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758B1 -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 및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 및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758B1
KR101827758B1 KR1020110069408A KR20110069408A KR101827758B1 KR 101827758 B1 KR101827758 B1 KR 101827758B1 KR 1020110069408 A KR1020110069408 A KR 1020110069408A KR 20110069408 A KR20110069408 A KR 20110069408A KR 101827758 B1 KR101827758 B1 KR 101827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pattern
pattern portion
unit cell
uni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9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8809A (ko
Inventor
정대성
여준호
이가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9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7758B1/ko
Publication of KR20130008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04Arrangements to prevent high voltage or static electricity fail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기판, 및 비대칭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 배선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기판 상에 복수개가 형성된 단위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정전기 등에 의해 배선패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가 갖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 및 디스플레이 패널{Mother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Panel}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모기판 및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기영동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EP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여러 가지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이러한 제조 공정에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단위패널이 복수개 형성된 모기판을 제조하는 공정, 및 상기 모기판을 복수개의 단위패널로 분리하기 위해 절단(Scribing)하는 공정 등이 포함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00)은 베이스기판(110) 및 상기 베이스기판(110)에 형성된 복수개의 단위패널(120)을 포함한다. 상기 단위패널(120)들은 각각 액티브 영역(Active Area)에 형성된 단위셀(121), 및 상기 단위셀(121)을 구동회로(미도시)와 연결하기 위한 배선패턴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단위셀(121)은 복수개의 게이트라인, 복수개의 데이터라인 및 복수개의 박막트랜지스터 등을 포함한다. 상기 배선패턴부(122)는 상기 단위셀(121)에서 구동회로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후, 꼭짓점들(1221, 1221')을 기준으로 서로 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모기판(100)은 절단예정선(S)을 따라 절단공정이 이루어짐으로써, 복수개의 단위패널(120)로 분리된다. 상기 모기판(100)에는 상기 단위셀(121)들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단위패널(120)들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단위패널(120)들 각각이 갖는 배선패턴부(122)들 또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선패턴부(122)들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됨에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배선패턴부들(122, 122')이 갖는 꼭짓점들(1221, 1221')들 또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피뢰침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00)은 절단공정 등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꼭짓점들(1221, 1221')에서 정전기 등이 빈번하게 발생함으로써, 상기 배선패턴부들(122, 122')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정전기 등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은 베이스기판; 및 액티브 영역에 형성된 단위셀 및 상기 단위셀과 구동회로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단위셀에 연결되게 형성된 배선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패턴부가 제1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베이스기판 상에 복수개가 형성된 단위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패널들은 각각 상기 배선배턴부가 상기 제1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방향으로 비대칭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은 베이스기판; 및 액티브 영역에 형성된 단위셀 및 상기 단위셀과 구동회로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단위셀에 연결되게 형성된 배선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기판 상에 행렬을 이루며 복수개가 형성된 단위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패널들 중에서 홀수행에 배치된 제1단위패널의 제1배선패턴부는 짝수행에 배치된 제2단위패널의 제2배선패턴부와 서로 상이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판; 액티브 영역에 위치되게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단위셀; 및 상기 단위셀로부터 제1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배선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선패턴부는 상기 제1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방향으로 비대칭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정전기 등에 의해 배선패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가 갖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
도 4는 도 2의 B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에 있어서 더미패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B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7은 도 6의 C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에 있어서 제1더미패턴부와 제2더미패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더미패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 9의 D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 도 4는 도 2의 B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에 있어서 더미패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B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기영동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EP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베이스기판(2), 및 상기 베이스기판(2) 상에 형성된 단위패널(3)을 포함한다. 상기 단위패널(3)은 액티브 영역(Active Area)에 형성된 단위셀(31), 및 상기 단위셀(31)과 구동회로(미도시)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단위셀(31)에 연결되게 형성된 배선패턴부(32)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기판(2) 상에는 상기 배선패턴부(32)가 제1방향(E 화살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단위패널(3)이 복수개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단위패널(3)들은 각각 상기 배선패턴부(32)가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항)에 대해 수직한 제2방향(F 화살표 방향)으로 비대칭(非對稱)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00)은 상기 배선패턴부(122)가 Y축 방향으로 대칭(對稱)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00)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배선패턴부들(122, 122')이 피뢰침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절단공정 등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정전기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에 따라 상기 배선패턴부들(122, 122')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상기 배선패턴부(32)가 상기 제2방향(F 화살표 방향)으로 비대칭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절단공정 등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배선패턴부(32)들 간에 정전기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상기 배선패턴부(32)들이 정전기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향상된 품질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둘째,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00)에 있어서, 상기 배선패턴부들(122, 122') 간에 정전기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단위패널(120)들 간에 이격된 거리를 늘리는 방안이 있다. 그러나, 상기 단위패널(120)들 간의 거리가 늘어나면, 상기 베이스기판(110)의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 상기 단위패널(120)들 각각에 대해 절단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절단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는 횟수가 증가하여 절단공정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상기 배선패턴부(32)가 상기 제2방향(F 화살표 방향)으로 비대칭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단위패널(3)들 간에 이격된 거리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상기 배선패턴부(32)들 간에 정전기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상기 베이스기판(2)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거나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상기 단위패널(3)들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절단예정선(S)을 따라 절단공정을 수행하면, 해당 절단예정선(S)에 인접하게 배치된 단위패널(3)들에 대해 동시에 절단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상기 단위패널(2)들을 분리하기 위해 절단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는 횟수를 줄임으로써, 절단공정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베이스기판(2) 및 상기 단위패널(3)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베이스기판(2) 상에는 상기 단위패널(3)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기판(2)은 유리 기판, 메탈 기판, 유연성(Flexibility)을 갖는 플라스틱 기판 등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기판(2) 상에는 상기 단위패널(3)이 복수개 형성된다. 도 2에는 상기 베이스기판(2) 상에 9개의 단위패널(3)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베이스기판(2) 상에는 2개 이상 8개 이하, 또는 10개 이상의 단위패널(3)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단위패널(3)들은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행렬을 이루며 상기 베이스기판(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단위패널(3)은 상기 베이스기판(2) 상에 복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단위패널(3)은 상기 단위셀(31) 및 상기 배선패턴부(32)를 포함한다.
상기 단위셀(31)은 액티브 영역에 위치되게 상기 베이스기판(2) 상에 형성된다. 상기 액티브 영역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단위셀(31)은 복수개의 게이트라인, 복수개의 데이터라인, 및 복수개의 박막트랜지스터(TF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부기판과 상부기판이 합착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상기 하부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기판(2) 상에는 상기 단위셀(31)들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배선패턴부(32)는 상기 단위셀(31)과 구동회로(미도시)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단위셀(31)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배선패턴부(32)는 복수개의 금속배선(도 4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배선들은 각각 상기 단위셀(31)이 갖는 게이트라인들과 데이터라인들에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기판(2) 상에는 상기 배선패턴부(32)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위패널(3)들은 각각 상기 배선패턴부(32)가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베이스기판(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선패턴부(32)는 상기 제2방향(F 화살표 방향)으로 비대칭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단위셀(31)이 상기 제2방향(F 화살표 방향)으로 갖는 길이의 중앙지점(G, 도 3에 도시됨)을 기준으로, 상기 중앙지점(G)의 위쪽과 아래쪽이 서로 상이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선패턴부(32)는 상기 중앙지점(G)의 위쪽과 아래쪽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비대칭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배선패턴부(32)는 상기 중앙지점(G)의 위쪽이 타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지점(G)의 아래쪽이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비대칭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배선패턴부(32)는 상기 중앙지점(G)의 위쪽이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지점(G)의 아래쪽이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비대칭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배선패턴부(32)는 상기 단위셀(31)에 연결된 일단 및 상기 구동회로에 연결된 타단 사이에 위치된 꼭짓점들을 포함한다. 상기 배선패턴부(32)가 갖는 금속배선들은 상기 단위셀(31)에 연결된 일단에서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 형성된 후, 상기 꼭짓점들을 기준으로 서로 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구동회로에 연결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꼭짓점들 중에서 상기 제2방향(F 화살표 방향)으로 양단에 위치된 제1꼭짓점(321)과 제2꼭짓점(322)은 상기 단위셀(31)로부터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으로 서로 상이한 거리(321L, 322L)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제1꼭짓점(321)을 갖는 금속배선이 상기 단위셀(31)로부터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길이(321L)와, 상기 제2꼭짓점(322)을 갖는 금속배선이 상기 단위셀(31)로부터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길이(322L)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선패턴부(32)는 상기 제2방향(F 화살표 방향)으로 비대칭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단위패널(3)들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꼭짓점들이 서로 이격된 거리를 늘릴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단위패널들(3, 3')은 각각의 제2꼭짓점(322)과 제1꼭짓점(321')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도 4를 기준으로 아래쪽에 배치된 단위패널(3')은 상기 제1꼭짓점(321')이 상기 단위셀(31')로부터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으로 제1거리(321L')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도 4를 기준으로 위쪽에 배치된 단위패널(3)은 상기 제2꼭짓점(322)이 상기 단위셀(31)로부터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으로 제2거리(322L)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거리(321L')는 상기 제2거리(322L)보다 큰 길이를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꼭짓점(321')과 상기 제2꼭짓점(322)이 서로 이격된 거리(D1)는, 상기 단위셀(31, 31')들이 서로 이격된 거리(D2)보다 큰 길이를 갖는다. 즉, 상기 제1꼭짓점(321')과 상기 제2꼭짓점(322)은, 상기 단위셀(31', 31)들 보다 큰 거리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00)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단위셀(121, 121')들이 이격된 거리와 상기 꼭짓점들(1221, 1221')이 이격된 거리가 서로 동일하도록 대칭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꼭짓점들(1221, 1221')이 피뢰침 구조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절단공정 등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정전기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상기 배선패턴부들(122, 122')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단위셀(31, 31')들이 이격된 거리보다 상기 꼭짓점들(322, 321')이 이격된 거리가 크도록, 상기 배선패턴부들(32, 32') 각각이 비대칭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꼭짓점들(322, 321')은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절단공정 등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꼭짓점들(322, 321')들 간에 정전기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배선패턴부들(32, 32')이 정전기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향상된 품질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단위셀(31, 31')들이 상기 절단예정선(S)에 가까워지도록 이격된 거리를 줄이더라도, 상기 꼭짓점들(322, 321')이 정전기 등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는 충분한 거리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하나의 절단예정선(S)을 따라 절단공정을 수행하면, 해당 절단예정선(S)에 인접하게 배치된 단위패널(3)들에 대해 동시에 절단공정이 수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상기 단위패널(2)들을 분리하기 위해 절단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는 횟수를 줄임으로써, 절단공정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1꼭짓점(321)과 상기 제2꼭짓점(322) 사이에 위치된 꼭짓점들 중에서, 상기 중앙지점(G, 도 3에 도시됨)을 기준으로 상기 제1꼭짓점(321)에 가깝게 형성된 꼭짓점들은, 상기 단위셀(31)로부터 상기 제1꼭짓점과 대략 일치하는 거리(321L)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꼭짓점(321)과 상기 제2꼭짓점(322) 사이에 위치된 꼭짓점들 중에서, 상기 중앙지점(G)을 기준으로 상기 제2꼭짓점(322)에 가깝게 형성된 꼭짓점들은, 상기 단위셀(31)로부터 상기 제2꼭짓점과 대략 일치하는 거리(322L)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단위패널(31)들은 각각 복수개의 더미패턴부(33, 도 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미패턴부(33)들은 상기 배선패턴부(32)를 정전기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더미패턴부(33)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작동되는데 사용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배선패턴부(32)는 상기 더미패턴부(33)들 사이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배선패턴부들(32, 32') 사이에는 상기 더미패턴부들(33, 33')이 위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절단공정 등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정전기 등이 발생하더라도,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더미패턴부들(33, 33')에 정전기 등이 발생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배선패턴부들(32, 32')이 정전기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더미패턴부(33)들은 하나의 단위패널(31)에 포함된 배선패턴부(32)를 기준으로 상기 제2방향(F 화살표 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더미패턴부(33)들은 상기 배선패턴부(32)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금속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미패턴부(33)와 상기 배선패턴부(32)는, 마스크를 이용한 포토리소그래피(Photh-lithography) 공정을 통해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더미패턴부(33)들은 상기 배선패턴부(32)와 대략 일치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배선패턴부(32)는 상기 더미패턴부(33, 도 5에 도시됨)들 사이에서 상기 더미패턴부(33)들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더미패턴부(33)들은 상기 배선패턴부(32)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상기 배선패턴부(32)와 상기 더미패턴부(33)들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없도록 형성된 것과 비교할 때, 상기 더미패턴부(33)들에 발생한 정전기 등이 상기 배선패턴부(32)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7은 도 6의 C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에 있어서 제1더미패턴부와 제2더미패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베이스기판(2), 및 상기 베이스기판(2)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단위패널(3a, 3b)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기판(2)과 상기 단위패널(3a, 3b)들은 상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이 있는 부분들 위주로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기판(2) 상에는 홀수행에 배치된 제1단위패널(3a) 및 짝수행에 배치된 제2단위패널(3b)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기판(2) 상에는 상기 제1단위패널(3a)과 상기 제2단위패널(3b)이 행렬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홀수행에 배치된 제1단위패널(3a)이란, 상기 베이스기판(2) 상에서 행방향(Y축 방향)으로 (2N - 1) 번째(N은 0보다 큰 정수) 배치되게 형성된 것을 말한다. 하나의 홀수행에는 열방향(X축 방향)으로 상기 제1단위패널(3a)이 복수개 배치될 수도 있다. 짝수행에 배치된 제2단위패널(3b)이란, 상기 베이스기판(2) 상에서 상기 행방향(Y축 방향)으로 2N 번째(N은 0보다 큰 정수) 배치되게 형성된 것을 말한다. 하나의 짝수행에는 상기 열방향(X축 방향)으로 상기 제2단위패널(3b)이 복수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단위패널(3a)은 제1단위셀(31a)과 제1배선패턴부(32a)를 포함한다. 상기 제2단위패널(3b)은 제2단위셀(31b)과 제2배선패턴부(32b)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배선패턴부(32a)와 상기 제2배선패턴부(32b)는 서로 상이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단위패널(3a)과 상기 제2단위패널(3b)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면, 서로 상이한 형태를 갖는 제1배선패턴부(32a)와 제2배선패턴부(32b)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배선패턴부(32a)와 제2배선패턴부(32b)가 서로 상이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절단공정 등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배선패턴부(32a)와 제2배선패턴부(32b) 간에 정전기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향상된 품질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배선패턴부(32a)와 제2배선패턴부(32b)가 서로 상이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제1단위패널(3a)과 상기 제2단위패널(3b)들 간에 이격된 거리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상기 제1배선패턴부(32a)와 상기 제2배선패턴부(32b) 간에 정전기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상기 베이스기판(2)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거나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하나의 절단예정선(S)을 따라 절단공정을 수행하면, 해당 절단예정선(S)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단위패널(3a)과 제2단위패널(3b)에 대해 동시에 절단공정이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절단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는 횟수를 줄임으로써, 절단공정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배선패턴부(32a)와 상기 제2배선패턴부(32b)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서로 상이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배선패턴부(32a)가 타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배선패턴부(32b)가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서로 상이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배선패턴부(32a)가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배선패턴부(32b)가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서로 상이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제1배선패턴부(32a)는 상기 제1단위셀(31a)에 연결된 일단과 구동회로에 연결된 타단 사이에 위치된 제1꼭짓점(321a)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2배선패턴부(32b)는 상기 제2단위셀(31b)에 연결된 일단과 구동회로에 연결된 타단 사이에 위치된 제2꼭짓점(321b)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꼭짓점(321a)들이 상기 제1단위셀(31a)로부터 이격된 거리(L1)는, 상기 제2꼭짓점(321b)들이 상기 제2단위셀(31b)로부터 이격된 거리(L2)와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꼭짓점(321a)들을 갖는 금속배선들이 상기 제1단위셀(31a)로부터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길이(L1)와, 상기 제2꼭짓점(321b)들을 갖는 금속배선들이 상기 제2단위셀(31b)로부터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길이(L2)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배선패턴부(32a)와 상기 제2배선패턴부(32b)는 서로 상이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1꼭짓점(321a)과 상기 제2꼭짓점(321b)이 서로 이격된 거리를 늘릴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단위패널(3a)과 제2단위패널(3b)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1꼭짓점(321a)과 제2꼭짓점(321b)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2꼭짓점(321b)이 상기 제2단위셀(31b)로부터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L2)는, 상기 제1꼭짓점(321a)이 상기 제1단위셀(31a)로부터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L2)보다 큰 길이를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꼭짓점(321a)과 상기 제2꼭짓점(321b)이 서로 이격된 거리(D1)는, 상기 제1단위셀(31a)과 상기 제2단위셀(31b)이 서로 이격된 거리(D2)보다 큰 길이를 갖는다. 즉, 상기 제1꼭짓점(321a)과 상기 제2꼭짓점(321b)은, 상기 제1단위셀(31a)과 상기 제2단위셀(31b) 보다 큰 거리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단위셀(31a)과 제2단위셀(31b)이 이격된 거리보다 상기 제1꼭짓점(321a)과 상기 제2꼭짓점(321b)이 이격된 거리가 크도록, 상기 제1배선패턴부(32a)와 상기 제2배선패턴부(32b)가 서로 상이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꼭짓점(321a)과 제2꼭짓점(321b)은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절단공정 등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꼭짓점(321a)과 제2꼭짓점(321b) 간에 정전기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제1배선패턴부(32a)와 상기 제2배선패턴부(32b)가 정전기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향상된 품질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단위셀(31a)과 제2단위셀(31b)이 상기 절단예정선(S)에 가까워지도록 이격된 거리를 줄이더라도, 상기 제1꼭짓점(321a)과 상기 제2꼭짓점(321b)이 정전기 등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는 충분한 거리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하나의 절단예정선(S)을 따라 절단공정을 수행하면, 해당 절단예정선(S)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단위패널(3a)과 제2단위패널(3b)에 대해 동시에 절단공정이 수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절단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는 횟수를 줄임으로써, 절단공정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1단위패널(31a)은 복수개의 제1더미패턴부(33a, 도 8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더미패턴부(33a)들은 상기 제1배선패턴부(32a)를 정전기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제1더미패턴부(33a)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작동되는데 사용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제1배선패턴부(32a)는 상기 제1더미패턴부(33a)들 사이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배선패턴부(32a)와 제2배선패턴부(32b) 사이에는 상기 제1더미패턴부(33a)가 위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절단공정 등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정전기 등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1더미패턴부(33a)들에 정전기 등이 발생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배선패턴부(32a)와 제2배선패턴부(32b)가 정전기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더미패턴부(33a)들은 하나의 제1단위패널(31a)에 포함된 제1배선패턴부(32a)를 기준으로 상기 제2방향(F 화살표 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더미패턴부(33a)들은 상기 제1배선패턴부(32a)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금속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더미패턴부(33a)와 상기 제1배선패턴부(32a)는, 마스크를 이용한 포토리소그래피(Photh-lithography) 공정을 통해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더미패턴부(33a)들은 상기 제1배선패턴부(32a)와 대략 일치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1배선패턴부(32a)는 상기 제1더미패턴부(33a, 도 8에 도시됨)들 사이에서 상기 제1더미패턴부(33a)들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더미패턴부(33a)들은 상기 제1배선패턴부(32a)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상기 제1배선패턴부(32a)와 상기 제1더미패턴부(33a)들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없도록 형성된 것과 비교할 때, 상기 제1더미패턴부(33a)들에 발생한 정전기 등이 상기 제1배선패턴부(32a)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2단위패널(31b)은 복수개의 제2더미패턴부(33b, 도 8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더미패턴부(33b)들은 상기 제2배선패턴부(32b)를 정전기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제2더미패턴부(33b)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작동되는데 사용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제2배선패턴부(32b)는 상기 제2더미패턴부(33b)들 사이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배선패턴부(32a)와 제2배선패턴부(32b) 사이에는 상기 제2더미패턴부(33b)가 위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절단공정 등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정전기 등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2더미패턴부(33b)들에 정전기 등이 발생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배선패턴부(32a)와 제2배선패턴부(32b)가 정전기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더미패턴부(33b)들은 하나의 제2단위패널(31b)에 포함된 제2배선패턴부(32b)를 기준으로 상기 제2방향(F 화살표 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더미패턴부(33b)들은 상기 제2배선패턴부(32b)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금속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더미패턴부(33b)와 상기 제2배선패턴부(32b)는, 마스크를 이용한 포토리소그래피(Photh-lithography) 공정을 통해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더미패턴부(33b)들은 상기 제2배선패턴부(32b)와 대략 일치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2배선패턴부(32b)는 상기 제2더미패턴부(33b, 도 8에 도시됨)들 사이에서 상기 제2더미패턴부(33b)들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2더미패턴부(33b)들은 상기 제2배선패턴부(32b)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은, 상기 제2배선패턴부(32b)와 상기 제2더미패턴부(33b)들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없도록 형성된 것과 비교할 때, 상기 제2더미패턴부(33b)들에 발생한 정전기 등이 상기 제2배선패턴부(32b)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더미패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 9의 D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액정표시장치(LCD),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L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전기영동표시장치(EP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1, 도 2에 도시됨)에 대해 절단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은 기판(30), 상기 기판(30) 상에 형성된 단위셀(40), 및 상기 단위셀(40)과 구동회로(미도시)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단위셀(40)에 연결되게 형성된 배선패턴부(50)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30) 상에는 상기 배선패턴부(50)가 상기 단위셀(40)로부터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배선패턴부(50)는 상기 제2방향(F 화살표 방향)으로 비대칭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은, 모기판에 대한 절단공정 등과 같은 제조 공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배선패턴부(50)들 간에 정전기 등이 발생하여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향상된 품질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모기판에 대해 절단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는 횟수를 줄임으로써, 절단공정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기판(30), 상기 단위셀(40), 및 상기 배선패턴부(50)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기판(30) 상에는 상기 단위셀(40)과 상기 배선패턴부(50)가 형성된다. 상기 기판(30)은 유리 기판, 메탈 기판, 유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기판 등일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단위셀(40)은 액티브 영역에 위치되게 상기 기판(30) 상에 형성된다. 상기 액티브 영역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단위셀(40)은 복수개의 게이트라인, 복수개의 데이터라인, 및 복수개의 박막트랜지스터(TF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부기판과 상부기판이 합착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상기 하부기판일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배선패턴부(50)는 상기 단위셀(40)과 구동회로(미도시)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단위셀(40)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배선패턴부(50)는 복수개의 금속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배선들은 각각 상기 단위셀(40)이 갖는 게이트라인들과 데이터라인들에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선패턴부(50)는 상기 제2방향(F 화살표 방향)으로 비대칭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단위셀(40)이 상기 제2방향(F 화살표 방향)으로 갖는 길이의 중앙지점(H)을 기준으로, 상기 중앙지점(G)의 위쪽과 아래쪽이 서로 상이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선패턴부(50)는 상기 중앙지점(G)의 위쪽과 아래쪽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비대칭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배선패턴부(50)는 상기 중앙지점(G)의 위쪽이 타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지점(G)의 아래쪽이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비대칭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배선패턴부(50)는 상기 중앙지점(G)의 위쪽이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지점(G)의 아래쪽이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비대칭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배선패턴부(50)는 상기 단위셀(40)에 연결된 일단 및 상기 구동회로에 연결된 타단 사이에 위치된 꼭짓점들을 포함한다. 상기 배선패턴부(50)가 갖는 금속배선들은 상기 단위셀(40)에 연결된 일단에서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 형성된 후, 상기 꼭짓점들을 기준으로 서로 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구동회로에 연결된다.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꼭짓점들 중에서 상기 제2방향(F 화살표 방향)으로 양단에 위치된 제1꼭짓점(51)과 제2꼭짓점(52)은 상기 단위셀(40)로부터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으로 서로 상이한 거리(51L, 52L)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제1꼭짓점(51)을 갖는 금속배선이 상기 단위셀(40)로부터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길이(51L)와, 상기 제2꼭짓점(52)을 갖는 금속배선이 상기 단위셀(40)로부터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길이(52L)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선패턴부(50)는 상기 제2방향(F 화살표 방향)으로 비대칭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꼭짓점(51)이 상기 단위셀(40)로부터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51L)는, 상기 제2꼭짓점(52)이 상기 단위셀(40)로부터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52L)보다 큰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제1꼭짓점(51)과 상기 제2꼭짓점(52) 사이에 위치된 꼭짓점들 중에서, 상기 중앙지점(H)을 기준으로 상기 제1꼭짓점(51)에 가깝게 형성된 꼭짓점들은, 상기 단위셀(40)로부터 상기 제1꼭짓점과 대략 일치하는 거리(51L)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꼭짓점(51)과 상기 제2꼭짓점(52) 사이에 위치된 꼭짓점들 중에서, 상기 중앙지점(H)을 기준으로 상기 제2꼭짓점(52)에 가깝게 형성된 꼭짓점들은, 상기 단위셀(40)로부터 상기 제2꼭짓점과 대략 일치하는 거리(52L)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복수개의 더미패턴부(60, 도 10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미패턴부(60)들은 상기 배선패턴부(50)를 정전기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더미패턴부(60)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작동되는데 사용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배선패턴부(50)는 상기 더미패턴부(60)들 사이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은, 모기판에 대한 절단공정 등과 같은 제조 공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정전기 등이 발생하더라도,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더미패턴부(60)들에 정전기 등이 발생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배선패턴부(50)들이 정전기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더미패턴부(60)들은 상기 배선패턴부(50)를 기준으로 상기 제2방향(F 화살표 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더미패턴부(60)들은 상기 배선패턴부(50)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금속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미패턴부(60)와 상기 배선패턴부(50)는, 마스크를 이용한 포토리소그래피(Photh-lithography) 공정을 통해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더미패턴부(60)들은 상기 배선패턴부(50)와 대략 일치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배선패턴부(50)는 상기 더미패턴부(60, 도 10에 도시됨)들 사이에서 상기 더미패턴부(60)들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더미패턴부(60)들은 상기 배선패턴부(5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상기 배선패턴부(50)와 상기 더미패턴부(60)들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없도록 형성된 것과 비교할 때, 모기판에 대한 절단공정 등과 같은 제조 공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상기 더미패턴부(60)들에 발생한 정전기 등이 상기 배선패턴부(50)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어떤 구조물이 다른 구조물의 "상에" 또는 "아래에" 형성된다고 기재된 경우, 이러한 기재는 이 구조물들이 서로 접촉되어 있는 경우는 물론이고 이들 구조물들 사이에 제3의 구조물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모기판 2 : 베이스기판 3 : 단위패널 31 : 단위셀
32 : 배선패턴부 33 : 더미패턴부 10 : 디스플레이 패널

Claims (10)

  1. 베이스기판; 및
    액티브 영역에 형성된 단위셀 및 상기 단위셀과 구동회로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단위셀에 연결되게 형성된 배선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패턴부가 제1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베이스기판 상에 복수개가 형성된 단위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패널들 각각은 상기 배선패턴부가 상기 제1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방향으로 갖는 길이의 중앙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중앙지점의 위쪽과 아래쪽이 서로 상이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방향으로 비대칭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패턴부들은 각각 상기 단위셀에 연결된 일단과 구동회로에 연결된 타단 사이에 위치된 꼭짓점들을 포함하되, 상기 꼭짓점들 중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양단에 위치된 제1꼭짓점과 제2꼭짓점은 상기 단위셀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서로 상이한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패널들은 각각 복수개의 더미패턴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선패턴부는 상기 더미패턴부들 사이에 위치되게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패널들은 각각 복수개의 더미패턴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선패턴부는 상기 더미패턴부들 사이에서 상기 더미패턴부들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
  5. 베이스기판; 및
    액티브 영역에 형성된 단위셀 및 상기 단위셀과 구동회로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단위셀에 연결되게 형성된 배선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기판 상에 행렬을 이루며 복수개가 형성된 단위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패널들 중에서 홀수행에 배치된 제1단위패널의 제1배선패턴부는 짝수행에 배치된 제2단위패널의 제2배선패턴부와 서로 상이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선패턴부는 제1단위셀에 연결된 일단과 구동회로에 연결된 타단 사이에 위치된 제1꼭짓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배선패턴부는 제2단위셀에 연결된 일단과 구동회로에 연결된 타단 사이에 위치된 제2꼭짓점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꼭짓점들이 상기 제1단위셀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상기 제2꼭짓점들이 상기 제2단위셀로부터 이격된 거리와 상이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패널은 복수개의 제1더미패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배선패턴부는 상기 제1더미패턴부들 사이에 위치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단위패널은 복수개의 제2더미패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배선패턴부는 상기 제2더미패턴부들 사이에 위치되게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
  8. 기판;
    액티브 영역에 위치되게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단위셀; 및
    상기 단위셀로부터 제1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배선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패턴부는 상기 제1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방향으로 갖는 길이의 중앙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중앙지점의 위쪽과 아래쪽이 서로 상이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방향으로 비대칭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패턴부는 상기 단위셀에 연결된 일단과 구동회로에 연결된 타단 사이에 위치된 꼭짓점들을 포함하되, 상기 꼭짓점들 중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양단에 위치된 제1꼭짓점과 제2꼭짓점은 상기 단위셀로부터 서로 상이한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2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더미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패턴부는 상기 더미패턴부들 사이에 위치되게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110069408A 2011-07-13 2011-07-13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 및 디스플레이 패널 KR101827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408A KR101827758B1 (ko) 2011-07-13 2011-07-13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 및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408A KR101827758B1 (ko) 2011-07-13 2011-07-13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 및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809A KR20130008809A (ko) 2013-01-23
KR101827758B1 true KR101827758B1 (ko) 2018-03-23

Family

ID=47838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9408A KR101827758B1 (ko) 2011-07-13 2011-07-13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 및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77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010B1 (ko) 2015-06-05 2022-0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5018A (ja) 1999-06-22 2001-01-12 Casio Comput Co Ltd 液晶表示装置
JP2004133480A (ja) 1997-04-09 2004-04-30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3480A (ja) 1997-04-09 2004-04-30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の製造方法
JP2001005018A (ja) 1999-06-22 2001-01-12 Casio Comput Co Ltd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809A (ko)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4923B2 (en) Thin-film-transistor (TFT) array panel with stress elimination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62529B1 (ko) 보강된 부분을 갖는 배선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조 방법
US9907162B2 (en) Displ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06782088B (zh) 柔性显示面板及柔性显示装置
US8772780B2 (en) Array substrate structure of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2222652B1 (ko) 터치 패널 및 그것의 제조 방법, 및 터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2023510055A (ja) 支持プレート及び折り畳みディスプレイ
TWI504969B (zh) 顯示面板以及顯示裝置
US11013116B2 (en) Flexible assembly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US806246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optical device
KR101577667B1 (ko) 액정표시패널 및 그 장치
KR101698818B1 (ko)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US11194186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restriction region formed by a conductive wiring pattern that restricts displacement between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JP2007322640A (ja) 液晶表示装置
KR101827758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모기판 및 디스플레이 패널
KR20180040190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335216B2 (en) Display panel, fold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101643945B1 (ko)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US9519390B2 (en) Single electrode layer of touch panel
US11251204B2 (en) Array substrate, method for repairing same, and display device
KR101875044B1 (ko) 게이트 인 패널 구조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US11630543B2 (en) Touch s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I514532B (zh) 晶片凸塊結構
KR102156196B1 (ko) 디스플레이패널
WO2015087863A1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