시키는 유동력을 제공하는 안개 유동 팬(22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포그 배출구(2211) 및 포그 이동 경로(2212)의 횡단면은, 상술한 포그 배출 슬릿(121)으로부터 배출되는 포그의 횡 방향에 대한 균일성이 높아지도록, 포그 배출 슬릿(121)에 대응하여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포그 발생 장치(21)는 포그 이동 경로부(22)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포그 발생 장치(21)는 포그 이동 경로부(22)와 이웃하는 면에 포그 이동 경로부(22)에 포그를 공급하는 포그 공급 슬릿(2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포그 공급 슬릿(211)은 포그 이동 경로(2212)로 공급되는 포그의 횡 방향에 대한 균일성이 높아지도록,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안개 유동 팬(224)은, 포그 이동 경로(2212) 내에서 하향 이동되는 포그의 횡 방향에 대한 균일성이 높아지도록, 복수 개가 횡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하우징
11: 개구부
12: 하부 플레이트
13: 전방 플레이트
131: 흐름 경로
14: 후방 플레이트
2: 포그 발생기 모듈
21: 포그 발생 장치
211: 포그 공급 슬릿
212: 포그 발생기
213: 스토리지부
2131: 분무 노즐 유닛
2132: 흐름판
2133: 스토리지 유닛
21331: 유체 수용부
21332: 수로
2135: 측면판
2136: 유체 받이
2137: 유체 구멍
22: 포그 이동 경로부
221: 케이스
2211: 포그 배출구
2212: 포그 이동 경로
224: 안개 유동 팬
9: 안개 스크린

Claims (31)

  1.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에 있어서,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유체를 공급받아 포그를 생성하는 포그 발생 장치 및 상기 포그 발생 장치에서 생성된 포그를 공급받아 포그 배출구로 하향 이동시키는 포그 이동 경로부를 포함하는 포그 발생기 모듈; 및
    상기 포그 발생기 모듈의 상측에 위치하며, 외부 공기를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공급하는 기류 형성 팬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는, 상기 포그 배출구에 대응하여 포그 배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포그 발생기 모듈의 앞쪽 및 뒤쪽 각각에 기류 배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포그 발생 장치는, 포그를 생성하는 포그 발생기 및 상기 포그 발생기의 상측에 배치되어, 포그 생성을 위한 유체를 공급받아 수용하는 스토리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그 발생기는 상기 스토리지부에 수용된 유체를 가진시켜 포그를 생성하고,
    상기 스토리지부는, 유체를 전달받아 하향 분무하는 분무 노즐 유닛, 상기 분무 노즐 유닛의 하측에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흐름판 및 상기 흐름판의 비스듬한 상면을 흘러 이동한 유체를 전달받아 수용하는 스토리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포그 발생기는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분무 노즐 유닛은 복수 개가 횡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스토리지 유닛에는 횡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함몰 형성된 복수 개의 유체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흐름판은 상기 복수 개의 분무 노즐 유닛으로부터 분무된 유체가 상기 복수 개의 유체 수용부로 나뉘어 전달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유체 수용부 각각은, 공급되는 유체의 수위가 서로 동일해지도록, 동일한 레벨에 마련된 유량 제어용 수로를 통해 이웃하는 유체 수용부와 연결되는 것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그 배출 슬릿 및 상기 기류 배출 슬릿은 형성하고자 하는 안개 스크린의 폭에 대응하여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공 형태인 것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그 배출 슬릿과 상기 기류 배출 슬릿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그 발생기 모듈은,
    상기 기류 형성 팬에 의해 공급되는 외부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포그 발생기 모듈의 앞쪽 및 뒤쪽에 형성된 기류 배출 슬릿 중 어느 하나로 흘러 가는 흐름 경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방 플레이트 및 후방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흐름 경로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그 배출구는 상기 포그 배출 슬릿 상에 횡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형성 팬은, 횡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는 횡류형 팬인 것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를 두고 하측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포그 배출 슬릿을 통과한 포그가 액화된 유체를 수용하는 탱크; 및
    상기 탱크 내의 유체를 상기 포그 발생기 모듈로 공급하는 펌프부를 더 포함하는,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는, 형성하고자 하는 안개 스크린의 높이 이상인 것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상부가 개구되고,
    상기 탱크의 개구된 부분의 횡 방향 폭은 상기 포그 배출 슬릿의 횡 방향 폭 이상인 것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그 발생기 모듈, 상기 포그 배출 슬릿 및 상기 포그 발생기 모듈 뒤쪽의 기류 배출 슬릿은, 안개 스크린이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이중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포그 발생기 모듈 앞쪽의 기류 배출 슬릿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 대칭되게 구비되는 것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그 이동 경로부는,
    하단에 상기 포그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포그 배출구 상에 상하 방향을 따라 포그 이동 경로가 형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포그 이동 경로의 최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포그 이동 경로 내의 포그를 하향 이동시키는 유동력을 제공하는 안개 유동 팬을 포함하는 것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포그 배출구 및 상기 포그 이동 경로의 횡단면은, 상기 포그 배출 슬릿으로부터 배출되는 포그의 횡 방향에 대한 균일성이 높아지도록, 상기 포그 배출 슬릿에 대응하여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포그 발생 장치는 상기 포그 이동 경로부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것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포그 발생 장치는 상기 포그 이동 경로부와 이웃하는 면에 상기 포그 이동 경로부에 포그를 공급하는 포그 공급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포그 공급 슬릿은, 상기 포그 이동 경로로 공급되는 포그의 횡 방향에 대한 균일성이 높아지도록,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것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안개 유동 팬은, 상기 포그 이동 경로 내에서 하향 이동되는 포그의 횡 방향에 대한 균일성이 높아지도록, 복수 개가 횡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것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그 발생기는 상기 복수 개의 유체 수용부 각각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 개의 유체 수용부 각각에 수용된 유체를 가진시키는 진동자를 포함하는 것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
  21. 삭제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부는,
    상기 분무 노즐 유닛으로부터 분무된 유체가 상기 흐름판 및 상기 스토리지 유닛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흐름판 및 상기 스토리지 유닛의 양측에 구비되는 측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정수된 물에 오일을 첨가한 나노에머젼인 것인,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
  24. 포그 발생기 모듈에 있어서,
    유체를 공급받아 포그를 생성하는 포그 발생 장치; 및
    상기 포그 발생 장치에서 생성된 포그를 공급받아 포그 배출구로 하향 이동시키는 포그 이동 경로부를 포함하되,
    상기 포그 발생 장치는, 포그를 생성하는 포그 발생기 및 상기 포그 발생기의 상측에 배치되어, 포그 생성을 위한 유체를 공급받아 수용하는 스토리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그 발생기는 상기 스토리지부에 수용된 유체를 가진시켜 포그를 생성하고,
    상기 스토리지부는, 유체를 전달받아 하향 분무하는 분무 노즐 유닛, 상기 분무 노즐 유닛의 하측에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흐름판 및 상기 흐름판의 비스듬한 상면을 흘러 이동한 유체를 전달받아 수용하는 스토리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포그 발생기는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분무 노즐 유닛은 복수 개가 횡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스토리지 유닛에는 횡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함몰 형성된 복수 개의 유체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흐름판은 상기 복수 개의 분무 노즐 유닛으로부터 분무된 유체가 상기 복수 개의 유체 수용부로 나뉘어 전달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유체 수용부 각각은, 공급되는 유체의 수위가 서로 동일해지도록, 동일한 레벨에 마련된 유량 제어용 수로를 통해 이웃하는 유체 수용부와 연결되는 것인, 포그 발생기 모듈.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포그 이동 경로부는,
    하단에 상기 포그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포그 배출구 상에 상하 방향을 따라 포그 이동 경로가 형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포그 이동 경로의 최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포그 이동 경로 내의 포그를 하향 이동시키는 유동력을 제공하는 안개 유동 팬을 포함하는 것인, 포그 발생기 모듈.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포그 발생기는 상기 복수 개의 유체 수용부 각각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 개의 유체 수용부 각각에 수용된 유체를 가진시키는 진동자를 포함하는 것인, 포그 발생기 모듈.
  31. 삭제
KR1020160119797A 2016-09-20 2016-09-20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 KR101832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797A KR101832352B1 (ko) 2016-09-20 2016-09-20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797A KR101832352B1 (ko) 2016-09-20 2016-09-20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2352B1 true KR101832352B1 (ko) 2018-04-13

Family

ID=61974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797A KR101832352B1 (ko) 2016-09-20 2016-09-20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3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323B1 (ko) * 2007-05-08 2009-02-02 심현섭 투과식 액체 스크린 장치 및 그 제작방법과 스크린 수용액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323B1 (ko) * 2007-05-08 2009-02-02 심현섭 투과식 액체 스크린 장치 및 그 제작방법과 스크린 수용액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2012B2 (en) Ink container for inkjet printer
CN101896353B (zh) 喷墨模组
KR101625714B1 (ko) 정전기력을 이용하는 분무식 패터닝 장치
KR101552874B1 (ko) 초입자 분무장치
CN100473533C (zh) 过滤器装置和液滴喷射装置
CN103009807B (zh) 喷墨头及喷墨记录装置
CN102381041B (zh) 液体收容容器、液体喷射系统、以及液体供给系统
CN101896357B (zh) 墨水供应系统
US20080158304A1 (en) Ink-jet head
CN102958699B (zh) 喷墨打印机
FR2913632A1 (fr) Dispositif d'impression a jet d'encre a injecteur d'air, injecteur d'air et tete d'impression grande largeur associes
JP2007276166A (ja) フィルター装置及び液滴吐出装置
JP2017001350A (ja) 液体吐出装置及び液体吐出ヘッドの保湿装置
JP6800613B2 (ja) 液体吐出装置および液体吐出ヘッド
KR101832352B1 (ko) 대형 안개 스크린 발생 모듈
JP6561987B2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6296819B2 (ja) 液体吐出ヘッドおよび液体吐出装置
JP5335466B2 (ja) 美容装置
JP2014091241A (ja) 圧力吸収用ダンパ
CN101896356B (zh) 用于墨水供应系统的冲洗泵
KR20190089572A (ko) 포그 스크린 시스템용 포그 가이드 장치
JP6376731B2 (ja) 液体吐出ヘッド及び液体吐出装置
CN109764463B (zh) 产生负离子的雾化式设备
JP6192476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GB2622589A (en) Ink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