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339B1 -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 - Google Patents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339B1
KR101827339B1 KR1020170111569A KR20170111569A KR101827339B1 KR 101827339 B1 KR101827339 B1 KR 101827339B1 KR 1020170111569 A KR1020170111569 A KR 1020170111569A KR 20170111569 A KR20170111569 A KR 20170111569A KR 101827339 B1 KR101827339 B1 KR 101827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hole
washing water
steam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진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진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진기업
Priority to KR1020170111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7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3/00Stoves or rang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4/00Stoves or ranges having self-cleaning provisions, e.g. continuous catalytic cleaning or electrostatic cleaning
    • F24C14/005Stoves or ranges having self-cleaning provisions, e.g. continuous catalytic cleaning or electrostatic cleaning using a cleaning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과정에서 음식물로 부터 토출되는 기름등 불순물을 하수처리함에 따른 환경오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을 분리 배출하여 별도의 기름수납함에 수납후 처리토록 하고 음식물 조리 후에 기름 배출이 완료된 후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내부를 청결하게 세척 및 세정토록 하여 하수처리함으로서 기름을 하수처리함에 따른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도록 기름과 세척수의 분리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물을 가열하여 발생된 스팀을 공급하되 상기 공급된 스팀을 한층 더 가열토록 내부에 히터(20)가 구비된 조리실(10)과 상기 조리실(10) 내부 천정에 구비된 것으로 천정 내측에 구비된 모터(M1)의 구동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된 상태에서 중앙에는 수로공(30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수로공(301) 양측면에 관통공(302)이 천공되어 있는 회전자(300)의 상기 관통공(302)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수로공(301)과 연결된 통공(311)이 내측에 천공된 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양측 끝단면이 화살촉 형상을 이루며 타측면 끝단 가까이는 일방향으로 절곡되는 형상을 이뤄 상기 조리실(10)의 내측 벽면에 분사토록 분사노즐공(313)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으로 다수개의 노즐공(312)이 천공된 분사노즐(310)로 이루어진 세척수 분사노즐부(30)와 상기 조리실(10) 바닥면 중앙에는 세척수 또는 기름 및 이물질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배출부(40)와 상기 배출부(40) 하부 즉 조리실(10) 바닥 외측에는 세척수와 기름 또는 이물질을 분리 배출 가능하도록 구비된 분리배출수단부(50)로 구성된 스팀 오븐기로서,
상기 분리배출수단부(50)는,
배출관(110)에 고정구로 결합토록 양측면에 핀공(501)이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 상기 배출관(110)과 체결키 위한 체결단턱(502)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연결관(500)과, 내부는 중공상태로서 상면에는 상기 연결관(500) 결합토록 되어 있고 하면에는 기름배출관(600)과 결합토록 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세척수배출관(700)과 결합토록 각각 체결공(511)이 천공되어 있고 정면에는 축공(512)이 형성된 본체(510)와, 상기 축공(512)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일측 끝단부에는 회전레버(521)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 끝단부에는 상기 본체(510)의 내부에 안착되어 상기 회전레버(521)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여 선택 개폐토록 상하 및 일측이 천공된 구 형상의 개폐밸브(522)가 구비된 분리배출바(520)와, 상기 본체(510) 내부에 구비된 상기 개폐밸브(522)가 상기 회전레버(521)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시 유동,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개폐밸브(522) 상하부와 상기 본체(510)와 접하는 부위에 각각 결합된 유동이탈방지링(5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와,
상기 분리배출수단부(50)는,
배출관(110)에 고정구로 결합토록 양측면에 핀공(501)이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 상기 배출관(110)과 체결키 위한 체결단턱(502)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연결관(500)과, 내부는 중공상태로서 상면에는 상기 연결관(500) 결합토록 되어 있고 하면에는 기름배출관(600)과 결합토록 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세척수배출관(700)과 결합토록 각각 체결공(511)이 천공되어 있고 정면에는 축공(512)이 형성된 본체(510)와, 상기 축공(512)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모터(M2)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본체(510)의 내부에 안착되어 상기 모터(M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선택 개폐토록 상하 및 일측이 천공된 구 형상의 개폐밸브(522)가 구비된 분리배출구동부(520')와, 상기 본체(510) 내부에 구비된 상기 개폐밸브(522)가 상기 모터(M2)의 구동에 의해 회전시 유동,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개폐밸브(522) 상하부와 상기 본체(510)와 접하는 부위에 각각 결합된 유동이탈방지링(5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을 분리 배출하여 별도의 기름수납함에 수납후 처리토록 하고 음식물 조리 후에 기름 배출이 완료된 후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내부를 청결하게 세척 및 세정토록 하여 하수처리함으로서 기름을 하수처리함에 따른 환경오염의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기름과 세척수의 분리 배출토록 함으로서 환경오염의 문제점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 {Steam ovens capable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washing water and oil}
본 발명은 조리과정에서 음식물로 부터 토출되는 기름등 불순물을 하수처리함에 따른 환경오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을 분리 배출하여 별도의 기름수납함에 수납후 처리토록 하고 음식물 조리 후에 기름 배출이 완료된 후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내부를 청결하게 세척 및 세정토록 하여 하수처리함으로서 기름을 하수처리함에 따른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도록 기름과 세척수의 분리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에 관한 것이다.
스팀 오븐기는 조리실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도록 이루어지고 스팀량에 의해 조리실 내부의 습도를 조절할수 있어, 음식물이 건조되는 현상을 막고 대량의 조리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맛과 향의 증발을 차단하여 요리의 맛과 향을 유지시켜주는 장치로서, 최근 가정 및 업소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스팀 오븐기의 구성은 크게 증기를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가 조리실의 외측에 조립되고, 이 스팀발생장치는 직수관로를 통해 탱크 내부로 물을 공급한 후 탱크 내의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켜, 조리실과 연통된 스팀배출관을 통해 조리실에 공급되도록 해 음식을 조리하게 된다.
또, 스팀 오븐기의 조리실에는, 별도의 히터와 컨벡션 팬 장치가 설치되어 스팀발생장치로부터 공급된 증기를 한층 더 가열하거나, 직수관로의 물을 히터에 분사해 발생되는 수증기를 오븐 내부로 공급되게 하여 조리실 내부가 최적의 습도상태에서 강제 순환하는 방식을 갖게 하였다.
이때, 상기 오븐 내부의 조리실에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공간과 컨벡션 팬 장치가 위치된 공간을 구획하는 블로어 가이드판이 구비되어, 조리실에서 요리하는 음식물의 찌꺼기가 컨벡션 팬 장치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팀발생장치가 위치되는 스팀 오븐기의 다른 일측에는 물탱크와 히터, 전원부, 기판 등의 전장부품이 설치되며, 외면으로 조리실 내 온도 및 습도 등을 제어하는 조작부가 설치된 전장부를 구성한다.
다만, 이러한 스팀 오븐기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장치이므로 청결한 상태의 유지가 매우 중요하며, 이에 따라 오븐 내부의 세척 및 세정이 정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최근에는, 스팀 오븐기의 세정을 위하여 세정장치가 구비된 스팀 오븐기가 소개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27863호는 "이중 오버플로우관을 갖는 스팀 컨벡션 오븐용 청소용수 저장탱크"를 개시하며, 구체적으로 저장탱크 내부공간의 일측으로 직수관로와 세제 및 린스공급관과 연결하고, 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 세제, 린스를 선택 및 혼합시키는 혼합실과; 저장탱크 내부의 다른 일측으로 혼합실과 격벽으로 구획져 혼합실에 공급되는 용수가 격벽 상부를 따라 넘쳐흐르는 것을 수용하며, 조리실의 배수구와 배출관로에 연결되는 저장실과; 혼합실과 저장실의 일측에 형성되며, 과 공급된 용수를 배수하는 오버플로우관으로 구성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의하면, 스팀 및 열풍을 선택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해 음식물을 요리한 고온의 조리실 내부를 청소용수 저장탱크에서 공급되는 세척수, 세제수, 린스 등으로 자동 세척되게 할 수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27863호에서 개시되는 스팀 컨벡션 오븐은 세정수단을 위하여 다수의 관로 및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등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가 곤란하며 세정수단이 조리를 위한 공간을 상당부분 차지하거나 오븐 자체의 부피가 커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과 더불어 세정시 음식물로 부터 토출 또는 발생되는 기름과 세척수가 혼합되어 하수구로 배출됨에 따른 환경오염의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더불어 기존 종래기술 예를들면,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29646호에서 개시되는 스팀 컨벡션 오븐의 자동세척 시스템도 상기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세척에 관련된 기술적 요지를 권리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정 또는 세척시 음식물로 부터 토출 또는 발생되는 기름과 세척수가 혼합되어 하수구로 배출됨에 따른 환경오염의 문제점은 그대로 내재하고 있다.
기타 종래기술로는 한국특허등록 제10-1313682호와,한국특허등록 제10-1628919호 등의 기술내용이 존재하나 상기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세척에 관련된 기술적 요지를 권리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정 또는 세척시 음식물로 부터 토출 또는 발생되는 기름과 세척수가 혼합되어 하수구로 배출됨에 따른 환경오염의 문제점을 개선치 아니함에 따라 본 발명이 문제시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기름과 세척수의 분리 배출에 따른 환경오염의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은 존재치 아니함으로서 이에 대하여 개선코자 한 기술이 본 발명인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27863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29646호 한국특허등록 제10-1313682호 한국특허등록 제10-162891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을 분리 배출하여 별도의 기름수납함에 수납후 처리토록 하고 음식물 조리 후에 기름 배출이 완료된 후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내부를 청결하게 세척 및 세정토록 하여 하수처리함으로서 기름을 하수처리함에 따른 환경오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름과 세척수의 분리 배출토록 함으로서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도록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물을 가열하여 발생된 스팀을 공급하되 상기 공급된 스팀을 한층 더 가열토록 내부에 히터(20)가 구비된 조리실(10)과 상기 조리실(10) 내부 천정에 구비된 것으로 천정 내측에 구비된 모터(M1)의 구동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된 상태에서 중앙에는 수로공(30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수로공(301) 양측면에 관통공(302)이 천공되어 있는 회전자(300)의 상기 관통공(302)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수로공(301)과 연결된 통공(311)이 내측에 천공된 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양측 끝단면이 화살촉 형상을 이루며 타측면 끝단 가까이는 일방향으로 절곡되는 형상을 이뤄 상기 조리실(10)의 내측 벽면에 분사토록 분사노즐공(313)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으로 다수개의 노즐공(312)이 천공된 분사노즐(310)로 이루어진 세척수 분사노즐부(30)와 상기 조리실(10) 바닥면 중앙에는 세척수 또는 기름 및 이물질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배출부(40)와 상기 배출부(40) 하부 즉 조리실(10) 바닥 외측에는 세척수와 기름 또는 이물질을 분리 배출 가능하도록 구비된 분리배출수단부(50)로 구성된 스팀 오븐기로서,
상기 분리배출수단부(50)는,
배출관(110)에 고정구로 결합토록 양측면에 핀공(501)이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 상기 배출관(110)과 체결키 위한 체결단턱(502)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연결관(500)과, 내부는 중공상태로서 상면에는 상기 연결관(500) 결합토록 되어 있고 하면에는 기름배출관(600)과 결합토록 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세척수배출관(700)과 결합토록 각각 체결공(511)이 천공되어 있고 정면에는 축공(512)이 형성된 본체(510)와, 상기 축공(512)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일측 끝단부에는 회전레버(521)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 끝단부에는 상기 본체(510)의 내부에 안착되어 상기 회전레버(521)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여 선택 개폐토록 상하 및 일측이 천공된 구 형상의 개폐밸브(522)가 구비된 분리배출바(520)와, 상기 본체(510) 내부에 구비된 상기 개폐밸브(522)가 상기 회전레버(521)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시 유동,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개폐밸브(522) 상하부와 상기 본체(510)와 접하는 부위에 각각 결합된 유동이탈방지링(5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와,
상기 분리배출수단부(50)는,
배출관(110)에 고정구로 결합토록 양측면에 핀공(501)이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 상기 배출관(110)과 체결키 위한 체결단턱(502)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연결관(500)과, 내부는 중공상태로서 상면에는 상기 연결관(500) 결합토록 되어 있고 하면에는 기름배출관(600)과 결합토록 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세척수배출관(700)과 결합토록 각각 체결공(511)이 천공되어 있고 정면에는 축공(512)이 형성된 본체(510)와, 상기 축공(512)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모터(M2)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본체(510)의 내부에 안착되어 상기 모터(M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선택 개폐토록 상하 및 일측이 천공된 구 형상의 개폐밸브(522)가 구비된 분리배출구동부(520')와, 상기 본체(510) 내부에 구비된 상기 개폐밸브(522)가 상기 모터(M2)의 구동에 의해 회전시 유동,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개폐밸브(522) 상하부와 상기 본체(510)와 접하는 부위에 각각 결합된 유동이탈방지링(5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을 분리 배출하여 별도의 기름수납함에 수납후 처리토록 하고 음식물 조리 후에 기름 배출이 완료된 후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내부를 청결하게 세척 및 세정토록 하여 하수처리함으로서 기름을 하수처리함에 따른 환경오염의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기름과 세척수의 분리 배출토록 함으로서 환경오염의 문제점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에 있어서 세척수 분사노즐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에 있어서 배출부와 분리배출수단부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에 있어서 분리배출수단부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에 있어서 분리배출구동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에 있어서 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에 있어서 기름 배출을 나타낸 작동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에 있어서 세척수 배출을 나타낸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인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에 있어서 세척수 분사노즐부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에 있어서 배출부와 분리배출수단부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에 있어서 분리배출수단부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에 있어서 분리배출구동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에 있어서 요부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에 있어서 기름 배출을 나타낸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에 있어서 세척수 배출을 나타낸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일반적인 스팀 오븐기의 구조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켜, 조리실(10)내로 스팀을 공급하되 상기 조리실(10)내에는 히터(20)가 구비되어 공급된 스팀을 한층 더 가열하여 조리실(10) 내부에 안치된 음식물을 조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되,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본 발명은,
지시부호 30은 세척수 분사노즐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세척수 분사노즐부(30)은 도 2 및 도 3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리실(10) 내부 천정에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조리실(10) 내측에 구비된 모터(M1)의 구동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된 상태에서 중앙에는 수로공(30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수로공(301) 양측면에 관통공(302)이 천공되어 있는 회전자(300)와,
상기 관통공(302)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수로공(301)과 연결된 통공(311)이 내측에 천공된 것으로서 일측 끝단면은 화살촉 형상이며 타측 끝단 가까이에는 일방향으로 절곡되되 하측으로 다수개의 노즐공(312)이 천공된 긴 원통형상의 분사노즐(310)로 이루어져,
상기 모터(M1)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자(300)가 회전하면서 수로공(301)으로 토출되는 세척수가 상기 통공(311)을 통해 노즐공(312)으로 분사토록 구성되며,
이는 조리실(10) 내의 세척은 물론이고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세척 또한 가능토록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사노즐(310)의 양 끝단면에 상기 조리실(10)의 내측 벽면에 분사토록 노즐공(313)이 추가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양끝단면에 노즐공(313)을 구성함으로서 조리실(10)내의 벽면에도 골고루 세척이 가능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음식물을 조리실(10) 내에 안치하기 전에 조리실(10) 내를 세척수는 물론이고 세정액을 통하여 세척 및 세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것도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다음, 지시부호 40은 배출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배출부(40)은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리실(10) 바닥면 중앙에는 세척수 또는 기름 및 이물질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배출부(40)는,
표면에 다수개의 유출공(401)이 천공되어 있고 상면은 평면이고 외주면은 라운딩 처리된 볼록한 형상으로서 외주면 끝단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안착편(402)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편(402) 사이로 세척수나 기름이 배출토록 되어 있고 이면 중앙에서 하방향으로 길게 유동방지바(403)가 일체로 구비된 걸림망체(400)와,
상기 유동방지바(403)의 유동을 방지토록 상기 조리실(10) 바닥면 중앙에는 배출구(100)를 천공 형성하여 배출관(110)이 상기 조리실(10)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관(110) 내측에는 상기 배출관(110)과 일체로 결합 형성된 일자형태로서 중앙에는 상기 유동방지바(403)가 관통 결합토록 결합공(411)이 천공된 유동방지판(410)으로 구성된 것이다.
즉, 세척수나 기름이 발생시 상기 안착편(402) 사이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되며 그 이외에도 유출공(401)로도 배출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유동방지바(403)는 상기 걸림망체(400)와 일체로 구성된 것으로서 걸림망체(400)의 착탈시 유동방지바(403)를 결합공(411)로 부터 착탈토록 함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유동방지판(410)을 구비한 이유는 본 발명의 작동시 걸림망체(4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 지시부호 50은 분리배출수단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분리배출수단부(5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40) 하부 즉 조리실(10) 바닥 외측에 구비된 것으로 세척수와 기름 또는 이물질을 분리 배출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분리배출수단부(50)는 수동형과 자동형으로 나누어지며, 도 4 및 도 5는 수동형을 나타내며, 도 6은 자동형을 나타내는 바 그 작동 및 구성은 동일하나 수동이냐 자동이냐 만이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서,
우선, 수동형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배출수단부(50)는,
배출관(110)에 고정구로 결합토록 양측면에 핀공(501)이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 상기 배출관(110)과 체결키 위한 체결단턱(502)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연결관(500)과,
내부는 중공상태로서 상면에는 상기 연결관(500) 결합토록 되어 있고 하면에는 기름배출관(600)과 결합토록 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세척수배출관(700)과 결합토록 각각 체결공(511)이 천공되어 있고 정면에는 축공(512)이 형성된 본체(510)와,
상기 축공(512)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일측 끝단부에는 회전레버(521)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 끝단부에는 상기 본체(510)의 내부에 안착되어 상기 회전레버(521)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여 선택 개폐토록 상하 및 일측이 천공된 구 형상의 개폐밸브(522)가 구비된 분리배출바(520)와
상기 본체(510) 내부에 구비된 상기 개폐밸브(522)가 상기 회전레버(521)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시 유동,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개폐밸브(522) 상하부와 상기 본체(510)와 접하는 부위에 각각 결합된 유동이탈방지링(530)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다음, 자동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배출수단부(50)는,
배출관(110)에 고정구로 결합토록 양측면에 핀공(501)이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 상기 배출관(110)과 체결키 위한 체결단턱(502)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연결관(500)과,
내부는 중공상태로서 상면에는 상기 연결관(500) 결합토록 되어 있고 하면에는 기름배출관(600)과 결합토록 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세척수배출관(700)과 결합토록 각각 체결공(511)이 천공되어 있고 정면에는 축공(512)이 형성된 본체(510)와,
상기 축공(512)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모터(M2)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본체(510)의 내부에 안착되어 상기 모터(M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선택 개폐토록 상하 및 일측이 천공된 구 형상의 개폐밸브(522)가 구비된 분리배출구동부(520')와
상기 본체(510) 내부에 구비된 상기 개폐밸브(522)가 상기 모터(M2)의 구동에 의해 회전시 유동,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개폐밸브(522) 상하부와 상기 본체(510)와 접하는 부위에 각각 결합된 유동이탈방지링(53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수동형의 경우는 개폐밸브(522)를 회전레버(521)을 회전시킴으로서 작동하는 것인 반면에,
상기 자동형의 경우는 컨트롤부(C)의 조작이나 셋팅에 의해 기름 또는 세척수 선택 배출시 자동으로 개폐밸브(522)가 모터(M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함으로서 작동하는 것이다.
다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름배출관(600) 하부에는 기름을 분리 수납 가능하도록 기름수납함(610)이 구비되어 있어 기름을 분리 배출한 것을 수납하여 별도로 처리토록 하여 하수처리함에 따른 환경오염의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우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조리실(10) 내에 안치하거나 또는 음식물을 조리실(10) 안치 전에 컨트롤부(C)의 작동에 의해 본 발명인 오븐기를 작동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 탱크(T)에서 배관(P)를 통해 세척수 분사노즐부(30)의 수로공(301)으로 세척수가 유입되고 이때 수로공(301)이 형성된 회전자(300)는 모터(M1)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고 이와 같이 회전자(3000가 회전하면 분사노즐(310)이 회전자(300)의 관통공(302) 양측에 결합된 관계로 함께 회전하고 동시에 수로공(301)으로 유입된 세척수가 관통공(302) 양측으로 연결된 분사노즐(310)로 유입되면서 분사노즐(310)에 형성된 노즐공(312,313)을 통해 분사 배출되면서 조리실(10)이 세척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세척된 세척수는 조리실(10) 바닥면에 형성된 배출부(40)의 걸림망체(400)의 유출공(401) 또는 안착편(402) 사이 공간부를 통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100)를 거쳐 배출관(110)으로 배출되며 이때에는 수동의 경우는 작업자가 회전레버(521)을 회전시켜 개폐밸브(522)가 기름배출관(600)를 폐쇄시키고 세척수배출관(700)은 개방토록 하여 세척수가 개방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세척수배출관(700)으로 개폐밸브(522)가 개방되는 작동을 회전레버(521)로 할 수도 있고 컨트롤부(C)의 조작에 의해 모터(M2)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밸브(522)가 작동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리실(10) 내부를 세척한 연후 또는 조리실(10) 내부에 안치된 음식물을 세척한 연후에 조리가 시작되며 조리가 완성되면 음식물을 조리실(10)로 부터 빼낸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레버(521)를 회전시켜 개폐밸브(522)가 기름배출관(600)은 개발토록 하고 반대로 세척수배출관(700)은 폐쇄토록 함으로서 음식물 조리시 발생된 기름을 기름배출관(600)을 통해 배출하면 배출된 기름은 기름수납함(610)에 수납되고 작업자는 기름수납함(610)을 오븐기로 부터 슬라이딩하거나 또는 탈락시켜 기름수납함(610)에 수납된 기름을 처리하면 되는 것이다.
물론, 배출부(40)로 부터 기름이 배출되어 상기 분리배출수단부(50)로 이동하는 것은 세척수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수동으로 가능하지만 상기 모든 작동을 자동으로 모터(M2)를 이용하여 가능하며 이때 분리배출수단부(50)는 모터(M2)의 작동에 의해 자동 선택적으로 기름 또는 세척수를 식별하여 개폐밸브(522)의 선택 개폐되는 분리배출구동부(520')의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작동관계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동 및 자동으로 작동함으로서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을 분리 배출하여 별도의 기름수납함에 수납후 처리토록 하고 음식물 조리 후에 기름 배출이 완료된 후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내부를 청결하게 세척 및 세정토록 하여 하수처리함으로서 기름을 하수처리함에 따른 환경오염의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기름과 세척수의 분리 배출토록 함으로서 환경오염의 문제점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조리실 20 : 히터
30 : 세척수 분사노즐부 40 : 배출부
50 : 분리배출수단부 100 : 배출구
110 : 배출관 300 : 회전자
301 : 수로공 302 : 관통공
310 : 분사노즐 311 : 통공
312 : 노즐공 313 : 노즐공
400 : 걸림망체 401 : 유출공
402 : 안착편 403 : 유동방지바
410 : 유동방지판 411 : 결합공
500 : 연결관 501 : 핀공
502 : 체결단턱 510 : 본체
511 : 체결공 512 : 축공
520 : 분리배출바 520' : 분리배출구동부
521 : 회전레버 522 : 개폐밸브
530 : 유동이탈방지링 600 : 기름배출관
610 : 기름수납함 700 : 세척수배출관
C : 컨트롤부 D : 도어
M1 : 모터 M2 : 모터
P : 배관 T : 세척수 탱크

Claims (7)

  1. 물을 가열하여 발생된 스팀을 공급하되 상기 공급된 스팀을 한층 더 가열토록 내부에 히터(20)가 구비된 조리실(10)과 상기 조리실(10) 내부 천정에 구비된 것으로 천정 내측에 구비된 모터(M1)의 구동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된 상태에서 중앙에는 수로공(30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수로공(301) 양측면에 관통공(302)이 천공되어 있는 회전자(300)의 상기 관통공(302)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수로공(301)과 연결된 통공(311)이 내측에 천공된 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양측 끝단면이 화살촉 형상을 이루며 타측면 끝단 가까이는 일방향으로 절곡되는 형상을 이뤄 상기 조리실(10)의 내측 벽면에 분사토록 분사노즐공(313)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으로 다수개의 노즐공(312)이 천공된 분사노즐(310)로 이루어진 세척수 분사노즐부(30)와 상기 조리실(10) 바닥면 중앙에는 세척수 또는 기름 및 이물질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배출부(40)와 상기 배출부(40) 하부 즉 조리실(10) 바닥 외측에는 세척수와 기름 또는 이물질을 분리 배출 가능하도록 구비된 분리배출수단부(50)로 구성된 스팀 오븐기로서,
    상기 분리배출수단부(50)는,
    배출관(110)에 고정구로 결합토록 양측면에 핀공(501)이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 상기 배출관(110)과 체결키 위한 체결단턱(502)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연결관(500)과,
    내부는 중공상태로서 상면에는 상기 연결관(500) 결합토록 되어 있고 하면에는 기름배출관(600)과 결합토록 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세척수배출관(700)과 결합토록 각각 체결공(511)이 천공되어 있고 정면에는 축공(512)이 형성된 본체(510)와,
    상기 축공(512)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일측 끝단부에는 회전레버(521)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 끝단부에는 상기 본체(510)의 내부에 안착되어 상기 회전레버(521)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여 선택 개폐토록 상하 및 일측이 천공된 구 형상의 개폐밸브(522)가 구비된 분리배출바(520)와,
    상기 본체(510) 내부에 구비된 상기 개폐밸브(522)가 상기 회전레버(521)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시 유동,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개폐밸브(522) 상하부와 상기 본체(510)와 접하는 부위에 각각 결합된 유동이탈방지링(5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배출수단부(50)는,
    배출관(110)에 고정구로 결합토록 양측면에 핀공(501)이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 상기 배출관(110)과 체결키 위한 체결단턱(502)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연결관(500)과,
    내부는 중공상태로서 상면에는 상기 연결관(500) 결합토록 되어 있고 하면에는 기름배출관(600)과 결합토록 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세척수배출관(700)과 결합토록 각각 체결공(511)이 천공되어 있고 정면에는 축공(512)이 형성된 본체(510)와,
    상기 축공(512)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모터(M2)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본체(510)의 내부에 안착되어 상기 모터(M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선택 개폐토록 상하 및 일측이 천공된 구 형상의 개폐밸브(522)가 구비된 분리배출구동부(520')와,
    상기 본체(510) 내부에 구비된 상기 개폐밸브(522)가 상기 모터(M2)의 구동에 의해 회전시 유동,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개폐밸브(522) 상하부와 상기 본체(510)와 접하는 부위에 각각 결합된 유동이탈방지링(5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












  7. 삭제
KR1020170111569A 2017-09-01 2017-09-01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 KR101827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569A KR101827339B1 (ko) 2017-09-01 2017-09-01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569A KR101827339B1 (ko) 2017-09-01 2017-09-01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7339B1 true KR101827339B1 (ko) 2018-02-08

Family

ID=61232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569A KR101827339B1 (ko) 2017-09-01 2017-09-01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73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561B1 (ko) * 2018-04-12 2018-12-28 정석철 세척수 제조기능을 갖는 자동세척식 오븐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550Y1 (ko) 2002-01-28 2002-05-03 강동원 지지틀을 갖는 누름버튼식 배수구개폐장치
WO2015164236A2 (en) * 2014-04-22 2015-10-29 Illinois Tool Works Inc. Oven with cleaning system and grease and water flow separ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550Y1 (ko) 2002-01-28 2002-05-03 강동원 지지틀을 갖는 누름버튼식 배수구개폐장치
WO2015164236A2 (en) * 2014-04-22 2015-10-29 Illinois Tool Works Inc. Oven with cleaning system and grease and water flow separ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561B1 (ko) * 2018-04-12 2018-12-28 정석철 세척수 제조기능을 갖는 자동세척식 오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777B1 (ko) 이중 오버플로우관을 갖는 스팀 컨벡션 오븐용 청소용수 저장탱크
JP6717936B2 (ja) 食洗機の機能性を組み込むシンク
KR101570844B1 (ko) 싱크대 일체형 식기 세척기
JP6473397B2 (ja) 冷却装置
KR101296774B1 (ko) 청소용수 저장탱크를 갖는 스팀 컨벡션 오븐
KR101827339B1 (ko) 세척수와 기름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스팀 오븐기
US10779701B2 (en) Washing machine, components thereof and methods of cleaning
KR102053776B1 (ko) 순환 세척 기능을 포함하는 콤비 오븐
KR101580125B1 (ko) 식기세척기의 도어개방방지를 위한 운전방법
EP3683504B1 (en) Oven comprising system for dispersing chemical agents
KR101982609B1 (ko) 오븐용 배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오븐
KR101334611B1 (ko) 다기능 오븐의 조리실 자동 세척장치
AU2021218202A1 (en) Washing machine, components thereof and methods of cleaning
EP3683505B1 (en) Oven comprising a system for dispersing chemical agents
KR101734447B1 (ko) 스팀 컨벡션 오븐
KR101806234B1 (ko) 스팀 컨벡션 오븐
JP2017023985A (ja) 洗浄器
US1599074A (en) Dishwashing apparatus
KR20130028319A (ko) 스팀 컨벡션 오븐의 청소용수 분사노즐
JP6966903B2 (ja) 冷却庫
JP2019138618A (ja) 調理庫の洗浄機能付き加熱調理器
JP2021025735A (ja) 加熱調理器
JP7080661B2 (ja) 加熱調理器
JP7261673B2 (ja) 加熱調理器
KR102601188B1 (ko) 식기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