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069B1 - 필름 제조 방법 및 필름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제조 방법 및 필름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069B1
KR101831069B1 KR1020160146695A KR20160146695A KR101831069B1 KR 101831069 B1 KR101831069 B1 KR 101831069B1 KR 1020160146695 A KR1020160146695 A KR 1020160146695A KR 20160146695 A KR20160146695 A KR 20160146695A KR 101831069 B1 KR101831069 B1 KR 101831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secondary
separator film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6436A (ko
Inventor
리쿠리 우에지마
아키히코 신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56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4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1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2Advancing webs by friction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the articles resting on rollers or b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4Modifying physical properties
    • B65H2301/5142Moistening
    • B65H2301/51422Moistening by passing through a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2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web(s)
    • B65H2408/21Accumulators
    • B65H2408/214Accumulators loop hanger accumul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20Avoiding or preventing undesirable effects
    • B65H2601/25Damages to handled material
    • B65H2601/254Permanent de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72Fuel cell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23Polyamide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7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02P70/5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Cell Separator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Abstract

필름의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하류측의 세정조의 세정액의 오염을 억제한다. 세정 장치는, 내열 세퍼레이터를 세정조로부터 세정조로 반송하는 롤러를 구비한다. 롤러 및 롤러가 내열 세퍼레이터의 한쪽 면에 접촉하고, 또한 롤러의 사이에 있어서 롤러가 내열 세퍼레이터의 다른 쪽 면에 접촉한다. 롤러에 의해 내열 세퍼레이터로부터 제거된 세정수가 세정조로 되돌려진다.

Description

필름 제조 방법 및 필름 세정 장치{FILM PRODUCING METHOD AND FILM WASHING DEVICE}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등의 전지에 사용되는 세퍼레이터를 구성하는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내부에 있어서 정극 및 부극은 필름 형상이며 또한 다공질인 세퍼레이터에 의해 분리된다. 이 세퍼레이터의 제조 공정에는, 일단 제막한 필름으로부터 불필요한 물질을 나중에 제거하기 위한 세정 공정이 포함된다.
상기 세정 공정을 행하기 위한 세정 장치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관한 세정 장치는 2개의 세정조에 필름을 통과시켜 필름을 세정한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특개 제2001-228594호 공보(2001년 8월 24일 공개)」
특허문헌 1에 관한 세정 장치에 있어서는, 필름의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상류측의 세정조(여기서는, 세정조 A라고 칭함)로부터 반출 후, 동 하류측의 세정조(여기서는, 세정조 B라고 칭함)로 들어가기 전에, 특히 필름의 상면에 부착된 액체가 거의 제거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특허문헌 1에 관한 세정 장치에 있어서는, 세정조 A에 채워진 액체가 세정조 B로 들어가 버릴 우려가 있다.
세정조 A 및 세정조 B에는 필름 세정용의 액체가 채워져 있지만, 통상, 반송 경로의 상류측의 세정조 A에 채워진 액체는 세정조 B에 채워진 액체보다 더러워져 있다. 이로 인해, 세정조 A에 채워진 액체가 세정조 B로 들어가 버리면, 세정조 B에 채워진 액체가 오염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의 목적은 필름의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하류측의 세정조의 세정액의 오염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필름 제조 방법 및 필름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필름 제조 방법은, 제1 세정조에 있어서 필름을 세정하는 세정 공정과, 상기 제1 세정조로부터 반출된 상기 필름에 제1 롤러, 제2 롤러 및 제3 롤러를 접촉시켜, 상기 필름을 제2 세정조로 반송하는 반송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반송 공정에서는,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3 롤러가 상기 필름의 한쪽 면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3 롤러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가 상기 필름의 다른 쪽 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필름으로부터 세정액을 제거하고, 상기 제2 롤러에 의해 상기 필름으로부터 제거된 상기 세정액을 상기 제1 세정조로 되돌린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세정조 사이에 있어서, 제1 롤러 및 제2 롤러에 의해, 필름의 양면에 부착된 세정액이 제거된다. 제2 롤러에 의해 제거된 세정액은, 상류의 제1 세정조로 되돌려진다. 그로 인해, 하류의 제2 세정조로 들여오는 제1 세정조의 세정액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제2 세정조의 세정액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필름 세정 장치는, 필름을 세정하는, 제1 세정조 및 제2 세정조와, 상기 제1 세정조로부터 반출된 상기 필름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필름을 제2 세정조로 반송하는, 제1 롤러, 제2 롤러 및 제3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3 롤러가 상기 필름의 한쪽 면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3 롤러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가 상기 필름의 다른 쪽 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필름으로부터 세정액을 제거하고, 상기 제2 롤러에 의해 상기 필름으로부터 제거된 세정액이 상기 제1 세정조로 되돌려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름의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하류측의 세정조의 세정액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세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세정 장치에 있어서의, 제1 롤러 및 제2 롤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세정 장치에 홈통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홈통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리튬 이온 이차 전지로 대표되는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는 에너지 밀도가 높고, 그 때문에 현재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기 등의 기기, 자동차, 항공기 등의 이동체에 이용하는 전지로서, 또한 전력의 안정 공급에 이바지하는 정치용 전지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리튬 이온 이차 전지(1)는 캐소드(11)와 세퍼레이터(필름)(12)와 애노드(13)를 구비한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외부에 있어서 캐소드(11)와 애노드(13)의 사이에 외부 기기(2)가 접속된다. 그리고,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충전시에는 방향 A로, 방전시에는 방향 B로 전자가 이동한다.
(세퍼레이터)
세퍼레이터(12)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정극인 캐소드(11)와 그의 부극인 애노드(13)의 사이에, 이들에 협지되도록 배치된다. 세퍼레이터(12)는 캐소드(11)와 애노드(13)의 사이를 분리하면서, 이들 사이에 있어서의 리튬 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다공질 필름이다. 세퍼레이터(12)는 그 재료로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로서, (a)는 통상의 구성을 나타내고, (b)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1)가 승온하였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고, (c)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1)가 급격하게 승온하였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2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12)에는 다수의 구멍(P)이 형성되어 있다. 통상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리튬 이온(3)은 구멍(P)을 통하여 왕래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과충전 또는 외부 기기의 단락에 기인하는 대전류 등에 의해 리튬 이온 이차 전지(1)는 승온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도 2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12)가 융해 또는 유연화되어 구멍(P)이 폐색된다. 그리고 세퍼레이터(12)는 수축한다. 이에 의해 리튬 이온(3)의 이동이 정지하기 때문에 전술한 승온도 정지한다.
그러나 리튬 이온 이차 전지(1)가 급격하게 승온하는 경우, 세퍼레이터(12)는 급격하게 수축한다. 이 경우, 도 2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12)는 파괴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리튬 이온(3)이 파괴된 세퍼레이터(12)로부터 누출되기 때문에 리튬 이온(3)의 이동은 정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승온은 계속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로서, (a)는 통상의 구성을 나타내고, (b)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1)가 급격하게 승온하였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12)는 다공질 필름(5)과 내열층(4)을 구비하는 내열 세퍼레이터(필름)여도 된다. 내열층(4)은 다공질 필름(5)의 캐소드(11)측의 편면에 적층되어 있다. 또한, 내열층(4)은 다공질 필름(5)의 애노드(13)측의 편면에 적층되어도 되고, 다공질 필름(5)의 양면에 적층되어도 된다. 그리고 내열층(4)에도 구멍(P)과 마찬가지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통상 리튬 이온(3)은 구멍(P)과 내열층(4)의 구멍을 통하여 왕래한다. 내열층(4)은 그 재료로서 예를 들어 전체 방향족 폴리아미드(아라미드 수지)를 포함한다.
도 3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리튬 이온 이차 전지(1)가 급격하게 승온하여 다공질 필름(5)이 융해 또는 유연화되어도, 내열층(4)이 다공질 필름(5)을 보조하고 있기 때문에 다공질 필름(5)의 형상은 유지된다. 따라서, 다공질 필름(5)이 융해 또는 유연화되어 구멍(P)이 폐색되는 것에 그친다. 이에 의해 리튬 이온(3)의 이동이 정지되기 때문에 전술한 과방전 또는 과충전도 정지된다. 이와 같이 세퍼레이터(12)의 파괴가 억제된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1)의 세퍼레이터 및 내열 세퍼레이터의 제조는, 이하의 방법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공질 필름(5)이 그 재료로서 주로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다공질 필름(5)이 다른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제조 공정에 의해 세퍼레이터(12)(내열 세퍼레이터)를 제조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에 무기 충전제 또는 가소제를 첨가하여 필름 성형한 후, 해당 무기 충전제 및 해당 가소제를 적당한 용매로 세정 제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다공질 필름(5)이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 세퍼레이터인 경우에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 방법은 (1)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과 무기 충전제(예를 들어 탄산칼슘, 실리카) 또는 가소제(예를 들어 저분자량 폴리올레핀, 유동 파라핀)를 혼련하여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얻는 혼련 공정, (2)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필름을 성형하는 압연 공정, (3) 공정 (2)에서 얻어진 필름 중으로부터 무기 충전제 또는 가소제를 제거하는 제거 공정, 및 (4) 공정 (3)에서 얻어진 필름을 연신하여 다공질 필름(5)을 얻는 연신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정 (4)를 상기 공정 (2)와 (3)의 사이에서 행할 수도 있다.
제거 공정에 의해 필름 중에 다수의 미세 구멍이 형성된다. 연신 공정에 의해 연신된 필름의 미세 구멍은 전술한 구멍(P)이 된다. 이에 의해 소정의 두께와 투기도를 갖는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인 다공질 필름(5)(내열층을 갖지 않는 세퍼레이터(12))이 얻어진다.
또한, 혼련 공정에 있어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100중량부와, 중량 평균 분자량 1만 이하의 저분자량 폴리올레핀 5 내지 200중량부와, 무기 충전제 100 내지 400중량부를 혼련하여도 된다.
그 후, 도공 공정에 있어서 다공질 필름(5)의 표면에 내열층(4)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다공질 필름(5)에 아라미드/NMP(N-메틸-피롤리돈) 용액(도공액)을 도포(도포 공정)하고, 그것을 응고(응고 공정)시킴으로써 아라미드 내열층인 내열층(4)을 형성한다. 내열층(4)은 다공질 필름(5)의 편면에만 형성되어도 양면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도공 공정에 있어서 다공질 필름(5)의 표면에 폴리불화비닐리덴/디메틸아세트아미드 용액(도공액)을 도포(도포 공정)하고, 그것을 응고(응고 공정)시킴으로써 다공질 필름(5)의 표면에 접착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접착층은 다공질 필름(5)의 편면에만 형성되어도 양면에 형성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극과의 접착성 또는 폴리올레핀의 융점 이상의 내열성 등의 기능을 갖는 층을 기능층이라고 한다.
도공액을 다공질 필름(5)에 도공하는 방법은 균일하게 웨트 코팅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종래 공지된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필러리 코팅법, 슬릿 다이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딥 코팅법, 롤 코팅법, 스크린 인쇄법, 플렉소 인쇄법, 바 코터법, 그라비아 코터법, 다이 코터법 등을 채택할 수 있다. 내열층(4)의 두께는 도공 웨트막의 두께, 도공액 중의 고형분 농도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공할 때에 다공질 필름(5)을 고정 또는 반송하는 지지체로서는 수지제의 필름, 금속제의 벨트, 드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다공질 필름(5)에 내열층(4)이 적층된 세퍼레이터(12)(내열 세퍼레이터)를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세퍼레이터는 원통 형상의 코어에 권취된다. 또한, 이상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대상은 내열 세퍼레이터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제조 방법은 도공 공정을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제조되는 대상은 내열층을 갖지 않는 세퍼레이터이다.
(세정 공정)
이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필름 제조 방법 및 세정 장치(6)에 대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길고 또한 다공질인 전지용 세퍼레이터인 내열 세퍼레이터의 세정 방법(필름 제조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내열 세퍼레이터의 내열층은 다공질 필름에 아라미드/NMP(N-메틸-피롤리돈) 용액(도공액)을 도포하여 형성된다. 이때 용매인 NMP(제거 대상 물질)는 다공질 필름의 구멍에도 함침된다.
구멍에 NMP가 잔류한 내열 세퍼레이터의 투기도는 구멍에 NMP가 잔류하고 있지 않은 내열 세퍼레이터의 투기도보다도 낮아진다. 투기도가 낮을수록 내열 세퍼레이터를 이용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리튬 이온의 이동이 저해되기 때문에,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출력은 저하된다. 이 때문에 내열 세퍼레이터의 구멍에 NMP가 잔류하지 않도록 세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세정 장치(6)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세정 장치(6)(필름 세정 장치)는 세정조(15 내지 19)를 구비한다. 세정조(15 내지 19)는 각각 세정수(W)(세정액)로 채워져 있다. 또한, 세정 장치(6)는 내열 세퍼레이터(S)를 반송하는 회전 가능한 복수의 롤러를 더 구비한다. 이들 롤러 중 롤러(a 내지 n)는 세정조(15)에서 세정되는 내열 세퍼레이터(S)를 반송하는 롤러이다.
세정 공정의 상류 공정(예를 들어 도공 공정)으로부터 반송되어 온 내열 세퍼레이터(S)는 롤러(a 내지 n)를 거쳐 세정조(15)에 채워진 세정수(W) 중(이하 「수중」)을 통과한다. 롤러(a 내지 n)(반송 롤러)는 세정조(15)에서의 내열 세퍼레이터(S)의 반송 경로를 규정하고 있다. 세정조(17 및 18)에서도, 세정조(15)와 동일한 롤러(a 내지 n)에 의해 내열 세퍼레이터(S)가 반송된다. 세정조(16 및 19)에서는, 롤러(n)가 생략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면, 세정조(15)와 동일한 롤러(a 내지 m)에 의해 내열 세퍼레이터(S)가 반송된다.
세정 장치(6)는 구동 롤러(R)와, 보조 롤러(p, q)를 더 구비한다. 구동 롤러(R)는, 모터 등의 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롤러이다. 구동 롤러(R)의 표면의 속도가 내열 세퍼레이터(S)의 반송 속도와 동일해지도록, 구동 롤러(R)는 구동된다. 구동 롤러(R)는, 세정조 사이에 있어서 내열 세퍼레이터(S)에 반송 방향(MD: Machine direction)의 힘을 가한다. 보조 롤러(p, q)는 구동 롤러(R)에 있어서의 내열 세퍼레이터(S)에 접촉하는 표면의 범위(소위 「포위각」)를 규정하고 있다. 포위각은, 롤러의 외주에 있어서 필름이 접하고 있는 원호의, 롤러의 축에 대한 각도를 의미한다. 이 구동 롤러(R)와, 보조 롤러(p, q)를 세정수(W) 중에 배치해도 되지만, 방수 처치를 실시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세정조 사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동 롤러(R)는 세정조(15)의 롤러(a)의 위치와, 세정조(19)의 롤러(m)의 위치 사이에서, 내열 세퍼레이터(S)에 반송을 위한 힘을 가하고 있다. 여기서, 세정조(15)의 롤러(a)는 내열 세퍼레이터(S)를 세정조(15)에 반입하기 직전의 롤러이다. 세정조(19)의 롤러(m)는 내열 세퍼레이터(S)를 세정조(19)로부터 반출한 직후의 롤러이다.
그리고, 상술한 구동 롤러(R)에 의한 힘은 세정조(16)의 롤러(l)와, 세정조(17)의 롤러(b) 사이에서, 내열 세퍼레이터(S)에 가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반송 경로에 있어서, 상류측의 세정조(16)로부터(수중으로부터) 내열 세퍼레이터(S)가 반출된 후, 또한 하류측의 세정조(17)에(수중에) 내열 세퍼레이터(S)가 반입되기 전에, 구동 롤러(R) 및 보조 롤러(p, q)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세정 방법은 내열 세퍼레이터(S)를 그의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는 공정과, 반송 중인 내열 세퍼레이터(S)를 세정조(15 내지 19) 내에 채워진 세정수(W) 중을 순차 통과시킴으로써 세정을 행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내열 세퍼레이터(S)는 상류의 세정조로부터 하류의 세정조로 순차 반송된다. 여기에서는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상류」 및 「하류」는 세퍼레이터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 및 하류를 의미한다.
세정조(15 내지 19)에서의 세정이 완료된 후에는 내열 세퍼레이터(S)는 세정 공정의 하류 공정(예를 들어 건조 공정)으로 반송된다.
내열 세퍼레이터(S)를 세정수(W) 중을 통과시킴으로써 내열 세퍼레이터(S)의 구멍으로부터 수중으로 NMP가 확산된다. 여기서, NMP의 확산량은 세정수(W)의 NMP 농도가 낮을수록 커진다.
내열 세퍼레이터(S)는 세정조(15 내지 19)에 있어서 순서대로 세정되기 때문에, 하류의 세정조에서는 상류의 세정조보다도 세정수(W)의 NMP 농도가 낮다. 즉, 단계적으로 NMP의 확산이 진행되기 때문에 구멍에 막힌 NMP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의 세정조(19)로부터 상류의 세정조(15)에 걸쳐 세정수(W)를 방향(D)으로 흘려도 된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세정조(15 내지 19) 사이의 장벽을 세퍼레이터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로부터 상류로 향할수록 낮게 하여도 된다. 이때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세정 방법은 하류의 세정조로 세정수(W)를 공급함과 함께, 상류의 세정조로는 하류의 세정조 내의 세정수(W)를 공급함으로써, 각 세정조 내의 세정액을 갱신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게 된다. 상류의 세정조(15)로부터는 일부의 세정수(W)가 배출된다. 이에 의하면, 세정수(W)를 유효 이용하면서 세퍼레이터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 세정조의 세정수(W)의 NMP 농도를 상류 세정조의 세정수(W)의 NMP 농도보다도 보다 낮게 할 수 있다.
단계적으로 NMP의 확산을 진행시킴으로써 1조의 세정조만에 의한 세정에 비교하여 효율적으로 NMP를 제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세정 중인 내열 세퍼레이터(S)의 반송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무공 필름에 비하여 기계적 강도가 낮은 내열 세퍼레이터(S)를 꺾임이나 찢어짐을 억제하면서 세정할 수 있다.
내열 세퍼레이터(S)는 폭이 넓을수록 생산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내열 세퍼레이터(S)의 폭(MD에 수직인 방향의 길이)은 세정조(15 내지 19)의 폭 가까이까지 크게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세정조(15 내지 19)의 폭은 내열 세퍼레이터(S)의 폭에 맞춰 설계된다.
내열 세퍼레이터(S)의 폭이 넓어지고, 내열 세퍼레이터(S)의 단부와 세정조(15 내지 19)의 간극이 좁아지면, 세정조(15 내지 19)에 채워진 세정수(W)는 내열 세퍼레이터(S)의 일면측(세정조의 중심측)과 타면측(세정조의 양단(도 4 중 좌우단)측)으로 분할된 상태가 된다.
세정조(15 내지 19)에 의한 세정에서는 세정조 사이에서의 오버플로우에 의해 세정수(W)가 공급·배출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 내열 세퍼레이터(S)의 일면측으로 분할된 세정수(W)는 공급·배출되지만, 내열 세퍼레이터(S)의 타면측으로 분할된 세정수(W)는 체류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세정 방법은 세정조(15 내지 19)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내열 세퍼레이터(S)의 일면측과 타면측 사이에서의 세정수(W)의 교체를 촉진하기 위해서 세정수(W)를 순환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때, 세정 장치(6)는 세정조(15 내지 19)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세정수(W)의 공급·배출구를 갖는 순환 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1개의 세정조 내의 세정수(W)의 NMP 농도를 보다 균일화할 수 있고, NMP의 효율적 제거를 촉진할 수 있다.
세정수(W)는 물에 한정되지 않고, 내열 세퍼레이터(S)로부터 NMP를 제거할 수 있는 세정액이면 된다. 또한, 세정수(W)는 계면 활성제 등의 세정제, 산(예를 들어 염산) 또는 염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세정수(W)의 온도는 1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온도에서는 내열 세퍼레이터(S)가 열 수축될 우려가 적어진다. 또한, 세정수(W)의 온도는 20℃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의 내열 세퍼레이터(S)의 세정 방법은 내열층을 갖지 않는 세퍼레이터(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세퍼레이터)의 세정 방법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예를 들면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등의 고분자량 폴리올레핀과, 무기 충전제 또는 가소제를 혼련함으로써 얻어지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필름 형상으로 성형하고, 연신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무기 충전제 또는 가소제(제거 대상 물질)가 씻어내짐으로써 세퍼레이터의 구멍이 형성된다.
씻어내지지 않고, 구멍에 상기 제거 대상 물질이 잔류한 세퍼레이터의 투기도는 구멍에 상기 제거 대상 물질이 잔류하고 있지 않은 세퍼레이터의 투기도보다도 낮아진다. 투기도가 낮을수록 세퍼레이터를 이용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리튬 이온의 이동이 저해되기 때문에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출력은 저하된다. 이 때문에 세퍼레이터의 구멍에 상기 제거 대상 물질이 잔류하지 않도록 세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는 세퍼레이터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액은 세퍼레이터로부터 무기 충전제를 제거할 수 있는 세정액이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산 또는 염기를 포함하는 수용액이다.
가소제를 포함하는 세퍼레이터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액은 세퍼레이터로부터 가소제를 제거할 수 있는 세정액이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디클로로메탄 등의 유기 용제이다.
이상을 정리하면, 필름 형상으로 성형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필름)의 세정 방법은 세퍼레이터의 중간 제품인 긴 필름을 그의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는 공정과, 반송 중인 이 필름을 전술한 세정조(15 내지 19) 내에 채워진 세정액 내를 순차 통과시킴으로써 세정을 행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도 4에 있어서 내열 세퍼레이터(S)를 세퍼레이터의 중간 제품인 필름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세정수(W)를 산 또는 염기를 포함하는 수용액으로 하여도 된다.
그리고, 폴리올레핀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은 길고 또한 다공질인 세퍼레이터의 중간 제품인, 폴리올레핀을 주성분으로 하는 긴 필름을 성형하는 성형 공정과, 이 성형 공정의 후에 실행되는, 전술한 필름 세정 방법이 포함하는 각 공정을 포함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적층 세퍼레이터인 내열 세퍼레이터(S)의 세정 방법을 이용한 내열 세퍼레이터(S)의 제조 방법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여기서, 내열 세퍼레이터(S)는 도 3에 도시되는 다공질 필름(5)(기재)과, 다공질 필름(5)에 적층된 내열층(4)(기능층)을 포함하는 적층 세퍼레이터이다. 그리고, 이 제조 방법은 길고 또한 다공질인 내열 세퍼레이터(S)를 성형하는 성형 공정과, 상기 성형 공정의 후에 실행되는, 전술한 세퍼레이터 세정 방법의 각 공정을 포함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성형 공정」은 내열층(4)을 적층하기 위해서 내열층(4)을 구성하는 아라미드 수지(물질)를 포함하는 NMP(액상 물질)를 다공질 필름(5)에 도포하는 도포 공정과, 이 도포 공정의 후에 아라미드 수지를 응고시키는 응고 공정을 포함한다.
「각 공정」이란 내열 세퍼레이터(S)를 그의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는 공정과, 반송 중인 내열 세퍼레이터(S)를 세정조(15 내지 19) 내에 채워진 세정수(W) 중을 순차 통과시킴으로써 세정을 행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이상에 의해 NMP가 적고, 또한 꺾임이나 찢어짐이 억제된 적층 세퍼레이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내열층은 전술한 접착층이어도 된다.
(M자 형상 경로)
여기서부터는, 세정 장치(6)가 구비하고 있는 롤러(m), 롤러(n) 및 롤러(a)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세정조(15)와 세정조(16) 사이에 배치된 롤러(m), 롤러(n) 및 롤러(a)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단, 세정조(17)로부터 세정조(19)의 사이에 배치된 롤러(m), 롤러(n) 및 롤러(a)에 대해서도 동일하다고 말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세정 장치(6)에 있어서의, 1조의 롤러(m), 롤러(n) 및 롤러(a)의 단면도이다. 롤러(m)(제1 롤러), 롤러(n)(제2 롤러) 및 롤러(a)(제3 롤러)의 조가,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상류측의 세정조(15)(제1 세정조)와 하류측의 세정조(16)(제2 세정조)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롤러(n)는, 롤러(m)와 롤러(a) 사이에 배치된다. 상면에서 보아, 롤러(m) 및 롤러(n)는 세정조(15)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롤러(a)는 세정조(16)의 범위 내에 위치한다. 롤러(m, n, a)는 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 롤러여도 되고, 내열 세퍼레이터(S)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는 종동 롤러여도 된다. 여기에서는, 각 롤러(m, n, a)의 표면의 속도와 내열 세퍼레이터(S)의 반송 속도는 동일하다.
세정조(15)로부터(수중으로부터) 반출된 내열 세퍼레이터(S)는 롤러(m), 롤러(n) 및 롤러(a)의 순서대로 접촉되고, 세정조(16)에(수중에) 반입된다. 롤러(m), 롤러(n) 및 롤러(a)는 세정조 사이에 있어서 내열 세퍼레이터(S)를 반송한다(반송 공정).
롤러(m, a)는, 내열 세퍼레이터(S)에 있어서의 한쪽 면(Sm)에 접촉한다. 롤러(m) 및 롤러(a)의 사이에 있어서, 롤러(n)는 내열 세퍼레이터(S)에 있어서의 다른 쪽 면(Sn)에 접촉한다. 롤러(m, a)가 내열 세퍼레이터(S)의 일방측(하측)을 지지하고, 롤러(n)가 내열 세퍼레이터(S)의 타방측(상측)으로부터 내열 세퍼레이터(S)를 압박한다. 롤러(n)를 경계로, 내열 세퍼레이터(S)의 반송 방향은 하강으로부터 상승으로 변한다. 내열 세퍼레이터(S)는, 롤러(m)의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M자 형상의 반송 경로를 통과한다. 롤러(m)가 접촉함으로써, 내열 세퍼레이터(S)의 면(Sm)측에 부착된 세정수(W)가 내열 세퍼레이터(S)로부터 제거된다. 또한, 롤러(n)가 접촉함으로써, 내열 세퍼레이터(S)의 면(Sn)측에 부착된 세정수(W)가 내열 세퍼레이터(S)로부터 제거된다. 세정조(15)로부터 반출된 내열 세퍼레이터(S)에 부착되어 있었던 세정수(W)는, 세정조(15)에 채워진 세정수(W)와 동등한 오염 정도(동등한 제거 대상물의 농도)이다.
롤러(m)에 의해 면(Sm)으로부터 제거된 세정수(W)는, 상류의 세정조(15)로 되돌려진다. 동일하게, 롤러(n)에 의해 면(Sn)에서 제거된 세정수(W)는 상류의 세정조(15)로 되돌려진다. 예를 들어, 세정수(W)는, 내열 세퍼레이터(S)의 상측의 면(Sn) 상을 롤러(n)를 따라 내열 세퍼레이터(S)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여, 내열 세퍼레이터(S)의 단부로부터 흘러 내려 떨어진다.
상면에서 보아, 롤러(m, n)가 세정조(15)의 범위 내에 있으면, 롤러(m, n)로부터 떨어진 세정수(W)는 세정조(15)로 되돌려진다. 또는, 적어도 롤러(m, n)의 하단부가 세정조(15)의 범위 내에 있으면, 롤러(m, n)로부터 떨어진 세정수(W)는 세정조(15)로 되돌려진다. 또는, 롤러(m, n)의 하측에 홈통을 형성하고, 제거된 세정수(W)를 홈통을 통하여 세정조(15)로 되돌려도 된다.
이에 의해, 세정조(15)로부터 반출된 내열 세퍼레이터(S)의 양면에 부착된 수분은, 내열 세퍼레이터(S)로부터 제거되어, 세정조(15)로 떨어뜨려진다. 이에 의해, 세정조(15)로부터 하류측의 세정조(16 내지 19)에, 이 세정조(15)에 채워진 세정수(W)(세정조(16 내지 19)에 채워진 세정수(W)보다 더러워져 있다)가 들여오는 양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조(16 내지 19)에 채워진 세정수(W)의 오염(제거 대상물 농도의 상승)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내열 세퍼레이터(S)의 표면에 부착된 제거 대상물 농도가 높은 액체를, 세정조 사이에 있어서 내열 세퍼레이터(S)의 표면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하류의 세정조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으로 내열 세퍼레이터(S)로부터 제거 대상물을 확산시킬 수 있다.
도 6은, 세정 장치에 홈통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홈통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조(15)와 세정조(16) 사이에 홈통(20)을 형성해도 된다. 여기에서는, 상면에서 보아, 롤러(n, a)의 최하점은, 홈통(20)의 범위에 포함된다. 롤러(m), 롤러(n) 또는 롤러(a)의 하측에 홈통을 형성하는 경우, 그 롤러는 세정조(15)의 범위 내에 위치할 필요는 없다. 여기에서는, 롤러(n)는 세정조(15)와 세정조(16)의 중간에 위치한다. 롤러(m)로부터 떨어진 세정수(W)는, 그대로 세정조(15)로 되돌려진다. 롤러(n, a)로부터 떨어진 세정수는 홈통(20)에서 받아, 홈통(20)을 통하여 세정조(15)로 되돌려진다.
또한, 횡단 방향(TD: transverse direction)으로부터 보았을 때, 3개의 롤러(m, n, a)의 회전축의 위치는 직선 형상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꿔 말하면, 3개의 롤러(m, n, a)의 회전축이 1개의 평면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롤러(n)의 포위각은 180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위각은, 롤러에 있어서 내열 세퍼레이터(S)가 접하고 있는 원호의, 롤러의 축에 대한 각도를 의미한다. 즉, 롤러의 전후에 있어서의 내열 세퍼레이터(S)의 반송 방향은, 그 롤러의 포위각의 분만큼 변한다.
(롤러의 회전)
롤러(n)의 표면(np)의 속도는, 내열 세퍼레이터(S)의 반송 속도와 상이해도 된다. 즉, 롤러(n)의 표면(np)(곡면)과 내열 세퍼레이터(S)가 접동한다. 이 경우, 롤러(n)는 소정의 속도로 회전 구동되는 구동 롤러여도 되고, 종동 롤러여도 된다. 롤러(n)의 표면(np)과 내열 세퍼레이터(S)가 접동하는 경우, 롤러(n)의 표면(np)(내열 세퍼레이터(S)와 접촉하는 부분)은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n)의 표면(np)이 수지이면, 내열 세퍼레이터(S)와의 마찰력을 작게 하여, 내열 세퍼레이터(S)의 마모 및 파단을 억제할 수 있다.
롤러(n)가 종동 롤러인 경우, 롤러(n)와 그 축과의 마찰력을 어느 정도 크게 함으로써, 롤러(n)의 표면(np)이 내열 세퍼레이터(S)에 끌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롤러(n)가 구동 롤러인 경우, 롤러(n)의 표면(np)이 회전 이동하는 방향은 내열 세퍼레이터(S)의 반송 방향과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롤러(n)의 표면(np)이 회전 이동하는 방향이 내열 세퍼레이터(S)의 반송 방향과 상이한 경우, 롤러(n)와 내열 세퍼레이터(S)의 접동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내열 세퍼레이터(S)의 표면(Sn)으로부터 세정수(W)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롤러(n)는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롤러(n)의 표면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롤러(m, a)에 대해서도, 롤러(n)와 동일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롤러의 표면 형상)
또한, 롤러(n)의 표면(np)에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요철 형상으로서, 롤러(n)의 표면(np)에, 나선 형상의 홈, 곡선 형상의 홈 또는 직선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롤러(n)의 표면(np)의 홈은, 내열 세퍼레이터(S)의 폭 방향에 있어서, 내열 세퍼레이터(S)의 단부를 넘어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롤러(n)와 내열 세퍼레이터(S) 사이에 있어서 제거된 세정수가 홈 속을 통과하여 내열 세퍼레이터(S)로부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나선 형상의 홈은, 내열 세퍼레이터(S)에 대향하는 개소가 시간과 함께 내열 세퍼레이터(S)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어긋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직선 형상의 홈은, 롤러(n)의 축에 평행해지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동일하게, 롤러(m, a)의 표면에 요철 형상(홈)을 형성해도 된다. 롤러(a)가 제거된 세정수(W)가 세정조(15)로 되돌려지도록, 롤러(a)의 하측에 홈통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세정 장치(6)에 있어서, 내열 세퍼레이터(S) 대신에, 기능층을 갖지 않는 세퍼레이터, 또는 구멍을 갖지 않는 플라스틱 필름 등의 각종 필름의 세정을 행해도 된다.
〔부기 사항〕
또한, 상기 제2 롤러의 표면 속도는 상기 필름의 반송 속도와 상이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제2 롤러와 필름은 접동한다. 그로 인해, 필름에 부착된 세정액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롤러를 회전 구동시켜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제2 롤러의 표면 속도를 필름의 반송 속도 이상으로 함으로써, 필름을 반송 방향으로 인장할 수 있다. 액체 중을 통과하는 필름은 액체의 점성에 의해 저항력을 받는다. 세정조 사이에 있어서 제2 롤러를 구동함으로써, 제2 롤러의 상류측에 있어서의 필름의 장력을 감소시켜, 필름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롤러의 표면 속도를 필름의 반송 속도 미만으로 함으로써, 필름에 부착된 세정액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롤러의 표면에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요철 형상에 의해 필름으로부터 제거한 세정액을 효율적으로 필름의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롤러의 상기 표면에 나선 형상, 곡선 형상 또는 직선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필름으로부터 제거된 세정액을, 홈을 통하여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롤러의 상기 홈은, 상기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단부를 넘어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필름으로부터 제거된 세정액을, 홈을 통하여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에 대하여 접동하는 상기 제2 롤러의 상기 표면은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필름의 마모 또는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롤러의 표면 속도는 상기 필름의 반송 속도와는 다른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2 롤러는 회전 구동시켜지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2 롤러의 표면에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2 롤러의 상기 표면에 나선 형상 또는 직선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2 롤러의 상기 홈은, 상기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단부를 넘어 연장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필름에 대하여 접동하는 상기 제2 롤러의 상기 표면은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다른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6 세정 장치(필름 세정 장치)
12 세퍼레이터(필름)
15, 16 세정조(제1 세정조, 제2 세정조)
S 내열 세퍼레이터(필름)
W 세정수(세정액)
m 롤러(제1 롤러)
n 롤러(제2 롤러)
a 롤러(제3 롤러)

Claims (18)

  1. 제1 세정조에 있어서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을 세정하는 세정 공정과,
    상기 제1 세정조로부터 반출된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에 제1 롤러, 제2 롤러 및 제3 롤러를 접촉시켜,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을 제2 세정조에 반송하는 반송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반송 공정에서는,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3 롤러가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의 한쪽 면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3 롤러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가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의 다른 쪽 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으로부터 세정액을 제거하고,
    상기 제2 롤러에 의해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으로부터 제거된 상기 세정액을 상기 제1 세정조로 되돌리며,
    상기 제2 롤러의 표면 속도는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의 반송 속도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를 회전 구동시키고,
    상기 제2 롤러는 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의 표면에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의 상기 표면에 나선 형상, 곡선 형상 또는 직선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의 상기 홈은,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의 단부를 넘어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에 대하여 접동하는 상기 제2 롤러의 상기 표면은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 제조 방법.
  7.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을 세정하는, 제1 세정조 및 제2 세정조와,
    상기 제1 세정조로부터 반출된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을 제2 세정조에 반송하는, 제1 롤러, 제2 롤러 및 제3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3 롤러가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의 한쪽 면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3 롤러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가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의 다른 쪽 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으로부터 세정액을 제거하고,
    상기 제2 롤러에 의해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으로부터 제거된 세정액이 상기 제1 세정조로 되돌려지며,
    상기 제2 롤러의 표면 속도는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의 반송 속도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 세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는 회전 구동시켜지고,
    상기 제2 롤러는 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 세정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의 표면에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 세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의 상기 표면에 나선 형상, 곡선 형상 또는 직선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 세정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의 상기 홈은,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의 단부를 넘어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 세정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에 대하여 접동하는 상기 제2 롤러의 상기 표면은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 세정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공정에서는,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3 롤러가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의 한쪽 면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3 롤러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가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의 다른 쪽 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 세정조 내에서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에 부착된 세정액을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 제조 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3 롤러가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의 한쪽 면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3 롤러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가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의 다른 쪽 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제1 세정조 내에서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에 부착된 세정액을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 세정 장치.
  15. 제1항 내지 제6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정조에 채워진 세정액과 상기 제2 세정조에 채워진 세정액이 동일한 종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 제조 방법.
  16. 제7항 내지 제12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정조에 채워진 세정액과 상기 제2 세정조에 채워진 세정액이 동일한 종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 세정 장치.
  17. 제1 세정조에 있어서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을 세정하는 세정 공정과,
    상기 제1 세정조로부터 반출된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에 제1 롤러, 제2 롤러 및 제3 롤러를 접촉시켜,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을 제2 세정조에 반송하는 반송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반송 공정에서는,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3 롤러가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의 한쪽 면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3 롤러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가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의 다른 쪽 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으로부터 세정액을 제거하고,
    상기 제2 롤러에 의해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으로부터 제거된 상기 세정액을 상기 제1 세정조로 되돌리며,
    상기 제2 롤러의 표면에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롤러의 상기 표면에 나선 형상, 곡선 형상 또는 직선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 제조 방법.
  18.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을 세정하는, 제1 세정조 및 제2 세정조와,
    상기 제1 세정조로부터 반출된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을 제2 세정조에 반송하는, 제1 롤러, 제2 롤러 및 제3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3 롤러가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의 한쪽 면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3 롤러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가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의 다른 쪽 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으로부터 세정액을 제거하고,
    상기 제2 롤러에 의해 상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으로부터 제거된 세정액이 상기 제1 세정조로 되돌려지며,
    상기 제2 롤러의 표면에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롤러의 상기 표면에 나선 형상, 곡선 형상 또는 직선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 세정 장치.
KR1020160146695A 2015-11-13 2016-11-04 필름 제조 방법 및 필름 세정 장치 KR101831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23428 2015-11-13
JP2015223428A JP6268144B2 (ja) 2015-11-13 2015-11-13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フィルム製造方法およ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フィルム洗浄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507A Division KR20180019623A (ko) 2015-11-13 2018-02-08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 제조 방법 및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 세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436A KR20170056436A (ko) 2017-05-23
KR101831069B1 true KR101831069B1 (ko) 2018-02-21

Family

ID=586904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695A KR101831069B1 (ko) 2015-11-13 2016-11-04 필름 제조 방법 및 필름 세정 장치
KR1020180015507A KR20180019623A (ko) 2015-11-13 2018-02-08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 제조 방법 및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 세정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507A KR20180019623A (ko) 2015-11-13 2018-02-08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 제조 방법 및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70136503A1 (ko)
JP (1) JP6268144B2 (ko)
KR (2) KR101831069B1 (ko)
CN (2) CN1070173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42140A (zh) * 2020-03-09 2020-06-26 天津市捷威动力工业有限公司 一种改善锂离子软包叠片电池干法隔膜褶皱的方法及装置
CN113414175B (zh) * 2021-06-23 2022-01-14 广东宇界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大幅面隔膜洗涤生产线及其洗涤方法
CN113750567A (zh) * 2021-11-08 2021-12-07 常州恒锌禹晟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锂电池隔膜萃取用水循环系统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3556A (ja) * 2002-02-28 2003-09-10 Toyobo Co Ltd シート状物の親水化処理装置および方法
WO2009084719A1 (en) 2007-12-31 2009-07-09 Tonen Chemical Corporation Microporous membrane, process for producing such a membrane and the use of such a membrane
JP2010060253A (ja) * 2008-09-08 2010-03-18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付着液体除去装置及びガラス板付着液体除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19620A (en) * 1938-11-14 1940-10-29 Pease C F Co Machine for developing blueprints or negatives
US2414177A (en) * 1942-01-30 1947-01-14 Electric Storage Battery Co Method of making battery separators
US3925332A (en) * 1974-06-18 1975-12-09 Asahi Dow Ltd Hydrophilic membrane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JPS5536072Y2 (ko) * 1975-12-03 1980-08-25
JPS54159685U (ko) * 1978-04-28 1979-11-07
FR2600560B1 (fr) * 1986-06-24 1988-09-30 Thimonnier Sa Installation pour le traitement d'un film par immersion, suivi d'un essorage
JP3028992B2 (ja) * 1992-07-23 2000-04-0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冷間圧延機用の油切りロール
JP2001228594A (ja) * 2000-02-14 2001-08-24 Panakku Kogyo Kk ロール状フイルムの搬送装置および洗浄装置、並びにロール状フイルムの搬送方法および回収方法
JP4712251B2 (ja) * 2000-09-22 2011-06-29 帝人株式会社 両面同時塗工方法
US20040056380A1 (en) * 2002-09-19 2004-03-25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rienting an optical polymer film, and tenter apparatus for the same
JP4084314B2 (ja) * 2004-02-05 2008-04-30 協和電子工業株式会社 円盤等の小物洗浄装置
JP4566687B2 (ja) * 2004-10-15 2010-10-20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ロールフィルタ洗浄装置
JP4683539B2 (ja) * 2005-04-26 2011-05-18 ニチコン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4694282B2 (ja) * 2005-06-23 2011-06-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めっき被膜付きフィルムの製造装置及び方法
CN1736696A (zh) * 2005-08-01 2006-02-22 顾建 带式挤压脱水装置
JP2008179903A (ja) * 2007-01-23 2008-08-07 Hitachi Maxell Ltd 多孔質膜、電気化学素子用セパレータ、多孔質膜の製造方法、非水電解質電池および非水電解質電池の製造方法
JP2011046761A (ja) * 2009-08-25 2011-03-10 Mitsubishi Paper Mills Ltd 多孔質シート、多孔質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多孔質シートからなる電気化学素子用セパレータ
JP2011255343A (ja) * 2010-06-11 2011-12-22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ウェブの洗浄装置および方法
WO2012150618A1 (ja) * 2011-05-02 2012-11-08 野方鉄郎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N104335391A (zh) * 2012-05-22 2015-02-04 日东电工株式会社 非水电解质蓄电装置用隔膜的制造方法及环氧树脂多孔膜的制造方法
KR101534642B1 (ko) * 2012-07-05 2015-07-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딥핑 배스
CN102806218A (zh) * 2012-08-21 2012-12-05 天津力神电池股份有限公司 涂敷机c辊清理装置及方法
JP5296917B1 (ja) * 2012-11-16 2013-09-25 東レバッテリーセパレータフィルム株式会社 電池用セパレータ
JP2015018722A (ja) * 2013-07-12 2015-01-29 三菱製紙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CN103817093B (zh) * 2014-02-27 2016-08-17 苏州奥特福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去除高分子薄膜表面粉尘的设备
CN204074587U (zh) * 2014-08-25 2015-01-07 上海英内电子标签有限公司 一种用于带状膜材料的节水清洗槽
JP5969062B2 (ja) * 2015-01-07 2016-08-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102440164B1 (ko) * 2015-03-27 2022-09-06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복합막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3556A (ja) * 2002-02-28 2003-09-10 Toyobo Co Ltd シート状物の親水化処理装置および方法
WO2009084719A1 (en) 2007-12-31 2009-07-09 Tonen Chemical Corporation Microporous membrane, process for producing such a membrane and the use of such a membrane
JP2010060253A (ja) * 2008-09-08 2010-03-18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付着液体除去装置及びガラス板付着液体除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98366A (zh) 2019-08-06
KR20170056436A (ko) 2017-05-23
JP6268144B2 (ja) 2018-01-24
CN107017374A (zh) 2017-08-04
US20170136503A1 (en) 2017-05-18
CN107017374B (zh) 2019-06-07
KR20180019623A (ko) 2018-02-26
JP2017087173A (ja) 201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176B1 (ko) 필름 제조 방법 및 필름 제조 장치
KR101831069B1 (ko) 필름 제조 방법 및 필름 세정 장치
KR200494679Y1 (ko) 세퍼레이터 권심, 세퍼레이터 권회체
KR20170059418A (ko) 가열 롤러 및 필름 제조 방법
JP6872894B2 (ja) フィルム製造方法
CN207209599U (zh) 隔膜卷芯以及隔膜卷绕体
CN106935768B (zh) 膜制造方法以及膜卷出方法
JP6879898B2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フィルム製造方法およ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フィルム洗浄装置
KR101889610B1 (ko) 필름의 제조 방법,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
KR101763078B1 (ko) 필름 제조 방법 및 필름 제조 장치
JP5973638B1 (ja) フィルム製造方法及びフィルム製造装置
JP6444341B2 (ja) フィルム製造方法及びフィルム製造装置
JP3206330U (ja) セパレータ巻芯およびセパレータ捲回体
JP6725331B2 (ja) フィルム製造方法及びフィルム製造装置
JP5955443B1 (ja) フィルム製造方法及びフィルム製造装置
KR20180089374A (ko) 필름의 제조 방법, 전지용 세퍼레이터 필름,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