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904B1 -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904B1
KR101827904B1 KR1020160040412A KR20160040412A KR101827904B1 KR 101827904 B1 KR101827904 B1 KR 101827904B1 KR 1020160040412 A KR1020160040412 A KR 1020160040412A KR 20160040412 A KR20160040412 A KR 20160040412A KR 101827904 B1 KR101827904 B1 KR 101827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negative ion
vehicle
charged
ion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8985A (ko
Inventor
도시오 다나하시
요지 가네하라
고시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60118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6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removing electrostatic char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6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ionising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과제] 차체가 양의 정전기를 대전하는 것에 기인하여, 양의 전하를 띤 공기 흐름이, 차체의 외표면으로부터 의도하지 않은 위치에서 박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차량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노면에 대하여 절연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차체(4)가, 주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외부 요인에 의한 정전기에 의해 양으로 대전하는 차량(1)에 있어서, 외부 요인에 의해 음의 전하가 대전하는 것에 수반하여, 주행시에 차체(4)의 주위에 흐르는 양으로 대전한 공기 흐름이, 대전한 차체(4)의 표면을 따른 흐름으로부터,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흐름으로 변화하기 시작하는 특정 부위의 양의 전하를 저하시키거나, 또는 특정 부위를 음의 전하로 대전시키는 마이너스 이온화재(5)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차량{VEHICLE}
이 발명은 차량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차체의 표면으로부터 기류가 박리되지 않도록, 표면에 요철을 가지는 실리콘 고무제의 시트를 차체의 표면에 첩부(貼付)한 차량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차체의 전하를 중화하기 위해, 차체에 대전한 정전기에 의해 코로나 방전이 생기는 도전성 부직포를, 차체의 표면의 전체에 첩부한 차량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6-88880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2-104106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시트를 차체의 표면에 첩부하면, 차체의 외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게 되기 때문에, 차량의 외관이 손상된다. 또한, 그 시트는, 실리콘 고무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주행에 수반하여 그 시트에 정전기가 대전하기 쉽다. 그 때문에, 공기 이온과 시트에 대전한 정전기에 의해 생기는 척력(斥力)에 의하여, 차체의 외표면으로부터 공기가 박리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도전성 부직포는, 차체의 표면의 전체에 첩부되어 있으므로, 탑재성이 저하할뿐만 아니라, 외관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의도적으로 공기를 박리시키는 개소에서, 공기가 박리되기 어려워지는 등에 의해, 의도한 공력(空力) 특성이 되지 않고 주행 성능이 저하할 가능성이 있다.
이 발명은 상기의 기술적 과제에 착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차체가 양의 정전기를 대전하는 것에 기인하여, 양의 전하를 띤 공기 흐름이, 차체의 외표면으로부터 의도하지 않은 위치에서 박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발명은, 노면에 대하여 절연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차체가, 주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외부 요인에 의한 정전기에 의해 양으로 대전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요인에 의해 음의 전하가 대전하는 것에 수반하여, 주행시에 상기 차체의 주위에 흐르는 양으로 대전한 공기 흐름이, 상기 대전한 차체의 표면을 따른 흐름으로부터, 상기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흐름으로 변화하기 시작하는 특정 부위의 양의 전하를 저하시키거나, 또는 상기 특정 부위를 음의 전하로 대전시키는 마이너스 이온화재(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서는, 상기 마이너스 이온화재는, 상기 주행에 수반되는 주행풍의 유동방향을 따른 길이가, 상기 주행풍의 유동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른 길이보다 길어지도록 설치해도 된다.
이 발명에서는, 상기 마이너스 이온화재는, 상기 특정 부위에 일체화해도 된다.
이 발명에서는, 상기 특정 부위는,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마이너스 이온화재는, 상기 특정 부위와 일체 성형해도 된다.
이 발명에서는, 상기 특정 부위에 있어서의 상기 차체의 내측의 면과 소정의 간극을 두고 이너 패널이 설치되고, 상기 마이너스 이온화재는, 상기 이너 패널에 일체화해도 된다.
이 발명에서는, 상기 마이너스 이온화재는, 수지 재료여도 된다.
이 발명에서는, 상기 마이너스 이온화재는, 상기 특정 부위에 도포되는 도료에 함유해도 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외부 요인에 의해 음의 전하가 대전하는 것에 수반하여, 공기 흐름이 차체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흐름으로 변화하기 시작하는 특정 부위의 양의 전하를 저하시키거나, 또는 특정 부위를 음의 전하로 대전시키는 마이너스 이온화재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특정 부위에서 양으로 대전한 공기 흐름과 차체의 표면에 척력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는 그 공기 흐름에 쿨롱력을 작용시켜 차체의 표면으로 흡인할 수 있다. 그 결과, 공기 흐름이 차체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설계상 정해진 공력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에 있어서의 마이너스 이온화재를 차체의 내면에 장착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a)는 그 단면도이며, (b)는 그 상면도이다.
도 2는, 이너 패널에 마이너스 이온화재를 장착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이너 패널과 마이너스 이온화재를 일체로 성형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에 마이너스 이온화재를 설치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에서 대상으로 할 수 있는 차량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차체 모델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유속 분포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발명에서 대상으로 할 수 있는 차량의 일례를 도 5에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차량(1)은, 차륜(2)이 고무 등의 절연체(또는, 전기 전도율이 작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차체(3)와 노면이 절연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차량(1)이 주행할 때는, 주행풍이나 흡배기관 내를 유동하는 공기 흐름 등과 차체(3)와의 마찰 등에 수반되는 전기적인 작용에 의해, 차체(3)에 양(+)의 정전기가 대전한다. 또한, 엔진이나 모터 등의 동력원 혹은 변속기 또는 서스펜션 등이 구동하면, 그들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부재가 슬라이딩하고, 그 슬라이딩에 수반되는 전기적인 작용에 의해, 차체(3)에 양(+)의 정전기가 대전한다. 또한, 고무로 구성된 차륜(2)과 노면의 마찰이나, 차륜(2)이 회전하여 노면에 접촉하고 있었던 면이, 노면으로부터 떨어지는 것 등에 의한 전기적인 작용에 의해, 차체(3)에 양(+)의 정전기가 대전한다. 혹은, 차량(1)에 탑재된 전기기기나 차량(1)의 외부의 송전선 등의 전기기기의 전기를 요인으로 하여, 차체(3)에 양(+)의 정전기가 대전하는 경우가 있다.
그 정전기는, 전기 전도율이 작은 재료에 구애되지 않고, 전기 전도율이 비교적 높은 금속 재료에 의해 구성된 바디나 패널 등에도 대전한다. 이것은, 결합 부위에는 적지 않게 전기 저항이 있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공기는 양(+)의 전하를 띠고 있기 때문에, 차체(3)에 양(+)의 정전기가 대전하면, 공기와의 사이에서 척력(반발력)이 생긴다. 도 6은, 차체 모델을 양(+)의 전하로 대전시킨 상태와 차체 모델을 대전시키고 있지 않은 상태의, 차체 모델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유속 분포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에 있어서의 세로축은 모델 표면으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고, 가로축은 차체 모델에 분사한 공기의 유속(U∞)에 대한, 차체 모델로부터의 거리마다 측정한 유속(U)의 비율(U/U∞)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차체 모델을 양(+)의 전하로 대전시킨 상태에서 측정한 결과를 정방형으로 플롯하고, 차체 모델을 대전시키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결과를 마름모형으로 플롯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 모델을 양(+)의 전하로 대전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경계층 두께(U/U∞가 대략 「1」이 될 때의 차체 모델 표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차체 모델을 양(+)의 전하로 대전시키고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의 경계층 두께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것은, 차체 모델을 양(+)의 전하로 대전시킨 경우에는, 차체 모델을 양(+)의 전하로 대전시키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박리가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 흐름은, 통상적으로, 양(+)의 전하를 띠고 있으므로, 차체 모델에 대전한 양(+)의 전하와 공기 흐름의 양(+)의 전하에 의해 척력이 발생하고, 그 결과, 차체 모델의 표면으로부터의 공기 흐름의 박리가 조장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한편, 차량(1)의 구조상, 주행시에 차체(3)의 주위에 흐르는 공기 흐름이, 차체(3)의 표면을 따른 흐름으로부터, 차체(3)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흐름으로 변화하기 쉬운 개소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차체(3)를 전방으로부터 본 경우에, 차체(3)의 외면이 차체(3)의 내측으로 굴곡지는 개소에서 공기 흐름의 박리가 주로 발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체(3)의 좌우 양측에서는, 차폭이 좁아지도록 굴곡지는 개소이고, 또 보닛이나 루프에서는 높이가 낮아지도록 굴곡지는 개소이며, 또한 언더 커버 등의 차체 하면에 노출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차량 하면이 차량 후방을 향해 점차 낮아지고 있는 개소로부터 수평으로 변화하도록 굴곡지는 개소, 혹은 차량 후방을 향해 수평인 개소로부터 차량 하면이 점차 높아지도록 굴곡지는 개소 등이다. 또한, 차체(3)의 외부에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있는 개소나 단차가 있는 개소 등에서 공기 흐름의 박리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차체(3)의 표면으로부터 공기 흐름이 박리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개소에서, 공기 흐름이 차체(3)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흐름으로 변화하기 시작한다. 즉, 이러한 공기 흐름의 박리가 발생하기 쉬운 개소가, 이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특정 부위」에 상당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공기 흐름이 박리되기 쉬운 개소를 「특정 부위」라고 쓴다.
차체(3)의 표면을 흐르는 공기 흐름은, 차체(3)와의 상대 속도차에 따른 코안다 효과에 의해, 차체(3)의 표면을 따른 흐름이 되고, 상술한 바와 같은 특정 부위에 있어서도, 코안다 효과에 의해, 공기 흐름이 차체(3)의 표면을 따라 흐르려고 한다. 그러나, 차체(3)에 양(+)의 정전기가 대전하고 있으면, 그와 같은 공기 흐름의 유선의 변화를 저해하도록 척력이 작용한다. 즉, 특정 부위에 양(+)의 정전기가 대전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공기 흐름의 박리가 조장된다. 그 때문에, 이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량(1)은, 특정 부위의 양(+)의 전하를 저하시키거나, 또는 특정 부위를 음(-)의 전하로 대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기 흐름이 박리됨으로써 설계상 정해진 공력 특성으로부터 변화하는 개소를, 공동(空洞) 실험 등에 의해 정하고, 주행하는 것 등을 포함하는 외부 요인에 의해 음의 전하가 대전하는 마이너스 이온화재를, 그 부위에 설치하고 있다.
도 1은, 그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차량(1)은, 외관을 이루는 벽부(4)를 구비하고 있고, 그 벽부(4)는, 공기 흐름의 유동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에서는 수평으로 형성되고, 그 하류측에서는, 연직방향에 있어서의 하방측을 향해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 굴곡져 있는 부분이, 상기 특정 부위에 상당한다. 그 특정 부위에서는, 공기 흐름이 차체(3)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기 쉬우므로, 특정 부위의 내면에 마이너스 이온화재(5)가 일체화되어 있다. 이 마이너스 이온화재(5)는, 주행하는 것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음(-)의 전하가 대전하는 것이고, 종래 알려진 분말 상태의 투르말린을 함유한 도료나, 아크릴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의 수지 재료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에 수반되는 주행풍(공기 흐름)의 유동방향을 따른 길이가, 그 유동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른 길이보다 길어지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벽부(4)가, 루프일 경우에는, 주행풍은, 차량(1)의 전후방향을 향해 유동하므로, 마이너스 이온화재(5)는, 차량(1)의 전후방향의 길이가, 차폭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이너스 이온화재(5)는, 차체(3)의 외표면에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차체(3)의 외표면에 도포하는 도료에, 마이너스 이온화재(5)를 혼입해도 되고, 또는, 초벌 도장을 행한 후에, 마이너스 이온화재(5)를 함유하는 도료를 도포하고, 그 후에, 덧칠 도장을 행해도 된다. 그와 같이 도료에 마이너스 이온화재(5)를 혼입함로써,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특정 부위에 마이너스 이온화재(5)를 일체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차량(1)은, 주행하는 것에 수반하여 차체(3)가 양(+)의 전하로 대전하고, 마이너스 이온화재(5)가 음(-)의 전하로 대전한다. 따라서, 마이너스 이온화재(5)가 장착된 특정 부위에서는, 양(+)의 전하가 저하되거나, 또는 음(-)의 전하로 대전한다. 또한, 이 특정 부위의 전하는, 특정 부위에 대전하는 양(+)의 전하와 마이너스 이온화재(5)에 대전하는 음(-)의 전하와의 전위차에 따라 정해진다. 그리고, 특정 부위에 양(+)의 전하가 대전한 경우라도, 그 전하를 저하시킴으로써, 양(+)으로 대전하는 공기 흐름에 생기는 척력을 저하시킬 수 있고, 또한 특정 부위에 음(-)의 전하가 대전한 경우에는, 공기 흐름과의 전위차에 따른 쿨롱력(흡인력)을 공기 흐름에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특정 부위의 양(+)의 전하를 저하시키거나, 또는 특정 부위에 음(-)의 전하가 대전함으로써, 벽부(4)에 있어서의 특정 부위의 근방의 부분의 양(+)의 전하를 저하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공기 흐름이 차체(3)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설계상 정해진 공력 특성을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롤링방향이나 요잉방향 혹은 피칭방향에서의 공력 특성이 변화, 또는 악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차체(3)의 표면의 형상을 변경하는 일이 없으므로, 외관이 손상되는 것이나 표면 형상을 변경하는 것에 기인한 공력 특성이 변화하는 것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마이너스 이온화재(5)와 특정 부위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있어도 된다. 그 예를 도 2에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예는, 프론트 창유리(6)로부터 루프(7)에 걸쳐 유동하는 공기 흐름이, 프론트 창유리(6)나 루프(7)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차량(1)은, 루프(7)의 선단부가 연직방향에 있어서의 하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 프론트 창유리(6)가 감입되어 있다. 따라서, 프론트 창유리(6)로부터 루프(7)에 걸쳐 유동하는 공기 흐름은, 루프(7)의 굴곡진 부분, 또는 그 근방에서 박리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프론트 창유리(6)의 상단부와 루프(7)의 선단부의 양(+)의 전하를 저하시키거나, 또는 음(-)의 전하로 대전시키도록, 루프(7)의 내면과 간극을 두고 배치된 이너 패널(8)에 마이너스 이온화재(5)가 일체화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너 패널(8) 중의 루프(7)의 선단부 및 프론트 창유리(6)의 상단부의 내면에 대향한 면에, 마이너스 이온화재(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차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로부터 공기 흐름이 박리되는 것을 한층 더 억제하기 위해, 차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이고 또한 차량(1)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근방의 내면과 대향하는 이너 패널(8)의 면에 마이너스 이온화재(5)를 장착하고 있다.
또한, 차량(1)의 전방(前方) 부분에서 공기 흐름이 박리되면, 전륜에 작용하는 다운 포스가 저하되어 조타성 등의 조종 안정성이 저하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프론트 창유리(6)의 상단부와 루프(7)의 선단부의 내면에 대향한 이너 패널(8)의 면에, 차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마이너스 이온화재(5, 5)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너 패널(8)에 마이너스 이온화재(5)를 장착하는 구성은, 이너 패널(8)의 일방의 면에 마이너스 이온화재(5)를 부착시키는 구성에 한하지 않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영역(A)과 제 2 영역(B)의 부분에, 마이너스 이온화재(5)를 일체화하여 형성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이너 패널(8)은, 통상적으로, 섬유 소재를 짜넣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마이너스 이온화재(5)를 섬유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이너 패널(8)을 구성하는 섬유 소재에 짜넣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부위와 간극을 둔 부재에 마이너스 이온화재(5)를 일체화하여 형성한 경우에는, 특정 부위와 마이너스 이온화재(5)의 사이의 공기의 양(+)의 전하가 저하하게 되거나, 또는 그 공기가 음(-)으로 대전된다. 그리고, 그 공기와 특정 부위의 전위차에 따라, 특정 부위의 양(+)의 전하가 저하하게 되거나, 또는 특정 부위가 음(-)으로 대전하게 된다. 따라서, 특정 부위와 마이너스 이온화재(5)를 일체로 형성하지 않을 경우라도, 그 특정 부위의 내면에 대향한 부분에 마이너스 이온화재(5)를 설치함으로써, 특정 부위에 마이너스 이온화재(5)를 일체화하여 장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공기 흐름이 차체(3)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루프(7)는, 차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양(+)의 전하를 저하시키거나, 또는 음(-)의 전하로 대전시킴으로써, 선회시에 공기 흐름에 대하여 차체(3)가 편향된 경우라도, 루프(7)의 상면을 유동하는 공기 흐름에 의거하는 차체(3)의 내륜측과 외륜측에 작용하는 다운 포스가 변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설계상 상정한 소정의 회두성(回頭性) 혹은 선회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마이너스 이온화재(5)는, 웨더 스트립 등의 중공 형상의 부재(9)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중공부에 마이너스 이온화재(5)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언더 커버 등의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부재에는, 그 부재와 일체 성형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그 부재와 마이너스 이온화재(5)를 섞은 원료를 금형에 흘려 넣어 몰드해도 되고, 또는, 마이너스 이온화재(5)를 형성한 것을,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해도 된다. 또한, 프론트 창유리(6)와 같이 접합 유리에 마이너스 이온화재(5)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접합면에 설치되는 필름에, 마이너스 이온화재(5)를 장착해도 된다. 즉, 맞붙여지는 두 개의 유리에, 마이너스 이온화재(5)를 끼워도 된다.
또한, 프론트 창유리(6)의 차실측의 면에 세라믹 코팅을 실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부분에 마이너스 이온화재(5)를 도포하고, 루프(7)의 선단부에 장착된 고무와 프론트 창유리(6)에 의해 마이너스 이온화재(5)를 끼워 붙여도 된다. 또한, 사이드 창유리의 양(+)의 전하를 저하시킴으로써, 프론트 필러나 센터 필러에 교차하여 유동하는 공기 흐름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사이드 창유리의 하단부에 마이너스 이온화재(5)를 도포하여, 사이드 창유리를 유지하는 금구와의 사이에 마이너스 이온화재(5)를 끼워 붙이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사이드 창유리의 하단부는, 통상적으로, 표면 가공이 행하여져 있지 않으므로, 그 표면에는, 미소한 요철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세라믹 코팅이 실시되어 있는 부분이나 표면 가공이 행하여져 있지 않은 부분에, 마이너스 이온화재(5)를 도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마이너스 이온화재(5)가 유리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유리 가공 메이커에서 마이너스 이온화재(5)를 도포하고 나서, 자동차 조립 라인에서 그 유리를 차체(3)에 조립할 때까지의 과정에서, 마이너스 이온화재(5)가 유리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 : 차량
2 : 차륜
3 : 차체
4 : 벽부
5 : 마이너스 이온화재
6 : 프론트 창유리
7 : 루프
8 : 이너 패널
9 : 중공 형상의 부재

Claims (7)

  1. 노면에 대하여 절연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차체가, 주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외부 요인에 의한 정전기에 의해 양으로 대전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요인에 의해 음의 전하가 대전하는 것에 수반하여, 주행시에 상기 차체의 주위에 흐르는 양으로 대전한 공기 흐름이, 상기 대전한 차체의 표면을 따른 흐름으로부터, 상기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흐름으로 변화하기 시작하는 특정 부위의 양의 전하를 저하시키거나, 또는 상기 특정 부위를 음의 전하로 대전시키는 마이너스 이온화재를 구비하고,
    상기 특정 부위에 있어서의 상기 차체의 내측의 면과 소정의 간극을 두고 이너 패널이 설치되고,
    상기 마이너스 이온화재는, 상기 이너 패널에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너스 이온화재는, 상기 주행에 수반되는 주행풍의 유동방향을 따른 길이가, 상기 주행풍의 유동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른 길이보다 길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너스 이온화재는, 상기 특정 부위에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부위는,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마이너스 이온화재는, 상기 특정 부위와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너스 이온화재는, 수지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너스 이온화재는, 상기 특정 부위에 도포되는 도료에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160040412A 2015-04-03 2016-04-01 차량 KR1018279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76643 2015-04-03
JP2015076643A JP6344292B2 (ja) 2015-04-03 2015-04-03 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985A KR20160118985A (ko) 2016-10-12
KR101827904B1 true KR101827904B1 (ko) 2018-02-09

Family

ID=55587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412A KR101827904B1 (ko) 2015-04-03 2016-04-01 차량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53161B2 (ko)
EP (1) EP3075654B1 (ko)
JP (1) JP6344292B2 (ko)
KR (1) KR101827904B1 (ko)
CN (1) CN1060431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44292B2 (ja) * 2015-04-03 2018-06-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JP7050600B2 (ja) * 2018-07-09 2022-04-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除電装置および車両
DE102019133504A1 (de) * 2019-12-09 2021-06-1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karosserie mit einem Plasmaaktuator
JP7367642B2 (ja) * 2020-09-10 2023-10-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及び除電部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1834A (ja) * 2000-06-30 2002-01-15 Sekaicho Rubber Co Ltd 多機能性シ−ト・フィルム部材
JP2008143476A (ja) * 2006-12-13 2008-06-26 Toyota Motor Corp 空気抵抗低減装置
JP2010179829A (ja) 2009-02-06 2010-08-19 Toshiba Corp 車両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4106A (ja) 2000-09-27 2002-04-10 Achilles Corp 産業車両の除電装置
JP2002309481A (ja) * 2001-04-11 2002-10-23 Toray Ind Inc 乗物用内装品
US7318619B2 (en) * 2004-01-12 2008-01-15 Munro & Associates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drag and noise for a vehicle
JP2006088880A (ja) 2004-09-24 2006-04-06 Corrmann Inc 気流剥離低減シート
JP5060163B2 (ja) * 2006-04-28 2012-10-31 株式会社東芝
CA2668450A1 (en) * 2006-11-02 2008-05-15 The University Of Notre Dame Du La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drag via a plasma actuator
US7735910B2 (en) * 2007-03-10 2010-06-15 Honda Motor Co., Ltd Plasma wind deflector for a sunroof
JP5668134B2 (ja) * 2011-02-23 2015-02-12 京セラ株式会社 イオン風発生体及びイオン風発生装置
JP6021703B2 (ja) * 2013-03-21 2016-11-09 株式会社東芝 風力発電システム
JP6168157B2 (ja) * 2013-10-30 2017-07-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128093B2 (ja) * 2014-10-16 2017-05-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吸気装置
JP6160603B2 (ja) * 2014-12-19 2017-07-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冷却装置
JP6201980B2 (ja) * 2014-12-25 2017-09-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吸気装置
JP6146405B2 (ja) * 2014-12-26 2017-06-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およびエンジンの製造方法
JP6115559B2 (ja) * 2014-12-26 2017-04-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排気装置
JP6160606B2 (ja) * 2014-12-26 2017-07-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JP6217675B2 (ja) * 2015-03-13 2017-10-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JP6344292B2 (ja) * 2015-04-03 2018-06-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1834A (ja) * 2000-06-30 2002-01-15 Sekaicho Rubber Co Ltd 多機能性シ−ト・フィルム部材
JP2008143476A (ja) * 2006-12-13 2008-06-26 Toyota Motor Corp 空気抵抗低減装置
JP2010179829A (ja) 2009-02-06 2010-08-19 Toshiba Corp 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43180A (zh) 2016-10-26
US20160288844A1 (en) 2016-10-06
US10053161B2 (en) 2018-08-21
EP3075654B1 (en) 2018-09-12
KR20160118985A (ko) 2016-10-12
JP2016196232A (ja) 2016-11-24
EP3075654A1 (en) 2016-10-05
JP6344292B2 (ja) 2018-06-20
CN106043180B (zh)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2988B1 (ko) 차량 및 그 제조 방법
KR101827904B1 (ko) 차량
KR101751410B1 (ko) 차량
EP3037288B1 (en) Vehicle
JP7172102B2 (ja) 車両
EP3967557A1 (en) Vehicle and electrostatic elimination component
JP7050600B2 (ja) 車両用除電装置および車両
JP2019192568A (ja) 車両の除電器
JP2022046037A (ja) 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