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180Y1 - 접지시스템의 압축단자 - Google Patents

접지시스템의 압축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180Y1
KR200377180Y1 KR20-2004-0032928U KR20040032928U KR200377180Y1 KR 200377180 Y1 KR200377180 Y1 KR 200377180Y1 KR 20040032928 U KR20040032928 U KR 20040032928U KR 200377180 Y1 KR200377180 Y1 KR 2003771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facility
fixing
terminal
compress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9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민희
Original Assignee
맹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민희 filed Critical 맹민희
Priority to KR20-2004-00329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1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1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1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Landscapes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지시스템의 압축단자에 관한 것으로, 리드선이 끼워져 압축 고정되는 압축고정부와, 상기 압축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고정부재가 끼워지는 고정구멍이 형성되며 시설물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밀착고정부로 이루어지는 접지시스템의 압축단자에 있어서, 상기 밀착고정부의 고정구멍 가장자리를 둘러서 일정한 폭으로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탄소를 채워 시설물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내충격성이 크며, 열팽창율이 작고, 열과 전기의 전도성이 좋은 성질을 가지는 탄소로 시설물에 접촉되는 밀착부가 형성되므로, 시설물에 고정된 압축단자가 낙뢰로 인한 충격에 의한 파괴되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낙뢰로 인한 강력한 전기를 지면으로 신속하게 방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접지시스템의 압축단자{a compression terminal of a ground system}
본 고안은 전력계통내부에서 야기되는 사고 또는 낙뢰와 같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고장전류 혹은 써지를 효과적으로 대지로 분산시키는 접지시스템에서 시설물에 더욱 밀착되게 고정되어 낙뢰의 충격에서도 견딜 수 있는 접지시스템의 압축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낙뢰는 활발한 기류의 유동에 의해 정전기와 같이 대전되어 발생된 엄청난 전기에너지가 지표면으로 방전되는 현상이다. 지구는 거대한 용량의 콘덴서와 같기 때문에 낙뢰와 같은 전류가 충전된다하여도 이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으므로 전위상승과 같은 현상은 발생되지 않는다.
이러한 낙뢰는 엄청난 파괴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각종 시설물을 시공할 때에는 반드시 접지시설을 갖추어 낙뢰를 받았을 때 전류를 신속하게 지중으로 방전시킴으로써 낙뢰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는 것이다.
접지는 일반적으로 접지극을 대지에 매설하는 것으로서, 접지극에 가해지는 전류는 외부에서 발생한 낙뢰와 같은 써지와 전력계통 및 전기기기의 고장에 의한 고장전류 및 3상불평형에 의한 불평형전류 등이 있다. 이러한 전류는 접지극을 통해 대지로 흡수된다. 접지시설은 낙뢰피해가 우려되는 건축물, 철골구조물에 접지극을 리드선으로 연결하여 지중에 매설시킨 것으로, 특히 건물의 최상단부에 피뢰침을 설치하고 이 피뢰침을 동선으로 연결하여 지면에 접지시킨 것이다. 그리고 매설된 동선의 단부에는 메쉬접지망이나 방사상 접지망 또는 단순한 동으로된 접지봉, 접지선 등과 같은 접지극을 연결하여 넓은 지역으로 분포시켰다.
이러한 종래의 접지시스템이 도 1에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선철탑과 같은 시설물에 압축단자(10)가 고정되고, 이 압축단자(10)에 리드선(12)의 일단부가 압축고정되며, 상기 리드선(12)의 타단부에는 리드단자(14)가 고정된다.
상기 리드단자(14)는 지중에 매설되는 어스봉(16)의 일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어스봉(16)의 둘레에는 다수개의 방전침(18)이 사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어스봉(16)의 재질은 전도체로서 저항이 작은 것이면 좋으나 갑자기 큰 전압이 걸렸을 때 녹아내리지 않는 재질의 금속이면 더욱더 좋다. 이러한 금속으로 현재 스테인레스를 사용한다. 그리고, 어스봉(16)의 둘레에 설치되는 방전침(18) 또한 같은 성질의 금속으로 형성된다. 이 방전침(18)은 4개가 한 조를 이루어 사방을 향하도록 방사형태로 설치되며, 이러한 한 조의 방전침(18)들이 어스봉(16)의 외주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시설물에 고정되는 압축단자(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선(12)의 단부가 끼워져 압축 고정되는 압축고정부(10a)와, 이 압축고정부(10a)와 일체로 형성되며 압축단자(10)를 시설물에 밀착시켜 고정부재 즉 볼트로 고정하기 위한 밀착고정부(10b)로 이루어진다. 상기 밀착고정부(10b)에는 볼트가 끼워져 체결되는 고정구멍(10c)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압축단자(10)는 동으로 만들어지고 그 표면에 주석으로 도금 처리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접지시스템에서의 압축단자는 송전선철탑과 같은 시설물에 부착될 때에 상기 밀착고정부(10b)가 볼트에 의해 시설물의 일부에 밀착된 후에 고정되는데, 이때, 밀착고정부(10b)가 시설물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낙뢰에 따른 압축단자의 밀착고정부(10b)에 엄청난 전기와 물리적인 충격을 받게 되는데, 이 충격에 의해 압축단자의 밀착고정부(10b)가 파괴되거나 이탈되어 압축단자가 시설물에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단자에서 시설물에 접촉되는 밀착고정부에 탄소로 이루어진 접촉부를 마련하여 낙뢰로 인한 물리적인 충격과 전기적인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한 접지시스템의 압축단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접지시스템의 압축단자는 리드선이 끼워져 압축 고정되는 압축고정부와, 상기 압축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고정부재가 끼워지는 고정구멍이 형성되며 시설물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밀착고정부로 이루어지는 접지시스템의 압축단자에 있어서, 상기 밀착고정부의 고정구멍 가장자리를 둘러서 일정한 폭으로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탄소를 채워 시설물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지시스템의 압축단자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지시스템의 측단면도이다.
도 3에서, 부호 50은 접지시스템의 압축단자를 보인 것으로, 이 압축단자(50)는 리드선이 끼워져 압축고정되는 압축 고정부(52)와, 상기 압축고정부(52)에 일체로 형성되며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가 끼워지는 고정구멍(54a)이 형성되는 밀착고정부(54)로 이루어진다. 상기 밀착고정부(54)의 고정구멍(54a)을 주위로 일정한 폭과 깊이로 홈이 형성되고, 이 홈에 탄소가 채워져 압축단자(50)를 시설물에 밀착시키기 위한 밀착부(56)를 형성한다.
상기 밀착부(56)의 폭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라 하고, 밀착고정부(54)에서 밀착부(56)가 제외한 일측부의 폭을 b라 할 때, b가 1이면, a는 2~3의 비율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밀착부(56)를 형성하는 탄소는 내충격성이 크며, 열팽창율이 작고, 열과 전기의 전도성이 좋은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시설물에 상기 밀착부(56)가 밀착된 상태에서 압축단자(50)가 고정되면, 낙뢰에 의한 충격과 열팽창 등에 의해 압축단자(50)가 파괴되거나 시설물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지시스템의 압축단자는, 내충격성이 크며, 열팽창율이 작고, 열과 전기의 전도성이 좋은 성질을 가지는 탄소로 시설물에 접촉되는 밀착부가 형성되므로, 시설물에 고정된 압축단자가 낙뢰로 인한 충격에 의한 파괴되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낙뢰로 인한 강력한 전기를 지면으로 신속하게 방출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접지시스템을 간략하게 보인 도면,
도 2는 종래 접지시스템의 압축단자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지시스템의 압축단자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지시스템의 압축단자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압축단자 52; 압축고정부
54; 밀착고정부 54a; 고정구멍
56; 밀착부

Claims (2)

  1. 리드선이 끼워져 압축 고정되는 압축고정부와, 상기 압축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고정부재가 끼워지는 고정구멍이 형성되며 시설물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밀착고정부로 이루어지는 접지시스템의 압축단자에 있어서,
    상기 밀착고정부의 고정구멍 가장자리를 둘러서 일정한 폭으로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탄소를 채워 시설물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시스템의 압축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그 폭을 a 라 하고, 밀착고정부에서 밀착부를 제외한 나머지의 폭을 b라 할 때, b가 1이면 a는 2~3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시스템의 압축단자.
KR20-2004-0032928U 2004-11-22 2004-11-22 접지시스템의 압축단자 KR2003771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928U KR200377180Y1 (ko) 2004-11-22 2004-11-22 접지시스템의 압축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928U KR200377180Y1 (ko) 2004-11-22 2004-11-22 접지시스템의 압축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180Y1 true KR200377180Y1 (ko) 2005-03-11

Family

ID=43678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928U KR200377180Y1 (ko) 2004-11-22 2004-11-22 접지시스템의 압축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1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054460A (zh) 杆塔系统
CN108428526A (zh) 一种避雷器芯体和避雷器
CN111293661B (zh) 一种绝缘导线双向防雷击断线保护方法及装置
KR200377180Y1 (ko) 접지시스템의 압축단자
CN103928900B (zh) 避雷线防雷消电容接地装置
CN206640285U (zh) 一种电力设备用避雷装置
JP2005005240A (ja) 接地体
KR200460556Y1 (ko) 서지 다중 방전 접지봉
CN213717083U (zh) 接地阻抗及风力发电机
CN111554460B (zh) 一种防雷击断线与人身触电绝缘子
CN209375102U (zh) 一种具有可调导电连接板的交叉互联接地箱
KR20060013816A (ko) 서지방전봉
KR200375219Y1 (ko) 서지 방전용 접지봉의 방전침 결합 구조
CN112909741A (zh) 一种适用于高阻值山区的多腔室避雷器及其生产工艺
CN105261433A (zh) 一种避雷器
KR101234047B1 (ko) 전해질 저 저항 탄소접지봉
KR100617900B1 (ko) 침 장착형 접지장치
KR200206713Y1 (ko) 서지 방전용 접지봉
CN1855634A (zh) 一种用绝缘导线深引入地的过电压保护接地装置
KR100532069B1 (ko) 낙뢰접지봉
CN2796160Y (zh) 一种用绝缘导线深引入地的过电压保护接地装置
KR200449144Y1 (ko) 방뢰접지봉
JPH01209685A (ja) 避雷器
CN104952564A (zh) 一种绝缘子
CN110401045B (zh) 一种线路防地电位反击专用接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