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487B1 -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487B1
KR102659487B1 KR1020190092656A KR20190092656A KR102659487B1 KR 102659487 B1 KR102659487 B1 KR 102659487B1 KR 1020190092656 A KR1020190092656 A KR 1020190092656A KR 20190092656 A KR20190092656 A KR 20190092656A KR 102659487 B1 KR102659487 B1 KR 102659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unit
processor
electronic device
disconnect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4494A (ko
Inventor
김진호
김덕남
심상우
윤석언
함철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2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487B1/ko
Priority to US16/899,895 priority patent/US11284351B2/en
Priority to EP20847803.2A priority patent/EP3954105B1/en
Priority to CN202080051529.XA priority patent/CN114175692A/zh
Priority to PCT/KR2020/008087 priority patent/WO2021020734A1/en
Publication of KR20210014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3Termination or inactivation of sessions, e.g. event-controlled end of session
    • H04L67/145Termination or inactivation of sessions, e.g. event-controlled end of session avoiding end of session, e.g. keep-alive, heartbeats, resumption message or wake-up for inactive or interrupted sess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1Adding application-functional data or data for application control, e.g. adding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04L69/161Implementation details of TCP/IP or UDP/IP stack architecture; Specification of modified or new header fields
    • H04L69/162Implementation details of TCP/IP or UDP/IP stack architecture; Specification of modified or new header fields involving adaptations of sockets based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04L69/163In-band adaptation of TCP data exchange; In-band control proced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2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in packet switch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5Maintenance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6Transport layer protocols, e.g. TCP [Transport Control Protocol] over wire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Power Source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정상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 변경 정보를 수신하면, 통신부의 연결 해제에 따른 동작을 스킵하도록 설정하고, 정상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진입하며, 대기 모드에서, 통신부로부터 연결 해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연결 해제에 따른 동작을 스킵하고, 통신부로부터 연결 해제 정보 수신에 후속하여, 제2 동작 모드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대기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전환하고, 정상 모드에서, 통신부의 연결 해제에 따른 동작을 스킵하도록 하는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워 오프 시에도, 파워 온 패킷을 수신하여, 파워 온 동작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은 TV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스마트폰, PC, 자동차, 냉장고, 세탁기, 시계 등 모든 사물(예를 들어, 전자 장치 등)이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것을 의미하며, 사물인터넷을 이용하면 복수개의 전자 장치들이 데이터를 주고 받고 이를 처리해 자동으로 구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집 밖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집안에 있는 TV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사물인터넷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 사물인터넷 기능이 탑재된 전자 장치는 일반적으로 IoT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해당 통신 세션을 통해 전자 장치/서버 간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사물 인터넷 기능을 가지는 전자 장치가 파워 오프된 후, 파워-온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에 있어서, 네트워크 링크의 다운/업 이벤트에 따라, TCP 세션이 종료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정상적으로 파워-온 패킷을 수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파워 오프 상태에서, 파워 온 패킷을 정상적으로 수신하여, 파워 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정상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 변경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통신부의 연결 해제에 따른 동작을 스킵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정상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진입하며,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통신부로부터 연결 해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연결 해제에 따른 동작을 스킵하고,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연결 해제 정보 수신에 후속하여, 제2 동작 모드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정상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정상 모드에서, 상기 통신부의 상기 연결 해제에 따른 동작을 스킵하도록 하는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와 TCP 세션을 설정(establish)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TCP 세션을 유지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TCP 세션을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파워-온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의 연결 해제는 상기 통신부의 링크 다운/업 이벤트의 발생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의 링크 다운/업 이벤트에 따른 동작을 스킵함으로써, 상기 TCP 세션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의 링크 다운/업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TCP 소켓(socket)의 클로즈(close) 처리를 스킵함으로써, 상기 TCP 세션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파워-온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프로세서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리쥼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부가 리셋(reset)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의 리셋에 따른 상기 연결 해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연결 해제에 따른 동작을 스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는, 상기 리셋이 완료되면, 상기 서버로부터 재전송된 상기 파워-온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제2 동작 모드 변경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동작 모드 변경 정보를 수신하면, 파워-온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정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동작 모드 변경 정보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동작 모드 변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온(On) 시킬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 상기 통신부의 연결 해제가 발생하는 경우, TCP 소켓(socket)의 클로즈(close)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서버와의 TCP 세션을 종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은, 정상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동작 모드 변경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통신부의 연결 해제에 따른 동작을 스킵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정상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통신부로부터 연결 해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연결 해제에 따른 동작을 스킵하는 단계, 상기 연결 해제 정보 수신에 후속하여, 프로세서가 제2 동작 모드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동작 모드 변경 정보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정상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정상 모드에서, 상기 연결 해제에 따른 동작을 스킵하도록 하는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대기 모드에서, 통신부의 리셋에 따른 네트워크 링크 다운/업 이벤트에 따른 동작을 스킵함으로써, TCP 세션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파워 온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동작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전자 장치가 대기 모드에서, IoT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파워 온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대기 모드에 진입한 이후에,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를 파워 온 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시스템은, 전자 장치(100), 외부 장치(200),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를 연결하는 IoT 클라우드 및 AP(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인접하여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와 연결되거나, 원거리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페어링(pairing)될 수 있거나,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원격 제어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원격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는, 유선 통신 네트워크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물인터넷을 구현하기 위해 이용되는 통신 네트워크는 이동통신(예를 들어,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CDMA, WCDMA, 3G, 4G, 또는 5G 등), 근거리 통신(NFC, 블루투스, WLAN(Wireless LAN)(Wi-Fi) 등), 및/또는 저전력 장거리 통신(TVWS, Weightless 등)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물인터넷(IoT)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서, 전자 장치(100)가 인터넷 프로토콜인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에 의해서 원거리에 위치하는 외부 장치(200,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와 상호 연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즉, 개시된 실시예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인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플렛폼을 구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가 가정 내에 위치하고, 외부 장치(200)가 가정에서 원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사물인터넷(IoT)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TV, 휴대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데스크탑,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용형 장치(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청소기, 전구, 공기 청정기 등의 생활 가전이 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고정형 전자 장치 또는 휴대 가능한 형태를 갖는 이동형 전자 장치일 수 있으며,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장치(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컴퓨터,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등의 모바일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이고, 외부 장치(200)가 휴대용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장치(200)는 가정 사물인터넷(Home IoT: Home Internet of Things) 플랫폼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휴대용 장치(200)와 인터넷 네트워크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장치(200)는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형성하는 IoT 클라우드(cloud) 및 AP(Acess Point)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IoT 클라우드’는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지원하기 위해서 원거리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전자 장치들과 상호 연결되는 서버, 클라우드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 장치를 나타낸다. 개시된 실시예에서는,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지원하는 서버 또는 장치를 모두‘IoT 클라우드 서버’로 지칭하도록 한다.
‘AP’는 Wireless LAN 에서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여,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P 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연결되어 있는 Wireless LAN과 IoT 클라우드 서버로 연결되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브릿지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휴대용 장치(200)의 제어에 따라서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미도시)는 가정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휴대하는 휴대용 장치(200)를 이용하여 가정 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파워 온(power on) 시켜 프로그램 녹화 동작이 수행되기를 원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파워 온(power on)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IoT 클라우드 및 AP(10)는 휴대용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전달 동작은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동작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이고, 외부 장치가 휴대용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IoT 클라우드 및 AP(10)는 IoT 클라우드 서버(20) 및 AP(30)로 구성될 수 있다.
IoT 클라우드 서버(20)는 외부 장치(200)에서 수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서버인 외부 장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IoT 클라우드 서버(20)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우드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 등으로 데이터, 동작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제공받을 수 있도록 동작하는 컴퓨팅 장치로,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서는, 서버가 클라우드(cloud) 로 형성되는 클라우드 서버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AP (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연결되어 있는 Wireless LAN과 IoT 클라우드 서버(20)로 연결되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브릿지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구현하기 위해서, 인터넷 프로토콜인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인 인터넷이 이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장치(200)는 IoT 클라우드 서버(20)에 등록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장치(200)는 IoT 클라우드 서버(20) 및 AP(3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장치(200)와 IoT 클라우드 서버(20) 간 TCP/IP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TCP 세션이 설정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IoT 클라우드 서버(20) 간 TCP/IP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TCP 세션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주 중앙 처리 장치(Main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웨이크업 된 이후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사물인터넷 어플리케이션(121), 및 TCP/IP 커널(1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물인터넷 어플리케이션(121)은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통하여 수행되는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IoT 어플리케이션(121)은 사물인터넷(IoT) 플랫폼을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거나 사물인터넷(IoT) 플랫폼을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시키거나 하기 위하여 필요한 동작들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IoT 어플리케이션(12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사물인터넷(IoT)으로 연결되는 서버 또는 외부 장치들 간의 기기 등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어플리케이션(12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사물인터넷(IoT)로 연결되는 서버(예를 들어, IoT 클라우드 서버) 또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 등)에 대한 기기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기기 등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IoT 어플리케이션(121)은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구현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IoT 클라우드 서버(20)의 IP 주소를 통신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IoT 어플리케이션(12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IoT 클라우드 서버(20) 간의 TCP 세션을 설정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IoT 클라우드 서버(20) 간의 통신 연결이 항상 유지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TCP 세션이 설정되었을 때, 설정된 TCP 세션에 대한 정보를 ‘TCP 세션 정보’라 할 수 있다.
TCP/IP 커널(122)은 인터넷 프로토콜인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통신 프로토콜에 근거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 및 담당한다.
TCP/IP 커널(122)은 TCP/IP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다른 전자 장치 또는 서버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TCP/IP 커널(122)은 TCP/IP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AP(30)를 통하여 IoT 클라우드 서버(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장치(200)가 IoT 클라우드 서버(20)와 TCP 세션이 설정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파워 오프(power off)되어 대기 모드에 진입한 이후에, 휴대용 장치(200)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파워 온(power on) 시키는 동작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파워 오프는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재생 중이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꺼지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파워 오프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블랙 화면으로 전환된다. 반면에, 파워 온은 디스플레이가 블랙 화면 상태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이미지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파워 온/오프 명령은, 동작 모드 변경 명령, 전원 제어 명령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워 오프’ 및 ‘파워 온’은 각각 ‘턴 오프(turn off)’ 및 ‘턴 온(turn on)’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또는, 파워 오프 명령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모드를 정상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변경하는 명령에 대응할 수 있으며, 파워 온 명령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변경하는 명령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모드는 크게 정상 모드(normal mode) 및 대기 모드(suspend mode)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상 모드와 대기 모드는 통신부(130)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에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구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상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20), 및 통신부(130) 등에 전원이 공급되는 동작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20)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통신부(130)에는 전원이 공급되는 동작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정상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 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메모리(미도시)에 공급되는 전원은 유지하여, 대기 모드로 전환하여도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IoT 클라우드 서버(20)와 TCP 세션이 설정되면, IoT 클라우드 서버(20)의 IP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획득한 IoT 클라우드 서버(20)의 IP 주소를 통신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130)에 포함되는 통신 모듈은 맥 계층(Mac layer) (layer 2) 이하의 연결을 담당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통신 모듈, 예를 들어, WiFi 모듈(무선)인 와이파이 칩셋(미도시) 및/또는 Ethernet 모듈(유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메인 중앙 처리 장치(Main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120)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30)는 프로세서(120)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USB 호스트 역할을 수행하고, 통신부(130)는 USB 디바이스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원격 제어 장치 등으로부터 파워 오프 입력을 수신하면, 프로세서(120)는 대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대기 모드로 진입하면, 디스플레이 등은 턴 오프(turn-off)하고, 통신부(130) 등의 구성에는 전원 공급을 유지하여, 저전력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휴대용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장치(200)는 항상 통신 연결을 유지해야 하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파워 오프되어 대기 모드로 진입한 후에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휴대용 장치(200)와의 통신 연결을 유지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휴대용 장치(200)에 의해서 웨이크업되기 위해서는 IoT 클라우드 서버(20) 로부터 파워 온을 요청하는 파워 온 패킷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대기 모드 상태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IoT 클라우드 서버(20) 로부터 파워 온 패킷을 정상적으로 수신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IoT 클라우드 서버(20) 간에 TCP/IP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는 TCP 세션이 항상 유지된 상태가 되어야 한다.
프로세서(120)는 대기 모드에서도, TCP 세션 유지가 가능하도록 프로세서(120)가 수행하던 동작들 중 최소한의 동작을 통신부(130)로 오프로딩(Offloading)할 수 있다.
한편, 대기 모드에서, 통신부(130)의 파워 온 패킷의 수신에 의해, 프로세서(120)가 리쥼(resume)되는 경우, USB 디바이스 역할을 수행하는 통신부(130)는 리셋(reset)된다. 이에 따라, 통신부(130)는 링크 다운/업 동작을 수행한다. 링크 다운/업 동작은, AP(30)와의 연결을 물리적으로 해제하였다가 다시 연결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링크 다운/업 동작은, 링크 다운/업 이벤트, 연결 해제 동작, 연결 해제 이벤트, 연결 중단 및 재연결 등으로 호칭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전자 장치가 대기 모드에서, IoT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파워 온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0)는, 전자 장치(1000)와 IoT로 연결되는 IoT 클라우드 서버(20) 또는 외부 장치(200) 간의 기기 등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기기 등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전자 장치(1000)는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구현하기 위해 이용되는 IoT 클라우드 서버(20)와의 TCP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S302). 또한, 외부 장치(200)와 IoT 클라우드 서버(20) 사이에도 TCP 세션이 설정될 수 있다(S301).
전자 장치(1000)의 프로세서(1200)는 전자 장치(1000)와 IoT 클라우드 서버(20)와의 TCP 세션이 설정되면, IoT 클라우드 서버(20)의 IP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0)는 획득한 IoT 클라우드 서버(20)의 IP 주소를 통신부(1300)로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1300)에 포함되는 통신 모듈은 맥 계층(Mac layer) (layer 2) 이하의 연결을 담당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통신 모듈, 예를 들어, WiFi 모듈(무선)인 와이파이 칩셋(미도시) 및/또는 Ethernet 모듈(유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메인 중앙 처리 장치(Main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1200)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원격 제어 장치 등으로부터 파워 오프 입력을 수신하면, 파워 오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310).
예를 들어, 파워 오프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200)는 대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0)는 대기 모드에서도, TCP 세션 유지가 가능하도록 프로세서(1200)가 수행하던 동작들 중 최소한의 동작을 통신부(1210)로 오프로딩(Offloading)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0)를 파워 온 시키기 위해, IoT 클라우드 서버(20)로 파워 온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S320). IoT 클라우드 서버(20)는 외부 장치(200)로부터 파워-온 명령을 수신하고, 그에 응답하여, 파워-온 패킷을 생성하여, 전자 장치(1000)로 전송할 수 있다(S321).
전자 장치(1000)의 통신부(1300)는, 파워 온 패킷을 수신하여, 수신한 패킷 내에 존재하는 Source IP 필드 정보(IP 주소)를 파싱하여, 파싱된 Source IP 주소가 등록된 서버(예를 들어, IoT 클라우드 서버)의 IP 주소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330).
통신부(1300)는 파싱된 Source IP 주소가 등록된 서버의 IP 주소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수신된 패킷을 폐기(discard)할 수 있다.
반면에, 통신부(1300)는 파싱된 Source IP 주소가 등록된 서버의 IP 주소와 일치하는 경우, 프로세서(1200)를 웨이크업(wake-up)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S335). 예를 들어, 통신부(1300)는 프로세서(1200)를 웨이크업 시키기 위한 웨이크업 펄스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0)는 저전력 모드에서 리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340). 예를 들어, 전자 장치가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면, 프로세서(1200)로 전력이 공급된다. 프로세서(1200)로 전력이 공급되면, IoT 어플리케이션(1210)은 활성화된다. 또한, 프로세서(1200)의 리쥼에 따라, 통신부(1300)의 리셋이 발생한다(S350).
일반적으로, 프로세서(1200)와 통신부(1300)는 독립적인 칩셋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프로세서(1200)와 통신부(1300)는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1200)는 USB 호스트 역할을 수행하고, 통신부(1300)는 USB 디바이스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파워 온 패킷의 수신에 의해, 프로세서(1200)가 리쥼되는 경우, 통신부(1300)의 리셋이 발생하고, 통신부(1300)는 링크 다운/업 동작을 수행한다. 링크 다운/업 동작은, AP와의 연결을 물리적으로 해제하였다가(S355) 다시 연결하는(S390) 동작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0)는 링크 다운/업 이벤트를 수신하게 되고(S360), 프로세서(1200)는 통신부(1300)에서 통신 네트워크 문제가 생겨 연결이 해제되었다가 다시 연결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에 다라, 프로세서(1200)는 TCP 세션을 재 설정하기 위해, TCP 소켓(socket)을 클로즈(close) 처리하고(S370), TCP 소켓이 클로즈 처리됨에 따라, 기존에 설정된 TCP 세션 연결이 종료된다(S380).
한편 IoT 클라우드 서버(20)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파워 온 패킷을 재전송하다가(S323, S325), 기존에 설정된 TCP 세션이 종료되면, 파워 온 패킷을 재전송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0)는 파워 온 패킷을 수신할 수 없어, 정상적인 파워 온 동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파워 오프 상태에서도, 파워 온 패킷을 정상적으로 수신하여, 파워 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대기 모드에 진입한 이후에,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를 파워 온 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IoT로 연결되는 IoT 클라우드 서버(20) 또는 외부 장치(30) 간의 기기 등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기기 등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전자 장치(100)는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구현하기 위해 이용되는 IoT 클라우드 서버(20)와의 TCP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S302). 또한, 외부 장치(200)와 IoT 클라우드 서버(20) 사이에도 TCP 세션이 설정될 수 있다(S301).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 등으로부터 파워 오프 명령을 수신하면, 파워 오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310).
도 4의 301 단계(S301) 내지 310 단계(S310)는 도 3의 301 단계(S301) 내지 310 단계(S310)에 각각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프로세서(120)가 파워 오프 명령에 따른 대기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IoT 어플리케이션(121)은 링크 다운/업 이벤트에 따른 동작을 스킵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S410). 예를 들어, IoT 어플리케이션(121)은 TCP/IP 커널(122)로 TCP 소켓을 클로즈하는 처리를 스킵하도록 설정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를 파워 온 시키기 위해, IoT 클라우드 서버(20)로 파워 온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S420). IoT 클라우드 서버(20)는 외부 장치(200)로부터 파워-온 명령을 수신하고, 그에 응답하여, 파워-온 패킷을 생성하여,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421).
전자 장치(100)의 통신부(130)는, 파워 온 패킷을 수신하여, 수신한 패킷 내에 존재하는 Source IP 필드 정보(IP 주소)를 파싱하여, 파싱된 Source IP 주소가 등록된 서버(예를 들어, IoT 클라우드 서버)의 IP 주소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430).
통신부(130)는 파싱된 Source IP 주소가 등록된 서버의 IP 주소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수신된 패킷을 폐기(discard)할 수 있다.
반면에, 통신부(130)는 파싱된 Source IP 주소가 등록된 서버의 IP 주소와 일치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를 웨이크업(wake-up)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S435). 예를 들어, 통신부(130)는 프로세서(120)를 웨이크업 시키기 위한 웨이크업 펄스를 생성하여, 프로세서(120)가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저전력 모드에서 리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440).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가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면, 프로세서(120)로 전력이 공급된다. 프로세서(120)로 전력이 공급되면, IoT 어플리케이션(121)은 활성화된다. 또한, 프로세서(120)의 리쥼에 따라, 통신부(130)의 리셋이 발생한다(S445).
통신부(130)의 리셋이 발생하면, 통신부(130)는 링크 다운/업 동작을 수행한다. 링크 다운/업 동작은, AP와의 연결을 물리적으로 해제하였다가(S450) 다시 연결하는(S465) 동작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링크 다운/업 이벤트를 수신하게 된다(S455).
그러나, 프로세서(120)는, 410 단계(S410)에서, 링크 다운/업 이벤트에 따른 동작을 스킵하도록 설정하였으므로, 링크 다운/업 이벤트를 수신하여도, TCP 소켓의 클로즈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다(S460). 이에 따라, 기존에 설정된 TCP 세션은 계속하여 유지될 수 있다.
기존에 설정된 TCP 세션 연결이 유지됨에 따라, IoT 클라우드 서버(20)는 파워 온 패킷을 재전송하게 되고(S423, S425, S427), 링크 다운/업 동작을 완료한 통신부(130)는 IoT 클라우드 서버(20)가 재전송한 파워 온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S427).
통신부(130)가 수신한 파워 온 패킷은 TCP/IP 커널(122)을 통해, IoT 어플리케이션(121)으로 전송될 수 있다(S470, S475).
TCP/IP 커널(122)은 IoT 클라우드 서버(20)로 파워 온 패킷의 수신에 응답하여, 응답 메시지(TCP Ack)를 전송할 수 있다(S485).
파워 온 패킷을 정상적으로 수신한 IoT 어플리케이션(121)은, 파워 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480). 예를 들어, IoT 어플리케이션(121)은, 수신한 파워 온 패킷이 파워 온을 정상적으로 요청하는 데이터인지 식별하여,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미도시)를 온 시킬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미도시)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미도시)는 블랙 화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미도시)가 온 된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미도시)는 블랙 화면이 아닌 의미 있는 화면의 출력 상태, 예를 들어,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IoT 어플리케이션(121)은 파워 온 동작 수행 후에, 링크 다운/업 이벤트에 따른 동작의 스킵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S490). 예를 들어, IoT 어플리케이션(121)은 TCP/IP 커널(122)로 링크 다운/업 이벤트 발생 시, TCP 소켓을 클로즈하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TCP 소켓 클로즈 처리의 스킵 설정을 해제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상 모드에서, 링크 다운/업 이벤트가 발생하면, TCP 소켓의 클로즈 처리가 수행될 수 있으며, TCP 세션이 종료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파워 오프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510).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중에, 원격 제어 장치 등으로부터 파워 오프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파워 오프 명령을 수신하면, 파워 오프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신부의 링크 다운/업 이벤트에 따른 동작을 스킵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S520).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파워 오프 명령에 대응하여, 정상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대기 모드로 진입한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는 블랙 화면 상태로 전환되며, 통신부로만 전력이 공급되고, 나머지 구성들로의 전력 공급은 차단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TCP 소켓을 클로즈하는 처리를 스킵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대기 모드에서, 통신부의 링크 다운/업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S530). 예를 들어, 대기 모드에서, 전자 장치(100)의 통신부는 IoT 클라우드 서버(20)로부터 파워 온 패킷을 수신할 수 있으며, 파워 온 패킷을 수신함에 따라, 프로세서를 웨이크업 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프로세서가 리쥼되면, 통신부의 리셋이 발생하게 되고, 통신부의 리셋에 따라, 통신부의 링크 다운/업 이벤트가 발생하기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링크 다운/업 이벤트를 수신하여도, 링크 다운/업 이벤트에 따른 동작을 스킵할 수 있다(S540). 예를 들어, 520 단계(S520)에서, 링크 다운/업 이벤트에 따른 동작을 스킵하도록 설정하였으므로, 링크 다운/업 이벤트가 발생하여도, TCP 소켓의 클로즈 처리를 스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IoT 클라우드 서버(20)와의 통신 세션(예를 들어, TCP 세션)이 계속 유지될 수 있다.
IoT 클라우드 서버(20)와의 통신 세션이 유지됨에 따라, IoT 클라우드 서버(20)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파워 온 패킷을 전자 장치(100)로 계속해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통신부가 링크 다운/업 동작을 완료하면, 전자 장치(100)는 재전송된 파워 온 패킷을 수신할 수 있으며(S550), 정상적인 파워 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560).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수신한 파워 온 패킷이 파워 온을 정상적으로 요청하는 데이터인지 식별하여,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미도시)를 온 시킬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미도시)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미도시)는 블랙 화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미도시)가 온 된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미도시)는 블랙 화면이 아닌 의미 있는 화면의 출력 상태, 예를 들어,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파워 온 동작 수행 후에, 링크 다운/업 이벤트에 따른 동작의 스킵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S570).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링크 다운/업 이벤트 발생 시, TCP 소켓을 클로즈하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TCP 소켓 클로즈 처리의 스킵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정상 모드에서, 링크 다운/업 이벤트가 발생하면, TCP 소켓의 클로즈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기존의 TCP 세션을 종료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파워 오프 명령을 수신하고, 파워 오프 명령에 대응하여, 정상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대기 모드에서, 전자 장치(100)의 통신부로만 전력이 공급되고, 나머지 구성들로의 전력 공급은 차단되는 상태가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는, 대기 모드에서, 웨이크업 신호 및 boot reason을 수신할 수 있다(S610).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마이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이컴은 프로세서를 웨이크업 시키기 위해서 통신부에서 발생시킨 웨이크업 펄스(wake-up pulse)를 체크하여, 프로세서를 resume 시킨 후 설정된 boot reason 값을 프로세서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마이컴은 전자 장치(100)가 대기 모드에 있는 경우에도, 전원을 공급받아서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마이컴은 통신부에 포함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가 대기 모드에 진입한 경우, 통신부로 전원이 공급되면, 통신부에 포함되는 마이컴으로도 동작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마이컴을 별도의 구성 요소로 포함하지 않는 경우, 통신부가 boot reason을 프로세서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여, 리쥼된다(S620).
프로세서가 리쥼되면, 통신부의 리셋이 발생하게 되고, 통신부의 리셋에 따라, 통신부의 링크 다운/업 이벤트가 발생하기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가 링크 다운/업 이벤트를 수신하면(S630), 610 단계(S610)에서 수신한 boot reason(예를 들어, 가장 최근의 boot reason)을 확인하여, 링크 다운/업 이벤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지 스킵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S640).
예를 들어, 가장 최근의 boot reason이 전자 장치(100)의 통신부가 파워 온 패킷을 수신함에 따라, 프로세서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한 것인 경우, 프로세서는 링크 다운/업 이벤트에 따른 동작을 스킵할 수 있다.
반면에, 가장 최근의 boot reason이 IR 신호 또는 BT 신호에 의해 파워 온 명령을 수신한 것인 경우, 프로세서는 링크 다운/업 이벤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는 통신부의 연결 해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710). 예를 들어, 통신부의 리셋이 발생하는 경우, 통신부의 리셋에 따라, 통신부의 연결 해제 동작이 발생하게 되고, 통신부의 연결 해제 정보가 프로세서로 전송될 수 있다.
통신부의 연결 해제 동작은, 통신부의 링크 다운/업 동작, 통신부의 링크 다운/업 이벤트, 통신부의 연결 해제 이벤트, 통신부의 연결 중단 및 재연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통신부의 연결 해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의 현재 동작 상태가 정상 모드인지 대기 모드인지 판단하여(S720), 현재 동작 상태가 정상 모드이면, 통신부의 연결 해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730). 프로세서(120)는 TCP 세션을 재설정하기 위해 TCP 소켓을 클로즈 처리한다. TCP 소켓이 클로즈 처리됨에 따라, 기존에 설정된 TCP 세션 연결이 종료된다(S740).
반면에, 프로세서(120)는 현재 동작 상태가 대기 모드이면, 통신부의 연결 해제에 따른 동작을 스킵할 수 있다(S750). 프로세서(120)는 통신부의 연결 해제 정보를 수신하여도, TCP 소켓의 클로즈 처리를 스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와의 TCP 세션이 계속 유지될 수 있으며, TCP 세션이 유지됨에 따라, 파워 온을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760). 예를 들어, 통신부에서 수신한 파워 온 패킷이 프로세서(120)로 전달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수신한 파워 온을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파워 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770).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수신한 파워 온 패킷이 파워 온을 정상적으로 요청하는 데이터인지 식별하여, 전자 장치(100)를 정상 모드로 전환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정상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미도시)가 온(on)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미도시)가 온 된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미도시)는 블랙 화면이 아닌 의미 있는 화면의 출력 상태, 예를 들어,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의 전자 장치(70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 장치(100)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700)는 통신부(710), 프로세서(720) 및 메모리(7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710)는, 프로세서(720)의 제어에 의해 외부 장치 또는 외부 서버와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71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IoT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71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AP와 연결되어, IoT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무선랜(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유선 이더넷(Ethernet), IR(infrared), BLE(Bluetooth Low Energy), 초음파, 지그비(zigbee) 및 HDMI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710)는, 전술한 무선랜(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유선 이더넷(Ethernet), IR(infrared), BLE(Bluetooth Low Energy), 초음파, 지그비(zigbee) 및 HDMI에 대응되는 통신 규격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랜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 통신 규격에 따라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통신 모듈은 와이 파이 통신 규격에 따라서 패킷 형태의 데이터를 소신할 수 있는 와이파이 모듈인 와이파이 칩셋(Wi-Fi chipset)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710)에 포함되는 통신 모듈은 맥 계층(Mac layer) (layer 2) 이하의 연결을 담당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통신 모듈, 예를 들어, WiFi 모듈(무선)인 와이파이 칩셋(미도시) 및/또는 Ethernet 모듈(유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메인 중앙 처리 장치(Main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720)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710)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모듈, 예를 들어, IR(infrared)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710)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710)는 무선랜 통신 모듈을 통하여 사물인터넷 플랫폼에 기반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명령은 전자 장치(700)의 파워 오프를 요청하는 제어 명령일 수 있다. 프로세서(720)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700)가 정상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 모드로 진입한 전자 장치(700)의 디스플레이는 블랙 화면 상태로 전환되며, 통신부(710)로만 전력이 공급되고, 나머지 구성들로의 전력 공급은 차단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720)는 전자 장치(7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720)는 소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전자 장치(700)에 포함되는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720)는 메모리(730)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720)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720)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730)는 전자 장치(7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73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30)에 저장된 프로그램(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프로세서(7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720)는 파워 오프를 요청하는 제어 명령(예를 들어, 파워 오프 명령)이 수신되면, 통신부(710)의 링크 다운/업 이벤트에 따른 동작을 스킵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720)는 TCP 소켓을 클로즈하는 처리를 스킵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통신부(710)가 파워 온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통신부(710)는 프로세서(720)로 웨이크업 시키기 위한 웨이크업 펄스를 생성하여, 프로세서(720)가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720)는 저전력 모드에서 리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720)가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면, 프로세서(720)로 전력이 공급된다. 프로세서(720)로 전력이 공급되면, IoT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다. 또한, 프로세서(720)의 리쥼에 따라, 통신부(710)의 리셋이 발생한다.
통신부(710)의 리셋이 발생하면, 통신부(710)는 링크 다운/업 동작을 수행한다. 링크 다운/업 동작은, AP와의 연결을 물리적으로 해제하였다가 다시 연결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720)는 링크 다운/업 이벤트를 수신하게 된다. 그러나, 프로세서(720)는, 통신부(710)의 링크 다운/업 이벤트에 따른 동작을 스킵하도록 설정하였으므로, 링크 다운/업 이벤트를 수신하여도, TCP 소켓의 클로즈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기존에 설정된 TCP 세션은 계속하여 유지될 수 있다.
기존에 설정된 TCP 세션 연결이 유지됨에 따라, 프로세서(720)는 재전송된 파워 온 패킷을 수신할 수 있으며, 정상적인 파워 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720)는 파워 온 동작 수행 후에, 통신부(710)의 링크 다운/업 이벤트에 따른 동작의 스킵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720)는 정상 모드에서 통신부(710)의 링크 다운/업 이벤트가 발생하면, TCP 소켓을 클로즈하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TCP 소켓 클로즈 처리의 스킵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720)는 웨이크업 신호 및 boot reason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리쥼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720)의 리쥼에 따라 통신부(710)가 리셋이 발생한다. 통신부(710)의 리셋이 발생하면, 통신부(710)는 링크 다운/업 동작을 수행한다. 프로세서(720)가 링크 다운/업 이벤트를 수신하면, 수신한 boot reason(예를 들어, 가장 최근의 boot reason)을 확인하여, 링크 다운/업 이벤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지 스킵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720)는 가장 최근의 boot reason이 통신부(710)가 파워 온 패킷을 수신함에 따라, 프로세서(720)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한 것인 경우, 프로세서(720)는 링크 다운/업 이벤트에 따른 동작을 스킵할 수 있다. 반면에, 프로세서(720)는 가장 최근의 boot reason이 IR 신호 또는 BT 신호에 의해 파워 온 명령을 수신한 것인 경우, 프로세서(720)는 링크 다운/업 이벤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8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의 전자 장치(800)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 장치(100, 700)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800)는, 튜너부(840), 프로세서(810), 디스플레이부(820), 통신부(850), 감지부(830), 입/출력부(870), 비디오 처리부(880), 오디오 처리부(885), 오디오 출력부(860), 메모리(890), 전원부(89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의 통신부(850)는 도 8의 통신부(710)에, 도 9의 프로세서(810)는, 도 8의 프로세서(720)에, 도 9의 메모리(890)는 도 8의 메모리(730)에 각각 대응하므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튜너부(84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방송 수신 장치(1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한다.
튜너부(840)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840)는 아날로그 방송 또는 디지털 방송 등과 같은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850)는 프로세서(810)의 제어에 의해 외부 장치 또는 서버와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통신부(85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 컨텐츠를 송수신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웹 브라우징을 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850)는 무선랜(851), 블루투스(852), 및 유선 이더넷(853)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모듈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880)는, 전자 장치(800)가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비디오 처리부(88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감지부(830)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영상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하며, 마이크(831), 카메라부(832) 및 광 수신부(833)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831)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831)는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810)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은 예를 들어, 전자 장치(800)의 메뉴 또는 기능에 대응되는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832)는 카메라 인식 범위에서 제스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는 영상(예를 들어, 연속되는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810)는 수신된 모션의 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800)에 표시되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모션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광 수신부(833)는 외부의 제어 장치에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디스플레이부(820)의 베젤의 광창(도시되지 아니함) 등을 통해 수신한다. 광 수신부(833)는 제어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로부터 제어부(81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입/출력부(8700)는 제어부(81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800)의 외부에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한다. 입/출력부(87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87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872), PC 포트(PC port, 873), 및 USB 포트(USB port, 874)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870)는 HDMI 포트(871), 컴포넌트 잭(872), PC 포트(873), 및 USB 포트(874)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전자 장치(8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전자 장치(800)의 내부 구성 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세서(81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메모리(89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전자 장치(8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자 장치(8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전자 장치(8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및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그래픽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감지부(83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82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디스플레이부(820)는, 프로세서(81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20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처리부(885)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885)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885)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오디오 처리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860)는 프로세서(81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8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860)는 통신부(850) 또는 입/출력부(87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860)는 프로세서(81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89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860)는 스피커(861), 헤드폰 출력 단자(862)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86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50)는 스피커(861), 헤드폰 출력 단자(862) 및 S/PDIF 출력 단자(863)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895)는 프로세서(81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800) 내부의 구성 요소들로 외부의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895)는 프로세서(81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8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내부의 구성 요소들에게 공급할 수 있다.
메모리(890)는 프로세서(81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8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890)는 도시되지 아니한 방송 수신 모듈, 채널 제어 모듈, 볼륨 제어 모듈, 통신 제어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광 수신 모듈,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오디오 제어 모듈, 외부 입력 제어 모듈, 전원 제어 모듈,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모듈, 음성 데이터베이스(DB), 또는 모션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90)의 도시되지 아니한 모듈들 및 데이터 베이스는 전자 장치(800)에서 방송 수신의 제어 기능, 채널 제어 기능, 볼륨 제어 기능, 통신 제어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모션 인식 기능, 광 수신 제어 기능,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 오디오 제어 기능, 외부 입력 제어 기능, 전원 제어 기능 또는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메모리(890)에 저장된 이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전자 장치 (700, 800)의 블록도는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전자 장치 (700, 8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S/W 프로그램, S/W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방송 수신 장치의 제조사 또는 전자 마켓(예, 구글 플레이 스토어, 앱 스토어)을 통해 전자적으로 배포되는 S/W 프로그램 형태의 상품(예, 다운로더블 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적 배포를 위하여, S/W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매체는 제조사의 서버, 전자 마켓의 서버, 또는 SW 프로그램을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중계 서버의 저장매체가 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서버 및 클라이언트 장치로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서버의 저장매체 또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 장치와 통신 연결되는 제3 장치(예, 스마트폰)가 존재하는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제3 장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 장치 또는 제3 장치로 전송되거나, 제3 장치로부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되는 S/W 프로그램 자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 클라이언트 장치 및 제3 장치 중 하나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서버, 클라이언트 장치 및 제3 장치 중 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분산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예로, 클라우드 서버 또는 인공 지능 서버 등)가 서버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서버와 통신 연결된 클라이언트 장치가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19)

  1.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정상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 변경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통신부의 연결 해제에 따른 동작을 스킵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정상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진입하며,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통신부로부터 연결 해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연결 해제에 따른 동작을 스킵하고,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연결 해제 정보 수신에 후속하여, 제2 동작 모드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정상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정상 모드에서, 상기 통신부의 상기 연결 해제에 따른 동작을 스킵하도록 하는 설정을 해제하는,
    상기 통신부의 연결 해제는 상기 통신부의 링크 다운/업 이벤트의 발생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와 TCP 세션을 설정(establish)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TCP 세션을 유지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TCP 세션을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파워-온 패킷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의 링크 다운/업 이벤트에 따른 동작을 스킵함으로써, 상기 TCP 세션을 유지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의 링크 다운/업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TCP 소켓(socket)의 클로즈(close) 처리를 스킵함으로써, 상기 TCP 세션을 유지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파워-온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프로세서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리쥼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부가 리셋(reset)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의 리셋에 따른 상기 연결 해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연결 해제에 따른 동작을 스킵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리셋이 완료되면, 상기 서버로부터 재전송된 상기 파워-온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제2 동작 모드 변경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동작 모드 변경 정보를 수신하면, 파워-온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정상 모드로 전환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동작 모드 변경 정보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동작 모드 변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온(On) 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 상기 통신부의 연결 해제가 발생하는 경우, TCP 소켓(socket)의 클로즈(close)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서버와의 TCP 세션을 종료하는, 전자 장치.
  10.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정상 모드에서, 제1 동작 모드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동작 모드 변경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통신부의 연결 해제에 따른 동작을 스킵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정상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통신부로부터 연결 해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연결 해제에 따른 동작을 스킵하는 단계;
    상기 연결 해제 정보 수신에 후속하여, 프로세서가 제2 동작 모드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동작 모드 변경 정보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정상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정상 모드에서, 상기 연결 해제에 따른 동작을 스킵하도록 하는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의 연결 해제는 상기 통신부의 링크 다운/업 이벤트의 발생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정상 모드에서,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서버와 TCP 세션을 설정(establish)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가,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TCP 세션을 유지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가, 상기 TCP 세션을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파워-온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통신부의 링크 다운/업 이벤트에 따른 동작을 스킵함으로써, 상기 TCP 세션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TCP 세션을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부의 링크 다운/업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TCP 소켓(socket)의 클로즈(close) 처리를 스킵함으로써, 상기 TCP 세션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통신부가, 서버로부터 파워-온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프로세서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리쥼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부가 리셋(reset)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의 연결 해제에 따른 동작을 스킵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부의 리셋에 따른 상기 연결 해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연결 해제에 따른 동작을 스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제2 동작 모드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부의 리셋이 완료되면, 상기 서버로부터 재전송된 상기 파워-온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제2 동작 모드 변경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제2 동작 모드 변경 정보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동작 모드 변경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를 온(On) 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정상 모드에서, 상기 통신부의 연결 해제가 발생하는 경우, TCP 소켓(socket)의 클로즈(close)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서버와의 TCP 세션 연결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
  19. 제10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90092656A 2019-07-30 2019-07-30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659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656A KR102659487B1 (ko) 2019-07-30 2019-07-30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6/899,895 US11284351B2 (en) 2019-07-30 2020-06-12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20847803.2A EP3954105B1 (en) 2019-07-30 2020-06-22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or skipping operations during suspend state
CN202080051529.XA CN114175692A (zh) 2019-07-30 2020-06-22 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PCT/KR2020/008087 WO2021020734A1 (en) 2019-07-30 2020-06-22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656A KR102659487B1 (ko) 2019-07-30 2019-07-30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494A KR20210014494A (ko) 2021-02-09
KR102659487B1 true KR102659487B1 (ko) 2024-04-22

Family

ID=74230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656A KR102659487B1 (ko) 2019-07-30 2019-07-30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84351B2 (ko)
EP (1) EP3954105B1 (ko)
KR (1) KR102659487B1 (ko)
CN (1) CN114175692A (ko)
WO (1) WO20210207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93540B2 (ja) * 2018-07-31 2020-05-13 横河電機株式会社 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956204B1 (en) * 2022-12-23 2024-04-09 Plume Design, Inc. IPv4-in-IPv6 relaying systems and methods to preserve IPv4 public addresse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2175B1 (en) 1997-04-22 2001-04-03 Telxon Corporation Method to sustain TCP connection
JP3436218B2 (ja) 1999-12-03 2003-08-11 日本電気株式会社 Tcp/ipネットワーク装置の電源遮断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8688826B2 (en) 2009-11-30 2014-04-01 Motorola Mobility Llc Mobile computing device and method with intelligent pushing management
US8904206B2 (en) 2010-01-26 2014-12-02 Motorola Mobility Llc Mobile 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maintaining application continuity
JP5598144B2 (ja) * 2010-08-04 2014-10-0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電源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604914B2 (en) 2010-11-17 2013-12-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mart power sockets, boards, and plugs
US9191891B2 (en) 2012-11-02 2015-11-1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low power wake-up signal implementation and operations for WLAN
US20140258465A1 (en) 2013-03-11 2014-09-11 Cisco Technology, Inc. Identification of originating ip address and client port connection to a web server via a proxy server
US9648564B1 (en) * 2014-03-26 2017-05-09 Amazon Technologies, Inc. Wake-up management for mobile devices
US9413399B2 (en) * 2014-04-15 2016-08-09 Blackberry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providing enhanced interference mitigation from wireline transmitter and related methods
US9749420B2 (en) 2015-06-24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an IoT device using a remote control device via an infrastructure device
US9654564B2 (en) 2015-06-24 2017-05-16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an IoT device using a remote control device via a remote control proxy device
US10327206B2 (en) 2015-10-05 2019-06-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CP packets in communication system
US10045297B1 (en) * 2017-01-24 2018-08-07 Google Llc Increased time in a suspended state during network transmissions
KR20180099143A (ko) 2017-02-28 2018-09-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Tcp 세션 복구 장치 및 방법
KR20200138727A (ko) * 2018-03-02 2020-12-10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채널 액세스 및 웨이크업 라디오 복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0734A1 (en) 2021-02-04
US20210037472A1 (en) 2021-02-04
EP3954105B1 (en) 2023-08-02
US11284351B2 (en) 2022-03-22
CN114175692A (zh) 2022-03-11
KR20210014494A (ko) 2021-02-09
EP3954105A1 (en) 2022-02-16
EP3954105A4 (en)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9650B1 (en) Electronic device, audio device, and methods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audio device power supply
US11523341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73735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7210745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の制御方法、及びそれによるディスプレイ装置
US11320963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7436532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659487B1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10092079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2019536370A (ja) 電子装置及びその電源制御方法
KR20210025812A (ko) 전자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687484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68184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2152990B (zh) 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US20230300753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20240061637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4290362A1 (en) Voice interac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20230188782A1 (en) Input-based streaming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102661806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56672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14257872A (zh) 显示设备、唤醒方法及装置
KR202400500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