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220B1 - 플래시 박스 및 그것을 구비하는 복수기 - Google Patents

플래시 박스 및 그것을 구비하는 복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220B1
KR101831220B1 KR1020160002359A KR20160002359A KR101831220B1 KR 101831220 B1 KR101831220 B1 KR 101831220B1 KR 1020160002359 A KR1020160002359 A KR 1020160002359A KR 20160002359 A KR20160002359 A KR 20160002359A KR 101831220 B1 KR101831220 B1 KR 101831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box body
box
condens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8800A (ko
Inventor
다카히로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60088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9/00Auxiliary systems, arrangements, or devices
    • F28B9/02Auxiliary system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feeding steam or vapour to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1/00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is separate from the cooling medium by walls, e.g. surface condenser
    • F28B1/02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is separate from the cooling medium by walls, e.g. surface condenser using water or other liquid as the cooling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9/00Auxiliary systems, arrangements, or devices
    • F28B9/08Auxiliary system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collecting and remov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9/00Auxiliary systems, arrangements, or devices
    • F28B9/10Auxiliary system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xtracting, cooling, and removing non-condensable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본 실시형태의 플래시 박스는, 증기 터빈으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를, 그 내부 공간에서 응축시키는 복수기의 복수기 본체에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되며, 도입되는 히터 드레인을 플래시시키는 플래시 박스이다. 이 플래시 박스는, 박스 본체와, 박스 본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박스 본체의 내부 공간에 히터 드레인을 도입하는 드레인 도입부와, 박스 본체와 드레인 도입부 사이에 배치되는 차열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플래시 박스 및 그것을 구비하는 복수기{FLASH BOX AND STEAM CONDENS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플래시 박스(flash box) 및 그것을 구비하는 복수기(steam condenser)에 관한 것이다.
증기 터빈(turbine)이 설치되는 화력 발전소나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일반적으로 복수기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기는 증기 터빈으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를 냉각수에 의해 응축시켜 복수(復水)로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복수기에 의해 응축된 복수는 일반적으로 가열기에 보내져 가열된 후 보일러(boiler)에 공급된다. 그 후, 복수는 보일러에 의해 더 가열되어 증기로 된다. 그 후, 복수로부터 기화한 증기는 증기 터빈(steam turbine)에 다시 공급되어 증기 터빈을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은 계통 중에 있어서의 가열기에는, 일반적으로 증기 터빈에 공급되는 터빈 증기의 일부가 추기(抽氣) 증기로서 공급되고, 이 추기 증기가 복수의 가열을 위해 이용된다. 가열기에 공급된 상기 추기 증기는 복수의 가열 후에 응축됨으로써 액체로 된다. 이 액체는 일반적으로 히터 드레인(heater drain)이라 불리고 있다. 이러한 히터 드레인이 생길 경우, 히터 드레인은 복수기에 유입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화력 발전소에서는 보일러(boiler)로부터의 드레인(drain)이 복수기에 유입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은 히터 드레인은 용존 산소를 많이 포함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용존 산소가 많이 포함된 채로 히터 드레인이 복수에 혼합되면, 용존 산소에 기인해서 계통 내의 각 기기에 부식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복수기에는 히터 드레인에 포함되는 용존 산소를 탈기하기 위해 플래시 박스(flash box)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플래시 박스는, 그 내부 공간의 포화 온도가 히터 드레인의 온도보다 낮아, 고온이며 고압인 히터 드레인을 그 내부 공간에서 팽창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 드레인으로부터 용존 산소(dissolved oxygen)를 포함하는 증기(플래시 증기)를 방출시켜 탈기할 수 있다. 즉, 히터 드레인을 플래시(증발)시켜 히터 드레인으로부터 증기와 함께 용존 산소를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플래시 박스는, 일반적으로 터빈 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복수기의 케이싱(복수기 본체)과는 별개로 설치되며, 복수기 본체의 외벽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기에서는, 보일러로부터의 드레인을 플래시 박스에 유입시킨 후에 복수기 본체 내에 드레인을 유입시키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플래시 박스는 고온의 드레인의 온도를 저하시켜 복수기 본체 내에 유입시킨다. 이에 따라, 복수기 본체의 열변형 등의 손상을 방지한다. 또, 플래시 박스에는 히터 드레인 및 보일러로부터의 드레인이 유입되는 경우도 있다.
플래시 박스에 관련되는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플래시 박스에 뒤집힌 요(凹)형의 히터 드레인 유로를 설치하는 구성 등이 알려져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탈기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것으로서 일본국 특허 제5197602호 공보(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가 있다.
그런데, 히터 드레인이나 보일러로부터의 고온의 드레인(이하, 드레인)은 고에너지(energy) 유체이고 고온이며 고압이다. 그 때문에, 플래시 박스가 복수기에 적용될 경우에 있어서, 드레인이 고온인 채로 플래시 박스에 유입되면, 플래시 박스의 케이싱 등의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케이싱 등에 열응력이 생겨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는 대책으로서, 예를 들면 복수기 및 플래시 박스와는 별개로 설치한 감온기에 의해 드레인을 감온시킨 후에, 플래시 박스에 유입시킨다는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구성은, 감온기의 설치 스페이스의 확보나, 감온기에 공급할 냉각수용의 배관의 설치 등에 의해, 계통의 구성이나 배치가 복잡해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간이한 구조로 지장 없이 고에너지 유체인 드레인의 유입을 허용할 수 있는 플래시 박스 및 그것을 구비하는 복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형태에 따른 플래시 박스는, 증기 터빈으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를, 그 내부 공간에서 응축시키는 복수기의 복수기 본체에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되며, 도입되는 드레인을 플래시시키는 플래시 박스이다. 이 플래시 박스는, 박스 본체와, 상기 박스 본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박스 본체의 내부 공간에 상기 드레인을 도입하는 드레인 도입부와, 상기 박스 본체와 상기 드레인 도입부 사이에 배치되는 차열(遮熱)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따른 복수기는, 증기 터빈으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를, 그 내부 공간에서 응축시키는 복수기 본체와, 이 복수기 본체에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상기한 플래시 박스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플래시 박스를 구비하는 복수기가 설치된 발전 시스템의 일례의 개략 계통도.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플래시 박스를 구비하는 복수기의 상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4의 (A)는, 도 3에 도시되는 Z영역에 의해 둘러싸이는 플래시 박스의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의 Ⅳ-Ⅳ선을 따르는 플래시 박스의 단면도이고, 도 4의 (C)는 플래시 박스에 설치되는 차열 부재의 횡단면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5의 (A)는, 도 3에 도시되는 Z영역에 대응하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플래시 박스의 단면도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의 V-V선을 따르는 플래시 박스의 단면도.
도 6은 제3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6의 (A)는, 도 3에 도시되는 Z영역에 대응하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플래시 박스의 단면도이고, 도 6의 (B)는, 도 6의 (A)의 Ⅵ-Ⅵ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7은 제4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3에 도시되는 Z영역에 대응하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플래시 박스의 단면도.
도 8은 제5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3에 도시되는 Z영역에 대응하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플래시 박스의 단면도.
도 9의 (A), (B)는 제5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제1 내지 제5 실시형태의 차열 부재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
이하에, 첨부한 도면을 참조해서 각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에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플래시 박스(10)를 구비하는 복수기(100)가 설치된 발전 시스템(system)의 일례의 개략 계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발전 시스템에서는, 증기 터빈(1)에 터빈 증기(S1)가 공급됨으로써 증기 터빈(1)이 회전하고, 증기 터빈(1)의 회전이 회전축(2)을 통해서 발전기(3)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발전기(3)가 회전해서 발전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일례로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복수기(100)는, 증기 터빈(1)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증기(S2)를 냉각수에 의해 응축해서 복수(W)로 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복수기(100)는, 복수기 본체(101)와 플래시 박스(10)를 구비하고 있으며, 도시한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는, 그 중의 복수기 본체(101)에 배기 증기(S2)가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복수기 본체(101)는, 증기 터빈(1)으로부터의 배기 증기(S2)가 유입되어 응축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도시한 발전 시스템은, 복수기 본체(101)에 있어서 응축된 복수(W)가 가열기(4)에 유입됨과 함께, 이 가열기(4)에, 증기 터빈(1)에 공급되는 터빈 증기(S1)의 일부가 추기 증기(S3)로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 가열기(4)에 있어서는, 추기 증기(S3)가 복수(W)의 가열을 위해 이용되며, 추기 증기(S3)는 복수(W)의 가열 후에 응축됨으로써 액체인 히터 드레인(D)으로 된다. 이 예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박스(10)는, 가열기(4)로부터 배출되는 히터 드레인(D)에 포함되는 용존 산소를 탈기해서 배출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래시 박스(10)를 구비하는 복수기(100)에 대해 상세히 기술한다. 도 2는 복수기(100)의 상면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르는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플래시 박스(10)의 단면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복수기(100)는 전술한 복수기 본체(101)와 플래시 박스(10)를 구비하고 있으며, 플래시 박스(10)는 복수기 본체(101)에 서로 인접하도록 해서 설치되어 있다. 복수기 본체(101)에는 수실(水室)(10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수실(102)은, 복수기 본체(101) 내에 유입되는 배기 증기(S2)(도 1 참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를, 복수기 본체(101) 내에 배치되는 후술하는 세관군(細管群)(103)에 공급함과 함께, 세관군(103)을 통과한 냉각수를 배출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들 수실(102) 및 세관군(103)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형태의 복수기 본체(101)는,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부(101U)와, 상측부(101U)의 하부에 접속된 하측부(101D)를 갖고 있으며, 그 중, 상측부(101U)는, 증기 터빈(1)이 배출하는 배기 증기(exhaust steam)(S2)를 하측부(101D)를 향해 통과시키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하측부(101D)는, 상측부(101U)를 통과한 배기 증기(S2)를 응축시키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하측부(101D)는, 횡단면 보기로 장방형 형상을 가짐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하측부(101D)는, 서로 대향함과 함께 서로를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벽부(111A)와, 서로 대향함과 함께 서로를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벽부(111B)를 갖고 있다. 한 쌍의 제1 벽부(111A)의 한쪽의 단부(端部) 사이가 한 쌍의 제2 벽부(111B) 중의 한쪽에 의해 연결되고, 한 쌍의 제1 벽부(111A)의 다른 쪽의 단부 사이가 한 쌍의 제2 벽부(111B) 중의 다른 쪽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하측부(101D) 중의 한 쌍의 제1 벽부(111A)의 외벽면에 전술한 수실(102)이 설치되어 있으며, 수실(102)은 유입측 수실(102A)과 유출측 수실(102B)을 갖고 있다. 그 중, 유입측 수실(102A)이 한 쌍의 제1 벽부(111A) 중의 한쪽의 외벽면에 설치되고, 유출측 수실(102B)이 한 쌍의 제1 벽부(111A) 중의 다른 쪽의 외벽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유입측 수실(102A) 및 유출측 수실(102B)은 하측부(101D)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수실(102)이 한 쌍의 제1 벽부(111A)의 외벽면에 일례로서 2세트 설치되어 있다.
도 3에는 복수기 본체(101) 내에 배치되는 전술한 세관군(103)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세관군(103)은 유입측 수실(102A)과 유출측 수실(102B) 사이에 가설(架設)되며 하측부(101D)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수실(102)에서는 유입측 수실(102A)에 유입된 냉각수를 세관군(103)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유출측 수실(102B)은 세관군(103)을 통과한 냉각수를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복수기 본체(101)에서는, 하측부(101D)의 내부 공간에 유입된 배기 증기(S2)를, 세관군(103)을 통과하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해서 응축함으로써 복수(W)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세관군(111C)을 통과시키는 냉각수로서는 일반적으로 해수가 이용되지만, 그 밖의 냉각수가 이용되어도 상관없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플래시 박스(10)는, 하측부(101D) 중의 한 쌍의 제2 벽부(111B)의 외벽면의 각각에 서로 인접하도록 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부호 104는, 도 1에 나타낸 가열기(4)로부터 배출되는 히터 드레인(D)을 플래시 박스(10) 내에 유입시키기 위한 복수의 배관(104)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배관(104)은, 플래시 박스(10)에 설치되는 후술하는 드레인 도입부(12)를 갖는 드레인관(13)(도 4 참조)에 접속된다. 배관(104)으로부터 드레인관(13)에 히터 드레인(D)이 공급됨으로써, 플래시 박스(10)의 내부 공간에 히터 드레인(D)을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 플래시 박스(10)에 대해 상세히 기술한다.
도 4의 (A)는, 도 3에 도시되는 Z영역에 의해 둘러싸이는 플래시 박스(10)의 상세한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의 Ⅳ-Ⅳ선을 따르는 플래시 박스(10)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의 (C)는 플래시 박스(10)에 설치되는 후술하는 차열 부재(14)의 횡단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플래시 박스(10)는, 박스 본체(11)와, 박스 본체(11)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박스 본체(11)의 내부 공간에 히터 드레인(D)을 도입하는 드레인 도입부(12)를 갖는 드레인관(드레인 부재)(13)과, 박스 본체(11)와 드레인 도입부(12) 사이에 배치되는 차열 부재(14)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박스 본체(11)는, 횡단면 보기로 장방형 형상을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부(21)와, 측벽부(21)의 하단부를 폐색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저벽부(22)와, 측벽부(21)의 상단부를 폐색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정벽부(頂壁部)(23)를 갖고 있다. 이들 측벽부(21), 저벽부(22) 및 정벽부(23)는 각각 예를 들면 탄소강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스 본체(11)의 종단면 형상은, 전체적으로 복수기 본체(101)의 하측부(101D) 중의 제2 벽부(111B)를 따라 장척(長尺)으로 연장되는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해 박스 본체(11) 중의 측벽부(21)의 횡단면 형상은, 복수기 본체(101)의 하측부(101D) 중의 제2 벽부(111B)를 따라 장척으로 연장되는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측벽부(21)의 횡단면 보기에 있어서, 측벽부(21)가 장척으로 연장되는 장변 방향을 폭 방향이라 부르고, 측벽부(21)의 장변 방향에 직교하는 단변 방향을 두께 방향이라 부른다.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측벽부(21)에 있어서 두께 방향으로 대향하는 벽부의 사이에 복수의 보강 부재(24)가 걸쳐져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박스 본체(11)의 강성이 확보되어 있다. 보강 부재(24)는, 도시한 예에서는 파이프(pipe)재로 이루어지며, 한쪽의 단부가 측벽부(21)에 있어서 두께 방향으로 대향하는 벽부 중의 한쪽에 접합되고, 다른 쪽의 단부가 측벽부(21)에 있어서 두께 방향으로 대향하는 벽부 중의 다른 쪽에 접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보강 부재(24)는,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됨과 함께, 측벽(21)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 방향으로 나열된 보강 부재(24)의 열(列)은 인접하는 보강 부재(24)의 열에 평행하게 위치해 있고, 측벽(21)의 폭 방향으로 나열된 보강 부재(24)의 행은 인접하는 보강 부재(24)의 행에 평행하게 위치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드레인 도입부(12)를 갖는 드레인관(13)은, 박스 본체(11)의 측벽부(21)를 외측으로부터 관통하는 상태로 복수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이 보강 부재(24)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각 드레인관(13)은, 박스 본체(11)의 측벽부(21)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으로 대향하는 벽부 중의 복수기 본체(101)측과는 반대측의 벽부를 관통해 있다. 드레인관(13)의 일단부는 외측으로 노출되어 전술한 배관(104)과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드레인관(13)의 타단부는, 두께 방향으로 대향하는 벽부 중의 복수기 본체(101)측의 벽부의 내벽면에 접합되어 있다.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드레인관(13)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됨과 함께, 측벽(21)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하 방향으로 나열된 드레인관(13)의 열은 인접하는 드레인관(13)의 열에 평행하게 위치해 있고, 측벽(21)의 폭 방향으로 나열된 드레인관(13)의 행은 인접하는 드레인관(13)의 행에 평행하게 위치해 있다. 또한, 도시한 예에 있어서, 드레인관(13)은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보강 부재(24)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드레인관(13)은, 박스 본체(11)의 저벽부(22)측에 히터 드레인(D)이 저류되었을 때에, 히터 드레인(D)의 액면으로부터 드레인 도입부(12)가 위쪽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드레인관(13)의 드레인 도입부(12)로부터 히터 드레인(D)이 도입되었을 때에, 히터 드레인(D)이, 이미 박스 본체(11)의 저벽부(22)측에 저류된 히터 드레인(D) 내에 직접적으로 도입되어 버리면, 히터 드레인(D)으로부터 방출되는 용존 산소를 포함하는 증기(플래시 증기)가 히터 드레인(D)으로부터 방출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드레인관(13)에 있어서의 드레인 도입부(12)는, 드레인관(13) 중의 박스 본체(11)의 내부에 삽입된 부분에 있어서의 양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드레인 도입부(12)는 아래쪽을 향해서 개방되는 개구(구멍)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드레인관(13)에 있어서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서는, 드레인관(13)의 일단부로부터 유입되어 드레인관(13)의 내부를 통과한 히터 드레인(D)이, 드레인 도입부(12)로부터 아래 방향을 향해서 도입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의 (C)에는 본 실시형태의 차열 부재(14)의 횡단면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A)∼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차열 부재(14)는, 횡단면 보기로 장방형 형상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그 상단부 및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다. 차열 부재(14)의 횡단면 형상은, 복수기 본체(101)의 하측부(101D) 중의 제2 벽부(111B)를 따라 장척으로 연장되는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전술한 박스 본체(11)와 마찬가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차열 부재(14)의 횡단면 보기에 있어서, 차열 부재(14)가 장척으로 연장되는 장변 방향을 폭 방향이라 부르고, 차열 부재(14)의 장변 방향에 직교하는 단변 방향을 두께 방향이라 부른다.
이 차열 부재(14)는, 드레인 도입부(12)를 횡단면 보기로 사방에서 둘러쌈과 함께, 박스 본체(11)의 측벽부(21)의 전체를 내측으로부터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차열 부재(14)와 박스 본체(11)의 측벽부(21) 사이에는 50㎜ 이상의 극간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차열 부재(14)는 예를 들면 탄소강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박스 본체(11)도 탄소강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차열 부재(14)의 재질로서는 박스 본체(11)의 재질보다 내열성이 우수한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차열 부재(14) 중의 두께 방향에 대향하는 벽부의 각각에, 보강 부재(24)를 관통시키는 복수의 관통 구멍 및 드레인관(13)을 관통시키는 복수의 관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관통 구멍에 보강 부재(24) 및 드레인관(13)이 관통해서, 적어도 보강 부재(24)가 차열 부재(14)의 하중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차열 부재(14)가 보강 부재(24)에 고정 지지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박스 본체(11)의 상부측에, 드레인관(13)으로부터 도입되는, 용존 산소를 포함하는 히터 드레인(D)으로부터 탈기된 산소를 배출하는 탈기 산소 배출부(2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박스 본체(11)의 하부측에, 드레인관(13)으로부터 도입되는 히터 드레인(D)을, 복수기 본체(101)의 내부 공간에 배출하는 드레인 배출부(27)가 설치되어 있다.
탈기 산소 배출부(26)는, 히터 드레인(D)으로부터 탈기된 산소를 박스 본체(11)의 내부 공간에 배치한 수용부(26A)에 유입시켜서, 복수기 본체(101)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의 기상부(氣相部)에 배출한다. 또한, 드레인 배출부(27)는, 박스 본체(11)의 저벽부(22)측에 저류된 히터 드레인(D)을, 박스 본체(11)의 내부 공간에 배치한 수용부(27A)에 유입시켜서 복수기 본체(101)의 내부 공간에 배출한다. 여기에서, 박스 본체(11)의 저벽부(22)측에 히터 드레인(D)이 저류되었을 때에는, 그 액면은 드레인 배출부(27)의 수용부(27A)의 상단 근방까지 이를 수 있다. 따라서, 드레인관(13) 및 드레인 도입부(12)는 드레인 배출부(27)의 수용부(27A)보다 위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이상에 설명한 구성을 구비하는 제1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복수기(100)에 의하면, 도 1에 나타낸 발전 시스템이 운전되었을 때에, 증기 터빈(1)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증기(S2)가 복수기 본체(101)에 유입된다. 이때, 복수기 본체(101)의 내부 공간에 유입된 배기 증기(S2)는 냉각수에 의해서 응축되어 복수(W)로 된다. 복수기 본체(101)에 의해 응축된 복수(W)는 가열기(4)에 유입됨과 함께, 이 가열기(4)에는 증기 터빈(1)에 공급되는 터빈 증기(S1)의 일부가 추기 증기(S3)로서 공급된다. 그리고, 가열기(4)가 추기 증기(S3)에 의해 복수(W)를 가열한다. 이에 따라, 추기 증기(S3)는 복수(W)의 가열 후에 응축됨으로써 액체인 히터 드레인(D)으로 된다. 이 히터 드레인(D)은 배관(104) 및 드레인관(13)을 통해 드레인 도입부(12)로부터 플래시 박스(10)의 내부 공간에 도입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드레인 도입부(12)와 박스 본체(11) 사이에 차열 부재(14)가 개재됨으로써, 드레인 도입부(12)로부터 도입된 히터 드레인(D)이 박스 본체(11)의 측벽부(21)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억제되어 박스 본체(11)의 내부 공간에 도입된다. 이에 따라, 히터 드레인(D)의 열에 의해, 박스 본체(11)의 온도가 상승해서 박스 본체(11)에 열응력이 생기거나, 히터 드레인(D)이 박스 본체(11)의 내벽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이로젼이 생기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히터 드레인(D)은 박스 본체(11)의 내부 공간에서 팽창함으로써 용존 산소를 포함하는 증기(플래시 증기)를 방출한다. 이 증기에 의해 히터 드레인(D)으로부터 용존 산소가 탈기된다. 탈기된 산소는 위쪽으로 부상해서 탈기 산소 배출부(26)로부터 배출된다. 한편, 용존 산소를 포함하는 증기를 방출한 히터 드레인(D)은, 아래쪽으로 낙하해서 박스 본체(11)의 저벽부(22)측에 저류된 후, 드레인 배출부(27)로부터 복수기 본체(101)의 내부 공간에 배출되어 복수(W)에 혼합된다. 그 후, 복수(W)가 가열기(4)에 유입된다. 여기에서, 플래시 박스(10)에서는 히터 드레인(D)이 아래쪽으로 낙하함으로써 냉각된다. 이에 따라, 히터 드레인(D)을 복수기 본체(101)에 지장 없이, 즉 복수기 본체(101)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면서 당해 복수기 본체(101)에 배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플래시 박스(10)에 있어서, 드레인 도입부(12)와 박스 본체(11) 사이에 차열 부재(14)가 개재됨으로써, 드레인 도입부(12)로부터 도입되는 히터 드레인(D)이 박스 본체(11)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플래시 박스(10)가, 다른 감온기 등을 설치하지 않고 간이한 구조로, 지장 없이 고에너지 유체인 히터 드레인(D)의 유입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래시 박스(10)가, 박스 본체(11)(측벽부(21))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벽부의 사이에 걸쳐져 설치되는 보강 부재(24)를 더 구비하며, 차열 부재(14)는 보강 부재(24)에 고정 지지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플래시 박스(10)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부재를 이용해서 차열 부재(14)를 고정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수를 억제할 수 있어 차열 부재(14)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드레인 도입부(12)가, 박스 본체(11)의 벽부를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드레인 부재인 드레인관(13)에 형성되며, 드레인관(13)은 보강 부재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플래시 박스(10)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스페이스(space) 효율 좋게 드레인관(13)이 배치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드레인 도입부(12)를 복잡화하지 않고 컴팩트(compact)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드레인관(13)과 보강 부재(24)가 서로를 따라 배치되므로, 이들의 조립 시에 서로 간섭하게 되는 것 등이 방지되어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탈기 산소 배출부(26)가, 히터 드레인(D)으로부터 방출되는 증기가 위쪽으로 부상하는 측인 플래시 박스(10)에 있어서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탈기 산소 배출부(26)에 의해서, 탈기된 산소가 효율적으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플래시 박스(10) 내에 산소가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드레인 배출부(27)가 히터 드레인(D)이 낙하하는 측인 플래시 박스(10)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드레인 배출부(27)에 의해 히터 드레인(D)이 효율적으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히터 드레인(D)을 효율적으로 복수(W)에 합류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플래시 박스(10)에 대해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부분 중 제1 실시형태의 구성 부분과 마찬가지인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플래시 박스(10)는, 박스 본체(11)의 내벽면과 차열 부재(14)의 외벽면 사이에 냉각 매체를 도입하는 냉각 매체 도입 장치(3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냉각 매체 도입 장치(30)는 냉각 매체로서 냉각용의 공기(A)를 이용한다.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냉각 매체 도입 장치(30)의 공기(A)의 도입 위치(공급 위치)가 박스 본체(11)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냉각 매체 도입 장치(30)로부터 도입된 공기(A)를 배출하는 냉각 매체 배출부(31)가 박스 본체(11)의 정벽부(23)에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5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열 부재(14)가 그 상단부에 정벽부(14A)를 가짐과 함께, 그 하단부에 저벽부(14B)를 가지며, 위쪽 및 아래쪽으로 개방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드레인 도입부(12)로부터 도입되는 히터 드레인(D)이 차열 부재(14)의 외부로는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탈기 산소 배출부(26)가, 박스 본체(11) 및 차열 부재(14)의 상부측을 관통해서, 차열 부재(14)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히터 드레인(D)으로부터 탈기되는 산소를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드레인 배출부(27)는, 박스 본체(11) 및 차열 부재(14)의 하부측을 관통해서, 차열 부재(14)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히터 드레인(D)을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가 얻어짐과 함께, 냉각 매체 도입 장치(30)로부터, 박스 본체(11)의 내벽면과 차열 부재(14)의 외벽면 사이에 냉각용의 공기(A)를 도입할 수 있어, 차열 부재(14) 및 박스 본체(11)의 냉각을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열 부재(14)의 온도 상승을 억제해서 차열 부재(14)에 열응력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박스 본체(11)의 온도 상승을 억제해서 박스 본체(11)에 열응력이 생기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냉각용의 공기(A)에 의해 히터 드레인(D)을 냉각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히터 드레인(D)을 복수기 본체(101)에 확실하게 지장 없이 배출할 수도 있다.
또, 제2 실시형태에서는, 냉각 매체로서 공기(A)를 이용했지만, 냉각 매체 도입 장치(30)로부터 도입되는 냉각 매체로서 냉각수가 이용되어도 된다. 냉각수로서는 복수기 본체(101)에서 응축된 복수(W), 해수, 또는 이들 이외의 냉각수를 이용할 수 있다. 냉각수를 냉각 매체로 했을 경우에는 높은 열전달률로 차열 부재(14) 및 박스 본체(11)의 냉각을 행할 수 있으므로 냉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냉각수로서 복수(W)를 이용할 경우에는,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있는 복수기 본체(101) 등으로부터 냉각수용의 배관을 연장시켜 플래시 박스(10)에 접속하면 되기 때문에 냉각용의 배관이 복잡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냉각수로서 해수를 이용할 경우에는, 저온의 냉각수를 용이하게 대량으로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냉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플래시 박스(10)를 구비하는 복수기(100)에 대해 도 6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부분 중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의 구성 부분과 마찬가지인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플래시 박스(10)는, 냉각수로서 복수기 본체(101)에서 응축된 복수(W)를 이용하는 냉각 매체 도입 장치(30)를 구비한다. 이 냉각 매체 도입 장치(30)는 박스 본체(11)의 정벽부(23)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박스 본체(11) 및 차열 부재(14)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 경우, 박스 본체(11)의 내벽면과 차열 부재(14)의 외벽면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횡단면 보기로 박스 본체(11)의 내벽면 및 차열 부재(14)의 외벽면을 따라 연장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냉각 매체 도입 장치(30)는, 횡단면 보기로 박스 본체(11)의 내벽면과 차열 부재(14)의 외벽면 사이의 공간을 따라 나열되도록 설치된 슬릿(slit) 형상의 복수의 토출 구멍(30A)을 가지며, 토출 구멍(30A)으로부터 냉각수를 상하 방향을 따라 아래쪽을 향해서 도입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냉각수는 스프레이(spray) 형상으로 분사된다. 또, 냉각수는 스프레이 형상으로 분사되지 않고 토출 구멍(30A)으로부터 낙하되어도 된다.
토출 구멍(30A)은 일정한 간격, 예를 들면 100㎜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토출 구멍(30A)은 박스 본체(11)의 내벽면과 차열 부재(14)의 외벽면 사이의 공간에 상하 방향으로 대향해 있다. 또한,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 형상의 토출 구멍(30A)의 장변 방향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박스 본체(11)의 내벽면으로부터 차열 부재(14)의 외벽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르고 있다. 그리고, 토출 구멍(30A)의 장변 방향의 양 단부 중의 한쪽은 박스 본체(11)의 내벽면에 근접하고, 다른 쪽은 차열 부재(14)의 외벽면에 근접해 있다. 또, 이러한 슬릿 형상의 토출 구멍(30A)의 장변 방향은 그 밖의 방향, 예를 들면 횡단면 보기로 박스 본체(11)의 내벽면 및 차열 부재(14)의 외벽면을 따르고 있어도 상관없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냉각 매체 도입 장치(30)가, 박스 본체(11)의 측벽부(2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벽부측과 다른 쪽의 벽부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측벽부(2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벽부측과 다른 쪽의 벽부측에 설치된 냉각 매체 도입 장치(30)의 각각에 있어서는, 토출 구멍(30A)이 박스 본체(11)의 측벽부(21)의 폭 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탈기 산소 배출부(26)가, 박스 본체(11) 및 차열 부재(14)의 상부측을 관통해서, 차열 부재(14)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히터 드레인(D)으로부터 탈기되는 산소를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드레인 배출부(27)는, 박스 본체(11)의 하부측을 관통해서, 박스 본체(11)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히터 드레인(D)을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드레인 배출부(27)가, 냉각 매체 도입 장치(30)가 도입한 냉각수로서의 복수(W)를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 히터 드레인(D)은, 결과적으로 복수기 본체(101)의 내부 공간에서 복수(W)와 혼합되기 때문에, 냉각수가 복수(W)일 경우에는 이것이 히터 드레인(D)과 혼합되어도 문제는 없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가 얻어짐과 함께, 냉각 매체 도입 장치(30)로부터 박스 본체(11)의 내벽면과 차열 부재(14)의 외벽면 사이에 냉각수를 도입할 수 있어, 차열 부재(14) 및 박스 본체(11)의 냉각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냉각 매체 도입 장치(30)는, 횡단면 보기로 박스 본체(11)의 내벽면과 차열 부재(14)의 외벽면 사이의 공간을 따라 나열되도록 설치된 슬릿 형상의 복수의 토출 구멍(30A)을 가지며, 토출 구멍(30A)으로부터 냉각수를 아래쪽을 향해서 도입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냉각수를 균일하게 차열 부재(14) 및 박스 본체(11)에 공급하기 쉬워진다. 즉, 예를 들면 박스 본체(11)의 내벽면과 차열 부재(14)의 외벽면 사이의 공간을 향해서 원형의 구멍으로부터 스프레이 형상으로 냉각수를 분사했을 경우에는, 분사 직후에 박스 본체(11)의 내벽면과 차열 부재(14)의 외벽면에 국부적으로 냉각수가 분사되어버려, 박스 본체(11)의 내벽면과 차열 부재(14)의 외벽면의 특히 아래쪽편에 냉각수가 공급되기 어려워지는데 반해, 슬릿 형상의 복수의 토출 구멍(30A)으로부터 냉각수가 도입될 경우에는, 원형의 구멍에 비해 아래쪽을 향한 냉각수의 지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냉각수를 균일하게 박스 본체(11)의 내벽면과 차열 부재(14)의 외벽면에 공급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차열 부재(14)가 위쪽으로 개방된 구성이어도, 냉각 매체 도입 장치(30)로부터 도입된 냉각수가 차열 부재(14)의 내측에 있어서 히터 드레인(D)으로부터 방출되는 증기에 간섭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증기가 위쪽으로 부상하기 어려워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릿 형상의 토출 구멍(30A)의 장변 방향이 박스 본체(11)의 내벽면으로부터 차열 부재(14)의 외벽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르고 있으며, 토출 구멍(30A)의 장변 방향의 양 단부 중의 한쪽은 박스 본체(11)의 내벽면에 근접하고, 다른 쪽은 차열 부재(14)의 외벽면에 근접해 있다. 이에 따르면, 차열 부재(14) 및 박스 본체(11)에 의해 균일하게 냉각수를 공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플래시 박스(10)에 대해 도 7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부분 중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의 구성 부분과 마찬가지인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플래시 박스(10)는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박스 본체(11)의 정벽부(23)에 설치된 냉각 매체 도입 장치(30)를 구비하지만, 본 실시형태의 냉각 매체 도입 장치(30)에서는 냉각수로서 해수가 이용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차열 부재(14)는 그 상단부에 정벽부(14A)를 가짐과 함께, 그 하단부에 저벽부(14B)를 가지며, 위쪽 및 아래쪽으로 개방되어 있지 않다.
한편, 냉각 매체 도입 장치(30)로부터 도입된 냉각수인 해수를 배출하는 냉각 매체 배출부(31)가 박스 본체(11)의 저벽부(22)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가 얻어짐과 함께, 냉각수로서 해수를 이용함으로써, 저온의 냉각수를 용이하게 대량으로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냉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플래시 박스(10)에 대해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부분 중 제1 내지 제4 실시형태의 구성 부분과 마찬가지인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플래시 박스(10)는, 박스 본체(11)의 외벽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핀(40)을 더 구비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형태의 핀(fin)(40)은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도 9의 (A), (B)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T자 형상 또는 삼각 형상이어도 된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가 얻어짐과 함께, 핀(40)에 의해서 박스 본체(11)의 표면적이 증대됨으로써 박스 본체(11)의 방열성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히터 드레인(D)의 영향에 의해 온도 상승한 박스 본체(11)가 냉각되기 쉬워져 박스 본체(11)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9의 (A), (B)의 형상은 봉 형상에 비교해서 표면적을 증대시키기 쉽기 때문에 냉각 성능을 확보하기 쉽다. 또, 이러한 핀(40)은 제2 내지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도 10에는 제1 내지 제5 실시형태의 차열 부재(14)에 공통되는 변형예가 나타나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열 부재(14)는 물결 형상의 판재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차열 부재(14)의 표면적이 증대됨으로써 방열성이 향상되어, 히터 드레인(D)의 영향에 의해 온도 상승한 차열 부재(14)가 냉각되기 쉬워져 차열 부재(14)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내지 제4 실시형태와 같이 냉각 매체가 도입되는 구성에 있어서는, 냉각 매체와의 접촉 면적이 늘어남으로써 교환 열량이 늘어, 차열 부재(14)의 온도 상승을 한층 더 억제해 히터 드레인(D)의 열을 효율적으로 냉각해서 냉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상기한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 신규인 실시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발전 시스템은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 따른 플래시 박스(10)를 구비하는 복수기(100)가 설치되는 발전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며, 각 실시형태에 따른 플래시 박스(10)를 구비하는 복수기(100)는 도 1과는 다른 구성의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플래시 박스(10)가 가열기(4)로부터 히터 드레인(D)이 공급되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플래시 박스(10)는 다른 기기로부터 드레인(보일러로부터의 고온의 드레인 등)이 공급되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플래시 박스(10)의 박스 본체(11)는 횡단면 보기로 장방형 형상의 구조를 갖는 것을 설명했지만,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박스 본체(11)의 횡단면 보기로의 형상이 대략 U자 형상이고, 박스 본체(11)가 대략 U자 형상의 양 단부를 복수기 본체(101)의 벽부에 접속시켜서 폐단면 형상을 형성하며, 이 폐단면 형상의 내부 공간에 차열 부재(14) 등이 배치되어도 된다.
10 : 플래시 박스 11 : 박스 본체
12 : 드레인 도입부 13 : 드레인관
14 : 차열 부재 14A : 정벽부
21 : 측벽부 22 : 저벽부
23 : 정벽부 24 : 보강 부재
26 : 탈기 산소 배출부 27 : 드레인 배출부
30 : 냉각 매체 도입 장치 30A : 토출 구멍
31 : 냉각 매체 배출부 40 : 핀
100 : 복수기 101 : 복수기 본체
101U : 상측부 101D : 하측부
102 : 수실 102A : 유입측 수실
102B : 유출측 수실 103 : 세관군
104 : 배관 111A : 제1 벽부
111B : 제2 벽부 S1 : 터빈 증기
S2 : 배기 증기 S3 : 추기 증기
W : 복수 D : 히터 드레인
A : 공기

Claims (15)

  1. 증기 터빈으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를, 그 내부 공간에서 응축시키는 복수기(steam condenser)의 복수기 본체에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되며, 도입되는 드레인(drain)을 플래시(flash)시키는 플래시 박스로서,
    박스 본체와,
    상기 박스 본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박스 본체의 내부 공간에 상기 드레인을 도입하는 드레인 도입부와,
    상기 박스 본체와 상기 드레인 도입부 사이에 배치되는 차열(遮熱) 부재와,
    상기 박스 본체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벽부 사이에 걸쳐져 설치되는 보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차열 부재는, 상기 보강 부재에 고정 지지되고,
    상기 드레인 도입부는, 상기 박스 본체의 벽부를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드레인 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드레인 부재는, 상기 보강 부재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본체의 내벽면과 상기 차열 부재의 외벽면 사이에, 냉각 매체를 도입하는 냉각 매체 도입 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매체 도입 장치는, 상기 냉각 매체로서 냉각용의 공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박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매체 도입 장치는, 상기 냉각 매체로서 냉각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박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매체 도입 장치는, 상기 냉각수로서 상기 복수기 본체에서 응축된 복수(復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박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매체 도입 장치는, 상기 냉각수로서 해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박스.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본체의 내벽면과 상기 차열 부재의 외벽면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냉각 매체 도입 장치는, 횡단면 보기로, 상기 박스 본체의 내벽면과 상기 차열 부재의 외벽면 사이의 공간을 따라 나열되도록 설치된 슬릿 형상의 복수의 토출 구멍을 가지며, 상기 토출 구멍으로부터, 상기 냉각수를 아래쪽을 향해서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박스.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본체의 외벽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핀(fin)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박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봉 형상, T자 형상 또는 삼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박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열 부재는, 물결 형상의 판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박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드레인 도입부로부터 도입되는, 용존 산소를 포함하는 상기 드레인으로부터 탈기(脫氣)된 산소를 배출하는 탈기 산소 배출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박스.
  14. 제1항에 있어서,
    하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드레인 도입부로부터 도입되는 상기 드레인을, 상기 복수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배출하는 드레인 배출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박스.
  15. 증기 터빈으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를, 그 내부 공간에서 응축시키는 복수기 본체와,
    이 복수기 본체에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제1항에 기재된 상기 플래시 박스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
KR1020160002359A 2015-01-16 2016-01-08 플래시 박스 및 그것을 구비하는 복수기 KR1018312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06587A JP6431383B2 (ja) 2015-01-16 2015-01-16 フラッシュボックス及びそれを備える復水器
JPJP-P-2015-006587 2015-0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800A KR20160088800A (ko) 2016-07-26
KR101831220B1 true KR101831220B1 (ko) 2018-02-22

Family

ID=56426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359A KR101831220B1 (ko) 2015-01-16 2016-01-08 플래시 박스 및 그것을 구비하는 복수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431383B2 (ko)
KR (1) KR101831220B1 (ko)
TW (1) TWI6166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8590B (zh) * 2018-09-11 2024-01-30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一种电蒸炉的冷凝水回流结构
CN115773162B (zh) * 2022-12-02 2024-05-24 东方电气集团东方汽轮机有限公司 一种排汽装置补水除氧结构及其补水除氧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9017A (ja) 2007-12-27 2008-06-19 Toshiba Corp 沸騰水型原子炉
JP5197602B2 (ja) * 2007-12-10 2013-05-15 株式会社東芝 復水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8186A (ja) * 1982-04-10 1983-10-19 Toshiba Corp 復水器
JPS5997365U (ja) * 1982-12-22 1984-07-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復水器回収ドレン減温装置
JPS59191804A (ja) * 1983-04-14 1984-10-31 株式会社東芝 ドレンフラツシユ装置
JPS61192167U (ko) * 1985-05-24 1986-11-29
JP5987354B2 (ja) * 2012-02-29 2016-09-07 栗田工業株式会社 タービン設備及びヒータドレイン水の水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97602B2 (ja) * 2007-12-10 2013-05-15 株式会社東芝 復水器
JP2008139017A (ja) 2007-12-27 2008-06-19 Toshiba Corp 沸騰水型原子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31383B2 (ja) 2018-11-28
TW201636555A (zh) 2016-10-16
TWI616629B (zh) 2018-03-01
JP2016133233A (ja) 2016-07-25
KR20160088800A (ko) 2016-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1152B2 (en) Heat exchanger and nuclear power plant comprising same
US9786395B2 (en) Air-cooled heat exchanger and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o remove waste thermal energy from radioactive materials
KR101535478B1 (ko) 피동잔열제거계통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KR101831220B1 (ko) 플래시 박스 및 그것을 구비하는 복수기
RU2726035C1 (ru) Кожухотрубный теплообменник
JP5300618B2 (ja) 多段圧復水器
CN106488687A (zh) 用于对封闭的机柜进行冷却的装置
KR101297100B1 (ko) 원자로
JP5727799B2 (ja) 原子炉格納容器の熱輸送装置
US7056084B2 (en) Steam turbine
KR101830094B1 (ko) 일체형 원자로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RU2305227C1 (ru) Пароводяной теплообменник
KR101337906B1 (ko) 연료전지 차량용 유체 유동 부품의 유동 가이드 장치
US20160341480A1 (en) Condenser and turbine equipment
JP3987128B2 (ja) 熱交換制御装置の熱バルブ
ITVI20090234A1 (it) Dispositivo per il riscaldamento di ambienti ad alta efficienza energetica, nonche' sistema riscaldante comprendente tale dispositivo
JP7499354B2 (ja) 電気装置、パネルおよび熱交換器
KR20150081725A (ko) 피동안전계통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JP2009097839A (ja) 熱交換器
KR20140031127A (ko) 습분 분리 가열기 및 원자력 발전 플랜트
JP5252230B2 (ja) 自然循環式沸騰冷却装置
KR101551822B1 (ko) 증기발생기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JP2006200828A (ja) 複合熱交換器
WO2012053215A1 (ja) 冷却装置および原子力蒸気供給システム
JP2015124945A (ja) 空気冷却器、及び空気冷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