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537B1 - 대전방지용 실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용 백 - Google Patents

대전방지용 실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용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537B1
KR101827537B1 KR1020160008659A KR20160008659A KR101827537B1 KR 101827537 B1 KR101827537 B1 KR 101827537B1 KR 1020160008659 A KR1020160008659 A KR 1020160008659A KR 20160008659 A KR20160008659 A KR 20160008659A KR 101827537 B1 KR101827537 B1 KR 101827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static
side wall
container bag
yarn
se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8590A (ko
Inventor
김용찬
Original Assignee
김용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찬 filed Critical 김용찬
Priority to KR1020160008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7537B1/ko
Publication of KR20170088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1Yarns or threads with antistatic, conductive or radiation-shiel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5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electrically conductive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9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for making electroconductive or anti-static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12Threads containing metallic filaments or strip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전방지용 실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용 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측면에 의하면,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의 각 모서리에 봉제되는 대전방지용 실에 있어서, 스테인리스 20중량% 내지 폴리에스테르의 80중량%로 혼방된 도전사와,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져 상기 도전사의 외주 길이방향을 따라 일 방향으로 감기는 일반사를 각각 적어도 한가닥 포함하고,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의 각 모서리에 봉제되어 상기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의 저항값을 1000옴 이상 내지 100000옴 이하로 형성하여 절연테이프 등의 보조수단없이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에 잔류하는 전하를 접지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전방지용 실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용 백{ANTISTATIC THREAD AND ANTISTATIC BAG USING IT}
본 발명은 대전방지용 실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용 백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전사 및 일반사를 서로 감아서 형성하는 대전방지용 실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용 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백(container bag)은 FIBC(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빅 백(big bag), 벌크 백(bulk)으로도 불리며, 곡물이나 합성수지 재료 등 분체류를 수납하여 운송 및 보관하기 위한 산업용 포대로서, 유연성이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상기 분체류의 수납과 인출을 편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컨테이너백은 500Kg 내지 2000Kg 정도의 화학물질(chemical), 광물질(mineral), 곡류(grain), 합성수지 분말 재료, 시멘트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고 크레인(crane)이나 호이스트(hoist), 지게차 등으로 운반되어 창고에 보관되거나 트럭에 적재되어 운송되는데, 수납되는 물질 중에서는 정전기 및 수분 등에 취약한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 제10-1459115호에서는 내부를 밀폐하여 위생성 및 안정성이 개선되는 컨테이너백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다.
다만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컨테이너 백은, 컨테이너 백 제작시 사용되는 각각의 직물지 사이에 절연테이프 등의 보조 부재를 투입해야만 정전기가 방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대전방지용 실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용 백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의 각 모서리에 봉제되는 대전방지용 실에 있어서, 스테인리스 20중량% 내지 폴리에스테르의 80중량%로 혼방된 도전사와,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져 상기 도전사의 외주 길이방향을 따라 일 방향으로 감기는 일반사를 각각 적어도 한가닥 포함하고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의 각 모서리에 봉제되어 상기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의 저항값을 1000옴 이상 내지 100000옴 이하로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1000옴 이하의 대전방지용 실을 이용하여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을 제작하여 전체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의 저항값을 100000옴 미만으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절연테이프 등의 보조수단없이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에 잔류하는 전하를 접지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측벽부, 덮개부, 바닥부 및 내부포지가 서로 락스티치 방식으로 연결되어 봉제 작업시 작업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제1도전사 및 제2도전사를 포함하고 각각의 도전사의 길이방향 양단이 대전방지용 실과 접하여 잔류전하를 용이하게 접지부로 배출할 수 있고, 절연테이프가 파손되더라도 잔류전하를 용이하게 접지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저항값이 낮은 대전방지용 실을 이용하여 대전방지용 백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재를 연결함으로써 각각의 부재의 전면과 배면이 뒤바뀌어도 전체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의 저항값을 충분히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전방지용 실을 구성하기 위해 도전사와 일반사가 감겨있는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1에 도시된 각각의 대전방지용 실을 다시 감아서 만든 대전방지용 실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의 각 모서리의 접합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측면이 코팅된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의 내부포지가 몸체부와 결합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측면이 코팅된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의 내부포지가 몸체부와 결합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사용된 “내용물”이란, 화학물질(chemicals), 광물질(minerals), 곡류(grain), 플라스틱류, 시멘트 등의 단위입자는 작지만 한 번에 다량의 용량을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또한 “데니어(Denier)”란 실의 두께를 의미하는 용어로써 1데니어는 9000m의 길이로 1g무게의 경우의 굵기를 의미한다.
락스티치(Lock-stitch) 방식이란 적어도 하나의 직물을 두고 실을 앞뒤로 감아붙여 수놓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 “대전방지용 실”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설명에 있어서, "상(on)"에 또는 "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하며, "상(on)" 또는 "하(under)"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전방지용 실을 구성하기 위해 도전사와 일반사가 감겨있는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1에 도시된 각각의 대전방지용 실을 다시 감아서 만든 대전방지용 실의 도면이다.
대전방지용 실(100)은 후술할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을 구성하는 각각의 직물지를 연결하는 봉제사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포함된 대전방지용 실(100)은 소정의 저항값보다 낮은 저항값을 가지면서 금속사에 비해 강한 인장강도를 가진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 대전방지용 실(100)은 도전사(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전방지용 실(100)은 기존의 폴리에스테르 실을 이용한 봉제사 대신 도전사(110)를 적어도 한 가닥 이상 사용하는 바 대전방지용 실(100)의 저항값을 소정값 이하로 낮출 수 있다. 대전방지용 실(100)에 포함되는 도전사(110)의 두께는 150데니어에서 200데니어 사이로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180데니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대전방지용 실(100)은 180데니어 도전사(110) 한 가닥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사(110)는 중량비 19%이상 내지 21%미만으로 형성되는 스테인리스와 중량비 79%이상 내지 81%미만으로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가 혼방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의 중량비 20% 내지 폴리에스테르 80%가 혼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전사(110)에 포함된 스테인리스의 영향으로 인해 일반 폴리에스테르에 비해 저항값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대전방지용 실(100)은 180데니어 도전사(110) 한 가닥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사(110)는 중량비 19%이상 내지 21%미만으로 형성되는 스테인리스와 중량비 79%이상 내지 81%미만으로 형성되는 코튼이 혼방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중량비 20% 내지 코튼 80 중량%로 혼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전사(110)에 포함된 스테인리스의 영향으로 인해 일반 폴리에스테르에 비해 저항값이 낮아질 수 있다. 이때 코튼이란 무명이나 목화솜 따위를 원료로 한 실을 의미하고 소위 면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대전방지용 실(100)은 180데니어 도전사(110) 한 가닥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사(110)는 중량비 8%이상 내지 12%미만으로 형성되는 스테인리스와 중량비 88%이상 내지 92%미만으로 형성되는 폴리프로필렌이 혼방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중량비 10% 내지 폴리프로필렌 90 중량%로 혼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전사(110)에 포함된 스테인리스의 영향으로 인해 일반 폴리프로필렌에 비해 저항값이 낮아질 수 있다.
대전방지용 실(100)에 포함되는 스테인리스는 철을 기본 소재로 하지만 다양한 소재가 첨가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롬의 구성비가 0% 이상 18.5%미만으로 포함될 수 있고, 니켈이 0%이상 13%미만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몰리브덴 0%이상 2.5%미만으로 포함될 수 있고, 망간0%이상 2%미만으로 포함될 수 있고, 실리콘 0%이상 1%미만으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런데 대전방지용 실(100)을 도전사(110)만으로 구성하는 경우, 스테인리스가 가지는 연성 및 전성에 의해 대전방지용 실(100)이 길이방향으로 인장되어 최종적으로 파손이 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전방지용 실(100)은 일반사(12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반사(120)는 두께가 400데니어에서 1200데니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대전방지용 실(100)의 저항값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600데니어 내지 1000데니어의 두께로 일반사(12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전방지용 실(100)은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져, 도전사(1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장강도가 큰 일반사(12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일반사(120)는 도전사(110)의 외주 길이방향을 따라 일 방향으로 감길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알파벳’S’자의 형태로 일반사(120)가 도전사(110)의 외주 길이방향을 따라 일 방향으로 감기는 형상을 하고 있으나, 알파벳’S’자가 아닌 알파벳’Z’자의 형태로 외주 길이방향을 따라 일 방향으로 감기는 형상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도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도전사(110)의 외주 길이방향을 따라 두 가닥의 일반사(120)가 감겨 있는데, 하중이 무거운 내용물을 담는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을 봉제하는 대전방지용 실(100)의 경우 일반사(120)를 두 가닥을 초과하여 포함할 수 있고, 정전기 발생 가능성이 높은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을 봉제하는 대전방지용 실(100)의 경우 도전사(110)를 한 가닥을 초과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사(110) 한 가닥의 외주 길이방향을 따라 일 방향으로 감기는 제1일반사 한 가닥이 포함된 제1 대전방지용 실(100a)과 도전사 한 가닥의 외주 길이방향을 따라 일 방향으로 감기는 제2일반사(100b) 한 가닥이 포함된 제2 대전방지용 실(10b)이 서로 ‘S’자의 형태로 감겨서 대전방지용 실(100)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런데 대전방지용 실(100)에 포함된 도전사(110) 및 일반사(120)의 가닥 수를 너무 늘릴 경우, 해당 대전방지용 실(100)의 두께는 방직기가 수용할 수 있는 한계치를 넘어갈 수 있다. 따라서 대전방지용 실(100)이 형성될 수 있는 두께는 3000데니어 미만으로 형성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700데니어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국내에서 락스티치 방식의 방직기의 경우 적용되는 실의 두께가 2700데니어를 초과하면 방직기가 실을 각각의 직물에 봉제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힘을 가해야 하고, 3000데니어를 초과할 경우 락스티치 방식으로 작업이 불가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대전방지용 실(100)은 도전사(110)와 일반사(120)를 포함하고, 포함된 도전사(110) 및 일반사(120) 각각의 가닥 수를 늘릴 수는 있으나, 3000데니어 미만으로 형성되도록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전방지용 실(100)이 그 두께가 너무 얇을 경우에도 방직기가 직물에 봉제하기가 어렵고, 그 강도가 약해져서 파손의 위험성이 있다. 이에, 대전방지용 실은 1500데니어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800데니어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대전방지용 실(100)은 1000 데니어(denier) 일반사 2가닥 및 180 데니어 (denier) 3가닥의 2540 데니어(denier)조합, 1000 데니어(denier) 일반사 2가닥 및 180 데니어 (denier) 1가닥의 2180 데니어(denier)조합, 600 데니어(denier) 일반사 4가닥 및 180 데니어 (denier) 1가닥의 2580 데니어(denier)조합, 840 데니어(denier) 일반사 2가닥 및 180 데니어 (denier) 1가닥의 1820 데니어(denier)조합 등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전방지용 실(100)에 포함된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일반사(120)의 가닥 수가 늘어날 경우 전체 대전방지용 실(100)의 인장강도는 커지지만 전체 대전방지용 실(100)의 저항값은 커지게 된다. 반면, 대전방지용 실(100)에 포함된 도전사(110)의 가닥 수가 늘어날 경우 전체 대전방지용 실(100)의 저항값은 낮아지지만 전체 대전방지용 실(100)의 인장강도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대전방지용 실(100)의 두께 뿐만 아니라 전체 저항값 또한 한계치가 필요한데, 대전방지용 실(100)은 10옴 이상 내지 1000옴 이하의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은 10000000옴 이상의 저항값을 가질 경우 사용이 불가하다. 저항값이 크다는 것은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의 외측면과 내측면의 전위차가 큰 것을 의미하므로 정전기의 발생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안전계수(SAFETY FACTOR) 100을 적용하여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의 저항값을 100000옴 이하로 낮추는데, 특히 절연테이프 등의 보조 부재없이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의 저항값을 100000옴 이하로 낮추기 위해서 대전방지용 실(100)의 저항값을 1000옴 이하의 저항값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의 전체 저항값을 100000옴 이하로 낮추기 위해서는 전체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에 축적된 전하를 외부로 방출하는 경로가 필요한데, 이러한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에 적용되는 대전방지용 실(100)은 1000옴 이하의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대전방지용 실(100)이 컨테이너 백(1000) 내부에서 전하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메커니즘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의 각 모서리의 접합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측면이 코팅된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의 내부포지가 몸체부와 결합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측면이 코팅된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의 내부포지가 몸체부와 결합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은 소정의 내용물을 수납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내용물을 수납하고, 외부 이송체 등에 의해 운반되는 대형 수납백을 의미한다.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은 몸체부(1000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000a)는 천연 섬유재, PVC(Polyvinyl chloride), 합성수지재(polypropylene, polyethylene)로 직조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서 컨테이너 백의 외형을 유지하는 동시에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외형의 변형이 용이하므로 내용물을 수납하지 않은 상태에서 최소의 부피로 보관될 수 있다.
몸체부(1000a)는 전체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의 골격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써, 내부 공간에 포함된 내용물이 컨테이너 백(1000)의 외측을 향한 압력을 생성하더라도 이를 지탱하고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의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몸체부(1000a)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는 내부 공간과 접하는 내측면 또는 외측면이 코팅되어 내부 공간에 포함된 내용물이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의 외부로 빠져나올 수 없도록 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0a)는 측벽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부(200)는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소정의 형상을 갖는 기둥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측벽부(20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수납되는 내용물의 용량에 따라 측벽부(200)의 길이방향 양단 사이 길이가 연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즉, 측벽부(200)는 상, 하단이 동일한 형상을 갖는 기둥의 형태로 구성되고, 측벽부(200)의 상, 하단은 후술할 덮개부(300)와 바닥부(40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대용량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에 포함되는 측벽부(200)는 길이방향 양단 사이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고, 소용량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에 포함되는 측벽부(200)는 길이방향 양단 사이의 짧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측벽부(200)는 상, 하단이 사각형인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후술할 덮개부(300) 및 바닥부(400)가 사격형의 형상이므로 측벽부(200)도 덮개부(300) 및 바닥부(4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측벽부(200)는 유연성 있는 재질의 소재로 제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부재(210, 220)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부(200)는 천연 섬유재, PVC(Polyvinyl chloride), 합성수지재(polypropylene, polyethylene)로 직조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서 컨테이너 백의 외형을 유지하는 동시에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외형의 변형이 용이하므로 내용물을 수납하지 않은 상태에서 최소의 부피로 보관될 수 있다. 특히, 측벽부(200)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덮개부(300) 및 바닥부(400)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되도록 변형 및 봉제가 용이하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는 측벽부(200)가 덮개부(300) 및 바닥부(400)의 사각 테두리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덮개부(300) 및 바닥부(400)가 육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측벽부(200)도 이에 대응하여 육각기둥 또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측벽부(200)는 둘 이상의 측벽부재(210, 220)로 구성될 수 있는데, 측벽부(200)에 포함되는 측벽부재(210)의 수는 후술할 덮개부(300) 및 바닥부(400)의 테두리에 형성된 변의 수에 대응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술한 바와 같이 측벽부(200)는 후술할 덮개부(300) 및 바닥부(40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상단 및 하단을 가지는 기둥 형상이 될 수 있는데, 측벽부(200)의 기둥 형상은 하나의 측벽부재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측벽부재(210, 220)가 서로 전술한 대전방지용 실(100)에 의해 봉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둘 이상의 측벽부재(210, 220)가 서로 봉제되어 형성되는 경우, 서로 이웃한 한 쌍의 측벽부재(210, 220) 중 타측벽부재와 접촉하는 일측벽부재의 폭방향 일단과 서로 이웃한 한 쌍의 측벽부재 중 일측벽부재와 접촉하는 타측벽부재의 폭방향 타단이 대전방지용 실(100)에 의해 서로 봉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측벽부(200)는 네 개의 측벽부재(210, 220)를 갖게 되는데, 각각의 측벽부재(210, 220)는 제1측벽부재(210)의 폭방향 일단과 제2측벽부재(220)의 폭방향 타단이 봉제되어 제1측벽부재(210)과 제2측벽부재(220)가 직각으로 배치되고 이를 통해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3에 도시된 사각기둥 형상이 아닌 육각기둥과 같은 형상으로 측벽부(200)가 형성되는 경우, 측벽부(200)는 6개의 측벽부재(210, 220)를 포함하고 이웃한 측벽부재(210, 220) 간에는 120도의 각도로 봉제되어 육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한 측벽부재(210, 220)간에 봉제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락스티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측면이 라미 레진으로 코팅된 서로 이웃한 한 쌍의 측벽부재(210, 220) 중 타측벽부재와 접촉하는 일측벽부재의 폭방향 일단과 서로 이웃한 한 쌍의 측벽부재(210, 220) 중 일측벽부재와 접촉하는 타측벽부재의 폭방향 타단은,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의 외측으로 시접(210a, 220a)을 꺾고, 각각의 대응되는 시접(210a, 220a)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락스티치 방식으로 봉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외측면이 라미 레진으로 코팅된 제1측벽부재(210)의 폭방향 일단에 형성되어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의 외측으로 꺾이는 제1측부시접(210a)과 외측면이 라미 레진으로 코팅된 제2측벽부재(220)의 폭방향 타단에 형성되어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의 외측으로 꺾이는 제2측부시접(220a)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실을 앞뒤로 감아붙일 수 있다.
또한, 내측면이 라미 레진으로 코팅된 서로 이웃한 한 쌍의 측벽부재(210, 220) 중 타측벽부재와 접촉하는 일측벽부재의 폭방향 일단과 서로 이웃한 한 쌍의 측벽부재(210, 220) 중 일측벽부재와 접촉하는 타측벽부재의 폭방향 타단은,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의 내측으로 시접(210a, 220a)을 꺾고, 각각의 대응되는 시접(210a, 220a)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락스티치 방식으로 봉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내측면이 라미 레진으로 코팅된 제1측벽부재(210)의 폭방향 일단에 형성되어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의 내측으로 꺾이는 제1측부시접(210a)과 내측면이 라미 레진으로 코팅된 제2측벽부재(220)의 폭방향 타단에 형성되어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의 내측으로 꺾이는 제2측부시접(220a)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실을 앞뒤로 감아붙일 수 있다.
한편, 측벽부재(210, 220)의 폭방향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절연테이프(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즉, 측벽부재(210, 220)의 폭방향 양단에는 절연테이프가 알파벳 ‘u’자로 절곡되어 각각의 단부를 감싸듯이 부착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각각의 측벽부재의 전하를 빠르게 접지부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어 전체 대전방지 컨테이너 백(1000)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몸체부(1000a)는 덮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300)는 측벽부(20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의 상면을 제한하는 요소로써 내부 공간에 수납된 내용물이 측벽부(200)의 상부를 통해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덮개부(300)는 측벽부(20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 형상 또는 측벽부(200) 상단과 대응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덮개부(300)의 중앙에는 삽입관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측벽부(200)가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벽부(20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사각형이므로 덮개부(300)도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각형의 덮개부(300)의 중앙에는 삽입관부(310)가 형성되는데, 가상으로 설정된 원의 지름선 중 적어도 두 개의 지름선에 칼집이 형성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삽입관부(310)는 칼집에 의해서 각각의 구획부(310a, 310b, 310c, 310d)가 나누어지는데, 각각의 구획부(310a, 310b, 310c, 310d)를 관통하는 조임실(311)에 의해 삽입관부가 밀폐 또는 개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삽입관부(310)는 칼집에 의해 4개의 구획부(310a, 310b, 310c, 310d)가 형성되는데 각각의 구획부(310a, 310b, 310c, 310d)에는 조임실(311)이 관통할 수 있는 경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조임실(311)이 각각의 경로를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과 이격된 조임실의 선단을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과 더 멀리 이격될 수 있도록 조임실(311)에 인장력을 가하면 삽입관부(310)는 밀폐될 수 있다. 반면,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과 이격된 조임실의 선단을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과 가깝게 형성될 수 있도록 조임실(311)에 포함된 인장력이 해제되면 삽입관부(310)는 개방될 수 있다.
한편 몸체부(1000a)는 덮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400)는 측벽부(20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의 저면을 제한하는 요소로써 내부 공간에 수납된 내용물이 측벽부(200)의 하부를 통해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닥부(400)는 측벽부(20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 형상 또는 측벽부(200) 하단과 대응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바닥부(400)의 중앙에는 배출관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측벽부(200)가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벽부(20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사각형이므로 바닥부(400)도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각형의 바닥부(400)의 중앙에는 배출관부(410)가 형성되는데, 가상으로 설정된 원의 지름선 중 적어도 두 개의 지름선에 칼집이 형성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배출관부(410)는 칼집에 의해서 각각의 구획부(미도시)가 나누어지는데, 각각의 구획부(미도시)를 관통하는 조임실(미도시)에 의해 삽입관부가 밀폐 또는 개방될 수 있다.
한편, 측벽부(200), 덮개부(300) 및 바닥부(400)는 전술한 대전방지용 실에 의해 각각의 테두리가 봉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측면이 라미 레진으로 코팅된 측벽부(200) 상단 및 외측면이 라미 레진으로 코팅된 덮개부(300)의 테두리는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의 외측으로 시접(200a, 300a)을 꺾고, 각각의 대응되는 시접(200a, 300a)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락스티치 방식으로 봉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외측면이 라미 레진으로 코팅된 측벽부(200) 상단에 형성되어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의 외측으로 꺾이는 측벽시접(200a)과 외측면이 라미 레진으로 코팅된 덮개부(300)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의 외측으로 꺾이는 덮개시접(300a)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실을 앞뒤로 감아붙일 수 있다.
또한, 외측면이 라미 레진으로 코팅된 측벽부(200) 하단 및 외측면이 라미 레진으로 코팅된 바닥부(400)의 테두리는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의 외측으로 시접(200a, 400a)을 꺾고, 각각의 대응되는 시접(200a, 400a)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락스티치 방식으로 봉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측벽부(200) 상단에 형성되어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의 외측으로 꺾이는 측벽시접(200a)과 바닥부(400)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의 외측으로 꺾이는 바닥시접(400a)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실을 앞뒤로 감아붙일 수 있다.
이에 반해, 내측면이 라미 레진으로 코팅된 측벽부(200) 상단 및 내측면이 라미 레진으로 코팅된 덮개부(300)의 테두리는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의 내측으로 시접(200a, 300a)을 꺾고, 각각의 대응되는 시접(200a, 300a)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락스티치 방식으로 봉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내측면이 라미 레진으로 코팅된 측벽부(200) 상단에 형성되어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의 내측으로 꺾이는 측벽시접(200a)과 내측면이 라미 레진으로 코팅된 덮개부(300)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의 내측으로 꺾이는 덮개시접(300a)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실을 앞뒤로 감아붙일 수 있다.
또한, 내측면이 라미 레진으로 코팅된 측벽부(200) 하단 및 내측면이 라미 레진으로 코팅된 바닥부(400)의 테두리는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의 내측으로 시접(200a, 400a)을 꺾고, 각각의 대응되는 시접(200a, 400a)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락스티치 방식으로 봉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측벽부(200) 상단에 형성되어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의 내측으로 꺾이는 측벽시접(200a)과 바닥부(400)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의 내측으로 꺾이는 바닥시접(400a)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실을 앞뒤로 감아붙일 수 있다.
한편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은 내부포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포지(500)는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 내부에 형성된 내부 공간으로 내용물이 유출입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내부포지(500) 각각의 형상은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포지(500)의 재질은 유연하고 변형이 쉬우며 방수가 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이 쉬운 재질을 갖는 내부포지(500)의 특성 때문에 내부포지(500)는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필요할 경우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내부포지(500)는 삽입포지(510) 및 배출포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포지(510)는 삽입관부(310)를 관통하여 몸체부(1000a) 내측면에 길이방향 일단이 봉제될 수 있고, 배출포지(520)는 배출관부(410)를 관통하여 몸체부(1000a) 내측면에 길이방향 일단이 봉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포지(5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관부(310)가 밀폐되는 경우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관부(310)가 개방되는 경우 사용자가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 내부에 배치된 삽입포지를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 외부로 꺼낼 수 있다.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외부로 꺼내진 삽입포지(5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삽입관부(310)를 관통하며 몸체부(1000a) 내측면과 접한 길이방향 일단은 몸체부(1000a) 내측면에 봉제될 수 있다.
또한, 배출포지(520) 배출관부(410)가 밀폐되는 경우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관부(310)가 개방되는 경우 사용자가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 내부에 배치된 삽입포지를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 외부로 꺼낼 수 있다.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외부로 꺼내진 삽입포지(5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삽입관부(310)를 관통하며 몸체부(1000a) 내측면과 접한 길이방향 일단은 몸체부(1000a) 내측면에 봉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부포지(500)에 포함되는 삽입포지(510) 및 배출포지(520)의 길이방향 양단 중 몸체부(1000a) 내측면에 봉제되는 일단은 몸체부(1000a) 내측면과 삽입포지(510)가 접한 상태에서 삽입포지(510)와 덮개부(300)의 경계선에 봉제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삽입포지(510)의 길이방향 일단은 삽입관부(310)을 관통하여 삽입관부(310)와 덮개부(300)의 경계선에 락스티치 방식으로 함께 봉제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절연테이프 등의 보조수단이 없더라도 삽입포지(510)와 덮개부(30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배출포지(520)의 길이방향 일단은 배출관부(410)를 관통하여 배출관부(410)와 바닥부(400)의 경계선에 락스티치 방식으로 함께 봉제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절연테이프 등의 보조수단이 없더라도 배출포지(520)와 덮개부(30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부포지(500)에 포함되는 삽입포지(510) 및 배출포지(520)의 길이방향 양단 중 몸체부(1000a) 내측면에 봉제되는 일단에는 절연테이프가 부착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삽입포지(510)의 길이방향 양단 중 몸체부(1000a) 내측면에 봉제되는 일단에는 절연테이프가 알파벳’U’자의 형태로 절곡되어 단부를 감싸듯이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포지(520)의 길이방향 양단 중 몸체부(1000a) 내측면에 봉제되는 일단에는 절연테이프가 알파벳’U’자의 형태로 절곡되어 단부를 감싸듯이 부착될 수 있다.
상술한 절연테이프를 삽입포지(510) 및 배출포지(520)의 길이방향 양단 중 일단에 부착하는 것은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의 각 모서리에서 전하의 흐름을 원할히 하여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의 전체적인 저항값을 낮추기 위한 구성이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락스티치 방식을 이용하고 있어 절연테이프를 부착하고도 용이하게 작업이 가능하다.
한편,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이 정전기가 방지되기 위해서는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의 모든 면에 존재하는 전하가 접지부(미도시)를 향해 이동할 수 있는 경로가 필요하다. 경로 형성을 위해서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의 모서리를 봉제한 각각의 대전방지용 실(100)과 접지부가 연결되고, 측벽부(200), 덮개부(300) 및 바닥부(400)에 포함된 각각의 전하가 대전방지용 실(100)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측벽부(200), 덮개부(300) 및 바닥부(400)에는 도전부(130)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전부(130)는 측벽부(200), 덮개부(300) 및 바닥부(400)에서 대향되는 모서리 한 쌍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연장되는 제1 도전사(131)를 적어도 한가닥 이상 포함하여 측벽부(200), 덮개부(300) 및 바닥부(400)에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제1도전사(131)의 양단이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의 각각의 모서리를 봉제한 대전방지용 실(100)과 접하게 되며, 이를 통해 각각의 제1도전사 (131)는 측벽부(200), 덮개부(300) 및 바닥부(400)에 잔류하는 전자를 대전방지용 실(100)에 전달하게 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전부(130)는 측벽부(200), 덮개부(300) 및 바닥부(400)에서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도전사(131, 132)를 적어도 한가닥 이상 포함하여 측벽부(200), 덮개부(300) 및 바닥부(400)에 격자무늬 배열을 형성하고,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격자무늬 배열의 제1 및 제2도전사(131, 132)의 양단이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1000)의 각각의 모서리를 봉제한 대전방지용 실(100)과 접하게 되며, 이를 통해 각각의 제1 및 제2도전사 (131, 132)는 측벽부(200), 덮개부(300) 및 바닥부(400)에 잔류하는 전자를 대전방지용 실(100)에 전달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측벽부(200), 덮개부(300) 및 바닥부(400)는 각각의 대향되는 한 쌍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로부터 대향되는 한 쌍의 모서리 중 다른 하나로 연장되는 제1도전사(131) 및 각각의 대향되는 또 다른 한 쌍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로부터 대향되는 한 쌍의 모서리 중 다른 하나로 연장되는 제2도전사(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전사(131)는 측벽부(200)의 네 모서리 중에서 대향되는 한 쌍의 모서리 중 다른 하나로 연장되고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는 한제1측벽도전사(131a)를 적어도 한 가닥이상 포함할 수 있고, 덮개부(300)의 대향되는 한 쌍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로부터 대향되는 한 쌍의 모서리 중 다른 하나로 연장되고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는 제1덮개도전사(131b)를 적어도 한 가닥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바닥부(400)의 네 모서리 중에서 대향되는 한 쌍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로부터 대향되는 한 쌍의 모서리 중 다른 하나로 연장되는 제1바닥도전사(미도시)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도전사(132)는 측벽부(200)의 네 모서리 중에서 대향되는 한 쌍의 모서리 중 다른 하나로 연장되고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는 제2측벽도전사(132a)를 적어도 한 가닥 이상 포함할 수 있고, 덮개부(300)의 대향되는 또 다른 한 쌍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로부터 대향되는 한 쌍의 모서리 중 다른 하나로 연장되고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는 제2덮개도전사(132b)를 적어도 한 가닥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바닥부(400)의 대향되는 또 다른 한 쌍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로부터 대향되는 한 쌍의 모서리 중 다른 하나로 연장되고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는 제2바닥도전사(미도시)가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 1000a : 몸체부
100 : 대전방지용 실 110 : 도전사
120 : 일반사 130:도전부
131: 제1도전사 132: 제2도전사
200: 측벽부 210: 제1측벽부재
220: 제2측벽부재 300: 덮개부
310 : 삽입관부 400: 바닥부
410: 배출관부 500: 내부포지
510 : 삽입포지 520 : 배출포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스테인리스 20중량%와 폴리에스테르의 80중량%로 혼방된 도전사, 스테인리스 20중량%와 코튼 80중량%로 혼방된 도전사 및 스테인리스 10중량%와 폴리프로필렌의 90중량%로 혼방된 도전사 중 적어도 한 가닥을 포함하고,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져 상기 도전사의 외주 길이방향을 따라 일 방향으로 감기는 일반사를 각각 적어도 한가닥 포함하며, 1800데니어 이상 내지 2700데니어 이하의 굵기로 형성되는 대전방지용 실을 이용하여 각각의 모서리가 봉제되는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내용물이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와, 중앙에 삽입관부가 형성되고 테두리의 형상이 측벽부 상단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봉제되는 덮개부와, 중앙에 배출관부가 형성되고 테두리의 형상이 상기 측벽부 하단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봉제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삽입관부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 내측면에 길이방향 일단이 봉제되는 삽입포지 및 상기 배출관부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 내측면에 길이방향 일단이 봉제되는 배출포지를 포함하는 한 쌍의 내부포지가 구비되고,
    상기 측벽부의 상단 및 상기 덮개부의 테두리는,
    각각 상기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시접을 꺾고, 대응되는 각각의 상기 시접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락스티치 방식으로 봉제되고,
    상기 측벽부의 하단 및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는,
    각각 상기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시접을 꺾고, 대응되는 각각의 상기 시접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락스티치 방식으로 봉제되는,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제1도전사를 포함하여 상기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의 각각의 모서리에 봉제된 대전방지용 실로 전하를 전달하는 도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사는,
    상기 측벽부의 대향되는 한 쌍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로부터 대향되는 모서리 중 다른 하나까지 연장되는 제1측벽도전사와, 상기 덮개부의 대향되는 한 쌍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로부터 대향되는 모서리 중 다른 하나까지 연장되는 제1덮개도전사와, 상기 바닥부의 대향되는 한 쌍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로부터 대향되는 모서리 중 다른 하나까지 연장되는 제1바닥도전사를 포함하는,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는 제2도전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도전사는
    상기 측벽부의 대향되는 또 다른 한 쌍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로부터 대향되는 모서리 중 다른 하나까지 연장되는 제2측벽도전사와, 상기 덮개부의 대향되는 또 다른 한 쌍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로부터 대향되는 모서리 중 다른 하나까지 연장되는 제2덮개도전사와, 상기 바닥부의 대향되는 또 다른 한 쌍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로부터 대향되는 모서리 중 다른 하나까지 연장되는 제2바닥도전사를 포함하는,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포지의 길이방향 양단 중 상기 몸체부 내측면에 봉제되는 일단은,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과 상기 삽입포지가 접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관부와 상기 덮개부의 경계선에 락스티치 방식으로 봉제되고,
    상기 배출포지의 길이방향 양단 중 상기 몸체부 내측면에 봉제되는 일단은,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과 상기 배출포지가 접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관부와 상기 덮개부의 경계선에 락스티치 방식으로 함께 봉제되는,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포지의 길이방향 양단 중 상기 몸체부 내측면에 봉제되는 일단 및 상기 배출포지의 길이방향 양단 중 상기 몸체부 내측면에 봉제되는 일단에는, 절연테이프가 'u'자로 절곡되어 각각의 단부를 감싸듯이 부착되는,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바닥부 및 상기 덮개부의 테두리에 형성된 변의 수에 대응되는 수의 측벽부재로 구성되고,
    이웃한 한 쌍의 측벽부재 중 타측벽부재와 접촉하는 일측벽부재의 폭방향 일단과 이웃한 한 쌍의 측벽부재 중 일측벽부재와 접촉하는 타측벽부재의 폭방향 타단은,
    각각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시접을 꺾고, 대응되는 각각의 상기 시접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락스티치 방식으로 봉제되는,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재의 폭방향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절연테이프가 'u'자로 절곡되어 각각의 단부를 감싸듯이 부착되는, 대전방지용 컨테이너 백.
  10. 삭제
KR1020160008659A 2016-01-25 2016-01-25 대전방지용 실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용 백 KR101827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659A KR101827537B1 (ko) 2016-01-25 2016-01-25 대전방지용 실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용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659A KR101827537B1 (ko) 2016-01-25 2016-01-25 대전방지용 실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용 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590A KR20170088590A (ko) 2017-08-02
KR101827537B1 true KR101827537B1 (ko) 2018-02-08

Family

ID=59651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659A KR101827537B1 (ko) 2016-01-25 2016-01-25 대전방지용 실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용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75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56328A2 (en) 1990-05-10 1991-11-13 Mulox Ibc Limited Container ba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56328A2 (en) 1990-05-10 1991-11-13 Mulox Ibc Limited Container b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590A (ko) 201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3380B2 (en)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with induction control
US4730942A (en) Flexible bulk containers
US5222812A (en) Bulk containers
US5092683A (en) High-strength synthetic fiber fabric and items made from such fabric
US5108196A (en) Relating to bulk containers
US4493109A (en) Flexible bulk container with integral lifting loops
JP2977900B2 (ja) フレキシブルなばら荷容器
JPH0880994A (ja) 袋容器
JPH0220499B2 (ko)
JP3238659U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CN107922110A (zh) 用于包装颗粒状固体物质或液体的柔性存储装置,用于制造该装置的方法以及使用该装置的包装方法
KR101827537B1 (ko) 대전방지용 실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용 백
KR101803470B1 (ko) 오버랩 구조의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컨테이너백
JPH0717594A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WO2018016537A1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KR200455252Y1 (ko) 포대
EP0456328A2 (en) Container bag
US11292664B2 (en) Flexible large container with a seam-free useful space
JP2022030908A (ja) 自立性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US5437507A (en) Bag which is made by stitching opaque fabric material
EP0119743A1 (en) Container bag
GB2277730A (en) A sack comprising sheets formed from flattened tubes of circularly woven fabric
JP3237292U (ja) 角形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JP6845494B1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JPS611238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