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524B1 - 야구 선수용 악력기 - Google Patents

야구 선수용 악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524B1
KR101828524B1 KR1020160114226A KR20160114226A KR101828524B1 KR 101828524 B1 KR101828524 B1 KR 101828524B1 KR 1020160114226 A KR1020160114226 A KR 1020160114226A KR 20160114226 A KR20160114226 A KR 20160114226A KR 101828524 B1 KR101828524 B1 KR 101828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force
distance
magnitude
unit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현
Original Assignee
안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현 filed Critical 안종현
Priority to KR1020160114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524B1/ko
Priority to PCT/KR2016/011277 priority patent/WO201804801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야구 선수용 악력기는, 소정의 곡률 반지름을 갖는 링의 일부가 절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탄성력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몸체에 가해진 외력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외력의 크기가 표시되는 표시부; 및 상기 몸체와 상기 측정 수단과 상기 표시부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사용자의 중지와 검지에 의해 파지되는 상부 파지부; 및 사용자의 엄지에 의해 파지되는 하부 파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야구 선수용 악력기{HAND GRIP FOR BASEBALL PLAYER}
본 발명은 야구 선수용 악력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엄지, 검지 및 중지를 이용하여 파지되도록 마련된 야구 선수용 악력기에 관한 것이다.
야구는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스포츠 중 하나이다. 근래에는 단순히 야구를 관람하는 것을 떠나 실제로 야구를 플레이 하는 것을 즐기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야구에 사용되는 근육은 일상 생활에서 사용되는 근육과 차이가 있다. 특히 야구공을 던질 때에는 하체, 어깨, 팔 및 손목 등을 이용하여 야구공에 추진력을 전달하게 된다. 야구공이 손에서 떠나기 전까지의 궤적은 원운동을 이루게 되는데, 야구공이 손에서 떠나는 순간, 야구공은 원의 접선 방향으로 던져지게 된다. 이때, 손가락이 야구공을 지지하는 힘이 부족하면, 원하지 않는 시점에서 야구공이 손을 떠나게 된다. 따라서 야구공을 정확한 방향으로 던지면서도 야구공에 힘을 제대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손가락이 야구공을 지지하는 힘이 단련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손가락이 야구공을 지지하는 힘이 악력기를 통해 단련되어 왔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95890호에는 이러한 악력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위 한국등록특허에서는 악력기를 엄지를 제외한 네 손가락과 손바닥을 이용하여 사용하게 되는 반면, 야구공은 엄지와 중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쥐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악력기는 상기 악력기를 쥐는데에 있어 필요한 근육들을 단련시킬 뿐, 실제 야구공을 쥐는데에 필요한 근육들을 집중적으로 단련시키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95890호(악력기)
이에 본 발명은 실제 야구공을 쥐는 방법과 동일하게 파지되어 야구공을 쥐는데에 필요한 근육들이 집중적으로 단련될 수 있는 야구 선수용 악력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야구 선수용 악력기는, 소정의 곡률 반지름을 갖는 링의 일부가 절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탄성력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몸체에 가해진 외력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외력의 크기가 표시되는 표시부; 및 상기 몸체와 상기 측정 수단과 상기 표시부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사용자의 중지와 검지에 의해 파지되는 상부 파지부; 및 사용자의 엄지에 의해 파지되는 하부 파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측정 수단은 상기 몸체의 일단에 위치하는 자석; 상기 몸체의 타단에 위치하는 솔레노이드 코일; 및 상기 몸체의 휘어지는 정도에 따라 필요한 외력의 크기와, 상기 몸체의 휘어짐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로부터 발생하는 유도 전류의 세기를 사전에 대응시킨 유도 전류-외력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계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로부터 유도 전류가 발생할 경우 상기 유도 전류는 상기 계산부로 전송되고, 상기 계산부는 유도 전류-외력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전송된 유도 전류의 세기에 해당하는 외력의 크기를 상기 표시부로 전송시키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측정 수단은 상기 몸체의 일단과 상기 몸체의 타단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 및 상기 몸체의 휘어지는 정도에 따라 필요한 외력의 크기와, 상기 몸체의 휘어지는 정도에 따른 상기 몸체의 일단과 상기 몸체의 타단 사이의 거리를 사전에 대응시킨 거리-외력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계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가 휘어질 경우 상기 거리 센서로부터 측정된 거리는 상기 계산부로 전송되고, 상기 계산부는 거리-외력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측정된 거리에 해당하는 외력의 크기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시키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측정 수단은 상기 상부 파지부 및 상기 하부 파지부 각각의 아래에 위치하는 로드셀(load cell);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드셀은 상기 상부 파지부 및 상기 하부 파지부가 가압될 경우 가해진 외력을 측정하고, 상기 로드셀에 의해 측정된 외력은 상기 표시부로 출력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측정 수단은 상기 몸체의 외면에 부착되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몸체가 휘어질 경우 상기 몸체의 변형량을 통해 상기 몸체에 가해진 외력을 측정하고, 상기 표시부로 측정된 외력을 표시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야구 선수용 악력기는 상기 지지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휘어짐 방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체와 상기 휘어짐 방지체가 결합하게 되면, 상기 지지체와 상기 휘어짐 방지체는 완전한 링 형태를 갖도록 마련된다.
한편, 상기 몸체의 곡률 반지름은 3cm 내지 4cm 이내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야구공을 쥐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악력기를 파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악력기에 가한 힘의 크기가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악력기에 가한 힘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으로서 자석과 솔레노이드 코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악력기에 가한 힘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으로서 거리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악력기에 가한 힘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으로서 로드셀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악력기에 가한 힘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으로서 스트레인 게이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악력기의 반복된 사용으로 인한 몸체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야구 선수용 악력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야구 선수용 악력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야구 선수용 악력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야구 선수용 악력기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야구 선수용 악력기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야구 선수용 악력기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야구 선수용 악력기의 제6 실시예에서, 휘어짐 방지체가 결합되기 전(A)과 휘어짐 방지체가 결합된 후(B)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야구 선수용 악력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야구 선수용 악력기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야구 선수용 악력기(100)의 제1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력기 본체(110)를 포함한다.
상기 악력기 본체(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50)와 측정 수단과 표시부(130)와 지지체(12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50)는 소정의 곡률 반지름을 갖는 링의 일부가 절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마련된다.
여기서, 야구공의 곡률 반지름은 3.66cm 이기 때문에, 상기 몸체(150)가 갖는 곡률 반지름의 범위는 3cm ~ 4cm 이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50)의 곡률 반지름이 위와 같은 범위 이내로 마련되게 되면, 사용자는 실제 야구공을 쥐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몸체(150)를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150)의 외측면에는 야구공 가죽(160)이 씌워질 수 있다. 상기 몸체(150)의 외측면에 야구공 가죽(160)이 씌워짐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야구공을 쥐는 것과 동일한 질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상기 몸체(150)는 상부 파지부(111)와 하부 파지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파지부(111)는 사용자의 중지와 검지에 의해 파지되며, 상기 하부 파지부(112)는 사용자의 엄지에 의해 파지된다.
사용자는 악력기(100)의 사용시 중지와 검지, 엄지를 이용하여 상부 파지부(111)와 하부 파지부(112)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150)에 힘을 가하게 된다. 상기 몸체(150)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몸체(150)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악력이 단련되게 된다.
상기 측정 수단은 사용자가 가한 힘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몸체(15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몸체(150)에 가해진 외력의 크기를 측정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측정 수단의 하나로서 로드셀(load cell, 471),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570)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측정된 값들을 보정(calibration) 또는 계산하기 위한 계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외력의 크기가 표시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표시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식 디스플레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120)는 상기 몸체(150)와 상기 측정 수단과 상기 표시부(13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120)는 상기 측정 수단과 상기 표시부(130)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를 갖으며, 상기 몸체(150)의 내측면이 상기 지지체(120)에 끼워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야구 선수용 악력기(100)는 사용자가 야구공을 쥐는 근육을 집중적으로 단련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악력기(100)에 마련된 측정 수단과 표시부(130)를 통해 사용자가 자신의 악력을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야구 선수용 악력기(100)의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야구 선수용 악력기(100)의 제2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수단으로서 자석(271)과 솔레노이드 코일(272)을 포함한다.
상기 자석(271)은 상기 몸체(250)의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272)은 상기 몸체(250)의 타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체(220)는 상기 자석(271)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272)이 각각 상기 몸체(250)의 일단과 타단에서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석 거치부(221)와 솔레노이드 코일 거치부(222)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250)가 휘어질 경우 상기 자석(271)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272)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솔레노이드 코일(272)에 유도 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272)에 발생하는 유도 전류의 세기는 상기 자석(271)이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272)에 접근하는 속력에 비례하게 된다. 즉, 상기 몸체(250)가 받는 힘이 강할수록 상기 몸체(250)가 빠르게 휘어지게 되며,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272)로부터 발생하는 유도 전류의 세기도 커지게 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272)로부터 발생하는 유도 전류의 세기를 바탕으로 상기 몸체(250)가 받은 힘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사전 시험을 통해 상기 몸체(250)에 알고 있는 크기의 힘을 가한 후 이에 따라 발생하는 유도 전류의 세기를 대응시켜 저장해 놓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야구 선수용 악력기(100)의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250)의 휘어지는 정도에 따라 필요한 외력의 크기와, 상기 몸체(250)의 휘어짐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272)로부터 발생하는 유도 전류의 세기를 사전에 대응시킨 유도 전류-외력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계산부(240)를 더 포함한다.
이후, 사용자가 실제 악력기(10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272)로부터 유도 전류가 발생할 경우 상기 유도 전류가 상기 계산부(240)로 전송되고, 상기 계산부(240)는 유도 전류-외력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전송된 유도 전류의 세기에 해당하는 외력의 크기를 상기 표시부(130)로 전송시키도록 마련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야구 선수용 악력기(100)의 제2 실시예는 자석(271)과 솔레노이드 코일(272)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악력을 측정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야구 선수용 악력기(100)의 제3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야구 선수용 악력기(100)의 제3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수단으로서 거리 센서(371, 372)를 포함한다.
상기 거리 센서(371, 372)는 상기 몸체(350)의 일단과 상기 몸체(350)의 타단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초음파 센서 또는 광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거리 센서(371, 372)는 일반적으로 발신부(371)와 수신부(372)로 이루어져 있는데, 발신부(371)는 상기 몸체(350)의 일단에, 수신부(372)는 상기 몸체(350)의 타단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리 센서(371, 372)의 발신부(371)와 수신부(372)가 각각 상기 몸체(350)의 일단과 타단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350)는 상기 몸체(350)의 일단에 마련된 발신부 수용홈(351)과 상기 몸체(350)의 타단에 마련된 수신부 수용홈(352)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350)가 휘어질 경우 상기 몸체(350)의 일단과 상기 몸체(350)의 타단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게 되는데, 상기 거리 센서(371, 372)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350)에 가해진 힘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사전 시험을 통해 상기 몸체(350)에 알고 있는 크기의 힘을 가한 후 이에 따른 상기 몸체(350)의 일단과 상기 몸체(350)의 타단 사이의 거리를 대응시켜 저장해 놓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야구 선수용 악력기(100)의 제3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350)의 휘어지는 정도에 따라 필요한 외력의 크기와, 상기 몸체(350)의 휘어지는 정도에 따른 상기 몸체(350)의 일단과 상기 몸체(350)의 타단 사이의 거리를 사전에 대응시킨 거리-외력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계산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실제 악력기(10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몸체(350)가 휘어질 경우 상기 거리 센서(371, 372)로부터 측정된 거리가 상기 계산부(340)로 전송되고, 상기 계산부(340)는 거리-외력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측정된 거리에 해당하는 외력의 크기를 상기 표시부(130)로 전송시키도록 마련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야구 선수용 악력기(100)의 제3 실시예는 거리 센서(371, 372)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악력을 측정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야구 선수용 악력기(100)의 제4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야구 선수용 악력기(100)의 제4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수단으로서 로드셀(471)을 포함한다.
로드셀(471)은 체중계나 저울 등에 널리 사용되는 측정 수단의 하나로서, 사용자가 가한 힘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로드셀(471)은 상기 몸체(450)의 상부 파지부(411) 및 상기 하부 파지부(412) 각각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이때, 상기 몸체(450)는 상기 로드셀(471)을 수용하기 위한 로드셀 수용홈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로드셀(471)은 상기 상부 파지부(111) 및 상기 하부 파지부(112)가 가압될 경우 가해진 외력을 측정하게 되는데, 상기 로드셀(471)에 의해 측정된 외력은 계산부(140)에서 보정한 후 상기 표시부(130)로 전송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상부 파지부(411)와 상기 하부 파지부(412)의 상면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로드셀(471)에 사용자가 가한 힘이 전달되게 되고, 로드셀(471)에 의해 측정된 외력이 표시부(130)에 표시되며, 사용자는 직접 자신이 가한 힘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야구 선수용 악력기(100)의 제4 실시예는 로드셀(471)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악력을 측정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야구 선수용 악력기(100)의 제5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야구 선수용 악력기(100)의 제5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수단으로서 스트레인 게이지(570)를 포함한다.
스트레인 게이지(570)는 탄성체의 표면에 부착되며, 탄성체가 힘을 받아 변형될 경우 스트레인 게이지(570)가 같이 변형되어 스트레인 게이지(570)의 전기적 저항이 변하는 것을 이용한 측정 수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야구 선수용 악력기(100)에서는 몸체(150)가 탄성체의 역할을 하므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570)는 상기 몸체(150)에 부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150)는 상기 몸체(150)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휘어지기 때문에,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570)는 상기 몸체(150)가 휘어질 때 변형이 많이 일어나는 부위인 상기 몸체(150)의 외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570)는 상기 몸체(150)가 휘어질 경우 상기 몸체(150)의 변형량을 통해 상기 몸체(150)에 가해진 외력을 측정하게 되고, 상기 계산부(140)에서는 측정된 값을 보정한 후 상기 표시부(130)로 측정된 외력을 표시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몸체(150)의 상부 파지부(111)와 하부 파지부(112)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몸체(150)가 휘어지게 되고, 상기 몸체(150)가 휘어지게 되면 이에 따라 스트레인 게이지(570)의 저항값이 변하게 되며, 스트레인 게이지(570)를 통해 측정된 외력은 표시부(130)로 출력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야구 선수용 악력기(100)의 제5 실시예는 스트레인 게이지(57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악력을 측정할 수 있다.
<제6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야구 선수용 악력기(100)의 제6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야구 선수용 악력기(100)의 제6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휘어짐 방지체(1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휘어짐 방지체(18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상기 휘어짐 방지체(180)가 상기 지지체(120)에 결합하게 되면, 상기 지지체(120)와 상기 휘어짐 방지체(18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한 링 형태를 갖도록 마련된다.
상기 지지체(120)와 상기 몸체(150)를 포함하는 악력기 본체(110)는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사용할 경우 휘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악력기 본체(1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휘어짐 방지체(180)를 상기 지지체(120)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악력기 본체(110)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야구 선수용 악력기 110: 악력기 본체
111, 411: 상부 파지부 112, 412: 하부 파지부
120, 220, 320, 420: 지지체 130: 표시부
140, 240, 340: 계산부 150, 250, 350, 450: 몸체
160: 야구공 가죽 180: 휘어짐 방지체
221: 자석 거치부 222: 솔레노이드 코일 거치부
271: 자석 272: 솔레노이드 코일
351: 발신부 수용홈 352: 수신부 수용홈
371: 발신부 372: 수신부
471: 로드셀 570: 스트레인 게이지

Claims (7)

  1. 소정의 곡률 반지름을 갖는 링의 일부가 절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탄성력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몸체에 가해진 외력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외력의 크기가 표시되는 표시부; 및
    상기 몸체와 상기 측정 수단과 상기 표시부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사용자의 중지와 검지에 의해 파지되는 상부 파지부; 및
    사용자의 엄지에 의해 파지되는 하부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곡률 반지름은 3cm 내지 4cm 이내로 마련되되, 상기 몸체는 둥근 외면을 갖도록 마련되어, 사용자가 상기 상부 파지부 및 상기 하부 파지부를 이용해 상기 몸체를 파지하게 되면 실제 야구공을 쥐는 자세와 동일한 자세로 상기 몸체를 파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구 선수용 악력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수단은
    상기 몸체의 일단에 위치하는 자석;
    상기 몸체의 타단에 위치하는 솔레노이드 코일; 및
    상기 몸체의 휘어지는 정도에 따라 필요한 외력의 크기와, 상기 몸체의 휘어짐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로부터 발생하는 유도 전류의 세기를 사전에 대응시킨 유도 전류-외력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계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로부터 유도 전류가 발생할 경우 상기 유도 전류는 상기 계산부로 전송되고, 상기 계산부는 유도 전류-외력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전송된 유도 전류의 세기에 해당하는 외력의 크기를 상기 표시부로 전송시키도록 마련된 야구 선수용 악력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수단은
    상기 몸체의 일단과 상기 몸체의 타단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 및
    상기 몸체의 휘어지는 정도에 따라 필요한 외력의 크기와, 상기 몸체의 휘어지는 정도에 따른 상기 몸체의 일단과 상기 몸체의 타단 사이의 거리를 사전에 대응시킨 거리-외력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계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가 휘어질 경우 상기 거리 센서로부터 측정된 거리는 상기 계산부로 전송되고, 상기 계산부는 거리-외력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측정된 거리에 해당하는 외력의 크기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시키도록 마련된 야구 선수용 악력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수단은
    상기 상부 파지부 및 상기 하부 파지부 각각의 아래에 위치하는 로드셀(load cell);을 포함하고,
    상기 로드셀은 상기 상부 파지부 및 상기 하부 파지부가 가압될 경우 가해진 외력을 측정하고, 상기 로드셀에 의해 측정된 외력은 상기 표시부로 출력되도록 마련된 야구 선수용 악력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수단은
    상기 몸체의 외면에 부착되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몸체가 휘어질 경우 상기 몸체의 변형량을 통해 상기 몸체에 가해진 외력을 측정하고, 상기 표시부로 측정된 외력을 표시하도록 마련된 야구 선수용 악력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휘어짐 방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와 상기 휘어짐 방지체가 결합하게 되면, 상기 지지체와 상기 휘어짐 방지체는 완전한 링 형태를 갖도록 마련된 야구 선수용 악력기.
  7. 삭제
KR1020160114226A 2016-09-06 2016-09-06 야구 선수용 악력기 KR101828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226A KR101828524B1 (ko) 2016-09-06 2016-09-06 야구 선수용 악력기
PCT/KR2016/011277 WO2018048011A1 (ko) 2016-09-06 2016-10-07 야구 선수용 악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226A KR101828524B1 (ko) 2016-09-06 2016-09-06 야구 선수용 악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524B1 true KR101828524B1 (ko) 2018-02-12

Family

ID=61224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226A KR101828524B1 (ko) 2016-09-06 2016-09-06 야구 선수용 악력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28524B1 (ko)
WO (1) WO20180480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0626A1 (ko) * 2019-09-26 2021-04-01 안종현 야구선수용 악력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371Y1 (ko) * 2002-09-10 2003-01-03 원인호 오지악력 측정기
KR100812376B1 (ko) * 2007-02-14 2008-03-11 양성식 전기발생 기능을 갖는 악력장치
KR101023774B1 (ko) * 2008-10-28 2011-03-21 성재우 휴대용 손가락 악력기
KR101077232B1 (ko) * 2008-11-21 2011-10-27 한국과학기술원 악력 측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336Y1 (ko) * 2002-08-20 2003-01-03 원인호 지악력기
JP4933778B2 (ja) * 2003-05-07 2012-05-16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力測定素子
KR100542327B1 (ko) * 2004-04-27 2006-01-1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전자식 악력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371Y1 (ko) * 2002-09-10 2003-01-03 원인호 오지악력 측정기
KR100812376B1 (ko) * 2007-02-14 2008-03-11 양성식 전기발생 기능을 갖는 악력장치
KR101023774B1 (ko) * 2008-10-28 2011-03-21 성재우 휴대용 손가락 악력기
KR101077232B1 (ko) * 2008-11-21 2011-10-27 한국과학기술원 악력 측정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0626A1 (ko) * 2019-09-26 2021-04-01 안종현 야구선수용 악력기
JP2022522330A (ja) * 2019-09-26 2022-04-18 ヒョン アン,ジョン 野球選手用ハンドグリッパー
JP7121202B2 (ja) 2019-09-26 2022-08-17 ヒョン アン,ジョン 野球選手用ハンドグリッパ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48011A1 (ko) 201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6072B2 (en) Free weight monitoring system
US8491397B2 (en) Grip pressure sensor
US5377541A (en) Golf club grip training assembly
US8449410B1 (en) Sports grip sensor
US9737777B2 (en) Sweetspot trainer
WO2015175838A1 (en) Gloves with sensors for monitoring and analysis of position, pressure and movement
US4982963A (en) Golf club swing training device
JP2011110419A (ja) バスケットボールのトレーニングに用いられるパームパッドデバイス及びバスケットボール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
US20140309081A1 (en) Most fit exercise sledge hammer
US20100267502A1 (en) Sports Grip Sensor
JP2019516491A5 (ko)
KR20160059997A (ko) 최대 근력 측정기 및 최대 근력에 기초한 운동 처방 제공 시스템
KR101828524B1 (ko) 야구 선수용 악력기
KR101871277B1 (ko) 골프 그립용 센서모듈과 스마트 골프 그립
Komi et al. Measurement and analysis of grip force during a golf shot
US20150065263A1 (en) Golf swing training aid and method of use thereof
US4043184A (e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swing weight of sporting implements
US20210220727A1 (en) Sensor Device
KR20100072582A (ko) 상지 재활 훈련 시스템
US20110212790A1 (en) Sports implement grip training device
JP2005292061A (ja) スポーツ用打具のグリップの把握力を検出するセンサおよびそのセンサを設けたグリップ
KR200487288Y1 (ko) 스윙 자세 교정구
JP6247339B2 (ja) ボール打撃具の製造方法及び当該方法で使用する測定用ボール打撃具
US3208150A (en) Golf club lie angle apparatus
KR101701411B1 (ko) 야구 선수용 악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