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933B1 - Automatic adhesive tape attachment device and assembly system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utomatic adhesive tape attachment device and assembly system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933B1
KR101830933B1 KR1020160103312A KR20160103312A KR101830933B1 KR 101830933 B1 KR101830933 B1 KR 101830933B1 KR 1020160103312 A KR1020160103312 A KR 1020160103312A KR 20160103312 A KR20160103312 A KR 20160103312A KR 101830933 B1 KR101830933 B1 KR 101830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module
tape
adhesive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3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18216A (en
Inventor
안종이
김철호
조현구
Original Assignee
안종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이 filed Critical 안종이
Priority to KR1020160103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933B1/en
Publication of KR20180018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2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9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2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applying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6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blade, e.g. shear-blad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3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applying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6Securing handled material to anoth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61Display device manufacture, e.g. liquid crystal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테이핑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킨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립시스템이 제공된다.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는, 접착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공급모듈, 및 테이프공급모듈로부터 공급된 접착테이프의 비접착면에 음압으로 부착되는 부착면을 포함하고 부착면으로 접착테이프를 가압하여 접착테이프의 말단에 접착테이프의 접착면끼리 맞닿아 접힌 파지부를 형성하는 파지부형성모듈을 포함한다.There is provided an adhesive tape automatic attaching apparatus and an assembl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which improves work efficiency by taping in a more efficient manner. The automatic adhesive tape adhering apparatus includes a tape supply module for supplying an adhesive tape and an attachment surface to be adhered to the non-adhesive surface of the adhesive tape supplied from the tape supply module at a negative pressure, And a grip portion forming module which forms a folded grip portion by bringing the bonding surfaces of the adhesive tap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ir distal ends.

Description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립시스템{Automatic adhesive tape attachment device and assembly system hav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hesive tape automatic attaching apparatus and an assembl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립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테이핑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킨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립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adhesive tape bonding apparatus and an assembl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adhesive tape adhesive attachment apparatus and an assembl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자동화 시스템은 로봇, 기계, 제어설비 등을 포함한다. 자동화 시스템은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보다 신속하고 편리한 제품생산이 가능하다. 특정 제품을 보다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최적화된 형태로 자동화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The automation system includes a robot, a machine, and a control facility. The automation system is applied to various industrial fields and it is possible to produce products more quickly and conveniently by using it. Automated systems can be applied in an optimized form to produce specific products more efficiently.

예를 들어, PCB기판 등을 제조하거나 액정 등을 조립하기 위한 생산라인 등에 자동화 시스템을 적용하여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다. 조립과정에는 기판 등의 일 측에 테이프를 부착하는 작업이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테이프부착장치를 알맞은 형태로 제작하여 적용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roduction efficiency by applying an automation system to a production line for manufacturing a PCB substrate or assembling a liquid crystal or the like. The assembling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attaching a tape to one side of a substrate or the like, and a tape attaching device for performing such a process may be manufactured in an appropriate form and applied.

그러나, 기판, 액정, 유리판 등 취급에 주의를 요하는 제품의 경우 보다 견고하고 정확한 테이핑이 요구되며, 상황에 따라 부착되었던 테이프를 다시 제거하여야 할 필요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후속작업이 고려되어야 하나 종래의 경우 이러한 부분이 전혀 고려되지 못하였다. However, stronger and more precise taping is required in the case of a product requiring care in handling substrates, liquid crystal, glass plate, etc., and it is also necessary to remove the tape which has been attach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Therefore, this follow-up work has to be considered, but this part has not been considered at all in the conventional case.

즉, 종래 장치가 부착한 테이프를 제거하기 곤란하였고, 반대로 테이프가 제품에 견고하게 부착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특히, 기판, 액정, 유리판 등에 테이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생산공정이나 조립과정 전체가 지연되고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개선이 필요하였다.That is,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tape attached to the conventional device, and converse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ape can not be firmly attached to the product. Particularly, taping on a substrate, a liquid crystal, a glass plate, and the like is not efficiently performed, which causes a delay in the entire production process or assembly process and a decrease in work efficiency.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71851호, (1999. 09.27)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99-0071851 (1999. 09.27)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테이핑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킨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자동장치를 포함하는 조립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ttaching an adhesive tape with improved efficiency by taping in a more efficient manne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ssembly system including such an automatic adhesive tape adhesive apparatu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는, 접착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공급모듈; 및 상기 테이프공급모듈로부터 공급된 접착테이프의 비접착면에 음압으로 부착되는 부착면을 포함하며 상기 부착면으로 접착테이프를 가압하여 접착테이프의 말단에 접착테이프의 접착면끼리 맞닿아 접힌 파지부를 형성하는 파지부형성모듈을 포함한다.An automatic adhesive tape adh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ape supply module for supplying an adhesive tape; And an adhesive surface adhered to the non-adhesive surface of the adhesive tape supplied from the tape supply module at a negative pressure, wherein the adhesive tape is pressed against the adhesive surface to bring the adhesive surfaces of the adhesive tape into contact with the ends of the adhesive tape, And a grip portion forming module for forming a grip portion.

상기 파지부형성모듈은, 적어도 일 측에 상기 부착면이 형성되고 회동하여 서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한 쌍의 핑거, 및 상기 부착면으로 개구된 적어도 하나의 음압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rip portion form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fingers formed and rotated at at least one side thereof so as to be folded or unfolded with each other, and at least one negative pressure nozzle opened to the attachment surface.

상기 파지부형성모듈은 상기 파지부를 파지하고 이동하여 상기 테이프공급모듈로부터 접착테이프를 인출시킬 수 있다.The grip portion forming module grasps and moves the grip portion and can pull out the adhesive tape from the tape supply module.

상기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는, 상기 파지부를 파지하고 이동하여 상기 테이프공급모듈로부터 접착테이프를 인출시키는 인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atic adhesive tape adher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rawing module for holding and moving the grip section and drawing the adhesive tape from the tape supply module.

상기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는, 상기 인출모듈 일 측에 상기 부착면으로 접근하여 상기 파지부를 파지하는 집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atic adhesive tape adher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gripper portion which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drawing module and approaches the mounting surface to grip the gripper portion.

상기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는, 상기 파지부에 가해진 장력에 의해 인출된 접착테이프의 비접착면을 가압하여 반대편 접착면을 접착대상에 밀착시키는 가압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atic adhesive tape adher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module for pressing the non-adhesive surface of the adhesive tape drawn out by the tension applied to the grip portion to adhere the opposite adhesive surface to the object to be adhered.

상기 가압모듈은 적어도 일부가 접착테이프의 인출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 및 접착대상과 평행한 제2방향으로 이동하며 접착테이프를 가압할 수 있다.The pressing module may move in a first direction at least a part of which intersects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and in a second direction parallel to the object to be bonded and press the adhesive tape.

상기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는, 상기 가압모듈의 접착테이프와 접하는 단부에 탄성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atic adhesive tape adher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pressing member resiliently coupled to an end portion of the pressing module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tape.

상기 테이프공급모듈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가압모듈과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되며 접착테이프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The tape supply module is movably formed to change the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pressing module and to adjust the tension applied to the adhesive tape.

상기 파지부형성모듈은 일 측으로 평행 이동하여 접착테이프와 교차되거나 교차가 해제될 수 있다.The grip portion forming module may be moved in parallel to one side to intersect with the adhesive tape, or the intersection may be released.

상기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는, 상기 테이프공급모듈로부터 공급된 접착테이프의 일 측을 절단하여 상기 테이프공급모듈에서 분리하는 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atic adhesive tape adher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utter for cutting one side of the adhesive tape supplied from the tape supply module and separating the adhesive tape from the tape supply module.

상기 커터는 첨단부가 접착테이프의 접착면 또는 비접착면의 중앙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접착테이프의 내부로부터 인접한 양 측단부를 파단할 수 있다.The cutter can vertically protrude from the adhesive surface of the adhesive tape or the center of the non-adhesive surface to break both adjacent side ends from the inside of the adhesive tape.

상기 커터는 첨단부가 상기 파지부형성모듈의 상기 부착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되며 상기 부착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cutter may be formed such that a tip portion thereof is aligned in a direction toward the attachment surface of the grip portion formation module and is slidable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attachment surface.

상기 부착면에 부착된 접착테이프를 상기 커터의 반대편에서 지지하되 상기 커터의 첨단부는 내부로 통과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된 절단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utter may further include a cutter having a through hole for supporting the adhesive tape attached to the attachment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utter and allowing the tip of the cutter to pass therethrough.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시스템은, 이송레일; 및 상기 이송레일 일 측에 배치된 상기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를 포함한다.An assembl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veying rail; And the adhesive tape automatic attaching devic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nveying rail.

본 발명에 의하면,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로 제품을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테이핑하여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테이프를 제품에 견고하고 정확하게 부착하면서도, 후속작업을 고려하여 이를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작업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립시스템을 이용하여 제품 조립작업 등을 매우 효율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duct can be taped in a more efficient manner by the automatic adhesive tape attaching device,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Particularly, while the tape is firmly and accurately attached to the product, it is possible to easily separate the tape in consideration of the follow-up work,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arry out a product assembling operation and the like very efficiently by using the assembl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such an adhesive tape automatic attach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시스템의 정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립시스템의 테이핑부 및 보조배출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조립시스템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파지부형성모듈의 핑거 및 핑거와 독립된 커터를 따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alignment part of the assembly system of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the taping portion and the auxiliary discharge portion of the assembly system of FIG.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of an automatic adhesive tape adh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views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automatic adhesive tape adh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al process of the assembly system of FIG. 1.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adhesive tape adh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adhesive tape adh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4 are views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automatic adhesive tape adh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n operation diagram of an automatic adhesive tape adh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ngers and fingers of the grip part forming module of FIG. 15 and a cutter independent of the finger.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1 to 9, an automatic adhesive tape adhesive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ssembl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시스템의 정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조립시스템의 테이핑부 및 보조배출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 alignment section of the assembly system of FIG. 1, Fig. 4 and Fig. 5 are perspective views of an automatic adhesive tape adh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시스템(2)은 이송레일(10), 및 이송레일(10) 일 측에 배치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를 포함한다.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는 이송레일(10)을 따라 이송되는 대상물(접착대상)에 자동으로 접착테이프를 부착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는 접착대상에 견고하고 정확하게 접착테이프를 부착하며, 후속작업을 고려하여 접착테이프를 용이하게 분리 가능한 형태로 부착한다. 따라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를 포함하는 조립시스템(2)을 이용하여 조립과정 전체를 원활하게 진행하고 제품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assembly system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veying rail 10 and an automatic adhesive tape attaching device 1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nveying rail 10. The automatic adhesive tape attaching apparatus 1 is formed so as to automatically attach an adhesive tape to an object (object to be adhered) to be conveyed along the conveying rail 10. In particular, the automatic adhesive tape attaching device 1 attaches the adhesive tape firmly and accurately to the object to be bonded, and attaches the adhesive tape in an easily detachable form in consideration of a subsequent operation. Therefore, the entire assembling process can be smoothly performed using the assembling system 2 including the automatic adhesive tape attaching apparatus 1, and the product can be efficiently produced.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는 접착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공급모듈(도 4의 100참조), 및 테이프공급모듈(100)로부터 공급된 접착테이프의 비접착면에 음압으로 부착되는 부착면(도 4의 211참조)을 포함하며 부착면(211)으로 접착테이프를 가압하여 접착테이프의 말단에 접착테이프의 접착면끼리 맞닿아 접힌 파지부(도 8의 C1참조)를 형성하는 파지부형성모듈(도 4의 200참조)을 포함한다. 즉,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는 파지부형성모듈(200)로 접착테이프 말단에 작업자 등이 용이하게 파지 가능한 파지부를 자동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작업자 등은 접착테이프의 파지부를 파지하여 필요에 따라 접착대상에 접착되었던 접착테이프를 분리하여 제거하는 등 후속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립과정 전체를 원활하게 진행하고 제품을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automatic adhesive tape attaching apparatus 1 includes a tape supply module (see 100 in Fig. 4) for supplying an adhesive tape and a mounting surface (also shown in Fig. 4) attached with a negative pressure to the non-adhesive surface of the adhesive tape supplied from the tape supply module 100 (See C1 of FIG. 8) that presses the adhesive tape against the attachment surface 211 to make the adhesive surfaces of the adhesive tape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grip portion (see C1 in FIG. 8) (See 200 in FIG. 4). In other words, the automatic adhesive tape attaching apparatus 1 automatically forms a gripping portion capable of being easily gripped by an operator or the like at the end of the adhesive tape by the gripping portion forming module 200. Therefore, the operator or the like can grip the grip portion of the adhesive tape and remove the adhesive tape that has been adhered to the object to be adhered, if necessary, to facilitate subsequent work. This makes it possible to smoothly carry out the entire assembling process and efficiently produce products.

이하, 각 도면을 참조하여 이러한 본 발명의 조립시스템(2) 및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동과정 등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을 통해서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도 명확하게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etailed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assembly system 2 and the automatic adhesive tape bond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조립시스템(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으로 길게 연장된 이송레일(10)을 포함한다. 이송레일(1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이송롤러(10a)들이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어 대상물과 이송롤러(10a)간 접촉을 통해 대상물이 이동할 수 있다. 이송롤러(10a)들의 사이는 이격되어 있으며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는 이송롤러(10a)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접착대상(즉, 이송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대상물)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이송롤러(10a)는 체인이나 벨트 등으로 상호 연결하여 구동할 수 있다. 이송롤러(10a)의 외주부에는 마찰을 유발하는 물질(고무 등)로 접촉부를 형성하여 접착대상이 이송롤러(10a)의 회전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받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assembly system 2 comprises a conveyor rail 10 which is elongated to one side as shown in Fig.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10a are continuously arranged inside the conveying rail 10 so that the object can move through contact between the conveying roller 10a and the object. The conveying rollers 10a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automatic adhesive tape adhesive apparatus 1 easily accesses the object to be bonded (that is, the object to be conveyed along the conveying rail) through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conveying rollers 10a . The conveying rollers 10a can be driven by connecting them with a chain, a belt, or the like. A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conveying roller 10a with a material (rubber or the like) that generates friction, so that the object to be bonded can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conveying roller 10a more effectively.

이송레일(10)의 전단에는 로더(20)가 배치되고, 이송레일(10)의 후단에는 언로더(30)가 배치된다. 로더(20)는 수평 수직 이동이 가능한 리니어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로더(20)는 반복적으로 이동하면서 판넬 등 대상물을 이송레일(10)로 로딩(loading)한다. 언로더(30) 역시 반복적으로 이동하면서 이송레일(10)로부터 대상물(예를 들어, 판넬과 글라스의 결합물)을 언로딩(unloading)한다. 로더(20)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언로더(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방향으로 굴절 가능한 로봇 암(arm)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로더(20)와 언로더(30)에는 대상물에 흡입력을 가하여 파지하는 진공흡착기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그 밖에도 대상물을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로더(20) 및 언로더(30)를 구성할 수 있다.A loader 20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conveying rail 10 and an unloader 30 is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conveying rail 10. The loader 20 may be formed to include a linear guide device capable of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 The loader 20 repeatedly moves and loads an object such as a panel with the conveying rail 10. The unloader 30 also unloads the object (for example, the combination of the panel and the glass) from the conveying rail 10 while moving repeatedly. One or more than one loader 20 may be disposed. The unloader 30 can be formed to include a robot arm that can be bent in various directions as shown in FIG. The loader 20 and the unloader 30 may be provided with a vacuum adsorber for applying a suction force to an object to be gripped. In addition, the loader 20 and the unloader 30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capable of gripping and moving objects.

이송레일(10)의 상방에는 팬필터유닛(40)이 배치된다. 이송레일(10)이 설치된 이송구간, 로더(20)가 배치된 로딩구간, 언로더(30)가 배치된 언로딩구간을 내부에 포함하는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하우징의 상단부에 복수 개의 팬필터유닛(40)을 배치할 수 있다. 팬필터유닛(40)은 공기를 순환시키는 동시에 필터링 하여 하우징 내부를 청정하게 유지한다. 팬필터유닛(40)은 이송레일(10)의 상방뿐만 아니라 로더(20) 또는 언로더(30)의 상방에도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은 예를 들어, 골조프레임에 투명창 등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 일 측에는 도어를 형성하여 이송레일(10) 등으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접근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대상물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광 커튼 방식), 비상시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는 비상스위치, 및 정전기제거 장치 등 다양한 설비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A fan filter unit (40) is disposed above the conveying rail (10). It is possible to form a housing including therein a conveying section in which the conveying rail 10 is installed, a loading section in which the loader 20 is disposed, and an unloading section in which the unloader 30 is disposed. The unit 40 can be disposed. The fan filter unit 40 circulates the air and simultaneously filters the air to keep the inside of the housing clean. The fan filter unit 40 can be disposed not only above the conveying rail 10 but also above the loader 20 or the unloader 30. The housing can be formed, for example, by providing a transparent window or the like on the frame frame. A door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so as to be easily accessible to the operator by the conveying rail 10 or the like. In addition, various facilities such as an optical sensor (optical curtain type)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object, an emergency switch capable of stopping the emergency driving, and a static eliminator can be additionally provided.

이송레일(10)은 서로 다른 작업을 진행 가능한 몇 개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더(20)와 인접한 진입부(11), 진입부(11)와 연결된 정렬부(12), 정렬부(12)와 연결된 테이핑부(13), 테이핑부(13)와 연결되고 언로더(30)와 인접한 배출부(14), 테이핑부(13)의 상단에 이중으로 배치된 보조배출부(15)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로더(20)로부터 로딩된 판넬 등 대상물은 진입부(11)를 거쳐 정렬부(12)에서 1차 정렬되고, 글라스 등의 다른 대상물과 결합되어 테이핑부(13)로 진입된다. 테이핑부(13)에는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가 설치되어 있어 판넬과 글라스가 결합된 대상물에 접착테이프가 부착된다. 접착테이프가 부착된 대상물(판넬 및 글라스)은 배출부(14)를 통해 배출되어 언로딩되거나, 문제가 있는 경우 보조배출부(15)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 정렬부(12)와 테이핑부(13)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conveying rail 10 can be divided into several parts that can perform different operations. As shown in FIG. 1, an inlet portion 11 adjacent to the loader 20, an aligning portion 12 connected to the inlet portion 11, a taping portion 13 connected to the aligning portion 12, a taping portion 13, A discharge unit 14 connected to the unloader 30, an auxiliary discharge unit 15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taping unit 13, and the like. Objects such as panels loaded from the loader 20 are firstly aligned in the alignment unit 12 via the entrance unit 11 and combined with other objects such as glass to enter the taping unit 13. [ An adhesive tape automatic attaching device (1) is provided in the taping portion (13), and an adhesive tape is attached to an object to which the panel and the glass are joined. The object (panel and glass) to which the adhesive tape is attached may be ejected through the ejection portion 14 and unloaded, or may be ejected to the auxiliary ejection portion 15 when there is a problem. Hereinafter, the alignment unit 12 and the taping unit 1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정렬부(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이송레일(10)의 사이에 이송롤러(10a)가 연속적으로 배열되며, 연속적으로 배열된 이송롤러(10a)의 사이에 정렬바(12a)가 배치된다. 정렬바(12a)는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부에 구름 접촉하는 회전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렬바(12a)는 판넬(A)의 단부와 밀착되어 판넬(A)의 이동을 저지하고 판넬(A)이 정위치에 놓이도록 정렬한다. 정렬바(12a)는 판넬(A)의 폭과 대응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이송레일(10)을 따라 배치되거나, 판넬(A)이 진행하는 방향(화살표 참조)에 개재되어 판넬(A)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정렬바(12a)를 포함하는 정렬부(12)를 형성하여 판넬(A)과 같은 대상물을 매우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The alignment portion 12 is formed as shown in Fig. The conveying rollers 10a are continuously arranged between the conveying rails 10 and the aligning bar 12a is disposed between the conveying rollers 10a which are continuously arranged. The alignment bar 12a may include a rotating portion or the like that comes into rolling contact with the end por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alignment bar 12a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nd of the panel A to prevent the panel A from moving and aligns the panel A so as to be in a correct position. The alignment bar 12a is disposed along the conveying rail 10 at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panel A or interposed at a direction in which the panel A advances I can stop it. It is possible to form the alignment part 12 including the alignment bar 12a to very easily align an object such as the panel A. [

정렬바(12a)에 의해 정렬부(12) 내측에 판넬(A)이 정렬되면 상부에서 글라스(B)를 덮어 중첩시킬 수 있다. 글라스(B)와 판넬(A)은 서로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나 나사와 같은 결합부재나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된 것이 아니므로 외력을 가하면 분리된다. 따라서 조립 중에 이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글라스(B)와 판넬(A)을 테이핑하여 고정한다. 즉, 테이핑 작업을 통해 글라스(B)와 판넬(A)이 서로 결합된 상태로 보다 편리하게 취급할 수 있다. 추후 필요에 따라 부착된 테이프를 제거하여 둘을 분리할 수 있다.When the panel A is aligned inside the alignment part 12 by the alignment bar 12a, the glass B can be overlapped and overlapped at the upper part. The glass (B) and the panel (A) are kept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ut they are not joined by a coupling member such as a screw or an adhesive. Therefore, this problem may occur during assembly, so the glass (B) and the panel (A) are fixed by taping. That is, the glass (B) and the panel (A) can be more conveniently handled while being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taping operation. The attached tape can then be removed as needed to separate the two.

테이핑부(13)는 보조배출부(15)의 하방에 위치한다. 보조배출부(15)는 문제가 있는 대상물(판넬과 글라스가 비정상적으로 결합되었거나 테이핑이 잘못된 경우 등)에 보다 신속하게 접근 가능하도록 테이핑부(13)의 상방에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핑부(13)는 이송레일(10)의 상단에 탄성 결합되어 있는 컨택터(13a)를 포함한다. 컨택터(13a)는 이송레일(10)과 연결된 지지부 등에 결합될 수 있으며 글라스(B)와 접촉이 용이한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판넬(A)과 글라스(B)가 서로 중첩되어 테이핑부(13)에 진입되면 하부의 이송롤러(10a)와 상부의 컨택터(13a)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지지하여 둘을 밀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방에 설치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가 자동으로 테이핑 작업을 진행한다. 접착테이프는 판넬(A) 표면과, 판넬(A)의 절개부(A1)를 통해 노출된 글라스(B)의 표면에 모두 부착되어 둘을 상호 고정할 수 있다. 이하,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의 구조와 작동과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The taping portion 13 is located below the auxiliary discharge portion 15. [ The auxiliary discharge portion 15 is disposed above the taping portion 13 so as to allow quick access to a problem object (such as when the panel and the glass are abnormally joined or taping is wrong). As shown, the taping portion 13 includes a contactor 13a which is resilient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eed rail 10. The contactor 13a may be coupled to a support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transfer rail 10 and may be formed in a planar shape in which contact with the glass B is easy. When the panel A and the glass B a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and enter the taping portion 13, the lower conveying roller 10a and the upper contactor 13a support each other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closely contact the two. In this state, the automatic adhesive tape attaching device 1 installed on the lower side automatically performs taping work. The adhesive tape may adhere to both the surface of the panel A and the surface of the glass B exposed through the cutout A1 of the panel A to mutually fix the two.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automatic adhesive tape attaching apparatus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는 테이프공급모듈(100), 파지부형성모듈(200), 및 가압모듈(300)을 포함한다. 테이프공급모듈(100)은 접착테이프를 공급하며, 파지부형성모듈(200)은 공급된 접착테이프의 비접착면에 음압으로 부착되는 부착면(211)을 포함하며 부착면(211)으로 접착테이프를 가압하여 접착테이프 말단에 접착면끼리 맞닿아 접힌 파지부를 형성한다. 가압모듈(300)은 파지부에 가해진 장력에 의해 인출된 접착테이프의 비접착면을 가압하여 반대편 접착면을 접착대상에 밀착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접착테이프에 파지부를 형성하고, 이를 파지하여 접착테이프를 인출하고, 인출된 접착테이프를 가압하여 접착대상(서로 중첩된 판넬 및 글라스)에 파지부가 형성된 접착테이프를 자동으로 부착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4 and 5, the automatic adhesive tape attach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pe supply module 100, a grip forming module 200, and a pressing module 300 do. The tape supply module 100 supplies the adhesive tape and the grip portion forming module 200 includes an attachment surface 211 adhered to the non-adhesive surface of the supplied adhesive tape at a negative pressure, So that the adhesive surface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nds of the adhesive tape to form a folded grip portion. The pressing module 300 presses the non-adhesive surface of the adhesive tape drawn by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grip portion to adhere the opposite adhesive surface to the adhesive object. With this configuration, the grip portion is formed on the adhesive tape, and the adhesive tape is pulled out by gripping the adhesive tape, and the drawn adhesive tape is pressed to automatically attach an adhesive tape having grip portions to the objects to be bonded Can be easily carried out.

특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는 파지부형성모듈(200)이 파지부를 파지하고 이동하여 테이프공급모듈(100)로부터 접착테이프를 인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별도의 인출구조를 형성할 필요 없이 파지부형성모듈(200)을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파지부를 형성한 후 이를 바로 파지하고 접착테이프에 장력을 가하여 인출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장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테이핑 작업도 좀 더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Particularly, the automatic adhesive tape attach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grip portion forming module 200 grasps and moves the grip portion to pull out the adhesive tape from the tape supply module 100 . That is, it is possible to realize a structure in which the grip portion forming module 200 is configured to be movable without forming a separate pull-out structure, and the grip portion is formed, gripped, and tensioned on the adhesive tape. This makes it possible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device and to perform taping work more quickly.

이하, 이러한 특징이 있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의 구체적인 구현형태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automatic adhesive tape bond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features will be described.

테이프공급모듈(100)은 접착테이프(C)가 외주부에 감겨 고정되는 롤러 형태로 형성된다. 롤러 형태의 테이프공급모듈(100)은 자유롭게 회전하며 롤(roll) 형태로 감긴 접착테이프(C)를 권취(wind) 및 권출(unwind)할 수 있다. 테이프공급모듈(100) 일 측에는 접착테이프에 접하여 장력을 조절하거나 공급방향을 전환시키는 가이드롤러(110)가 하나 또는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롤러 형태로 회전하는 테이프공급모듈(100)이 도시되었으나, 테이프공급모듈(100)은 접착테이프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한 제한될 필요는 없다. 필요에 따라 접착테이프를 내부에 수용하여 인출할 수 있는 구조 등 또 다른 구조로 테이프공급모듈(100)의 형상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The tape supply module 100 is formed in a roller shape in which the adhesive tape C is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and fixed. The roller-shaped tape supply module 100 can wind and unwind the adhesive tape C that is freely rotating and wound in the form of a roll. One or more guide rollers 11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ape supply module 100 to adjust the tension or change the feeding direction by contacting the adhesive tape. Although the tape supply module 100 is illustrated as rotating in the form of a rol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pe supply module 100 need not be limited as long as it can easily supply the adhesive tap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hape of the tape supply module 100 with another structure such as a structure in which the adhesive tape can be taken in and taken out as needed.

테이프공급모듈(100)은 프레임(10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프레임(101)에는 제1가이드레일(102), 및 제2가이드레일(103)이 형성된다. 프레임(101)은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지지구조의 역할을 한다. 프레임(101)은 판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프레임(101)의 양면을 모두 활용하여 컴팩트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프레임(101)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 프레임(101)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형상으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1) 없이 전술한 이송레일 등을 지지구조로 활용하여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tape supply module 1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101. In the frame 101, a first guide rail 102 and a second guide rail 103 are formed. The frame 101 serves as a supporting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utomatic adhesive tape attaching apparatus 1. [ The frame 101 is formed of a plate-shaped member, and can utilize both sides of the frame 101 to constitute a compact device.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such a frame 101 is exemplary, and the shape of the frame 101 can be freely changed to an appropriate shape as necessary. It is also possible to construct the automatic adhesive tape attaching device 1 by utilizing the above-described transfer rail or the like without the frame 101 as a supporting structure.

파지부형성모듈(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 측에 부착면(211)이 형성되고 회동하여 서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한 쌍의 핑거(210), 및 부착면(211)으로 개구된 적어도 하나의 음압노즐(211a)을 포함한다. 핑거(210)는 회동모터(212) 등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핑거(210)는 평면 형태의 부착면(211)을 포함하며 부착면(211)으로 개구된 음압노즐(211a)로 접착테이프에 음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210)가 회전하여 서로 접히면 부착면(211)이 서로 밀착되고 부착면(211) 사이에 압력이 교환된다. 이를 통해 접착테이프에 압력을 가하여 파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4, the grip portion forming module 200 includes a pair of fingers 210 which ar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attachment surface 211 and which are turned and folded or unfolded to each other, And at least one negative pressure nozzle 211a. The fingers 210 are formed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rotation axis by the rotation motor 212 or the like. The fingers 210 can provide negative pressure on the adhesive tape with a negative pressure nozzle 211a that includes a planar attachment surface 211 and is open to the attachment surface 211. [ As shown in FIG. 5, when the fingers 210 rotate and are folded together, the attachment faces 211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pressure is exchanged between the attachment faces 211. Whereby the grip portion can be formed by applying pressure to the adhesive tape.

핑거(210)는 가동판(230) 위에 고정된다. 가동판(230)은 제1가이드레일(102)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240)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210)를 포함하는 파지부형성모듈(200)이 가동판(230)을 따라 평행 이동하여 접착테이프와 교차되거나 교차가 해제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파지부를 형성한 후 테이핑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파지부형성모듈(200)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가동판(230)은 주행부(240)에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므로 핑거(210)를 포함하는 파지부형성모듈(200) 역시 주행부(240)를 따라서 제1가이드레일(102) 위를 이동한다. 따라서 파지부형성모듈(200)이 이동하며 테이프공급모듈(100)로부터 접착테이프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The finger 210 is fixed on the movable plate 230. The movable plate 230 is slidably coupled to the traveling unit 240 traveling along the first guide rail 102. Accordingly, as shown in FIG. 5, a structure may be realized in which the grip portion forming module 200 including the finger 210 moves in parallel along the movable plate 230 to intersect with the adhesive tape or to release the intersection. The position of the grip part forming module 200 can be easily chang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taping operation after the grip part is formed. Since the movable plate 230 is coupled to the moving unit 240 and moves together with the moving unit 230, the grip unit forming module 200 including the finger 210 also moves on the first guide rail 102 along the moving unit 240 . Therefore, the grip portion forming module 200 moves and the adhesive tape can be easily taken out from the tape supply module 100.

핑거(210) 일 측에는 접착테이프를 절단하는 커터(220)가 형성된다. 커터(220)는 테이프공급모듈로(100)부터 공급된 접착테이프의 일 측을 절단하여 테이프공급모듈(100)에서 분리한다. 커터(220)는 핑거(210)와 함께 가동판(230)위에 결합될 수 있다. 커터(220)는 슬라이딩되어 접착테이프와 교차되거나 교차가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커터(220)를 움직여 접착테이프와 교차시키고 교차된 접착테이프의 일 측을 손쉽게 절단할 수 있다. 가동판(2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핑거(210)의 부착면(211) 역시 가동판(230)과 평행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열될 수 있다. 경사진 부착면(211)을 이용하여 접착대상과 테이프공급모듈(100) 사이에 경사를 이루어 개재된 접착테이프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A cutter 220 for cutting the adhesive tap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nger 210. The cutter 220 cuts one side of the adhesive tape supplied from the tape supply module 100 and separates the tape from the tape supply module 100. The cutter 220 may be coupled to the movable plate 230 together with the finger 210. The cutter 220 may be slid to intersect with or release the adhesive tape. Thus, the cutter 220 can be moved to cross the adhesive tape and easily cut one side of the crossed adhesive tape. The movable plate 230 may be inclined as shown in the drawing, so that the mounting surface 211 of the finger 210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vable plate 230. It is possible to easily support the interposed adhesive tape between the object to be bonded and the tape supply module 100 by using the inclined attaching surface 211. [

부착면(211)은 핑거(210)의 양 측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고, 둘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핑거(210)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면(211)을 형성하여 접착테이프를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부착면(21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평면 전체가 접착테이프의 비접착면과 평행하게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부착면(211)으로 개구된 음압노즐(211a)을 통해 접착테이프의 비접착면에 음압을 가하고 흡입압력을 이용하여 접착테이프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The attachment surface 211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nger 210, or may be formed only on either side. At least one of the fingers 210 may have an attachment surface 211 to facilitate attachment of the adhesive tape. The attachment surface 211 is preferably formed in a planar shape as shown in Fig. 4, and the entire plane may be in contact with the non-adhesive surface of the adhesive tape in parallel. The negative pressure can be applied to the non-adhering surface of the adhesive tape through the negative pressure nozzle 211a opened by the adhering surface 211 and the adhesive tape can be easily fixed using the suction pressure.

핑거(210)는 한 쌍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서로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형성된다. 핑거(210)는 양 측이 모두 회동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어느 한 측만 회동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핑거(210)의 양 측 모두를 회동시키거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동시켜 부착면(211)으로 접착테이프를 가압할 수 있다. 부착면(211)이 핑거(210) 양 측에 모두 형성된 경우 서로 다른 부착면(211) 사이로 압력을 교환하여 접착테이프를 가압할 수 있고, 핑거(210)의 일 측에만 부착면(211)이 형성된 경우 부착면(211)이 회동하거나, 또는 정지된 상태로 핑거(210)의 타 측과 압력을 교환하여 접착테이프를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핑거(210)를 회동시켜 부착면(211)으로 접착테이프를 가압하고 접착테이프 말단에 접착테이프의 접착면끼리 맞닿아 접힌 파지부(도 8의 C1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The fingers 210 are formed such that a pair of them pivots about the rotation axis and folds or unfolds with each other. The fingers 210 may be formed so that both of them are pivoted, or only one of them is pivoted. The both sides of the finger 210 can be rotated or at least one of them can be rotated to press the adhesive tape with the attachment surface 211. [ It is possible to pressurize the adhesive tape by exchanging the pressure between the different attachment surfaces 211 when the attachment surface 211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nger 210. The attachment surface 211 is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finger 210 The adhesive surface can be pressed by exchanging pressure with the other side of the finger 210 in a state where the adhesive surface 211 is formed or rotated. As described above, the finger 210 is rotated to press the adhesive tape with the attaching surface 211, and the gripping portions (refer to C1 in Fig. 8) folded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adhesive surfaces of the adhesive tape can be formed at the ends of the adhesive tape.

가압모듈(300)은 인출된 접착테이프의 비접착면을 가압하여 반대편 접착면을 접착대상에 밀착시킨다. 예를 들어, 파지부형성모듈(200)이 제1가이드레일(102)을 따라 이동하여 접착테이프를 인출하고, 가압모듈(300)이 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접착테이프의 비접착면을 가압하여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 일 측에 위치한 접착대상에 접착테이프를 부착시킬 수 있다. 가압모듈(300)은 적어도 일부가 접착테이프의 인출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 및 접착대상과 평행한 제2방향으로 이동하며 접착테이프를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ressing module 300 presses the non-adhesive surface of the drawn adhesive tape to adhere the opposite adhesive surface to the object to be bonded. For example, the grip portion forming module 200 moves along the first guide rail 102 to pull out the adhesive tape, and the pressing module 300 presses the non-adhesive surface of the adhesive tape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adhesive tape, An adhesive tape can be attached to an object to be adhered on one side of the tape automatic attaching apparatus 1. [ The pressing module 300 may be formed to move in a first direction at least a part of which intersects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and in a second direction parallel to the object to be bonded and press the adhesive tape.

가압모듈(300)은 제2가이드레일(103)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330)에 결합된다. 가압모듈(300)은 주행부(330)와 결합된 몸체(310)와 몸체(310)에 연결된 가압부재(320)를 포함한다. 가압모듈(300)은 접착테이프와 접하는 단부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며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3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등으로 형성되어 가압부재(320)와 구름 접촉할 수 있다. 몸체(310)와 가압부재(320)는 연결부(321)로 연결되며 연결부(321)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2가이드레일(103)과 수직한 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다. 연결부(321)의 내측에는 신축이 가능한 피스톤 등이 삽입될 수 있으며 외측에는 스프링 등이 결합되어 가압부재(3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pressurizing module 300 is coupled to the traveling unit 330 traveling along the second guide rail 103. The pressing module 300 includes a body 310 coupled to the traveling unit 330 and a pressing member 320 connected to the body 310. The pressing module 300 is resiliently coupled to the end portion contacting with the adhesive tape and one or more than one may be formed. The pressing member 320 may be formed of a roller or the like as shown in the drawing and may b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pressing member 320. [ The body 310 and the pressing member 3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portion 321 and the connecting portion 321 can be exten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guide rail 103 as shown in FIG. An expandable piston or the like can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art 321 and a spring or the like can be coupled to the outer side to elastically support the pressing member 320. [

가압모듈(3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부(330)에 결합되어 제2가이드레일(103)과 평행하게 이동된다. 또한 연결부(321)의 신축을 통해 가압부재(320)를 이와 수직한 방향으로도 이동시킬 수 있다. 제2가이드레일(103)은 접착대상(전술한 서로 중첩된 판넬 및 글라스)과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가압모듈(300)은 접착대상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연결부(321)의 신축을 통해 그 일부가 인출된 접착테이프와 교차하여 이동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접착테이프의 인출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전술한 제1방향) 및 접착대상과 평행한 방향(전술한 제2방향)으로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켜 접착테이프를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다. 5, the pressing module 300 is coupled to the moving part 330 and is mov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guide rail 103. As shown in FIG. Further, the pressing member 320 can be mov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hereto through the elongation and contra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321. Since the second guide rail 103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objects to be bonded (the panels and glass superimposed on each other described above), the pressing module 300 can mov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bject to be bonded, Some of them may move in crossing with the drawn adhesive tape. Thus, the adhesive tape can be easily pressed by moving at least a part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the first direction described above) and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bject to be bonded (the second direction described above).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테이프공급모듈(100), 파지부형성모듈(200), 가압모듈(30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의 작동과정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6 to 8, an automatic adhesive tape bond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tape supply module 100, a grip part forming module 200, and a pressing module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6 to 8 are views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automatic adhesive tape adh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테이프(C)는 테이프공급모듈(100)로부터 공급되어 말단이 파지부형성모듈(200)에 지지된다. 접착테이프(C)는 접착물질이 도포된 접착면과 그렇지 않은 비접착면을 포함하며 파지부형성모듈(200)의 핑거(210)에 형성된 부착면(도 4의 211참조)에 접착테이프(C)의 비접착면이 음압으로 부착되어 지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핑거(210)를 회동시켜 부착면(211)으로 접착테이프(C)를 가압한다.As shown in FIG. 6, the adhesive tape C is supplied from the tape supply module 100 and the distal end thereof is supported by the grip portion forming module 200. The adhesive tape C includes an adhesive surface coated with an adhesive material and a non-adhesive surface that is not adhered to the adhesive tape C (refer to 211 in Fig. 4) formed on the finger 210 of the grip portion forming module 200 Is adhered and supported at a negative pressure. In this state, the finger 210 is rotated to press the adhesive tape C onto the attachment surface 211.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핑거(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동시켜 부착면(211)으로 접착테이프(C)를 가압하고 접착테이프(C) 말단에 파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210)가 회동하여 서로 접히는 등의 방식으로 핑거(210)에 지지된 접착테이프(C)의 말단부에 접착테이프(C)의 접착면끼리 맞닿아 접힌 파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파지부형성모듈(200)은 핑거(210)를 회동시켜 파지부를 형성한 후 이를 파지하고 이동한다.As described above, at least one of the pair of fingers 210 may be rotated to press the adhesive tape C on the attachment surface 211 to form the grip portion at the end of the adhesive tape C, as described above. 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bonding surfaces of the adhesive tape C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nd portions of the adhesive tape C supported on the fingers 210 in such a manner that the fingers 210 are rotated and folded to each other to form folded grip portions can do. The grip part forming module 200 rotates the finger 210 to form a grip part, grips and moves the grip part.

파지부형성모듈(2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210) 사이에 파지부(C1)를 파지하고 이동하여 접착테이프(C)를 인출할 수 있다. 즉, 파지부형성모듈(200)의 핑거(210)로 파지부(C1)에 장력을 가하여 접착테이프(C)를 인출할 수 있다. 파지부형성모듈(200)은 제1가이드레일(102)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으며 제1가이드레일(102)의 배치는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가이드레일(102)과 제2가이드레일(103)을 서로 평행하게 배치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제1가이드레일(102)에 약간의 경사를 주어 파지부형성모듈(200)이 접착테이프(C)를 인출하면서 접착대상을 향해 접근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The grip portion forming module 200 can grasp and move the grip portion C1 between the fingers 210 to take out the adhesive tape C as shown in FIG. That is, the adhesive tape C can be taken out by applying tensile force to the grip part C1 by the finger 210 of the grip part forming module 200. [ The grip portion forming module 200 can move along the first guide rail 102 and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guide rails 102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For example, the first guide rail 102 and the second guide rail 103 may b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If necessary, the first guide rail 102 may be slightly inclined to form the grip portion forming module 200 May be formed so as to approach the object to be bonded while drawing the adhesive tape (C).

가압모듈(300)은 인출된 접착테이프(C)의 비접착면(도면 상의 인출된 접착테이프 하면)을 가압하여 반대편 접착면(도면 상의 인출된 접착테이프 상면)을 접착대상에 밀착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중첩된 판넬(A) 및 글라스(B)가 접착대상이 될 수 있고, 판넬(A) 및 글라스(B)는 컨택터(13a) 및 이송롤러(10a) 사이에 삽입되어 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가압모듈(300)은 연결부(321) 등을 신장시켜 가압부재(320)를 접착테이프(C)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승시킴으로써 접착테이프(C)를 판넬(A) 및 글라스(B)에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The pressing module 300 presses the non-adhesive surface (lower surface of the drawn adhesive tape) of the drawn adhesive tape C to adhere the opposite adhesive sur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drawn adhesive tape on the drawing) to the object to be adhered. The panel A and the glass B which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can be objects to be bonded and the panel A and the glass B are inserted between the contactor 13a and the conveying roller 10a It can be maintained in a close contact state. The pressing module 300 can easily raise the adhesive tape C to the panel A and the glass B by extending the connecting portion 321 or the like and raising the pressing member 320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dhesive tape C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가압모듈(3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대상인 판넬(A) 및 글라스(B)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며 접착테이프(C)를 부착한다. 즉, 가압모듈(300)은 접착테이프(C)와 교차하는 방향 및 접착대상과 평행한 방향으로 그 일부 또는 전체가 선택적으로 이동하며 판넬(A) 및 글라스(B) 표면에 접착테이프(C)를 효과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특히, 탄성 결합된 가압부재(320)는 판넬(A)의 절개부(A1)를 통과하면서 글라스(B) 표면을 가압할 수 있어 판넬(A) 표면과 글라스(B) 표면 모두 접착테이프(C)를 견고히 부착할 수 있다.The pressurizing module 300 mov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anel A and the glass B to be adhered and attaches the adhesive tape C as shown in Fig. That is, the pressing module 300 selectively moves the adhesive tape C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dhesive tape C a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bject to be bonded and selectively moving the adhesive tape C on the surfaces of the panels A and B, Can be effective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Particularly, the resiliently bonded pressing member 320 can press the surface of the glass B while passing through the cut portion A1 of the panel A, so that both the surface of the panel A and the surface of the glass B have the adhesive tape C Can be firmly attached.

이때, 파지부형성모듈(200)은 핑거(210)를 펼쳐 파지부(C1)를 놓아두고 원위치로 이동하여 접착대상과 테이프공급모듈(100) 사이의 접착테이프(C)를 다시 지지할 수 있다. 파지부형성모듈(200)은 전술한 것처럼 가동판(230)의 슬라이딩 이동으로 접착테이프(C)와 교차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압모듈(300)과 충돌하지 않고 우회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도 5 참조). 파지부형성모듈(200)은 경사지게 배열된 부착면(도 4의 211참조)을 이용하여 접착대상과 테이프공급모듈(100) 사이에 경사지게 연장된 접착테이프(C)를 지지하며, 부착면(211)에 음압을 제공하여 접착테이프(C)의 비접착면을 부착면(211)에 다시 고정한다.At this time, the grip part forming module 200 can unfold the finger 210 and move the grip part C1 to the original position to support the adhesive tape C between the object to be bonded and the tape supply module 100 again . The grip portion forming module 200 can move to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sect with the adhesive tape C by the sliding movement of the movable plate 230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it can bypass and return to the home position without colliding with the pressure module 300 (see FIG. 5). The grip portion forming module 200 supports an adhesive tape C extending obliquely between the object to be bonded and the tape supply module 100 using an obliquely arranged attaching surface (see 211 in FIG. 4), and the attaching surface 211 ) To fix the non-adhesive surface of the adhesive tape (C) to the adhesive surface (211) again.

이러한 상태에서 커터(220)로 접착테이프(C) 일 측을 절단한다. 커터(220)가 움직여 접착테이프(C) 일 측이 절단되면, 접착테이프(C)의 접착대상에 부착된 부분(파지부 포함)이 테이프공급모듈(100)로부터 분리된다. 가압모듈(300)은 제2가이드레일(103)을 따라 왕복하면서 분리된 접착테이프(C)의 파지부(C1)를 제외한 나머지를 판넬(A) 및 글라스(B) 표면에 보다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대상 표면에 접착테이프(C)를 자동으로 부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대상에 부착된 접착테이프(C)에는 파지부(C1)가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 등은 필요에 따라 파지부(C1)를 파지하여 부착된 접착테이프(C)를 용이하게 분리하고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접착테이프(C)는 가압모듈(300)에 의해 판넬(A) 표면과 절개부(A1)로 노출된 글라스(B) 표면 모두에 견고하고 정확하게 부착되어 판넬(A) 및 글라스(B)가 분리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In this state, one side of the adhesive tape (C) is cut with the cutter (220). When the cutter 220 is moved to cut one side of the adhesive tape C, the portion (including the grip portion) attached to the object to be bonded of the adhesive tape C is separated from the tape supply module 100. The pressurizing module 3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dhesive tape C separated while reciprocating along the second guide rail 103 is firmly adhered to the surfaces of the panels A and B except for the holding portion C1 . Thus, the adhesive tape C can be automatically attached to the surface to be bonded. As shown in the figure, the adhesive tape C attached to the object to be bonded is formed with a grip portion C1, so that the operator can grasp the grip portion C1 as needed and easily separate the attached adhesive tape C Can be removed. The adhesive tape C is firmly and accurately attached to both the surface of the panel A and the surface of the glass B exposed by the cut portion A1 by the pressing module 300 to form the panel A and the glass B, Can be effectively fixed so as not to be separa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로 접착대상을 용이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테이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onding object can be easily and efficiently taped with the adhesive tape automatic bond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도 1의 조립시스템의 작동과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ssembly system of FIG.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9는 도 1의 조립시스템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9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al process of the assembly system of FIG. 1.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시스템(2)은 판넬(A)과 글라스(B)를 조립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판넬(A)은 대차 등에 수용되어 이송레일(10)의 전단으로 공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레일(10) 전단의 로더(20)가 판넬(A)을 파지하여 진입부(11)로 진입시킬 수 있다. 판넬(A)은 이송레일(10) 내측의 이송롤러(10a)를 따라 이동하며 정렬부(12)에서 정렬된다. 정렬부(12)는 전술한 정렬바(도 2의 12a참조)를 이용하여 판넬(A)의 이동을 멈추고 정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렬된 판넬(A) 위에 글라스(B)를 중첩시켜 밀착시킨다.The assembly system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process of assembling the panel A and the glass B. [ The panel A is accommodated in a truck or the like and supplied to the front end of the conveying rail 10. The loader 20 at the front end of the conveying rail 10 can enter the entrance portion 11 by grasping the panel A as described above. The panel A moves along the conveying roller 10a inside the conveying rail 10 and is aligned in the aligning portion 12. [ The alignment unit 12 can stop and align the movement of the panel A using the above-described alignment bar (see 12a in FIG. 2). The glass (B) is superimposed on the panel (A) thus aligned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글라스(B)는 작업자에 의해 취급될 수 있으며 정렬부(12)에 정렬된 판넬(A)의 상방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첩된 판넬(A) 및 글라스(B)를 테이핑부(13)에 진입시켜 자동으로 테이핑한다. 예를 들어 정렬바(도 2의 12a) 중 판넬(A)의 이송경로에 개재된 일부를 승 하강시켜 이송경로에서 배제하는 방식으로 서로 중첩된 판넬(A) 및 글라스(B)를 테이핑부(13)에 진입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직접 서로 중첩된 상태의 판넬(A) 및 글라스(B)를 테이핑부(13)로 진입시킬 수도 있다. 판넬(A) 및 글라스(B)는 전술한 바와 같이, 테이핑부(13)에 설치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에 의해 자동으로 테이핑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로 판넬(A) 및 글라스(B) 모두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둘을 상호 고정하는 정확하고 견고한 테이핑이 가능하며, 부착된 접착테이프(도 8의 C참조)의 말단에 파지부(도 8의 C1참조)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후속하는 작업시 접착테이프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glass B can be handled by the operator and can be superimposed above the panel A aligned with the alignment part 12. [ The panel (A) and the glass (B) thus superposed are introduced into the taping section (13) and automatically taped. The panel A and the glass B which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in such a manner that a part of the alignment bar (12a in FIG. 2) of the alignment bar (12a in FIG. 2) 13). Further, the operator can directly enter the taping portion 13 with the panel A and the glass B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direct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 panel A and the glass B are automatically tapped by the automatic adhesive tape attaching apparatus 1 provided on the taping section 13 as described above. Particularly, the adhesive tape automatic attach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irmly and stably attach both the panel A and the glass B, (See C1 in Fig. 8) is formed at the end of the adhesive tape (see C).

테이핑 작업이 끝난 판넬(A) 및 글라스(B)는 테이핑부(13)로부터 배출부(14)로 배출되며 배출부(14) 후단의 언로더(30)에 의해 언로딩 된다. 이때, 예를 들어, 판넬(A)과 글라스(B)의 상호 정렬이 잘못되었거나, 테이핑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그 밖의 문제가 발견된 경우 이를 정상경로로 언로딩하지 않고 보조배출부(15)로 배출할 수 있다. 배출부(14)는 실린더 등에 연결되어 이송레일(10) 전체의 승하강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문제가 발생한 판넬(A) 및 글라스(B)는 배출부(14)의 상승에 의해 테이핑부(13) 상방에 배치된 보조배출부(15)로 배출될 수 있다. 보조배출부(15)로 배출된 문제가 있는 판넬(A) 및 글라스(B)는 작업자에 의해 신속하게 처리된다.The panel A and the glass B which have been subjected to the taping operation are discharged from the taping portion 13 to the discharge portion 14 and unloaded by the unloader 30 at the rear end of the discharge portion 14. At this time, for example, if the mutual alignment of the panel A and the glass B is wrong, the taping is not properly performed, or another problem is found, the auxiliary discharge unit 15 ). ≪ / RTI > The discharge unit 14 may be connected to a cylinder or the like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the entire transport rail 10. The problematic panel A and the glass B can be discharged to the auxiliary discharge portion 15 disposed above the taping portion 13 by the rise of the discharge portion 14. [ The panel A and the glass B which have been discharged to the auxiliary discharge unit 15 are quickly processed by the operator.

문제가 없는 판넬(A) 및 글라스(B)는 언로더(30)에 의해 배스킷 등으로 언로딩된 후 후속하는 공정에 공급되거나 다른 시설로 운반된다. 언로더(30)는 진공흡착기 등을 이용하여 판넬(A) 및 글라스(B)를 파지하고 배스킷 등에 안전하게 투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판넬(A) 및 글라스(B)를 상호 조립하고 테이핑 할 수 있으며 후속하는 공정에서 필요에 따라 테이핑 부위를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공정 전체의 효율을 높이고 제품 생산이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The problem-free panel A and the glass B are unloaded by a unloader 30 to a bath scooter or the like, and then supplied to a subsequent process or conveyed to another facility. The unloader 30 can grip the panel A and the glass B by using a vacuum adsorber or the like, and can safely put the glass A and the glass B into a bag or the lik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assemble and tap the panel A and the glass B together,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taping portion according to necessity in a subsequent process. This makes it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entire work process and to facilitate the production of the product.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이 명확하도록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별도로 언급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Hereinafter, an automatic adhesive tape adh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For the sake of clarity, portion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explanations of portions not mentioned separately will be substituted for the above descrip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의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adhesive tape adh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1)는 가압부재(320)가 롤러가 아닌 다른 형태로 형성된다. 가압부재(320)는 복수 개가 서로 나란히 배열되며 몸체(310)에 탄성 결합된다. 몸체(310)는 복수 개의 가압부재(320)를 나란히 지지할 수 있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압부재(320)는 몸체(310)에 탄성 결합된다. 몸체(310)는 가이드레일 대신 실린더(340)의 피스톤(341)과 결합되어 승강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가압모듈(300)은 복수 개의 가압부재(320)를 이용하여 접착테이프의 서로 다른 지점을 동시에 가압할 수 있다. 가압부재(320)는 인출된 접착테이프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접착테이프의 비접착면을 가압하여 반대편 접착면을 접착대상에 밀착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in the automatic adhesive tape attaching apparatus 1-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member 320 is formed in a shape other than a roller. A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320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are elastically coupled to the body 310. The body 3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capable of supporting a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320 in parallel, and the pressing member 320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body 310. The body 310 is form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by being coupled with the piston 341 of the cylinder 340 instead of the guide rail. That is, the pressing module 300 can press the different points of the adhesive tape at the same time by using the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320. The pressing member 320 moves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drawn adhesive tape and presses the non-adhesive surface of the adhesive tape to adhere the opposite adhesive surface to the object to be adhered.

한편, 커터(220)는 함체 등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돌출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터(220)는 접착테이프의 외측으로부터 접착테이프 내측으로 슬라이딩 하며 절개하는 방식이 아닌, 접착테이프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접한 양 측단부를 동시에 파단하는 방식으로 절단한다. 커터(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돌출된 첨단부가 형성되며 첨단부가 접착테이프의 접착면 또는 비접착면의 중앙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접착테이프의 내부로부터 인접한 양 측단부를 파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착면(211)의 음압노즐(211a)을 통해 제공된 음압으로 접착테이프가 부착면(211)에 공고히 부착되므로 이러한 방식으로 접착테이프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보다 효율적인 다양한 방식으로 커터(220)의 구성방식, 가압모듈(300)의 구성방식 등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Meanwhile, the cutter 220 may be formed in such a manner as to be inserted into or protruded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or the like. The cutter 220 slides from the outside of the adhesive tape to the inside of the adhesive tape and cuts in such a manner as to protrude from the center of the adhesive tape so as to simultaneously break both adjacent side end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utter 220 is formed with a projecting tip portion protruding at the center, and the tip portion is vertically protruded to the center of the adhesive surface or the non-adhesive surface of the adhesive tape to break both adjacent side ends from the inside of the adhesive tap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dhesive tape is firmly attached to the attachment surface 211 at the negative pressure provided through the negative pressure nozzle 211a of the attachment surface 211, the adhesive tape can be easily cut in this manner.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method of the cutter 220, the configuration method of the pressing module 300, and the like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in various more efficient ways.

이하,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이 명확하도록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별도로 언급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ttaching an adhesive tap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4. FIG. For the sake of clarity, portion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explanations of portions not mentioned separately will be substituted for the above descrip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ttaching an adhesive tap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2 to 14 are views showing an operation of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ttaching an adhesive tap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2)는 파지부를 파지하고 이동하여 테이프공급모듈(100)로부터 접착테이프를 인출시키는 인출모듈(400)을 포함한다. 인출모듈(400)은 제1가이드레일(102)을 따라 이동하여 접착테이프를 인출하며 파지부형성모듈(200)은 이동이 제한된다. 인출모듈(400)이 형성된 경우 파지부형성모듈(200)은 접착테이프와 교차되지 않도록 평행이동이 가능한 정도로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인출모듈(400)은 주행부(430)에 결합된 암(420) 및 암(420)에 연결된 집게부(410)를 포함하고 주행부(430)는 제1가이드레일(102)을 따라 주행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11, the automatic adhesive tape attaching apparatus 1-2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ke-out module 400 for holding and moving the grip portion and drawing the adhesive tape from the tape supply module 100, . The drawing module 400 moves along the first guide rail 102 to draw the adhesive tape, and movement of the grip forming module 200 is restricted. When the draw module 400 is formed, the grip part forming module 200 may be restricted in movement to such an extent that the grip part can be moved in parallel so as not to cross the adhesive tape. The withdrawal module 400 includes an arm 420 coupled to the travel portion 430 and a grip portion 410 connected to the arm 420 so that the travel portion 430 travels along the first guide rail 102 .

인출모듈(400)의 집게부(410)는 인출모듈(400)의 이동에 따라 핑거(210)의 부착면(211)으로 접근한다. 집게부(410)는 접철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접히거나 펼쳐지며 핑거(210)가 형성한 파지부를 파지할 수 있다. 인출모듈(400)은 집게부(410)로 파지부를 파지하여 장력을 가하고 접착테이프를 인출한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부(410)와 핑거(210)가 교차하는 핑거(210) 일 측에 홈부(210a)를 형성하여 집게부(410)가 핑거(210)의 부착면(211)으로 용이하게 접근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pulling unit 410 of the pulling module 400 approaches the attachment surface 211 of the finger 210 as the pulling module 400 moves. The gripper part 410 is foldable or foldable so that the gripper part 410 can grip the grip part formed by the finger 210. The drawing module 400 grasps the grip portion by the gripper portion 410 to apply a tension and draws the adhesive tape. In particular, as shown in the drawing, a groove 210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nger 210 where the gripper unit 410 and the finger 210 intersect and the gripper unit 410 is attached to the attachment surface 211 of the finger 210 So that it can be easily accessed.

가압모듈(300)은 복수 개의 롤러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가압부재(320)를 포함한다. 또한 적어도 일부가 수직,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가압부재(320)로 접착대상의 보다 넓은 범위를 동시에 가압하여 보다 견고히 접착테이프를 부착할 수 있다. 가압모듈(300)은 제2가이드레일(103)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330)에 연결된 승강가이드(311)와 승강가이드(311)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몸체(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압부재(320)는 몸체(310)에 탄성 결합되어 접착대상의 서로 다른 지점을 동시에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다.The pressing module 300 includes a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320 formed of a plurality of rollers. And at least a part thereof is formed so as to be movabl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herefore, the adhesive tape can be attached more firmly by simultaneously pressing a wider range of the object to be bonded with the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320. The pressurizing module 300 may include an elevating guide 311 connected to the traveling part 330 traveling along the second guide rail 103 and a body 310 coupled to the elevating guide 311 so as to be able to ascend and descend . The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320 are elastically coupled to the body 310 so that different points of the object to be bonded can be easily pressed simultaneously.

한편, 테이프공급모듈(100)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가압모듈(300)과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되며 접착테이프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절한다. 프레임(101)에는 전술한 제1가이드레일(102)과 제2가이드레일(103) 외에 제3가이드레일(104) 및 제4가이드레일(105)이 형성된다. 제3가이드레일(104)은 제1가이드레일(102) 및 제2가이드레일(103)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4가이드레일(105)은 프레임(101)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테이프공급모듈(100)은 제3가이드레일(104)을 따라 움직이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tape supply module 100 is movably formed to change the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pressing module 300 and to adjust the tension applied to the adhesive tape. The frame 101 is formed with a third guide rail 104 and a fourth guide rail 105 in addition to the first guide rail 102 and the second guide rail 103 described above. The third guide rail 104 is form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guide rail 102 and the second guide rail 103 and the fourth guide rail 105 is relatively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ame 101 It can be formed short. The tape supply module 100 is formed to move along the third guide rail 104. [

테이프공급모듈(100)은 제3가이드레일(104)을 따라 주행하는 가동블록(120)을 포함할 수 있다. 가동블록(120)의 일 측에 권취구조(예를 들어 축이나 드럼 등)가 형성되어 접착테이프(C)가 롤 형태로 감겨 고정되는 테이프공급모듈(100)을 구현할 수 있다. 가이드롤러(110)는 가동블록(120)에 배치되어 가동블록(120)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파지부형성모듈(200)은 제4가이드레일(105)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가동판(230) 위에 형성되며 가동판(230)에 결합된 핑거(210)를 포함한다. 핑거(210) 일 측에는 커터(220)가 결합된다. 이때, 커터(220)의 위치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하여 이해할 필요는 없다. 접착테이프를 절단하기 용이한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방식으로 커터(220)를 형성할 수 있다.The tape supply module 100 may include a movable block 120 that travels along the third guide rail 104.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tape supply module 100 in which a winding structure (e.g., a shaft or a drum)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ovable block 120 so that the adhesive tape C is rolled and fixed. The guide roller 110 is disposed in the movable block 120 and can move together with the movable block 120. [ The grip portion forming module 200 includes fingers 210 formed on a movable plate 230 movably coupled to the fourth guide rail 105 and coupled to the movable plate 230. A cutter 22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nger 210. At this time,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cutter 220 are illustrative and need not be understood as limited as shown. The cutter 220 can be formed in various ways at various positions where the adhesive tape can be easily cut.

파지부형성모듈(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측으로 이동하여 인출된 접착테이프와 교차하거나 교차가 해제된다. 예를 들어, 가동판(230)이 제4가이드레일(105)을 따라 프레임(101) 쪽으로 이동하면 핑거(210)를 포함하는 파지부형성모듈(200)의 위치가 바뀌어 접착테이프와의 교차가 해제된다. 따라서, 접착테이프는 가압모듈(300)과 테이프공급모듈(100) 사이에 개재되고 가압모듈(300)과 테이프공급모듈(100) 상호간의 움직임에 의해 접착테이프에 가해지는 장력이 조절된다. 특히, 가압모듈(30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제3가이드레일(104) 상의 테이프공급모듈(100) 위치를 가변시켜 접착테이프의 장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The grip portion forming module 200 moves to one side as described above and intersects or is released from the adhesive tape pulled out. For example, when the movable plate 230 is moved toward the frame 101 along the fourth guide rail 105, the position of the grip part forming module 200 including the finger 210 is changed, Is released. Therefore, the adhesive tape is interposed between the pressing module 300 and the tape supplying module 100, and the tension applied to the adhesive tape by the movement between the pressing module 300 and the tape supplying module 100 is adjusted. Particularly, the position of the tape supply module 100 on the third guide rail 104 can be changed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pressing module 300, so that the tension of the adhesive tape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이하,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의 작동과정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adhesive tape adh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4. FIG.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12 to 14 are views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automatic adhesive tape adh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테이프(C)는 테이프공급모듈(100)로부터 공급되어 말단이 파지부형성모듈(200)에 지지된다. 접착테이프(C)는 파지부형성모듈(200)의 핑거(210)에 형성된 부착면(도 11의 211참조)에 비접착면이 음압으로 부착되어 지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핑거(210)를 회동시켜 부착면(211)으로 접착테이프(C)를 가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210)가 회동하여 서로 접히는 등의 방식으로 핑거(210)에 지지된 접착테이프(C)의 말단부에 접착테이프(C)의 접착면끼리 맞닿아 접힌 파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인출모듈(4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형성모듈(200)로 이동하여 파지부를 파지하고 접착테이프(C)에 장력을 가한다.As shown in FIG. 12, the adhesive tape C is supplied from the tape supply module 100 and the distal end thereof is supported by the grip portion forming module 200. The adhesive tape C is attached to the attachment surface (refer to 211 in Fig. 11) formed on the finger 210 of the grip portion formation module 200 by adhering the non-adhesive surface with a negative pressure. In this state, the finger 210 is rotated to press the adhesive tape C onto the attachment surface 211. As shown in the figure, the bonding surfaces of the adhesive tape C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nd portions of the adhesive tape C supported on the fingers 210 in such a manner that the fingers 210 turn and fold each other, have. The drawing module 400 moves to the grip part forming module 200 to grasp the grip part and apply tension to the adhesive tape C as shown in the figure.

인출모듈(40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부(410) 사이에 파지부(C1)를 파지하고 이동하여 접착테이프(C)를 인출한다. 즉, 파지부형성모듈(200) 대신 인출모듈(400)로 파지부(C1)에 장력을 가하여 접착테이프(C)를 인출할 수 있다. 인출모듈(400)은 제1가이드레일(102)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으며 제1가이드레일(102)의 배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출된 접착테이프(C)의 비접착면을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모듈(300)로 가압한다. 이때 파지부형성모듈(200)은 제4가이드레일(105)을 따라 프레임(101) 측으로 이동하여 접착테이프(C)와 교차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된다. 즉 집게부(410)가 파지부(C1)를 파지한 직후, 파지부형성모듈(200)은 음압제공을 중단하거나 감소시켜 접착테이프(C)를 분리하고 도 13이 도시된 평면 안쪽 방향으로 이동(도 13 200에 'in'으로 표시함)하여 접착테이프(C)의 인출이 방해되지 않도록 위치를 변경한다.The drawing module 400 grasps and moves the grip portion C1 between the grippers 410 as shown in FIG. That is, tension can be applied to the grip portion C1 by the pull-out module 400 instead of the grip portion forming module 200, and the adhesive tape C can be pulled out. The drawing module 400 can move along the first guide rail 102 and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guide rail 102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s necessary. The non-adhesive surface of the adhesive tape C thus drawn out is pressed by the pressing module 300 as shown. At this time, the grip part forming module 200 moves toward the frame 101 along the fourth guide rail 105 and is moved to a position where it does not intersect the adhesive tape C. That is, immediately after the gripper unit 410 grasps the grip unit C1, the grip unit forming module 200 stops or reduces the supply of sound pressure to separate the adhesive tape C, and moves in the in- (Indicated by "in" in FIG. 13, 200) to change the position so that the drawing of the adhesive tape C is not disturbed.

가압모듈(300)은 이와 같이 인출된 접착테이프(C)의 비접착면(도면 상의 인출된 접착테이프 하면)을 가압하여 반대편 접착면(도면 상의 인출된 접착테이프 상면)을 접착대상에 밀착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중첩된 판넬(A) 및 글라스(B)가 접착대상이 될 수 있다. 가압모듈(300)은 승강가이드(311)를 따라 접착테이프(C)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몸체(310)를 상승시킴으로써 접착테이프(C)를 판넬(A) 및 글라스(B)에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The pressurizing module 300 presses the non-adhesive surface (lower surface of the drawn adhesive tape) of the thus-pulled adhesive tape C to adhere the opposite adhesive surface (upper surface of the drawn adhesive tape on the drawing) to the object to be bonded. As described above, the panel A and the glass B, which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can be bonded. The pressing module 300 raises the body 310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adhesive tape C along the elevation guide 311 to easily adhere the adhesive tape C to the panel A and the glass B .

가압모듈(30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대상인 판넬(A) 및 글라스(B)와 평행하게 이동하며 접착테이프(C)를 부착한다. 즉, 전술한 것처럼 가압모듈(300)은 접착테이프(C)와 교차하는 방향 및 접착대상과 평행한 방향으로 그 일부 또는 전체가 선택적으로 이동하며 판넬(A) 및 글라스(B) 표면에 접착테이프(C)를 효과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특히, 복수 개의 가압부재(320)로 판넬(A) 및 글라스(B)의 서로 다른 지점을 동시에 가압하여 접착테이프(C)를 매우 신속하게 부착할 수 있고, 가압모듈(300)의 이동에 따라 복수 개의 가압부재(320)가 동일지점을 중복 가압하여 보다 견고하게 접착테이프(C)를 부착할 수 있다.The pressing module 300 moves in parallel with the panel A and the glass B to be adhered and attaches the adhesive tape C as shown in Fig.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pressing module 300 selectively moves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adhesive tape C a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bject to be adhered, and adheres to the surface of the panel A and the glass B, (C) can be effective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Particularly, the adhesive tape C can be attached very quickly by simultaneously pressing different points of the panel A and the glass B with the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320, and by the movement of the pressing module 300 The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320 can press the same point more than once to attach the adhesive tape C more firmly.

이때 파지부형성모듈(200)은 다시 원위치로 이동하여 접착대상과 테이프공급모듈(100) 사이의 접착테이프(C)를 지지한다. 파지부형성모듈(200)은 제4가이드레일(105)을 따라 도 14가 도시된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도 14 200에 'out'으로 표시함)하여 인출된 접착테이프(C)와 다시 교차된다. 파지부형성모듈(200)은 경사지게 배열된 부착면(도 11의 211참조)을 이용하여 접착대상과 테이프공급모듈(100) 사이에 경사지게 연장된 접착테이프(C)를 지지하며, 부착면(211)으로 음압을 제공하여 접착테이프(C)의 비접착면을 부착면(211)에 다시 고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rip part forming module 200 moves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to support the adhesive tape C between the object to be bonded and the tape supply module 100. The grip portion forming module 200 moves along the fourth guide rail 105 in a direction protruding from the plane shown in FIG. 14 (indicated by 'out' in FIG. 14 200) Cross again. The grip portion forming module 200 supports an adhesive tape C extending obliquely between the object to be bonded and the tape supply module 100 using an obliquely arranged attachment surface (see 211 in FIG. 11), and the attachment surface 211 ), So that the non-adhesive surface of the adhesive tape (C) can be fixed again to the attaching surface (211).

커터(220)가 움직여 접착테이프(C) 일 측이 절단되면, 접착테이프(C)의 파지부(C1)가 형성되고 접착대상에 부착된 부분이 테이프공급모듈(100)로부터 분리된다. 가압모듈(300)은 제2가이드레일(103)을 따라 왕복하면서 분리된 접착테이프(C)의 파지부(C1)를 제외한 나머지를 접착대상인 판넬(A) 및 글라스(B) 표면에 보다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인출모듈(400)은 가압모듈(300)이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고 충돌 위험이 해소되면 제1가이드레일(102)을 따라 다시 파지부형성모듈(200)로 접근할 수 있다.When the cutter 220 is moved to cut one side of the adhesive tape C, the grip portion C1 of the adhesive tape C is formed and the portion attached to the object to be bonded is separated from the tape supply module 100. [ The pressurizing module 3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adhesive tape C separated while reciprocating along the second guide rail 103 is firmly attached to the surfaces of the panel A and the glass B to be adhered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pressing module 300 descends and returns to the home position and the risk of collision is eliminated, the drawing module 400 can approach the holding part forming module 200 along the first guide rail 102 again.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접착대상 표면에 접착테이프(C)를 자동으로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역시, 도시된 것처럼 접착대상에 부착된 접착테이프(C)에 파지부(C1)가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 등은 필요에 따라 파지부(C1)를 파지하여 부착된 접착테이프(C)를 용이하게 분리하고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접착테이프(C)는 가압모듈(300)에 의해 판넬(A) 표면과 절개부(A1)로 노출된 글라스(B) 표면 모두에 견고하고 정확하게 부착되어 판넬(A) 및 글라스(B)가 분리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접착대상을 판넬과 글라스로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접착대상이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공정에 적용되어 이와 다른 또 다른 접착대상을 테이핑하는 데 용이하게 사용 가능하다.In this way, the adhesive tape C can be automatically attached to the surface to be bonded. In this case also, as shown in the figure, the grip portion C1 is formed on the adhesive tape C attached to the object to be bonded, so that the operator can grasp the grip portion C1 and attach the attached adhesive tape C And can be removed and removed. The adhesive tape C is firmly and accurately attached to both the surface of the panel A and the surface of the glass B exposed by the cut portion A1 by the pressing module 300 to form the panel A and the glass B, Can be effectively fixed so as not to be separat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to be bonded is exemplified by the panel and the glass. However, the object to be bonded need not be so limited,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other processes, It is easy to use.

이하,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이 명확하도록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별도로 언급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Hereinafter, an automatic adhesive tape adhesive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5 and 16. FIG. For the sake of clarity, portion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explanations of portions not mentioned separately will be substituted for the above descrip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의 작동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파지부형성모듈의 핑거 및 핑거와 독립된 커터를 따로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5 is an operational view of an automatic adhesive tape attac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tter independent of fingers and fingers of the grip forming module of FIG.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1-3)는 커터(220)가 파지부형성모듈(200)의 핑거(210)와 분리되어 형성된다. 커터(220)는 첨단부가 핑거(210)의 부착면(211)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되며 부착면(21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커터(220)는 프레임(101) 등의 일 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커터(220)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고정암(221)에 고정되고, 커터고정암(221)은 슬라이딩구동부(222)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슬라이딩구동부(222)는 리니어 가이드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슬라이딩구동부(222)에 연결된 커터고정암(221)이 커터(220)와 함께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15 and 16, the automatic adhesive tape attaching apparatus 1-3 according to the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utter 220 is separated from the finger 210 of the grip forming module 200 do. The cutter 220 is formed to be slidable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attachment surface 211 and aligned in a direction toward the attachment surface 211 of the tip portion finger 210. Specifically, the cutter 220 can be slid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rame 101 or the like. The cutter 220 is fixed to the cutter fixing arm 221 as shown in FIGS. 15 and 16, and the cutter fixing arm 221 is connected to the sliding driver 222 to be slidably movable. The slider driving unit 222 may be formed of a linear guide or the like and the cutter fixing arm 221 connected to the slider driving unit 222 slides together with the cutter 220.

특히, 커터(220)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경로에 절단받침부(213)를 형성하여 접착테이프(도 15의 C참조)의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절단받침부(213)는 부착면(211)에 부착된 접착테이프를 커터(220)의 반대편에서 지지하되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220)의 첨단부는 내부로 통과시키는 관통공(213a)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절단받침부(213)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210)의 일 측에 관통공(213a)을 포함하는 고리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핑거(210)의 일부를 포함하는 형태 등으로 절단받침부(213)를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커터(220)의 첨단부를 내부로 통과시키는 관통공(213a)을 핑거(210)의 부착면(211)에 형성하여 관통공(213a)과 핑거(210) 일부로 이루어진 절단받침부(213)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접착테이프를 커터(220) 반대편에서 지지하되 커터(220)의 첨단부는 내부로 통과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된 다양한 구조로 절단받침부를 형성할 수 있다.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form the cutting support portion 213 in the movement path along which the cutter 220 slides and to easily cut the adhesive tape (see C in FIG. 15). The cutting support portion 213 supports the adhesive tape attached to the attachment surface 211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utter 220 and has a through hole 213a for passing the tip portion of the cutter 220 into the inside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The cutting support portion 213 may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including a through hole 213a on one side of the finger 210 as shown in FI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cutter receiving portion 213 may be formed in a form including a part of the finger 210. [ For example, a through hole 213a through which the tip portion of the cutter 220 passes may be formed on the attachment surface 211 of the finger 210 to form a through hole 213a and a cutting support portion 213 may be formed. That is, the cutting support portion can be formed in various structures in which the adhesive tape is suppor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utter 220,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to allow the tip portion of the cutter 220 to pass therethrough.

이와 같이 형성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220)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접착테이프(C)를 가압함으로써 접착테이프(C)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특히, 접착테이프(C)를 커터(220)의 반대편에서 지지하는 절단받침부(213)를 이용하여 커터(220)에 의해 가압되는 접착테이프(C)가 커터(220)의 가압력에 대응하는 반력을 받아 용이하게 절단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커터(220)의 첨단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절단받침부(213)의 관통공(도 16의 213a참조)을 통과하게 되므로 접착테이프(C)와 교차되며 접착테이프(C) 일 측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형성모듈(200)은 판넬(A)을 향해 연장된 제5가이드레일(106)에 결합되어 핑거(210)를 포함하는 모듈 전체의 상하 방향 위치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핑거(210) 일 측에 형성된 절단받침부(213)와 커터(220)의 위치 및 관통공(213a)과 커터(220)의 위치를 보다 정확히 정렬하고 접착테이프(C)가 용이하게 절단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15, the cutter 220 slides and presses the adhesive tape C, so that the adhesive tape C can be easily cut. Particularly, the adhesive tape C, which is pressed by the cutter 220 by using the cutter receiving portion 213 that supports the adhesive tape C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utter 220, So that it can be easily cut. At this time, the leading end portion of the cutter 22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see 213a in FIG. 16) of the cut receiving portion 213 as described above, so that it crosses the adhesive tape C and facilitates one side of the adhesive tape C Can be cut. 15, the grip portion forming module 200 is coupled to the fifth guide rail 106 extending toward the panel A so that the entire module including the finger 210 is vertically positioned And the like. The position of the cutter receiving portion 213 and the cutter 220 formed on one side of the finger 210 and the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213a and the cutter 220 are more accurately aligned and the adhesive tape C is easily cut As shown in FIG.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2: 조립시스템
10: 이송레일 10a: 이송롤러
11: 진입부 12: 정렬부
12a: 정렬바 13: 테이핑부
13a: 컨택터 14: 배출부
15: 보조배출부 20: 로더
30: 언로더 40: 팬필터유닛
100: 테이프공급모듈 101: 프레임
102: 제1가이드레일 103: 제2가이드레일
104: 제3가이드레일 105: 제4가이드레일
106: 제5가이드레일 110: 가이드롤러
120: 가동블록 200: 파지부형성모듈
210: 핑거 210a: 홈부
211: 부착면 211a: 음압노즐
212: 회동모터 213: 절단받침부
213a: 관통공 220: 커터
221: 커터고정암 222: 슬라이딩구동부
230: 가동판 240, 330, 430: 주행부
300: 가압모듈 310: 몸체
311: 승강가이드 320: 가압부재
321: 연결부 340: 실린더
341: 피스톤 400: 인출모듈
410: 집게부 420: 암
A: 판넬 A1: 절개부
B: 글라스 C: 접착테이프
C1: 파지부
1: automatic adhesive tape 2: assembly system
10: Feed rail 10a: Feed roller
11: entry portion 12: alignment portion
12a: alignment bar 13: taping part
13a: Contactor 14:
15: auxiliary discharge unit 20: loader
30: Unloader 40: Fan filter unit
100: tape supply module 101: frame
102: first guide rail 103: second guide rail
104: third guide rail 105: fourth guide rail
106: fifth guide rail 110: guide roller
120: movable block 200: grip part forming module
210: finger 210a:
211: attachment surface 211a: negative pressure nozzle
212: Rotation motor 213: Cutting support part
213a: Through hole 220: Cutter
221: cutter fixing arm 222: sliding driving part
230: movable plates 240, 330, 430:
300: pressure application module 310: body
311: lifting guide 320: pressing member
321: connection part 340: cylinder
341: Piston 400: Drawing module
410: clamping unit 420: arm
A: Panel A1:
B: Glass C: Adhesive tape
C1:

Claims (15)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접착테이프가 외주부에 감겨 고정되는 롤러 형태의 테이프공급모듈;
상기 테이프공급모듈로부터 공급된 접착테이프의 비접착면에 음압으로 부착되는 부착면을 포함하며 회동하여 서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한 쌍의 핑거, 상기 부착면으로 개구된 적어도 하나의 음압노즐, 및 상기 핑거의 사이에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면으로 접착테이프를 가압하여 접착테이프의 말단에 접착테이프의 접착면끼리 맞닿아 접힌 파지부를 형성하는 파지부형성모듈;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제1가이드레일;
일 측에 상기 파지부를 파지하는 집게부가 형성되고, 상기 집게부는 상기 핑거와 상기 홈부에서 교차되어, 상기 집게부로 상기 파지부를 파지하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테이프공급모듈로부터 접착테이프를 인출시키는 인출모듈;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제2가이드레일;
상기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 및
상기 주행부와 결합된 몸체, 상기 몸체에 연결된 가압부재, 및 상기 몸체와 상기 가압부재를 연결하며 신축이 가능한 연결부를 포함하여, 인출된 접착테이프의 비접착면을 상기 가압부재로 가압하여 반대편 접착면을 접착대상에 밀착시키는 가압모듈을 포함하는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frame;
A tape supply module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and configured to roll the adhesive tape around the outer periphery thereof;
A pair of fingers which are folded or unfolded and which include a mounting surface which is adhered to the non-adhesive surface of the adhesive tape supplied from the tape supply module with negative pressure, at least one negative pressure nozzle which is opened to the mounting surface, A grip portion forming module for pressing the adhesive tape against the attachment surface to form a folded grip portion that abuts against the adhesive surfaces of the adhesive tape at the ends of the adhesive tape;
A first guide rail formed on the frame;
And a gripping portion for gripping the gripping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ripping portion, the gripping portion intersects the finger and the groove portion to grip the gripping portion with the gripping portion, moves along the first guide rail, A fetch module for fetching a tape;
A second guide rail formed on the frame;
A traveling part traveling along the second guide rail; And
A non-adhesive surface of the drawn-out adhesive tape is pressed by the pressing member so as to be adhered to the opposite surface of the body, a pressing member connected to the body,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body and the pressing member, And a pressure module for pressing the surface of the adhesive tape against the object to be adher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모듈은 적어도 일부가 접착테이프의 인출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 및 접착대상과 평행한 제2방향으로 이동하며 접착테이프를 가압하는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sing module moves in a first direction at least a part of which intersects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and in a second direction parallel to the object to be bonded, and presses the adhesive t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가압모듈의 접착테이프와 접하는 단부에 탄성적으로 결합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sing member is resiliently coupled to an end portion of the pressing module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t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공급모듈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가압모듈과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되며 접착테이프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절하는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ape supply module is movably formed to change a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pressing module and to adjust the tension applied to the adhesive t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형성모듈은 일 측으로 평행 이동하여 접착테이프와 교차되거나 교차가 해제되는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ip portion forming module is moved in parallel to one side to intersect with or release the adhesive t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공급모듈로부터 공급된 접착테이프의 일 측을 절단하여 상기 테이프공급모듈에서 분리하는 커터를 더 포함하는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utter for cutting one side of the adhesive tape supplied from the tape supply module and separating the adhesive tape from the tape supply modu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첨단부가 접착테이프의 접착면 또는 비접착면의 중앙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접착테이프의 내부로부터 인접한 양 측단부를 파단하는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utter is vertically protruded at the center of the adhesive surface or the non-adhesive surface of the adhesive tape so as to break the adjacent both side ends from the inside of the adhesive tap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첨단부가 상기 파지부형성모듈의 상기 부착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되며 상기 부착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된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utter has a tip portion aligned in a direction toward the attachment surface of the grip portion forming module and slidable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attachment surfa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면에 부착된 접착테이프를 상기 커터의 반대편에서 지지하되 상기 커터의 첨단부는 내부로 통과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된 절단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 cutting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adhesive tape adhered to the attachment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utter, the through-hole allowing the tip portion of the cutter to pass therethrough.
이송레일; 및
상기 이송레일 일 측에 배치된 제1항, 및 제7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접착테이프자동부착장치를 포함하는 조립시스템.
Conveying rail; And
The assembly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ich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nveying rail, and an automatic adhesive tape adher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4.
KR1020160103312A 2016-08-12 2016-08-12 Automatic adhesive tape attachment device and assembly system having the same KR1018309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312A KR101830933B1 (en) 2016-08-12 2016-08-12 Automatic adhesive tape attachment device and assembly system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312A KR101830933B1 (en) 2016-08-12 2016-08-12 Automatic adhesive tape attachment device and assembly system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216A KR20180018216A (en) 2018-02-21
KR101830933B1 true KR101830933B1 (en) 2018-02-22

Family

ID=61386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312A KR101830933B1 (en) 2016-08-12 2016-08-12 Automatic adhesive tape attachment device and assembly system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93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725B1 (en) * 2019-08-22 2020-01-15 에이티시스템 주식회사 Apparatus for tap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323B1 (en) * 2020-07-16 2022-01-20 김규철 support tape attachment device
CN114379101B (en) * 2021-12-30 2023-09-08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Automatic adhesive tape device for mounting automobile windshield glas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1386B2 (en) * 1994-02-23 1999-07-19 日立電子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Tape stick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1386B2 (en) * 1994-02-23 1999-07-19 日立電子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Tape stick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725B1 (en) * 2019-08-22 2020-01-15 에이티시스템 주식회사 Apparatus for tap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216A (en)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933B1 (en) Automatic adhesive tape attachment device and assembly system having the same
WO2020113704A1 (en) Automatic film pasting device
CN110416624B (en) Battery cell pairing method
KR101695607B1 (en) Web-splicing device
KR20110131075A (en) Robot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rocessed product
CN104843258A (en) Method for tearing off films wrapping plate
CN110416625B (en) Battery cell pairing method
KR101827204B1 (en) Apparatus for unwinding and supplying sheet from sheet-roll
EP4108582A2 (en) Opening system of packaging box
CN110803365A (en) Automatic assembling equipment for production and processing of protection plates
CN110588133A (en) Full-automatic laminating production equipment
EP3435145B1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film from a display device
KR20180092264A (en) Method for bonding adhesive tape, apparatus for bonding adhesive tape,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dhesive tape
JP4914022B2 (en) Glass substrate transfer equipment
JP6789018B2 (en) Long body connection device and connection method
CN107738793A (en) Patch material device
CN112172297A (en) Flexible OLED cover plate attaching and assembling equipment
JP4070760B2 (en) Corrugated cardboard opening device
JP2021048378A (en) Sheet sticking apparatus and sheet sticking method
WO2006123508A1 (en) Brittle member processing apparatus
CN110255271B (en) Insulation film assembling and attaching equipment
CN210116974U (en) Intelligent glass assembling equipment
JP2001287868A (en) Sheet peeling device and plate member feeding system using it
KR101136511B1 (en) Connecting apparatus for a coil type steel plate
TW202030092A (en) Film laminating machine providing an integrated automatic operation, such as film taking, pressing, cutting and tearing, and collecting the waste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