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178B1 - 지엽류 계수기 - Google Patents

지엽류 계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178B1
KR101830178B1 KR1020160024843A KR20160024843A KR101830178B1 KR 101830178 B1 KR101830178 B1 KR 101830178B1 KR 1020160024843 A KR1020160024843 A KR 1020160024843A KR 20160024843 A KR20160024843 A KR 20160024843A KR 101830178 B1 KR101830178 B1 KR 101830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suction
stacker
blow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4899A (ko
Inventor
고지 마루야마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4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D11/008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7/00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 G06M7/02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wherein objects ahead of the sensing element are separated to produce a distinct gap between successive objects
    • G06M7/06Counting of flat articles, e.g. of sheets of paper
    • G07D11/0021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ile Receiver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엽류의 계수의 때에 생기는 분진에 대하여 효과적인 집진 구조를 구비하는 지엽류 계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지엽류의 계수 기구를 구비한 지엽류 계수기로서, 복수의 지엽류를 퇴적시켜서 보관하는 스태커와, 당해 스태커에 대하여 기류를 공급하여, 당해 기류와 함께 상기 지엽류로부터의 분진을 수집하는 제진 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지엽류 계수기{PAPER SHEET COUNTING MACHINE}
본 발명은 지폐 등의 지엽류(紙葉類)를 계수(計數)하고, 필요에 따라, 지엽류의 진위, 및, 정손(正損) 등의 판별이 가능한 지엽류 계수기에 관한 것이다.
지폐 계수기에 의해 다량의 지폐를 고속으로 계수하려고 하면, 지폐에 부착된 분진이 직장 환경으로 널리 날리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지폐 계수기에 인접시켜서 공기 청정기를 운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1).
일본국 특개2003-50028호 공보
공기 청정기에 의해, 지폐 계수기로부터 발생하는 분진을 극력(極力) 정화하려고 하면, 공기 청정기를 지폐 계수기에 인접시키고, 또한, 분진을 흡인시키기 위한 풍속을 크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지폐 계수기의 취급에 불편을 초래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지엽류의 계수의 때에 생기는 분진에 대하여 효과적인 집진 구조를 구비하는 지엽류 계수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가 예의 검토한 바, 지엽류로부터의 분진의 발생은 지엽류를 퇴적하고 있는 스태커(stacker)에서 현저한 것을 알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의거하여 지엽류의 계수 기구를 구비한 지엽류 계수기로서, 복수의 지엽류를 퇴적시켜서 보관하는 스태커와, 당해 스태커에 대하여 기류를 공급하여, 당해 기류와 함께 상기 지엽류로부터의 분진을 수집하는 제진(除塵)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엽류의 계수의 때에 생기는 분진에 대하여 효과적인 집진 구조를 구비하는 지엽류 계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집진 기능을 탑재한 지폐 계수기의 구조와 바람의 흐름을 나타내는 상면 단면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지폐 계수기의 컨트롤부의 개략 블록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분진의 이동 상태를 나타내는 기류 동작도.
도 4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집진 기능을 탑재한 지폐 계수기의 구조와 바람의 흐름을 나타내는 상면 단면도.
도 5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집진 기능을 탑재한 지폐 계수기의 구조와 바람의 흐름을 나타내는 상면 단면도.
도 6은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집진 기능을 탑재한 지폐 계수기의 구조와 바람의 흐름을 나타내는 상면 단면도.
도 7은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지폐 계수기의 컨트롤부의 개략 블록도.
도 8은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제진 컨트롤러에 있어서의 제진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집진 장치를 탑재한 지폐 계수기(10)의 평면도이다. 지폐 계수기(10)는 계수된 지폐가 퇴적되는 복수의 스태커(12)를 구비하며, 복수의 스태커(12)는 경계판(14)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또한, 지폐 계수기(10)는, 지폐로부터의 분진을 적극적으로 회수하기 위한 공기를 스태커(12)의 전방(前方)에 공급하는 송풍 장치(16)와, 송풍기(16)로부터 송출된 공기류를 흡인하는 흡인 장치(18)를 구비한다.
송풍 장치(16)는 송풍관(20)을 구비하며, 송풍관(20)의 송풍구(20A)는, 지폐 계수기(10) 내의 스태커(12)의 전방 공간을 향해 있다. 당해 공간은 스태커(12)로부터 지폐를 반출하기 위한 작업 영역에 해당한다.
흡인 장치(18)는 흡인관(22)을 가지며, 흡인관(22)의 흡인구(22A)는 지폐 계수기(10) 내에 있어서의 스태커(12)의 전방 공간을 향해 있다. 송풍 장치(20)의 송풍구(20A)로부터 송출된 공기는, 스태커(12)의 전방 공간을 통과하고, 흡인구(22A)를 거쳐서 흡인 장치(22)에 도달하는 공기류를 형성하며, 이 결과, 스태커(12) 및 스태커(12)의 전방 공간의 분진이 공기류에 의해 수집된다.
송풍구(20A)에는, 당해 송풍구의 개구 면적의 조절 장치를 구비한다. 이 조절 장치는, 개구 면적의 조절판(24)을 구비하며, 당해 조절판(24)은 회전축부(24A)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회전 각도에 의거하여 송풍구(20A)의 개구 면적, 송풍 방향, 풍속을 결정한다.
또, 상기 스태커(12)는 경계판(14)에 의해 2개로 구획되어 있지만, 경계판(14)을 증설함으로써, 스태커(12) 내에서의 지폐의 퇴적을 위한 영역을 더욱 많게 구분할 수 있다. 스태커(12)의 전방 구간에서의 공기류가 흡인구(22A)로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경사부(12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흡인구(22A)는 계수기 정면에서 계수기 중앙 방향을 향해서 돌출하여(22B), 공기류가 흡인구(22A)에 도달하기 전에 지폐 계수기(10)의 정면으로부터 기(機) 외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지폐 계수기(10)의 컨트롤부(26)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컨트롤부(26)는 메인 컨트롤러(27)를 구비하고 있으며,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조작부가 접속되어, 계수의 시작, 계수 모드 등을 입력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계수 모드로는, 믹스(mix) 모드, 소트(sort) 모드, 카운트(count) 모드 등이 있다. 믹스 모드는, 예를 들면 일본 은행권(4 금종(金種))을 계수하여, 금종마다의 금액을 합계하는 모드이다. 소트 모드는, 예를 들면 단일 금종의 매수를 계수하는 모드이다. 카운트 모드는, 예를 들면 금종에 관계없이, 매수만을 계수하는 모드이다. 메인 컨트롤러(27)에는, 계수 처리를 제어하기 위한 계수 컨트롤러(28)와 제진 처리를 제어하기 위한 제진 컨트롤러(30)가 접속되어 있다.
계수 컨트롤러(28)에는 매엽 장치(32), 계수 장치(34), 표시 장치(36)가 접속되고, 제진 컨트롤러(30)에는 송풍 장치(16) 및 흡인 장치(18)가 접속되어 있다. 송풍 장치(16)와 흡인 장치(18)는, 제진 컨트롤러(30)의 제어에 의해 동시에 구동된다.
송풍 장치(16)와 흡인 장치(18)가 동시에 구동하면,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송풍구(20A)와 흡인구(22A)의 사이에는, 소정의 유속v의 기류가 발생한다. 기류의 패턴(풍향, 풍속 등의 조합)은, 조절판(24)의 각도에 의해 조정된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류의 발생에 의해, 스태커(12) 내, 스태커(12)의 전방이, 기류에 의해 기압이 저하하는 경향으로 되고, 스태커(12) 내, 스태커(12)의 전방 공간의 분진이 기류로 끌어 당겨져서, 분진이 적극적으로 흡인구(22A)에 유도되게 된다.
다음으로, 지폐 계수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폐 계수기(10)에 지폐를 장전한다. 메인 컨트롤러(27)에 조작부에서 모드를 설정한다. 믹스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지폐가 계수되어, 표시 장치(36)에 매수와 금액이 표시된다. 소트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계수 컨트롤러(28)는, 단일 금종의 매수를 계수하고, 표시 장치(36)에 매수와 금액을 표시한다. 카운트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계수 컨트롤러(28)는, 금종에 관계없이, 매수만을 계수하고, 표시 장치(36)에 매수를 표시한다. 계수가 행하여진 지폐는, 스태커(12)로 안내되어서 회수되고, 그 때, 지폐끼리가 맞스치는 등으로 되어 종이 가루 등의 분진이 발생한다. 이 분진은 지폐와 함께 스태커(12)에 혼입된다. 지폐 계수기(10)가 지폐의 계수를 시작하면, 제진 컨트롤러(30)가 이것을 감지하여, 송풍 장치(16)와 흡인 장치(18)를 구동시킨다.
송풍 장치(16)로부터 공기류가, 송풍관(20), 송풍구(20A)를 거쳐서, 스태커(12)의 전방 공간에 공급된다. 공기류는, 흡인 장치(18)의 구동에 의해 흡인구(22A)에 유도된다. 따라서, 계수 장치 밖에서 단순히 공기 청정기 등으로 집진하려고 하는 태양과 비교하여, 신속 및 효율적으로 분진을 회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절판(24)의 각도를 바꾸는 것에 의하여, 송풍구(20A)로부터의 공기류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절판(24)의 각도를 공기류가 스태커(12)로 방향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스태커(12) 내로부터 분진을 퍼낼 수 있고, 그 후에 조절판의 각도를 공기류가 스태커(12)의 전방 공간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퍼내진 분진을 흡인구(22A)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지엽류의 매수, 지엽류의 신구(新舊) 등, 지엽류의 상태에 따라서 조절판의 각도, 송풍 속도, 송풍량 등의 제진 태양을 변경하면 된다.
(제 2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의 특징은, 송풍 장치(16) 및 흡인 장치(18)가, 지엽류 계수기로부터 이간하여 있는 것에 있다. 도 4는 제 2 실시형태 따른 집진 기능을 탑재한 지폐 계수기(10)의 평면도이다. 송풍 장치(16)는, 덕트(38)를 사이에 두고서, 계수기 본체(10A)에 마련되어진 송풍관(20)에 접속되어 있다. 흡인 장치(18)는, 덕트(40)를 사이에 두고서, 계수기 본체(10A)에 마련되어진 흡인관(22)에 접속되어 있다.
지폐 계수기(10)에 송풍 장치(16) 및 흡인 장치(18)를 설치할 여유가 없을 경우에, 덕트(38) 및 덕트(40)의 길이를 연장하여, 송풍 장치(16) 및 흡인 장치(18)를 지폐 계수기로부터 이간시킬 수 있다. 이 태양에서는, 송풍 장치(16)와 흡인 장치(18)의 운전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덕트(38) 및 덕트(40)는, 소위 주름상자 모양으로 적당히 굴곡시키도록 하여도 되며, 복수의 덕트를 조립하여 크랭크(crank) 모양으로 배관하도록 하여도 된다.
(제 3 실시형태)
제 3 실시형태의 특징은, 송풍 장치(16)와 흡인 장치(16)를 일체화한 것에 특징이 있다. 도 5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지폐 계수기(10)의 평면도이다.
계수 장치 본체(10A)에 마련되어진 흡인관(22)은, 송흡인 장치(18)의 흡인구(18A)에 접속되어 있다. 계수 장치 본체(10A)에 마련되어진 송풍관(20)은, 흡인 장치(18)의 송풍구(18B)에 접속되어 있다. 송흡인 장치(18)에는, 흡인한 공기를 배출하는 개구가 있으며, 이것을 송풍구(18B)로 했다. 송흡인 장치(18)에는, 필터가 내장되며, 흡인한 공기에 포함되는 분진은 당해 필터에 의해 제거된다. 필터 대신에 원심분리기 등의 제진 수단을 구비해도 된다. 또, 송흡인 장치(18)를 덕트(38) 및 덕트(40)를 개재함 없이 계수 장치에 접속해도 된다.
(제 4 실시형태)
제 4 실시형태의 특징은, 스태커(12)에서 발생하는 분진의 양에 따라 제진 제어가 실행되는 점에 있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태커(12)의 내측에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분진계(粉塵計)(42A, 42B)가 장착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분진계(42A, 42B)는, 제진 컨트롤러(38)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진 컨트롤러(38)에는, 송풍관(20)의 송풍구(20A)에 장착된 조절판(24)을, 전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조절판 구동부(44)가 접속되어 있다.
풍향과 송풍력과 흡인력의 최적값은 분진의 크기나 농도에 의해 달라지게 된다. 그러므로, 미리 제진 컨트롤러(38)용의 메모리에, 분진의 농도와 크기의 데이터 테이블을 기억시켜 두고, 풍향과 송풍력과 흡인력의 조합을 여러 가지 패턴만큼 프로그램해 두고, 제진 컨트롤러(38)가 분진계(42A, 42B)의 계측 데이터를 리얼 타임으로 읽어들여서, 항상 최적인 집진 효과가 얻어지도록 집진 장치를 제어한다.
도 8은 제진 컨트롤러(38)에 있어서의, 분진계(42A, 42B)를 이용한 제진 제어의 흐름도이다. 스텝 50에서, 제진 컨트롤러(38)는, 지폐의 계수가 개시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긍정 판정을 하면, 스텝 52로 이행하고, 풍향과 송풍력과 흡인력의 초기값에 의거하여 송풍 장치(20)와 흡인 장치(22)를 구동시켜서 스텝 54로 이행한다. 스텝 54에서는, 제진 컨트롤러(38)는 분진계(42A, 42B)에 의해 분진량을 계측하고, 스텝 56에서는, 계측값을 읽어들이고, 이어서 스텝 58로 이행하고, 계측값과 집진 태양(풍향, 송풍력(풍속), 흡인력(흡인 속도) 등)의 관계 테이블을 독출한다.
다음의 스텝 60에서는, 제진 컨트롤러(38)는, 관계 테이블에 의거하여, 계측된 분진량에 최적인 집진 태양을 선택, 또는, 결정하고, 스텝 62로 이행하여, 송풍 장치(20) 및 흡인 장치(22)에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조절판(24)의 각도를 설정한다. 스텝 64에서는, 지폐의 계수가 종료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54로 되돌아가서, 상기 공정을 되풀이한다. 긍정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66으로 이행하여, 송풍 장치(20) 및 흡인 장치(22)의 구동을 정지하고, 이 루틴은 종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지엽류 계수기는, 지엽류로부터의 집진을 위한 기구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 청정기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또한, 집진의 영향이 큰 스택에 대하여 집진 기구를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집진 기구를 소형화해도 높은 집진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지폐 계수기를 설명했지만, 주권(株券), 수표 등의 증권류에서도 같다.
10: 지폐 계수기 12: 스태커
12A: 사면부 14: 경계판
14A: 경사부 16: 송풍 장치
18: 흡인 장치 20: 송풍관
20A: 송풍구 22: 흡인관
22A: 흡인구 22B: 돌출부
24: 조절판 24A: 회전축부
26: 컨트롤부 27: 메인 컨트롤러
28: 계수 컨트롤러 30: 제진 컨트롤러
32: 매엽 장치 34: 계수 장치
36: 표시 장치 38: 덕트
40: 덕트 42A, 42B: 분진계
44: 조절판 구동부

Claims (8)

  1. 지엽류(紙葉類)의 계수(計數) 기구를 구비한 지엽류 계수기로서,
    복수의 지엽류를 퇴적시켜서 보관하는 스태커(stacker)와,
    당해 스태커에 대하여 기류(氣流)를 공급하여, 당해 기류와 함께 상기 지엽류로부터의 분진을 수집하는 제진(除塵)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진 장치는,
    상기 스태커로 통하는 공간을 횡단하도록 상기 기류를 공급하고,
    송풍량을 조정가능한 송풍 장치와 흡인량을 조정가능한 흡인 장치를 구비하고,
    개구(開口)의 일단에 상기 송풍 장치의 송풍구가 배치되고, 상기 개구의 타단에 상기 흡인 장치의 흡인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송풍구에, 송풍 방향을 조절가능한 조절부가 설치되어 있는, 지엽류 계수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커의 분진량을 계측하는 분진계(粉塵計)와,
    분진량과 집진 태양(態樣)의 패턴을 기억하는 기억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분진계에 의한 계측값에 의거하여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소정 패턴을 결정하고, 당해 패턴에 의거하여 집진을 실행하는 지엽류 계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집진 효과가 높은 방향으로 상기 송풍 방향을 설정하는 지엽류 계수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상기 송풍구로부터 보내진 기류를 상기 흡인구를 향해서 유도하는 유도 영역과, 상기 흡인구 근방에는, 당해 기류의 누설의 억제 영역을 구비하는 지엽류 계수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장치가 제 1 경로를 통해서 지엽류 계수기 본체에 접속되고, 상기 흡인 장치가 제 2 경로를 통해서 상기 지엽류 계수기 본체에 접속되어 있는 지엽류 계수기.
KR1020160024843A 2015-06-09 2016-03-02 지엽류 계수기 KR1018301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16770 2015-06-09
JP2015116770A JP6454227B2 (ja) 2015-06-09 2015-06-09 紙葉類計数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899A KR20160144899A (ko) 2016-12-19
KR101830178B1 true KR101830178B1 (ko) 2018-03-29

Family

ID=57735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843A KR101830178B1 (ko) 2015-06-09 2016-03-02 지엽류 계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454227B2 (ko)
KR (1) KR1018301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6515A (ja) 1998-09-03 2000-03-14 Toshiba Corp 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粉除去方法
US20120156000A1 (en) 2010-12-17 2012-06-21 Yoshiyuki Otsuka Banknote processing device and mounting table therefor
JP2015060517A (ja) 2013-09-20 2015-03-30 株式会社日立システムズ 紙幣取引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913B1 (ko) * 1999-10-22 2001-11-03 진종섭 지폐계수기의 집진장치
JP2003050028A (ja) * 2001-05-31 2003-02-21 Matsushita Seiko Co Ltd 紙幣計数機用空気清浄機
JP3183338U (ja) * 2013-02-22 2013-05-16 銖川企業股▲ふん▼有限公司 導塵式紙幣計数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6515A (ja) 1998-09-03 2000-03-14 Toshiba Corp 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粉除去方法
US20120156000A1 (en) 2010-12-17 2012-06-21 Yoshiyuki Otsuka Banknote processing device and mounting table therefor
JP2015060517A (ja) 2013-09-20 2015-03-30 株式会社日立システムズ 紙幣取引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54227B2 (ja) 2019-01-16
JP2017001807A (ja) 2017-01-05
KR20160144899A (ko) 201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350921A (ja) 紙葉類処理装置
CN207503321U (zh) 一种票据处理系统及自助金融设备
JP2013050811A5 (ko)
CN107408320A (zh) 纸张片材处理装置
JP2018020853A (ja) 紙葉類処理装置
KR101830178B1 (ko) 지엽류 계수기
JP2008013303A (ja) 媒体処理装置
JP2007302418A (ja) 媒体集積装置
CN207068099U (zh) 提高存入钞箱钞票识别率的装置及钞票存取设备
JP2005177617A (ja) 紙葉類裁断装置
JP6398592B2 (ja) 媒体収納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5227267B2 (ja) 紙葉類疲労判別装置、紙幣処理装置、紙葉類疲労判別方法
WO2018166479A1 (zh) 纸币集积装置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JP2019152905A (ja) 媒体処理装置
JP6033608B2 (ja) 紙幣疲労判別装置、紙幣処理装置、および紙幣疲労判別方法
JP2006065435A (ja) 媒体処理装置
RU2646556C1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бумажных листов
KR102357061B1 (ko) 지폐처리장치 및 방법
KR101607339B1 (ko) 집적 공간 조절 가이드를 구비한 지폐취급장치와 지폐취급방법
KR101769622B1 (ko)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와 지폐집적방법
KR102405715B1 (ko)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3588310U (zh) 一种高效选钞点钞机
JP5852052B2 (ja) 出金装置
CN215068329U (zh) 一种点钞机
CN211956606U (zh) 一种验钞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