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825B1 -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825B1
KR101830825B1 KR1020150153857A KR20150153857A KR101830825B1 KR 101830825 B1 KR101830825 B1 KR 101830825B1 KR 1020150153857 A KR1020150153857 A KR 1020150153857A KR 20150153857 A KR20150153857 A KR 20150153857A KR 101830825 B1 KR101830825 B1 KR 101830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ead
strip
electrode plat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2006A (ko
Inventor
류상범
김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트라스비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트라스비엑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트라스비엑스
Priority to KR1020150153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825B1/ko
Publication of KR20170052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6Lead-acid accumulators
    • H01M10/12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125Cells or batterie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6Lead-acid accumulators
    • H01M10/12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128Processes for forming or storing electrodes in the battery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4Electrodes for lead-acid accumulators
    • H01M4/16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22Forming of electrodes
    • H01M4/23Drying or preserving electrodes after for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납축전지의 과충전에 대한 기판의 부식을 억제시키고, 기판의 저항을 줄여 전기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재료는 주석칼슘합금 재료를 이용하고 납축전지의 기판 소재를 공급하기 위한 스트립을 제조하는 단계와, 스탬프드 기판(Stamped Grid) 제조 공정을 통하여 상기 스트립을 펀칭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기판을 형성하여 양극판 및 음극판을 제조하여, 납축전지의 사용기간 동안 우수한 출력성능과 긴 사용수명을 유지할 수 있는 대형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ldad-acid battery for prevent power failure}
본 발명은 대형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납축전지의 과충전에 대한 기판의 부식을 억제시키고, 기판의 저항을 줄여 전기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재료는 주석칼슘합금 재료를 이용하고 납축전지의 기판 소재를 공급하기 위한 스트립을 제공하는 단계와, 스탬프드 기판(Stamped Grid) 제조 공정을 통하여 상기 스트립을 펀칭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기판을 형성하여 양극판 및 음극판을 제조하여, 납축전지의 사용기간 동안 우수한 출력성능과 긴 사용수명을 유지할 수 있는 대형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무정전전원장치에 장착되는 배터리로 대부분 납축전지를 사용한다. 각각 이산화납(PbO2)과 해면상(海綿狀)납(Pb)으로 구성된 양극과 음극 간의 전위 차를 이용하여 전류 흐름을 형성하여 평상시에는 무정전전원장치는 대기 상태로 운전되다가 전기가 끊어졌을 경우, 즉시 무정전전원장치에 전기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무정전전원장치는 평상시에는 납축전지를 재충전하여 추후 정전 시를 대비한다. 이러한 방전과 충전 과정을 반복하는 동안 납축전지는 지속적으로 노화를 일으켜 수명의 한계를 보이게 된다. 납축전지의 수명은 방전심도, 무정전전원장치 운전온도, 충전전류의 적정성, 납축전지의 설계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산업용, 자동차용으로 사용되는 납축전지는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이다. 이는 전해액으로서 희황산(H2SO4)이 사용되고, 극판의 활물질로서 양극(+)에 이산화납(PbO2)을, 음극(-)에 해면상(海綿狀)납(Pb)을 도포하여, 외부회로에 연결하면 전기가 흐르면서 그 양극(+)과 음극(-)의 활물질이 황산납(PbSO4)으로 변화(방전)되고, 반대로 외부에서 전류를 흘려주면 그 황산납이 다시 이산화연(+)과 해면상납(-)으로 변화(충전)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은, 제조기법에 따라 여러 가지 형식의 것이 있는데, 그 중의 한 예로서 도 2는 본 발명의 대상으로 하는 페이스트(paste)식 전극의 구조를 보인 것이다. 이는 기판과 그 위에 도포된 페이스트상의 활물질로 이루어진 것이다. 기판은 기계적 강도를 강화하기 위해 칼슘(Ca)을 소량 첨가한 납합금으로서, 통상 용융합금을 주형에 부어 중력식으로 주조하거나 연속압연공법으로 주조를 한다(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0-0031876 참조). 활물질은 축전지 성능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부분으로서 미세한 분말상태의 산화납을 묽은 황산수용액과 혼합한 페이스트상의 것을 도포기에서 그 기판상에 연속적으로 도포하여 숙성과 건조 그리고 전기적으로 산화, 환원시키는 화성공정을 거쳐 제조된다(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250866 및 10-0266133 참조). 양극판의 활물질인 이산화납(PbO2)은 산화된 납의 미립자가 무수히 많이 결합되어 있으며 다공성이 풍부하여 입자간을 전해액이 자유로이 확산, 침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음극판의 활물질인 해면상납(海綿狀鉛) 역시 다공성과 반응성이 풍부하여 전해액이 자유로이 확산, 침투하도록 된 것이다.
보통 대형 무정전전원장치에 사용되는 납축전지의 기판 제조 공정은 중력주조(Casting)방식이 이용되어 왔다.
중력주조 방식은 납물을 기판 몰드(Mold)에 부어 식힌 후 몰드로부터 분리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기판은 낱장으로 구성되며 기판을 구성하는 와이어 내에 큰 기공을 가지게 되어 납축전지에서 기판 부식을 빨리 가져올 수 있는 원인을 제공하기 때문에 제조 시, 납축전지의 사용기간을 감안하여 기판의 두께를 두껍게 제조하며 중력주조공법상 납의 흐름이 중요하기 때문에 제한된 수평수직 와이어 패턴을 가질 수밖에 없으며, 기판 몰드와 기판을 분리시키려면 주기적으로 몰드를 코팅해 주어야만 하는 작업의 어려움 때문에 생산성이 증가하지 못하는 단점들이 있었다.
이러한 중력주조방식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자동차용 납축전지에서는 압착된 스트립(Strip)을 찢어 늘리어 기판을 만드는 방법으로서 연속적인 스트립이 공급되면 이에 따라 기판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중력주조방식보다 월등한 생산성을 가지는 익스펜디드 방식이 보편화 되었다.
하지만, 대형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에서 상기 익스펜디드 방식으로 만들어진 기판을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들을 발견하였는데, 연속적으로 익스펜디드 방식으로 생산하는 기판은 제한적인 다이아몬드 패턴을 제공하며, 좌우 프레임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평상시에도 전류가 계속 투입되는 대형 무정전전원장치의 충전시스템에서 기판의 좌, 우가 성장하여 쇼트(Short)를 발생시켜 수명이 종료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0-0031876호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50866호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266133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형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의 양극판 및 음극판의 부식 방지 및 기판의 좌, 우가 성장하여 쇼트가 발생하는 현상 방지를 위하여 높은 주석함량(약1.90wt%)을 가지는 내부식성 주석칼슘합금을 사용하고, 기판의 스트립(Strip) 제조 시 압하율을 5:1 이상으로 압연을 실시하여 기판 미세조직의 치밀화를 기할 수 있도록 스트립을 제조하며, 상기 스트립을 가지고 펀칭 가공하여 스탬프드 기판(Stamped Grid)을 제공함으로써 좌, 우 프레임을 보유한 기판을 제조함으로써 기판의 성장을 억제하여 쇼트를 방지할 수 있는 대형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형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는 내부식성 주석칼슘합금을 사용하여 연속으로 스트립(Strip)을 제조하고, 상기 스트립은 미세조직을 치밀화 하기 위하여 압하율을 5:1이상으로 압연을 실시하여 제조된 스트립(Strip)을 펀칭 가공 공정인 스탬프드 기판(Stamped Grid) 제조 공법을 통하여 연속으로 기판을 사용함으로써 내부식성 및 기판 성장 억제가 가능하게 구성함을 동시에 납축전지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식성에 강한 주석칼슘합금을 사용하여 압하율을 5:1이상으로 압연하여 제조한 스트립(Strip)을 사용하여 펀칭 가공 공정인 스탬프드 기판(Stamped Grid)제조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한 기판을 사용함으로써 대형 무정전전원장치용으로 사용되는 납축전지의 기판 부식 및 기판 성장에 의한 쇼트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무정전전원장치의 사용환경에서 우수한 출력성능과 긴 사용수명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연속적으로 기판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단속 제조 공법인 중력주조공법보다 납축전지의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대형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전개 사시도이다.
도 2는 중력주조 공법으로 제조된, 대형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에 사용되는 양극 기판 또는 음극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형태의 스탬프드 기판 제조 공법을 사용한 양극 기판 또는 음극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일반적인 대형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형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한 것이며, 그 기술적인 요지를 이탈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전조(400)와 상기 전조(400)에 결합하려는 카바(500)을 구비하는 대형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A)의 전개 사시도 이다. 단자(310, 320)가 카바(500)의 상부 표면에 돌출되어 있다. 대표적인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양극 단자(310)와 음극단자(320)로 구성된다.
전조(400) 내부 공간 내에는 양극판(120)과 음극판(140)이 교대로 배치되어 구성된 극판군(100)이 제공되어 있다. 양극판(120)과 음극판(140)은 유리섬유매트 격리판(150)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양극판(120)과 음극판(140)의 스트랍(200)과 결합되어 있다. 그런 다음, 양극 스트랍(200)은 양극 단자(310)에, 음극 스트랍(200)은 음극 단자(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2는 종래기술인 중력주조 공법으로 제조된, 대형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A)에 사용되는 양극 기판(110) 또는 음극 기판(130)의 평면도이다.
중력주조 방식은 납물을 기판 몰드(Mold)에 부어 식힌 후 몰드로부터 분리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기판(110, 130)은 낱장으로 구성되며 기판(110, 130)을 구성하는 와이어 내에 큰 기공을 가지게 되어 대형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A)에서 기판(110, 130) 부식을 빨리 가져올 수 있는 원인을 제공하기 때문에 제조 시, 대형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A)의 사용기간을 감안하여 기판(110, 130)의 두께를 두껍게 제조함으로써 과다한 소재비용이 투입된다.
또한 중력주조공법 상 납의 흐름이 중요하기 때문에 제한된 수평수직 와이어 패턴을 가질 수밖에 없으며, 기판 몰드와 기판(110, 130)을 분리시키려면 주기적으로 몰드를 코팅해 주어야만 하는 작업의 어려움 결과, 낮은 생산성을 나타낼 수 밖에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형태의 스탬프드 기판 제조 공법을 사용한 양극 기판(110) 또는 음극 기판(130)의 평면도로서, 중력주조 공정으로 기판(110, 130)을 형성하는 대신, 주석칼슘합금을 사용하여, 연속된 스트립을 제조하고, 상기 스트립을 가지고 연속으로 프레스 및 프레스 금형을 통과시키면서 스트립의 필요치 않은 부분을 제거하여 도 3에 도시한 기판(110, 130)형태를 형성하는 연속 스탬프드 기판 제조 공정으로 기판(110, 130)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모두가 주석칼슘합금을 사용하여, 연속된 스트립을 제조하고, 상기 스트립을 가지고 연속 펀칭 기술인 스탬프드 기판 제조 공정으로 제조된, 양극판(120) 및 음극판(140) 또는 양극 기판(110) 및 음극 기판(130)을 사용하여 대형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A)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방식으로 기판(110, 130)을 제조하는 방법이 갖고 있는 하나의 유리한 특징은, 중력주조 공정에서 기판(110, 130)을 제조할 때에 필요로 하는 주석칼슘합금 소재보다도 적은 소재를 사용하여 기판(110, 130)을 제조할 수 있다. 그 결과, 상술한 바와 같은 기판을(110, 130)을 사용함으로써 중량 및 주석칼슘합금 소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의 대형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A)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일반적인 대형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A)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대표적인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먼저 기판 주조 공정(S221)은 열원공급장치로부터 열을 받아 고온의 상태에 있는 납 용해로에 칼슘합금연이 용융되어 납용해로에서 기판의 형상을 제조하는 중력주조기로 공급되어 낱장의 기판(110, 130)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상술한 공정과는 별도로 활물질이 제조되는 바, 활물질은 연분기에 연괴(鉛塊)를 투입하여 연분기의 회전력과 마찰력에 의해 Pb와 Pb0로 구성된 작은 입자의 연분(鉛粉)을 제조하는 연분 제조 공정(S210)과 Pb와 Pb0로 구성된 연분에 물 및 황산 기타 첨가제를 투입하여 진흙같은 활물질을 제조하는 혼합 공정(S211)을 거쳐 제조된다. 즉 극판 활물질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납가루에 음극판 또는 양극판용 배합 첨가제를 혼합시켜 활물질이 제조된다.
도포 공정(S230)은 기판(110, 120)이 다시 도포기(Paster)를 거쳐 기판(110, 130)에 활물질이 도포되어 도포 극판(120, 140)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숙성공정(s240)은 상기 도포 극판(120, 140)을 일정 시간 동안의 숙성과 건조 과정을 통해서 도포 극판(120, 140) 중의 수분과 Pb%를 감소시켜 차후 공정인 화성공정(S260)을 용이하게 하는 공정으로 절단된 도포 극판이 조립극판으로 되는 공정이다.
조립 공정(S250)은 조립극판을 전조에 넣어서 덮개가 미융착된 축전지를 조립하는 공정이다.
화성 공정(S260)은 조립된 납축전지에 전해액의 황산을 주액 후 통전하여 극판의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를 변환함으로써 극판에 전기를 충전하는 공정으로 피니싱 공정(S270)에서 덮개가 미융착된 축전지에 완성 비중 조정 및 덮개 융착하고, 포장공정(S280)에서 라벨을 축전지에 부착하고, 박스에 집어 넣어서 포장을 하면 대형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A)가 완성된다.
도 5은 본 발명의 대형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의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 4에서 제시한 일반적인 대형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를 제조하는 과정과 달리, 주석칼슘합금을 사용하여, 연속된 스트립을 제조하고, 상기 스트립을 가지고 연속 펀칭 기술인 스탬프드 기판 제조 공정으로 제조된, 양극판(120) 및 음극판(140) 또는 양극 기판(110) 및 음극 기판(130)을 제조하여 절단하는 공정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표적인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먼저 스트립 공정(S210)에서 열원공급장치로부터 열을 받아 고온의 상태에 있는 납 용해로에 주석칼슘합금연이 용융되어 납용해로에서 유출되어 폭이 200mm 내지 310mm이내이며, 두께는 0.6mm 내지 2.0mm로 하여 각각의 와인더에 코일처럼 권선되어 코일형 스트립이 성형되는 공정이다.
이 때 기판 미세조직의 최밀화를 위하여 스트립(strip) 제조 시 5:1 이상 12:1 이하의 압하율로 압연을 실시하여 구성한다.
또한 본 일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주석칼슘합금의 성분은 주석; 1.3wt% 이상, 칼슘; 0.05 내지 0.10wt%, 안티몬; 0.002wt% 미만, 구리; 0.003wt% 미만, 비스무트: 0.02wt%미만, 은: 0.005wt% 미만 및 잔여함량은 납으로 이루어지는 납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탬프드 기판(Stamped Grid) 제조 공정(S223)은 상기 코일형 스트립이 코일러로부터 이탈되어 스트립 언코일러에 장착되고, 언코일러의 회전에 따라 다음에 설치된 프레스로 유입된다. 이 때 프레스 내부에는 대형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A)에 사용할 기판(110, 130)의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프레스 금형이 설치된다. 상기 프레스 내부 프레스 금형으로 100mm 내지 200mm 이내의 한 수치의 피치(Pitch)로 스트립이 통과되면서 스트립의 필요치 않은 부분을 제거하여 기판(110, 130)의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형성된 기판(110, 130)은 후공정의 생산성 및 작업의 용이성을 위하여 연속 펀칭을 실시하여 구성한다.
도포 공정(S230)은 기판(110, 130)이 다시 도포기(Paster)를 거쳐 기판에 활물질이 도포되어 도포 극판(120, 140)을 제조하는 공정이고, 절단 공정(S231)은 상기 도포 극판(120, 140)이 극판 디바이더를 거쳐 일정 폭으로 절단된 도포 극판(120, 140)이 되는 공정이다.
숙성공정(s240)은 상기 도포 극판(120, 140)을 일정 시간 동안의 숙성과 건조 과정을 통해서 도포 극판(120, 140) 중의 수분과 Pb%를 감소시켜 차후 공정인 화성공정(S260)을 용이하게 하는 공정으로 절단된 도포 극판이 조립극판으로 되는 공정이다.
조립 공정(S250)은 조립극판을 전조에 넣어서 덮개가 미융착된 축전지를 조립하는 공정이다.
화성 공정(S260)은 조립된 납축전지에 전해액의 황산을 주액 후 통전하여 극판의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를 변환함으로써 극판에 전기를 충전하는 공정으로 피니싱공정(S270)에서 덮개가 미융착된 축전지에 완성 비중 조정 및 덮개 융착하고, 포장공정(S280)에서 라벨을 축전지에 부착하고, 박스에 집어 넣어서 포장을 하면 대형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A)가 완성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또한, 청구항 부호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형상과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한정한다는 뜻이 아니다.
A: 대형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
100 : 극판군
110 : 양극 기판
120 : 양극판
130: 음극 기판
140: 음극판
150: 유리섬유매트 격리판
200: 스트랍
310: 양극 단자
320: 음극 단자
400: 전조
500: 카바

Claims (6)

  1.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연분제조공정(s210)과;
    상기 제조된 연분을 혼합하는 혼합공정(s211)과;
    각각의 와인더에 코일처럼 권선되어 코일형 스트립이 성형되는 스트립공정(s222)과;
    상기 코일형 스트립을 프레스 금형으로 스트립의 필요치 않은 부분을 제거하여 스탬프드 기판(Stamped Grid)의 형태로 형성시키는 기판(110, 130) 제조 공정(S223)과;
    상기 기판(110, 130)이 도포기(Paster)를 거쳐 기판에 활물질이 도포되어 도포 극판(120, 140)이 제조되는 도포 공정(S230)과;
    상기 도포 극판(120, 140)이 극판 디바이더를 거쳐 일정 폭으로 절단된 도포 극판(120, 140)을 제조하는 절단 공정(S231)과;
    상기 도포 극판(120, 140)을 일정 시간 동안의 숙성과 건조 과정을 통해서 도포 극판(120, 140) 중의 수분과 Pb%를 감소시키는 숙성공정(s240)과;
    조립극판을 전조에 넣어서 덮개가 미융착된 축전지를 조립하는 조립 공정(S250)과;
    조립된 납축전지에 전해액의 황산을 주액 후 통전하여 극판의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를 변환함으로써 극판에 전기를 충전하는 화성 공정(S260)과;
    덮개가 미융착된 축전지에 완성 비중 조정 및 덮개를 융착시키는 피니싱공정(s270)과;
    포장공정(s280)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와인더에 코일처럼 권선되어 코일형 스트립이 성형되는 스트립공정(s222)에서 기판 미세조직의 최밀화를 위하여 스트립(strip) 제조 시 5:1 이상 12:1 이하의 압하율로 압연을 실시하여 폭이 200mm 내지 310mm이내이며 두께는 0.6mm 내지 2.0mm이내에서 연속으로 스트립을 제조하며, 상기 스트립을 구성하는주석칼슘의 합금의 성분은 주석; 1.3~2.3wt%과, 칼슘; 0.05~0.10wt%, 안티몬; 0.002wt% 미만, 구리; 0.003wt% 미만, 비스무트: 0.02wt%미만, 은: 0.005wt% 미만 및 잔여함량은 납으로 이루어지는 납합금을 사용하고,

    상기 코일형 스트립을 프레스 금형으로 스트립의 필요치 않은 부분을 제거하여 기판(110, 130)의 형태로 형성시키는 스탬프드 기판(Stamped Grid) 제조 공정(S223)에서, 내부 프레스 금형으로 100mm 내지 200mm의 피치(Pitch)로 스트립이 통과되면서 스트립의 필요치 않은 부분이 제거되어 기판(110, 130)의 형태를 형성하는 연속 펀칭 가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153857A 2015-11-03 2015-11-03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의 제조방법 KR101830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857A KR101830825B1 (ko) 2015-11-03 2015-11-03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857A KR101830825B1 (ko) 2015-11-03 2015-11-03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006A KR20170052006A (ko) 2017-05-12
KR101830825B1 true KR101830825B1 (ko) 2018-02-21

Family

ID=58740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857A KR101830825B1 (ko) 2015-11-03 2015-11-03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8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3950A1 (ja) 2018-06-27 2020-01-02 Smc株式会社 鋼材の突合せ溶接継手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76634B1 (ko) * 2021-03-25 2022-03-22 (주)마루엘앤씨 이차전지의 음극용 리튬 증착장치 및 증착방법
CN113258177B (zh) * 2021-05-06 2022-07-26 风帆有限责任公司 耐振动蓄电池及制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4676A (ja) * 2006-09-27 2008-04-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キスパンド正極格子用圧延鉛合金シートおよび鉛蓄電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4676A (ja) * 2006-09-27 2008-04-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キスパンド正極格子用圧延鉛合金シートおよび鉛蓄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006A (ko) 2017-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2190B2 (en) Lead-based alloy and related processes and products
US20230121023A1 (en) Continuous manufacture ofa nickel-iron battery
JP5325358B1 (ja) 電池用極板及びその製造方法、該極板を有する極板群並びに鉛蓄電池
KR101830825B1 (ko) 무정전전원장치용 납축전지의 제조방법
EP2613397A2 (en) Automobile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e plates
JP6385368B2 (ja) コーティングされた鉄電極及びこの鉄電極を製造する方法
Wagner Positive active-materials for lead–acid battery plates
JP5050564B2 (ja) 鉛蓄電池の正極又は負極用集電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鉛蓄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518201B (zh) 铅蓄电池
JPWO2019088040A1 (ja) 鉛蓄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鉛蓄電池
US2880258A (en) Method of making negative electrodes for electric batteries
JP2008084676A (ja) エキスパンド正極格子用圧延鉛合金シートおよび鉛蓄電池
JP5088666B2 (ja) 鉛蓄電池、鉛蓄電池の集電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069123A (ja) 鉛蓄電池用打ち抜き格子、鉛蓄電池用正極、及びそれを用いた鉛蓄電池
CN203491336U (zh) 铅蓄电池
CN110649228B (zh) 一种蓄电池极板
JP5600940B2 (ja) 鉛電池
JP2012174561A (ja) 正極格子基板、この正極格子基板を用いた極板及びこの極板を用いた鉛蓄電池
US3355325A (en) Battery plate manufacture
Rand Lead—acid traction batteries for electric road vehicle propulsion—directions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JP2009259725A (ja) 鉛蓄電池
CN110943204A (zh) 一种长寿命、低能耗、高效率、低成本的新型蓄电池
JP2009200020A (ja) 鉛蓄電池
CN102034984A (zh) 一种适合于高效率放电的铅酸蓄电池板栅
JP2009064563A (ja) 鉛蓄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