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376B1 - 음향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음향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9376B1
KR101829376B1 KR1020170001516A KR20170001516A KR101829376B1 KR 101829376 B1 KR101829376 B1 KR 101829376B1 KR 1020170001516 A KR1020170001516 A KR 1020170001516A KR 20170001516 A KR20170001516 A KR 20170001516A KR 101829376 B1 KR101829376 B1 KR 101829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along
transmitting member
drive
magne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1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영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1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9376B1/ko
Priority to EP18736758.6A priority patent/EP3567868B1/en
Priority to PCT/KR2018/000099 priority patent/WO2018128374A1/ko
Priority to US16/475,877 priority patent/US1068713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6Supports for loudspeaker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5/00Holding or levitation devices using magnetic attraction or repuls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5Transducer mountings or cabinet supports enabling variable orientation of transducer of cabi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는, 플라잉 바디를 공중으로 띄우기 위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력 발생부를 구비하는 승강 부재와, 상기 승강 부재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며 상기 승강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달 부재와, 상기 전달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향 출력 장치 {Sound output device}
본 발명은 자기력에 의해 공중 부양하는 스피커를 구비한 음향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는 공기를 진동 시키기 위해 필연적으로 스스로 진동이 있어야 하고, 외부의 물체(바닥이나 벽체 등)에 접촉되어 배치된 경우 그 진동을 방해하여 잡음이 발생하는 등 음질에 안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종래에는 외부의 물체에 접촉없이 스피커를 진동 시키기 위해 스피커를 공중에 부양시키는 기술이 있다. 스피커를 공중에 부양시키기 위해, 자기장에 의한 자기력(척력)을 이용한다. 또한, 스피커가 공중에서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자기장을 변경시켜주는 전자석을 구비하는 음향 출력 장치가 알려져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523269 (등록 일자 2015년 5월 20일)
종래 기술에서 공중 부양된 스피커의 높이 조절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제 1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제 2과제는 공중 부양된 스피커의 높이 조절을 위한 장치의 상하 방향 길이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제 3과제는 공중 부양된 스피커의 높이 조절을 하는 데에 있어,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 4과제는 공중 부양된 스피커의 기설정된 특정 높이 레벨을 기설정하기 쉽고, 높이 조절 장치가 정지한 상태에서도 모터에 부담없이 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5과제는 모터의 구동시 모터의 부담을 줄이는 것이다.
상기 제 1 내지 3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는, 플라잉 바디를 공중으로 띄우기 위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력 발생부를 구비하는 승강 부재와, 상기 승강 부재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며 상기 승강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달 부재와, 상기 전달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내지 3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는, 스피커 및 자성체를 구비한 플라잉 바디와, 상기 자성체와의 관계에서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자력 발생부와, 상기 자력 발생부가 고정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서 돌출된 가이드 커넥터와, 상기 가이드 커넥터가 삽입되는 구동 가이드를 가진 전달 부재와, 상기 전달 부재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자력 발생부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가이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가이드 커넥터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3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자력 발생부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프레임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3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 부재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상기 가이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승강 부재의 둘레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전달 부재의 둘레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제 3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승강 부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구동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구동 가이드에 접촉되어 이동이 안내되는 가이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가이드는 상기 측벽부의 내측면에서 함몰된 홈 또는 관통된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커넥터는 상기 구동 가이드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부재가 상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전달 부재는 제 1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승강 부재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전달 부재는 제 2방향으로 회전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전달 부재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상기 구동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복수의 구동 가이드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가이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가이드는, 제 1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5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경사부의 경사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예각을 이루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4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 가이드는, 상기 경사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 가이드는, 제 1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진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수평으로 연장된 제 1수평부와, 상기 경사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수평으로 연장된 제 2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 가이드는, 제 1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제 2방향 측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2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진 제 1경사부와, 상기 수평부의 상기 제 1방향 측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1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진 제 2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 가이드는, 제 1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된 제 1수평부와, 상기 제 1수평부의 상기 제 1방향 측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1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진 제 1경사부와, 상기 제 1경사부의 상기 제 1방향 측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1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된 제 2수평부와, 상기 제 2수평부의 상기 제 1방향 측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1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진 제 2경사부와, 상기 제 2경사부의 상기 제 1방향 측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1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된 제 3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전달 부재의 원주 방향 회전을 안내하는 전달 부재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 부재 가이드는, 상기 전달 부재의 하단을 따라 연장된 하측 가이드와, 상기 전달 부재의 상단을 따라 연장된 상측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자력 발생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프레임 중, 어느 하나는 상하로 연장되는 승강 부재 가이드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승강 부재 가이드가 삽입되어 상기 승강 부재의 상하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 부재는 원주 방향을 따라 기어이를 형성하는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 장치는, 상기 전달 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상기 기어부의 기어이와 맞물리는 기어이를 형성하는 구동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 전달부는, 상기 지지 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전달 부재의 원심 방향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공중 부양된 스피커를 편리하게 높이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피커의 공중 부양 높이의 조절 창치의 상하 방향 폭을 줄여, 기기 전체의 높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달 부재와 승강 부재의 배치관계나 복수의 구동 가이드 및 가이드 커넥터 구조를 통해서, 중력 및 자기력(척력) 및 중력에 의해 승강 부재(100)에 아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안정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플라잉 바디가 공중 부양된 상태에서 승강 부재에 작용하는 자기력(척력)은 상기 승강 부재가 이동하는 동안 불균일하게 작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구조를 통해 상기 승강 부재가 어느 한 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이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의 경사가 예각을 이루게 구비함으로써, 상기 승강 부재를 상승시킬 때 전달 부재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모터의 하중 부담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커넥터와 상기 경사부의 접촉점에서, 상기 구동 가이드가 수평 방향(원주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커넥터를 밀어주는 힘보다 상기 가이드 커넥터를 상측으로 밀어주는 힘이 커지게 되고, 전달 부재()를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약한 힘으로 회전시켜도 승강 부재()를 상측으로 상대적으로 강한 힘으로 밀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구동 가이드가 상기 수평부를 구비함으로써, 모터(341)에 하중이 걸리지 않은 채 전달 부재(200)의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승강 부재()에 작용하는 중력 및 자기력은 전달 부재(200)에 모두 전달되는데, 이 경우에도 가이드 커넥터(120)가 수평부(243)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모터의 하중 부담이 거의 없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경사부의 양측으로 각각 수평부를 둠으로써, 상기 승강 부재가 정지하는 높이차있는 2개의 위치를 기설정하기 쉬워진다.
또한, 2개의 경사부의 사이로 상기 수평부를 둠으로써, 상기 승강 부재의 상하 방향의 전체 이동 범위 중 중간부에 특정 위치를 기설정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제 1수평부, 제 1경사부, 제 2수평부, 제 2경사부 및 제 3수평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승강 부재가 정지하는 복수의 높이차나는 위치(최저 위치, 최고 위치 및 중간 위치 등)를 기설정하기 쉬워진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a는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공중 부양된 플라잉 바디(20)가 도시되고, 도 1b는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로 공중 부양된 플라잉 바디(20)가 도시된다.
도 2a 및 2b는, 도 1a 및 1b의 로어 바디(10)의 케이스(11) 내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상대적으로 낮은 제 1높이(h1)에 위치하는 승강 부재(100)가 도시되고, 도 2b는 상대적으로 높은 제 2높이(h2)에 위치하는 승강 부재(100)가 도시된다.
도 3은, 도 2a 및 2b의 로어 바디(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b의 로어 바디(10)의 측면을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로어 바디(10)를 라인 A1-A1'를 따라 수평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로어 바디(10)를 라인 A2-A2'를 따라 수직으로 자른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a의 로어 바디(10)에서 탑 커버(310), 측면 커버(320) 및 하면 커버(330)를 제외한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8c는, 도 7의 로어 바디(10)를 측면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8a는 승강 부재(100)의 높이가 최저값(l0)인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b는 승강 부재(100)의 높이가 최저값(l0)보다 크고 최고값(l2)보다 작은 특정값(l1)인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c는 승강 부재(100)의 높이가 상기 특정값(l1)보다 높은 최고값(l2)인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c의 로어 바디(10)를 라인 A3-A3'를 따라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이하, 중력 방향을 하측 방향으로 하고, 이를 기준으로 상측 방향을 정의한다. 또한, 이하에서 언급되는 '중심축(X)'은 도 1a 내지 2b에 표기된 바와 같이 음향 출력 장치(1)의 중앙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상의 축을 의미한다. 이하, 중심축(X)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원심 방향'으로 정의하고, 중심축(X)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원심 반대 방향'으로 정의하며, 중심축(X)을 중심으로 한 회전 방향을 '원주 방향'으로 정의한다. 또한, 원주 방향은 상측에서 바라볼 때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구성되고, 상기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를 '제 1방향'으로 정의하고 다른 하나를 '제 2방향'으로 정의한다.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 1, 제 2, 제 3'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구성요소 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 1 구성요소 없이 제 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도 1a 내지 2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는,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로어 바디(10)를 포함한다. 음향 출력 장치(1)는 자기력에 의한 척력을 이용하여 공중으로 부양되게 구비되는 플라잉 바디(20)를 포함한다.
로어 바디(10)는 플라잉 바디(20)의 하측에 배치된다. 로어 바디(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1)를 포함한다. 케이스(11)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케이스(11)는 후술할 승강 부재(100), 전달 부재(200) 및 지지 부재(300)를 내부에 수용한다. 로어 바디(10)는 케이스(11)를 지지하는 베이스(13)를 포함한다. 베이스(13)는 케이스(11)의 하측에 배치되어 외부의 바닥에 놓여질 수 있다.
플라잉 바디(20)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25)를 포함한다. 플라잉 바디(20)는 사용자의 지시를 입력 받는 버튼이나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부(27)를 포함한다. 플라잉 바디(20)는 로어 바디(10)의 자력 발생부(150)와 작용하여 자기력을 받는 자성체(29)를 포함한다.
플라잉 바디(20)의 하측부(21)에 자성체(29)가 배치될 수 있다. 하측부(21)의 내부에 자성체(29)가 배치될 수 있다. 플라잉 바디(20)의 상측부(23)에 스피커(25)가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25)는 중심축(X)을 중심으로 한 모든 방향으로 소리를 출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플라인 바디(20)의 하측부(21)와 상측부(23)의 사이에 위치한 중간부(22)에 입력부(27)가 배치될 수 있다. 플라잉 바디(20)는 스피커의 작동을 위한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 장치(1)는 무선으로 배터리를 충전시켜주는 무선 충전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바디(10)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 부재(100)를 포함한다. 로어 바디(10)는 승강 부재(100)에 상하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는 전달 부재(200)를 포함한다. 로어 바디(10)는 전달 부재(200)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300)를 포함한다.
승강 부재(100)는 플라잉 바디(20)를 공중으로 띄우기 위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력 발생부(150)를 포함한다. 자력 발생부(150)는 자성체(29)와의 관계에서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자력 발생부(150)는 전자석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링 형의 영구 자석으로 구비된다. 자력 발생부(150)의 상측면 및 하측면 중 어느 하나가 N극이고 다른 하나가 S극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자력 발생부(150)의 상측면이 N극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자력 발생부(150)에서 발생한 자기력 선 들 중 일부는 N극(자력 발생부의 상측면)에서 시작하여 원심 반대 방향으로 꺾여 중심축(X) 상에서 음향 출력 장치(1)를 상하로 관통하고 S극(자력 발생부의 하측면)으로 돌아온다. 자력 발생부(150)에서 발생한 자기력 선 들 중 다른 일부는 N극(자력 발생부의 상측면)에서 시작하여 원심 방향으로 꺾여 S극(자력 발생부의 하측면)으로 돌아온다. 이 경우, 중심축(X) 상에서는 상측이 S극이 되고 하측이 N극이 된다. 플라잉 바디(20)는 중심축(X) 상에서 공중 부양을 하기 위해, 자성체(29)의 하측면이 S극이 되고 상측면이 N극이 되게 구비된다. 즉, 플라잉 바디(20)의 자성체(29)의 하측면과 로어 바디(10)의 링 형상의 자력 발생부(150)의 상측면이 서로 반대 극성을 가지게 구비된다.
중심축(X) 상에서 플라잉 바디(20)가 자력 발생부(150)에 가깝게 위치할수록 자기력(척력)은 강해진다. 플라잉 바디(20)에 하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중력과 상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자기력(척력)이 평형을 이루는 위치에서, 플라잉 바디(20)가 공중 부양하게 된다. 이하, 플라잉 바디(20)에 작용하는 중력과 자기력이 평형을 이루어 플라잉 바디(20)가 공중 부양된 상태를, '평형 상태'라고 정의한다.
평형 상태인 플라잉 바디(20)의 자력 발생부(150)에 대한 상대적 위치는 일정하므로, 자력 발생부(150)의 높이를 상하로 변경시키면 플라잉 바디(20)의 공중 부양 높이도 상하로 변경된다.
승강 부재(100)는 자력 발생부(150)가 고정되는 프레임(110)을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자력 발생부(150)를 지지한다. 프레임(110)은 상측에서 바라볼 때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력 발생부(150)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프레임(110)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프레임(110)의 상측에 자력 발생부(150)가 배치된다.
승강 부재(100)는 중심축(X) 상에 배치된 홀 센서(170)를 포함한다. 홀 센서(170)는 자속을 감지한다. 자력 발생부(150)에 의해 발생된 자속만 존재하는 경우에, 홀 센서(170)에서 감지하는 자속을 '기준 자속값'이라 정의한다. 평형 상태인 플라잉 바디(20)의 자성체(29)에 의해서도 '기준 자속값'은 변경되지 않는다. 만약 플라잉 바디(20)가 중심축(X)을 벗어나게 되는 경우(평형 상태가 순간적으로 깨지는 경우)에, 자성체(29)의 자속에 의해 홀 센서(170)에서 감지하는 자속값은 상기 기준 자속값과 다른 값이 된다.
승강 부재(100)는 플라잉 바디(20)가 중심축(X) 상에서 벗어나는 것을 막기위해 구비된 자력 조절부(160)를 포함한다. 자력 조절부(160)는 코일에 의해 구비된 전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자력 조절부(160)가 중심축(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4개의 자력 조절부(160a, 160b, 160c, 160d)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며 배치된다. 자력 조절부(160)에 전류가 인가되면, 자력 조절부(160)의 상측면 및 하측면 중 어느 하나는 N극이 되고 다른 하나는 S극이되어 추가적인 자속을 발생시키며, 이를 이용하여 플라잉 바디(20)를 중심축(X) 상에 배치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형 상태였던 플라잉 바디(20)가 일측 방향으로 중심축(X)을 벗어나는 미세한 움직임을 보인 경우, 홀 센서(170)는 이에 따른 자속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일측 방향에 배치된 자력 조절부(160a)에 전류가 인가된다. 전류가 인가된 자력 조절부(160a)의 상측면이 S극이 되면 플라잉 바디(20)를 중심축(X) 상으로 다시 밀어낼 수 있다.
승강 부재(100)는 구동 가이드(240)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커넥터(120)를 포함한다. 가이드 커넥터(120)는 프레임(110)에 고정된다. 가이드 커넥터(120)는 전달 부재(200)에 의해 지지된다. 가이드 커넥터(120)는 프레임(110)을 지지한다. 승강 부재(100)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가이드 커넥터(120a, 120b, 120c)를 포함한다. 복수의 가이드 커넥터(120a, 120b, 120c)가 프레임(1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전달 부재(200)는 승강 부재(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하게 구비된다. 전달 부재(200)는 승강 부재(10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한다. 전달 부재(200)는 회전하며 승강 부재(1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전달 부재(200)에 의해 승강 부재(10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자력 발생부(150)의 높이가 높아진다. 자력 발생부(150)의 높이가 높아지면, 평형 상태가 되는 플라잉 바디(20)의 높이가 높아진다.
도 2a 및 2b에서, G로 도시된 점선은 상하 방향으로의 기준 위치를 도시한 것이고, E로 도시된 점선은 자력 발생부(150)의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자력 발생부(150)의 높이는 상기 기준 위치에 대한 상대적 높이(h1, h2)로 정의한다. 기준 위치(G)는 자력 발생부(150)가 이동 가능한 최저 위치보다 낮은 위치로 정의하면 되고, 본 설명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도 2a에 도시된 상태는, 전달 부재(200)에 의해 승강 부재(100)가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상태이다. 이 경우, 자력 발생부(150)의 높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제 1높이(h1)가 된다. 이 경우, 플라잉 바디(20)의 하측면과 로어 바디(10)의 상측면의 이격 거리는 상대적으로 짧은 제 1거리(d1)가 된다.(도 1a 참고)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승강 부재(100)가 충분히 하강하여 자력 발생부(150)가 충분히 낮은 높이가 되면, 플라잉 바디(20)의 평형 상태가 되는 위치가 로어 바디(10)의 케이스(11)의 상측면보다 아래에 있게 되어, 로어 바디(10)의 상측면이 플라잉 바디(20)의 하측면과 접촉하게 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상태는, 전달 부재(200)에 의해 승강 부재(100)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상태이다. 이 경우, 자력 발생부(150)의 높이는 상대적으로 높은 제 2높이(h2)가 된다. 제 2높이(h2)는 제 1높이(h1)보다 높다. 이 경우, 플라잉 바디(20)의 하측면과 로어 바디(10)의 상측면의 이격 거리는 상대적으로 긴 제 2거리(d2)가 된다.(도 1b 참고) 제 2거리(d2)는 제 1거리(d1)보다 길다.
지지 부재(300)는 전달 부재(2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지지 부재(300)는 전달 부재(200)의 둘레를 덮어주는 측면 커버(320)를 포함한다. 측면 커버(320)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측면 커버(32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측면 커버(320)는 내부 공간(320a)을 형성한다. 내부 공간(320a)에 전달 부재(200) 및 승강 부재(100)가 배치된다. 측면 커버(320)는 탑 커버(310)와 고정되는 탑 커버 연결부(321)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300)는 측면 커버(320)의 상측에 배치되는 탑 커버(310)를 포함한다. 탑 커버(310)는 승강 부재(100)의 상측에 위치한다. 탑 커버(310)는 중앙부에 중앙 홀(310a)를 형성한다. 상측에서 바라볼 때, 중앙 홀(310a)의 내측에 자력 발생부(150)가 배치된다. 탑 커버(310)는 측면 커버(320)의 탑 커버 연결부(321)에 고정되는 측면 커버 연결부(311)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300)는 측면 커버(320)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면 커버(330)를 포함한다. 하면 커버(330)는 승강 부재(100)의 하측에 위치한다. 하면 커버(330)는 측면 커버(320)의 하단에 고정된다. 하면 커버(330)는 측면 커버(3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300)는 전달 부재(20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340)를 포함한다. 구동부(340)는 전달 부재(200)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구동부(340)는 승강 부재(100)의 하측에 위치한다. 구동부(340)는 하면 커버(330)에 고정될 수 있다. 구동부(340)는 전달 부재(200)의 원심 반대 방향에 배치된다.
지지 부재(300)는 전달 부재(20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전달 부재 가이드(350)를 포함한다. 전달 부재 가이드(350)는 전달 부재(200)의 원주 방향 회전을 안내한다..
지지 부재(300)는 승강 부재(10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승강 부재 가이드(360)를 포함한다. 승강 부재 가이드(360)는 승강 부재(100)의 상하 방향 이동을 안내한다.
도 3 내지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승강 부재(100), 전달 부재(200) 및 지지 부재(300)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측면 커버(320) 및 하면 커버(330)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측이 개구된(open) 내부 공간(320a)를 형성한다. 측면 커버(320)의 원심 방향에 전달 부재(200)가 배치된다. 전달 부재(200)의 원심 방향에 승강 부재(100)가 배치된다. 전달 부재(200) 및 승강 부재(100)의 상측에 탑 커버(310)가 배치된다.
프레임(110)은 원주 방향을 따라 둘레를 형성한다. 프레임(110)의 둘레의 면은 전달 부재(200)의 원심 방향 측면을 마주본다. 상측에서 바라볼 때, 측면 커버(320)의 내측에 측벽부(230)가 배치되고, 측벽부(230)의 내측에 프레임(110)이 배치된다.
가이드 커넥터(120)는 구동 가이드(240)에 접촉되어 이동이 안내된다. 가이드 커넥터(120)는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하게 구비되고, 구동 가이드(240)는 원주 방향으로만 이동하게 구비된다. 구동 가이드(240)가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면, 구동 가이드(240)의 경사에 따라 가이드 커넥터(1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가이드 커넥터(120)는 돌출된다. 가이드 커넥터(120)는 프레임(110)에서 돌출된다. 가이드 커넥터(120)는 측벽부(230)를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커넥터(120)는 구동 가이드(240)에 삽입된다. 가이드 커넥터(120)는 구동 가이드(240)에 삽입된 상태에서, 구동 가이드(240)에 대해 상대 이동하게 구비된다.
복수의 구동 가이드(240a, 240b, 204c)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커넥터(120a, 120b, 120c)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커넥터(120a, 120b, 120c)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중력 및 자기력(척력) 및 중력에 의해 승강 부재(100)에 아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안정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이드 커넥터(120)는 프레임에 고정된 돌출 축(121)을 포함한다. 가이드 커넥터(120)는 돌출 축(1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롤러(123)를 포함한다. 돌출 축(121)은 프레임(110)에서 돌출된다. 롤러(123)는 구동 가이드(240)에 직접 접촉한다. 구동 가이드(240)가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면, 롤러(123)는 구동 가이드(240)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 이동하면서 상하 방향의 힘만 전달받는다.
전달 부재(200)는 가이드 커넥터(12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전달 부재(200)는 프레임(11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다. 전달 부재(200)는 승강 부재(100)의 둘레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쌀 수 있다.
승강 부재(100)가 상측으로 이동할 때 전달 부재(200)는 제 1방향으로 회전하고, 승강 부재(100)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전달 부재(200)는 제 2방향으로 회전하게 구비된다. 물론, 후술할 수평부(243)에 가이드 커넥터(120)가 접촉된 상태에서는, 전달 부재(200)가 제 1방향 또는 제 2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도, 승강 부재(100)는 높이를 유지하며 정지하게 된다.
측벽부(230)는 승강 부재(10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다. 측벽부(230)는 프레임(11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다. 측벽부(230)는 상하 방향으로 높이를 형성하고 원심 방향으로 두께를 형성하는 파이프 형으로 형성된다.
구동 가이드(240)는 측벽부(230)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다. 구동 가이드(240)는 측벽부(230)의 내측면에서 함몰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구동 가이드(240)는 측벽부(230)의 내측면에서 관통된 홀을 형성할 수도 있다. 가이드 커넥터(120)는 구동 가이드(240)에 삽입된다. 가이드 커넥터(120)는 구동 가이드(240)의 홈 또는 홀에 삽입되고, 구동 가이드(240)의 원주 방향 이동에 따라 상하 방향 이동을 안내 받는다.
구동 가이드(240)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는 의미는, 원주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며 연장되거나 원주 방향으로 하향 경시지면서 연장되는 것을 포괄한다.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구동 가이드(240a, 240b, 240c)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가이드(240a, 240b, 240c)는 각각 복수의 가이드 커넥터(120a, 120b, 120c)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8a 내지 8c를 참고하여, 구동 가이드(240)와 가이드 커넥터(12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 가이드(240)는 제 1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진 경사부(241)를 포함한다. 경사부(241)에 가이드 커넥터(120)가 접촉된 상태에서, 전달 부재(200)가 제 1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이드 커넥터(120)는 하측으로 이동하고, 승강 부재(100)가 하측으로 이동한다. 경사부(241)에 가이드 커넥터(120)가 접촉된 상태에서, 전달 부재(200)가 제 2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이드 커넥터(120)는 상측으로 이동하고, 승강 부재(100)가 상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경사부의 경사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예각을 이룬다.
구동 가이드(240)는 경사부(241)의 일단에 연결되고 제 1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부(243)를 포함한다. 수평부(243)에 가이드 커넥터(120)가 접촉된 상태에서, 전달 부재(200)가 제 1방향 또는 제 2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도, 승강 부재(100)는 높이를 유지하며 정지하게 된다.
또한, 구동 가이드(240)가 정지한 상태에서 가이드 커넥터(120)가 수평부(243)에 접촉하고 있는 때에는, 승강 부재(100)의 하중(중력 및 자기력의 합)이 수평부(243)에 전달된다. 이 때, 전달 부재(200)는 이동 가능 방향과 하중을 받는 방향이 수직하므로, 모터(341)에 하중이 걸리지 않은 채 전달 부재(200)의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경사부(241) 및 수평부(243)가 서로 교대로 연결 배치될 수 있다. 수평부(243) 및 복수의 경사부(241)가 서로 교대로 연결 배치될 수 있다. 경사부(241) 및 복수의 수평부(243)가 서로 교대로 연결 배치될 수 있다.
구동 가이드(240)는 제 1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진 경사부(241)와, 경사부(241)의 제 2방향 측단에 연결되고 제 2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된 제 1수평부(243a)와, 경사부(241)의 제 1방향 측단에 연결되고 제 1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된 제 2수평부(243b)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241)의 양측으로 각각 수평부(243)를 둠으로써, 승강 부재(100)가 정지하는 높이차있는 2개의 위치를 기설정하기 쉬워진다.
구동 가이드(240)는 제 1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부(243)와, 수평부(243)의 제 2방향 측단에 연결되고 제 2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진 제 1경사부(241a)와, 수평부(243)의 제 1방향 측단에 연결되고 제 1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진 제 2경사부(241b)를 포함한다. 2개의 경사부(241)의 사이로 수평부(243)를 둠으로써, 승강 부재(100)의 상하 방향의 전체 이동 범위 중 중간부에 특정 위치를 기설정하기 쉬워진다.
구동 가이드(240)는 제 1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된 제 1수평부(243a)를 포함한다. 구동 가이드(240)는 제 1수평부(243a)의 제 1방향 측단에 연결되고 제 1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진 제 1경사부(241a)를 포함한다. 구동 가이드(240)는 제 1경사부(241a)의 제 1방향 측단에 연결되고 제 1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된 제 2수평부(243b)를 포함한다. 구동 가이드(240)는 제 2수평부(243b)의 제 1방향 측단에 연결되고 제 1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진 제 2경사부(241b)를 포함한다. 구동 가이드(240)는 제 2경사부(241b)의 제 1방향 측단에 연결되고 제 1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된 제 3수평부(243c)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승강 부재(100)가 정지하는 복수의 높이차나는 위치(최저 위치, 최고 위치 및 중간 위치 등)를 기설정하기 쉬워진다.
도 8a 내지 8c에서, G로 도시된 점선은 상하 방향으로의 기준 위치를 도시한 것이고, C로 도시된 점선은 가이드 커넥터(120)의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가이드 커넥터(120)의 높이는 상기 기준 위치에 대한 상대적 높이(l0, l1, l2)로 정의한다. 기준 위치(G)는 자력 발생부(150)가 이동 가능한 최저 위치보다 낮은 위치로 정의하면 되고, 본 설명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도 8a에서는, 승강 부재(100)가 최저 위치에 있는 상태이다. 이 때, 가이드 커넥터(120)의 높이는 최저값(lo)가 된다. 이 때, 가이드 커넥터(120)는 제 1수평부(243a)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 때, 플라잉 바디(20)의 하측면과 로어 바디(10)의 상측면의 이격 거리는 최소값이 되고, 상기 이격 거리의 최소값은 0보다 큰 값으로 기설정할 수도 있고, 0으로 기설정할 수도 있다. (플라잉 바디(20)의 하측면과 로어 바디(10)의 상측면의 이격 거리가 0이면, 플라잉 바디(20)의 하측면과 로어 바디(10)의 상측면은 접촉한다.)
도 8b에서는, 승강 부재(100)가 상기 최저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가이드 커넥터(120)가 제 1수평부(243a)에 접촉한 상태(도 8a 참고)에서, 구동 가이드(240)가 제 1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이드 커넥터(120)는 제 1경사부(241a)를 따라 수직 상향 이동하여 제 2수평부(243b)에 접촉(도 8b 참고)하게 된다. 이 때, 가이드 커넥터(120)의 높이는 상기 최저값(lo)보다 큰 특정값(l1)이 된다. 이 때, 플라잉 바디(20)의 하측면과 로어 바디(10)의 상측면의 이격 거리는 소정치를 유지하게 된다.
도 8c에서는, 승강 부재(100)가 최고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가이드 커넥터(120)가 제 2수평부(243b)에 접촉한 상태(도 8b 참고)에서, 구동 가이드(240)가 제 1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이드 커넥터(120)는 제 2경사부(241b)를 따라 수직 상향 이동하여 제 3수평부(243c)에 접촉(도 8c 참고)하게 된다. 이 때, 가이드 커넥터(120)의 높이는 상기 특정값(l1)보다 큰 최고값(l2)이 된다. 이 때, 플라잉 바디(20)의 하측면과 로어 바디(10)의 상측면의 이격 거리는 최대값이 된다.
한편, 가이드 커넥터(120)가 제 3수평부(243c)에 접촉한 상태(도 8c 참고)에서, 구동 가이드(240)가 제 2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이드 커넥터(120)는 제 2경사부(241b)를 따라 수직 하향 이동하여 제 2수평부(243b)에 접촉(도 8b 참고)하게 된다. 가이드 커넥터(120)가 제 2수평부(243b)에 접촉한 상태(도 8b 참고)에서, 구동 가이드(240)가 제 2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이드 커넥터(120)는 제 1경사부(241a)를 따라 수직 하향 이동하여 제 1수평부(243a)에 접촉(도 8a 참고)하게 된다.
도 5를 참고하여, 전달 부재(200)는 원주 방향을 따라 기어이를 형성하는 기어부(250)를 포함한다. 기어부(250)는 측벽부(230)의 하측에 배치된다. 전달 부재(200)는 회전 가능 범위가 제한되게 구비된다. 기어부(250)는 전달 부재(200)의 회전 가능 각도 범위 내에만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300)는 전달 부재(200)의 둘레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싼다. 지지 부재(300)는 측벽부(230)의 둘레를 둘러싼다. 이를 통해, 측벽부(230)의 강성을 보강해 줄 수 있다.
구동부(340)는 전달 부재(20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 구동부(340)는 전달 부재(200)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41)를 포함한다. 모터(341)는 승강 부재(10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모터(341)는 지지 부재(300)에 배치된다. 모터(341)는 전달 부재(200)의 원심 방향 측에 배치된다. 모터(341)는 지지 부재(300)에 의해 지지된다.
구동 전달부(342)는 모터(341)의 회전력을 전달 부재(200)에 전달한다. 구동 전달부(342)는 모터(34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구동 전달부(342)는 기어부(250)의 기어이와 맞물리는 기어이를 형성한다. 구동 전달부(342)는 지지 부재(300)에 배치된다. 구동 전달부(342)는 전달 부재(200)의 원심 방향 측에 배치된다. 구동 전달부(342)는 지지 부재(300)에 의해 지지된다.
구동 전달부(342)는 기어부(250)의 기어이와 맞물리는 기어이를 형성하는 기어(342c)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전달부(342)는 복수의 기어(342a, 342b, 342c)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전달부(342)는 모터(341)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기어(미도시)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1기어(342a)를 포함한다. 제 1기어(342a)는, 동심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큰 지름의 원 둘레를 따라 형성된 기어이(a1)와,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의 원 둘레를 따라 형성된 기어이(a2)를 형성할 수 있다. 기어이(a1)는 모터(341)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상기 기어와 맞물리고, 기어이(a2)는 제 2기어(342b)와 맞물린다. 구동 전달부(342)는 제 1기어(342a)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2기어(342b)를 포함한다. 제 2기어(342b)는, 동심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큰 지름의 원 둘레를 따라 형성된 기어이(b1)와,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의 원 둘레를 따라 형성된 기어이(b2)를 형성할 수 있다. 기어이(b1)는 제 1기어(342a)와 맞물리고, 기어이(b2)는 제 3기어(342c)와 맞물린다. 구동 전달부(342)는 제 2기어(342b)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3기어(342c)를 포함한다. 제 3기어(342c)는, 동심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큰 지름의 원 둘레를 따라 형성된 기어이(c1)와,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의 원 둘레를 따라 형성된 기어이(c2)를 형성할 수 있다. 기어이(c1)는 제 2기어(342b)와 맞물리고, 기어이(c2)는 기어부(250)와 맞물린다. 이러한 구동 전달부(342)의 구성을 통해, 모터(341)의 회전 속도보다 감속된 속도로 전달 부재(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여, 전달 부재 가이드(350)는 전달 부재(200)의 하단을 따라 연장된 하측 가이드(351)를 포함한다. 하측 가이드(351)는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하측 가이드(351)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함몰된 홈을 형성하고, 하측 가이드(351)의 상기 홈에 측벽부(230)의 하단부가 삽입된다. 하측 가이드(351)의 상기 홈은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하단 슬라이더(210)의 제 1하측 돌출부(211)는 하측 가이드(351)의 상기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된다. 하측 가이드(351)는, 하측 가이드(351)의 상기 홈을 사이에 형성시키는 2개의 하측 파트(351a, 351b)를 포함한다. 2개의 하측 파트(351a, 351b)는 하면 커버(33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2개의 하측 파트(351a, 351b)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2개의 하측 파트(351a, 351b)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동심원을 형성한다. 제 1하측 파트(351a)는 제 2하측 파트(351b)보다 원심 방향 측에 배치된다.
전달 부재 가이드(350)는 전달 부재(200)의 상단을 따라 연장된 상측 가이드(355)를 포함한다. 상측 가이드(355)는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측 가이드(355)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함몰된 홈을 형성하고, 상측 가이드(355)의 상기 홈에 측벽부(230)의 상단부가 삽입된다. 상측 가이드(355)의 상기 홈은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단 슬라이더(220)의 상측 돌출부(222)는 상측 가이드(355)의 상기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된다. 상측 가이드(355)는, 상측 가이드(355)의 상기 홈을 사이에 형성시키는 2개의 상측 파트(355a, 355b)를 포함한다. 2개의 상측 파트(355a, 355b)는 탑 커버(310)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2개의 상측 파트(355a, 355b)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2개의 상측 파트(355a, 355b)는 하측에서 바라볼 때 동심원을 형성한다. 제 1상측 파트(355a)는 제 2상측 파트(355b)보다 원심 방향 측에 배치된다. 상측 가이드(355)의 상기 홈에 측벽부(230)의 상단부와 측면 커버(320)의 상단부가 함께 삽입된다. 측면 커버(320)의 상단부의 원심 방향 측면 및 제 1상측 파트(355a)의 원심 반대 방향 측면 사이에, 측벽부(230)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된다.
하단 슬라이더(210)는 측벽부(230)의 하측에 배치된다. 하단 슬라이더(210)는 하측으로 돌출된 하측 돌출부(211, 212)를 포함한다. 하측 돌출부(211, 212)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하단 슬라이더(210)는 2개의 하측 파트(351a, 351b)의 사이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제 1하측 돌출부(211)를 포함한다. 하단 슬라이더(210)는 제 1하측 파트(351a)의 원심 방향 측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딩 되는 제 2하측 돌출부(212)를 포함한다. 2개의 하측 돌출부(211, 212)의 사이에 제 1하측 파트(351a)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된다. 하단 슬라이더(210)는 측벽부(230)에서 돌출된 이격 유지부(213)을 포함한다. 이격 유지부(213)는 측벽부(230)의 하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격 유지부(213)의 측단은 측면 커버(320)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단 슬라이더(220)는, 측벽부(230)의 상단부에서 절곡되어 상측을 바라보는 면을 형성하는 걸림부(221)를 포함한다. 걸림부(221)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걸림부(221)의 상측면에 제 1상측 파트(355a)의 하단이 접촉되어 걸림 된다. 상단 슬라이더(220)는 걸림부(221)의 측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상측 돌출부(222)를 포함한다. 상측 돌출부(222)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걸림부(221)와 이격 유지부(213)가 구비됨으로써, 구동 가이드(240)가 형성된 부분이 측면 커버(320)의 내측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하고, 가이드 커넥터(120)가 구동 가이드(240)의 홀을 통과하며 배치되어도 측면 커버(320)에 의해 구동 가이드(240) 및 가이드 커넥터(120)의 동작이 방해 받지 않게 된다.
도 3,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지지 부재(300) 및 프레임(110) 중, 어느 하나는 상하로 연장되는 승강 부재 가이드(360)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승강 부재 가이드(360)가 삽입되어 승강 부재(100)의 상하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삽입부(11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승강 부재 가이드(360)는 지지 부재(300)에 배치되고, 가이드 삽입부(111)는 프레임(110)에 형성된다.
승강 부재 가이드(360)는 하단이 하면 커버(330)에 고정된다. 승강 부재 가이드(360)는 하면 커버(33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승강 부재 가이드(360)는 상단이 자유단이되게 형성될 수 있다. 승강 부재 가이드(360)는 수직으로 곧게 형성된다. 승강 부재 가이드(360)는 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승강 부재 가이드(36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승강 부재 가이드(360a, 360b, 360c, 360d, 360e, 360f)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가이드 삽입부(111)는 승강 부재 가이드(36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가이드 삽입부(111)는 프레임(110)을 상하로 관통하는 개구부(opening)일 수 있다. 가이드 삽입부(111)에 승강 부재 가이드(360)가 삽입되어, 승강 부재(100)가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하게 제한해준다. 가이드 삽입부(111)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삽입부(111a, 111b, 111c, 111d, 111e, 111f)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복수의 가이드 삽입부(111a, 111b, 111c, 111d, 111e, 111f)는 각각 수의 승강 부재 가이드(360a, 360b, 360c, 360d, 360e, 360f)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1 : 음향 출력 장치 10 : 로어 바디
20 : 플라잉 바디 100 : 승강 부재
200 : 전달 부재 300 : 지지 부재
110 : 프레임 120 : 가이드 커넥터
150 : 자력 발생부 160 : 자력 조절부
170 : 홀 센서 210 : 하단 슬라이더
220 : 상단 슬라이더 230 : 측벽부
240 : 구동 가이드 250 : 기어 부
310 : 탑 커버 320 : 측면 커버
330 : 하면 커버 340 : 구동부
350 : 전달 부재 가이드 360 : 승강 부재 가이드

Claims (22)

  1. 플라잉 바디를 공중으로 띄우기 위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력 발생부를 구비하는 승강 부재;
    상기 승강 부재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며 상기 승강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달 부재; 및
    상기 전달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자력 발생부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가이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가이드 커넥터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음향 출력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발생부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프레임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음향 출력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부재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상기 가이드 커넥터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승강 부재의 둘레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전달 부재의 둘레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음향 출력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승강 부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구동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구동 가이드에 접촉되어 이동이 안내되는 가이드 커넥터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가이드는 상기 측벽부의 내측면에서 함몰된 홈 또는 관통된 홀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커넥터는 상기 구동 가이드에 삽입되는 음향 출력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부재가 상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전달 부재는 제 1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승강 부재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전달 부재는 제 2방향으로 회전하게 구비되는 음향 출력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부재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구동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구동 가이드에 접촉되어 이동이 안내되는 가이드 커넥터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부재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상기 구동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복수의 구동 가이드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가이드 커넥터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가이드는 제 1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의 경사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예각을 이루는 음향 출력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가이드는,
    제 1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진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부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가이드는,
    제 1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진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수평으로 연장된 제 1수평부; 및
    상기 경사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수평으로 연장된 제 2수평부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가이드는,
    제 1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제 2방향 측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2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진 제 1경사부; 및
    상기 수평부의 상기 제 1방향 측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1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진 제 2경사부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가이드는,
    제 1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된 제 1수평부;
    상기 제 1수평부의 상기 제 1방향 측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1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진 제 1경사부;
    상기 제 1경사부의 상기 제 1방향 측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1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된 제 2수평부;
    상기 제 2수평부의 상기 제 1방향 측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1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진 제 2경사부; 및
    상기 제 2경사부의 상기 제 1방향 측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1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된 제 3수평부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전달 부재의 원주 방향 회전을 안내하는 전달 부재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 부재 가이드는,
    상기 전달 부재의 하단을 따라 연장된 하측 가이드; 및
    상기 전달 부재의 상단을 따라 연장된 상측 가이드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자력 발생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프레임 중, 어느 하나는 상하로 연장되는 승강 부재 가이드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승강 부재 가이드가 삽입되어 상기 승강 부재의 상하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삽입부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부재는 원주 방향을 따라 기어이를 형성하는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 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상기 기어부의 기어이와 맞물리는 기어이를 형성하는 구동 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부는,
    상기 지지 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전달 부재의 원심 방향 측에 배치되는 음향 출력 장치.
  20. 스피커 및 자성체를 구비한 플라잉 바디;
    상기 자성체와의 관계에서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자력 발생부;
    상기 자력 발생부가 고정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서 돌출된 가이드 커넥터;
    상기 가이드 커넥터가 삽입되는 구동 가이드를 가진 전달 부재; 및
    상기 전달 부재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가이드는,
    제 1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진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부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가이드는,
    제 1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진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수평으로 연장된 제 1수평부; 및
    상기 경사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수평으로 연장된 제 2수평부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KR1020170001516A 2017-01-04 2017-01-04 음향 출력 장치 KR101829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516A KR101829376B1 (ko) 2017-01-04 2017-01-04 음향 출력 장치
EP18736758.6A EP3567868B1 (en) 2017-01-04 2018-01-03 Acoustic output device
PCT/KR2018/000099 WO2018128374A1 (ko) 2017-01-04 2018-01-03 음향 출력 장치
US16/475,877 US10687131B2 (en) 2017-01-04 2018-01-03 Sound out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516A KR101829376B1 (ko) 2017-01-04 2017-01-04 음향 출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9376B1 true KR101829376B1 (ko) 2018-02-14

Family

ID=61229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1516A KR101829376B1 (ko) 2017-01-04 2017-01-04 음향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87131B2 (ko)
EP (1) EP3567868B1 (ko)
KR (1) KR101829376B1 (ko)
WO (1) WO201812837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70945A1 (en) 2018-12-19 2020-06-24 Audi Ag Magnetic floating device and a vehicle
EP3671718A1 (en) 2018-12-19 2020-06-24 Audi Ag Magnetic floating device and a vehicle
KR102375797B1 (ko) * 2021-10-29 2022-03-18 주식회사 서연이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KR102376160B1 (ko) * 2021-10-29 2022-03-21 주식회사 서연이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노브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7625B2 (en) * 2019-02-26 2022-08-09 Lonnie Holmes Device that will help lift an object that's heavy or light
USD950524S1 (en) * 2019-05-09 2022-05-03 Jincheng LIU Levitating speaker
DE102020002741B4 (de) 2020-05-07 2022-03-03 Daimler Ag Steuer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von Fahrzeugfunktionen
CN112087163A (zh) * 2020-09-15 2020-12-15 肇庆市衡艺实业有限公司 磁悬浮装置及其升降机构
USD974482S1 (en) * 2022-01-20 2023-01-03 Nor Height LTD Magnetic levitation die with base
WO2023216010A1 (zh) * 2022-05-07 2023-11-16 王晓冰 环筒式磁悬浮装置升降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269B1 (ko) 2014-09-30 2015-05-27 라정 자기 부양 스피커
US20160150304A1 (en) 2014-01-22 2016-05-26 Atake Digital Technology (Shenzhen) Co., Ltd. Magnetic levitation audio device
JP2016111696A (ja) 2014-12-02 2016-06-20 フォックスコン インターコネクト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磁気浮上スピーカ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30198A2 (en) * 2002-09-27 2004-04-08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Magnetic levitation apparatus
KR101135396B1 (ko) 2006-07-03 2012-04-17 아이필유(주) 다기능 초소형 스피커
KR100873737B1 (ko) * 2007-01-05 2008-12-12 주식회사 한국토프톤 장방형 슬림 스피커의 댐퍼
US20110057754A1 (en) * 2009-09-10 2011-03-10 Galactican Group Methods & systems for generating a gravity-neutral region between two counter-rotating magnetic sources, in accordance with ece theory
US20130039527A1 (en) * 2011-08-08 2013-02-14 Bang & Olufsen A/S Modular, configurable speaker and a method of operating 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50304A1 (en) 2014-01-22 2016-05-26 Atake Digital Technology (Shenzhen) Co., Ltd. Magnetic levitation audio device
KR101523269B1 (ko) 2014-09-30 2015-05-27 라정 자기 부양 스피커
JP2016111696A (ja) 2014-12-02 2016-06-20 フォックスコン インターコネクト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磁気浮上スピーカ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70945A1 (en) 2018-12-19 2020-06-24 Audi Ag Magnetic floating device and a vehicle
EP3671718A1 (en) 2018-12-19 2020-06-24 Audi Ag Magnetic floating device and a vehicle
WO2020126851A1 (en) 2018-12-19 2020-06-25 Audi Ag Magnetic floating device and a vehicle
WO2020126673A1 (en) 2018-12-19 2020-06-25 Audi Ag Magnetic floating device and a vehicle
KR102375797B1 (ko) * 2021-10-29 2022-03-18 주식회사 서연이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KR102376160B1 (ko) * 2021-10-29 2022-03-21 주식회사 서연이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노브 구조
US11775089B2 (en) 2021-10-29 2023-10-03 Seoyon E-Hwa Co., Ltd. User interface device
US11881364B2 (en) 2021-10-29 2024-01-23 Seoyon E-Hwa Co., Ltd. Knob structure of user interfac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67868A4 (en) 2020-06-03
US20190349658A1 (en) 2019-11-14
US10687131B2 (en) 2020-06-16
WO2018128374A1 (ko) 2018-07-12
EP3567868A1 (en) 2019-11-13
EP3567868B1 (en) 202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376B1 (ko) 음향 출력 장치
US10615679B2 (en) Vibration motor
CN107852538B (zh) 全向扬声器
JP4642053B2 (ja) レンズ駆動装置
US11025150B2 (en) Linear vibration motor
CN102461210B (zh) 扬声器内部悬架
CN107134907B (zh) 水平振动的线性振动电机
JP5923798B2 (ja) 振動発生装置
JP2001189995A (ja) 振動スピーカ
CN212135039U (zh) 镜头驱动装置
KR101707112B1 (ko) 브러시리스 직류 진동 모터
KR20160114313A (ko) 코어리스 햅틱 액추에이터
US20090247914A1 (en) Vibration machine for physical fitness
US11517144B2 (en) Expandable cover unit
JP2010282222A (ja) レンズ駆動装置
JP2010029744A (ja) 振動装置および携帯機器
JP3162300U (ja) トルク伝達直動案内装置
KR101807550B1 (ko) 브러시리스 직류 진동 모터
CN112228734B (zh) 磁悬浮装置及其复合升降系统
CN209946506U (zh) 透镜驱动装置、摄像头装置及电子设备
CN209946505U (zh) 透镜驱动装置、摄像头装置及电子设备
JP2011034099A (ja) レンズ駆動装置
KR102564536B1 (ko) 음향 출력장치
KR102564534B1 (ko) 음향 출력장치
KR102363471B1 (ko) 음향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