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355B1 - 복합접지체 접지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접지체 접지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355B1
KR101831355B1 KR1020160104973A KR20160104973A KR101831355B1 KR 101831355 B1 KR101831355 B1 KR 101831355B1 KR 1020160104973 A KR1020160104973 A KR 1020160104973A KR 20160104973 A KR20160104973 A KR 20160104973A KR 101831355 B1 KR101831355 B1 KR 101831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concrete
guiding core
current
current guiding
cor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주환
오광영
임정자
Original Assignee
(주)미래안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안월드 filed Critical (주)미래안월드
Priority to KR1020160104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전류 유도심재 및 도전성 콘크리트를 포함하며, 도전성 콘크리트는 관통공을 관통하여 전류 유도심재 내측 및 외측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접지체 접지봉를 제공하여, 콘크리트가 전류 유도심재의 내측 및 외측과 결합하여 팽창계수의 차이에 의한 분리 및 파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합접지체 접지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Multiple earthed grounding rod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실시 예는 제품을 경량화하고 기온 변화에서 저항의 저감을 가져오는 복합접지체 접지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낙뢰는 활발한 기류의 유동에 의해 정전기와 같이 대전되어 발생되는 엄청난 전기에너지가 지표면으로 방전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낙뢰는 엄청난 파괴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각종 시설물을 설치할 때에는 반드시 접지장치를 갖추어 낙뢰를 받았을 때 전류를 신속하게 대지로 방전시킴으로써 낙뢰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도록 하여 왔다.
그리고 낙뢰에 의한 충격전류를 대지로 안전하게 유도함으로써 낙뢰로 인한 건물의 화재, 파손 및 인명에 대한 상해를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낙뢰 설비는 낙뢰에 의한 고전압을 대지로 흘러 보내기 위해 피뢰침(낙뢰 유도안테나)에 피뢰전선(안내선)으로 연결되어 지하에 접지시키는 장치(접지봉)로 구성되며, 접지장치(접지봉)은 장비와 대지를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장치에 작용하는 낙뢰 등의 서지 전압을 대지로 흘려 서지 전압으로부터 장치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과 인명의 손상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에는 낙뢰뿐만 아니라, 전자기기, 통신장비, 계측장비 등 전기적 설비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과부하를 대지로 흘려 첨단장비를 보호하여 첨단장비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용도로 개발되고 있다.
현재 한국, 일본, 중국에서 통용되고 있는 접지 기술들은 콘크리트 도전성 소재를 첨가하여 전도성을 부여하고, 봉이나 판 형태의 모형을 제작하여 현업에 사용하는 기술들이 대동소이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전도성을 부여한 콘크리트를 이용한 접지구조는 콘크리트의 특성상 무게가 현저하게 무거울 뿐 아니라, 콘리크트 제품의 보관이나 이동시 콘크리트 제품의 균열로 상품으로서 가치가 상실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콘크리트 접지구조는 내부 심재와 외부 도전성 소재로 구성되는데 주요부자재, 즉 전류 유도 심재와 도전성 시멘트의 팽창률이 다른바, 기온의 차이에 따라 내부 심재와 외부 도전성 소재가 이완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017657호.
실시 예는 전류 유도심재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이용하여 전류 유도심재의 내외 및 외측에 부착되는 복합접지체 접지봉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복합접지체 접지봉을 제조하는 다양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전류 유도심재 및 도전성 콘크리트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콘크리트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전류 유도심재 내측 및 외측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전성 콘크리트는 고강도 시멘트, 탄소섬유 및 강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소 섬유는 그라파이트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공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은 테이퍼 또는 곡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전류 유도심재 및 도전성 콘크리트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콘크리트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전류 유도심재 내측 및 외측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접지체 접지봉에 있어서, 상기 복합접지체 접지봉은 회전형 금형에 상기 전류 유동심재를 고정한 후, 상기 도전성 콘크리트를 상기 전류 유도심재의 내면에 주입하고, 상기 회전형 금형을 회전시켜 상기 도전성 콘크리트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전류 유도심재의 내측 및 외측면 부착되게 하는 복합접치제 접지봉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전류 유도심재 및 도전성 콘크리트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콘크리트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전류 유도심재 내측 및 외측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접지체 접지봉에 있어서, 금형 내부에 상기 전류 유도심재를 고정하고, 상기 전류 유도심재의 중심에 가압부를 구비한 후, 상기 도전성 콘크리트를 상기 금형 내부에 주입하고, 상기 가압부재로 상기 도전성 콘크리트를 가압하여, 상기 도전성 콘크리트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전류 유도심재의 내측 및 외측면에 부착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전류 유도심재 및 도전성 콘크리트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콘크리트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전류 유도심재 내측 및 외측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접지체 접지봉에 있어서, 금형 내부에 상기 전류 유도심재를 고정하고, 상기 전류 유도심재 중심에 수팽창 부재를 위치시키며, 상기 도전성 콘크리트를 상기 금형 내부에 주입하여, 상기 수팽창 부재가 도전성 콘크리트의 내부의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게 되며, 상기 수팽창 부재의 팽창에 의해서 상기 도전성 콘크리트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전류 유도심재의 내측 및 외측면에 부착되게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콘크리트가 전류 유도심재의 내측 및 외측과 결합하여 팽창계수의 차이에 의한 분리 및 파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류 유도심재를 이용하여 도전성 재료가 유도 심재에 밀착하도록 하여 이상전류 유입시 대지로 써지의 방출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지와 직접 접촉하는 대지 접촉면의 확대를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접지체 접지봉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요소인 전류 유도심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관통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인 복합접지체 접지봉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제1 실시 예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인 복합접지체 접지봉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제2 실시 예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인 복합접지체 접지봉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제3 실시 예이고,
도 7은 도 6에서 수팽창부재가 팽창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2 구성 요소는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1 구성 요소도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element가 다른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접지체 접지봉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복합접지체 접지봉의 구성요소인 전류 유도심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전류 유도심재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접지체 접지봉(1)은 전류 유도심재(100)와 도전성 콘크리트(200)를 포함한다.
전류 유도심재(100)는 복합접지체 접지봉(1)이 받는 비정상적인 전압을 방출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금속재질이 사용되고 있다. 전류 유도심재(100)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원통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전류 유도심재(100)를 관통하는 관통공(110)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 예로, 전류 유도심재(100)는 원통형으로 제작되며, 스테인레스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전류 유도심재(100)는 다양한 형상이나 재질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관통공(110)은 전류 유도심재(100)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110)은 전류 유도심재(100)의 내측과 외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일실시 예로, 복수의 관통공(110)은 일정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전류 유도심재(100)에 나선의 형상으로 열을 지어 배열될 수 있다. 관통공(110)의 배열은 전류 유도심재(100)에 내측과 외측에 밀착하는 도전성 콘크리트(200)가 관통하는 통로에 해당한다.
종래의 접지봉에서는 심재 외측면에 도전성 콘크리트(200)를 결합하는 구성을 사용하였으나, 이 경우 콘크리트의 외벽과 한정된 접착을 하게 되며, 동하절기 또는 기온의 편차로 금속과 콘크리트의 팽창계수의 차이로 인한 금속과 콘크리트의 분리가 문제가 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합접지체 접지봉(1)은 전류 유도심재(100)의 내측과 외측을 관통하여 도전성 콘크리트(200)가 결합을 한다. 이때, 내측에 부착되는 도전성 콘크리트(200)는 내부에 중공(130)이 형성될 수 있다. 중공(130)은 복합접지체 접지봉의 중량을 감소할 수 있으며, 토양에 삽입시 토양과의 접촉면적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전류 유동심재의 내외측에 부착되는 도전성 콘크리트는 전류 유도심재의 양측에 접촉하여 이중방출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금속으로 마련되는 전류 유도심재(100)와 도전성 콘크리트(200)의 팽창계수에 차이가 있더라도 전류 유도심재(100)의 내측과 외측에서 결합하는 도전성 콘크리트(200)는 전류 유도심재(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관통공(110)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은 테이퍼 또는 곡면(120)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일실시 예로 관통공(110)은 양단이 곡면(120)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하는 공극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가 굳은 후 발생할 수 있는 전단취약부를 보강할 수 있다.
도전성 콘크리트(200)는 전류 유도심재(100)에 형성되는 관통공(110)을 관통하여 전류 유도심재(100)의 내측과 외측에 부착된다. 도전성 콘크리트(200)는 포틀렌드 시멘트, 탄소섬유 및 강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콘크리트(200)에는 상기의 구성요소 외에 다른 구성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전성 콘크리트(200)에 포함되는 탄소섬유와 강섬유는 콘크리트와 혼합되어 있다. 이러한 탄소섬유와 강섬유는 콘크리트의 강성을 보강하는 효과가 있으며, 전류 유도심재(100)에 탄소섬유와 강섬유가 밀착하게 되어 이상전류 유입시 대지로 써지의 방출이 빠르게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전성 콘크리트(200)에 포함되는 탄소섬유에는 그라파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그라파이트는 온도가 고온으로 올라갈수록 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2500℃의 온도에서는 상온보다 강도가 약 2배 증가하는 특성이 있다. 또한 그라파이트는 열팽창률이 작으며, 전류를 잘 통과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도전성 콘크리트(200) 내부에 포함되는 그라파이트는 자체 특성에 의해 도전성 콘크리트(200) 내부로 전달되는 전류를 빠르게 방출할 수 있으며, 고온이 되더라도 팽창률이 작아 도전성 콘크리트(200) 내부의 손상률을 낮출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합접지체 접지봉 제조방법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접지체 접지봉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인 복합접지체 접지봉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제1 실시 예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인 복합접지체 접지봉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제2 실시 예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인 복합접지체 접지봉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제3 실시 예이고, 도 7은 제3 실시 예에서 수팽창부재가 팽창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복합접지체 접지봉 제조방법의 제1 실시 예는 복수의 관통공(110)이 형성되는 전류 유도심재(100) 및 도전성 콘크리트(200)를 포함하며, 도전성 콘크리트(200)는 상기 관통공(110)을 관통하여 상기 전류 유도심재(100) 내측 및 외측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접지체 접지봉에 있어서, 복합접지체 접지봉은 회전형 금형(400)에 전류 유동심재를 고정한 후, 도전성 콘크리트(200)를 상기 전류 유도심재(100)의 내면에 주입하고, 회전형 금형(400)을 회전시켜 도전성 콘크리트(200)가 관통공(110)을 관통하여 전류 유도심재(100)의 내측 및 외측면 부착되게 할 수 있다.
제1 실시 예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도전성 콘크리트(200)를 전류 유도심재(100)의 내측 및 외측에 부착시키는 방법이다. 제1 실시 예의 구성요소인 회전형 금형(400)은 구동부(3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회전형 금형(400) 내부에는 전류 유도심재(100)가 고정될 수 있다. 회전형 금형(400) 내부로 도전성 콘크리트(200)가 유입된 후, 구동부(300)가 회전형 금형(400)을 회전하여 도전성 콘크리트(200)를 외측으로 밀어낸다. 이때 복합접지체 접지봉의 내부에는 중공(130)이 형성된다. 일실시 예로 구동부(300)는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복합접지체 접지봉 제조방법의 제2 실시 예는 복수의 관통공(110)이 형성되는 전류 유도심재(100) 및 도전성 콘크리트(200)를 포함하며, 도전성 콘크리트(200)는 관통공(110)을 관통하여 전류 유도심재(100) 내측 및 외측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접지체 접지봉에 있어서, 금형(400) 내부에 전류 유도심재(100)를 고정하고, 전류 유도심재(100)의 중심에 가압부(310)재를 구비한 후, 도전성 콘크리트(200)를 금형(400) 내부에 주입하고, 가압부(310)재로 도전성 콘크리트(200)를 가압하여, 도전성 콘크리트(200)가 관통공(110)을 관통하여 전류 유도심재(100)의 내측 및 외측면에 부착되게 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는 압력을 이용하여 도전성 콘크리트(200)를 전류 유도심재(100)의 내측 및 외측에 부착시키는 방법이다. 제2 실시 예의 구성요소인 가압부(310)는 구동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금형(400) 내부로 도전성 콘크리트(200)가 유입된 후, 구동부(300)는 가압부(310)를 팽창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부(300)는 에어펌프가, 가압부(310)는 고무 튜브가 사용될 수 있다.
에어펌프가 팽창하여 도전성 콘크리트(200)를 외측으로 가압하게 되며, 도전성 콘크리트(200)는 관통공(110)을 관통하여 전류 유도 심재의 내측 및 외측면에 부착된다. 이후 도전성 콘크리트(200)가 굳을 때까지 가압상태를 유지하며, 이후 도전성 콘크리트(200)가 굳은 후 가압부(310)를 제거하여 중공(130)을 형성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복합접지체 접지봉 제조방법의 제3 실시 예는 복수의 관통공(110)이 형성되는 전류 유도심재(100) 및 도전성 콘크리트(200)를 포함하며, 도전성 콘크리트(200)는 관통공(110)을 관통하여 전류 유도심재(100) 내측 및 외측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접지체 접지봉에 있어서, 금형(400) 내부에 상기 전류 유도심재(100)를 고정하고, 전류 유도심재(100) 중심에 수팽창 부재(500)를 위치시키며, 도전성 콘크리트(200)를 금형(400) 내부에 주입하여, 수팽창 부재가 도전성 콘크리트(200)의 내부의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게 되며, 수팽창 부재(500)의 팽창에 의해서 도전성 콘크리트(200)가 관통공(110)을 관통하여 전류 유도심재(100)의 내측 및 외측면에 부착되게 할 수 있다.
제3 실시 예는 압력을 이용하여 도전성 콘크리트(200)를 전류 유도심재(100)의 내측 및 외측에 부착시키는 방법이다. 제3 실시 예의 구성요소인 수팽창부재는 도전성 콘크리트(200) 내부에 함유되는 물을 흡수하면서 팽창을 한다.
전류 유도심재(100) 내부에 수팽창부재를 고정시키고, 도전성 콘크리트(200)를 금형(400)내부로 주입한다. 이때, 도전성 콘크리트(200)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물이 수팽창 부재(500)로 흡수되고, 수팽창 부재(500)는 물을 흡수하여 팽창을 하게 된다. 도전성 콘크리트(200)는 수팽창 부재(500)의 가압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며, 관통공(110)을 관통하여 전류 유도 심재의 내측 및 외측면에 부착되게 된다. 수팽창 부재(500)는 일정량의 물을 흡수한 뒤 더 이상 팽창하지 않게되므로 도전성 콘크리트(200)가 건조된 후 수팽창 부재(500)를 제거하여 중공(130)을 형성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복합접지체 접지봉
100 : 전류 유도심재
110 : 관통공
130 : 중공
200 : 도전성 콘크리트
300 : 구동부
310 : 가압부
400 : 금형
500 : 수팽창 부재

Claims (7)

  1.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전류 유도심재 및
    도전성 콘크리트
    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콘크리트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전류 유도심재 내측 및 외측에 부착되며, 상기 내측에 부착되는 상기 도전성 콘크리트는 상기 전류 유도심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접지체 접지봉.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콘크리트는 고강도 시멘트, 탄소섬유 및 강섬유를 포함하는 복합접지체 접지봉.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섬유는 그라파이트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접지체 접지봉.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양단 중 적어도 일단은 테이퍼 또는 곡면의 형상을 가지는 복합접지체 접지봉.
  5.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전류 유도심재 및 도전성 콘크리트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콘크리트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전류 유도심재 내측 및 외측에 부착되며, 상기 내측에 부착되는 상기 도전성 콘크리트는 상기 전류 유도심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접지체 접지봉에 있어서,
    상기 복합접지체 접지봉은 회전형 금형에 상기 전류 유도심재를 고정한 후,
    상기 도전성 콘크리트를 상기 전류 유도심재의 내면 및 외면에 주입하고,
    상기 회전형 금형을 회전시켜 상기 도전성 콘크리트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전류 유도심재의 내측 및 외측면 부착되게 하는 복합접치제 접지봉 제조방법.
  6.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전류 유도심재 및 도전성 콘크리트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콘크리트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전류 유도심재 내측 및 외측에 부착되며, 상기 내측에 부착되는 상기 도전성 콘크리트는 상기 전류 유도심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접지체 접지봉에 있어서,
    금형 내부에 상기 전류 유도심재를 고정하고,
    상기 전류 유도심재의 중심에 가압부를 구비한 후,
    상기 도전성 콘크리트를 상기 금형 내부에 주입하고,
    상기 가압부로 상기 도전성 콘크리트를 가압하여, 상기 도전성 콘크리트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전류 유도심재의 내측 및 외측면에 부착되게 하는 복합접지체 접지봉 제조방법.
  7.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전류 유도심재 및 도전성 콘크리트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콘크리트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전류 유도심재 내측 및 외측에 부착되며, 상기 내측에 부착되는 상기 도전성 콘크리트는 상기 전류 유도심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접지체 접지봉에 있어서,
    금형 내부에 상기 전류 유도심재를 고정하고,
    상기 전류 유도심재 중심에 수팽창 부재를 위치시키며,
    상기 도전성 콘크리트를 상기 금형 내부에 주입하여, 상기 수팽창 부재가 도전성 콘크리트의 내부의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게 되며, 상기 수팽창 부재의 팽창에 의해서 상기 도전성 콘크리트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전류 유도심재의 내측 및 외측면에 부착되게 하는 복합접지체 접지봉 제조방법.
KR1020160104973A 2016-08-18 2016-08-18 복합접지체 접지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831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973A KR101831355B1 (ko) 2016-08-18 2016-08-18 복합접지체 접지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973A KR101831355B1 (ko) 2016-08-18 2016-08-18 복합접지체 접지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1355B1 true KR101831355B1 (ko) 2018-02-28

Family

ID=61400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973A KR101831355B1 (ko) 2016-08-18 2016-08-18 복합접지체 접지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3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1391A1 (en) * 2019-11-22 2021-05-27 Øglænd System As Grounding system for a concrete structure and method for arranging the grounding system in the concrete structure
CN113189146A (zh) * 2021-04-16 2021-07-30 国网甘肃省电力公司经济技术研究院 一种导电混凝土接地网监测大地裂隙滑坡的装置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841B1 (ko) * 2011-11-29 2012-04-30 주식회사 엔투비 돌출부를 구비하고 세라믹 담체를 내재한 접지장치
KR101265470B1 (ko) * 2013-03-12 2013-05-16 김경연 탄소 접지봉 및 그 제조 방법
KR101524437B1 (ko) * 2015-01-23 2015-05-29 정용기 흑연, 진주석 및 질석의 혼합 접지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841B1 (ko) * 2011-11-29 2012-04-30 주식회사 엔투비 돌출부를 구비하고 세라믹 담체를 내재한 접지장치
KR101265470B1 (ko) * 2013-03-12 2013-05-16 김경연 탄소 접지봉 및 그 제조 방법
KR101524437B1 (ko) * 2015-01-23 2015-05-29 정용기 흑연, 진주석 및 질석의 혼합 접지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1391A1 (en) * 2019-11-22 2021-05-27 Øglænd System As Grounding system for a concrete structure and method for arranging the grounding system in the concrete structure
CN113189146A (zh) * 2021-04-16 2021-07-30 国网甘肃省电力公司经济技术研究院 一种导电混凝土接地网监测大地裂隙滑坡的装置及方法
CN113189146B (zh) * 2021-04-16 2024-05-28 国网甘肃省电力公司经济技术研究院 一种导电混凝土接地网监测大地裂隙滑坡的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1355B1 (ko) 복합접지체 접지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ES2338131T3 (es) Procedimiento para fabricar un conjunto engarzado, y conjunto y aparato relacionados.
KR101061472B1 (ko) 접지장치 및 접지블록
KR100928719B1 (ko)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시공방법
CN113343525B (zh) 一种三支柱绝缘子及辅助设计方法
CN111740356A (zh) 一种电缆修补套管及其修补方法
KR101131771B1 (ko) 고전류의 외부방출이 가능한 고효율 경량 접지봉
CN108574255A (zh) 一种便于剥线的防折断的弱电缆线接线盒
CN110820712B (zh) 一种使用变刚度支撑杆的土压力计
CN103414135B (zh) 一种防舞动刚性相地间隔棒
CN108878084A (zh) 防爆避雷器
WO2016117771A1 (ko) 흑연, 진주석 및 질석의 혼합 접지모듈
KR101265470B1 (ko) 탄소 접지봉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112510A (ko)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및 그 시공방법
KR200288758Y1 (ko) 접지용 전주
KR20060002315A (ko)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형성된 접지봉
KR100617900B1 (ko) 침 장착형 접지장치
CN104157379B (zh) 一种多级复合绝缘子
US10374401B1 (en) Device and process for hot sticks for high-temperature applications
KR200375219Y1 (ko) 서지 방전용 접지봉의 방전침 결합 구조
CN205194450U (zh) 一种线路横担避雷绝缘子
RU2173902C1 (ru) Опорная стержневая изоляцио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KR100951563B1 (ko) 공기를 이용한 접지부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77180Y1 (ko) 접지시스템의 압축단자
KR20170050116A (ko) 접지봉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