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983B1 - 봉지의 매듭구조 - Google Patents

봉지의 매듭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9983B1
KR101829983B1 KR1020160068571A KR20160068571A KR101829983B1 KR 101829983 B1 KR101829983 B1 KR 101829983B1 KR 1020160068571 A KR1020160068571 A KR 1020160068571A KR 20160068571 A KR20160068571 A KR 20160068571A KR 101829983 B1 KR101829983 B1 KR 101829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ealing body
bag
wire
kn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6725A (ko
Inventor
이민우
Original Assignee
이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우 filed Critical 이민우
Priority to KR1020160068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9983B1/ko
Priority to PCT/KR2016/008001 priority patent/WO2017209348A1/ko
Priority to CN201690001667.6U priority patent/CN208979416U/zh
Priority to JP2018600159U priority patent/JP3221850U/ja
Priority to EP16904147.2A priority patent/EP3466830B1/en
Priority to US16/097,314 priority patent/US10486863B2/en
Publication of KR20170136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8Strings or strip-like closures, i.e. draw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65D85/34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having a meshed or apertured closure to allow contents to breath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 B65D85/812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with features facilitating their manipulation or suspension
    • B65D2081/0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봉지의 매듭구조가 개시된다.
두 겹으로 이루어지며, 3면이 닫혀져 있으며, 상부의 입구부가 개방된 봉지 몸체부(10)와;
상기 봉지 몸체부(10)의 상부의 일측에 상기 입구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봉지 몸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1 홀(21)과;
상기 제1 홀(21)과 인접하여 상기 봉지 몸체부(10)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2 홀(22)과;
상기 제2 홀(22)과 이격되어 상기 봉지 몸체부(10)의 상부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봉지 몸체부(10)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3홀(23)과;
상기 봉지 몸체부(10)의 뒷면에 배치된 매듭 와이어(30)를 포함하되,

상기 매듭 와이어(30)는,
상기 제1 홀(21)을 관통하여 전면부로 일부분이 빠져나와 제1 고리(31)를 형성되며,
상기 제 2홀(22)을 관통하여 전면부로 일부분이 빠져나온 뒤, 상기 제1 고리(31)를 관통하여 제2 고리(32)가 형성되며,
상기 제3 홀(23)을 관통하여 전면부로 일부분이 빠져나온 뒤, 상기 제2 고리(32)를 관통하는 제3 고리(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봉지의 매듭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봉지의 매듭구조{Knots of bag}
본 발명은 봉지의 매듭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나 커피를 침출하여 마시기 위하여, 봉지(티백)로 포장한다. 봉지는 내부의 차나 커피는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지만, 물은 통과할 수 있는 부직포나 면직물 재질일 수 있다.
봉지는 두 겹의 직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3면은 닫혀있고, 상부 입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봉지의 입구부를 열고 차나 커피를 넣고, 닫아야 한다. 이때, 봉지의 입구부를 간편하게 닫는 방법이 필요하다.
한편, 봉지는 배(pear)와 같은 과일을 감싸서 해충으로부터 보호하기도 한다. 이때, 작업이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배를 감싼 봉지를 원터치 방식으로 쉽게 묶어야 한다.
한국공개실용 20-2011-0005366(티백)
본 발명은 봉지의 입구부를 원터치로 묶을 수 있는 봉지의 매듭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두 겹으로 이루어지며, 3면이 닫혀져 있으며, 상부의 입구부가 개방된 봉지 몸체부(10)와;
상기 봉지 몸체부(10)의 상부의 일측에 상기 입구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봉지 몸체부(10)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1 홀(21)과;
상기 제1 홀(21)과 인접하여 상기 봉지 몸체부(10)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2 홀(22)과;
상기 제2 홀(22)과 이격되어 상기 봉지 몸체부(10)의 상부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봉지 몸체부(10)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3홀(23)과;
상기 봉지 몸체부(10)의 뒷면에 배치된 매듭 와이어(30)를 포함하되,
상기 매듭 와이어(30)는,
상기 봉지 몸체부(10)의 뒷면에서 상기 제1 홀(21)을 관통하여 전면부로 일부분이 빠져나와 제1 고리(31)를 형성하며,
상기 봉지 몸체부(10)의 뒷면에서 상기 제 2홀(22)을 관통하여 전면부로 일부분이 빠져나온 뒤, 상기 제1 고리(31)를 관통하여 제2 고리(32)를 형성하며,
상기 봉지 몸체부(10)의 뒷면에서 상기 제3 홀(23)을 관통하여 전면부로 일부분이 빠져나온 뒤, 손잡이부(34)를 형성하는 봉지의 매듭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봉지의 입구부를 원터치로 묶을 수 있는 봉지의 매듭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의 매듭구조의 정면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의 매듭구조를 설명하는 예시도(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의 매듭구조를 설명하는 예시도(정면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써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의 매듭구조의 정면도이며,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의 매듭구조를 설명하는 예시도(평면도)이며,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의 매듭구조를 설명하는 예시도(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봉지의 매듭구조(100)는,
두 겹으로 이루어지며, 3면이 닫혀져 있으며, 상부의 입구부가 개방된 봉지 몸체부(10)와;
상기 봉지 몸체부(10)의 상부의 일측에 상기 입구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봉지 몸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1 홀(21)과;
상기 제1 홀(21)과 인접하여 상기 봉지 몸체부(10)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2 홀(22)과;
상기 제2 홀(22)과 이격되어 상기 봉지 몸체부(10)의 상부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봉지 몸체부(10)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3홀(23)과;
상기 봉지 몸체부(10)의 뒷면에 배치된 매듭 와이어(30)를 포함하되,
상기 매듭 와이어(30)는,
상기 봉지 몸체부(10)의 뒷면에서 상기 제1 홀(21)을 관통하여 전면부로 일부분이 빠져나와 제1 고리(31)를 형성하며,
상기 봉지 몸체부(10)의 뒷면에서 상기 제 2홀(22)을 관통하여 전면부로 일부분이 빠져나온 뒤, 상기 제1 고리(31)를 관통하여 제2 고리(32)를 형성하며,
상기 봉지 몸체부(10)의 뒷면에서 상기 제3 홀(23)을 관통하여 전면부로 일부분이 빠져나온 뒤, 손잡이부(34)를 형성한다.
봉지 몸체부(10)는 두 겹으로 이루어지며, 3면이 닫혀져 있다. 봉지 몸체부(10)의 상부의 입구부는 개방되어 있다. 봉지 몸체부(10)는 부직포 시트, 면직물 뿐만 아니라 종이나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 질수 있다. 두 겹의 부직포 시트에서 삼면은 닫혀져 있고, 상부의 입구는 열려져 있다.
봉지 몸체부(10)의 상부의 일측에 제1 홀(21)이 형성되어 있다. 봉지 몸체부(10)는 입구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봉지 몸체부(10)를 관통한다.
제2홀(22)은 제1 홀(21)과 인접하여 위치하며, 봉지 몸체부(1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제3홀(23)은 제2 홀(22)과 이격되어 봉지 몸체부(10)의 상부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봉지 몸체부(10)를 관통한다.
매듭 와이어(30)는 봉지 몸체부(10)의 뒷면에 배치되며, 앞면으로 매듭을 형성한다. 매듭 와이어(30)는 하나의 끈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매듭 와이어(30)의 손잡이부(34)를 당기면, 봉지 몸체부(10)의 입구부가 조여진다. 즉, 원터치로 봉지 몸체부(10)의 입구부를 조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매듭 와이어(30)의 매듭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매듭 와이어(30)는, 봉지 몸체부(10)의 뒷면에서 제1 홀(21)을 관통하여 전면부로 일부분이 빠져나와 제1 고리(31)를 형성한다. 매듭 와이어(30)는 처음에 뒷면에 배치된다. 제1 홀(21)을 통하여 매듭 와이어(30)를 전방으로 당기면 제1 고리(31)가 형성된다.
봉지 몸체부(10)의 뒷면에 배치된 매듭 와이어(30)를 제2 홀(22)을 통하여 전방으로 당기면, 일부분이 빠져나와서 제2 고리(32)를 형성한다. 또한, 제2 고리(32)는 제1 고리(31)를 관통한다.
봉지 몸체부(10)의 뒷면에 배치된 매듭 와이어(30)를 제3 홀(33)을 통하여 전방으로 당기면, 손잡이부(34)가 빠져나와 제2 고리(32)를 관통한다. 손잡이부(34)는 제3 고리(33)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 결과 도 1과 같은 매듭구조가 봉지 몸체부(10)의 입구부에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은 손잡이부(34)를 당길 경우, 봉지 몸체부(10)의 입구가 조여지는 과정을 보여준다. 매듭 와이어(30)의 손잡이부(34)를 당길 경우, 느슨한 부분의 매듭부분 먼저 조여진다. 제2 홀(22)과 제3 홀(23)의 폭이, 제2 홀(22)과 제1 홀(21)의 폭보다 넓기 때문에 제2 홀(22)과 제3 홀(23) 사이의 매듭 와이어(30) 부분이 상대적으로 느슨하게 매듭되어 있다. 따라서, 이 부분의 매듭 와이어(30)가 조여진다. 특히, 제3 홀(23)에 인접한 손잡이부(34)를 당기기 때문에 힘이 제3 홀(23)에 인접한 부분의 매듭 와이어(30) 부분이 조여진다.
제2 홀(22)과 제3 홀(23) 사이의 매듭 와이어(30) 부분이 조여진 후, 제1 홀(21)과 제2 홀(22) 사이의 매듭 와이어(30) 부분이 조여진다. 두 부분에서 매듭이 이루어지면, 전체적인 매듭 구조가 단단히 묶이게 된다. 그 결과 봉지 몸체부(10)의 입구부가 묶여져서 닫힌다. 그 결과, 봉지 몸체부(10)의 내부의 식품원료는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됩니다.
본 실시예의 봉지는 커피, 차와 같은 식품원료를 넣고 묶을 수도 있으며, 배와 같은 과일을 감싸고 원터치 방식으로 매듭 와이어를 당겨서 묶을 수도 있다. 이러한 용도 이외에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를 바탕으로 균등한 범위까지 당업자가 변형 및 추가하는 범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봉지의 매듭구조(100) 봉지 몸체부(10)
제1 홀(21) 제2 홀(22)
제3홀(23) 매듭 와이어(30)
제1 고리(31) 제2 고리(32)
제3 고리(33) 손잡이부(34)

Claims (1)

  1. 두 겹으로 이루어지며, 3면이 닫혀져 있으며, 상부의 입구부가 개방된 봉지 몸체부(10)와;
    상기 봉지 몸체부(10)의 상부의 일측에 상기 입구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봉지 몸체부(10)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1 홀(21)과;
    상기 제1 홀(21)과 인접하여 상기 봉지 몸체부(10)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2 홀(22)과;
    상기 제2 홀(22)과 이격되어 상기 봉지 몸체부(10)의 상부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봉지 몸체부(10)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3홀(23)과;
    상기 봉지 몸체부(10)의 뒷면에 배치된 매듭 와이어(30)를 포함하되,

    상기 매듭 와이어(30)는,
    상기 봉지 몸체부(10)의 뒷면에서 상기 제1 홀(21)을 관통하여 전면부로 일부분이 빠져나와 제1 고리(31)를 형성하며,
    상기 봉지 몸체부(10)의 뒷면에서 상기 제 2홀(22)을 관통하여 전면부로 일부분이 빠져나온 뒤, 상기 제1 고리(31)를 관통하여 제2 고리(32)를 형성하며,
    상기 봉지 몸체부(10)의 뒷면에서 상기 제3 홀(23)을 관통하여 전면부로 일부분이 빠져나온 뒤, 손잡이부(34)를 형성하는 봉지의 매듭구조.



KR1020160068571A 2016-06-02 2016-06-02 봉지의 매듭구조 KR101829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571A KR101829983B1 (ko) 2016-06-02 2016-06-02 봉지의 매듭구조
PCT/KR2016/008001 WO2017209348A1 (ko) 2016-06-02 2016-07-22 봉지의 매듭구조
CN201690001667.6U CN208979416U (zh) 2016-06-02 2016-07-22 袋的打结结构
JP2018600159U JP3221850U (ja) 2016-06-02 2016-07-22 袋の結び目構造
EP16904147.2A EP3466830B1 (en) 2016-06-02 2016-07-22 Bag knot structure
US16/097,314 US10486863B2 (en) 2016-06-02 2016-07-22 Bag knot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571A KR101829983B1 (ko) 2016-06-02 2016-06-02 봉지의 매듭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725A KR20170136725A (ko) 2017-12-12
KR101829983B1 true KR101829983B1 (ko) 2018-02-19

Family

ID=60478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571A KR101829983B1 (ko) 2016-06-02 2016-06-02 봉지의 매듭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86863B2 (ko)
EP (1) EP3466830B1 (ko)
JP (1) JP3221850U (ko)
KR (1) KR101829983B1 (ko)
CN (1) CN208979416U (ko)
WO (1) WO2017209348A1 (k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108A (en) * 1892-01-12 cussen
GB197725A (en) 1922-02-14 1923-05-14 John Farrelly Improvements in and connected with flexible bags
FR2082080A5 (fr) * 1970-03-03 1971-12-10 Altec Sopitec Emballage enveloppant en matiere plastique, notamment pour articles d'hygiene
US3752388A (en) * 1971-12-02 1973-08-14 Acme Paper Prod Co Ltd Plastic bag with integral strap handles
AT331708B (de) * 1973-05-14 1976-08-25 Meier Gottfried Schnur- oder bandzugverschluss fur beutel oder sacke
US4445230A (en) * 1982-06-17 1984-04-24 Spadaro Giorgio I Bag with integral closure tie
US5160196A (en) * 1991-02-15 1992-11-03 Joseph Curtis Trash bag with mouth stiffener insert
US6059458A (en) * 1999-02-05 2000-05-09 Tenneco Packaging, Inc. Elastic top drawtape ba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9990033842U (ko) 1999-05-31 1999-08-16 정추일 과일재배용봉지.
KR100336944B1 (ko) 2000-01-07 2002-05-15 성권일 과일봉투
ES2211702T3 (es) 2001-07-06 2004-07-16 Paul Gerhard Dr.-Ing. Klar Bolsa de infusion.
KR200299304Y1 (ko) 2002-10-08 2002-12-31 화성시 과채류 보호봉지
US20040252921A1 (en) 2003-06-13 2004-12-16 Winiarski Peggy B. Oven bag with pre-formed perforations
KR200394540Y1 (ko) 2005-06-23 2005-09-02 성화금속 주식회사 원터치 방식의 과일 보호용 봉지
JP4980498B1 (ja) 2012-02-02 2012-07-18 末則 辻本 果菜類保護カ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725A (ko) 2017-12-12
EP3466830A4 (en) 2019-05-15
US20190135497A1 (en) 2019-05-09
EP3466830A1 (en) 2019-04-10
US10486863B2 (en) 2019-11-26
WO2017209348A1 (ko) 2017-12-07
EP3466830B1 (en) 2020-02-19
JP3221850U (ja) 2019-06-27
CN208979416U (zh) 2019-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381B1 (ko) 묶음 및 풀림이 용이한 과실봉지 묶음밴드 및 그 과실봉지묶음장치
KR101829983B1 (ko) 봉지의 매듭구조
CN205837483U (zh) 一种编织袋
US20190239543A1 (en) Dried food fresh-keeping packaging bag structure
US10364097B2 (en) Trash bag securing system
JP2016214204A (ja) 包装シート、包装飯塊及び包装飯塊の包装を解く方法
JP3200959U (ja) 農業用保護袋
CN205596772U (zh) 一种树木土球包装袋
TWM512889U (zh) 水果套袋結構改良
KR200384005Y1 (ko) 묶음용 끈이 형성된 비닐포대
JP2016094232A (ja) 米麦等包装用紙袋
CN217599243U (zh) 一种带有束口功能的面粉袋
EP1943166A1 (en) Cover for furniture
JP3213865U (ja) 出汁取り袋
JP4539667B2 (ja) 紐式締め具
JP3191059U (ja) 房状果実の出荷・展示袋
TWM527678U (zh) 果實套袋
US683760A (en) Bag for holding hams.
US590900A (en) mtjnn
US1294886A (en) Package-tie.
KR20200002163U (ko) 해충 침입 방지 음료수 용기
CN204846731U (zh) 环保料束口袋
KR20140002040U (ko) 과일 포장 주머니
CN108064927A (zh) 一种辣椒的保存方法
KR20180093630A (ko) 보조 매듭부를 가진 종이쌀포대 및 그의 포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