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588B1 - 전자식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588B1
KR101831588B1 KR1020150032970A KR20150032970A KR101831588B1 KR 101831588 B1 KR101831588 B1 KR 101831588B1 KR 1020150032970 A KR1020150032970 A KR 1020150032970A KR 20150032970 A KR20150032970 A KR 20150032970A KR 101831588 B1 KR101831588 B1 KR 101831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nput
input device
input unit
locke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2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9119A (ko
Inventor
이흥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스타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스타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스타시스템
Priority to KR1020150032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588B1/ko
Publication of KR20160109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072Sign-, picture- or letter-based permut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 E05B2047/0054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using microprocessor, printed circui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 E05B2047/0056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by sensing the presence of a person, e.g. body heat sens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현관문 내부에 위치한 열림 버튼을 설정된 방향으로 조작시에만 열리는 전자식 도어록 장치가 개시된다. 본 전자식 도어록 장치는, 현관 출입 도어(Door)의 내측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상기 현관 출입 도어를 해제하도록 마련되어 제1 정상 해제 입력 및 제1 정상 해제 오류 입력을 수용하도록 하는 제1 입력부; 상기 제1 정상 해제 입력 시 상기 현관 출입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현관 출입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면 상기 현관 출입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구동부; 및 상기 제어부 및 상기 구동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 및 상기 구동부를 보호하기 위해 마련되는 하우징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현관문 내부에 위치한 열림 버튼을 단순히 눌러 조작하는 방식을 탈피하여 열림 버튼을 터치하면서 특정 방향으로 조작시에만 열리는 전자식 도어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의 강제적인 열림 버튼 조작이 완벽히 차단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전자식 도어록 장치의 보안성 및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자식 도어록 장치{Device for electronic door lock}
본 발명은 전자식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관문 내부에 위치한 열림 버튼을 설정된 방향으로 조작시에만 열리는 전자식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현관이나 주택, 공장 등의 현관문에는 외부인으로부터 내부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록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도어록 장치는 물리적으로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는 기계식과 외부입력에 따라 전기적으로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는 전자식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도어록 장치 중 기계식 도어록 장치는 열쇠 또는 비밀번호 등을 개폐 매체로 하고, 전자식 도어록 장치는 특정 전기적 입력신호인 비밀번호를 개폐 매체로 한다. 여기서 전자식 도어록 장치는 현관문 내부에 위치한 키패드의 조작에 의한 비밀번호 입력이나 현관문 내부에 위치한 열림 버튼의 조작에 따라 모터를 회전시켜 현관문을 개폐시키는 구조이다.
그러나, 기존의 전자식 도어록 장치는 외부의 침입자가 현관문의 우유투입구와 같이 보안이 취약한 곳에 단단하고 긴 물체 또는 기구를 이용하여 현관문 내부에 위치한 열림 버튼을 눌러 현관문이 열리는 등 보안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현관문 내부에 위치한 열림 버튼을 단순히 눌러 조작하는 방식을 탈피하여 열림 버튼을 터치하면서 특정 방향으로 조작시에만 열리는 전자식 도어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는, 현관 출입 도어(Door)의 내측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상기 현관 출입 도어를 해제하도록 마련되어 제1 정상 해제 입력 및 제1 정상 해제 오류 입력을 수용하도록 하는 제1 입력부; 상기 제1 정상 해제 입력 시 상기 현관 출입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현관 출입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면 상기 현관 출입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구동부; 및 상기 제어부 및 상기 구동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 및 상기 구동부를 보호하기 위해 마련되는 하우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입력부는, 외부로부터 물리력이 가해지면, 상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력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물리력에 의해 회전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추가적인 물리력이 가해지면, 상기 가해지는 추가적인 물리력이 수용되어 상기 하우징부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 입력장치; 상기 제1 입력장치의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도록 마련되며, 타단이 상기 전자식 도어록 장치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재; 상기 전자식 도어록 장치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재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삽입홈; 및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면 상기 제1 정상 해제 입력이 수용된 것으로 감지되도록 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입력부는, 상기 제1 입력장치가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제1 입력장치와 함께 회전되도록 하며, 상기 제1 입력장치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입력장치에 상기 추가적인 물리력이 수용되어 상기 제1 입력장치가 상기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경우에만,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관 출입 도어의 외측에 장착되어 제2 정상 해제 입력 및 제2 정상 해제 오류 입력을 수용하도록 하는 제2 입력부; 상기 전자식 도어록 장치의 내부에 마련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전원부; 및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 여부에 따라 출몰 동작함으로써, 상기 현관 출입 도어가 상기 잠금 상태 또는 해제 상태로 변환되도록 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중단되는 경우에 상기 전자식 도어록 장치의 잠금 상태를 강제적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3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입력부는, 외부로부터의 물리력이 가해지면, 상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력이 수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물리력이 수용되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 입력장치; 상기 제1 입력장치에 상기 외부로부터의 물리력이 가해지면 상기 물리력이 감지되도록 하는 터치감지센서; 상기 제1 입력장치가 이동되는 경우에 이동이 감지되도록 하는 이동감지센서; 및 상기 터치감지센서와 상기 이동감지센서가 동시에 감지되었을 때만 제1 정상 해제 입력으로 수용하도록 하는 AND 연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는, 하나의 직선의 형상 또는 하나의 곡선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입력장치가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이동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입력장치는, 상기 이동홈이 제공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방향이 서로 다른 직선의 형상이 포함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입력장치가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이동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입력부는, 상기 제1 입력장치가 상기 이동홈이 제공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동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선의 형상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선의 형상이 포함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입력장치가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이동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입력부는, 상기 제1 입력장치가 상기 이동홈이 제공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동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현관문 내부에 위치한 열림 버튼을 단순히 눌러 조작하는 방식을 탈피하여 열림 버튼을 터치하면서 특정 방향으로 조작시에만 열리는 전자식 도어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의 강제적인 열림 버튼 조작이 완벽히 차단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전자식 도어록 장치의 보안성 및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를 현관 도어에 장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의 구성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의 제1 입력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의 제1 입력부의 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의 제1 입력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의 제1 입력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10)를 현관 출입 도어(20) 장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관 출입 도어(20)에는 손잡이(21), 우유투입구(22) 및 전자식 도어록 장치(10) 등이 마련된다.
여기서, 전자식 도어록 장치(10)는 현관 출입 도어(20)의 내부에 위치한 열림 버튼을 단순히 눌러 조작하는 방식을 탈피하여 열림 버튼을 터치하면서 특정 방향으로 조작시에만 열리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도어록 장치이다.
이를 위해, 전자식 도어록 장치(10)는 제1 입력부(110), 제2 입력부(120), 제3 입력부(130), 제어부(200), 구동부(300), 전원부(400), 하우징부(500) 및 걸림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입력부(110), 제2 입력부(120) 및 제3 입력부(130)는 모두 입력부(100)에 포함된 입력장치들이다.
도 1에는 전자식 도어록 장치(10)의 제1 입력부(110), 제2 입력부(120), 제3 입력부(130), 하우징부(500) 및 걸림부(600)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200), 구동부(300), 전원부(400)는 하우징부(500)의 내부에 마련되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다.
다만, 전원부(400)는 하우징부(500)의 일단에 마련된 전원부 커버(410)의 내부에 마련된다.
그리고, 걸림부(600)는 데드 볼트(Dead bolt)를 의미한다.
데드 볼트는, 일반적으로 열쇠로 작동하면 끝부분이 자물쇠 받이판에 끼워지면서 문이 잠기게 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그리고, 걸림부(600)와 마주보는 문틀(미도시)에는 걸림부가 삽입될 수 있는걸림홈(미도시)이 마련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전자식 도어록 장치(10)는 입력부(100), 제어부(200), 구동부(300), 전원부(400)를 포함한다.
입력부(100)는 현관 출입 도어(2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거나 잠금 상태로 전환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입력부(100)는 정상 해제 입력 및 정상 해제 오류 입력을 수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현관 출입 도어(20)가 잠금 상태일 때, 입력부(100)에 정상 해제 입력이 수용되면, 현관 출입 도어(20)의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변환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300)로 전달한다.
또한, 구동부(300)는 제어부(200)에서 전달된 신호를 기반으로 현관 출입 도어(20)의 해제 상태를 잠금 상태로 변환하거나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변환하도록 한다.
그리고, 전원부(400)는, 1차 전지 또는 2차 전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입력부(100), 제어부(200), 구동부(3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제어부(200)는, 현관 출입 도어(20)가 해제 상태일 때, 입력부(100)에 정상 잠금 입력이 수용되면, 현관 출입 도어(20)의 해제 상태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되는 신호는 별도의 입력이 없이 제어부(200)에서 자동적으로 생성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관 출입 도어(20)가 해제 상태일 때, 현관 출입 도어(20)가 닫힌 상태가 되면 제어부(200)에서 자동적으로 잠금 상태로 전환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현관 출입 도어(20)를 해제하여 출입한 이후, 별도의 조작없이 현관 출입 도어(20)를 닫게 되면 현관 출입 도어(20)는 자동적으로 잠금 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제어부(200)는 현관 출입 도어(20)의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변환하는 신호 또는, 현관 출입 도어(20)의 해제 상태를 잠금 상태로 변환하는 신호를 생성하면, 이를 구동부(300)로 전달한다.
그러면, 구동부(300)는 제어부(200)에서 전달된 신호를 기반으로 현관 출입 도어(20)의 해제 상태를 잠금 상태로 변환하거나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변환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현관 출입 도어(20)가 잠금 상태일 때 구동부(300)에 연결된 걸림부(600)는 현관 출입 도어(20)의 측면에 마련된 걸림홈(미도시)에 걸림 상태가 되어 있다.
이때, 제어부(200)에서 현관 출입 도어(20)의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변환하는 신호를 전달하면, 구동부(300)는 이를 기반으로 구동되어 구동부(300)에 연결된 걸림부(600)가 걸림홈(미도시)에 걸림 상태에서 해제되어 현관 출입 도어(20)가 해제 상태로 변환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현관 출입 도어(20)를 다시 닫으면, 제어부(200)는 별도의 입력 없이 자동적으로 현관 출입 도어(20)의 해제 상태를 잠금 상태로 변환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300)에 전달한다. 그러면, 구동부(300)는 이를 기반으로 구동되어 구동부(300)에 연결된 걸림부(600)가 걸림홈(미도시)에 걸림 상태가 되도록 하여, 현관 출입 도어(20)가 잠금 상태로 변환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10)의 구성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전자식 도어록 장치(10)의 입력부(100)는 제1 입력부(110), 제2 입력부(120) 및 제3 입력부(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현관 출입 도어(20)의 내측에서 현관 출입 도어(2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도록 마련되어 제1 정상 해제 입력 및 제1 정상 해제 오류 입력을 수용한다.
그리고, 제1 입력부(110)는, 현관 출입 도어(20)가 해제 상태일 때, 현관 출입 도어(20)를 잠금 상태로 변환되도록 하는 제1 정상 잠금 입력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입력부(120)는, 현관 출입 도어(20)의 외측에 장착되어 제2 정상 해제 입력 및 제2 정상 해제 오류 입력을 수용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제2 입력부(120)는 숫자를 입력하거나 지문 등을 입력하여 정상 해제 입력이 판단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입력부(120)는 미리 저장된 비밀번호가 입력되거나 지문 및 카드키를 이용하여 입력 시에 정상 해제 입력으로 판단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입력부(120)는 전원을 공급해주는 별도의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입력부(130)는, 전원부(400)에서 입력부(100), 제어부(200) 및 구동부(300)에 공급되는 전원이 중단되는 경우에 전자식 도어록 장치(10)를 강제적으로 해제 상태나 잠금 상태로 변환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300)를 강제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부(300)에 연결되어 물리적인 힘을 가할 수 있는 손잡이가 마련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10)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현관 출입 도어(20)의 내측에서 현관 출입 도어(2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도록 마련되어 제1 정상 해제 입력 및 제1 정상 해제 오류 입력을 수용한다.
그리고, 제1 입력부(110)는 현관 출입 도어(20)가 해제 상태일 때, 현관 출입 도어(20)를 잠금 상태로 변환되도록 하는 제1 정상 잠금 입력을 수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입력부(110)는, 제1 입력장치(111), 돌출부재(116), 삽입홈(117) 및 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입력장치(111)는, 외부로부터 물리력이 가해지면, 이 물리력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회전된 상태에서 다시 외부로부터 추가적인 물리력이 가해지면, 가해지는 추가적인 물리력이 수용되어 제1 입력장치(111)가 하우징부에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정리하면 제1 입력장치(111)는 버튼 형식으로 형성되어 물리력을 가하면 회전이 가능하며, 회전된 상태의 제1 입력장치(111)에 추가적인 물리력을 가하면 제1 입력장치(111)는 추가적인 물리력이 수용되어 하우징부 안쪽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물리력은 사용자가 손을 이용해 제1 입력장치(111)를 회전시키는 힘을 의미하며, 추가적인 물리력은 사용자가 제1 입력장치(111)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손을 이용해 제1 입력장치(111)를 눌러 하우징부 안쪽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힘을 의미한다.
또한 여기서, 돌출부재(116), 삽입홈(117) 및 감지센서에 대한 설명은 후술에서 하도록 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10)의 제1 입력부(1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입력부(110)는, 제1 입력장치(111), 돌출부재(116), 삽입홈(117) 및 감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입력장치(111)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여 생략하도록 하겠다.
한편, 제1 입력부(110)의 다른 구성 요소인, 돌출부재(116)는, 제1 입력장치(111)의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돌출부재(116)의 타단이 전자식 도어록 장치(10)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입력부(110)의 또 다른 구성 요소인, 삽입홈(117)은 전자식 도어록 장치(10)의 내부에 형성되며, 돌출부재(116)가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돌출부재(116)는, 제1 입력장치(111)가 회전하는 경우에, 제1 입력장치(111)와 함께 회전되며, 제1 입력장치(111)가 회전된 상태에서 제1 입력장치(111)에 추가적인 물리력이 수용되어 제1 입력장치(111)가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경우에만 돌출부재(116)가 삽입홈(117)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입력장치의 구성요소인 돌출부재(116) 및 삽입홈(117)을 보호하기 위해, 하우징부(500)의 내부에는 제1 입력장치 커버(520)를 추가로 마련할 수 있다.
제1 입력장치 커버(520)는, 돌출부재(116) 및 삽입홈(117)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보호 커버 역할을 한다.
그리고, 감지센서(미도시)는, 돌출부재(116)가 삽입홈(117)에 삽입되면 제1 정상 해제 입력이 수용된 것으로 감지되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제1 입력부(110)는 제어부(200)에 제1 정상 해제 입력이 수용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달한다.
도 6a 내지 도 6b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10)의 제1 입력부(1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10)의 제1 입력장치(111)는 버튼 형식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물리력을 가하여 제1 입력장치(111)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된다.
제1 입력장치(111)가 도 6a와 같이 회전되면, 제1 입력장치(111)에 연결된 돌출부재(116)는, 제1 입력장치(111)와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제1 입력장치(111)가 회전된 상태에서, 도 6b와 같이 제1 입력장치(111)에 사용자가 추가적인 물리력을 가하면 제1 입력장치(111)가 하우징부에 삽입된다.
그러면, 제1 입력장치(111)에 연결된 돌출부재(116)는 삽입홈(117)에 삽입되며, 감지센서(미도시)는, 돌출부재(116)가 삽입홈(117)에 삽입되면 제1 정상 해제 입력이 수용된 것으로 감지되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제1 입력부(110)는 제어부(200)에 제1 정상 해제 입력이 수용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이를 전달 받은 제어부(200)는, 현관 출입 도어(20)의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변환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300)로 전달한다.
또한, 이를 전달 받은 구동부(300)는 현관 출입 도어(20)의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변환시킨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제1 입력부(110)가 제1 정상 해제 입력을 수용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일 뿐, 제1 입력부(110)가 제1 정상 해제 입력을 수용하는 방법이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10)의 제1 입력부(1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전자식 도어록 장치(10)의 제1 입력부(11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현관 출입 도어(20)의 내측에서 현관 출입 도어(2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도록 마련되어 제1 정상 해제 입력 및 제1 정상 해제 오류 입력을 수용한다.
그리고, 제1 입력부(110)는 현관 출입 도어(20)가 해제 상태일 때, 현관 출입 도어(20)를 잠금 상태로 변환되도록 하는 제1 정상 잠금 입력을 수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입력부(110)는, 제1 입력장치(111), 터치감지센서(112), 이동감지센서(113) 및 AND 연산기(118)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입력장치(111)는, 외부로부터의 물리력이 가해지면 가해지는 물리력이 수용되도록 형성되되, 물리력이 수용되면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1 입력장치(111)는 버튼 형식으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물리력이 가해지면 버튼이 눌러지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1 입력장치(111)가 물리력에 의해 눌러지면 눌린 상태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터치감지센서(112)는 외부로부터 물리력이 제1 입력장치(111)에 가해지면 감지되도록 하는 센서를 말한다.
그리고, 이동감지센서(113)는 제1 입력장치(111)가 이동하는 경우에 감지되도록 하는 센서를 말한다.
또한, AND 연산기(118)는 AND 논리회로를 의미한다.
AND 논리회로는, 모든 입력이 1일 때에만 출력이 1이 되는 회로이다.
첨언하면, 논리회로에서 출력값은 0 또는 1을 갖는다.
즉, 터치감지센서(112)와 이동감지센서(113)는 논리회로의 입력단자와 연결되어 있으며 센서가 감지되면 논리회로의 입력단자에 입력값(센서입장에선 출력값)으로 1을 갖는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감지센서(112)와 이동감지센서(113)는 AND 연산기(118)의 입력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터치감지센서(112)는 제1 입력부(110)에 외부로부터 물리력이 감지되면 출력값으로 1을 출력한다.
그리고, 이동감지센서(113)는 제1 입력부(110)의 이동이 감지되면 출력값으로 1을 출력한다.
또한, AND 연산기(118)는 터치감지센서(112)와 이동감지센서(113)가 동시에 출력값으로 1을 출력할 때만 출력값으로 1을 출력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제1 입력부(110)는 제어부(200)에 제1 정상 해제 입력이 수용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달한다.
한편, 하우징부(500)는 제1 입력장치(111)가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도록 마련되며, 하나의 직선의 형상 또는 하나의 곡선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동홈(510)을 포함한다.
이를 통하여 제1 입력장치(111)는 이동홈(510)이 제공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다만, 여기서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된 경로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10)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1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전자식 도어록 장치(10)는, 현관 출입 도어(20)의 내부에 위치한 열림 버튼을 단순히 눌러 조작하는 방식을 탈피하여 열림 버튼을 터치함과 동시에 특정 방향으로 조작시에만 현관 출입 도어(2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마련되는 도어록 장치이다.
이를 위해, 전자식 도어록 장치(10)는 제1 입력부(110), 제2 입력부(120), 제3 입력부(130), 제어부(200), 구동부(300), 전원부(400), 하우징부(500) 및 걸림부(600)를 포함한다.
상기의 전자식 도어록 장치(10)의 구성요소 중 제1 입력부(11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앞에서 상술한 관계로 하기에서는 생략하도록 하겠다.
제1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현관 출입 도어(20)의 내측에서 현관 출입 도어(20)를 해제하도록 마련되어 제1 정상 해제 입력 및 제1 정상 해제 오류 입력을 수용한다.
그리고, 제1 입력부(110)는 현관 출입 도어(20)가 해제 상태일 때, 현관 출입 도어(20)를 잠금 상태로 변환되도록 하는 제1 정상 잠금 입력을 수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입력부(110)는, 제1 입력장치(111), 터치감지센서(112), 이동감지센서(113) 및 AND 연산기(118)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입력장치(111)는, 외부로부터의 물리력이 가해지면 가해지는 물리력이 수용되도록 형성되되, 물리력이 수용되면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1 입력장치(111)는 버튼 형식으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물리력이 가해지면 버튼이 눌러지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1 입력장치(111)가 물리력에 의해 눌러지면 눌린 상태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터치감지센서(112)는 외부로부터 물리력이 제1 입력장치(111)에 가해지면 감지되도록 하는 센서를 말한다.
그리고, 이동감지센서(113)는 제1 입력장치(111)가 이동하는 경우에 감지되도록 하는 센서를 말한다.
한편, 하우징부(500)는 제1 입력장치(111)가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도록 마련되며, 하나의 직선의 형상 또는 하나의 곡선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동홈(510)을 포함한다.
이를 통하여 제1 입력장치(111)는 이동홈(510)이 제공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의 이동홈(510)은 도면과 같이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입력장치(111)가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
그리고, 제1 입력장치(111)는 물리력을 가하여 누를 수 있는 버튼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제1 입력부(110)를 누르며 이동홈(510)을 따라 이동하면, 제1 입력부(110)는 제1 정상 해제 입력을 수용하여 제어부(200)에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200)는, 현관 출입 도어(20)가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300)로 전달한다.
그리고, 구동부(300)는 제어부(200)에서 전달된 신호를 기반으로 현관 출입 도어(20)의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변환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동부(300)는 구동부(300)에 연결된 걸림부(600)가 걸림홈(미도시)에 걸림 상태에서 해제되어 현관 출입 도어(20)가 해제 상태로 변환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10)의 제1 입력부(1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현관 출입 도어(20)의 내측에서 현관 출입 도어(2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도록 마련되어 제1 정상 해제 입력 및 제1 정상 해제 오류 입력을 수용한다.
그리고, 제1 입력부(110)는 현관 출입 도어(20)가 해제 상태일 때, 현관 출입 도어(20)를 잠금 상태로 변환되도록 하는 제1 정상 잠금 입력을 수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10)의 이동홈(510)은 제1 입력장치(111)가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도록 마련되며, 적어도 둘 이상의 방향이 서로 다른 직선의 형상이 포함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10)의 제1 입력장치(111)는 이동홈(510)이 제공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입력부(110)는 터치감지센서(112), 적어도 둘 이상의 이동감지센서(113), 순차 연산기(115) 및 AND 연산기(118)를 포함한다.
여기서 순차 연산기(115)는 하나 이상의 입력과 적어도 하나의 출력이 있는 논리 회로에서 각 출력의 논리값이 현재 상태와 현재 입력의 조합으로 정해지는 논리 회로를 의미한다.
이때, 현재 상태는 그 이전 입력의 이력으로 정해진다.
이를 위해, 순차 연산기(115)는 조합 연산기(115a), 기억소자(115b)로 구성된다.
여기서, 조합 연산기(115a)는, 논리 회로에서 그 출력이 생각하고 있는 시점에서의 회로 입력 값만으로 정해지는 논리 회로를 의미한다.
그리고, 기억소자(115b)은 그 이전 입력의 이력을 저장하여 조합 연산기(115a)에 전달해 주는 기억 장치로써, 보통 한 비트를 기억할 수 있는 플립플롭(Flip flop)이나, 자기 코어, 축전기를 의미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감지센서(112)와 이동감지센서(113)는 조합 연산기(115a)의 입력단자와 연결되어 있으며 센서가 감지되면 조합 연산기(115a)의 입력단자에 0이 아닌 입력값(센서입장에선 출력값)을 전달한다.
여기서 제1 입력부(110)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하나의 직선마다 제1 입력부(11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이동감지센서(113)가 마련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동감지센서(113)는 적어도 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서로 다른 방향의 직선으로 형성되는 경로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이동홈(510)이 제공하는 경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선의 형상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선의 형상이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방향의 직선으로 형성되는 경로에제1 입력장치(111)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게 마련되는 이동감지센서(113)는 제1 이동감지센서(113a) 및 제2 이동감지센서(113b)로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감지센서(113a)와 제2 이동감지센서(113b)는 조합 연산기(115a)의 입력단자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제1 이동감지센서(113a)와 제2 이동감지센서(113b) 중 어느 한 센서에서 제1 입력부(110)의 이동이 감지되면 조합 연산기(115a)의 입력 단자 중 하나에서 입력값 1을 전달받는다.
그리고, 이 입력값은 기억소자(115b)로 전달되어 저장된다.
그 다음에, 제1 이동감지센서(113a)와 제2 이동감지센서(113b) 중 다른 한 센서에서 제1 입력부(110)의 이동이 감지되면 조합 연산기(115a)의 입력 단자 중 다른 한 입력단자에서 입력값 1을 전달받는다.
그리고, 기억소자(115b)에는 제1 이동감지센서(113a)와 제2 이동감지센서(113b) 중 먼저 이동이 감지된 센서의 출력값이 저장되어 조합 연산기(115a)에 전달된다.
그러면 기억소자(115b)에 저장된 현재 상태에 해당하는 입력값 1과 현재 입력값인 입력값 1의 조합으로 순차 연산기(115)의 출력값 1이 출력된다.
정리하면, 제1 이동감지센서(113a)와 제2 이동감지센서(113b)는 바로 이 순차 연산기(115)를 이용하여 제1 이동감지센서(113a)와 제2 이동감지센서(113b)에서 순차적으로 제1 입력부(110)의 이동을 감지하였을 경우에 제1 입력부(110)의 이동을 감지했다는 출력값 1이 출력되는 것이다.
그리고, 순차적으로 다른 한 센서에서 제1 입력부(110)의 이동이 감지되어야만 순차 연산기(115)는 출력값 1, 즉 센서에서 움직임을 감지한 것에 대한 신호를 AND 연산기(118)에 전달한다.
또한, 이렇게 출력된 순차 연산기(115)의 출력값 1은 터치감지센서(112)에서 제1 입력부(110)에 외부로부터 물리력이 가해지면 출력되는 출력값 1과 함께 AND 연산기(118)의 입력단자로 전달된다.
이를 통해 제1 입력부(110)는 제어부(200)에 제1 정상 해제 입력이 수용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달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10)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전자식 도어록 장치(10)의 구성요소 중 제1 입력부(11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앞에서 상술한 관계로 하기에서는 생략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10)의 이동홈(510)은 적어도 둘 이상의 방향이 서로 다른 직선의 형상이 포함되도록 형성되어 제1 입력장치가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이동홈(510) 도면과 같이 기억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입력장치(111)는 이동홈(510)이 제공하는 경로로 이동된다.
여기서 기억자 형상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직선과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직선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형상를 의미한다.
또한, 제1 입력장치(111)는 물리력을 가하여 누를 수 있는 버튼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제1 입력장치(111)를 누른 상태에서 기억자 형상의 이동홈(510)이 제공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 제1 입력부(110)는 제1 정상 해제 입력을 수용하여 제어부(200)에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200)는, 현관 출입 도어(20)가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300)로 전달한다.
그리고, 구동부(300)는 제어부(200)에서 전달된 신호를 기반으로 현관 출입 도어(20)의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변환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동부(300)는 구동부(300)에 연결된 걸림부(600)가 걸림홈(미도시)에 걸림 상태에서 해제되어 현관 출입 도어(20)가 해제 상태로 변환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10)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전자식 도어록 장치(10)의 구성요소 중 제1 입력부(11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앞에서 상술한 관계로 하기에서는 생략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10)의 이동홈(510)이 도면과 같이 니은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니은자 형상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직선과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직선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형상를 의미한다.
이에, 제1 입력장치(111)를 누른 상태에서 니은자 형상의 이동홈(510)이 제공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 제1 입력부(110)는 제1 정상 해제 입력을 수용하여 제어부(200)에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200) 및 구동부(300)의 동작은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여 생략하도록 하겠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10)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전자식 도어록 장치(10)의 구성요소 중 제1 입력부(11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앞에서 상술한 관계로 하기에서는 생략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장치(10)의 이동홈(510)이 하나의 곡선 방향의 형상과 하나의 직선 방향의 형상이 포함되도록 형성되었다.
여기서, 곡선은 중심각이 90°인 부채꼴의 호에 해당하는 곡선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1 입력장치(111)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곡선 형상의 이동홈(510)이 제공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되며, 곡선 형상의 이동홈(510)이 제공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이 끝나면 상측에서 하측으로 직선 형상의 이동홈(510)이 제공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된다.
따라서, 제1 입력장치(111)를 누른 상태에서 이동홈(510)이 제공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 제1 입력부(110)는 정상 해제 입력을 수용하여 제어부(200)에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200) 및 구동부(300)의 동작은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여 생략하도록 하겠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 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 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전자식 도어록 장치 20 : 현관 출입 도어
21 : 손잡이 22 : 우유 투입구
100 : 입력부 110 : 제1 입력부
111 : 제1 입력장치 112 : 터치감지센서
113 : 이동감지센서 113a : 제1 이동감지센서
113b : 제2 이동감지센서 115 : 순차 연산기
115a : 조합 연산기 115b : 기억소자
116 : 돌출부재 117 : 삽입홈
118 : AND 연산기 120 : 제2 입력부
130 : 제3 입력부 200 : 제어부
300 : 구동부 400 : 전원부
410 : 전원부 커버 500 : 하우징부
510 : 이동홈 520 : 제1 입력장치 커버
600 : 걸림부

Claims (9)

  1. 현관 출입 도어(Door)의 내측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상기 현관 출입 도어를 해제하도록 마련되어 제1 정상 해제 입력 및 제1 정상 해제 오류 입력을 수용하도록 하는 제1 입력부;
    상기 제1 정상 해제 입력 시 상기 현관 출입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현관 출입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면 상기 현관 출입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구동부; 및
    상기 제어부 및 상기 구동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 및 상기 구동부를 보호하기 위해 마련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부는,
    외부로부터 물리력이 가해지면, 상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력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물리력에 의해 회전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추가적인 물리력이 가해지면, 상기 가해지는 추가적인 물리력이 수용되어 상기 하우징부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 입력장치;
    상기 제1 입력장치의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도록 마련되며, 타단이 상기 전자식 도어록 장치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재;
    전자식 도어록 장치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재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삽입홈; 및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면 상기 제1 정상 해제 입력이 수용된 것으로 감지되도록 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록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부는,
    상기 제1 입력장치가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제1 입력장치와 함께 회전되도록 하며, 상기 제1 입력장치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입력장치에 상기 추가적인 물리력이 수용되어 상기 제1 입력장치가 상기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경우에만,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관 출입 도어의 외측에 장착되어 제2 정상 해제 입력 및 제2 정상 해제 오류 입력을 수용하도록 하는 제2 입력부;
    상기 전자식 도어록 장치의 내부에 마련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전원부; 및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 여부에 따라 출몰 동작함으로써, 상기 현관 출입 도어가 상기 잠금 상태 또는 해제 상태로 변환되도록 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중단되는 경우에 상기 전자식 도어록 장치의 잠금 상태를 강제적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3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록 장치.
  6. 현관 출입 도어(Door)의 내측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상기 현관 출입 도어를 해제하도록 마련되어 제1 정상 해제 입력 및 제1 정상 해제 오류 입력을 수용하도록 하는 제1 입력부;
    상기 제1 정상 해제 입력 시 상기 현관 출입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현관 출입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면 상기 현관 출입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구동부; 및
    상기 제어부 및 상기 구동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 및 상기 구동부를 보호하기 위해 마련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입력부는,
    외부로부터의 물리력이 가해지면, 상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력이 수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물리력이 수용되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 입력장치;
    상기 제1 입력장치에 상기 외부로부터의 물리력이 가해지면 상기 물리력이 감지되도록 하는 터치감지센서;
    상기 제1 입력장치가 이동되는 경우에 이동이 감지되도록 하는 이동감지센서; 및
    상기 터치감지센서와 상기 이동감지센서가 동시에 감지되었을 때만 제1 정상 해제 입력으로 수용하도록 하는 AND 연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하나의 직선의 형상 또는 하나의 곡선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입력장치가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이동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입력장치는,
    상기 이동홈이 제공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록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방향이 서로 다른 직선의 형상이 포함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입력장치가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이동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입력부는,
    상기 제1 입력장치가 상기 이동홈이 제공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동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록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선의 형상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선의 형상이 포함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입력장치가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이동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입력부는,
    상기 제1 입력장치가 상기 이동홈이 제공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이동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록 장치.
KR1020150032970A 2015-03-10 2015-03-10 전자식 도어록 장치 KR101831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970A KR101831588B1 (ko) 2015-03-10 2015-03-10 전자식 도어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970A KR101831588B1 (ko) 2015-03-10 2015-03-10 전자식 도어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119A KR20160109119A (ko) 2016-09-21
KR101831588B1 true KR101831588B1 (ko) 2018-04-04

Family

ID=57079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2970A KR101831588B1 (ko) 2015-03-10 2015-03-10 전자식 도어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5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53775B (zh) * 2017-08-22 2021-12-28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电子门锁和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119A (ko)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0617B1 (ko) 안전 시스템을 갖춘 도어 잠금 장치
CN109885194A (zh) 用于滑动/敲击进入验证系统的触摸和手势板
US20100192994A1 (en) Domestic appliance with a self-diagnosing door lock position detection device
CN104847180A (zh) 触摸屏电子密码锁
JP5205679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KR20110096955A (ko)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KR101831588B1 (ko) 전자식 도어록 장치
KR100696216B1 (ko) 지문인식장치를 구비하는 가방
CN106455398B (zh) 模块布置结构
US10352067B2 (en) Key monitoring door lock, door lock ke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N206801257U (zh) 电子锁
KR200422612Y1 (ko) 문자동개폐장치
JP6243369B2 (ja) エネルギー貯蔵装置のための保安装置
KR100707518B1 (ko) 지문 인식 방식의 열쇠 보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977611B1 (ko) 도어록 장치
KR100856743B1 (ko)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KR200329242Y1 (ko) 디지털 도어록용 도어개폐 감지장치
JP5115486B2 (ja) 壁取り付け型機器
KR100543957B1 (ko) 문 잠금장치
JP7029694B2 (ja) 電気錠制御装置、電気錠制御システム、電気錠システム、および電気錠付戸
JP2004143846A (ja) 非開閉体側通信装置
WO2023100456A1 (ja) 電子キー操作装置
KR101090380B1 (ko)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KR100869705B1 (ko) 도어록 장치
JP7059475B2 (ja) 引戸電気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