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876B1 -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및 무선 단말기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및 무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876B1
KR101828876B1 KR1020157003954A KR20157003954A KR101828876B1 KR 101828876 B1 KR101828876 B1 KR 101828876B1 KR 1020157003954 A KR1020157003954 A KR 1020157003954A KR 20157003954 A KR20157003954 A KR 20157003954A KR 101828876 B1 KR101828876 B1 KR 101828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resource
base station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3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4784A (ko
Inventor
아끼라 이또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4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Abstract

개시의 기술은,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와 휴대 전화 단말기 사이의 무선 리소스를 유연하게 할당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의 무선 통신 방법은, 무선 기지국이, 그 무선 기지국과 무선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위해서 준비된 제1 무선 리소스로부터, 복수의 무선 단말기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제2 무선 리소스를 할당한다. 또한, 상기 제1 무선 리소스는 무선 리소스 요구용의 무선 리소스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은 그 무선 리소스 요구용의 무선 리소스로부터 상기 제2 무선 리소스를 할당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및 무선 단말기{RADIO COMMUNICATION METHOD,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TERMINAL}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및 무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 전화 시스템(셀룰러 시스템) 등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통신의 가일층 고속화·대용량화 등을 도모하기 위해서, 차세대의 무선 통신 기술에 대하여 논의가 행하여지고 있다. 예를 들어, 표준화 단체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LTE(Long Term Evolution)라고 불리는 통신 규격이나, LTE의 무선 통신 기술을 베이스로 한 LTE-A(LTE-Advanced)라고 불리는 통신 규격이 제안되어 있다.
3GPP에 있어서 완성된 최신의 통신 규격은, LTE-A에 대응하는 Release 10이며, 이것은 LTE에 대응하는 Release 8 및 9를 대폭으로 기능 확장한 것이다. 현재는, Release 10을 더욱 확장한 Release 11의 완성을 향해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이후에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LTE」는 LTE 및 LTE-A 외에, LTE를 확장한 기타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3GPP의 Release 11에서는 여러가지의 기술에 대하여 논의가 교환되고 있는데, 그들 기술중 하나에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가 있다. MTC는,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소위 M2M(Machine To Machine) 통신에 상당하고 있어, 기계(Machine)끼리가 인간을 통하지 않고 정보를 주고받는 통신 형태를 가리킨다. MTC의 구체적 적용예로서는, 전기, 가스, 수도 등의 미터의 감시, 방범 감시, 각종 기기의 감시, 센서 네트워크 등이 있다.
MTC의 대응 단말기인 MTC 단말기는, 통상의 휴대 전화 단말기(소위 셀룰러 단말기)와 비교하여 몇 가지의 기능이 제한되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일례로서, MTC 단말기가 이동하지 않는 것인 경우(가옥에 설치된 전기 미터 등)에는 통상의 휴대 전화 단말기가 구비하는 핸드 오버 기능은 불필요한 것으로 하여 실장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MTC 단말기에 있어서는, 장치의 소형화나 저비용화 등의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이러한 기능의 압축이 중요하다고 여겨지고 있다.
그런데, MTC 단말기에 대한 요건의 하나로서, 소비 전력이 낮을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센서 장치(농원의 감시 장치나 하천의 수위 감시 장치 등)는 외부 전원의 확보가 곤란하기 때문에 전지 구동이 될 수 밖에 없는 바, 전지 교환의 비용 코스트 및 작업 비용을 억제하기 위하여 저소비 전력일 것이 요망된다. MTC 단말기의 소비 전력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은 몇 가지 생각할 수 있지만, 유력한 수단의 하나로서, 송신 전력(송신 파워)의 저감이 있다. MTC 단말기는, 통상의 휴대 전화 단말기와 같은 고도의 정보 처리 기능이나 표시 기능은 갖지 않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송신 전력의 저감에 의한 전력 삭감의 효과가 상대적으로 크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송신 전력의 저감에 의해 문제가 발생하는 것도 생각된다. 통상의 휴대 전화 단말기는 송신 전력을 소정 이상으로 함으로써 서비스 에리어를 보증하고 있다. 그러나, MTC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저감한 경우에는, 서비스 에리어가 보증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바꾸어 말하면, MTC 단말기는 기지국의 부근과 같은 협소한 범위에서밖에 통신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만약 송신 전력이 낮으면, MTC 단말기와 무선 기지국의 거리가 이격되어 있는 경우 등에 있어서, MTC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무선 신호가 무선 기지국에 전해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LTE 시스템에 있어서, MTC 단말기가 통상의 휴대 전화 단말기를 경유하여 무선 기지국에 액세스하는 구조가 생각된다. 이러한 기술로서, 휴대 전화 단말기와 무선 기지국 사이의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리소스와는 상이한 미리 결정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MTC 단말기와 휴대 전화 단말기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361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7-87011호 공보
3GPP TS36.211 V10.4.0(2011-12) 3GPP TS36.212 V10.5.0(2012-03) 3GPP TS36.213 V10.5.0(2012-03) 3GPP TR36.321 V10.5.0(2012-03) 3GPP TR36.331 V10.5.0(2012-03)
종래 기술에 의하면, MTC 단말기가 휴대 전화 단말기를 경유하여 무선 기지국에 액세스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휴대 전화 단말기와 무선 기지국 사이의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리소스와는 상이한 미리 결정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MTC 단말기와 휴대 전화 단말기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기 때문에, MTC 단말기와 휴대 전화 단말기 사이의 무선 리소스가 고정적이어서 유연성이 부족하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상기의 과제에 이르는 설명은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MTC 단말기에 기초하여 행하여 왔지만, 이 과제는 일반적인 전력 절약 단말기, 저송신 전력 단말기, 나아가 통상의 휴대 전화 단말기 등, 단말기간 통신을 행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단말기(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라고 칭함)로 일반화할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휴대 전화 단말기와 무선 기지국 사이의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리소스와는 상이한 미리 결정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전력 절약 단말기, 저송신 전력 단말기, 휴대 전화 단말기)와 휴대 전화 단말기 사이에서 무선 통신(단말기간 통신)을 행하기 때문에,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와 휴대 전화 단말기 사이의 무선 리소스가 고정적이어서 유연성이 부족하다는 과제가 있다.
개시된 기술은 상기 내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와 휴대 전화 단말기 사이의 무선 리소스를 유연하게 할당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및 무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개시된 무선 통신 방법은, 무선 기지국이, 그 무선 기지국과 무선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위해 준비된 제1 무선 리소스로부터, 복수의 무선 단말기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제2 무선 리소스를 할당한다.
본 건이 개시하는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및 무선 단말기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와 휴대 전화 단말기 사이의 무선 리소스를 유연하게 할당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UL 데이터 송신의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SchedulingRequestConfig 정보 요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UL grant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4c는,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BSR(Buffer Status Report)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DL 데이터 송신의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UL 유저 데이터 송신의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SchedulingRequestConfig 정보 요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UL grant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9b는, 제1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BSR(Buffer Status Report)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UL 유저 데이터 송신의 처리 시퀀스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UL 유저 데이터 송신의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UL 유저 데이터 송신의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4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UL 유저 데이터 송신의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5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DL 유저 데이터 송신의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6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DL 유저 데이터 송신의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기지국의 기능 구성도의 일례이다.
도 18은 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기능 구성도의 일례이다.
도 19는 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의 기능 구성도의 일례이다.
도 20은 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기지국의 하드웨어 구성도의 일례이다.
도 21은 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도의 일례이다.
도 22는 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도의 일례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기, 무선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편의상 별개의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지만, 각 실시 형태를 조합함으로써 조합의 효과를 얻고, 또한, 유용성을 높이는 것도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a〕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UL 유저 데이터 송신
이하에서는 먼저, 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전의 준비로서,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기지국(1)과 휴대 전화 단말기(2) 사이의 데이터 통신 처리 시퀀스를 설명한다.
도 1에 기초하여,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UL(UpLink) 유저 데이터의 송신 처리의 시퀀스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는, UL 유저 데이터의 송신 처리에 관한 주요한 수순을 기재하고 있고, 모든 수순이 기재되어 있는 것은 아닌 것에 주의하기 바란다.
여기서 「UL」은 「상향」이라고 바꿔 말할 수도 있고, 휴대 전화 단말기(2)로부터 무선 기지국(1)을 향하는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UL 유저 데이터」란 휴대 전화 단말기(2)로부터 무선 기지국(1)으로 송신되는 유저 데이터를 가리킨다. 또한, 본원에서의 유저 데이터는 상위층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라고 바꿔 말할 수도 있고, 반드시 유저라고 하는 인간이 발생시킨 데이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것에 주의하기 바란다.
또한, 본원에서는 간단히 「UL 데이터」라고 하는 경우에는 UL 데이터 채널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물리층의 UL 데이터 채널은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라고 불린다. UL 데이터는, 상기한 UL 유저 데이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PUSCH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에는, 후술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등도 포함되기 때문이다.
먼저 도 1의 처리 시퀀스의 전제를 설명한다. 휴대 전화 단말기(2)는 기동(전원 투입)되면, 소위 셀 서치를 행함으로써 선택한 1개의 무선 기지국(1)에 동기하고, 그 무선 기지국(1)과의 사이에서 통신 개시를 위한 여러가지의 초기 설정을 행한다. 이 초기 설정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1)은 휴대 전화 단말기(2)에 대하여 스케줄링 요구용의 리소스 할당을 행한다. 여기서 스케줄링 요구란, 휴대 전화 단말기(2)가 UL 데이터(UL 유저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음)를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에, 그 UL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UL의 무선 리소스의 할당(스케줄링)을 무선 기지국(1)에 요구하기 위한 신호이다.
도 1에 있어서, S101에서 무선 기지국(1)은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할당하고,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할당 정보를 그 휴대 전화 단말기(2)에 대하여 송신한다.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할당 정보는 RRCConnectionSetup 메시지에 포함된다. RRCConnectionSetup 메시지는,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RRC 시그널링의 하나로서, 무선 기지국(1)으로부터 DL의 데이터 채널인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통하여, 휴대 전화 단말기(2)마다 개별로 송신되는 신호이다.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RRCConnectionSetup 메시지는, RadioResourceConfigDedicated 정보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RadioResourceConfigDedicated 정보 요소는, PhysicalConfigDedicated 정보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PhysicalConfigDedicated 정보 요소는, SchedulingRequestConfig 정보 요소를 포함한다. 이 SchedulingRequestConfig 정보 요소는, 스케줄링 요구용의 UL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도 2에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SchedulingRequestConfig 정보 요소를 나타낸다. SchedulingRequestConfig 정보 요소는, 스케줄링 요구용의 UL의 무선 리소스의 설정(Setup)에 관하여, sr-PUCCH-ResourceIndex, sr-ConfigIndex, dsr-TransMax의 3개의 정보(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있다. 이 중 sr-ConfigIndex와 sr-PUCCH-ResourceIndex에 의해, 스케줄링 요구용의 무선 리소스가 특정된다. sr-ConfigIndex가, 휴대 전화 단말기(2)가 스케줄링 요구를 송신 가능한 서브 프레임을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sr-ConfigIndex의 값에 의해, 휴대 전화 단말기(2)가 어느 서브 프레임(LTE에서는 1밀리초 단위)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서브 프레임 간격으로 스케줄링 요구를 송신 가능할지가 정해진다. 또한, sr-PUCCH-ResourceIndex는, sr-ConfigIndex에 기초하여 나타난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휴대 전화 단말기(2)가 스케줄링 요구를 맵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를 나타낸다. 휴대 전화 단말기(2)가 스케줄링 요구를 맵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는, UL의 제어 채널인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내의 리소스이다. 바꾸어 말하면, 스케줄링 요구는 PUCCH를 통하여 송수신된다. dsr-TransMax는 스케줄링 요구용의 무선 리소스의 설정을 해방하는 타이밍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스케줄링 요구용의 무선 리소스는 주기적인 UL의 무선 리소스가 되어 있다. 이것은 휴대 전화 단말기(2)에 UL 데이터가 언제 발생할지 모르기 때문이다. 휴대 전화 단말기(2)는 UL 데이터가 발생하면, 스케줄링 요구용의 주기적인 UL의 무선 리소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무선 기지국(1)에 스케줄링 요구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스케줄링 요구용의 리소스 할당에 있어서는, 리소스의 크기는 나타나지 않는다. 이것은, 스케줄링 요구용의 무선 리소스는 소정량이기 때문이다. 또한, 그 소정량은 매우 작다. 스케줄링 요구는, 휴대 전화 단말기(2)가 무선 기지국(1)에 UL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하는 취지를 전달하기 위해서만의 신호이기 때문이다.
도 1의 설명으로 되돌아가서, S101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는 무선 기지국(1)이 송신한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할당 정보를 수신한다. 이에 의해, 휴대 전화 단말기(2)가 스케줄링 요구용의 UL의 무선 리소스를 인식하여, UL 유저 데이터 송신의 준비가 갖추어진다.
다음에, S102에 있어서,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있어서 UL 유저 데이터가 발생한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 단말기(2)로부터 Web의 액세스를 할 경우 등에 UL 유저 데이터가 발생한다. 이 UL 유저 데이터는 휴대 전화 단말기(2) 내의 송신 버퍼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다음으로 S103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는 S101에서 할당된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를 사용하여, 스케줄링 요구를 무선 기지국(1)에 송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 전화 단말기(2)는 상기한 sr-ConfigIndex에서 나타나는 주기적인 서브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한 sr-PUCCH-ResourceIndex에서 나타나는 리소스 엘리먼트(PUCCH에 대응)에 스케줄링 요구를 맵핑하고, 무선 기지국(1)에 송신한다.
다음으로 S104에서 무선 기지국(1)은 S103의 스케줄링 요구에 응답하여, 휴대 전화 단말기(2)에 대하여 UL 데이터용의 리소스 할당을 행하고,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를 무선 단말기에 송신한다. S104에서 할당되는 UL의 무선 리소스는, 휴대 전화 단말기(2)가 무선 기지국(1)에 버퍼 상태 보고(BSR: Buffer Status Report)를 송신하기 위한 비교적 작은 소정량의 리소스이다. 이 시점에서는 무선 기지국(1)은 휴대 전화 단말기(2)가 송신하고자 하는 UL 유저 데이터의 사이즈를 인식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UL 유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필요 충분한 리소스를 할당할 수 없다. 따라서, 무선 기지국(1)은 먼저 송신 버퍼 내의 데이터(상기 UL 데이터를 포함함)의 사이즈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보고시키는 것이다.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는, DL의 제어 정보인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의 포맷(0)에 대응한다. DCI의 포맷(0)은 UL Grant라고도 불리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를 UL Grant라고 칭한다. UL Grant는 DL의 제어 채널인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하여 송신된다.
도 3에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UL grant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하는 UL Grant는 LTE 시스템이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주파수 분할 복신)를 채용하는 경우의 것인데 TDD(Time Division Duplex: 시분할 복신)를 채용하는 경우도 대략 마찬가지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L grant에는 몇 가지의 정보(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다. 이 중 「Resource block assignment and hopping resource allocation」이, 휴대 전화 단말기(2)에 할당된 UL 데이터용 리소스인 리소스 블록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여기서 리소스 블록이란 상기한 서브 프레임을 주파수 성분 및 시간 성분으로 분할한 것이며, 상기한 리소스 엘리먼트보다도 큰 단위 리소스이다. 본원에서는 UL grant에 포함되는 기타의 정보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의 설명으로 되돌아가서, S104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는 무선 기지국(1)이 송신한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S105에서 무선 단말기는, S104에서 수신한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UL Grant)에 응답하여, 그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가 나타내는 UL 리소스(PDSCH에 대응)를 사용하여, BSR을 무선 기지국(1)에 송신한다.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UL grant 중의 「Resource block assignment and hopping resource allocation」이 나타내는 리소스 블록은, 그 UL grant가 송신된 서브 프레임의 4 서브 프레임 후의 것으로 결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무선 단말기는, 수신한 UL grant에 대응하는 DL 서브 프레임의 4개 후의 UL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그 UL grant 중의 「Resource block assignment and hopping resource allocation」이 나타내는 리소스 블록에 BSR을 맵핑하여 송신한다.
도 4에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BSR을 나타낸다. BSR에는 short BSR과 long BSR의 2종류가 있고, 휴대 전화 단말기(2)는 이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a에 short BSR을 나타낸다. 도 4b에 long BSR을 나타낸다. 하나의 휴대 전화 단말기(2)가 송신 버퍼를 4개 가질 수 있는데, short BSR은 버퍼 사이즈(Buffer Size value)를 1개만 송신할 수 있다. 한편 long BSR에서는 4개의 버퍼 사이즈를 송신할 수 있다.
도 4c는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버퍼 사이즈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이 테이블은 무선 기지국(1)과 휴대 전화 단말기(2)로 미리 공유되어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BSR 중의 버퍼 사이즈의 값은 6비트로 양자화되어 있다. 휴대 전화 단말기(2)는 도 4c의 테이블에 기초하여, 송신 버퍼 내의 데이터 사이즈(Buffer Size value)에 대응하는 양자화값(Index)을 구한다. 그리고, 휴대 전화 단말기(2)는 이 Index를 BSR에 저장하여 송신한다. 예를 들어, 송신 버퍼의 사이즈가 1000바이트인 경우, 휴대 전화 단말기(2)는 Index=31을 BSR에 저장하여 무선 기지국(1)에 송신한다. 이에 비해, 무선 기지국(1)도 도 4c의 테이블에 기초하여, BSR에 저장된 Index로부터 휴대 전화 단말기(2)의 송신 버퍼 내의 데이터 사이즈(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도 1의 설명으로 되돌아가서, S105에서 무선 기지국(1)은 휴대 전화 단말기(2)가 송신한 BSR을 수신한다. 다음으로 S106에서 무선 기지국(1)은 S105의 BSR에 응답하여, 그 BSR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 단말기(2)에 대하여 UL 데이터용의 리소스 할당을 행하고,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송신한다. S106에 있어서의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는, 상기한 UL grant가 사용된다.
S106에서 할당되는 UL 데이터용의 UL의 무선 리소스(PUSCH에 대응)는 BSR에 저장된 버퍼 사이즈(의 양자화값)에 기초하는 사이즈의 UL 무선 리소스이다. 달리 표현하면, S106에서 무선 기지국(1)은 UL 유저 데이터 송신을 위해 요구된 양의 무선 리소스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할당한다. 무선 기지국(1)에 의한 UL 데이터용 리소스의 할당에 있어서는, BSR의 이외에 UL 채널 상태(UL 수신 품질) 등도 고려되지만, 상세는 생략한다.
마지막으로 S107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는 S106에서 수신한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에 응답하여, 그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가 나타내는 UL 데이터용 리소스(PUSCH에 대응)를 사용하여, UL 유저 데이터를 무선 기지국(1)에 송신한다. S107에서 무선 기지국(1)은 S106에서 스스로 할당한 UL 데이터용 리소스에 기초하여, UL 유저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상에 의해, UL 유저 데이터의 송신 처리가 완료된다.
〔b〕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DL 유저 데이터 송신
다음으로 도 5에 기초하여,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DL(DownLink) 유저 데이터의 송신 처리의 시퀀스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5에 있어서는, DL 유저 데이터의 송신 처리에 관한 주요한 수순을 기재하고 있고, 모든 수순이 기재되어 있는 것은 아닌 것에 주의하기 바란다.
여기서 「DL」은 「하향」이라고 바꿔 말할 수도 있고, 무선 기지국(1)으로부터 휴대 전화 단말기(2)를 향하는 방향을 가리킨다. 「DL 유저 데이터」란 무선 기지국(1)으로부터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송신되는 유저 데이터를 가리킨다. 또한, 본원에서는 간단히 「DL 데이터」라고 하는 경우에는 DL 데이터 채널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물리층의 DL 데이터 채널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라고 불린다. DL 데이터는, 상기한 DL 유저 데이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PDSCH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에는, RRC 시그널링 등도 포함되기 때문이다.
도 5에 도시하는 DL 유저 데이터의 송신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하는 UL 유저 데이터의 송신과 같이, 휴대 전화 단말기(2)로부터 무선 기지국(1)으로의 스케줄링 요구는 필요없다. 무선 기지국(1)은 DL 유저 데이터의 발생을 스스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5에서는, 도 1과 같이, 휴대 전화 단말기(2)로부터 무선 기지국(1)으로의 BSR의 송신도 필요없다. 무선 기지국(1)은 DL 유저 데이터의 사이즈를 스스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이유에 의해, 도 5에 도시하는 DL 유저 데이터의 송신 처리는, 도 1에 도시하는 UL 유저 데이터의 송신 처리와 비교하여, 대폭으로 간략화된 것이 되어 있다.
먼저 도 5의 처리 시퀀스의 전제를 설명한다. 도 1과 마찬가지로, 휴대 전화 단말기(2)는 기동(전원 투입)되면, 소위 셀 서치를 행함으로써 선택한 1개의 무선 기지국(1)에 동기하고, 그 무선 기지국(1)과의 사이에서 통신 개시를 위한 여러가지의 초기 설정을 행한다. 이 초기 설정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1)은 휴대 전화 단말기(2)에 대하여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보고용의 UL의 리소스 할당을 행한다. 여기서 CQI란, DL의 채널 품질(DL 무선 신호의 수신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휴대 전화 단말기(2)는 정기적으로 DL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참조 신호(RS: Reference Signal)의 수신 품질을 측정함으로써 CQI를 구하고, 먼저 할당된 CQI 보고용 리소스를 사용하여 무선 기지국(1)에 보고한다. 무선 기지국(1)은 휴대 전화 단말기(2)로부터 보고된 CQI에 기초하여, 그 휴대 전화 단말기(2)에 DL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할당하는 DL 데이터용 리소스(주파수 성분)나, 그 DL 데이터에 적용하는 변조 부호화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을 결정한다.
도 5의 처리 시퀀스를 설명한다. S201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1)에 있어서 DL 유저 데이터가 발생한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인터넷 상의 서버로부터 송신된 웹페이지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송신하는 경우 등에 DL 유저 데이터가 발생한다. 이 DL 유저 데이터는 무선 기지국(1) 내의 송신 버퍼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S202에서 무선 기지국(1)은 DL 유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DL 데이터용 리소스(PDSCH에 대응)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할당하고, D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를 그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송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1)은 DL 유저 데이터의 사이즈를 스스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그 사이즈에 기초하여 DL 데이터용 리소스를 할당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DL 데이터용 리소스의 할당에는, CQI 보고 즉 DL 채널 품질(DL 수신 품질) 등도 고려된다. LTE 시스템에 있어서, D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는 전술한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의 포맷(1A, 1B, 1C, 1D, 2, 2A, 2B, 2C) 각각이 대응한다. 이들 각 포맷은 리소스 할당의 규칙 등이 상이하다. D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인 DCI의 포맷(1A, 1B, 1C, 1D, 2, 2A, 2B, 2C)은, 도 3에서 도시된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인 DCI의 포맷 0(UL Grant)와 마찬가지로, DL 데이터용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DCI의 포맷(1A, 1B, 1C, 1D, 2, 2A, 2B, 2C)의 상세는 생략한다. S202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는 D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를 무선 기지국(1)으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S203에서 무선 기지국(1)은 S202에서 할당한 DL 데이터용 리소스(PDSCH에 대응)를 사용하여, DL 유저 데이터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송신한다. 그리고 휴대 전화 단말기(2)는 S202에서 수신한 D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DL 유저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D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DCI 포맷(1A, 1B, 1C, 1D, 2, 2A, 2B, 2C))와 그것에 대응하는 DL 데이터는 동일한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송신된다. 바꾸어 말하면, S202와 S203은 동일한 서브 프레임(LTE에서는 1밀리초)으로 송신된다. 단, DCI는 그 서브 프레임의 선두 부분에 배치되는 데이터 채널 PDCCH에 맵핑되고, DL 데이터는 그 후방에 배치되는 제어 채널 PDSCH에 맵핑된다. 그 때문에, 휴대 전화 단말기(2)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저 D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DCI)를 수신하고(S202), 수신한 DL 리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DL 유저 데이터를 수신하게(S203) 된다. 이상에 의해, DL 유저 데이터의 송신 처리가 완료된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실시 형태를 순서대로 설명한다. 제1∼제4 실시 형태는 UL 유저 데이터 송신을 실현하는 것이다. 제5∼제6 실시 형태는, DL 유저 데이터 송신을 실현하는 것이다. 본원에서는, UL 유저 데이터 송신을 실현하는 실시 형태와 DL 유저 데이터 송신을 실현하는 실시 형태는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 실시 형태와 제5 실시 형태를 조합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UL 유저 데이터 송신은 제1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실현되고, DL 유저 데이터 송신은 제5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실현되게 된다. 이 예에 한하지 않고, 본원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UL 유저 데이터 송신을 실현하는 실시 형태와 DL 유저 데이터 송신을 실현하는 실시 형태를 임의로 조합한 모든 실시 형태를 개시하는 것이다.
〔c〕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는, UL 유저 데이터의 송신 처리를 실현하는 것이다.
먼저 본원의 실시 형태에 공통인 사항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원의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기지국(1), 휴대 전화 단말기(2),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가 등장한다. 이후에는 설명의 편의상, 무선 기지국(1)과 휴대 전화 단말기(2) 사이의 통신 구간(통신 링크)을 제1 구간, 휴대 전화 단말기(2)와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사이의 통신 구간(통신 링크)을 제2 구간이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무선 기지국(1)과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와의 거리가 가까울 경우 등에는 이들이 휴대 전화 단말기(2)를 통하지 않고 통신을 행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그 경우에는 통상의 무선 기지국(1)과 휴대 전화 단말기(2)의 통신과 다르지 않으므로, 본원에서는 특별히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본원의 실시 형태는 모두,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다음과 같은 전제를 갖는 것으로 한다. 무선 기지국(1)과 휴대 전화 단말기(2) 사이의 송수신은, LTE의 규격에 기초하여, 그 무선 기지국(1)에 준비된 무선 리소스(주파수 대역)를 사용하여 행하여진다. 또한, 무선 기지국(1)과 휴대 전화 단말기(2) 사이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서는, LTE의 규격에 기초한 방식이 채용된다.
한편, 휴대 전화 단말기(2)와 ITC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통신은, 평상 시에는, 무선 기지국(1)에 준비된 상기 무선 리소스와 겹치지 않는, 미리 결정된 단말기간 전용의 무선 리소스(주파수 대역)를 사용하여 행하여지는 것으로 한다. 이 단말기간 전용의 무선 리소스로서는, 일례로서, WiFi(등록 상표) 등의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의 규격에서 사용되는 무선 리소스(주파수 대역)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 단말기(2)와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사이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서는, 일례로서, WiFi(등록 상표) 등의 무선 LAN의 규격에 기초한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단, 본원의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소정의 경우에, 휴대 전화 단말기(2)와 ITC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무선 기지국(1)에 준비된 상기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소정의 경우」란 평상 시가 아닌 경우이며,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간 전용 리소스가 부족한 경우(폭주가 발생하는 경우 등)로 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 단말기(2)와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사이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서는, 평상 시와 마찬가지로, WiFi(등록 상표) 등 무선 LAN의 규격에 기초한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상이 본원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제이다.
이에 의해, 본원의 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통상의 경우에는 휴대 전화 단말기(2)와 ITC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단말기간 전용 리소스를 사용하여 행함과 함께, 그 단말기간 전용 리소스가 부족한 경우 등에는 무선 기지국(1)에 필요로 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어느쪽의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휴대 전화 단말기(2)와 ITC 단말기 사이의 통신 방식은 변경 불필요이다. 그 때문에, 본원의 실시 형태의 ITC 단말기는 전제가 되는 ITC 단말기로부터 큰 변경을 가할 일 없이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부터는, 도 6에 기초하여,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UL 유저 데이터의 송신 처리의 시퀀스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는, UL 유저 데이터의 송신에 관한 주요한 수순을 기재하고 있고, 모든 수순이 기재되어 있는 것은 아닌 것에 주의하기 바란다.
도 6에서는, 도 1과 마찬가지로, 휴대 전화 단말기(2)는 기동(전원 투입)되면, 소위 셀 서치를 행함으로써 선택한 1개의 무선 기지국(1)에 동기하고, 그 무선 기지국(1)과의 사이에서 통신 개시를 위한 여러가지의 초기 설정을 행한다. 도 6의 S301은 이 초기 설정에 상당한다.
도 6의 S301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1)은 제1 구간용인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할당하고, 제1 구간용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할당 정보를 그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송신한다.
그런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구간에 있어서도 스케줄링 요구가 행하여지기 때문에, 제2 구간용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할당 정보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제1 구간용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할당 정보와 제2 구간용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할당 정보로서, 도 2에서 도시된 LTE에 있어서의 SchedulingRequestConfig 정보 요소를 그대로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그 경우에도, 2종류의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할당 정보는 송신되는 장면이 상이하기 때문에, 휴대 전화 단말기(2)는 2종류의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할당 정보를 어느 정도 식별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장면이 중복되는 케이스 등에 있어서는, 휴대 전화 단말기(2)는 2종류의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할당 정보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없을 우려가 남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의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할당 정보로서는, 상술한 전제가 되는 LTE에 있어서의 SchedulingRequestConfig 정보 요소를 일부 변경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7에,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SchedulingRequestConfig 정보 요소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하는 SchedulingRequestConfig 정보 요소는,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비교하여 정보(파라미터) sr-Object를 추가하고 있다(밑줄부). sr-Object는, 그 SchedulingRequestConfig 정보 요소가 설정하는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가 제1 구간용인지 제2 구간용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여기에서는, sr-Object는 1비트의 정보(BOOLEAN)이며,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가 제1 구간용인 경우에는 0, 제2 구간용인 경우에는 1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휴대 전화 단말기(2)가 2종류의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할당 정보를 용이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의 설명으로 되돌아가서, S301에 있어서의 제1 구간용인 스케줄링 요구용의 무선 리소스 할당 정보는, 도 7에 도시하는 SchedulingRequestConfig 정보 요소에 있어서 sr-Object를 0으로 세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가 휴대 전화 단말기(2)를 통하여 네트워크에의 접속 처리를 행한다. 이 접속 처리는, 도 6의 S302∼S310에 대응한다.
S302에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제2 구간 접속 요구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송신한다. 제2 구간 접속 요구는,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식별자로서는, 네트워크 상의 장치에 미리 일의적으로 부여되는 물리적인 식별자(물리 어드레스)인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구간 접속 요구는, 전술한 휴대 전화 단말기(2)와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사이의 통신용으로 미리 할당된 단말기간 전용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송신할 수 있다. 또한, S302에 있어서는, 제2 구간에서 제2 구간 접속 요구를 송수신하는 대신, 유저가 제2 구간 접속 요구 상당의 정보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입력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도 3의 S303∼S307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는 S302에서 수신한 제2 구간 접속 요구에 기초하여, 제1 구간 접속 요구를 무선 기지국(1)에 송신한다. 제1 구간 접속 요구는, 제2 구간 접속 요구 중인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제1 구간 접속 요구는 UL 데이터의 1종이다. 그 때문에, 제1 구간 접속 요구의 송신 처리인 S303∼S307은, 일반적인 UL 데이터의 송신 처리인 도 5의 S203∼207을 따라 행하면 되지만, 다음 2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첫번째 유의점은, 도 6의 S304 및 S306에서 송수신되는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에 관한 것이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종래와 같이 제1 구간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구간에 있어서도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로서는, 제1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와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의 2종류가 있을 수 있다. 제1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는 종래의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에 상당하고, 제1 구간에서의 UL 데이터 송신에 사용하는 UL 리소스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이에 비해,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는, 제2 구간에서의 UL 데이터 송신에 사용하는 UL 리소스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제1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와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로서 도 3에서 도시된 종래의 LTE에 있어서의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UL Grant)를 그대로 사용하면,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있어서 2개의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를 식별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휴대 전화 단말기(2)는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를 수신하면, 그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가 제1 구간용인 경우에는 그 UL 리소스에 기초하여 「송신」을 행할 필요가 있는 것에 비해, 그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가 제2 구간용인 경우에는 그 UL 리소스에 기초하여 「수신」을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의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로서는, 종래의 LTE에 있어서의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UL Grant)를 일부 변경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8에,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UL Grant)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하는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는,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비교하여 정보(파라미터) Granted Object를 추가하고 있다(밑줄부). Granted Object는, 그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가 제1 구간용인지 제2 구간용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여기에서는, Granted Object는 1비트의 정보(BOOLEAN)이며,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가 제1 구간용인 경우에는 0, 제2 구간용인 경우에는 1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휴대 전화 단말기(2)가 2종류의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를 용이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의 S304 및 S306에 있어서의 제1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는, 도 8에 도시하는 UL Grant에 있어서 Granted Object를 0으로 세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두번째 유의점은, 도 6의 S305에서 송수신되는 BSR에 관한 것이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종래와 같이 제1 구간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구간에 있어서도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제2 구간용 BSR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BSR으로서는, 제1 구간용인 BSR과 제2 구간용인 BSR의 2종류가 있을 수 있다. 제1 구간용인 BSR은 종래의 BSR에 상당하고, 제1 구간에서의 데이터 송신에 필요한 리소스량(버퍼 사이즈)을 무선 기지국(1)에 보고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비해, 제2 구간용인 BSR은 제2 구간에서의 데이터 송신에 필요한 리소스량(버퍼 사이즈)을 무선 기지국(1)에 보고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제1 구간용인 BSR과 제2 구간용인 BSR으로서 도 4에서 도시된 종래의 LTE에 있어서의 BSR을 그대로 사용하면, 무선 기지국(1)에 있어서 2개의 BSR을 식별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무선 기지국(1)은 BSR을 수신하면 UL 데이터용 리소스를 할당하는데, 그 후 무선 기지국(1)은 그 BSR이 제1 구간용인 경우에는 그 UL 데이터용 리소스에 기초하여 수신을 행할 필요가 있는 것에 비해, 그 BSR이 제2 구간용인 경우에는 그 UL 데이터용 리소스에 기초하여 수신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의 BSR으로서는, 종래의 LTE에 있어서의 BSR을 일부 변경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9에,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BSR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하는 BSR은,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비교하여 정보(파라미터) Buffer Owner를 추가하고 있다(밑줄부). Buffer Owner는, 그 BSR이 제1 구간용인지 제2 구간용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여기에서는, Buffer Owner는 1비트의 정보(BOOLEAN)이며, BSR이 제1 구간용인 경우에는 0, 제2 구간용인 경우에는 1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무선 기지국(1)이 2종류의 BSR을 용이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의 S305에 있어서의 제1 구간용 BSR은, 도 9에 도시하는 BSR에 있어서 Buffer Owner를 0으로 세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6의 설명으로 되돌아가서, S308에서 무선 기지국(1)은 제2 구간용인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할당하고, 제2 구간용 스케줄링 요구 리소스 할당 정보를 그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송신한다. S308에 있어서의 제2 구간용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할당 정보는, 도 7에 도시하는 SchedulingRequestConfig 정보 요소에 있어서 sr-Object를 1로 세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S309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는 S308에서 할당된 제2 구간용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할당을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에 통지한다. 이 통지는, 전술한 휴대 전화 단말기(2)와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사이의 통신용으로 미리 할당된 단말기간 전용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S309의 통지로서는, S308에서 수신한 SchedulingRequestConfig 정보 요소를 그대로 전송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소정의 변환을 행해도 된다. 또한, S309에 있어서는, 제2 구간에서 제2 구간용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할당을 통지하는 대신, 유저 제2 구간용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할당 상당의 정보를 ITC 단말기에 입력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S310에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무선 기지국(1)에 동기하기 위한 동기 처리를 행한다. 이 동기는 시간 동기 및 주파수 동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은 시간 성분과 주파수 성분으로 행하여진다. 그 때문에, 무선 기지국(1), 휴대 전화 단말기(2),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의 3자 간에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행하기 위해서는, 3자 간에 시간 및 주파수의 동기가 취해지는 것이 필요조건이 된다. S310의 동기 처리에 의해,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무선 기지국(1)과 동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1)과 휴대 전화 단말기(2)에서는 초기 설정에 있어서 이미 동기가 취해져 있다. 따라서 S310의 동기 처리에 의해, 무선 기지국(1), 휴대 전화 단말기(2),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의 3자 간에 시간 및 주파수의 동기를 취할 수 있게 되어, 상기한 필요조건이 만족된다.
S310에 있어서의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에 의한 무선 기지국(1)에의 동기 처리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 단말기(2)가 무선 기지국(1)에 대하여 행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셀 서치에 기초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가 네트워크 어시스트를 받아서 동기 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어시스트로서는, 예를 들어, 무선 기지국(1)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 등의 동기에 필요한 정보를 휴대 전화 단말기(2)가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에 통지할 수 있다. 동기에 필요한 정보의 통지는, 전술한 휴대 전화 단말기(2)와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사이의 통신용으로 미리 할당된 단말기간 전용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이상의 수순에 의해 UL 유저 데이터 송신의 준비가 갖추어진다.
다음으로 S311에 있어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에 UL 유저 데이터가 발생한 것으로 한다. 일례로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가 전력 미터 단말기이며, 전력 사용량 리포트를 인터넷 상의 서버에 송신하는 경우 등에,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에 UL 유저 데이터가 발생한다.
S312에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S309에서 수신한 제2 구간용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할당 정보가 나타내는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를 사용하여, 스케줄링 요구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송신한다. S312의 스케줄링 요구로서는, 도 1의 S103에 있어서의 스케줄링 요구를 사용할 수도 있고, 다른 신호를 사용해도 된다. S312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는 스케줄링 요구를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로부터 수신한다.
다음에, S313∼S316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는 소정량의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의 할당을 무선 기지국(1)으로부터 받는다. S313∼S316은, 도 1의 S103∼S106에 각각 대응하는 처리인데, 몇 가지 상이한 점이 있기 때문에 이하에서 설명한다.
S313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는 S301에서 수신한 제1 구간용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할당 정보가 나타내는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를 사용하여, 스케줄링 요구를 무선 기지국(1)에 송신한다. S313에서 무선 기지국(1)은 스케줄링 요구를 휴대 전화 단말기(2)로부터 수신한다. S313의 스케줄링 요구로서는, S103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S314에서 무선 기지국(1)은 S313의 스케줄링 요구에 응답하여, 제1 구간용 UL 데이터(BSR)용 리소스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할당하고, 제1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송신한다. S314에 있어서의 제1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는, 도 8에 도시하는 UL Grant에 있어서 Granted Object를 0으로 세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S315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는 S314에서 수신한 제1 구간용 UL 데이터(BSR)용 리소스 할당 정보로 나타나는 UL 데이터용 리소스를 사용하여, BSR을 무선 기지국(1)에 송신한다. S315에 있어서의 제2 구간용인 BSR은, 도 9에 도시하는 BSR에 있어서 Buffer Owner를 1로 세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S315에 있어서 휴대 전화 단말기(2)는 제2 구간용인 BSR에 있어서, 버퍼 사이즈 정보를 소정값(고정값)으로 설정한다. 이 시점의 휴대 전화 단말기(2)는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가 송신하고자 하는 UL 유저 데이터의 사이즈를 파악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휴대 전화 단말기(2)는 먼저 제2 구간용인 소정값의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를 확보한다. 이 소정값으로서는, 최저로도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가 UL 유저 데이터의 사이즈를 보낼 수 있을 정도일 필요가 있는데, 어느 정도의 크기인 편이 바람직하다.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의 UL 유저 데이터가 그다지 크지 않은 경우에, 소정값의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를 사용하여 그 UL 유저 데이터를 한번에 송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S316에서 무선 기지국(1)은 S315에서 수신한 BSR에 기초하여,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의 UL 리소스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할당하고,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를 그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송신한다. S316에 있어서의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는, 도 8에 도시하는 UL Grant에 있어서 Granted Object를 1로 세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S317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는 S316에서 할당된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를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에 통지한다. S317의 통지로서는, S314에서 수신한 UL Grant를 그대로 전송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변환을 행해도 된다.
휴대 전화 단말기(2)는 S317의 통지를, S316에서 할당된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를 사용하여 행한다. 여기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S317의 통지를 수신하기 전에는,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를 특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S310의 동기 처리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1)에 준비된 주파수 대역인 무선 기지국(1)의 주파수 대역을 파악하고 있다.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S312에서 스케줄링 요구를 송신한 후에, 무선 기지국(1)의 주파수 대역 전역을 감시한다. 이에 의해, S317의 통지가 무선 기지국(1)의 주파수 대역 어디에 맵핑되어 있어도,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S317의 통지를 검출할 수 있다. 종래의 LTE 시스템에 있어서도, 휴대 전화 단말기(2)는 무선 기지국(1)의 주파수 대역 전역을 감시하여 UL Grant를 검출하고 있고, S317의 처리도 그것에 유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S318에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S317의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 통지에 응답하여, 그 통지가 나타내는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소정량분)를 사용하여, UL 유저 데이터와 나머지 데이터 사이즈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송신한다. S318에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소정량의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에 있어서 데이터의 송신에 사용할 수 있는 영역(소정량으로부터 헤더나 CRC 등에 필요한 분을 뺀 것) 중 제1 영역에 UL 유저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저장하고, 제2 영역에 나머지 데이터의 사이즈를 저장한다.
구체예를 들어 설명한다. 일례로서, 소정량의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 중의 데이터의 송신에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의 사이즈가 1000비트인 것으로 한다. 또한, 제2 영역에 저장되는 나머지 데이터 사이즈는, BSR과 동일한 규칙(도 4c)에 의해 6비트로 양자화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소정량의 1000비트 중 선두의 994비트를 제1 영역으로 하고, 나머지의 6비트를 제2 영역으로 한다.
여기에서는 하나의 사례(사례 1이라고 칭함)로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가 갖는 UL 유저 데이터의 사이즈가 10000비트인 경우를 생각한다. 이때,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10000비트의 UL 유저 데이터 중, 선두의 994비트를 제1 영역에 저장한다. 또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UL 유저 데이터의 나머지 데이터 사이즈인 10000-994=9006비트≒1126바이트를 BSR 동일한 규칙(도 4c)에 의해 양자화한 값인 「31」을 제2 영역에 저장한다.
이하에서는 이 사례 1에 기초하여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을 계속한다.
S318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는 S316에서 할당된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에 기초하여, UL 유저 데이터의 일부와 나머지 데이터 사이즈를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로부터 수신한다. 전술한 사례 1에 있어서는, 휴대 전화 단말기(2)는 수신한 제2 영역의 값 「31」에 의해 나머지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을 인식하고, 제1 영역에 저장된 UL 유저 데이터의 일부를 일시적으로 기억부에 저장한다. 그리고 휴대 전화 단말기(2)는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가 나머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의 할당을 더 받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S319∼S322가,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가 나머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의 할당을 더 받기 위한 처리에 대응한다. S319∼S322의 처리는, S313∼S316의 처리와 거의 동일하게 행하면 된다. 단, S321에 있어서 휴대 전화 단말기(2)는 BSR 중에서 지정하는 버퍼 사이즈 정보를, S318에 있어서 제2 영역에 저장된 나머지 데이터 사이즈에 기초하여 지정한다. 이에 의해, 휴대 전화 단말기(2)는 무선 기지국(1)으로부터 나머지 데이터 사이즈분의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의 할당을 받을 수 있다. 기타의 점에 대해서는, S319∼S322의 처리는 S313∼S316의 처리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상세는 생략한다.
다음으로 S323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는 S322에서 할당된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를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에 통지한다. S323은 S317과 동일하게 행하면 된다.
그리고 S324에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S323의 제2 구간용인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의 통지에 응답하여, 그 통지가 나타내는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나머지 데이터 사이즈분)를 사용하여, UL 유저 데이터의 나머지 데이터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송신한다. 사례 1에 있어서는,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S318에서 송신할 수 없었던 9006비트의 나머지 데이터를, S324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송신한다.
S324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는 나머지 데이터를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로부터 수신한다. 휴대 전화 단말기(2)는 S318에서 이미 수신한 UL 유저 데이터의 일부와, S324에서 수신한 나머지 데이터를 결합하여 원래의 UL 유저 데이터를 복원하고, 송신 버퍼에 저장한다.
그리고 휴대 전화 단말기(2)는 송신 버퍼에 저장한 UL 유저 데이터를 무선 기지국(1)에 송신하는 처리를 행한다. S325∼S329가, 휴대 전화 단말기(2)가 UL 유저 데이터를 무선 기지국(1)에 송신하는 처리에 대응한다. S325∼S329의 처리는, 도 1에 있어서의 S103∼S107의 처리와 거의 동일하지만, 일부에 상이한 점도 있어서 개요를 설명한다.
먼저 S325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는 S301에서 할당된 제1 구간용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를 사용하여, 스케줄링 요구를 무선 기지국(1)에 송신한다. S326에서 무선 기지국(1)은 S325의 스케줄링 요구에 응답하여, 제1 구간용 UL 데이터(BSR)용 리소스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할당하고,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를 그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송신한다. S327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는 S326에서 할당된 제1 구간용 UL 데이터(BSR)용 리소스를 사용하여, BSR을 무선 기지국(1)에 송신한다. S327에 있어서의 제1 구간용인 BSR은, 도 9에 도시하는 BSR에 있어서 Buffer Owner를 0으로 세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S328에서 무선 기지국(1)은 S327의 BSR을 수신하면, 그 BSR에 기초하여 제1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할당하고,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를 그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송신한다. 마지막으로 S329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는 S328에서 할당된 제1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를 사용하여, UL 유저 데이터를 무선 기지국(1)에 송신한다. S329에서 무선 기지국(1)은 S328에서 스스로 할당한 제1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에 기초하여, UL 유저 데이터를 휴대 전화 단말기(2)로부터 수신한다. 이상에 의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UL 유저 데이터의 송신 처리가 완료된다.
한편, 상기와는 다른 사례(사례 2라고 칭함)로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가 갖는 UL 유저 데이터의 사이즈가 500비트인 경우를 생각한다. 도 10에 기초하여, 사례 2의 경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UL 유저 데이터의 송신 처리의 시퀀스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0의 S401∼S417은, 도 6의 S301∼S317에 각각 대응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S418에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500비트의 UL 유저 데이터를 상기한 제1 영역에 저장한다. 또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UL 유저 데이터의 나머지 데이터는 없으므로, 나머지 데이터 사이즈로서 0비트=0바이트를 BSR 동일한 규칙(도 4c)에 의해 양자화한 값인 「0」을 상기한 제2 영역에 저장한다.
사례 2에 대응하는 도 10의 S419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는 S418에서 수신한 제2 영역의 값 「0」에 의해 나머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인식하므로, 나머지 데이터용의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의 할당을 무선 기지국(1)으로부터 받을 필요는 없다. 따라서, 도 10에 있어서는, 도 6에 있어서의 S319∼S324가 불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휴대 전화 단말기(2)는 S418에서 수신한 UL 유저 데이터(전부)를 무선 기지국(1)에 송신하는 처리를 행한다. 도 10에 있어서의 S419∼S423이, 휴대 전화 단말기(2)가 UL 유저 데이터(전부)를 무선 기지국(1)에 송신하는 처리에 대응한다. 도 10의 S419∼S423은, 도 6의 S325∼S329에 각각 대응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UL 유저 데이터 송신 처리에 있어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와 휴대 전화 단말기(2) 사이의 단말기간 통신용의 무선 리소스가 필요하게 된 경우(예를 들어 미리 준비된 단말기간 통신용의 전용 리소스가 폭주 등에 의해 부족한 경우 등)에, 그 단말기간 통신용의 무선 리소스를 무선 기지국(1)에 준비된 무선 리소스로부터 필요한 양을 할당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와 휴대 전화 단말기(2) 사이의 무선 리소스를 유연하게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어느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휴대 전화 단말기(2)와 ITC 단말기 사이의 통신 방식은 변경 불필요하다. 그 때문에, 본원의 실시 형태의 ITC 단말기는 종래의 ITC 단말기로부터 큰 변경을 가할 일 없이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처리 시퀀스에 의하면, UL 유저 데이터 송신 처리에 있어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와 휴대 전화 단말기(2) 사이의 단말기간 통신용으로 LTE의 스케줄링 요구용의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고 있다. 이에 의해, LTE의 무선 기지국(1)에 준비된 무선 리소스(주파수 대역)를 관여시키지 않는 운용이 가능하게 됨과 함께, 종래의 LTE 시스템으로부터의 변경이 적어도 된다(도입 비용이 적음)고 하는 효과도 얻어진다.
〔d〕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UL 유저 데이터의 송신 처리를 실현하는 것이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구간(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로부터 휴대 전화 단말기(2))에서 UL 유저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먼저 소정량의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를 사용하여 UL 유저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와 나머지 데이터 사이즈를 보낸 후에, 나머지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나머지 데이터 사이즈분의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의 할당을 받아서 나머지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었다. 이에 비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구간에서 UL 유저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먼저 소정량의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를 사용하여 UL 유저 데이터의 사이즈를 보낸 후에, UL 유저 데이터 사이즈분의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의 할당을 받아서 UL 유저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다.
도 11에 기초하여,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UL 유저 데이터의 송신 처리의 시퀀스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1에 있어서는, UL 유저 데이터의 송신에 관한 주요한 수순을 기재하고 있고, 모든 수순이 기재되어 있는 것은 아닌 것에 주의하기 바란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도 11의 S501∼S529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도 6의 S301∼S329에 거의 대응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에 있어서 도 6과 상이한 점만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1의 S515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는 제2 구간용 BSR을 무선 기지국(1)에 송신한다. 여기서, 이 제2 구간용인 BSR에 있어서, 버퍼 사이즈 정보를 소정값(고정값)에 설정하는 것은 도 6의 S315와 마찬가지이다. 단, S515의 제2 구간용 BSR에 있어서의 이 소정값은,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가 UL 유저 데이터의 사이즈를 보낼 수 있는 양으로 충분하다. 예를 들어,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가 UL 유저 데이터의 사이즈를 보낼 때에 BSR과 동일한 규칙(도 4c)으로 5비트로 양자화하는 경우라면, 이 소정값은 5비트(을 나타내는 값)로 충분하다. 이때, S515의 제2 구간용 BSR의 소정값은, 5비트=0.625바이트를 BSR의 규칙(도 4c)으로 양자화한 값인 「1」이 된다. 다른 예로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가 UL 유저 데이터의 사이즈를 보낼 때에 BSR 그 자체(도 4 또는 도 9)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도 S515의 제2 구간용 BSR의 소정값은 「1」이 된다.
도 11의 S518에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S517의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의 통지에 응답하여, 그 통지가 나타내는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소정량분)를 사용하여, UL 유저 데이터의 사이즈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송신한다. 도 6의 S318에서는 UL 유저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가 송신되지만, S517에서는 UL 유저 데이터의 사이즈만이 송신된다.
도 11의 S524에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S523의 제2 구간용인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의 통지에 응답하여, 그 통지가 나타내는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UL 유저 데이터의 사이즈분)를 사용하여, UL 유저 데이터(전부)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송신한다. 도 6의 S324에서는 UL 유저 데이터의 나머지 데이터가 송신되지만, S524에서는 UL 유저 데이터의 전부가 송신된다. S518에서 UL 유저 데이터의 일부를 송신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상 설명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2 구간(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로부터 휴대 전화 단말기(2))에서 UL 유저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먼저 소정량의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를 사용하여 UL 유저 데이터의 사이즈를 보낸 후에, UL 유저 데이터 사이즈분의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의 할당을 받아서 UL 유저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에 의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구간에서 항상 UL 유저 데이터가 한번에 송신되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휴대 전화 단말기(2)에서 UL 유저 데이터의 일부를 유지할(나머지 데이터를 대기하는 동안) 필요가 없어진다.
〔e〕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는, 제1∼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UL 유저 데이터의 송신 처리를 실현하는 것이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구간(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로부터 휴대 전화 단말기(2))에서 UL 유저 데이터 사이즈를 송신할 때에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를 사용하였다. 이에 비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구간에서 UL 유저 데이터 사이즈를 송신할 때에 제2 구간용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를 사용한다.
도 12에 기초하여,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UL 유저 데이터의 송신 처리의 시퀀스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2에 있어서는, UL 유저 데이터의 송신에 관한 주요한 수순을 기재하고 있고, 모든 수순이 기재되어 있는 것은 아닌 것에 주의하기 바란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도 11과 공통점이 많다. 이하에서는 도 12에 있어서 도 11과 상이한 점만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2의 S601∼S611은, 도 11의 S501∼S511에 각각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S612에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S609에서 수신한 제2 구간용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할당 정보가 나타내는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를 사용하여, UL 유저 데이터의 사이즈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송신한다. S612에서 보내어지는 정보(UL 유저 데이터의 데이터 사이즈)는 도 11의 S518에서 보내어지는 것과 동일한 것이어도 된다. 그러나 UL 유저 데이터의 데이터 사이즈를 보내기 위해서, S518에서는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S612에서는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를 사용하는 점이 상이하다.
여기서, 종래의 LTE의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는 미소한 리소스이기 때문에, UL 유저 데이터의 사이즈를 보내는 것은 어렵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장래는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가 커지는 것도 생각되고, 그 경우에 본 실시 형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세는 후술하는데,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이외의 정기적인 리소스로 리소스 사이즈가 비교적 큰 것(CQI 보고용 리소스 등)에 기초하여, 제3 실시 형태를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또는 그 이외의 정기적인 리소스를 복수회 사용하여, UL 유저 데이터 사이즈를 분할하여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물론, 본원의 각 실시 형태는 LTE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가 비교적 큰 무선 통신 시스템이라면, 제3 실시 형태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도 12의 S613∼S623은, 도 11의 S519∼S529에 각각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2 구간(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로부터 휴대 전화 단말기(2))에서 UL 유저 데이터 사이즈를 송신할 때에 제2 구간용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를 사용한다. 이에 의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UL 유저 데이터 사이즈를 송신하기 위한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가 필요없어진다. 그 때문에, 제3 실시 형태에서는, UL 유저 데이터 사이즈를 송신하기 위한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의 할당을 받기 위한 시그널링(도 11의 S512∼S517에 상당)이 불필요하게 되어, 제1∼제2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UL 유저 데이터의 송신 지연이 삭감된다.
〔f〕제4 실시 형태
제4 실시 형태는, 제1∼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UL 유저 데이터의 송신 처리를 실현하는 것이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구간(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로부터 휴대 전화 단말기(2))에서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를 사용하여 UL 유저 데이터 사이즈를 송신한 후에 할당할 수 있는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를 사용하여, 제2 구간에서 UL 유저 데이터를 송신하였다. 이에 비해, 제4 실시 형태는, 제2 구간 UL 유저 데이터 사이즈를 송신하지 않고, 제2 구간에서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를 사용하여 UL 유저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다.
도 13에 기초하여,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UL 유저 데이터의 송신 처리의 시퀀스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3에 있어서는, UL 유저 데이터의 송신에 관한 주요한 수순을 기재하고 있고, 모든 수순이 기재되어 있는 것은 아닌 것에 주의하기 바란다.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도 12와 공통점이 많다. 이하에서는 도 13에 있어서 도 12와 상이한 점만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3의 S701∼S711은, 도 12의 S601∼S611에 각각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S712에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S709에서 수신한 제2 구간용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할당 정보가 나타내는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를 사용하여, UL 유저 데이터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송신한다. S712에서 사용되는 무선 리소스(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는 도 12의 S612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다. 그러나, S712에서는 UL 유저 데이터 그 자체가 보내어지는 것에 비해, S612에서는 UL 유저 데이터의 데이터 사이즈가 보내어지는 점이 상이하다.
여기서, 종래의 LTE의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는 미소한 리소스이기 때문에, UL 유저 데이터를 보내는 것은 어렵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장래는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가 커지는 것도 생각되고, 그 경우에 본 실시 형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세는 후술하는데,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이외의 정기적인 리소스로 리소스 사이즈가 비교적 큰 것(CQI 보고용 리소스 등)에 기초하여, 제4 실시 형태를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또는 그 이외의 정기적인 리소스를 복수회 사용하여, UL 유저 데이터를 분할하여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물론, 본원의 각 실시 형태는 LTE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가 비교적 큰 무선 통신 시스템이라면, 제4 실시 형태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도 13의 S713∼S717은, 도 12의 S619∼S623에 각각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2 구간(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로부터 휴대 전화 단말기(2))에서 UL 유저 데이터 사이즈를 송신하지 않고, 제2 구간에서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를 사용하여 UL 유저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에 의해, 제4 실시 형태에서는 UL 유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가 필요없어진다. 그 때문에, 제4 실시 형태에서는, UL 유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의 할당을 받기 위한 시그널링(도 12의 S612∼S617에 상당)이 불필요하게 되어, 제1∼제3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UL 유저 데이터의 송신 지연이 삭감된다.
또한, UL 유저 데이터의 송신 처리를 실현하는 각 실시 형태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례로서, 제3 실시 형태와 제4 실시 형태를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UL 유저 데이터 사이즈가 비교적 큰 경우에는 제3 실시 형태를 적용함과 함께, UL 유저 데이터 사이즈가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제4 실시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제3 실시 형태의 S612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S118과 같이 UL 유저 데이터의 일부와 나머지 사이즈를 보내도록 해도 된다.
〔g〕제5 실시 형태
제5 실시 형태는, DL 유저 데이터의 송신 처리를 실현하는 것이다.
도 14에 기초하여,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DL 유저 데이터의 송신 처리의 시퀀스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4에 있어서는, DL 유저 데이터의 송신에 관한 주요한 처리를 기재하고 있어, 모든 처리가 기재되어 있는 것은 아닌 것에 주의하기 바란다.
도 14의 시퀀스에서는 특히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S801 전에, 도 5의 시퀀스에서 S201 전에 행하는 처리가 행하여진다. 즉, S801 전에, 휴대 전화 단말기(2)는 기동(전원 투입)되면, 소위 셀 서치를 행함으로써 선택한 1개의 무선 기지국(1)에 동기하고, 그 무선 기지국(1)과의 사이에서 통신 개시를 위한 여러가지의 초기 설정을 행한다. 도 14의 S801은 이 초기 설정에 상당한다.
도 14의 S801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1)은 제1 구간용인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할당하고, 제1 구간용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할당 정보를 그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송신한다. S801은 도 6의 S301과 동일하게 행하면 된다. S801에 있어서의 제1 구간용인 스케줄링 요구용의 무선 리소스 할당 정보는, 도 7에 도시하는 SchedulingRequestConfig 정보 요소에 있어서 sr-Object를 0으로 세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가 휴대 전화 단말기(2)를 통하여 네트워크에의 접속 처리를 행한다. 이 접속 처리는, 도 14의 S802∼S810에 대응한다.
S802에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제2 구간 접속 요구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송신한다. 제2 구간 접속 요구는, 적어도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식별자로서는, 네트워크 상의 장치에 미리 일의적으로 부여되는 물리적인 식별자(물리 어드레스)인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구간 접속 요구는, 전술한 휴대 전화 단말기(2)와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사이의 통신용으로 미리 할당된 단말기간 전용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송신할 수 있다. 또한, S802에 있어서는, 제2 구간에서 제2 구간 접속 요구를 송수신하는 대신, 유저가 제2 구간 접속 요구 상당의 정보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입력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S803∼S807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는 S802에서 수신한 제2 구간 접속 요구에 기초하여, 제1 구간 접속 요구를 무선 기지국(1)에 송신한다. 제1 구간 접속 요구는, 제2 구간 접속 요구 중인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식별자를 적어도 포함한다. 제1 구간 접속 요구의 송신 처리인 S803∼S807은, 도 6의 S303∼307과 마찬가지로 행하면 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S807에서 무선 기지국(1)은 제1 구간 접속 요구를 휴대 전화 단말기(2)로부터 수신한다. 무선 기지국(1)은 제2 구간 접속 요구에 기초하여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식별자를 인식한다. 또한, UL 유저 데이터 송신에 관한 제1∼제4 실시 형태(도 3 등)에 있어서의 제1 구간 접속 요구는, 휴대 전화 단말기(2)가 무선 기지국(1)으로부터 제2 구간용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할당을 받기 위한 계기가 되는 신호에 지나지 않으므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식별자를 포함할 필요는 없었다. 이에 비해, DL 유저 데이터 송신에 관한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구간 접속 요구는,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식별자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 무선 기지국(1) 및 그 상위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에 적합한 DL 유저 데이터(일반적으로는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에 할당된 IP 어드레스 앞으로의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그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가 어느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액세스하고 있는 것인지를 미리 파악해 두지 않으면, 휴대 전화 단말기(2)를 통하여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에 DL 유저 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식별자로서 MAC 어드레스를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의 상위 장치의 하나인 라우터 등이 MAC 어드레스와 IP 어드레스의 대응표를 관리하여 둘 필요가 있지만 여기에서는 상세는 생략한다.
다음으로 S808에서 무선 기지국(1)은 제2 구간용인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할당하고, 제2 구간용 스케줄링 요구 리소스 할당 정보를 그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송신한다. S808에 있어서의 제2 구간용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할당 정보는, 도 7에 도시하는 SchedulingRequestConfig 정보 요소에 있어서 sr-Object를 1로 세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S809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는 S808에서 할당된 제2 구간용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할당을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에 통지한다. S808∼S809는 도 6의 S308∼S309와 동일하게 행하면 된다.
그리고 S810에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무선 기지국(1)에 동기하기 위한 동기 처리를 행한다. 이 동기는 시간 동기 및 주파수 동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S810은 도 6의 S310과 동일하게 행하면 된다.
이상의 수순에 의해, UL 유저 데이터 송신의 준비가 갖추어진다.
다음으로 S811에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슬립 모드(아이들 모드라 칭해지는 경우도 있음)로 이행한다. 여기서 슬립 모드란, 소위 대기 모드이며, 다른 표현으로 하면 전력 절약 모드이다.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전력 소비를 억제하기 위해서, 일정 기간 유저 데이터의 송수신이 없는 경우 등에 슬립 모드로 이행한다.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전력 절약이 요망됨과 함께 빈번하게 통신을 행하지 않는 것도 많기 때문에, 대부분의 시간을 슬립 모드에서 보내는 것도 많다.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슬립 모드에 있어서 전력 절약을 실현하기 위해서, 간헐 통신을 행한다. 즉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슬립 모드에 있어서는, 간헐적으로 통신 가능한 상태로 되고, 그 이외일 때는 통신을 행하지 않는다(통신 기능의 전원을 끈다).
여기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슬립 모드로 이행할 때에 간헐 통신의 타이밍을 결정하지만, 본 실시 형태의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이 결정을 S803에서 통지된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에 기초하여 행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가 할당된 타이밍(서브 프레임)에서 수신이 가능하도록, 간헐 통신의 타이밍을 결정한다.
또한 S811에 있어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슬립 모드로 이행한다는 취지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통지해도 된다(도시 생략). 이 통지는, 전술한 휴대 전화 단말기(2)와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사이의 통신용으로 미리 할당된 단말기간 전용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송신할 수 있다.
S812에서 무선 기지국(1)에 DL 유저 데이터가 발생한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인터넷 상의 서버가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에 대한 문의 정보를 송신한 경우에 DL 유저 데이터가 발생한다.
S813에서 무선 기지국(1)은 DL 유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1 구간용 DL 데이터용 리소스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할당하고, 제1 구간용 D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를 그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송신한다. S813은 도 5의 S202에 대응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S813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는 D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를 무선 기지국(1)으로부터 수신한다.
S814에서 무선 기지국(1)은 S813에서 할당한 제1 구간용 DL 데이터용 리소스를 사용하여, DL 유저 데이터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송신한다. 이때 무선 기지국(1)은 DL 유저 데이터에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식별 정보(S807에서 수신한 것)를 부가하여 송신한다. 또한 S814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1)은 S807에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식별 정보와 휴대 전화 단말기(2)의 대응을 인식하고 있으므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를 향하여 송신될(行) DL 유저 데이터를 수신하였을 때에 중계처로 되는 휴대 전화 단말기(2)를 특정할 수 있는 것에 주의한다. S814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는 S813에서 수신한 제1 구간용 D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식별 정보가 부가된 DL 유저 데이터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S815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는 S808에서 할당된 제2 구간용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 요구를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에 송신한다. 데이터 송신 요구는, 휴대 전화 단말기(2)가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에 대하여 송신하는 DL 유저 데이터가 존재한다는 취지를 통지하기 위한 신호이다.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S809에서 통지된 제2 구간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에 기초하여(즉 슬립 모드 중에 있어서의 간헐 통신의 타이밍에서), 데이터 송신 요구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데이터 송신 요구를 수신하면, 슬립 모드로부터 복귀하여, DL 유저 데이터의 수신에 대비한다.
S816에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S815의 데이터 송신 요구에 응답하여, S809에서 통지된 제2 구간용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에 기초하여, 데이터 송신 응답을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송신한다.
그리고 휴대 전화 단말기(2)는 S816의 데이터 송신 응답에 응답하여, DL 유저 데이터를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에 송신하는 처리를 행한다. 도 14에 있어서의 S817∼S822가, 휴대 전화 단말기(2)가 DL 유저 데이터를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에 송신하는 처리에 대응한다. 도 14의 S817∼S821은, 도 6의 S313∼S317과 각각 마찬가지로 행하면 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마지막으로 S822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는, S821에서 통지한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에 기초하여, DL 유저 데이터를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에 송신한다. 또한,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는 「무선 기지국(1)과 휴대 전화 단말기(2) 사이의 통신용으로 준비된 UL 데이터용 리소스로부터 제2 구간용으로 할당한 리소스」라는 의미이며, 반드시 UL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리소스라는 것은 아닌 것에 주의하기 바란다. 그 때문에, S822에서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를 사용하여 DL 유저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에 특별히 문제는 없다.
S822에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S821에서 통지된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에 기초하여, DL 유저 데이터를 휴대 전화 단말기(2)로부터 수신한다. 이상에 의해,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DL 유저 데이터의 송신 처리가 완료된다.
이상 설명한 제5 실시 형태에 의하면, DL 유저 데이터 송신 처리에 있어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와 휴대 전화 단말기(2) 사이의 단말기간 통신용의 무선 리소스가 필요하게 된 경우(예를 들어 미리 준비된 단말기간 통신용의 전용 리소스가 폭주 등에 의해 부족한 경우 등)에, 그 단말기간 통신용의 무선 리소스를 무선 기지국(1)에 준비된 무선 리소스로부터 필요한 양을 할당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와 휴대 전화 단말기(2) 사이의 무선 리소스를 유연하게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어느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휴대 전화 단말기(2)와 ITC 단말기 사이의 통신 방식은 변경이 불필요하다. 그 때문에, 본원의 실시 형태의 ITC 단말기는 종래의 ITC 단말기로부터 큰 변경을 가하지 않고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에 의하면, DL 유저 데이터 송신 처리에 있어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와 휴대 전화 단말기(2) 사이의 단말기간 통신용으로 LTE의 스케줄링 요구용의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고 있다. 이에 의해, LTE의 무선 기지국(1)에 준비된 무선 리소스(주파수 대역)를 관여시키지 않는 운용이 가능해짐과 함께, 종래의 LTE 시스템으로부터의 변경이 적어도 된다(도입 비용이 적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h〕제6 실시 형태
제6 실시 형태는, 제5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DL 유저 데이터의 송신 처리를 실현하는 것이다.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구간(휴대 전화 단말기(2)로부터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에서 DL 유저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를 사용하여 송신하고 있었다. 이에 반해 제6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구간에서 DL 유저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를 사용하여 DL 유저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다.
도 15에 기초하여,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DL 유저 데이터의 송신 처리의 시퀀스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5에 있어서는, DL 유저 데이터의 송신에 관한 주요한 수순을 기재하고 있으며, 모든 수순이 기재되어 있는 것은 아닌 것에 주의하기 바란다.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도 15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도 14와 공통점이 많다. 이하에서는 도 15에 있어서 도 14와 상이한 점만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5의 S901∼S916은, 도 14의 S801∼S816에 각각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S917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는 S909에서 수신한 제2 구간용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할당 정보가 나타내는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를 사용하여, DL 유저 데이터를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에 송신한다. DL 유저 데이터의 데이터 사이즈를 보내기 위해서, 도 14의 S822에서는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를 사용하는 것에 반해, 도 15의 S917에서는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를 사용하는 점이 상이하다.
여기서, 종래의 LTE의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는 미소한 리소스이기 때문에, DL 유저 데이터를 보내는 것은 어렵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장래는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가 커지는 것도 생각되고, 그 경우에 본 실시 형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세는 후술하지만,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이외의 정기적인 리소스로 리소스 사이즈가 비교적 큰 것(CQI 보고용 리소스 등)에 기초하여, 제6 실시 형태를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또는 그 이외의 정기적인 리소스를 복수회 사용하여, DL 유저 데이터를 분할하여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물론, 본원의 각 실시 형태는 LTE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가 비교적 큰 무선 통신 시스템이면, 제6 실시 형태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이상 설명한 제6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2 구간(휴대 전화 단말기(2)로부터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에서 DL 유저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를 사용하여 DL 유저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에 의해, 제6 실시 형태에서는 DL 유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가 필요없어진다. 그 때문에, 제6 실시 형태에서는, DL 유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의 할당을 받기 위한 시그널링(도 14의 S817∼S821에 상당)이 불필요하게 되어, 제5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DL 유저 데이터의 송신 지연이 삭감된다.
또한, DL 유저 데이터의 송신 처리를 실현하는 제5 실시 형태와 제6 실시 형태를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DL 유저 데이터 사이즈가 비교적 큰 경우에는 제5 실시 형태를 적용함과 함께, DL 유저 데이터 사이즈가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제6 실시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i〕랜덤 액세스 채널을 사용하는 변형예
상기 제1∼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스케줄링 요구를 물리 상향 제어 채널인 PUCCH 상에서 송신하는 예를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스케줄링 요구를 송신하는 채널은 PUCCH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인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상에서 송신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 변형예를 설명한다.
스케줄링 요구를 PRACH 상에서 송신하는 경우의 처리 시퀀스는, PUCCH 상에서 송신하는 경우와 대략 변함이 없다. 단, PRACH는 랜덤 액세스용의 채널이므로, PRACH 상에서 스케줄링 요구를 송신하는 경우의 무선 리소스에는 「제1 구간용」과 「제2 구간용」의 구별은 없어지는 것에 주의한다.
이하에서는, 스케줄링 요구를 PRACH 상에서 송신하는 변형예의 처리의 개요를, 제1 실시 형태(도 6)와 비교하면서 설명한다. 이 변형예는, 이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2 실시 형태∼제6 실시 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스케줄링 요구를 PRACH 상에서 송신하는 경우, S301의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할당은, DL 주파수 대역을 통지하는 알림 정보인 MIB(Master Information Block)에 대응한다. 휴대 전화 단말기(2)는 DL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PRACH의 리소스 즉 제2 구간용을 소정의 규칙(특정한 서브 프레임의 중심의 6리소스 블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휴대 전화 단말기는 제2 구간 접속 요구를 받으면(S302에 대응), 휴대 전화 단말기(2)는 그 제2 구간 접속 요구에 응답하여,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통지를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에 송신한다(S309). 도 6에 있어서의 S303∼S308에 상당하는 처리는 불필요하게 된다.
스케줄링 요구를 PRACH 상에서 송신하는 경우, 도 6의 S313∼S316은, LTE에 있어서의 충돌형(contention base)의 랜덤 액세스 수순에 상당한다. 구체적으로는, S313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Random Access Preamble), S314는 랜덤 액세스 리스펀스(Random Access Response), S315는 스케줄 전송(Scheduled Transmission), S316은 충돌 해결(Contention Resolution)에 대응한다. 여기에서는 상세는 생략한다.
〔j〕그 밖의 변형예
이상 설명한 제1∼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구간 즉 휴대 전화 단말기(2)와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사이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서, 예를 들어 WiFi(등록 상표) 등의 무선 LAN의 규격에 기초한 방식이 사용된다. 이때, 제2 구간에서의 통신은, 캐리어 센스에 의해 충돌하지 않고 행해진다. 즉 제2 구간에 할당된 무선 리소스는, 휴대 전화 단말기(2)와 복수의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간에서 동시에 사용되지 않도록 제어된다. 이에 의해, 1대의 휴대 전화 단말기(2)가 복수의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를, 무선 기지국(1)으로부터 그때마다 리소스 할당을 받지 않고, 서포트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일례로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도 6에 있어서, 휴대 전화 단말기(2)가 S312의 제2 구간 스케줄링 요구를 소정 기간 내에 2대의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로부터 수신한 경우를 생각한다. 이때, 휴대 전화 단말기(2)는 S313의 스케줄링 요구를 1회만 송신함으로써, S316에서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을 1개만 받는다. 그리고, S317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는 그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을 복수의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에 동시에 통지하고, S318에서 2대의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각각 그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이 나타내는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로 통신을 행한다. 이때, 2대의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1개의 제2 구간용 UL 데이터용 리소스를 병용하게 되지만, 캐리어 센스에 의해 통신에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1대의 휴대 전화 단말기(2)가 복수의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를, 무선 기지국(1)으로부터 그때마다 리소스 할당을 받지 않고, 서포트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도 1의 S104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리소스 할당 정보인 UL Grant가 나타내는 리소스는, 그 UL grant에 대응하는 DL 서브 프레임의 4개 후의 UL 서브 프레임(즉 1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정해져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구간 즉 휴대 전화 단말기(2)와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사이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서, 예를 들어 WiFi(등록 상표) 등의 무선 LAN의 규격에 기초하여 캐리어 센스에 기초하는 통신을 행하는 경우,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의 시간축 상의 단위가 1서브 프레임(1밀리초)으로는 너무 짧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1∼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구간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을 복수 서브 프레임 단위로 할당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2 구간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UL Grant)에 있어서 할당 단위로 되는 서브 프레임수를 소정 개수(일례로서 10서브 프레임)로 할 수 있다. 또한, 제2 구간 UL 데이터용 리소스 할당 정보에 있어서 할당 단위로 되는 서브 프레임수를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구체예로서는, UL Grant에 4비트의 정보 「assigned period」를 새롭게 정의하고, 할당 단위로 되는 서브 프레임수를 0∼15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구간용 통신용의 정기적인 리소스로서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를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제2 구간용 통신용의 정기적인 리소스는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대신에, 전술한 CQI 보고용 리소스, 또는 CQI/PMI(Precoding Matrix Indicator)/RI(Rank Indication) 보고용 리소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 대신에, UL의 세미퍼시스턴트(Semi-Persistent) 스케줄링에 기초하는 정기적인 UL 리소스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구간용 통신용의 리소스로서 UL 리소스를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제1∼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구간용 통신용의 리소스로서 DL 리소스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스케줄링 요구용 리소스의 대용으로 되는 정기적인 리소스로서, DL의 세미퍼시스턴트 스케줄링에 기초하는 정기적인 DL 리소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휴대 전화 단말기(2)와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사이(제2 구간)의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주파수 대역) 및 통신 방식으로서 WiFi(등록 상표) 등의 무선 LAN을 적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구간의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 및 통신 방식으로서는, Bluetooth(등록 상표), Zigbee(등록 상표), GSM(등록 상표,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적외선 통신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k〕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
도 16에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는, LTE에 준거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LTE 특유의 용어나 개념이 몇 가지 등장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나 일례에 지나지 않고, LTE 이외의 통신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한 것에 주의하기 바란다.
도 16에서 도시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 기지국(1)(eNB : evolved Node B), 휴대 전화 단말기(2)(UE : User Equipment),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등을 구비한다. 본원에서는, 휴대 전화 단말기(2(2a, 2b))와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3a, 3b))를 「무선 단말기」라 총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무선 기지국(1), 휴대 전화 단말기(2) 및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를 「무선국」이라 총칭하는 경우가 있다.
무선 기지국(1)과 휴대 전화 단말기(2) 사이의 무선 네트워크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라 칭한다. 무선 기지국(1) 간은, 백홀 네트워크라 칭해지는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전송망)로 접속되어 있다. 백홀 네트워크는, 무선 기지국(1) 간이나 무선 기지국(1)과 코어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이다. 무선 기지국(1)은 백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된 장치와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에는 도시하지 않은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나 SAE-GW(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Gateway) 등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LTE 네트워크는, EPS(Evolved Packet System)라 칭해지는 경우도 있다. EPS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인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Network)과 코어 네트워크인 EPC(Evolved Packet Core)를 포함한다. 코어 네트워크는 SAE(System Architecture Evolution)라 칭해지는 경우도 있다.
도 16에 있어서의 무선 기지국(1)(간단히 기지국이라 칭해지는 경우도 있음)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서 휴대 전화 단말기(2)와 무선 통신을 행함과 함께, 백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장치이다. 무선 기지국(1)은 관리 하의 휴대 전화 단말기(2)(접속 휴대 전화 단말기라고도 칭함)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 외에, 관리 하의 휴대 전화 단말기(2)와 각종 제어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휴대 전화 단말기(2)에 대한 다양한 제어를 행한다. 또한, 무선 기지국(1)은 백홀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무선 기지국(1)과의 사이에서 서로 데이터의 중계를 행하는 것 외에, 다른 무선 기지국(1)과 각종 제어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제휴할 수 있다.
무선 기지국(1)은 백홀 네트워크를 통하여, 백홀 네트워크 앞(先)의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MME 등의 제어 장치와 다양한 제어 정보의 교환을 행한다. 또한, 무선 기지국(1)은 관리 하의 휴대 전화 단말기(2)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SAE-GW 등의 중계 장치에 중계함과 함께, SAE-GW 등의 중계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관리 하의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중계한다.
무선 기지국(1)은 백홀 네트워크와 유선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되고, 무선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무선 기지국(1)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한 휴대 전화 단말기(2)와의 무선 통신 기능과 디지털 신호 처리 및 제어 기능을 분리하여 다른 장치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장치를 RRH(Remote Radio Head), 디지털 신호 처리 및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장치를 BBU(Base Band Unit)라 칭한다. RRH는 BBU로부터 분리되어 설치되고, 그들 사이는 광 파이버 등에 의해 유선 접속되어도 된다. 또한, 무선 기지국(1)은 매크로 기지국, 피코 기지국 등의 소형 기지국(마이크로 기지국, 펨토 기지국 등을 포함함) 외에, 다양한 규모의 기지국이어도 된다. 또한, 기지국과 휴대 전화 단말기(2)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국이 사용되는 경우, 그 중계국(무선 단말기와의 송수신 및 그 제어)도 본원의 무선 기지국(1)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덧붙여서 말하면, 「셀」이란, 휴대 전화 단말기(2)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무선 기지국(1)이 커버하는 범위(엄밀하게는 UL 셀과 DL 셀이 있다. 또한, 무선 기지국(1)의 안테나가 섹터 안테나인 경우, 통상, 섹터마다 셀이 형성되고, 나아가, LTE의 Release 10 이후에서는 무선 캐리어마다 셀이 형성됨)이지만, 무선 기지국(1)과 셀은 어느 정도 대응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셀」과 「무선 기지국」을 적절히 바꾸어 사용해도 상관없다.
다음에, 도 16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2)(무선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 또는, 간단히 단말기라 칭해지는 경우도 있다. 또한, 유저 장치, 가입자국, 이동국 등이라 칭해지는 경우도 있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는 제1 단말기 또는 제1 무선 단말기 등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서 무선 기지국(1)과 무선 통신을 행하는 장치이다. 휴대 전화 단말기(2)는 1개의 무선 기지국(1)에 접속하고 있으며, 통신 중에 이동 등에 의해 무선 상황에 변화가 생기면, 핸드오버에 의해 접속하는 무선 기지국(1)이 절환된다. 여기서, 「접속」이란, 휴대 전화 단말기(2)가 무선 기지국(1)에 등록(Attach)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지만, 단순히 통신 중이라는 취지의 의미로서 해석해도 된다. 휴대 전화 단말기(2)가 접속하는 무선 기지국(1)을 접속 무선 기지국(1) 또는 서빙 셀이라 칭한다. 휴대 전화 단말기(2)는 접속 무선 기지국(1)과의 무선 통신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 외에, 접속 무선 기지국(1)과의 무선 통신에 의해 각종 제어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다양한 제어를 받는다.
본원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2)는 무선 기지국(1)과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와도 무선 통신(단말기간 통신)을 행한다. 휴대 전화 단말기(2)는 LTE 등의 셀룰러 무선 통신 방식과는 상이한 무선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와 무선 통신(단말기간 통신)을 행한다. 이 상이한 무선 통신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어 WiFi(등록 상표) 등의 무선 LAN, Bluetooth(등록 상표), Zigbee(등록 상표), GSM(등록 상표,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적외선 통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휴대 전화 단말기(2)는 휴대 전화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등의 단말기이어도 된다. 또한, 무선 기지국(1)과 단말기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국이 사용되는 경우, 그 중계국(무선 기지국과의 송수신 및 그 제어)도 본 명세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2)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도 16에 있어서의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단말기간 통신을 행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이다.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로서는, 예를 들어, MTC 단말기, 전력 절약 단말기, M2M 단말기, 나아가 휴대 전화 단말기 등이 해당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각종 계측 장치, 감시 장치 등이어도 된다. 본원에 있어서는, 단말기간 통신용 단말기(3)를 제2 단말기 또는 제2 무선 단말기 등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LTE 등의 셀룰러 무선 통신 방식과는 상이한 무선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 단말기(2)와 무선 통신(단말기간 통신)을 행한다. 다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서는, 예를 들어 WiFi(등록 상표) 등의 무선 LAN, Bluetooth(등록 상표), Zigbee(등록 상표), GSM(등록 상표,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적외선 통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DL의 무선 액세스 방식에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상향의 무선 액세스 방식에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단일파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 방식을 사용한다.
본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DL 무선 신호, UL 무선 신호 모두, 소정 길이(예를 들어 10밀리초)의 무선 프레임(간단히 프레임이라고도 칭함)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무선 프레임은 각각이 소정 길이(예를 들어 1밀리 초)의 소정 개수(예를 들어 10개)의 무선 서브 프레임(간단히 서브 프레임이라고도 칭함)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 서브 프레임은, 12개 또는 14개의 심볼을 포함한다. 또한, 「프레임」과 「서브 프레임」은 무선 신호의 처리 단위를 나타내는 용어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이들 용어를 적절히 바꾸어 사용해도 된다.
LTE의 물리층에는 몇 가지의 물리 채널이 정의되어 있다. 예를 들어, DL의 물리 채널로서는, DL 데이터 신호의 전송 등에 사용되는 하향 공유 채널(PDSCH :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DL 제어 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하향 제어 채널(PDCCH :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이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DL 제어 신호란, PDSCH 송신에 직접 필요로 되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물리층(또는 Layer1) 레벨의 제어 신호이다. 이에 반해, 상위층의 제어 신호는 PDSCH를 사용하여 송신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DL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의 제어 신호 영역의 사이즈는 가변(DL 서브 프레임의 선두로부터 1∼3심볼)이지만, 각 DL 서브 프레임의 제어 신호 영역에는 이 사이즈를 통지하기 위한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도 존재한다. 한편, UL의 물리 채널로서는, UL 데이터 신호의 전송 등에 사용되는 상향 공유 채널(PUSCH :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DL 데이터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나 DL 무선 특성 측정 결과 등을 포함하는 UL 제어 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상향 제어 채널(PUCCH :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등이 있다.
DL 서브 프레임에는, DL 데이터 신호나 DL 제어 신호 외에, DL 데이터 신호나 DL 제어 신호의 복조용이나 무선 특성 측정용의 DL 참조 신호 등도 맵핑된다. UL 서브 프레임에도, UL 데이터 신호나 UL 제어 신호 외에, UL 신호의 복조용이나 무선 특성 측정용의 UL 참조 신호 등도 맵핑된다.
〔l〕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장치의 기능 구성
도 17∼도 19에 기초하여, 본원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장치의 기능 구성을 설명한다.
도 17은 본원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기지국(1)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무선 기지국(1)은 예를 들어, 수신부(101), 송신부(102), 제어부(103), 기억부(104)를 구비한다. 이들은 기지국에 있어서의 기능이기 때문에, 수신부(101), 송신부(102), 제어부(103), 기억부(104)를 각각 기지국 수신부(101), 기지국 송신부(102), 기지국 제어부(103), 기지국 기억부(104) 등이라 칭해도 된다.
수신부(101)는 휴대 전화 단말기(2)로부터 UL 무선 신호(UL 캐리어)를 수신한다. 또한 수신부(101)는 수신한 UL 무선 신호를 주파수 변환 등에 의해 다운 컨버트하여 UL 프레임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수신부(101)는 도 6 및 도 10∼도 15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로부터 무선 기지국(1)을 향하는 화살표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를 휴대 전화 단말기(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101)는 이들 이외의 임의의 UL 무선 신호를 휴대 전화 단말기(2)로부터 수신해도 된다.
송신부(102)는 휴대 전화 단말기(2)에 DL 무선 신호(DL 캐리어)를 송신한다. 또한 송신부(102)는 DL 프레임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주파수 변환 등에 의해 업 컨버트함으로써 DL 무선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송신부(102)는 도 6 및 도 10∼도 15에서 무선 기지국(1)으로부터 휴대 전화 단말기(2)를 향하는 화살표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송신할 수 있다. 송신부(102)는 이들 이외도 임의의 DL 무선 신호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송신해도 된다.
제어부(103)는 UL 프레임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하여 각종 제어 또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제어부(103)는 각종 제어 또는 처리를 행하여, DL 프레임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103)는 필요에 따라서 기억부(104)에 대하여 정보의 저장, 저장된 정보의 참조, 저장된 정보의 갱신, 저장된 정보의 소거 등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3)는 도 6 및 도 10∼도 15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1)이 휴대 전화 단말기(2)에 대하여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에 관한 각 제어 또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제어부(103)는 이들 이외도 임의의 제어 또는 처리를 행해도 된다.
기억부(104)는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예를 들어 기억부(104)는 도 6 및 도 10∼도 15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1)이 휴대 전화 단말기(2)에 대하여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를 기억할 수 있다. 기억부(104)는 이들 이외에도 임의의 정보를 기억해도 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기지국(1)의 기능 구성은, 도 17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술한 BBU와 같이 수신부(101) 및 송신부(102)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무선 기지국(1)은 제어부(103)만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8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2)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휴대 전화 단말기(2)는 예를 들어, 제1 수신부(2011), 제2 수신부(2012), 제1 송신부(2021), 제2 송신부(2022), 제어부(203), 기억부(204)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 수신부(2011)와 제2 수신부(2012)를 합하여 수신부(201)라 칭해도 되고, 제1 송신부(2021)와 제2 송신부(2022)를 합하여 송신부(202)라 칭해도 된다. 또한, 제1 수신부(2011)와 제1 송신부(2021)를 합하여 기지국용 통신부라 칭해도 되고, 제2 수신부(2012)와 제2 송신부(2022)를 합하여 단말기간 통신부라 칭해도 된다. 또한, 이들은 휴대 전화 단말기에 있어서의 기능이기 때문에, 수신부(201), 송신부(202), 제어부(203), 기억부(204)를 각각 휴대 전화 단말기 수신부(201), 휴대 전화 단말기 송신부(202), 휴대 전화 단말기 제어부(203), 휴대 전화 단말기 기억부(204) 등이라 칭해도 된다.
제1 수신부(2011)는 무선 기지국(1)으로부터 DL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제1 수신부(2011)는 수신한 DL 무선 신호를 주파수 변환 등에 의해 다운 컨버트하여 DL 프레임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제1 수신부(2011)는 도 6 및 도 10∼도 15에서 무선 기지국(1)으로부터 휴대 전화 단말기(2)를 향하는 화살표에 대응하는 DL 무선 신호를 무선 기지국(1)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1 수신부(2011)는 이들 이외의 임의의 DL 무선 신호를 무선 기지국(1)으로부터 수신해도 된다.
제2 수신부(2012)는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로부터 휴대 전화 단말기(2)를 향하여 송신되는(앞으로의) 단말기간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제2 수신부(2012)는 수신한 휴대 전화 단말기(2) 앞으로의 단말기간 무선 신호를 주파수 변환 등에 의해 다운 컨버트하여 휴대 전화 앞으로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제2 수신부(2012)는, 도 6 및 도 10∼도 15에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로부터 휴대 전화 단말기(2)를 향하는 화살표에 대응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2) 앞으로의 단말기간 무선 신호를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2 수신부(2012)는 이들 이외의 임의의 휴대 전화 단말기(2) 앞으로의 단말기간 무선 신호를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로부터 수신해도 된다.
제1 송신부(2021)는 무선 기지국(1)에 UL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제1 송신부(2021)는 UL 프레임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주파수 변환 등에 의해 업 컨버트함으로써 UL 무선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1 송신부(2021)는 도 6 및 도 10∼도 15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로부터 무선 기지국(1)을 향하는 화살표에 대응하는 UL 무선 신호를 무선 기지국(1)에 송신할 수 있다. 제1 송신부(2021)는 이들 이외도 임의의 UL 무선 신호를 무선 기지국(1)에 송신해도 된다.
제2 송신부(2022)는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에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앞으로의 단말기간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제2 송신부(2022)는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앞으로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주파수 변환 등에 의해 업 컨버트함으로써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앞으로의 단말기간 무선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2 송신부(2022)는 도 6 및 도 10∼도 15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로부터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를 향하는 화살표에 대응하는 단말기간 무선 신호를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에 송신할 수 있다. 제2 송신부(2022)는 이들 이외도 임의의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앞으로의 단말기간 무선 신호를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에 송신해도 된다.
제어부(203)는 DL 프레임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신호 또는 휴대 전화 단말기(2) 앞으로의 프레임에 대하여 각종 제어 또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제어부(203)는 각종 제어 또는 처리를 행하여, DL 프레임 또는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 앞으로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203)는 필요에 따라서 기억부(204)에 대하여 정보의 저장, 저장된 정보의 참조, 저장된 정보의 갱신, 저장된 정보의 소거 등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3)는 도 6 및 도 10∼도 15에 있어서 휴대 전화 단말기(2)가 무선 기지국(1)에 대하여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 및 휴대 전화 단말기(2)가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에 대하여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에 관한 각 제어 또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제어부(203)는 이들 이외도 임의의 제어 또는 처리를 행해도 된다.
기억부(204)는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예를 들어 기억부(204)는 도 6 및 도 10∼도 15에 있어서 휴대 전화 단말기(2)가 무선 기지국(1)에 대하여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 및 휴대 전화 단말기(2)가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에 대하여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를 기억할 수 있다. 기억부(204)는 이들 이외에도 임의의 정보를 기억해도 된다.
도 19는 본원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예를 들어, 수신부(301), 송신부(302), 제어부(303), 기억부(304)를 구비한다. 이들은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에 있어서의 기능이기 때문에, 수신부(301), 송신부(302), 제어부(303), 기억부(304)를 각각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 수신부(301),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 송신부(302),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 제어부(303),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 기억부(304) 등이라 칭해도 된다.
수신부(301)는 휴대 전화 단말기(2)로부터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앞으로의 단말기간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수신부(301)는, 수신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앞으로의 단말기간 무선 신호를 주파수 변환 등에 의해 다운 컨버트하여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앞으로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수신부(301)는 도 6 및 도 10∼도 15에서 휴대 전화 단말기(2)로부터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를 향하는 화살표에 대응하는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앞으로의 단말기간 무선 신호를 휴대 전화 단말기(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301)는 이들 이외의 임의의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앞으로의 단말기간 무선 신호를 휴대 전화 단말기(2)로부터 수신해도 된다.
송신부(302)는 휴대 전화 단말기(2)에 휴대 전화 단말기(2) 앞으로의 단말기간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송신부(302)는 휴대 전화 단말기(2) 앞으로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주파수 변환 등에 의해 업 컨버트함으로써 휴대 전화 단말기(2) 앞으로의 단말기간 무선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송신부(302)는 도 6 및 도 10∼도 15에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로부터 휴대 전화 단말기(2)를 향하는 화살표에 대응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2) 앞으로의 단말기간 무선 신호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송신할 수 있다. 송신부(302)는 이들 이외도 임의의 휴대 전화 단말기(2) 앞으로의 단말기간 무선 신호를 휴대 전화 단말기(2)에 송신해도 된다.
제어부(303)는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앞으로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하여 각종 제어 또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제어부(303)는 각종 제어 또는 처리를 행하여, 휴대 전화 단말기(2) 앞으로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303)는 필요에 따라서 기억부(304)에 대하여 정보의 저장, 저장된 정보의 참조, 저장된 정보의 갱신, 저장된 정보의 소거 등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3)는 도 6 및 도 10∼도 15에 있어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가 휴대 전화 단말기(2)에 대하여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에 관한 각 제어 또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제어부(303)는 이들 이외도 임의의 제어 또는 처리를 행해도 된다.
기억부(304)는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예를 들어 기억부(304)는 도 6 및 도 10∼도 15에 있어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가 휴대 전화 단말기(2)에 대하여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를 기억할 수 있다. 기억부(304)는 이들 이외에도 임의의 정보를 기억해도 된다.
〔m〕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
마지막으로 도 20∼도 22에 기초하여, 상기 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에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기지국(1)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다. 전술한 무선 기지국(1)의 각 기능은, 이하의 하드웨어 부품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해 실현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기지국(1)은 무선 IF(InterFace)(11), 아날로그 회로(12), 디지털 회로(13), 프로세서(14), 메모리(15), 전송망 IF(16) 등을 구비한다.
무선 IF(11)는, 휴대 전화 단말기(2)와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이며, 예를 들어 안테나이다. 아날로그 회로(12)는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이며, 수신 처리를 행하는 것, 송신 처리를 행하는 것, 그 밖의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대별할 수 있다. 수신 처리를 행하는 아날로그 회로(12)로서는, 예를 들어, 저잡음 증폭기(LNA : Low Noise Amplifier), 대역 통과 필터(BPF : Band Pass Filter), 믹서(Mixer), 저역 통과 필터(LPF : Low Pass Filter), 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AGC : Automatic Gain Controller),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 Analog-to-Digital Converter), 위상 동기 회로(PLL : Phase Locked Loop) 등이 포함된다. 송신 처리를 행하는 아날로그 회로(12)로서는, 예를 들어, 전력 증폭기(PA : Power Amplifier), BPF, 믹서, LPF,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 : Digital-to-Analog Converter), PLL 등이 포함된다. 그 밖의 처리를 행하는 아날로그 회로(12)로서는 듀플렉서(Duplexer) 등이 포함된다.
디지털 회로(13)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이며, 예를 들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Programming Gate Array), LSI(Large Scale Integration)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15)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이나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포함한다. 전송망 IF(16)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백홀 네트워크에 유선 회선 또는 무선 회선으로 접속하여, 백홀 네트워크나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무선 기지국(1)을 포함하는 전송망측의 장치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무선 기지국(1)의 기능 구성과 하드웨어 구성의 대응 관계를 설명한다.
수신부(101)는 예를 들어 무선 IF(11), 아날로그 회로(12)(수신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즉, 무선 IF(11)가, 휴대 전화 단말기(2)로부터 UL 무선 신호(UL 캐리어)를 수신하고, 아날로그 회로(12)가 수신한 UL 무선 신호를 주파수 변환 등에 의해 다운 컨버트하여 UL 프레임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한다.
송신부(102)는 예를 들어 무선 IF(11), 아날로그 회로(12)(송신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즉, 아날로그 회로(12)가 DL 프레임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주파수 변환 등에 의해 업 컨버트함으로써 DL 무선 신호를 생성하고, 무선 IF(11)가, 휴대 전화 단말기(2)에 DL 무선 신호(DL 캐리어)를 송신한다. 또한, 수신부(101)와 송신부(102)는 상이한 무선 IF(11)(안테나)에 의해 실현되어도 되지만, 아날로그 회로(12)인 듀플렉서를 사용함으로써 1개의 무선 IF(11)를 공용해도 된다.
제어부(103)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14), 디지털 회로(13)에 의해 실현된다. 즉, 프로세서(14)가 필요에 따라 디지털 회로(13)와 제휴하여, UL 프레임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하여 각종 제어 또는 처리를 행하거나, 각종 제어 또는 처리를 행하여 DL 프레임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하거나 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14)가 필요에 따라 디지털 회로(13)와 제휴하여, 도 6 및 도 10∼도 15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1)이 휴대 전화 단말기(2)에 대하여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에 관한 각 제어 또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가 필요에 따라 디지털 회로(13)와 제휴하여, 이들 이외에도 임의의 제어 또는 처리를 행해도 된다.
기억부(104)는 예를 들어 메모리(15)에 의해 실현된다. 즉, 메모리(15)가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메모리(15)가 도 6 및 도 10∼도 15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1)이 휴대 전화 단말기(2)에 대하여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를 기억할 수 있다. 메모리(15)는 이들 이외에도 임의의 정보를 기억해도 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기지국(1)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20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술한 BBU와 같이 무선 IF(11), 아날로그 회로(12)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무선 IF(11)만을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무선 기지국(1)은 프로세서(14)와 메모리(15)만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디지털 회로(13)만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21에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2)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다. 전술한 휴대 전화 단말기(2)의 각 기능은, 이하의 하드웨어 부품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해 실현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2)는 무선 IF(21), 아날로그 회로(22), 디지털 회로(23), 프로세서(24), 메모리(25), 입력 IF(26), 출력 IF(27) 등을 구비한다.
무선 IF(21)는, 무선 기지국(1) 및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와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이며, 예를 들어 안테나이다. 무선 기지국(1)과 통신을 행하기 위한 무선 IF(21)와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와 통신을 행하는 무선 IF(21)는 각각 다른 안테나이어도 되고 동일한 안테나이어도 된다. 아날로그 회로(22)는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이며, 수신 처리를 행하는 것, 송신 처리를 행하는 것, 그 밖의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대별할 수 있다. 수신 처리를 행하는 아날로그 회로(22)로서는, 예를 들어, LNA, BPF, 믹서, LPF, AGC, ADC, PLL 등이 포함된다. 송신 처리를 행하는 아날로그 회로(22)로서는, 예를 들어, PA, BPF, 믹서, LPF, DAC, PLL 등이 포함된다. 그 밖의 처리를 행하는 아날로그 회로(22)로서는 듀플렉서 등이 포함된다. 디지털 회로(23)는 예를 들어 LSI, FPGA, ASIC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24)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CPU나 DSP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25)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ROM이나 RAM 등을 포함한다. 입력 IF(26)는, 입력을 행하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조작 버튼이나 마이크 등을 포함한다. 출력 IF(27)는, 출력을 행하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을 포함한다.
휴대 전화 단말기(2)의 기능 구성과 하드웨어 구성의 대응 관계를 설명한다.
제1 수신부(2011)는 예를 들어 무선 IF(21), 아날로그 회로(22)(수신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즉, 무선 IF(21)가, 무선 기지국(1)으로부터 DL 무선 신호(DL 캐리어)를 수신하고, 아날로그 회로(22)가 수신한 DL 무선 신호를 주파수 변환 등에 의해 다운 컨버트하여 DL 프레임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제2 수신부(2012)는 예를 들어 무선 IF(21), 아날로그 회로(22)(수신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즉, 무선 IF(21)가,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로부터 휴대 전화 단말기(2) 앞으로의 단말기간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아날로그 회로(22)가, 수신한 휴대 전화 단말기(2) 앞으로의 단말기간 무선 신호를 주파수 변환 등에 의해 다운 컨버트하여 휴대 전화 단말기(2) 앞으로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수신부(2011)를 실현하는 무선 IF(21)와 제2 수신부(2012)를 실현하는 무선 IF(21)는, 각각 다른 안테나이어도 되고 동일한 안테나이어도 된다.
제1 송신부(2021)는 예를 들어 무선 IF(21), 아날로그 회로(22)(송신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즉, 아날로그 회로(22)가 UL 프레임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주파수 변환 등에 의해 업 컨버트함으로써 UL 무선 신호를 생성하고, 무선 IF(21)가, 무선 기지국(1)에 UL 무선 신호(UL 캐리어)를 송신한다. 또한, 제2 송신부(2022)는 예를 들어 무선 IF(21), 아날로그 회로(22)(송신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즉, 아날로그 회로(22)가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앞으로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주파수 변환 등에 의해 업 컨버트함으로써 단말기간 통신용 단말기(3) 앞으로의 단말기간 무선 신호를 생성하고, 무선 IF(21)가,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에 단말기간 통신용 단말기(3) 앞으로의 단말기간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송신부(2021)를 실현하는 무선 IF(21)와 제2 송신부(2022)를 실현하는 무선 IF(21)는, 각각 다른 안테나이어도 되고 동일한 안테나이어도 된다.
여기서, 제1 수신부(2011)와 제1 송신부(2021)는 상이한 무선 IF(21)(안테나)에 의해 실현되어도 되지만, 아날로그 회로(22)인 듀플렉서를 사용함으로써, 1개의 무선 IF(21)를 공용해도 된다. 또한, 제2 수신부(2012)와 제2 송신부(2022)는 상이한 무선 IF(21)(안테나)에 의해 실현되어도 되지만, 아날로그 회로(22)인 듀플렉서를 사용함으로써, 1개의 무선 IF(21)를 공용해도 된다. 또한, 제1 수신부(2011), 제1 송신부(2021), 제2 수신부(2012), 제2 송신부(2022)가 아날로그 회로(22)인 듀플렉서를 사용함으로써, 1개의 무선 IF(21)를 공용해도 된다.
제어부(203)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24), 디지털 회로(23)에 의해 실현된다. 즉, 프로세서(24)가 필요에 따라 디지털 회로(23)와 제휴하여, DL 프레임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하여 각종 제어 또는 처리를 행하거나, 각종 제어 또는 처리를 행하여 UL 프레임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하거나 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24)가 필요에 따라 디지털 회로(23)와 제휴하여, 도 6 및 도 10∼도 15에 있어서 휴대 전화 단말기(2)가 무선 기지국(1)에 대하여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에 관한 각 제어 또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4)가 필요에 따라 디지털 회로(23)와 제휴하여, 휴대 전화 단말기(2) 앞으로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하여 각종 제어 또는 처리를 행하거나, 각종 제어 또는 처리를 행하여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앞으로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하거나 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24)가 필요에 따라 디지털 회로(23)와 제휴하여, 도 6 및 도 10∼도 15에 있어서 휴대 전화 단말기(2)가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에 대하여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에 관한 각 제어 또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4)가 필요에 따라 디지털 회로(23)와 제휴하여, 이들 이외에도 임의의 제어 또는 처리를 행해도 된다.
기억부(204)는 예를 들어 메모리(25)에 의해 실현된다. 즉, 메모리(25)가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메모리(25)가 도 6 및 도 10∼도 15에 있어서 휴대 전화 단말기(2)가 무선 기지국(1)에 대하여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를 기억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5)가 도 6 및 도 10∼도 15에 있어서 휴대 전화 단말기(2)가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에 대하여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를 기억할 수 있다. 메모리(25)는 이들 이외에도 임의의 정보를 기억해도 된다.
도 22에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다. 전술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의 각 기능은, 이하의 하드웨어 부품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해 실현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는 무선 IF(31), 아날로그 회로(32), 디지털 회로(33), 프로세서(34), 메모리(35), 입력 IF(36), 출력 IF(37) 등을 구비한다.
무선 IF(31)는, 휴대 전화 단말기(2)와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이며, 예를 들어 안테나이다. 아날로그 회로(32)는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이며, 수신 처리를 행하는 것, 송신 처리를 행하는 것, 그 밖의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대별할 수 있다. 수신 처리를 행하는 아날로그 회로(32)로서는, 예를 들어, LNA, BPF, 믹서, LPF, AGC, ADC, PLL 등이 포함된다. 송신 처리를 행하는 아날로그 회로(32)로서는, 예를 들어, PA, BPF, 믹서, LPF, DAC, PLL 등이 포함된다. 그 밖의 처리를 행하는 아날로그 회로(32)로서는, 듀플렉서 등이 포함된다. 디지털 회로(33)는 예를 들어 LSI, FPGA, ASIC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34)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CPU나 DSP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35)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ROM이나 RAM 등을 포함한다. 입력 IF(36)는 입력을 행하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조작 버튼이나 마이크 등을 포함한다. 출력 IF(37)는, 출력을 행하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을 포함한다.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의 기능 구성과 하드웨어 구성의 대응 관계를 설명한다.
수신부(301)는 예를 들어 무선 IF(31), 아날로그 회로(32)(수신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즉, 무선 IF(31)가, 휴대 전화 단말기(2)로부터 단말기간 통신용 단말기(3) 앞으로의 단말기간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아날로그 회로(32)가, 수신한 단말기간 통신용 단말기(3) 앞으로의 단말기간 무선 신호를 주파수 변환 등에 의해 다운 컨버트하여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앞으로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한다.
송신부(302)는 예를 들어 무선 IF(31), 아날로그 회로(32)(송신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즉, 아날로그 회로(32)가 휴대 전화 단말기(2) 앞으로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주파수 변환 등에 의해 업 컨버트함으로써 휴대 전화 단말기(2) 앞으로의 단말기간 무선 신호를 생성하고, 무선 IF(31)가, 휴대 전화 단말기(2)에 휴대 전화 단말기(2) 앞으로의 단말기간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수신부(301)와 송신부(302)는 상이한 무선 IF(31)(안테나)에 의해 실현되어도 되지만, 아날로그 회로(32)인 듀플렉서를 사용함으로써, 1개의 무선 IF(31)를 공용해도 된다.
제어부(303)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34), 디지털 회로(33)에 의해 실현된다. 즉, 프로세서(34)가 필요에 따라 디지털 회로(33)와 제휴하여,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 앞으로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하여 각종 제어 또는 처리를 행하거나, 각종 제어 또는 처리를 행하여 휴대 전화 단말기(2) 앞으로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하거나 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34)가 필요에 따라 디지털 회로(33)와 제휴하여, 도 6 및 도 10∼도 15에 있어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가 휴대 전화 단말기(2)에 대하여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에 관한 각 제어 또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4)가 필요에 따라 디지털 회로(33)와 제휴하여, 이들 이외에도 임의의 제어 또는 처리를 행해도 된다.
기억부(304)는 예를 들어 메모리(35)에 의해 실현된다. 즉, 메모리(35)가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메모리(35)가 도 6 및 도 10∼도 15에 있어서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3)가 휴대 전화 단말기(2)에 대하여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를 기억할 수 있다. 메모리(35)는 이들 이외에도 임의의 정보를 기억해도 된다.
1 : 무선 기지국
2 : 휴대 전화 단말기
3 : 단말기간 통신용 무선 단말기

Claims (17)

  1. 무선 기지국에 의해, 상기 무선 기지국과 무선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위해서 준비된 제1 무선 리소스로부터, 제1 무선 단말기 및 제2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무선 단말기 사이의 통신에 사용될 제2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무선 단말기가 상기 제1 무선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를 갖는 경우, 상기 제2 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무선 단말기에 통지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준비 신호를, 상기 제2 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리소스는 무선 리소스 요구용의 무선 리소스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무선 리소스 요구용의 무선 리소스로부터 상기 제2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단말기 및 상기 제2 무선 단말기 중 하나의 무선 단말기는 다른 하나의 무선 단말기를 통하지 않고 상기 무선 기지국과 통신을 행하고, 상기 제1 무선 단말기 및 상기 제2 무선 단말기 중 상기 다른 하나의 무선 단말기는 상기 하나의 무선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무선 기지국과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단말기는 상기 준비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기 제2 무선 단말기용의 제3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요구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3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허가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허가 신호를 상기 제1 무선 단말기에 송신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허가 신호는 상기 제1 무선 단말기와 상기 무선 기지국 사이의 통신 및 상기 제1 무선 단말기와 상기 제2 무선 단말기 사이의 통신 중 어느 것이 허가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리소스가 상기 제3 무선 리소스로는 부족한 경우, 상기 제2 무선 단말기는 나머지 데이터 사이즈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제1 무선 단말기에 송신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무선 단말기가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복귀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리소스는 상향 송신을 위한 무선 리소스인 무선 통신 방법.
  9. 무선 기지국과 무선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위해서 준비된 제1 무선 리소스로부터, 제1 무선 단말기 및 제2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무선 단말기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제2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무선 단말기는 상기 제2 무선 단말기가 상기 제1 무선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를 갖는 경우, 상기 제2 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무선 단말기에 통지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준비 신호를, 상기 제2 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리소스는 무선 리소스 요구용의 무선 리소스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무선 리소스 요구용의 무선 리소스로부터 상기 제2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리소스는 상향 송신을 위한 무선 리소스인 무선 통신 시스템.
  12. 무선 기지국과 무선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위해서 준비된 제1 무선 리소스로부터, 제1 무선 단말기 및 제2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무선 단말기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제2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무선 단말기는 상기 제2 무선 단말기가 상기 제1 무선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를 갖는 경우, 상기 제2 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무선 단말기에 통지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준비 신호를, 상기 제2 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기지국.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리소스는 무선 리소스 요구용의 무선 리소스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무선 리소스 요구용의 무선 리소스로부터 상기 제2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무선 기지국.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리소스는 상향 송신을 위한 무선 리소스인 무선 기지국.
  15. 무선 기지국과 무선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위해서 준비된 제1 무선 리소스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기 및 다른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무선 단말기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제2 무선 리소스가, 상기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고,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다른 무선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를 갖는 경우,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다른 무선 단말기에 통지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준비 신호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리소스는 무선 리소스 요구용의 무선 리소스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무선 리소스 요구용의 무선 리소스로부터 상기 제2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무선 단말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리소스는 상향 송신을 위한 무선 리소스인 무선 단말기.
KR1020157003954A 2012-08-24 2012-08-24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및 무선 단말기 KR1018288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05325 WO2014030193A1 (ja) 2012-08-24 2012-08-24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および無線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784A KR20150034784A (ko) 2015-04-03
KR101828876B1 true KR101828876B1 (ko) 2018-02-13

Family

ID=50149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3954A KR101828876B1 (ko) 2012-08-24 2012-08-24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및 무선 단말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146677A1 (ko)
EP (1) EP2890193B1 (ko)
JP (1) JP6020570B2 (ko)
KR (1) KR101828876B1 (ko)
CN (1) CN104584659B (ko)
WO (1) WO20140301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23395B (zh) * 2014-04-22 2024-04-02 Fcnt合同会社 无线终端、无线站、无线通信系统和无线通信方法
EP3136631B1 (en) * 2014-04-24 2020-01-1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synchronization signal for d2d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16032077A1 (en) * 2014-08-25 2016-03-0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reques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159110B2 (en) * 2015-03-27 2018-12-18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s and methods for a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on a secondary cell
US10595306B2 (en) 2015-03-27 2020-03-17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s and methods for a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on a secondary cell
US10064212B2 (en) 2015-05-14 2018-08-28 Blackberry Limited Transmitting a scheduling request for a device-to-device transmission
US10833820B2 (en) * 2015-05-14 2020-11-10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radio base station
US9942917B2 (en) 2015-05-14 2018-04-10 Blackberry Limited Allocating resources for a device-to-device transmission
EP3282799B1 (en) 2015-05-15 2019-09-11 KYOCERA Corporation Wireless terminal, base station and method
US10375595B2 (en) * 2015-07-31 2019-08-06 Qualcomm Incorporated Measurement and report of signal transmissions in LTE/LTE-A including contention-based shared spectrum
EP3125643B1 (en) * 2015-07-31 2019-04-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mproved scheduling mechanism for prose relays serving remote ues
EP3373684B1 (en) * 2015-11-30 2021-02-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Scheduling device, scheduled device, and resource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WO2017098588A1 (ja) 2015-12-08 2017-06-15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端末および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
GB2547243B (en) * 2016-02-11 2021-04-14 Tcl Communication Ltd Scheduling configuration methods for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s
EP3255950A1 (en) * 2016-06-06 2017-12-13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llocation on d2d relay chann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887907B2 (en) * 2016-11-04 2021-01-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cheduling request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618329A4 (en) * 2017-04-28 2020-04-22 Fujitsu Limited TERMINAL EQUIPMENT, BASE STATION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EQUIPMENT CONTROL METHOD
WO2018210493A1 (en) * 2017-05-16 2018-11-22 Nokia Technologies Oy Techniques for handling semi-persistent scheduling collisions for wireless networks
CN109392175B (zh) 2017-08-11 2023-08-08 华为技术有限公司 调度请求的发送方法、调度请求的处理方法及相关设备
GB201810537D0 (en) * 2018-06-27 2018-08-15 Nordic Semiconductor Asa Automatic gain control
KR20200082230A (ko) * 2018-12-28 2020-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자원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9922316A (zh) * 2019-03-04 2019-06-21 北京旷视科技有限公司 媒体资源调度及媒体资源管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7136564A (zh) * 2021-03-30 2023-11-28 三菱电机株式会社 通信系统及基站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07214A1 (en) 2007-02-26 2008-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uplink radio resource in wide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90296680A1 (en) * 2007-03-20 2009-12-03 Fujitsu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Traffic System, Wireless Base Station, and Wireless Terminal
US20110268004A1 (en) * 2009-01-16 2011-11-03 Nokia Corporation Enabl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cellular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7011A (ja) 1993-09-14 1995-03-31 Toshib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装置及びスイッチ
JP3858746B2 (ja) * 2001-05-08 2006-12-20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制御装置及び無線通信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221958B2 (ja) 2002-06-19 2009-02-12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CN1527623A (zh) * 2003-03-07 2004-09-08 �ʼҷ����ֵ��ӹɷ����޹�˾ 无线通信网络中点到点对等通信无线链接建立和保持的方法与装置
CN101483886B (zh) * 2008-01-10 2011-12-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跳中继网络中的中继站广播消息传输方法
CN101588289A (zh) * 2008-05-20 2009-11-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中继通信系统的数据传输方法
CN101860900B (zh) * 2009-04-08 2015-01-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同步数据的下行和上行传输方法
KR101632739B1 (ko) * 2009-06-18 2016-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릴레이 장치
JP5776551B2 (ja) * 2009-09-18 2015-09-09 ソニー株式会社 中継局、中継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JP5515558B2 (ja) * 2009-09-25 2014-06-11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中継装置および通信装置
JP5376333B2 (ja) * 2010-02-24 2013-12-25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無線通信システム
EP2552034B1 (en) * 2010-03-22 2020-05-06 LG Electronics Inc.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and terminal
WO2012108621A1 (ko) * 2011-02-11 2012-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 간 협력적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30065373A (ko) * 2011-12-09 2013-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2d 그룹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KR20130065193A (ko) * 2011-12-09 2013-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 기반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
EP2603030B1 (en) * 2011-12-09 2014-12-24 Fujitsu Limited Interference mana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TWI620459B (zh) * 2012-05-31 2018-04-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在蜂巢式通訊系統中賦能直鏈通訊排程及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07214A1 (en) 2007-02-26 2008-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uplink radio resource in wide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90296680A1 (en) * 2007-03-20 2009-12-03 Fujitsu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Traffic System, Wireless Base Station, and Wireless Terminal
US20110268004A1 (en) * 2009-01-16 2011-11-03 Nokia Corporation Enabl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cellular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4030193A1 (ja) 2016-07-28
JP6020570B2 (ja) 2016-11-02
EP2890193B1 (en) 2018-05-23
WO2014030193A1 (ja) 2014-02-27
CN104584659B (zh) 2019-05-10
KR20150034784A (ko) 2015-04-03
EP2890193A4 (en) 2015-08-26
US20150146677A1 (en) 2015-05-28
EP2890193A1 (en) 2015-07-01
CN104584659A (zh) 201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876B1 (ko)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및 무선 단말기
US11432318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mission schedu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085876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EP3295738B1 (en) Inter-carrier d2d resource allocation
EP3338510B1 (en) Prose relay delay reduction
WO2019138658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及び方法
WO2018142784A1 (ja) リレー通信装置、基地局、方法及び記録媒体
US11357016B2 (en) Base station device, terminal device, and method
EP2880779B1 (en) Relay node aggregation of data transfers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CN110268783B (zh) 利用无线通信网络中的短传输时间间隔的方法及装置
EP4080975B1 (en) Transmission profiles for nr
RU2759800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способ связи и программа
TWI830778B (zh) 通訊裝置、通訊方法、及非暫時性電腦可讀取之儲存裝置
CN115039502A (zh) 用于无线通信系统的中继设备
JP2020072428A (ja) 基地局、端末装置、方法及び記録媒体
US20230084999A1 (en) Nr sidelink discontinuous reception resource allocation
WO2022124962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device, second device and methods performed thereby for handling identification of at least one aspect of the uav
EP3777369B1 (en) A wireless device, a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for transmission of synchronization signals
JP6206571B2 (ja) 無線通信方法
WO2015162973A1 (ja) 装置
US20180192423A1 (en)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