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176B1 - 마킹 정보 인식을 위한 마킹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마킹 정보 인식을 위한 마킹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176B1
KR101828176B1 KR1020160147040A KR20160147040A KR101828176B1 KR 101828176 B1 KR101828176 B1 KR 101828176B1 KR 1020160147040 A KR1020160147040 A KR 1020160147040A KR 20160147040 A KR20160147040 A KR 20160147040A KR 101828176 B1 KR101828176 B1 KR 101828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ing
information
product
marking information
recogn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진수
이희영
윤길섭
예상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60147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K9/00442
    • G06K9/3283
    • G06K9/463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8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by mapping characteristic values of the pattern into a parameter space, e.g. Hough trans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6Aligning or centring of the image pick-up or image-field
    • G06V30/1475Inclination or skew detection or correction of characters or of image to be recognised
    • G06V30/1478Inclination or skew detection or correction of characters or of image to be recognised of characters or characters lines
    • G06K2209/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킹 정보 인식을 위한 마킹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마킹 정보 인식을 위한 마킹 시스템은, 제품 식별을 위한 식별 정보를 입력 받거나 수신하여, 상기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제1 마킹 정보와 제2 마킹 정보를 제품에 마킹하는 마킹 장치; 및 상기 제품을 촬영한 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제1 마킹 정보와 제2 마킹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1 마킹 정보로 상기 식별 정보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마킹 정보와 상기 제2 마킹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마킹 정보 인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킹 정보 인식을 위한 마킹 시스템 및 방법 {Marking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zing mark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마킹 정보 인식을 위한 마킹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품을 식별하기 위한 숫자, 문자 등과 같은 식별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마킹 정보를 제품에 마킹하는 마킹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강 산업의 경우 슬라브(Slab), 형강, 파이프, 건설자재 등의 생산라인은 점점 다품종화되고 있으며, 물류의 자동화 설비에 힘입어 대부분의 자동화 생산라인에서는 이러한 대상제(제품)에 마킹 정보 인식을 위한 마킹 시스템을 도입하여 자동으로 인식하고 있다.
마킹 정보 인식을 위한 마킹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마킹 장치와 마킹 정보 인식 장치로 구성된다. 마킹 장치는 제품의 단면에 제품 번호 등(마킹 정보)을 자동 인쇄 방식을 이용하여 잉크로 마킹하며, 마킹 정보 인식 장치는 이와 같이 인쇄된 제품 번호 등(마킹 정보)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얻고 이를 분석하여 마킹 정보를 인식한다.
그러나, 철강 산업에서는 열악한 현장의 환경(온도, 연속공정, 시간제약 등)하에서 마킹 시 모든 관련 요소들이 매우 불규칙하여 마킹 결과가 좋을 수도 혹은 육안으로 식별하지 못할 정도로 나쁠 수 있어 예상할 수 조차 없다. 또한, 철강 공정의 특성상 마킹 장치에 의해 마킹된 제품 번호가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공정 과정에서 열에 의해 훼손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종래기술의 경우, 마킹 장치는 철강 제품의 일 단면에 하나의 제품 번호를 인쇄하였고 마킹 정보 인식 장치는 이를 촬영하여 마킹 정보를 인식하였는데, 이 경우 철강 제품에 인쇄된 제품 번호(예, '879109165') 중 일부(예, '165')가 열에 의해 훼손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마킹 정보 인식 장치는 마킹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고 인식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는, 고해상도의 카메라와 고차원의 영상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선명하지 않은 마킹 정보(예, '165')에 대해 추가적인 영상 처리를 수행해야 하는데, 이 경우 고가의 장비와 프로그램(알고리즘) 구입으로 인해 높은 비용이 발생하여 현장에 적용하기 어려우며, 또한 영상 처리 기술만으로는 훼손된 제품 번호에 대한 인식률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753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에 마킹된 마킹 정보의 일부가 훼손된 경우에도 해당 마킹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마킹 정보 인식을 위한 마킹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식별 정보를 입력하면 해당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마킹 정보가 2 이상 표시되도록 제품에 마킹하는 마킹 정보 인식을 위한 마킹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제품의 종류에 따라서 마킹을 위한 포맷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마킹할 제품에 최적화된 마킹을 수행할 수 있는 마킹 정보 인식을 위한 마킹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마킹 정보 인식을 위한 마킹 시스템은, 제품 식별을 위한 식별 정보를 입력 받거나 수신하여, 상기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제1 마킹 정보와 제2 마킹 정보를 제품에 마킹하는 마킹 장치; 및 상기 제품을 촬영한 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제1 마킹 정보와 제2 마킹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1 마킹 정보로 상기 식별 정보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마킹 정보와 상기 제2 마킹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마킹 정보 인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마킹 정보 인식을 위한 마킹 장치는, 제품 식별을 위한 식별 정보를 입력 받거나 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부; 상기 HMI부를 통해 입력되거나 수신된 상기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제1 마킹 정보와 제2 마킹 정보를, 상기 제1 마킹 정보를 기준으로 상하좌우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상기 제2 마킹 정보가 배치되도록, 기 설정된 작업 시간 내에 제품에 마킹하는 마킹부; 및 상기 HMI부와 상기 마킹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마킹 정보 인식을 위한 마킹 방법은, 제품 식별을 위한 식별 정보를 입력 받거나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제1 마킹 정보와 제2 마킹 정보에 대해, 상기 제1 마킹 정보를 기준으로 상하좌우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상기 제2 마킹 정보가 배치되도록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형성된 배치에 따라 상기 제1 마킹 정보와 제2 마킹 정보를 제품에 마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 인식을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마킹 정보가 2 이상 표시되도록 제품에 마킹함으로써 마킹 정보의 일부가 훼손된 경우에도 2 이상 표시된 마킹 정보를 조합하여 해당 식별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의 마킹 정보 훼손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육안으로 직접 식별 정보를 확인해야 하는 작업단계를 줄임으로써, 자동화 생산라인에서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작업자의 육안 식별시 식별 오류로 인한 대량의 품질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품의 종류에 따라 마킹을 위한 포맷 정보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별로 마킹 인식률이 가장 높은 포맷을 선택하여 해당 제품에 최적화된 마킹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마킹 정보의 인식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정보 인식을 위한 마킹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킹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정보 인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정보 검출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정보 인식을 위한 마킹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정보 인식을 위한 마킹 시스템은 철강 등의 제품(10)에 마킹 정보를 마킹하는 마킹 장치(100)와 이와 같이 마킹된 제품(10)에 대해 마킹 정보를 인식하는 마킹 정보 인식 장치(200) 등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철강 산업에서는 열악한 현장의 환경(온도, 연속공정, 시간제약 등)하에서 마킹 시 모든 관련 요소들이 매우 불규칙하여 마킹 결과가 좋을 수도 혹은 육안으로 식별하지 못할 정도로 나쁠 수 있어 예상할 수 조차 없다. 한편, 마킹 장치(100)에 의해 마킹 정보가 마킹된 제품(10)은 자동 이송 시스템(예,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해 이송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열이나 마찰 등에 의해 마킹 정보가 훼손될 수 있다. 또한, 마킹된 제품(10)을 보관하는 과정에서도 주위의 열 등에 의해 마킹 정보가 훼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마킹 정보가 훼손된 경우에도 마킹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 정보(예, 제품 번호)를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하여, 종래기술과는 달리, 마킹 정보가 2 이상 표시되도록 제품에 마킹한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마킹 정보(예, '879109165')를 상하좌우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이동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2 이상 표시되도록 마킹 정보를 마킹하고, 마킹 정보의 일부(예, 제1행의 제1 마킹 정보 중 '165'와 제2행의 제2 마킹 정보 중 '879')가 훼손된 경우(도 2a 참조)에도 2 이상 표시된 각각의 마킹 정보를 조합하여 해당 식별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한다. 이에 대하여는 하기에서 상세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장치(100)는 HMI부(110), 정보 저장부(120), 원료 공급부(130), 마킹부(140), 제어부(150) 등을 포함한다.
HMI부(110)는 사용자에게 직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식별 정보, 포맷 정보 등을 입력 받거나 또는 외부의 HMI 장치 등과 연동되어 식별 정보, 포맷 정보 등을 수신한다. HMI(Human Machine Interface)는 시각이나 청각과 관련 지어진 인간의 아날로그적인 인지의 세계와 컴퓨터나 통신의 디지털을 처리하는 기계의 세계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며, 사용자는 HMI를 통해 제품에 마킹하고자 하는 식별 정보(예, 숫자, 문자)를 입력하고, 또한 식별 정보가 포함된 마킹 정보를 어떠한 형태로 마킹할 것인지 포맷 정보를 선택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제1 마킹 정보(예, '879109165')와 비교하여 제2 마킹 정보를 식별 정보의 나열순서가 상이한 방식(예, '561901978')으로 그 아래에 표시되도록 포맷 정보를 선택할 수 있으며(도 2b 참조), 제1 마킹 정보와 식별 정보 나열순서가 동일한 제2 마킹 정보를 상하로 위치 이동하거나(도 2c 참조) 좌우로 위치이동하여(도 2d 참조) 중복 표시되도록 포맷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마킹 정보가 미러링 방식으로 2번 표시되도록 포맷 정보를 선택할 있으며(도 2e 참조), 제1 및 제2 마킹 정보가 점대칭(180도 회전) 방식으로 2번 표시되도록 포맷 정보를 선택할 있으며(도 2f 참조), 또는 제1 및 제2 마킹 정보가 선대칭(가로축을 기준으로 미러링) 방식으로 2번 표시되도록 포맷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도 2g 참조). 전술한 예들 외에도, 포맷 정보는 예컨대 마킹 정보가 90도씩 회전하여 4번 표시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마킹 구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맷 정보는 마킹 정보가 있는 영역을 보다 쉽게 인식하기 위하여 마킹 영역 정보(도 2b~2g의 경우 직사각형)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맷 정보는 마킹 정보가 배치되는 구조(또는 방식)에 대한 마킹 구조 정보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마킹 영역을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한 마킹 영역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저장부(120)는 마킹 정보를 구현하는 다양한 포맷에 대한 포맷 정보(예, 마킹 구조 정보, 마킹 영역 정보)를 저장하고, 또한 임의의 포맷이 선택될 경우 이에 상응하여 마킹 정보를 구현하기 위한 마킹 제어 정보를 저장한다.
원료 공급부(130)는 마킹 정보를 제품에 마킹하기 위한 원료를 저장하고 공급한다. 예컨대, 마킹 장치(100)가 잉크 인쇄 방식으로 마킹 정보를 제품에 인쇄하는 경우, 원료 공급부(130)는 인쇄용 잉크를 저장하여 마킹부(140)에 공급한다. 참고로, 마킹 정보를 제품에 마킹할 때 원료가 필요 없는 경우(예, 각인 방식)에는 원료 공급부(130)가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마킹부(140)는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기 설정된 작업 시간 내에 해당 제품의 마킹 위치에 마킹 정보를 마킹한다. 예컨대, 잉크 인쇄 방식으로 마킹이 수행되는 경우, 마킹부(140)는 마킹 헤드를 마킹 위치로 이동시키고 원료 공급부(130)에서 공급되는 잉크를 도트 노즐을 통해 분사시켜 마킹 정보를 인쇄한다. 이 경우, 마킹부(140)는 2 이상의 마킹 정보를 각각 개별적으로 인쇄하거나 또는 2 이상의 마킹 정보를 동시에 인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150)는 HMI부(110), 정보 저장부(120), 원료 공급부(130), 마킹부(14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하여 해당 제품에 마킹을 수행한다. 예컨대, 제어부(150)는 HMI부(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식별 정보와 포맷 정보를 입력 받고, 포맷 정보에 포함된 마킹 구조 정보 및 마킹 영역 정보에 따라 마킹부(140)를 제어하여 제품에 2 이상의 마킹 정보를 마킹한다.
한편, 만약 사용자가 HMI부(110)를 통해 포맷 정보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 HMI부(110)는 제품 정보(예, 제품의 치수, 재질)에 상응하여 디폴트값으로 기 설정되어 있는 포맷 정보(마킹 구조 정보 및 마킹 영역 정보)를 제어부(150)에 제공할 수 있으며, 또는 다른 방식으로서, HMI부(110)로부터 포맷 정보가 전송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150)가 디폴트값으로 기 설정되어 있는 포맷 정보(마킹 구조 정보 및 마킹 영역 정보)에 따라 마킹부(140)를 제어하여 제품에 마킹 정보를 마킹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정보 인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정보 인식 장치(200)는 영상 입력부(210), 마킹 정보 인식부(220), 정보 저장부(230), 디스플레이부(240), 제어부(250) 등을 포함한다.
영상 입력부(210)는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제품의 일 면에 마킹된 2 이상의 마킹 정보(예, 제1 및 제2 마킹 정보)를 촬영하고 이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한다. 참고로, 마킹 정보의 촬영은 외부의 장치(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영상 입력부(210)는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한다.
마킹 정보 인식부(220)는 영상 입력부(220)를 통해 획득된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2 이상의 마킹 정보(예, 제1 및 제2 마킹 정보)를 추출하고, 각 마킹 정보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검출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정보 검출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의 경우, 동일한 식별 정보에 대해 상부의 제1행에 정상적인 방식(예, '879109165')으로 제1 마킹 정보를 배치하고 하부의 제2행에 식별 정보 나열순서를 반대 방식(예, '561901978')으로 제2 마킹 정보를 배치한 후 그 외부에 마킹 영역 정보로서 직사각형을 배치한 형태이다. 그리고, 도 5a는 훼손이 되지 않은 정상적인 마킹 정보에 대한 영상을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일부가 훼손된 마킹 정보에 대한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마킹 정보 인식부(220)는 획득된 영상 정보에 대해 픽셀 단위로 색상, 명도, 채도 등을 검출하여 마킹 정보, 마킹 영역 정보, 여백(배경) 등을 구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영상 정보는 제1 마킹 정보와 제2 마킹 정보 및 마킹 영역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마킹 정보 인식부(220)는 마킹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마킹 정보와 제2 마킹 정보를 각각 추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마킹 정보 인식 장치(200)는 마킹 장치(100)에서 사용된 포맷 정보(마킹 구조 정보, 마킹 영역 정보 등을 포함)를 정보 저장부(230)에 저장하고 있으며, 이 경우 마킹 정보 인식부(220)는 포맷 정보를 참조하여 복수개의 마킹 정보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포맷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마킹 정보 인식부(220)는 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각의 마킹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5의 경우, 마킹 정보 인식부(220)는 직사각형의 마킹 영역 정보를 참조하여 상부에 정상적으로 배치된 제1 마킹 정보와 하부에 식별 정보 나열순서가 역순으로 배치된 제2 마킹 정보를 각각 추출한다.
도 5a과 같이 마킹 정보가 정상적인 경우 제1 및 제2 마킹 정보에 포함된 모든 개별 문자(숫자)가 임계 인식률(임의의 문자로 정확하게 특정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인식률)을 만족하게 되며, 따라서 마킹 정보 인식부(220)는 제1 마킹 정보 또는 제2 마킹 정보만으로 식별 정보(예, '879109165')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도 5b와 같이 마킹 정보가 일부 훼손된 경우 제1 및 제2 마킹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개별 문자(숫자)는 임계 인식률을 만족하지 못해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마킹 정보 인식부(220)는 제1 마킹 정보와 제2 마킹 정보를 조합하여 식별 정보를 인식한다(도 5c 참조). 예컨대, 제1 마킹 정보의 모든 개별 문자(숫자)가 임계 인식률을 만족하거나(즉, 임계 인식률 이상이거나) 제2 마킹 정보의 모든 개별 문자(숫자)가 임계 인식률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이를 식별 정보로 인식한다. 만약,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각각의 마킹 정보에 포함된 개별 문자(숫자)별로 임계 인식률을 판단하여 식별 정보를 추출한다. 예컨대, 제1 마킹 정보의 임의의 n번째 개별 문자(숫자)와 이에 대응하는 제2 마킹 정보의 n번째 개별 문자(숫자)의 임계 인식률을 판단하고, 만약 어느 하나의 개별 문자(숫자)가 임계 인식률을 만족하면 이를 n번째 개별 문자(숫자)로 확정한다. 그리고, 만약 어느 하나의 개별 문자(숫자)도 임계 인식률을 만족하지 못하면, 제1 마킹 정보의 n번째 개별 문자(숫자)와 제2 마킹 정보의 n번째 개별 문자(숫자)를 합성하고, 합성된 결과가 임계 인식률을 만족하면 이를 n번째 개별 문자(숫자)로 확정한다. 만약 합성된 결과도 임계 인식률을 만족하지 못하면 에러를 표시한다.
한편, 정보 저장부(230)는 마킹 정보를 구성하는 다양한 포맷에 대한 포맷 정보(마킹 구조 정보, 마킹 영역 정보 등을 포함)를 저장하고, 또한 마킹 정보 인식부(220)에서 과거 처리한 결과 데이터를 저장한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입력된 영상 입력부(210)에서 입력된 영상, 마킹 정보 인식부(220)가 추출한 식별 정보 등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250)는 영상 입력부(210), 마킹 정보 인식부(220), 정보 저장부(230), 디스플레이부(24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하여 제품에 마킹된 마킹 정보를 인식하고 식별 정보를 검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마킹 장치(100)는 HMI부(110)를 통해 제품 식별을 위한 식별 정보를 입력 받는다.
그러면, 마킹 장치(100)는 입력된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마킹 정보가 2 이상 표시되도록, 예컨대 마킹 정보가 위치이동(상하좌우 반복), 미러링, 점대칭, 선대칭, 회전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2 이상 표시되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해 마킹 장치(100)는 마킹을 위한 포맷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데, 상기 포맷 정보는 마킹 정보가 배치되는 구조에 대한 마킹 구조 정보 및 마킹 영역을 인식하기 위한 마킹 영역 정보를 포함한다. 만약, 사용자에 의해 포맷 정보가 선택되면, 마킹 장치(100)는 상기 선택된 포맷 정보에 상응하여 마킹 정보와 마킹 영역 정보를 구성한다. 그러나, 만약 사용자에 의해 포맷 정보가 선택되지 않으면, 마킹 장치는 제품 정보(예, 제품의 치수, 재질)에 상응하여 기 설정된 포맷 정보에 따라 마킹 정보와 마킹 포맷 정보를 구성한다.
그리고, 마킹 장치(100)는 이와 같이 구성된 2 이상의 마킹 정보와 마킹 영역 정보를 제품에 마킹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킹 정보 인식 방법을 설명한다.
마킹 장치(100)에 의해 마킹 정보가 마킹된 제품은 이송이나 보관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되고, 추후 제품 식별을 위해 마킹 정보 인식 장치(200)가 마킹 정보를 인식하여 식별 정보를 검출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마킹 정보 인식 장치(200)는 제품의 일 면에 마킹된 마킹 정보를 촬영하고 이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한다. 물론 마킹 정보 인식 장치(200)는 외부 장치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획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영상 정보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마킹 정보를 2 이상 포함하고 있다.
그 후, 마킹 정보 인식 장치(200)는 획득된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2 이상의 마킹 정보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각각 추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마킹 정보 인식 장치(200)는 마킹 장치(100)에서 사용된 포맷 정보, 구체적으로 마킹 정보가 배치되는 구조에 대한 마킹 구조 정보 및 마킹 영역을 인식하기 위한 마킹 영역 정보를 참조하여 복수개의 마킹 정보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의 경우, 마킹 정보 인식 장치(200)는 직사각형의 마킹 영역 정보를 참조하여 상부에 정상적으로 배치된 제1 마킹 정보와 하부에 나열순서가 역순으로 배치된 제2 마킹 정보를 각각 추출한다. 그러나, 만약 포맷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문자 인식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각각의 마킹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마킹 정보 인식 장치(200)는 각각 추출된 2 이상의 마킹 정보를 조합하여 제품의 식별 정보를 인식한다. 예컨대, 마킹 정보 인식 장치(200)는 제1 마킹 정보에 포함된 모든 문자와 숫자가 임계 인식률을 만족하면 제1 마킹 정보에 의해 인식되는 식별 정보를 제품의 식별 정보로 검출하고, 제2 마킹 정보에 포함된 모든 문자와 숫자가 임계 인식률을 만족하면 제2 마킹 정보에 의해 인식되는 식별 정보를 제품의 식별 정보로 검출한다. 그러나, 만약 제1 마킹 정보에 포함된 모든 문자와 숫자가 임계 인식률을 만족하지 못하고 또한 제2 마킹 정보에 포함된 모든 문자와 숫자가 임계 인식률을 만족하지 못하면, 마킹 정보 인식 장치(200)는 제1 마킹 정보에 포함된 개별 문자와 이에 대응하는 제2 마킹 정보에 포함된 개별 문자를 각각 조합하여 제품의 식별 정보를 인식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킹 정보 인식을 위한 마킹 시스템 및 방법은 과거에 마킹 정보 인식시 처리한 결과 데이터 등을 참조하여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딥 러닝 알고리즘(Deep Learning Algorithm)을 이용하여 마킹 정보의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예컨대, 이전에 제1 마킹 정보에 포함된 임의의 개별 문자(숫자)의 영상 데이터가 임계 인식률을 만족하지 못하였지만(즉, 임계 인식률 미만이었지만) 제2 마킹 정보에 포함된 대응하는 개별 문자(숫자)와의 조합에 의해 어느 특정 문자(숫자)로 판단된 경우에는, 추후 이와 같이 어느 특정 문자로 판단된 개별 문자(숫자)의 영상 데이터와 유사한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면 그 일치율을 판단하여 소정의 일치율 이상인 경우 해당 문자(숫자)로 판단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들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마킹 정보 인식을 위한 마킹 시스템으로서,
    제품 식별을 위한 식별 정보를 입력 받거나 수신하여, 상기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제1 마킹 정보와 제2 마킹 정보를 제품에 마킹하는 마킹 장치; 및
    상기 제품을 촬영한 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제1 마킹 정보와 제2 마킹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1 마킹 정보로 상기 식별 정보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마킹 정보와 상기 제2 마킹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마킹 정보 인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킹 정보와 제2 마킹 정보는 상기 식별 정보의 나열순서가 상이하며,
    상기 마킹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식별 정보를 입력하고 마킹을 위한 포맷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부; 및
    상기 HMI부를 통해 입력되거나 수신된 상기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제1 및 제2 마킹 정보를, 상기 제1 마킹 정보를 기준으로 상하좌우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상기 제2 마킹 정보가 배치되도록 상기 제품에 마킹하는 마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맷 정보는 마킹 정보가 배치되는 구조에 대한 마킹 구조 정보 및 마킹 영역을 인식하기 위한 마킹 영역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마킹 정보 인식 장치는 상기 마킹 구조 정보 및 마킹 영역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마킹 정보와 제2 마킹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정보 인식 장치는
    상기 제품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입력부; 및
    상기 영상 입력부에서 획득된 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제1 마킹 정보와 제2 마킹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마킹 정보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정보 인식부는 상기 제1 마킹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나 숫자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마킹 정보에 포함된 개별 문자나 숫자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마킹 정보에 포함된 개별 문자나 숫자를 조합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시스템.
  7. 마킹 정보 인식을 위한 마킹 장치로서,
    제품 식별을 위한 식별 정보를 입력 받거나 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부;
    상기 HMI부를 통해 입력되거나 수신된 상기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제1 마킹 정보와 제2 마킹 정보를, 상기 제1 마킹 정보를 기준으로 상하좌우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상기 제2 마킹 정보가 배치되도록, 기 설정된 작업 시간 내에 제품에 마킹하는 마킹부; 및
    상기 HMI부와 상기 마킹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킹 정보와 제2 마킹 정보는 상기 식별 정보의 나열순서가 상이하며,
    상기 HMI부는 사용자가 마킹을 위한 포맷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포맷 정보는 마킹 정보가 배치되는 구조에 대한 마킹 구조 정보 및 마킹 영역을 인식하기 위한 마킹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HMI부는 마킹할 제품의 제품 정보에 상응하여 기 설정된 마킹 정보 배치 구조에 따라 마킹 구조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마킹할 제품의 제품 정보에 상응하여 기 설정된 마킹 정보 배치 구조에 따라 마킹 구조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부는 상기 마킹 구조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제1 마킹 정보와 제2 마킹 정보를 미러링, 점대칭, 선대칭, 회전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표시되도록 제품에 마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장치.
  11. 삭제
  12. 마킹 정보 인식을 위한 마킹 방법으로서,
    제품 식별을 위한 식별 정보를 입력 받거나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제1 마킹 정보와 제2 마킹 정보에 대해, 상기 제1 마킹 정보를 기준으로 상하좌우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상기 제2 마킹 정보가 배치되도록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형성된 배치에 따라 상기 제1 마킹 정보와 제2 마킹 정보를 제품에 마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킹 정보와 제2 마킹 정보는 상기 식별 정보의 나열순서가 상이하며,
    상기 형성 단계는,
    마킹을 위한 포맷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포맷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포맷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마킹 정보와 제2 마킹 정보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포맷 정보는 마킹 정보가 배치되는 구조에 대한 마킹 구조 정보 및 마킹 영역을 인식하기 위한 마킹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방법.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포맷 정보가 없는 경우, 마킹될 제품의 제품 정보에 상응하여 기 설정된 마킹 정보 배치 구조에 따라 자동으로 포맷을 형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방법.
  15. 삭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단계는
    상기 제1 마킹 정보와 제2 마킹 정보를 미러링, 점대칭, 선대칭, 회전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표시되도록 제품에 마킹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을 촬영한 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제1 마킹 정보와 제2 마킹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1 마킹 정보와 상기 제2 마킹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방법.
KR1020160147040A 2016-11-04 2016-11-04 마킹 정보 인식을 위한 마킹 시스템 및 방법 KR101828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040A KR101828176B1 (ko) 2016-11-04 2016-11-04 마킹 정보 인식을 위한 마킹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040A KR101828176B1 (ko) 2016-11-04 2016-11-04 마킹 정보 인식을 위한 마킹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176B1 true KR101828176B1 (ko) 2018-02-09

Family

ID=61199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040A KR101828176B1 (ko) 2016-11-04 2016-11-04 마킹 정보 인식을 위한 마킹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1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602B1 (ko) * 2021-10-14 2022-05-17 동국제강주식회사 단납기로 제공이 가능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6331B2 (ja) * 1994-12-05 2004-05-10 株式会社東芝 パターン検査装置
KR101060879B1 (ko) * 2008-10-31 2011-08-31 삼성전기주식회사 레이저 마킹 장치
KR101623689B1 (ko) 2015-06-08 2016-05-24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코드 식별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6331B2 (ja) * 1994-12-05 2004-05-10 株式会社東芝 パターン検査装置
KR101060879B1 (ko) * 2008-10-31 2011-08-31 삼성전기주식회사 레이저 마킹 장치
KR101623689B1 (ko) 2015-06-08 2016-05-24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코드 식별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602B1 (ko) * 2021-10-14 2022-05-17 동국제강주식회사 단납기로 제공이 가능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6235B2 (ja) フラットベッドプリンタ上に印刷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そのための装置、およ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836665B2 (en) Management system, list production device, metho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data structure, and printed label
CN104520107B (zh) 片材的改进加工
US980074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abel creation using object recognition
JP2014191489A (ja) 画像検査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6152334A1 (ja) 測色装置および測色方法
KR102568910B1 (ko) 의상 제조 장치 및 방법
CN105103115A (zh) 打印控制装置、打印装置、数据处理方法以及打印控制装置的设定方法
CN104723671B (zh) 用于控制和调节数字印刷过程的方法和设备
KR101828176B1 (ko) 마킹 정보 인식을 위한 마킹 시스템 및 방법
JPWO2016076163A1 (ja) 測色装置および測色方法
CN106461574B (zh) 用于施加印记到印刷载体上并对其进行检查的方法和设备
CN104508686B (zh) 具有用于检测标记的检测和处理装置的标记监控机构
CN111652541B (zh) 工业生产监测方法、系统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91546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beling goods
US20200213477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lor conversion method, and color conversion program
US20040080784A1 (en) Printing control system, printing control method and program
EP1702293B1 (en) A method for printing and/or cutting an image
JP5994394B2 (ja) 鋼板の識別装置及び識別方法
CN106240165B (zh) 标签制作装置以及标签制作方法
CN103218801A (zh) 图像处理设备和方法、以及指定标记估计设备和方法
US20190219454A1 (en) Environment history display object, data processing method using same, data processing device, and quality management method
US1093186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robot and robot system
CN102019759A (zh) 印刷装置及印刷方法
WO2022091703A1 (ja) 表示方法、制御装置、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