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646B1 - 시험편 몰드용 홀더 장치 - Google Patents

시험편 몰드용 홀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646B1
KR101827646B1 KR1020160127713A KR20160127713A KR101827646B1 KR 101827646 B1 KR101827646 B1 KR 101827646B1 KR 1020160127713 A KR1020160127713 A KR 1020160127713A KR 20160127713 A KR20160127713 A KR 20160127713A KR 101827646 B1 KR101827646 B1 KR 101827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piece
mounting holes
mold
clamping members
timing ge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옥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27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76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험편 몰드용 홀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시험편 몰드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장착홀을 구비하는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에 내설되되, 상기 복수의 장착홀에 각각 대응하여 구비되며, 삽입된 상기 시험편 몰드를 고정하는 복수의 클램핑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복수개의 시험편 몰드가 장착되는 홀더를 이용하여 클램핑 방식으로 복수개의 시험편 몰드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시험편 몰드용 홀더 장치{HOLDER APPARATUS FOR SAMPLE MOLD}
본 발명은 복수개의 시험편 몰드가 장착되는 홀더를 이용하여 클램핑 방식으로 복수개의 시험편 몰드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시험편 몰드용 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철강재의 조직검사는 조직검사용 시험편의 조직적 특성, 결함, 비금속 개재물 등을 전자현미경으로 검경하여 확인하는데, 시험편의 조직을 전자현미경으로 검경하기 위해서 설정 규격(JIS, ASTM, DIN)에 의한 비금속개재물의 시험편을 일정 길이(25-30 mm)로 절단할 수 있다.
하지만, 절단된 시험편은 크기가 작거나 일정하지 않아 연마장치의 홀더에 직접 고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절단된 시험편을 홀더에 고정하기 위해 몰드(mold)작업을 하게 된다.
이러한 몰드 작업을 통해 몰딩된 시험편 몰드는 복수개의 장착홀을 갖는 홀더에 복수개가 연마면이 노출되도록 삽입될 수 있으며, 시험편 몰드의 연마면에 대해 그라인딩(grinding), 폴리싱(polishing) 등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 후 전자현미경에 시험편 몰드를 장착하여 금속조직 및 단면에 대한 검경을 실시할 수 있는데, 원하는 결과가 관찰되지 않거나 관찰 방식의 변경이 필요하는 등의 시험편을 다시 준비하기 위한 사유가 발생하게 되면, 시험편 몰드를 각각 개별적으로 고정시켜주는 싱글 홀더를 이용하여 그라인딩, 폴리싱 등의 작업을 재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재작업을 실시할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싱글 홀도에 시험편 몰드를 장착하여 폴리싱 장치에 장착한 후에(S1), 전도성 향상을 위해 시험편 몰드의 표면에 코팅된 은(Au)을 제거하기 위해 3㎛ 폴리싱 작업, 금속조직이나 도금층을 관찰하기 위해 표면을 더욱 미려하게 처리하는 1㎛ 폴리싱 작업 또는 1/4㎛ 폴리싱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다(S2).
상술한 바와 같은 시험편 몰드의 전처리 재작업 시 수행되는 세번의 폴리싱 작업을 수행하는 공정 사이에 시험편 몰드의 세척(S5), 건조(S6) 등의 작업을 위해 복수의 시험편 몰드를 손으로 하나씩 잡아 이동할 경우(S3) 시험편 표면의 산화가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손바닥이나 별도의 받침대를 이용하여 이동하거나 혹은 고무장갑을 이용하여 시험편 몰드를 집을 경우(S4)에 연마액이나 다이아몬드 스프레이의 액체가 시험편 몰드에 묻어 있어 실수로 바닥에 떨어뜨리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하는 등 시험편 몰드를 준비하기 위한 최초 과정부터 다시 진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1. 등록특허 제10-1076076호(2011.10.17.등록) : 주사 전자 현미경의 시편 홀더장치 2. 등록특허 제10-1504702호(2015.03.16.등록) : 시험편 몰드 정렬 장치
본 발명은 복수개의 시험편 몰드가 장착되는 홀더를 이용하여 클램핑 방식으로 복수개의 시험편 몰드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쉽게 이동시킴으로써, 복수개의 시험편 몰드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시험편 몰드의 산화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시험편 몰드의 낙하 발생으로 인한 재작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시험편 몰드용 홀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장착홀이 형성된 몸체부재의 내부에 복수의 클램핑부재를 각각 내설하되, 복수의 클램핑부재는 각각 복수의 클램퍼, 복수의 타이밍 밸트 및 복수의 타이밍기어를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클램핑부재가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조작레버를 통해 복수의 장착홀에 삽입 장착된 시험편 몰드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된 상태로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시험편 몰드용 홀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시험편 몰드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장착홀을 구비하는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에 내설되되, 상기 복수의 장착홀에 각각 대응하여 구비되며, 삽입된 상기 시험편 몰드를 고정하는 복수의 클램핑부재를 포함하는 시험편 몰드용 홀더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시험편 몰드가 장착되는 홀더를 이용하여 클램핑 방식으로 복수개의 시험편 몰드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쉽게 이동시킴으로써, 복수개의 시험편 몰드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시험편 몰드의 산화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시험편 몰드의 낙하 발생으로 인한 재작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장착홀이 형성된 몸체부재의 내부에 복수의 클램핑부재를 각각 내설하되, 복수의 클램핑부재는 각각 복수의 클램퍼, 복수의 타이밍 밸트 및 복수의 타이밍기어를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클램핑부재가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조작레버를 통해 복수의 장착홀에 삽입 장착된 시험편 몰드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된 상태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시험편 몰드의 시편 전처리 재작업 공정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험편 몰드용 홀더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험편 몰드용 홀더 장치에 구비된 몸체부재에서 물방울 형태의 장착홀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시험편 몰드용 홀더 장치에 구비된 클램핑 부재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4b의 A부분의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험편 몰드용 홀더 장치의 동작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험편 몰드용 홀더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험편 몰드용 홀더 장치에 구비된 몸체부재에서 물방울 형태의 장착홀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시험편 몰드용 홀더 장치에 구비된 클램핑 부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 도3, 도 4 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험편 몰드용 홀더 장치는 몸체부재(100), 복수의 클램핑부재(2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재(100)는 복수의 시험편 몰드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장착홀(110)을 구비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복수의 클램핑부재(200)가 내설될 수 있는 두께의 원통형으로 구비되며, 중앙부 상방으로 지지포스트(120)가 돌출 구비되어 가공 장치(예를 들면, 오토폴리셔 등)에 장착 및 지지될 수 있고, 후술하는 복수의 클램핑부재(200)가 내설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복수의 장착홀(110)이 구비된 상부몸체와 복수의 클램핑부재(200)가 내설되는 내설공간이 구비된 하부몸체를 포함하면서 지지포스트(120)를 통해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견고하게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시험편 몰드는 수지 파우더를 녹여 경화시키는 몰드 성형기를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내부에 선재 등과 같은 복수의 시험편이 수지에 의해 원통 형태로 경화된 구조로 제공될 수 있고, 복수의 장착홀(110)은 시험편 몰드가 상입 장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물방울형 등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장착홀(11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뾰족한 부분이 내측으로 향하되 중앙점에서 한쪽 방향으로 치우치게 배치되는 물방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클램핑부재(200)는 몸체부재(100)에 내설되되, 복수의 장착홀(110)에 각각 대응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각 클램핑부재(200)는 복수의 기어장착홀(210), 복수의 타이밍기어(220), 복수의 클램퍼(230), 제 1 타이밍벨트(240), 복수의 제 1 보조롤러(250) 등을 포함하며, 복수의 클램핑부재(200)에는 추가적으로 제 2 타이밍벨트(260), 복수의 제 2 보조롤러(270), 조작레버(2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기어장착홀(210)은 복수의 장착홀(110)에 각각 대응하여 구비되되, 각 장착홀(110)의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데, 하나의 장착홀(110)의 중심점에서 장착홀(110)의 내주면까지의 거리(즉, 장착홀(110)의 반경)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반경)을 가지는 기어장착홀 기준원(C1) 상에 형성되며, 복수의 기어장착홀(210)은 기준원을 일정 각도로 분할하여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복수의 기어장착홀(210)은 4개(분할 각도 90ㅀ)가 구비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2개(분할 각도 180ㅀ), 3개(분할 각도 120ㅀ), 4개(분할 각도 90ㅀ) 등과 같이 필요에 따라 적어도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기어장착홀(210)에는 각각 복수의 타이밍기어(220)가 삽입 장착될 수 있고, 복수의 타이밍기어(220)에는 복수의 클램퍼(230)가 각각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타이밍기어(220)와 복수의 클램퍼(230)는 어느 하나가 외측 기어가 형성될 경우 다른 하나가 내측 기어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기어 장착홀(210)에 삽입 장착된 복수의 타이밍기어(220)의 노출된 외주면에 외측 기어가 형성될 경우 이에 고정 결합되는 복수의 클램퍼(230)의 일단부에 내측 기어가 형성된 결합홀(도시 생략됨)이 구비됨으로써, 결합홀을 통해 복수의 타이밍기어(220)에 복수의 클램퍼(230)가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타이밍기어(220)의 회전에 따라 각 클램퍼(230)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각 클램퍼(230)는 일단부에 결합홀이 구비되는 원형형태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곡선형태로 연장되면서 폭이 좁아지는 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클램핑부재(200)에는 제 1 타이밍벨트(240)가 구비되어 복수의 타이밍기어(220)를 상호 연결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 1 타이밍벨트(240)는 내측면에 복수의 타이밍기어(220)에 형성된 외측기어와 맞물리는 내측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타이밍벨트(240)는 복수의 클램핑부재(200) 각각에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타이밍기어가 회전(작동)될 경우 제 1 타이밍벨트(240)를 통해 맞물려 연결된 나머지 타이밍기어가 동일하게 회전(작동)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각 클램핑부재(200)에는 복수의 제 1 보조롤러(250)가 구비되어 제 1 타이밍벨트(240)를 복수의 타이밍기어(220)의 각 사이에서 내측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는데, 이러한 복수의 제 1 보조롤러(250)는 복수의 기어장착홀(210)이 형성되는 기어장착홀 기준원(C1) 상 또는 그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 1 타이밍벨트(240)는 복수의 장착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의 타이밍기어(220)의 외측에서 감싸지면서 복수의 제 1 보조롤러(250)의 내측에서 감싸지는 방식(즉, 외측과 내측을 지그재그 형태로 감싸게 됨)으로 구비됨으로써, 하나의 타이밍기어가 회전(작동)될 경우 제 1 타이밍벨트(240)를 통해 맞물려 연결된 나머지 타이밍기어가 동일하게 원활하게 회전(작동)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클램핑부재(200)에는 추가적으로 제 2 타이밍벨트(260)가 구비되어 복수의 장착홀(110)에 각각 구비된 복수의 타이밍기어(220) 중 복수의 외측 타이밍기어(220a)를 상호 연결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 2 타이밍벨트(260)는 복수의 클램핑부재(200) 각각에 구비된 각각의 외측 타이밍기어(220a)에 맞물려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외측타이밍기어가 회전(작동)될 경우 제 2 타이밍벨트(260)를 통해 맞물려 연결된 나머지 외측타이밍기어가 동일하게 회전(작동)될 수 있고, 복수의 외측 타이밍기어(220a)에 연결된 각각의 타이밍기어(220)가 전체적으로 회전(작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클램퍼(230)가 고정 방향으로 회전하여 복수의 장착홀(110)에 삽입된 시험편 몰드를 고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클램핑부재(200)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제 2 보조롤러(270)가 구비되어 제 2 타이밍벨트(260)를 복수의 외측 타이밍기어(220a)의 각 사이에서 내측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는데, 이러한 복수의 제 2 보조롤러(270)는 복수의 외측 타이밍기어(220a)가 형성되는 외측타이밍기어 기준원(C2) 상 또는 그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 2 타이밍벨트(260)는 몸체부재(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의 외측타이밍기어(220a)의 외측에서 감싸지면서 복수의 제 2 보조롤러(270)의 내측에서 감싸지는 방식(즉, 외측과 내측을 지그재그 형태로 감싸게 됨)으로 구비됨으로써, 하나의 외측 타이밍기어가 회전(작동)될 경우 제 2 타이밍벨트(270)를 통해 맞물려 연결된 나머지 외측 타이밍기어가 동일하게 원활하게 회전(작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복수의 클램핑부재(200)에는 시험편 몰드를 고정시킨상태에서 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록킹(locking)시키는 고정구(도시 생략됨)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고정구는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래치기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일방향(즉, 고정방향)으로 회전된 후 고정(lock)된 상태에서 고정상태가 간편한 조작으로 해제될 수 있도록 조작레버(280)가 결합된 타이밍기어에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복수의 클램핑부재(200)에는 조작레버(280)가 구비되어 복수의 클램핑부재(200)를 각각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조작레버(280)는 복수의 타이밍기어(220) 중 어느 하나의 기어에 결합될 수 있다. 물론, 복수의 클램핑부재(200)를 작은 힘으로 원활하게 작동시키기 위해서 복수의 외측 타이밍기어(220a)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작레버(280)를 통해 작동 방향(즉, 고정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복수의 클램퍼(230)는 복수의 장착홀(110)의 각 내주면에서 기 설정된 길이(예를 들면, 0.3 mm, 0.5 mm 등)만큼 각각 돌출됨으로써, 복수의 장착홀(110)에 각각 삽입된 시험편 몰드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조작레버(280)는 브라켓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장착홀(110)에 결합되면서 복수의 외측 타이밍기어(220a)에 결합됨으로써, 제 1 타이밍벨트(240) 및 제 2 타이밍벨트(260)를 통해 복수의 클램퍼(230)를 원활하게 작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시험편 몰드용 홀더 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복수의 타이밍기어(220)에서 외측 타이밍기어(220a)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조작레버(280)를 일방향(즉, 고정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제 2 타이밍벨트(260)와 복수의 제 2 보조롤러(270)를 통해 상호 연결된 복수의 외측 타이밍기어(220a)가 각각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외측 타이밍기어(220a)의 회전에 따라 각 외측 타이밍기어(220a)와 각각 제 1 타이밍벨트(240)와 복수의 제 1 보조롤러(250)를 통해 상호 연결된 복수의 타이밍기어(220)가 각각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연결된 복수의 클램퍼(230)가 일방향(즉, 고정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장착홀(110)에 삽입된 시험편 몰드는 복수의 클램퍼(230)의 회전에 따라 각각 고정되고, 시험편 몰드가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구를 통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록킹시킴으로써, 시험편 몰드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시험편 몰드를 고정된 상태에서 해제시킬 경우 고정구를 해제한 후 조작레버(280)를 타방향(즉, 고정해제방향)으로 회전시켜 시험편 몰드의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시험편 몰드가 장착되는 홀더를 이용하여 클램핑 방식으로 복수개의 시험편 몰드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쉽게 이동시킴으로써, 복수개의 시험편 몰드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시험편 몰드의 산화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시험편 몰드의 낙하 발생으로 인한 재작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장착홀이 형성된 몸체부재의 내부에 복수의 클램핑부재를 각각 내설하되, 복수의 클램핑부재는 각각 복수의 클램퍼, 복수의 타이밍 밸트 및 복수의 타이밍기어를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클램핑부재가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조작레버를 통해 복수의 장착홀에 삽입 장착된 시험편 몰드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된 상태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몸체 부재 110 : 복수의 장착홀
120 : 지지포스트 200 : 복수의 클램핑부재
210 : 복수의 기어장착홀 220 : 복수의 타이밍기어
230 : 복수의 클램퍼 240 : 제 1 타이밍벨트
250 : 복수의 제 1 보조롤러 260 : 제 2 타이밍벨트
270 : 복수의 제 2 보조롤러 280 : 조작레버

Claims (10)

  1. 복수의 시험편 몰드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장착홀을 구비하는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에 내설되되, 상기 복수의 장착홀에 각각 대응하여 구비되며, 삽입된 상기 시험편 몰드를 고정하는 복수의 클램핑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클램핑부재는,
    상기 장착홀의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기어장착홀과,
    상기 복수의 기어장착홀에 각각 삽입 장착되는 복수의 타이밍기어와,
    상기 복수의 타이밍기어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복수의 클램퍼와,
    상기 복수의 타이밍기어를 상호 연결하는 제 1 타이밍벨트와,
    상기 복수의 장착홀에 각각 구비된 상기 복수의 타이밍기어 중 복수의 외측 타이밍기어를 상호 연결하는 제 2 타이밍벨트
    를 포함하는 시험편 몰드용 홀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클램핑 부재는,
    상기 복수의 타이밍기어 중 어느 하나의 기어에 구비되는 조작레버
    를 더 포함하는 시험편 몰드용 홀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클램핑부재는, 상기 시험편 몰드를 고정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있도록 록킹(locking)시키는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시험편 몰드용 홀더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장착홀은, 원형, 타원형 또는 물방울형으로 각각 형성되는 시험편 몰드용 홀더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클램퍼는, 상기 조작레버를 고정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복수의 장착홀의 각 내주면에서 기 설정된 길이만큼 각각 돌출되어 상기 시험편 몰드를 고정시키는 시험편 몰드용 홀더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클램핑부재는, 각각 상기 제 1 타이밍벨트를 상기 복수의 타이밍기어의 각 사이에서 내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제 1 보조롤러를 포함하는 시험편 몰드용 홀더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클램핑부재는, 상기 제 2 타이밍벨트를 상기 복수의 외측 타이밍기어의 각 사이에서 내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제 2 보조롤러를 포함하는 시험편 몰드용 홀더 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는, 상기 복수의 외측 타이밍기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시험편 몰드용 홀더 장치.
KR1020160127713A 2016-10-04 2016-10-04 시험편 몰드용 홀더 장치 KR101827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713A KR101827646B1 (ko) 2016-10-04 2016-10-04 시험편 몰드용 홀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713A KR101827646B1 (ko) 2016-10-04 2016-10-04 시험편 몰드용 홀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7646B1 true KR101827646B1 (ko) 2018-02-08

Family

ID=61232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713A KR101827646B1 (ko) 2016-10-04 2016-10-04 시험편 몰드용 홀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76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945B1 (ko) * 2022-01-20 2022-04-28 피앤피테스터 주식회사 만능재료시험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69331B2 (ja) * 2007-06-19 2012-07-04 株式会社ニフコ カップホルダー
KR101528286B1 (ko) * 2013-12-24 2015-06-11 주식회사 포스코 몰드 시편 물림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69331B2 (ja) * 2007-06-19 2012-07-04 株式会社ニフコ カップホルダー
KR101528286B1 (ko) * 2013-12-24 2015-06-11 주식회사 포스코 몰드 시편 물림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945B1 (ko) * 2022-01-20 2022-04-28 피앤피테스터 주식회사 만능재료시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646B1 (ko) 시험편 몰드용 홀더 장치
US20130214497A1 (en) Substrate rotation hold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JP2009133722A5 (ko)
JP2017015615A (ja) 位置度検査装置
JP5160537B2 (ja) 工作機械により加工される工作物を準備支持プレート上に固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0890606B1 (ko) 인사이드 핸들 조립시스템
DE20017129U1 (de) Modular aufgebautes Greifersystem zur Verwendung im Karosseriebau der Kfz-Industrie
CN103009113A (zh) 一种内部夹紧装置
CN208387041U (zh) 用于清洗和检查电路板的辅助治具
JP2015228311A (ja) 試料ホルダ
KR101493339B1 (ko) 스텐트의 이중 코팅장치
KR101772026B1 (ko) 런-아웃 시험기용 척 리테이너 및 그를 구비하는 런-아웃 시험기
KR101100493B1 (ko) 주사 전자 현미경의 시편 홀더장치
KR20100051902A (ko) 주사 전자 현미경의 시편 홀더장치
JP3925965B2 (ja) 基板処理装置
CN212134328U (zh) 适用于平面应变断裂韧性试验的夹具装置及疲劳试验机
JP5661937B2 (ja) ウェハコーティング装置
KR102327138B1 (ko) 자동식 너트 코팅 장치 및 자동식 너트 코팅 방법
CN205734462U (zh) 自动圆抛机的传送机构
JP6322256B2 (ja) ウェーハ保持装置及びウェーハ処理装置
JP6570074B2 (ja) チャック機構
CN210731493U (zh) 夹具
KR101801791B1 (ko) 회전시험기용 제품이탈 방지 장치 및 방법
CN220903037U (zh) 旋转夹具和旋转测试装置
JP2006075877A (ja) チャ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