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184B1 - 미디어 장치 - Google Patents

미디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184B1
KR101830184B1 KR1020110082864A KR20110082864A KR101830184B1 KR 101830184 B1 KR101830184 B1 KR 101830184B1 KR 1020110082864 A KR1020110082864 A KR 1020110082864A KR 20110082864 A KR20110082864 A KR 20110082864A KR 101830184 B1 KR101830184 B1 KR 101830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standby mode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odul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0309A (ko
Inventor
박상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2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184B1/ko
Publication of KR20130020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디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장치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무선 통신 모듈과, 입력되는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는 제어부와, 무선 통신 모듈과 제어부 사이를 연결하며, 제어부가 스탠바이 모드인 상태에서, 외부기기로부터 매직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인터럽트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무선으로 전원이 온 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미디어 장치{Media apparatus}
본 발명은 미디어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으로 전원 온이 가능한 미디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디어 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 또는 오디오를 처리하는 장치이다. 사용자는 미디어 장치를 통하여 직접 영상을 시청하거나, 미디어 장치에 접속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를 통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으로 전원이 온 될 수 있는 미디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되는 전환 모드시에도 안정적으로 무선으로 전원이 온 될 수 있는 미디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장치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무선 통신 모듈과, 입력되는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는 제어부와, 무선 통신 모듈과 제어부 사이를 연결하며, 제어부가 스탠바이 모드인 상태에서, 외부기기로부터 매직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인터럽트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장치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무선 통신 모듈과, 입력되는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는 제어부와,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제어부 사이를 연결하며, 제어부가 액티브 모드에서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는 전환 모드인 상태에서, 외부기기로부터 매직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반복되는 인터럽트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장치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무선 통신 모듈과, 입력되는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는 제어부와, 무선 통신 모듈과 제어부 사이를 연결하며, 제어부가 액티브 모드에서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는 전환 모드인 상태에서, 외부기기로부터 매직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전환 모드 기간 동안 일정 레벨의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다가 스탠바이 모드로 진입시 인터럽트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가 스탠바이 모드인 상태에서, 외부기기로부터 매직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무선 통신 모듈에서 발생된 인터럽트 신호를 제1 연결부를 통해 제어부로 전송함으로써, 제어부를 액티브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미디어 장치를 간편하게 무선으로 전원 온 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스탠바이 모드 종료시, 즉 액티브 모드에서, 무선 통신 모듈과 제어부 사이에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가 액티브 모드에서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는 전환 모드인 상태에서, 외부기기로부터 매직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무선 통신 모듈에서 발생된 반복되는 인터럽트 신호를 제1 연결부를 통해 제어부로 전송함으로써, 제어부를 액티브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되는 전환 모드시에도 미디어 장치를 안정적으로 전원 온 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가 액티브 모드에서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는 전환 모드인 상태에서, 외부기기로부터 매직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무선 통신 모듈에서 발생된 일정 레벨의 신호를 제1 연결부를 통해 제어부로 전송하다가, 스탠바이 모드로 진입시 인터럽트 신호를 제1 연결부를 통해 제어부로 전송함으로써, 제어부를 액티브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되는 전환 모드시에도 미디어 장치를 안정적으로 전원 온 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장치를 포함하는 간략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1 연결부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와 제어부의 동작의 일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제1 연결부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와 제어부의 동작의 다른 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제1 연결부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와 제어부의 동작의 다른 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제1 연결부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와 제어부의 동작의 다른 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제1 연결부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와 제어부의 동작의 다른 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장치를 포함하는 간략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장치(100)는, 무선으로 다른 전자기기와 접속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네트워크 무선 공유기(200)를 통해, 동일 네트워크 내에, 미디어 장치(100), 휴대 단말기(300), 컴퓨터(400)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미디어 장치(100) 내에 무선 통신 모듈이 구비된 상태에서, 동일 네트워크 내의 휴대 단말기 등 또는 다른 네트워크 상에 놓여 있는 휴대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미디어 장치(100)의 전원을 온 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미디어 장치(100)는 스탠바이 모드로 진입한 상태이여야 하며, 스탠바이 모드인 상태에서, 미디어 장치(100)로 매직 패킷(Magic packet)이 수신되는 것으로 한다.
무선 통신 모듈은 다양한 통신 방식의 수행이 가능하며, 그 중에서 특히 무선 랜(Wireless LAN) 방식인 경우, 이를 WOWL (Wake on Wireless LAN)이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한 미디어 장치의 전원 온 시키는 방식에 대해, 무선 랜을 이용한 WOWL 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장치는, 미디어 재생 가능한 장치로서, 광학 디스크 재생 장치, 예를 들어, 블루레이 재생 장치 또는 DVD 재생 장치일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장치는, 영상표시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TV, 휴대 단말기, 노트북 등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장치는,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기기는 모두 가능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조리기기 등 가전 기기를 비롯하여 각 종 전자기기가 모두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미디어 장치(100)로서, 광학 디스크 재생 장치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미디어 장치(10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무선 통신 모듈(135), 제1 연결부(145), 제2 연결부(155), 제어부(170), 및 전원 공급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무선으로 접속된 외부 장치(19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TV, 모니터, 휴대 단말기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내의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35)은, 미디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35)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내의 다른 전자기기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35)은, 무선 랜(Wireless LAN)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또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45)는, 무선 통신 모듈(135)과 제어부(170) 사이를 연결하며, 제어부(170)가 스탠바이 모드인 상태에서, 외부기기로부터 매직 패킷(magic packet)이 수신되는 경우, 인터럽트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등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1 연결부(145)는, 미디어 장치(100)가 전원 오프되어,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로 진입하는 경우, 특히, 미디어 장치(100) 내의 제어부(170)가 스탠바이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스탠바이 모드 정보를 제어부(170)에서 무선 통신 모듈(135)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미디어 장치(100) 내의 제어부(170)가 스탠바이 모드가 종료되어,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진입하는 경우, 스탠바이 모드 종료 정보 또는 액티브 모드 정보를 제어부(170)에서 무선 통신 모듈(135)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부(145)는, 무선 통신 모듈(135)과 제어부(170) 사이를 연결하며, 제1 연결부(145)는, 미디어 장치(100)가 전원 오프되어,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로 진입하는 경우, 특히, 미디어 장치(100) 내의 제어부(170)가 액티브 모드에서 스탠 바이 모드로 전환하는 전환 모드(transition mode)인 상태에서, 외부기기로부터 매직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반복되는 인터럽트 신호를 제어부(170)에서 무선 통신 모듈(135)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 등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때 제1 연결부(145)는, 전환 모드 정보 및 스탠바이 모드 정보를 제어부(170)에서 무선 통신 모듈(135)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미디어 장치(100) 내의 제어부(170)가 스탠바이 모드가 종료되어,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진입하는 경우, 스탠바이 모드 종료 정보 또는 액티브 모드 정보를 제어부(170)에서 무선 통신 모듈(135)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부(145)는, 무선 통신 모듈(135)과 제어부(170) 사이를 연결하며, 제1 연결부(145)는, 미디어 장치(100)가 전원 오프되어,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로 진입하는 경우, 특히, 미디어 장치(100) 내의 제어부(170)가 액티브 모드에서 스탠 바이 모드로 전환하는 전환 모드(transition mode)인 상태에서, 외부기기로부터 매직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전환 모드 기간 동안 일정 레벨의 신호를 제어부(170)에서 무선 통신 모듈(135)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결부(145)는, 스탠 바이 모드로 진입시 인터럽트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 등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제2 연결부(155)는, 스탠 바이 모드가 종료된 상태에서 무선 통신 모듈(135)과 제어부(170) 사이에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35)에서 비디어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 등이 수신되는 경우, 제2 연결부(155)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2 연결부(155)는, USB 기반의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즉, USB 기반의 통신방식에 의해, 데이터가 무선 통신 모듈(135)과 제어부(170)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가 시스템 온 칩(SOC)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170)와 무선 통신 모듈(135)은, 각각 USB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단자는, 제2 연결부(155)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145)는, 제2 연결부(155)와 데이터 통신 방식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145)는, GPIO(General Purpose Input / Output) 기반의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즉, GPIO 기반의 통신방식에 의해, 인터럽트가 무선 통신 모듈(135)에서 제어부(17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가 시스템 온 칩(SOC)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170)와 무선 통신 모듈(135)은, 각각 GPIO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단자는, 제1 연결부(145)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제2 연결부(155)와, 매직 패킷 수신시, 인터럽트 전송을 제1 연결부(145)를 별도로 구비하는 경우, 미디어 장치(100)가 스탠바이 모드로 진입시, 제1 연결부(155)는 동작 상태를 유지하나, 제2 연결부(155)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연결부(155)에는 전원이공급되지 않으므로, 스탠바이 모드시, 전원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17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무선 통신 모듈(135)을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를 신호 처리한다. 또한, 신호 처리된 영상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무선 통신 모듈(135)로 전송하여, 외부 기기 또는 네트워크로 전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에 입력되는 데이터가 스트림인 경우,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이 외부 기기에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외부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이 외부 기기에서 출력되는 데 사용되도록, 오디어 출력부를 구비한 외부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미디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장치(100)에서 전원 온(power on)되는 경우, 전원 공급부(195)에서 각 동작 전원이 각 모듈(130,135,170)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를 액티브 모드(active mode)라 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장치(100)에서 전원 오프(power off)되는 경우, 각 모듈(130,135,170)에는 대기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부(145)에는 전원이 공급되고, 제2 연결부(155)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를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라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미디어 장치(100)에서 전원 오프(power off)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즉, 액티브 모드에서 스탠 바이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스탠바이 모드 정보를 무선 통신 모듈(135)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미디어 장치(100)에서 다시 전원 온 (power on)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즉, 스탠 바이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스탠바이 모드 종료 정보 또는 액티브 모드 정보를 무선 통신 모듈(135)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액티브 모드에서 스탠 바이 모드로 전환되는 도중의 전환 모드인 경우, 전환 모드 정보를 무선 통신 모듈(135)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미디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5)는, 액티브 모드(active mode)인 경우, 각 동작 전원을 각 모듈(130,135,17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5)는,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인 경우, 각 대기 전원을 각 모듈(130,135,170)로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오디오 처리부(315),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무선 통신 모듈(135)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315)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315)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330)는, 미디어 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미디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무선 통신 모듈(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외부 기기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미디어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제1 연결부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와 제어부의 동작의 일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미디어 장치(100), 특히 제어부(170)에 파워 오프(power off) 신호가 제1 시점(T1)에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액티브 모드에서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한다. 스탠바이 모드에서, 각 모듈(130,135,170)에는 대기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145)에 흐르는 신호(S1)는,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변경되게 된다.
한편, 무선 통신 모듈(135)이 외부기기로부터 매직 패킷을 제2 시점(T2)에 수신하는 경우, 무선 통신 모듈(135)은, 인터럽트 신호(Si)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1 연결부(145)는, 인터럽트 신호(Si)를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도면에서는, 인터럽트 신호(Si)가, 매직 패킷 수신시,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전환되는 신호인 것을 예시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인터럽트 신호(Si)를 수신하고, 바로 스탠바이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각 모듈(130,135,170)에는 동작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액티브 모드, 즉 스탠바이 모드가 종료된 상태에서, 제2 연결부(155)에는 전원이 공급되며, 특히, 무선 통신 모듈(135)과 제어부(170) 사이의 데이터 교환이 필요한 경우, 제2 연결부(155)를 통해 데이터 교환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기 또는 컴퓨터 등과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매직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무선 통신 모듈(135)에서 발생된 인터럽트 신호를 제1 연결부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송함으로써, 제어부(170)를 액티브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미디어 장치(100)를 간편하게 무선으로 전원 온 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탠바이 모드에서, 각 모듈에 대기 전원이 공급되며, 특히, 제2 연결부(155)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스탠바이 모드에서 전원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2의 제1 연결부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와 제어부의 동작의 다양한 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도 4와 비교하여, 제어부(170)에 파워 오프(power off) 신호가 제1 시점(T1)에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바로 액티브 모드에서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되지 못할 수 있다. 이는, 제어부(170) 내의 동작을 종료하기 위해, 소정 시간이 소모되기 때문이며, 이와 같이, 액티브 모드에서 스탠 바이 모드로 전환하는 중간 구간을 전환 모드(transition mode) 구간이라 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시점(T1)과 제3 시점)T3) 사이를 전환 모드 구간으로 예시한다.
이러한 전환 모드 구간 이후에, 즉, 제2 시점(T2)에, 무선 통신 모듈(135)이 외부기기로부터 매직 패킷을 제2 시점(T2)에 수신하는 경우, 도 4와 동일하게, 무선 통신 모듈(135)은, 인터럽트 신호(Si)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1 연결부(145)는, 인터럽트 신호(Si)를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제어부(170)는, 이러한 인터럽트 신호(Si)를 수신하고, 바로 스탠바이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각 모듈(130,135,170)에는 동작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다음, 도 6은, 도 5와 비교하여, 제어부(170)에 파워 오프(power off) 신호가 제1 시점(T1)에 입력되고, 제1 시점(T1)과 제5 시점(T5) 사이의 전환 모드 구간 중에, 특히 제4 시점(T4)에 무선 통신 모듈(135)이 외부기기로부터 매직 패킷을 수신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경우, 무선 통신 모듈(135)은, 제4 시점(T4)에 인터럽트 신호(Si)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터럽트 신호(Si)는 제1 연결부(145)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달된다. 이때 제어부(170)는, 전환 모드 구간으로서, 제어부(170) 내의 동작을 종료하는 중이므로, 인터럽트 신호(Si)에도 불구하고, 바로 액티브 모드로 전환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7과 같이 반복되는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도 8과 같이, 스탠 바이 모드 종료 시점에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한다.
도 7은, 도 6과 유사하게, 제어부(170)에 파워 오프(power off) 신호가 제1 시점(T1)에 입력되고, 제1 시점(T1)과 제6 시점(T6) 사이의 전환 모드 구간 중에, 특히 제4 시점(T4)에 무선 통신 모듈(135)이 외부기기로부터 매직 패킷을 수신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경우, 무선 통신 모듈(135)은, 제어부(170)로부터 현재 전환 모드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제4 시점(T4)부터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복수의 인터럽트 신호(Si1~Si4)를 생성한다.
한편, 무선 통신 모듈(135)은, 전환 모드가 종료된 경우, 제어부(170)로부터 스탠 바이 모드로 진입하였음을 나타내는 스탠 바이 모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35)은, 스탠바이 모드로 진입한 이후까지, 인터럽트 신호를 반복하여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인터럽트 신호(Si1~Si4)는 제1 연결부(145)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다. 복수의 인터럽트 신호(Si1~Si4) 중 제1 인터럽트 신호 내지 제3 인터럽트 신호(Si1~Si3)는, 전환 모드 구간 내의 인터럽트 신호로서, 제어부(170) 내의 동작을 종료하는 중이므로, 인터럽트 신호에도 불구하고, 바로 액티브 모드로 전환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복수의 인터럽트 신호(Si1~Si4) 중 제4 인터럽트 신호(Si4)는, 스탠바이 모드 구간 내의 인터럽트 신호로서, 제어부(170)가 스탠 바이 모드이므로,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바로 액티브 모드로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미디어 장치를 안정적으로 전원 온 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액티브 모드, 즉 스탠바이 모드가 종료된 상태에서, 제2 연결부(155)에는 전원이 공급되며, 특히, 무선 통신 모듈(135)과 제어부(170) 사이의 데이터 교환이 필요한 경우, 제2 연결부(155)를 통해 데이터 교환이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도 7과 유사하게, 제어부(170)에 파워 오프(power off) 신호가 제1 시점(T1)에 입력되고, 제1 시점(T1)과 제6 시점(T6) 사이의 전환 모드 구간 중에, 특히 제4 시점(T4)에 무선 통신 모듈(135)이 외부기기로부터 매직 패킷을 수신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경우, 무선 통신 모듈(135)은, 제어부(170)로부터 현재 전환 모드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일정 레벨을 유지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도면에서는, 전환 모드 구간 중에, 하이 레벨을 유지하는 신호를 예시한다.
한편, 무선 통신 모듈(135)은, 전환 모드가 종료된 경우, 제어부(170)로부터 스탠 바이 모드로 진입하였음을 나타내는 스탠 바이 모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35)은, 스탠바이 모드로 진입한 이후, 일정 레벨 신호의 생성을 중단하고, 인터럽트 신호(Si)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럽트 신호(Si)는 제1 연결부(145)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 전달된 인터럽트 신호(Si)는, 스탠바이 모드 구간 내의 인터럽트 신호로서, 제어부(170)가 스탠 바이 모드이므로,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바로 액티브 모드로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미디어 장치를 안정적으로 전원 온 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액티브 모드, 즉 스탠바이 모드가 종료된 상태에서, 제2 연결부(155)에는 전원이 공급되며, 특히, 무선 통신 모듈(135)과 제어부(170) 사이의 데이터 교환이 필요한 경우, 제2 연결부(155)를 통해 데이터 교환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장치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미디어 장치의 동작방법은 미디어 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4)

  1.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무선 통신 모듈;
    입력되는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는 제어부;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제어부 사이를 연결하며, 스탠바이 모드 정보 및 액티브 모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탠바이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매직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스탠바이 모드가 종료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제어부 사이에서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스탠바이 모드 및 상기 액티브 모드에서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스탠바이 모드에서 상기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상기 액티브 모드에서 상기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스탠바이 모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매직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바이 모드 정보는, 상기 제1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GPIO 기반의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2 연결부는,
    USB 기반의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는,
    상기 제어부가 스탠바이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매직 패킷 수신시,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전환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장치.
  6.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무선 통신 모듈;
    입력되는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는 제어부;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제어부 사이를 연결하며, 전환 모드 정보, 스탠바이 모드 정보, 및 액티브 모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액티브 모드에서 상기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는 상기 전환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매직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반복되는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스탠바이 모드가 종료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제어부 사이에서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전환 모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환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매직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매직 패킷이 수신된 시점부터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복수의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전환 모드가 종료된 경우,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스탠바이 모드 정보를 수신하고, 스탠바이 모드로 진입한 이후까지,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반복하여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복되는 복수의 인터럽트 신호 중, 상기 스탠바이 모드 중의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스탠바이 모드 및 상기 액티브 모드에서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스탠바이 모드에서 상기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상기 액티브 모드에서 상기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모드 정보 또는 상기 스탠바이 모드 정보는, 상기 제1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GPIO 기반의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2 연결부는,
    USB 기반의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장치.
  11.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무선 통신 모듈;
    입력되는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는 제어부;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제어부 사이를 연결하며, 전환 모드 정보, 스탠바이 모드 정보 및 액티브 모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액티브 모드에서 상기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는 상기 전환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매직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전환 모드 기간 동안 일정 레벨의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다가 상기 스탠바이 모드로 진입시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스탠바이 모드가 종료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제어부 사이에서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전환 모드 정보 및 상기 스탠바이 모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환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매직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매직 패킷이 수신된 시점부터 전환 모드 기간 동안 일정 레벨의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전환 모드가 종료된 경우, 상기 제어부로부터 스탠바이 모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탠바이 모드로 진입한 이후, 상기 일정 레벨의 신호 생성을 중단하고, 상기 스탠바이 모드 기간 동안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탠바이 모드 기간 내의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스탠바이 모드 및 상기 액티브 모드에서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스탠바이 모드에서 상기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상기 액티브 모드에서 상기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장치.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모드 정보 및 상기 스탠바이 모드 정보는, 상기 제1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GPIO 기반의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2 연결부는,
    USB 기반의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장치.



KR1020110082864A 2011-08-19 2011-08-19 미디어 장치 KR101830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864A KR101830184B1 (ko) 2011-08-19 2011-08-19 미디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864A KR101830184B1 (ko) 2011-08-19 2011-08-19 미디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309A KR20130020309A (ko) 2013-02-27
KR101830184B1 true KR101830184B1 (ko) 2018-02-21

Family

ID=47898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864A KR101830184B1 (ko) 2011-08-19 2011-08-19 미디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18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5501B2 (ja) * 2003-06-25 2008-06-0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コンピュータ装置、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無線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電源投入方法、フレーム聴取方法、フレーム送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5501B2 (ja) * 2003-06-25 2008-06-0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コンピュータ装置、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無線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電源投入方法、フレーム聴取方法、フレーム送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309A (ko)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0484B2 (en) Content transmission apparatus, content playback system,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nd program
CN102098465B (zh) 一种多媒体电视多遥控器操作系统及其操作方法
JPWO2009101804A1 (ja) 省電力システム
US20140222234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the same
JP2007184858A (ja) 画像表示システム
JP2014522146A (ja) 低消費スタンバイモードの終了および関連する機器のための方法
JP2019208355A (ja) 電源モード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JP2014011793A (ja) オーディオ信号再生のための無線オーディオ/ビデオシステム及びそれを制御するための制御方法
JP2011109536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
KR20090020897A (ko) 외부기기의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되는 무선 영상시스템,무선 영상수신기 및 무선 영상시스템 제어방법
JP2011076135A (ja) 電源制御装置、電子機器および電源制御方法
US20070268403A1 (en) Power Sav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KR102659487B1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830184B1 (ko) 미디어 장치
JP2010045536A (ja) 無線通信装置
US20160301973A1 (en)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method for driving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CN102595080B (zh) 多进程模式下传输无线音频的tv系统
US20120133843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system
US11150702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70037305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663519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외부의 av 장치로 출력중에도 다른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30037334A (ko) 미디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8735240A (zh) 声音播放方法、装置、存储介质和终端
JP2012034190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30091753A (ko) 백채널들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들 및 주변 장치들을 제어 및 구성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