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489B1 -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 안정성 향상용 윤활유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 안정성 향상용 윤활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489B1
KR101831489B1 KR1020150120207A KR20150120207A KR101831489B1 KR 101831489 B1 KR101831489 B1 KR 101831489B1 KR 1020150120207 A KR1020150120207 A KR 1020150120207A KR 20150120207 A KR20150120207 A KR 20150120207A KR 101831489 B1 KR101831489 B1 KR 101831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sphate
phosphite
group
antioxidant
is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5480A (ko
Inventor
박재현
방수경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에스케이루브리컨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에스케이루브리컨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5/00896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032246A1/en
Priority to CN201580046157.0A priority patent/CN106604981B/zh
Publication of KR20160025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ixture of a macromolecular compound and a non-macromolecular compound,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29/86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having a carbon chain of 30 or more atoms
    • C10M129/88Hydroxy compounds
    • C10M129/91Hydroxy compounds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45/1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145/24Polyethers
    • C10M145/26Polyoxyalk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10Inhibition of oxidation, e.g. anti-oxidants

Abstract

본 발명은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 안정성 향상용 윤활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윤활유 조성물은 윤활유 조성물 전체 중량%를 기준으로 0.01 -3.0 wt%의 2차 산화 방지제 및 0.01-5.0 wt%의 폴리알킬렌 글리콜을 포함하고, 상기 윤활유 조성물은 ASTM D 664 기준으로 전산가 변화율이 5% 미만이며, ASTM D1500 기준으로 L 0.5 - 3.5 이하인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 안정성 향상용 윤활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 안정성 향상용 윤활유 조성물{Lubricant Composition for Excellent Thermo-Oxidation Stability and Color Stability}
본 발명은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 안정성 향상용 윤활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2차 산화안정제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을 특정 함량 포함하는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 안정성 향상용 윤활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형화, 고속화, 에너지 절약화에 따라 유압장비를 비롯한 다양한 기계 장치들에서 오일의 부하는 점차 증가하게 되고, 보다 안정적으로 안심하고 오랫동안 사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다양한 방법으로 오일의 산화 안정성 및 소비자의 신뢰를 높이기 위한 방법들이 동원되고 있다.
산화 안정성 및 소비자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들이 있다. 구체적으로, 미국 특허번호 제7799101호는 철-촉매 산화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한 윤활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한 유기 포스파이트 및 방향족 이차 아민계 항산화제 및/또는 페놀계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번호 제1994-004865호는 윤활제 첨가제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서, 디티오 인산의 디알킬에스테르의 아연염 및 트리알킬포스핀을 포함하는 특정한 색상 안정제를 포함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며, 디티오 인산의 디알킬에스테르의 아연염의 색상안정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며, 최종 생성된 윤활유 제품(final product)에 대한 색상 안정성에 대한 언급은 없다.
종래에는 산화방지제 및/또는 각종 첨가제의 종류 및 조합의 변경에 의하여 산화 안정성 및/또는 그 밖의 다른 물성을 향상시켜 소비자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아직 충분히 성능을 가지지 못하고 있으며, 점점 더 높아지는 소비자의 요구에 대응하기 힘든 상황이다. 따라서, 종래의 윤활유의 열산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동시에 윤활유의 산화에 따른 색상안정성을 보다 개선하여 장시간 안정적으로 위 물성에 대한 소비자 신뢰 향상을 위한 새로운 방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윤활유 색상 변화는 윤활유 실제 소비자들의 관점에서는 절대적인 판단기준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시장에서는 매우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어, 제품 품질의 좋고 나쁨의 판단기준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시 말해서 초기의 색상도 중요하지만, 사용 시간에 따라 오일의 색상이 변하는 정도에 따라 오일의 품질을 판단한다. 이는 실제 객관적 성능시험 기준을 가지고 보면 정확하지 않은 경우도 있으나, 소비자 판단기준으로 오랜 시간 굳어져 온 것으로 소비자 품질이라고 불린다. 따라서, 이러한 소비자의 품질 판단기준에 부합하는 제품의 개발은 지속적으로 시도되었으나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이 있어 오랜 시간 동안 충분하지 못한 상태로 이어져 왔다. 그러므로 색상 안정성을 보다 개선하여 매우 오랜 시간 동안 색상변화가 양호하며 실제로 열산화 안정성 또한 이제까지와는 다른 매우 향상된 제품을 만들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광범위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2차 산화방지제와 폴리알킬렌 글리콜을 함께 사용한 경우, 윤활유에 대한 현저한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 안정성이 개선됨을 알게 되었고,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윤활유 조성물에 2차 산화방지제와 폴리알킬렌 글리콜을 함께 사용하여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 안정성이 우수한 윤활유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열산화 안정성의 경우 CM 유압유 열산화 안정성 시험 (Cincinnati Milacron Thermal Stability Test, ASTM D2070) 후 전산가 (Total Acid Number, TAN) 변화율 5% 미만 (ASTM D664기준)이며, 색상 안정성 L 0.5-3.5 이하(ASTM D1500 기준)를 유지하는 현저한 효과를 가진 윤활유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평균적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 안정성 향상용 윤활유 조성물은, 윤활유 조성물 전체 중량%를 기준으로 0.01 -3.0 wt%의 2차 산화 방지제 및 0.01-5.0 wt%의 폴리알킬렌 글리콜을 포함하고, 상기 윤활유 조성물은 ASTM D 664 기준으로 전산가 변화율이 5% 미만이며, ASTM D1500 기준으로 L 0.5 - 3.5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윤활유 조성물은 0.01 - 3.0 wt%의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0.01 - 3.0 wt%의 아민계 산화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윤활유 조성물은 0.01 - 2.0 wt%의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0.01 - 2.0 wt%의 아민계 산화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2차 산화 방지제는 인계 산화방지제 또는 황계 산화방지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인계 산화방지제는 트리알킬포스파이트, 트리알킬포스페이트, 및 트리알킬포스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트리알킬포스파이트는 트리메틸포스파이트(Trimethyl phosphite), 트리에틸포스파이트(Triethylphosphite), 트리이소프로필포스파이트(Triisopropyl phosphite), 트리부틸포스파이트(Tributyl phosphite), 트리스(트리메틸실릴)포스파이트(Tris(trimethylsilyl) phosphite), 트리스(터셔리-부틸디메틸실릴)포스파이트(Tris(tert-butyl) dimethylsilylphosphite), 디이소데실페닐포스파이트(Diisodecylphenyl phosphite), 디-터셔리-부틸포스파이트(Di-tert-butyl phosphite), 디메틸 트리메틸실릴포스파이트(Dimethyl trimethylsilyl phosphite), 디에틸 트리메틸실릴포스파이트(Diethyl trimethylsilyl phosphite), 트리스(2-에틸헥실)포스파이트(Tris(2-ethylhexyl) phosphite), 트리스(2,4-디-터셔리-부틸페닐)포스파이트(Tris(2,4-di-tert-butylphenyl) phosphite), 트리스(트리데실)포스파이트(Tris(tridecyl) phosphite), 트리페닐포스파이트(Triphenyl phosphite),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Tris(nonylphenyl) phosphite), 트리이소데실포스파이트(Triisodecyl phosphite), 트리옥타데실 포스파이트(Trioctadecyl phosphite), 트리라우릴포스파이트(Trilauryl phosphite) 및 벤질 디에틸포스파이트(Benzyl diethyl phosphi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트리알킬포스페이트는 트리라우릴포스페이트, 트리올레일 포스페이트, 디올레일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 C12-C15 포스페이트, C8-C10 포스페이트, 알킬디페닐포스페이트, 알킬디톨릴포스페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5-세테쓰-10 포스페이트, 세톨레쓰-10 포스페이트, 세톨레쓰-5 포스페이트, 데세쓰-4 포스페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5 에틸헥실 에테르 포스페이트, 트리스(트리데실)포스페이트,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페이트, 및 트리이소데실포스페이트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트리알킬포스핀은 트리-n-부틸포스핀 (Tri-n-butylphosphine), 트리스(2-시아노에틸)포스핀 (Tris(2-cyanoethyl)phosphine), 트리-n-옥틸포스핀 (tri-n-octylphosphine), 트리스(3-하이드록시프로필)포스핀 (Tris(3-hydroxypropyl)phosphine), 모노이소부틸포스핀 (monoisobutylphosphine), 디사이클로헥실포스핀 (dicylcohexylphosphine), 4,8-디메틸-2-포스파비사이클로[3.3.1]노난 (4,8-dimethyl-2-phosphabicyclo[3.3.1]nonane), 모노 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 (mono 2,4,4-trimethylpentylphosphine), 및 디터트부틸포스핀 (ditertbutylphoph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알킬디페닐포스페이트는 메틸디페닐포스페이트, 에틸디페닐포스페이트, 프로필디페닐포스페이트, n-부틸디페닐포스페이트, 2-메틸프로필디페닐포스페이트, n-펜틸디페닐포스페이트, 2-메틸부틸디페닐포스페이트, 2,2-디메틸프로필디페닐포스페이트, n-헥실디페닐포스페이트, 2-메틸펜틸디페닐포스페이트, 2,2-디메틸부틸디페닐포스페이트, n-헵틸디페닐포스페이트, n-옥틸디페닐포스페이트, n-데실디페닐포스페이트, n-도데실디페닐포스페이트, 트리데실디페닐포스페이트, 테트라데실디페닐포스페이트, n-헥사데실디페닐포스페이트, 및 옥타데실디페닐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알킬디톨릴포스페이트는 에틸디톨릴포스페이트, 에틸디페닐포스페이트, n-헥실디톨릴포스페이트, 2-메틸펜틸디톨릴포스페이트, 2,2-디메틸부틸디톨릴포스페이트, n-옥틸디톨릴포스페이트, 2-에틸헥실디톨릴포스페이트, 3,5,5-트리메틸헥실디톨릴포스페이트, n-데실디톨릴포스페이트, n-도데실디톨릴포스페이트, 및 트리데실디톨릴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황계 산화방지제는 티올에스터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황계 산화방지제는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트리데실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및 디미리스틸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 알킬렌 글리콜의 점도 범위는 ISO VG 680 이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 알킬렌 글리콜의 점도 범위는 ISO VG은 ISO VG 18, ISO VG 22, ISO VG 32, ISO VG 46, ISO VG 68, ISO VG 100, ISO VG 150, ISO VG 220, ISO VG 320, ISO VG 460, 및 ISO VG 68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2,6-디부틸페놀, 힌더드 비스-페놀, 고 분자량의 힌더드 페놀, 및 티오에테르를 가진 힌더드 페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아민계 산화방지제는 디페닐아민,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 또는 나프틸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은 디옥틸디페닐아민, 옥틸레이티드 디페닐아민, 및 부틸레이트디페닐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윤활유 조성물은 2차 산화방지제와 폴리알킬렌 글리콜을 함께 특정한 함량으로 사용함으로써 윤활유의 열산화 안정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특히, 윤활유의 산화에 따른 색상안정성을 오랜 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오일 교환주기에 비해 짧은 사용시간에도 색상의 변화에 따른 고객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오일 교환주기(oil drain interval)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윤활유 조성물은 종래의 윤활유 조성물에서 종래의 첨가제 성분에 추가하여 2차 산화방지제, 폴리 알킬렌 글리콜, 및/또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아민계 산화방지제를 특정 함량으로 추가한 경우, 기존의 산화 방지시스템과는 다른 새로운 방식의 산화 방지 경로를 만들고 오일의 색상 변화를 지연시켜 오일의 사용 주기를 연장시키고 그와 동시에 오일 사용기간이 연장되어 파생되는 경제적 이익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윤활유 조성물은 열산화 안정성 향상에 따른 고온 방치 시 색상안정성이 급격히 향상되어 고객이 보다 안심하고 고품질의 윤활유를 보다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ASTM D1500의 표준 색상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 안정성 향상용 윤활유 조성물은, 윤활유 조성물 전체 중량%를 기준으로 0.01-3.0 wt%의 2차 산화 방지제 및 0.01-5.0 wt%의 폴리알킬렌 글리콜을 포함하고, 상기 윤활유 조성물은 ASTM D 664 기준으로 전산가 변화율이 5% 미만이며, ASTM D1500 기준으로 L 0.5 - 3.5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2차 산화방지제는 인계 산화방지제 또는 황계 산화방지제일 수 있다.
상기 인계 산화방지제는 R가 알킬 (탄소수 0 이상)인 식 (RO)3P의 트리알킬포스파이트(Tri-alkyl Phosphite), R'가 알킬 (탄소수 0 이상)인 식 (R')3PO의 트리알킬포스페이트 (Tri-Alkyl Phosphate) 및/또는 R''가 알킬 (탄소수 0 이상)인 식 R''3P의 트리알킬포스핀일 수 있다.
상기 트리알킬포스파이트는 트리메틸포스파이트 (Trimethyl phosphite), 트리에틸포스파이트 (Triethylphosphite), 트리이소프로필포스파이트 (Triisopropyl phosphite), 트리부틸포스파이트 (Tributyl phosphite), 트리스(트리메틸실릴)포스파이트 (Tris(trimethylsilyl) phosphite), 트리스(터셔리-부틸디메틸실릴)포스파이트 (Tris(tert-butyl dimethylsilylphosphite), 디이소데실페닐포스파이트 (Diisodecylphenyl phosphite), 디-터셔리-부틸포스파이트 (Di-tert-butyl phosphite), 디메틸 트리메틸실릴포스파이트 (Dimethyl trimethylsilyl phosphite), 디에틸 트리메틸실릴포스파이트 (Diethyl trimethylsilyl phosphite), 트리스(2-에틸헥실)포스파이트 (Tris(2-ethylhexyl) phosphite), 트리스(2,4-디-터셔리-부틸페닐)포스파이트(Tris(2,4-di-tert-butylphenyl) phosphite), 트리스(트리데실)포스파이트 (Tris(tridecyl) phosphite), 트리페닐포스파이트 (Triphenyl phosphite),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Tris(nonylphenyl phosphite), 트리이소데실포스파이트 (Triisodecyl phosphite), 트리옥타데실 포스파이트 (Trioctadecyl phosphite), 트리라우릴포스파이트 (Trilauryl phosphite) 또는 벤질 디에틸포스파이트 (Benzyl diethyl phosphit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트리알킬포스페이트는 트리라우릴포스페이트(Trilauryl phosphate), 트리올레일 포스페이트 (Trioleyl phosphate), 디올레일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 (Dioleyl hydrogen phosphate), C12-C15 포스페이트 (C12-C15 Phosphate), C8-C10 포스페이트 (C8-C10 Phosphate), 알킬디페닐포스페이트, 알킬디톨릴포스페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5-세테쓰-10 포스페이트 (PPG-5-Ceteth-10 Phophate), 세톨레쓰-10 포스페이트 (Cetoleth-10 Phosphate), 세톨레쓰-5 포스페이트 (Cetoleth-5 Phophate), 데세쓰-4 포스페이트 (Deceth-4 Phophate), 폴리에틸렌글리콜-5 에틸헥실 에테르 포스페이트 (PEG-5 Ethylhexyl Ether Phosphate), 트리스(트리데실)포스페이트(Tris(tridecyl) phosphate), 트리페닐포스페이트(Triphenyl phosphate), 트리스(노닐페닐)포스페이트(Tris(nonylphenyl) phosphate), 및 트리이소데실포스페이트(Triisodecyl phosphat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가지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트리알킬포스핀은 트리-n-부틸포스핀 (Tri-n-butylphosphine), 트리스(2-시아노에틸)포스핀 (Tris(2-cyanoethyl)phosphine), 트리-n-옥틸포스핀 (tri-n-octylphosphine), 트리스(3-하이드록시프로필)포스핀 (Tris(3-hydroxypropyl)phosphine), 모노이소부틸포스핀 (monoisobutylphosphine), 디사이클로헥실포스핀 (dicylcohexylphophine), 4,8-디메틸-2-포스파비사이클로[3.3.1]노난 (4,8-dimethyl-2-phosphabicyclo[3.3.1]nonane), 모노 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 (mono 2,4,4-trimethylpentylphophine), 및 디터트부틸포스핀 (ditertbutylphoph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황계 산화방지제는 티올에스터일 수 있다. 상기 황계 산화방지제는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Pentaerythrityl tetrakis(3-laurylthiopropionate)),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Dilauryl thiodipropionate),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Distearyl thiodipropionate), 디트리데실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Ditridecyl thiodipropionate), 및 디미리스틸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Dimyrisryl thiodipropionat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2차 산화방지제의 함량은 0.01 wt% - 3.0 wt%, 또는 0.01wt% ~ 2.0wt%일 수 있다. 상기 2차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3.0wt%를 초과하는 경우 소포성 및 항유화성이 저하되고 마찰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0.01 wt% 미만인 경우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안정성 개선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에 사용된 폴리 알킬렌 글리콜의 점도 범위는 40℃ 동점도 680cSt (Centi-Stokes) 이하(ISO VG 680 이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 알킬렌 글리콜의 점도 범위는 ISO VG 18, ISO VG 22, ISO VG 32, ISO VG 46, ISO VG 68, ISO VG 100, ISO VG 150, ISO VG 220, ISO VG 320, ISO VG 460, 또는 ISO VG 680일 수 있다.
상기 폴리 알킬렌 글리콜의 함량은 0.01-5.0 wt% 또는 0.01 wt% - 2.0 wt%일 수 있다. 상기 폴리 알킬렌 글리콜의 함량이 0.01wt% 미만인 경우에는 그 효과를 찾기 힘들고 원래 사용된 2차 산화방지제 단독으로 사용된 경우와 같은 효과를 보인다. 그 함량이 5.0wt% 초과인 경우 오히려 항유화성이 저하되고 색상안정성 특성이 나빠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일 구체 예로써, 본 발명은 페놀계 산화방지제 0.01-3.0 wt% 및 아민계 산화방지제 0.01-3.0wt%, 또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0.01 - 2.0wt% 및 아민계 산화방지제 0.01 - 2.0w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아민계 산화 방지제의 사용은 두 가지 산화 방지제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산화 안정성의 향상에 보다 유용하다. 상기 페놀계 산화 방지제 및 아민계 산화방지제 함량은 각각 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그 효과가 미미한 수준으로 나타나며, 그 함량이 각각 3.0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그 양이 과도하여 오히려 산화 안정성의 향상에 기여하기보다는 슬러지 등의 산화 생성물을 더 많이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어 오일의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안정성에 오히려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비스 페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2,6-디부틸페놀, 힌더드 비스-페놀(hindered bis-phenolic), 고 분자량의 힌더드 페놀(high MW hindered phenolic), 및 티오에테르를 가진 힌더드 페놀(hindered phenolic with thio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가지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아민계 산화방지제는 페닐 아민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민계 산화방지제는 디페닐아민,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alkylated diphenyl amine), 또는 나프틸아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은 디옥틸디페닐아민, 옥틸레이티드 디페닐아민, 및 부틸레이트디페닐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하기 실시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열산화안정성 측정방법은 ASTM D2070 시험법을 따르며, 구체적인 측정방법은 아래와 같다.
250ml 그리핀 비이커에 철 및 구리 촉매 봉을 교차하여 넣고 200ml의 윤활유 시료를 넣는다. 이 비이커를 135℃에 맞춰진 일반 대류식 오븐 내의 알루미늄 블록(Block)에 넣고 168시간 동안 가열한다. 168시간 후 윤활유 시료의 전산가 변화율을 ASTM D664기준에 따라 측정한다. 오일의 산화에 따른 전산가의 변화율이 적을수록 열산화 안정성이 우수하다.
윤활유의 색상 측정방법은 ASTM D1500 시험법을 따르며, 윤활유를 시험관에 넣고 표준색 유리와 시료의 색을 비교하여 시료의 색과 일치하는 표준색의 번호를 읽는다. 일치하지 않을 때는 어두운 쪽의 번호를 읽는다. ASTM 색상은 도 1에 기재된 표준색 번호인 0.5 ~ 8.0까지의 범위를 가진다.
ASTM D1500 시험의 경우, 신유(New Oil)의 경우에는 기유(Base Oil)의 정제도 및 오염이 어느 정도 진행 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기준으로 사용되나, 사용유(Used Oil)의 경우에는 오일의 산화 정도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되며, 오일의 계속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주요 기준으로 활용된다.
색상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한 ASTM D1500 시험의 경우는, 신유의 상태가 아닌 고온에서의 방치 (180℃, 48hr 방치) 후의 오일에 대한 색상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오일의 고온방치시험의 경우에는 비이커 산화 테스트를 활용하였으며 여기에 철과 구리 촉매를 넣어 산화를 촉진시키는 조건을 만들고 컨벡션 오븐에 180℃, 48hr 방치하여 고온방치, 온도변화, 촉매 등의 오일 산화를 촉진시키는 조건이 추가된 상태로 오일의 산화 정도를 평가하였다.
통상의 윤활유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은 산화방지제 0-5.0wt%, 금속세정제 0.1-15.0wt%, 방식제 0-5.0wt%, 포말억제제 0-5.0wt%, 점도 조절제 0.01-10.0wt%, 분산제 0.5-5.0wt% 및 베이스 오일 잔부이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된 A 배합은 구체적으로, 0.5wt%의 방식제(amine phosphate), 0.1wt%의 포말억제제(silicon type antifoamer), 0.5wt%의 유동점 강하제(polymethacrylate), 5.0wt%의 점도 조절제(olefin copolymer), 1.0wt%의 분산제 (polyisobutylene succinic anhydride) 및 윤활기유(YUBASE 4/6) 잔부를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된 B 배합은 구체적으로, 1.0wt%의 방식제(amine phosphate), 0.05wt%의 포말억제제(silicon type antifoamer), 1.0wt%의 유동점 강하제(polymethacrylate), 8.0wt%의 점도 조절제(olefin copolymer), 2.0wt%의 분산제 (polyisobutylene succinic anhydride) 및 윤활기유(YUBASE 4/6) 잔부를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이다.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되는 구체적인 배합 및 윤활유 조성물 함량은 각각 하기 표 1 내지 6과 같다.
이와 더불어 표 1 내지 6에서는 각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해당 윤활유 조성물의 열산화 안정성과 색상안정성 수치를 CM 열산화 안정성 시험법 (Cincinnati Milacron Thermal Stability Test, ASTM D2070) 및 ASTM 색상 시험법 (ASTM D 1500)을 통해서 확인 하였으며, 그 결과를 각각의 표에 기재하였다.
표 1 내지 6에 기재된 물성 평가를 위해서 ASTM D2070에 따라 열산화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색상 안정성의 경우에는 일반 대류형 오븐에서 철과 구리 촉매를 사용하고, 180℃, 48hr을 방치한 후에 색상을 ASTM D1500에 따라 색상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도 1을 참조하여, ASTM 색상은 표준색 번호인 0.5~8.0까지의 범위를 가진다.
또한, 윤활제에서 중요한 물성 중 하나인 동점도를 측정하였으며, 온도에 따른 점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점도지수를 측정하였다. 점도는 40℃에서의 동점도를 나타내며 ASTM D445 시험법에 의해 측정하고, 점도지수는 40℃, 100℃에서의 동점도를 기준으로 ASTM D2270에 의해 측정하였다.
점도의 경우, 본원 실시예 1-72 모두 점도 측정 결과 ISO VG 46에 해당하며, 여기서의 점도는 절대점도를 밀도로 나눈 동점도를 의미한다.
즉, 본원 실시예 1-72에 해당하는 윤활유의 40℃ 동점도가 46 cSt (Centi-Stokes) ±10% 이내에 들어오는 점도를 가져 양호하였다.
하기 표 1에서는 인계 산화방지제로서, 트리스(2,4-디-터셔리-부틸페닐)포스파이트(Tris(2,4-di-tert-butylphenyl) phosphite) 및 ISO VG 18 폴리 알킬렌 글리콜을 사용하였다.
표 1: 인계 산화방지제/폴리 알킬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
실시예 배합 인계 산화방지제/
폴리 알킬렌 글리콜 (wt%)
전산가 변화율 (%, ASTM D664) 색상안정성
(ASTM D1500)
1 A 0.5/0.5 4.9 L2.0
2 A 0.5/1.0 4.8 L2.5
3 A 0.5/3.0 4.3 L3.0
4 A 0.5/5.0 4.4 L3.0
5 A 1.0/0.5 4.8 L2.5
6 A 1.0/1.0 4.7 L2.5
7 A 1.0/3.0 4.1 L3.0
8 A 1.0/5.0 4.0 L3.5
9 A 3.0/0.5 4.8 L2.5
10 A 3.0/1.0 4.5 L2.0
11 A 3.0/3.0 4.2 L3.0
12 A 3.0/5.0 4.3 L3.5
13 B 0.5/0.5 4.6 L3.0
14 B 0.5/1.0 4.8 L3.0
15 B 0.5/3.0 4.5 L2.5
16 B 0.5/5.0 4.6 L3.0
17 B 1.0/0.5 4.7 L3.0
18 B 1.0/1.0 4.6 L2.5
19 B 1.0/3.0 4.2 L3.0
20 B 1.0/5.0 4.2 L3.5
21 B 3.0/0.5 4.4 L3.0
22 B 3.0/1.0 4.2 L3.0
23 B 3.0/3.0 4.6 L3.0
24 B 3.0/5.0 4.4 L3.5
하기 실시예 25 내지 72에서는 인계 산화방지제로서 트리스(2,4-디-터셔리-부틸페닐)포스파이트(Tris(2,4-di-tert-butylphenyl) phosphite)을 사용하였고,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ISO VG 18 폴리 알킬렌 글리콜을 사용하였으며, 페놀계 산화방지제로서 힌더드 페놀(hindered phenol)을 사용하였고, 아민계 산화방지제로서 노닐레이티드 디페닐아민(nonylated diphenylamine)을 사용하였다.
표 2: 인계 산화방지제/폴리 알킬렌 글리콜/페놀계 산화방지제/아민계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
실시예 배합 인계 산화방지제/폴리 알킬
렌 글리콜/페놀계 산화방지제/아민계 산화방지제 (wt%)
전산가 변화율 (%, ASTM D664) 색상안정성
(ASTM D1500)
25 A 0.5/0.5/0.1/0.3 1.3 L1.5
26 A 0.5/0.5/0.3/0.1 1.8 L1.0
27 A 0.5/0.5/0.3/0.5 2.3 L1.0
28 A 0.5/0.5/0.5/0.5 2.4 L1.5
29 A 0.5/0.5/1.0/3.0 3.2 L1.0
30 A 0.5/0.5/3.0/1.0 1.8 L1.0
31 A 1.0/1.0/0.1/0.3 1.7 L1.5
32 A 1.0/1.0/0.3/0.1 2.1 L2.0
33 A 1.0/1.0/0.3/0.5 2.0 L1.5
34 A 1.0/1.0/0.5/0.5 1.8 L1.5
35 A 1.0/1.0/1.0/3.0 2.6 L1.0
36 A 1.0/1.0/3.0/1.0 1.5 L1.0
37 A 3.0/3.0/0.1/0.3 2.3 L2.5
38 A 3.0/3.0/0.3/0.1 2.6 L2.5
39 A 3.0/3.0/0.3/0.5 2.8 L2.5
40 A 3.0/3.0/0.5/0.5 2.5 L3.0
41 A 3.0/3.0/1.0/3.0 3.2 L1.5
42 A 3.0/3.0/3.0/1.0 2.7 L1.5
43 A 3.0/5.0/0.1/0.3 3.6 L2.0
44 A 3.0/5.0/0.3/0.1 3.2 L2.0
45 A 3.0/5.0/0.3/0.5 3.2 L2.5
46 A 3.0/5.0/0.5/0.5 4.4 L2.5
47 A 3.0/5.0/1.0/3.0 4.2 L3.0
48 A 3.0/5.0/3.0/1.0 4.6 L2.0
49 B 0.5/0.5/0.1/0.3 2.3 L1.5
50 B 0.5/0.5/0.3/0.1 2.8 L1.0
51 B 0.5/0.5/0.3/0.5 2.3 L2.0
52 B 0.5/0.5/0.5/0.5 2.4 L2.0
53 B 0.5/0.5/1.0/3.0 3.2 L1.0
54 B 0.5/0.5/3.0/1.0 1.8 L1.0
55 B 1.0/1.0/0.1/0.3 1.7 L1.5
56 B 1.0/1.0/0.3/0.1 2.1 L1.0
57 B 1.0/1.0/0.3/0.5 2.0 L1.5
58 B 1.0/1.0/0.5/0.5 1.8 L1.5
59 B 1.0/1.0/1.0/3.0 2.6 L1.0
60 B 1.0/1.0/3.0/1.0 1.5 L1.0
61 B 3.0/3.0/0.1/0.3 2.3 L2.0
62 B 3.0/3.0/0.3/0.1 2.6 L3.0
63 B 3.0/3.0/0.3/0.5 2.8 L3.0
64 B 3.0/3.0/0.5/0.5 2.5 L2.5
65 B 3.0/3.0/1.0/3.0 3.2 L3.0
66 B 3.0/3.0/3.0/1.0 2.7 L2.5
67 B 3.0/5.0/0.1/0.3 3.6 L2.0
68 B 3.0/5.0/0.3/0.1 3.2 L2.0
69 B 3.0/5.0/0.3/0.5 3.2 L2.0
70 B 3.0/5.0/0.5/0.5 4.4 L2.0
71 B 3.0/5.0/1.0/3.0 4.2 L2.5
72 B 3.0/5.0/3.0/1.0 4.6 L2.0
비교예
하기 비교예에서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인계 산화방지제, 폴리 알킬렌 글리콜, 선택적으로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아민계 산화방지제를 사용하되, 그 사용량을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비교예 1 내지 24에서는 인계 산화방지제로서 트리라우릴포스페이트(Tri-laury phosphate)을 사용하고, 폴리 알킬렌 글리콜은 ISO VG 320 폴리 알킬렌 글리콜을 사용하였다. 위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표 3: 인계 산화방지제/폴리 알킬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
비교예 배합 인계 산화방지제/
폴리 알킬렌 글리콜 (wt%)
전산가 변화율 (%, ASTM D664) 색상안정성
(ASTM D1500)
1 A 0.0/0.0 32.4 D8.0
2 A 0.005/0.005 26.2 D8.0
3 A 0.005/1.0 13.4 L6.5
4 A 0.005/3.0 14.3 L5.5
5 A 0.005/6.0 18.6 L7.0
6 A 1.0/0.0 11.7 L5.5
7 A 1.0/0.005 11.5 L5.5
8 A 3.0/0.005 9.4 L5.5
9 A 6.0/0.005 16.7 L7.5
10 A 10.0/3.0 21.7 D8.0
11 A 3.0/10.0 14.5 L6.5
12 A 0.0/1.0 23.6 D8.0
13 B 0.0/0.0 37.7 D8.0
14 B 0.005/0.005 29.7 D8.0
15 B 0.005/1.0 18.0 L7.5
16 B 0.005/3.0 17.8 L7.0
17 B 0.005/6.0 19.4 L7.0
18 A 1.0/0.0 20.7 L6.0
19 B 1.0/0.005 20.5 L6.5
20 B 3.0/0.005 19.0 L7.5
21 B 6.0/0.005 17.6 8.0
22 B 10.0/3.0 25.3 D8.0
23 B 3.0/10.0 16.9 L7.5
24 B 0.0/1.0 25.3 D8.0
비교예 25 내지 46에서는 인계 산화방지제로서 트리라우릴포스페이트(Tri-lauryl phosphate)을 사용하고, 폴리 알킬렌 글리콜은 ISO VG 680 폴리 알킬렌 글리콜을 사용하였다. 위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표 4: 인계 산화방지제/폴리 알킬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
비교예 배합 인계 산화방지제/
폴리 알킬렌 글리콜 (wt%)
전산가 변화율 (%, ASTM D664) 색상안정성
(ASTM D1500)
25 A 0.005/0.005 22.4 D8.0
26 A 0.005/1.0 16.5 L6.0
27 A 0.005/3.0 21.3 L6.5
28 A 0.005/6.0 28.0 8.0
29 A 1.0/0.0 11.2 L5.5
30 A 1.0/0.005 12.5 L6.0
31 A 3.0/0.005 17.1 L6.5
32 A 6.0/0.005 26.4 L7.5
33 A 10.0/3.0 29.7 D8.0
34 A 3.0/10.0 21.2 L7.0
35 A 0.0/1.0 28.3 D8.0
36 B 0.005/0.005 23.7 D8.0
37 B 0.005/1.0 16.8 L6.5
38 B 0.005/3.0 25.8 L7.5
39 B 0.005/6.0 29.6 8.0
40 A 1.0/0.0 20.7 L5.0
41 B 1.0/0.005 26.2 L5.0
42 B 3.0/0.005 23.0 L5.5
43 B 6.0/0.005 27.8 L7.5
44 B 10.0/3.0 29.3 D8.0
45 B 3.0/10.0 26.9 D8.0
46 B 0.0/1.0 29.3 D8.0
비교예 47 내지 66에서는 인계 산화방지제로서 트리이소데실포스파이트(Tri-isodecyl phosphite)을 사용하고, 폴리 알킬렌 글리콜은 ISO VG 460 폴리 알킬렌 글리콜을 사용하였다. 위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낸다.
표 5: 인계 산화방지제/폴리 알킬렌 글리콜/힌더드 페놀을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
비교예 배합 인계 산화방지제/
폴리 알킬렌 글리콜/힌더드 페놀 (wt%)
전산가 변화율 (%, ASTM D664) 색상안정성
(ASTM D1500)
47 A 0.005/0.005/0.005 26.3 D8.0
48 A 0.005/1.0/0.005 16.9 L7.0
49 A 0.005/3.0/3.0 23.2 D8.0
50 A 0.005/6.0/6.0 22.6 L7.5
51 A 1.0/0.005/1.0 13.5 L6.5
52 A 3.0/0.005/3.0 16.6 L7.0
53 A 6.0/0.005/0.005 20.4 D8.0
54 A 10.0/3.0/0.005 28.7 D8.0
55 A 3.0/10.0/0.005 15.5 8.0
56 A 0.0/1.0/0.005 26.5 8.0
57 B 0.005/0.005/0.005 29.7 D8.0
58 B 0.005/1.0/0.005 22.0 D8.0
59 B 0.005/3.0/0.005 17.6 D8.0
60 B 0.005/6.0/6.0 20.3 D8.0
61 B 1.0/0.005/1.0 16.5 L7.0
62 B 3.0/0.005/0.005 21.9 8.0
63 B 6.0/0.005/0.005 24.6 D8.0
64 B 10.0/3.0/0.005 26.8 D8.0
65 B 3.0/10.0/1.0 16.9 L7.0
66 B 0.0/1.0/0.005 23.1 D8.0
비교예 67 내지 94에서는 인계 산화방지제로서 트리이소데실포스파이트(Tri-isodecyl phosphite)을 사용하고, 폴리 알킬렌 글리콜은 ISO VG 460 폴리 알킬렌 글리콜을 사용하였고, 페놀계 산화방지제로서 힌더드 페놀 및 아민계 산화방지제로서 디페닐 아민을 사용하였다. 위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낸다.
표 6: 인계 산화방지제/폴리 알킬렌 글리콜/힌더드 페놀/디페닐 아민을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
비교예 배합 인계 산화방지제/
폴리 알킬렌 글리콜/힌더드 페놀/디페닐 아민 (wt%)
전산가 변화율 (%, ASTM D664) 색상안정성
(ASTM D1500)
67 A 0.005/0.005/0.005/0.005 28.6 D8.0
68 A 0.005/1.0/0.005/1.0 16.9 D8.0
69 A 0.005/3.0/3.0/6.0 11.6 D8.0
70 A 0.005/6.0/6.0/5.0 10.5 D8.0
71 A 1.0/0.005/1.0/0.005 13.5 L7.5
72 A 6.0/0.005/6.0/0.005 14.6 L7.0
73 A 15.0/2.0/15.0/0.005 16.8 D8.0
74 A 20.0/4.0/1.0/0.01 18.9 D8.0
75 A 1.0/0.01/1.0/0.01 15.5 L7.0
76 A 0.0/10.0/1.0/0.01 24.4 D8.0
77 A 0.005/0.005/1.0/0.01 26.3 D8.0
78 A 0.0/0.01/0.005/0.005 22.3 D8.0
79 A 10.0/0.0/0.005/0.005 13.2 D8.0
80 A 10.0/2.0/0.005/0.005 12.6 8.0
81 A 15.0/0.01/0.005/0.005 23.5 L7.0
82 B 0.005/0.005/0.005/0.005 26.9 D8.0
83 B 0.005/1.0/0.005/1.0 20.3 D8.0
84 B 0.005/3.0/0.005/3.0 15.6 D8.0
85 B 0.005/6.0/0.005/3.0 17.3 D8.0
86 B 1.0/0.005/0.005/3.0 16.5 L7.5
87 B 6.0/0.005/0.005/3.0 23.6 D8.0
88 B 15.0/2.0/0.005/0.005 18.7 D8.0
89 B 20.0/4.0/0.005/0.005 20.2 D8.0
90 B 1.0/0.01/0.005/3.0 18.3 L7.0
91 B 0.0/10.0/0.005/5.0 22.2 D8.0
92 B 0.005/0.005/5.0/10.0 13.5 D8.0
93 B 0.0/0.01/0.005/10.0 13.9 D8.0
94 B 10.0/0.0/0.005/0.001 21.4 D8.0
상기 표 1 및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조성물은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안정성 시험 후 전산가 (Total Acid Number, TAN) 변화율 5% 미만 (ASTM D664기준)이며, L0.5-3.5 이하 (ASTM D1500 기준)로 우수한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안정성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상기 표 3 내지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에 따른 윤활유 조성물은 전산가 변화율이 약 9-30%, 평균적으로 15-25%로 나타났으며,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조성물 보다 열산화 안정성이 현저히 떨어졌다. 또한, 비교예에 따른 윤활유 조성물은 색상 안정성면에 있어서도 그 수치가 5.0-8.0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조성물의 색상 안정성 수치인 L 0.5-3.5 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높아 색상 안정성이 현저히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색상 안정성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조성물은 신유의 상태가 아닌 고온 방치 후 산화가 진행된 상태에서도 매우 우수한 색상안정성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윤활유 조성물은 기존 윤활유 조성물에 비하여 산화 안정성 및 색상안정성이 급격히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2차 산화방지제, 폴리 알킬렌 글리콜,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아민계 산화방지제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함량을 벗어나 과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장기적으로 사용 시 오히려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안정성의 감소되고, 첨가제들의 함량 증가에 의해서 그 효과가 반감되거나 부작용을 발생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7)

  1. 윤활유 조성물 전체 중량%를 기준으로 0.01 - 3.0 wt%의 2차 산화 방지제, 0.01 - 5.0 wt%의 폴리알킬렌 글리콜, 0.01 - 3.0 wt%의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0.01 - 3.0 wt%의 아민계 산화방지제를 포함하고, ASTM D 664 기준으로 전산가 변화율이 5% 미만이며, ASTM D1500 기준으로 L0.5 - L3.5인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 안정성 향상용 윤활유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차 산화 방지제는 인계 산화방지제 또는 황계 산화방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 안정성 향상용 윤활유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인계 산화방지제는 트리알킬포스파이트, 트리알킬포스페이트, 및 트리알킬포스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 안정성 향상용 윤활유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트리알킬포스파이트는 트리메틸포스파이트, 트리에틸포스파이트, 트리이소프로필포스파이트, 트리부틸포스파이트, 트리스(트리메틸실릴)포스파이트, 트리스(터셔리-부틸디메틸실릴)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페닐포스파이트, 디-터셔리-부틸포스파이트, 디메틸 트리메틸실릴포스파이트, 디에틸 트리메틸실릴포스파이트, 트리스(2-에틸헥실)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터셔리-부틸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이소데실포스파이트, 트리옥타데실 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포스파이트 및 벤질 디에틸포스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 안정성 향상용 윤활유 조성물.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트리알킬포스페이트는 트리라우릴포스페이트, 트리올레일 포스페이트, 디올레일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 C12-C15 포스페이트, C8-C10 포스페이트, 알킬디페닐포스페이트, 알킬디톨릴포스페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5-세테쓰-10 포스페이트, 세톨레쓰-10 포스페이트, 세톨레쓰-5 포스페이트, 데세쓰-4 포스페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5 에틸헥실 에테르 포스페이트, 트리스(트리데실)포스페이트,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페이트, 및 트리이소데실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 안정성 향상용 윤활유 조성물.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트리알킬포스핀은 트리-n-부틸포스핀, 트리스(2-시아노에틸)포스핀, 트리-n-옥틸포스핀, 트리스(3-하이드록시프로필)포스핀, 모노이소부틸포스핀, 디사이클로헥실포스핀, 4,8-디메틸-2-포스파비사이클로[3.3.1]노난, 모노 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 및 디터트부틸포스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 안정성 향상용 윤활유 조성물.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알킬디페닐포스페이트는 메틸디페닐포스페이트, 에틸디페닐포스페이트, 프로필디페닐포스페이트, n-부틸디페닐포스페이트, 2-메틸프로필디페닐포스페이트, n-펜틸디페닐포스페이트, 2-메틸부틸디페닐포스페이트, 2,2-디메틸프로필디페닐포스페이트, n-헥실디페닐포스페이트, 2-메틸펜틸디페닐포스페이트, 2,2-디메틸부틸디페닐포스페이트, n-헵틸디페닐포스페이트, n-옥틸디페닐포스페이트, n-데실디페닐포스페이트, n-도데실디페닐포스페이트, 트리데실디페닐포스페이트, 테트라데실디페닐포스페이트, n-헥사데실디페닐포스페이트, 및 옥타데실디페닐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 안정성 향상용 윤활유 조성물.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알킬디톨릴포스페이트는 에틸디톨릴포스페이트, 에틸디페닐포스페이트, n-헥실디톨릴포스페이트, 2-메틸펜틸디톨릴포스페이트, 2,2-디메틸부틸디톨릴포스페이트, n-옥틸디톨릴포스페이트, 2-에틸헥실디톨릴포스페이트, 3,5,5-트리메틸헥실디톨릴포스페이트,n-데실디톨릴포스페이트, n-도데실디톨릴포스페이트, 및 트리데실디톨릴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 안정성 향상용 윤활유 조성물.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황계 산화방지제는 티올에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 안정성 향상용 윤활유 조성물.
  12.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황계 산화방지제는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트리데실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및 디미리스틸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 안정성 향상용 윤활유 조성물.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 알킬렌 글리콜의 점도 범위는 ISO VG 68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 안정성 향상용 윤활유 조성물.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 알킬렌 글리콜의 점도 범위는 ISO VG은 ISO VG 18, ISO VG 22, ISO VG 32, ISO VG 46, ISO VG 68, ISO VG 100, ISO VG 150, ISO VG 220, ISO VG 320, ISO VG 460, 및 ISO VG 68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 안정성 향상용 윤활유 조성물.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2,6-디부틸페놀, 힌더드 비스-페놀, 고 분자량의 힌더드 페놀, 및 티오에테르를 가진 힌더드 페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 안정성 향상용 윤활유 조성물.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민계 산화방지제는 디페닐아민,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 및 나프틸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 안정성 향상용 윤활유 조성물.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알킬레이티드 디페닐아민은 디옥틸디페닐아민, 옥틸레이티드 디페닐아민, 및 부틸레이트디페닐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 안정성 향상용 윤활유 조성물.
KR1020150120207A 2014-08-27 2015-08-26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 안정성 향상용 윤활유 조성물 KR101831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8969 WO2016032246A1 (en) 2014-08-27 2015-08-27 Lubricant composition for improving thermo-oxidation stability and color stability
CN201580046157.0A CN106604981B (zh) 2014-08-27 2015-08-27 用于改善热氧化稳定性和颜色稳定性的润滑剂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311 2014-08-27
KR20140112311 2014-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480A KR20160025480A (ko) 2016-03-08
KR101831489B1 true KR101831489B1 (ko) 2018-02-22

Family

ID=55534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207A KR101831489B1 (ko) 2014-08-27 2015-08-26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 안정성 향상용 윤활유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31489B1 (ko)
CN (1) CN1066049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21015892A2 (pt) * 2019-03-05 2021-10-0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ção de lubrificante, composição de lubrificante de hidrocarboneto, e, método de formação de uma composição de lubrificante de hidrocarbonet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03035A1 (en) 2006-02-28 2007-08-30 Jun Dong Stabilizing compositions for lubricant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32405A (zh) * 2006-02-28 2009-05-13 科聚亚公司 用于润滑油的稳定组合物
US20090186789A1 (en) * 2006-05-15 2009-07-23 Mitsuhiro Nagakari Lubricating oil composition
US20090184283A1 (en) * 2008-01-18 2009-07-23 Deborah Duen Ling Chung Antioxidants for phase change ability and thermal stability enhancement
CN103396874A (zh) * 2013-06-25 2013-11-20 岳西县新峰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润滑切削液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03035A1 (en) 2006-02-28 2007-08-30 Jun Dong Stabilizing compositions for lubric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604981A (zh) 2017-04-26
KR20160025480A (ko) 2016-03-08
CN106604981B (zh) 202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6510B2 (en) Lubricant composition
TWI465561B (zh) 潤滑劑摻合物組成物
EP2826847B1 (en) Lubricating oil composition
US20140303053A1 (en) Oil soluble polyalkylene glycol lubricant compositions
TWI598436B (zh) The freezer is used as a motor fluid composition and as a refrigerator oil
KR101931511B1 (ko) 식품 산업용 고온 윤활제
US20160168504A1 (en) Low viscosity gear oil composition providing enhanced fuel efficiency
CN110408461B (zh) 一种低烟雾长寿命环保型强缩成型油及其制备方法
JP2008255239A (ja) ギヤ油組成物
EP2128233A1 (en) Lubricant composition for rotary gas compressor and rotary gas compressor filled with the same
KR101831489B1 (ko) 열산화 안정성 및 색상 안정성 향상용 윤활유 조성물
US20030171227A1 (en) Stabilizing compositions for lubricating oils
WO2017171019A1 (ja) 潤滑油組成物及びそれを使用した精密減速機
JP6315601B2 (ja) 潤滑油組成物
CN103740439B (zh) 空气压缩机油复合剂、空气压缩机油复合剂的制备方法和空气压缩机油组合物
JP5492575B2 (ja) 油圧作動油組成物
WO2016032246A1 (en) Lubricant composition for improving thermo-oxidation stability and color stability
KR101147381B1 (ko) 난연성 유압작동유
AU2006259750B2 (en) High performance phosphate ester hydraulic fluid
KR20130088010A (ko) 금속 가공용 윤활유 조성물
WO2001062879A2 (en) Phosphate ester hydraulic fluids with improved properties
JPH11263993A (ja) 熱処理油組成物
JP5547391B2 (ja) 省電力ギヤ油組成物
JP2007270090A (ja) 潤滑油組成物
JP6236359B2 (ja) 滑り案内面用潤滑油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