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184B1 - 쉘형 니들 베어링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에 사용하는 제조 지그 - Google Patents

쉘형 니들 베어링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에 사용하는 제조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184B1
KR101827184B1 KR1020167004532A KR20167004532A KR101827184B1 KR 101827184 B1 KR101827184 B1 KR 101827184B1 KR 1020167004532 A KR1020167004532 A KR 1020167004532A KR 20167004532 A KR20167004532 A KR 20167004532A KR 101827184 B1 KR101827184 B1 KR 101827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ring
diameter
retainer
jig
shell o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3222A (ko
Inventor
도모히로 오오츠카
Original Assignee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3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3/00Assembling bearings
    • F16C43/04Assembling rolling-contact bearings
    • F16C43/06Placing rolling bodies in cages or bea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06Surface hard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rings; for bearing r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16C19/44Needle bearings
    • F16C19/46Needle bearings with one row or needles
    • F16C19/466Needle bearings with one row or needles comprising needle rollers and an outer ring, i.e. subunit without inner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46Cages for rollers or needles
    • F16C33/4617Massive or moulded cages having cage pockets surrounding the rollers, e.g. machined window cages
    • F16C33/4623Massive or moulded cages having cage pockets surrounding the rollers, e.g. machined window cages formed as one-piece cages, i.e. monoblock cages
    • F16C33/4635Massive or moulded cages having cage pockets surrounding the rollers, e.g. machined window cages formed as one-piece cages, i.e. monoblock cages made from plastic, e.g. injection moulded window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58Raceways; Race rings
    • F16C33/64Special methods of manufa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3/00Assembling bearings
    • F16C43/04Assembling roll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46Cages for rollers or needles
    • F16C33/467Details of individual pockets, e.g. shape or roller retaining means
    • F16C33/4676Details of individual pockets, e.g. shape or roller retaining means of the stays separating adjacent cage pockets, e.g. guide means for the bearing-surface of the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3/00Assembling bearings
    • F16C43/04Assembling rolling-contact bearings
    • F16C43/06Placing rolling bodies in cages or bearings
    • F16C43/065Placing rolling bodies in cages or bearings in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3/00Assembling bearings
    • F16C43/04Assembling rolling-contact bearings
    • F16C43/06Placing rolling bodies in cages or bearings
    • F16C43/08Placing rolling bodies in cages or bearings by deforming the cages or the r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축경 가능한 유지기를 사용하고, 쉘 외륜 (11) 의 양 플랜지부 (11b, 11c) 를 성형, 열처리한 후에 유지기 (13, 18), 및 니들 (12) 을 장착함으로써, 종래 기술과 같은 도금 공정이 불필요한 쉘형 니들 베어링 (10) 의 조립 방법이 되며, 또, 유지기 (13, 18) 가 열처리에 의한 열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유지기 (13, 18) 의 재료로서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쉘형 니들 베어링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에 사용하는 제조 지그{METHOD FOR MANUFACTURING SHELL-TYPE NEEDLE BEARING, AND MANUFACTURING JIG USED IN MANUFACTURE OF SAME}
본 발명은, 니들 베어링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에 사용하는 제조 지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기계 장치의 회전 지지부에 사용되는 쉘형 니들 베어링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에 사용하는 제조 지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의 자동 변속기 등에 있어서는, 래디얼 방향의 하중을 받는 부위에, 미끄럼 베어링 (부시) 대신에 동일한 단면 높이를 갖는 쉘형 니들 베어링이 사용되고 있다.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쉘형 니들 베어링 (100) 은, 내주면에 궤도면 (101a) 을, 양 단부에 1 쌍의 플랜지부 (101b, 101c) 를 갖는 쉘 외륜 (101) 과, 궤도면 (101a) 을 따라 자유롭게 전동 (轉動) 할 수 있게 되도록 쉘 외륜 (101)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니들 (102) 과, 복수의 니들 (102) 을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포켓을 갖는 유지기 (103) 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쉘형 니들 베어링 (100) 의 종래의 제조 방법으로는, 먼저, 쉘 외륜 (101) 의 성형 공정으로서, 통상적인 냉연 강판 (예를 들어, SPCC 등의 저탄소강) 으로부터 컵상으로 딥 드로잉되고, 바닥면이 타발 가공됨으로써 일방의 플랜지부 (101b) 가 형성된다. 쉘 외륜 (101) 의 축 방향 개구측의 가장자리부에 구리 도금 등의 도금 처리를 실시하고 침탄 또는 침탄 질화 처리 등의 열처리를 실시한다. 그 후, 도금을 벗긴 쉘 외륜 (101) 에 니들 (102) 및 유지기 (103) 를 장착하고, 쉘 외륜 (101) 의 축 방향 개구측의 가장자리부에 굽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플랜지부 (101c) 를 형성하여, 쉘형 니들 베어링 (100) 이 제조된다.
그러나, 프레스 공정 후, 도금 공정, 열처리 공정, 도금 박리 공정, 조립·프레스 공정으로 진행하는 경우, 이들 각 공정을 동일 라인 상에 설정하는 것이 곤란하다. 공정수가 많아, 가공 시간이 걸리는 점이나, 설비에 비용이 들 뿐만 아니라, 각 공정 간의 반송 등도 고려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서는, 도금 박리를 위해서는, 다양한 화학 약품을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도금 공정을 생략하기 위해, 특허문헌 1 에는 플랜지부 (101c) 를 고주파로 가열하면서 굽힘 가공을 실시하는 핫 컬의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열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쉘형 니들 베어링을 조립하고, 마지막으로, 조립 완성된 쉘형 니들 베어링 전체에 질화 처리를 실시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30386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39067호
그러나, 인용문헌 1, 2 의 기술에서는, 모두 쉘 외륜 (101) 에 구성 부품을 장착한 후에 열처리를 실시하기 때문에, 열에 약한 수지 유지기를 사용할 수 없었다. 그 때문에, 수지 유지기를 사용하는 경우, 종래 기술과 같이 도금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을 선택해야만 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도금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제조 방법으로 제조 가능한, 수지 유지기를 사용한 쉘형 니들 베어링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에 사용하는 제조 지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하기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1) 내주면에 궤도면을, 양 단부에 1 쌍의 내향 플랜지부를 갖는 쉘 외륜과,
상기 쉘 외륜의 궤도면을 따라 자유롭게 전동할 수 있게 되도록, 상기 쉘 외륜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니들과,
상기 복수의 니들을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포켓을 갖는 유지기를 구비한 쉘형 니들 베어링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유지기는, 축경 가능하고,
상기 쉘 외륜의 양 플랜지부를 성형하고, 열처리를 실시한 후, 유지기 삽입 지그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니들을 장착한 상기 유지기를 상기 쉘 외륜의 플랜지부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축경하여 상기 쉘 외륜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지기 삽입 지그는, 암형 지그와 수형 지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암형 지그의 축 방향 일단에는, 상기 쉘 외륜의 외경보다 큰 직경이고, 축 방향으로 패인, 상기 쉘 외륜을 장착 가능한 쉘 외륜 장착 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형 지그의 축 방향 타단에는, 상기 쉘 외륜 장착 단부와 동축이고, 상기 유지기에 상기 복수의 니들을 장착한 상태에서의 최대 외경보다 큰 직경이고, 축 방향으로 패인, 상기 유지기에 상기 복수의 니들을 장착한 채로 장착 가능한 유지기 장착 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쉘 외륜 장착 단부의 내측 단면에는, 상기 쉘 외륜 장착 단부와 동축이고, 상기 쉘 외륜의 플랜지부 내경보다 작은 소직경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직경공과 상기 유지기 장착 단부는, 상기 소직경공에서 상기 유지기 장착 단부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상의 축경공에 의해 완만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형 지그는, 상기 암형 지그의 상기 소직경공보다 작은 직경이고, 상기 소직경공에 삽입 가능한 직경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동축이고, 상기 본체부와 인접하여 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소직경공의 직경에서 상기 니들의 외경의 2 배를 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유지기 장착부를 갖고 있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유지기 장착부의 단차부는, 축 직각 평면인 유지기 가압부로 되어 있고,
상기 유지기를 상기 쉘 외륜에 삽입할 때에는,
상기 쉘 외륜을 상기 암형 지그의 상기 쉘 외륜 장착 단부에 장착하고,
상기 복수의 니들을 장착한 상기 유지기를, 상기 수형 지그의 유지기 장착부, 혹은 상기 암형 지그의 상기 유지기 장착 단부에 장착하고,
상기 수형 지그를 상기 암형 지그의 상기 유지기 장착 단부측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니들을 장착한 상기 유지기를 상기 쉘 외륜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형 니들 베어링의 제조 방법.
(2) 내주면에 궤도면을, 양 단부에 1 쌍의 내향 플랜지부를 갖는 쉘 외륜과,
상기 쉘 외륜의 궤도면을 따라 자유롭게 전동할 수 있게 되도록, 상기 쉘 외륜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니들과,
상기 복수의 니들을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포켓을 갖는 유지기를 구비한 쉘형 니들 베어링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유지기는, 축경 가능하고,
상기 쉘 외륜의 양 플랜지부를 성형하고, 열처리를 실시한 후, 유지기 삽입 지그를 사용하여 상기 유지기를 상기 쉘 외륜의 플랜지부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축경하여 상기 쉘 외륜에 삽입한 후, 상기 복수의 니들을 상기 유지기의 포켓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지기 삽입 지그는, 암형 지그와 수형 지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암형 지그의 축 방향 일단에는, 상기 쉘 외륜의 외경보다 큰 직경이고, 축 방향으로 패인, 상기 쉘 외륜을 장착 가능한 쉘 외륜 장착 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형 지그의 축 방향 타단에는, 상기 쉘 외륜 장착 단부와 동축이고 상기 유지기의 외경보다 큰 직경의 축 방향으로 패인, 상기 유지기를 장착 가능한 유지기 장착 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쉘 외륜 장착 단부의 내측 단면에는, 상기 쉘 외륜 장착 단부와 동축이고, 상기 쉘 외륜의 플랜지부 내경보다 작은 소직경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직경공과 상기 유지기 장착 단부는, 상기 소직경공에서 상기 유지기 장착 단부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상의 축경공에 의해 완만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형 지그는, 상기 암형 지그의 상기 소직경공보다 작은 직경이고, 상기 소직경공에 삽입 가능한 직경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동축이고, 상기 본체부와 인접하여 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소직경공의 직경에서 상기 유지기의 직경 방향의 두께의 2 배를 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유지기 장착부를 갖고 있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유지기 장착부의 단차부는, 축 직각 평면인 유지기 가압부로 되어 있고,
상기 유지기를 상기 쉘 외륜에 삽입할 때에는,
상기 쉘 외륜을 상기 암형 지그의 상기 쉘 외륜 장착 단부에 장착하고,
상기 유지기를, 상기 수형 지그의 유지기 장착부, 혹은 상기 암형 지그의 상기 유지기 장착 단부에 장착하고,
상기 수형 지그를 상기 암형 지그의 상기 유지기 장착 단부측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상기 유지기를 상기 쉘 외륜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형 니들 베어링의 제조 방법.
(3) 내주면에 궤도면을, 양 단부에 1 쌍의 내향 플랜지부를 갖는 쉘 외륜과,
상기 쉘 외륜의 궤도면을 따라 자유롭게 전동할 수 있게 되도록, 상기 쉘 외륜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니들과,
상기 복수의 니들을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포켓을 갖는 유지기를 구비한 쉘형 니들 베어링의 제조에 사용하는 제조 지그로서,
상기 제조 지그는, 암형 지그와 수형 지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암형 지그의 축 방향 일단에는, 상기 쉘 외륜의 외경보다 큰 직경이고, 축 방향으로 패인, 상기 쉘 외륜을 장착 가능한 쉘 외륜 장착 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형 지그의 축 방향 타단에는, 상기 쉘 외륜 장착 단부와 동축이고, 상기 유지기에 상기 복수의 니들을 장착한 상태에서의 최대 외경보다 큰 직경이고, 축 방향으로 패인, 상기 유지기에 상기 복수의 니들을 장착한 채로 장착 가능한 유지기 장착 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쉘 외륜 장착 단부의 내측 단면에는, 상기 쉘 외륜 장착 단부와 동축이고, 상기 쉘 외륜의 플랜지부 내경보다 작은 소직경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직경공과 상기 유지기 장착 단부는, 상기 소직경공에서 상기 유지기 장착 단부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상의 축경공에 의해 완만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형 지그는, 상기 암형 지그의 상기 소직경공보다 작은 직경이고, 상기 소직경공에 삽입 가능한 직경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동축이고, 상기 본체부와 인접하여 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소직경공의 직경에서 상기 니들의 외경의 2 배를 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유지기 장착부를 갖고 있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유지기 장착부의 단차부는, 축 직각 평면인 유지기 가압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형 니들 베어링의 제조에 사용하는 제조 지그.
(4) 내주면에 궤도면을, 양 단부에 1 쌍의 내향 플랜지부를 갖는 쉘 외륜과,
상기 쉘 외륜의 궤도면을 따라 자유롭게 전동할 수 있게 되도록, 상기 쉘 외륜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니들과,
상기 복수의 니들을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포켓을 갖는 유지기를 구비한 쉘형 니들 베어링의 제조에 사용하는 제조 지그로서,
상기 제조 지그는, 암형 지그와 수형 지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암형 지그의 축 방향 일단에는, 상기 쉘 외륜의 외경보다 큰 직경이고, 축 방향으로 패인, 상기 쉘 외륜을 장착 가능한 쉘 외륜 장착 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형 지그의 축 방향 타단에는, 상기 쉘 외륜 장착 단부와 동축이고 상기 유지기의 외경보다 큰 직경의 축 방향으로 패인, 상기 유지기를 장착 가능한 유지기 장착 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쉘 외륜 장착 단부의 내측 단면에는, 상기 쉘 외륜 장착 단부와 동축이고, 상기 쉘 외륜의 플랜지부 내경보다 작은 소직경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직경공과 상기 유지기 장착 단부는, 상기 소직경공에서 상기 유지기 장착 단부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상의 축경공에 의해 완만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형 지그는, 상기 암형 지그의 상기 소직경공보다 작은 직경이고 상기 소직경공에 삽입 가능한 직경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동축이고, 상기 본체부와 인접하여 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소직경공의 직경에서 상기 유지기의 직경 방향의 두께의 2 배를 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유지기 장착부를 갖고 있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유지기 장착부의 단차부는, 축 직각 평면인 유지기 가압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형 니들 베어링의 제조에 사용하는 제조 지그.
본 발명의 쉘형 니들 베어링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에 사용하는 제조 지그에 의하면, 쉘 외륜의 양 플랜지부를 성형, 열처리한 후에 유지기, 니들을 장착하므로, 종래 기술과 같은 도금 공정이 불필요하고, 또, 유지기가 열처리에 의한 열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유지기의 재료로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쉘형 니들 베어링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유지기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유지기의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2 의 탄성 변형부의 직경 방향으로의 변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 의 (a) 는 탄성 변형 전의 유지기 및 쉘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b) 는 (a) 의 Ⅴ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7 의 (a) 는 탄성 변형 후의 유지기 및 쉘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b) 는 (a) 의 Ⅵ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8 은 유지기 삽입 지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유지기 삽입 지그에 쉘 외륜과 유지기를 장착한 도면으로서, (a) 는 유지기를 수형 지그에 장착한 예이고, (b) 는 유지기를 암형 지그에 장착한 예이다.
도 10 은 유지기 삽입 지그에 의해, 쉘 외륜에 유지기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다른 유지기의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12 의 (a) 는 니들을 장착한 유지기를 나타내고, (b) 는 니들을 장착한 유지기가 탄성 변형에 의해 축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은 유지기 삽입 지그에 쉘 외륜과 니들을 장착한 유지기를 장착한 도면으로서, (a) 는 니들을 장착한 유지기를 수형 지그에 장착한 예이고, (b) 는 유지기를 암형 지그에 장착한 예이다.
도 14 는 유지기 삽입 지그에 의해, 쉘 외륜에 니들을 장착한 유지기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는 종래의 쉘형 니들 베어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관련된 쉘형 니들 베어링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쉘형 니들 베어링 (10)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주면에 궤도면 (11a) 을, 양 단부에 1 쌍의 내향 플랜지부 (11b, 11c) 를 갖는 궤도륜으로서의 쉘 외륜 (11) 과, 쉘 외륜 (11) 의 궤도면 (11a) 을 따라 자유롭게 전동할 수 있게 되도록, 쉘 외륜 (11)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니들 (12) 과, 복수의 니들 (12) 을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포켓 (14) 을 갖는 유지기 (13) 를 구비하고, 도시되지 않은 축 (혹은 내륜 부재) 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있다.
쉘 외륜 (11) 은, 냉연 강판 (예를 들어, SPCC 등의 저탄소강) 등에 드로잉 가공 등의 소성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전체가 원통상인 양 단부에 1 쌍의 플랜지부 (11b, 11c) 가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쉘 외륜 (11) 은, 침탄 혹은 침탄 질화 처리에 의한 열처리 가공에 의해 경화되어 있다.
쉘 외륜 (11) 은, 니들 (12), 유지기 (13) 를 장착하기 전에 플랜지부 (11b, 11c) 가 성형되고, 추가로 열처리로 경화된다. 그 때문에, 종래의 쉘 외륜 (101) 의 플랜지부 (101c) 와 같이, 이후에 굽힘 가공하기 쉽도록 육박하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플랜지부 (11b 와 11c) 는 동일한 형상으로 할 수 있고, 쉘 외륜 (11) 에 방향성을 없앨 수 있다. 또, 박판의 소성 가공이 아니라, 후판으로부터의 절삭 가공에 의한 성형도 가능하다.
유지기 (13)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동축에 배치된 1 쌍의 림부 (15, 15) 와, 1 쌍의 림부 (15, 15) 를 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기둥부 (16) 를 구비한다. 1 쌍의 림부 (15, 15) 는,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4 개) 의 원호상 부분 (15a) 에 의해 각각 구성된다.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는 원호상 부분 (15a) 의 각 단부 (15b, 15b) 사이에는, 복수의 틈새 (15c) 가 각 림부 (15, 15) 에 있어서 원주 방향으로 동 위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틈새 (15c) 의 수가 많아지면, 니들 (12) 의 수가 적어지므로, 틈새 (15c) 의 수는 2 ∼ 6 개 지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유지기 (13) 에는, 이 틈새 (15c) 가 형성되는 원주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기둥부 (16, 16) 사이에, 유지기 (13) (틈새 (15c)) 를 원주 방향으로 수축시키는 탄성 변형부 (17) 가 원주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탄성 변형부 (17) 를 사이에 두지 않고 원주 방향으로 이웃하는 기둥부 (16, 16) 의 원주 방향 양 측면과, 1 쌍의 림부 (15, 15) 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에 의해 주위가 둘러싸이는 사각형의 공간 부분은, 각각 포켓 (14, 14) 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기둥부 (16, 16) 의 원주 방향 양 측면에서, 유지기 (13) 의 직경 방향에 관한 내단부에는, 내경측 걸림 돌출부 (16a, 16a) 를 각 기둥부 (16, 16) 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하고 있다.
탄성 변형부 (17) 는,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는 원호상 부분 (15a, 15a) 의 각 단부 (15b, 15b) 를 기단부로 하여, 이들 각 단부 (15b) 로부터 각각 축 방향 내측으로 연장됨과 함께, 그 연장된 부분을 원주 방향에 있어서 연결하는 1 쌍의 탄성 변형편 (17a, 17a) 을 갖는다. 1 쌍의 탄성 변형편 (17a, 17a) 은, 동일 형상을 갖고 있으며, 탄성 변형부 (17) 는 유지기 (13) 의 축 방향 중간부 (C) 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된다.
도 4 에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변형편 (17a) 은, 각각 곡률 반경 (R1 ∼ R3) 을 갖는 복수의 원호 (17a1, 17a2, 17a3) 로 구성되어 있다. 단, 탄성 변형편 (17a) 은, 단일 원호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또, 탄성 변형부 (17) 의 기단부가 되는 원호상 부분 (15a) 의 각 단부 (15b) 의 축 방향 폭 (w1) 은, 기단부의 강도를 고려하면, 원호상 부분 (15a) 의 축 방향 폭 (w2) 과 동등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기단부의 축 방향 내측면에 형성되는 원호면의 곡률은 큰 (곡률 반경 (r) 은 작은)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변형편 (17a) 의 직경 방향의 두께 (h) 는, 탄성 변형편 (17a) 의 폭 (w3) 보다 두껍게 설정되어 있고, 이로써, 화살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직경 방향으로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유지기 (13) 를 쉘 외륜 (11) 에 장착하는 방법 (제조 방법) 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의 (a) 는 탄성 변형 전의 유지기 (13) 및 쉘 외륜 (11) 의 단면도이고, 도 6 의 (b) 는 도 6 의 (a) 의 Ⅴ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7 의 (a) 는 탄성 변형 후의 유지기 (13) 및 쉘 외륜 (11) 의 단면도이고, 도 7 의 (b) 는 도 7 의 (a) 의 Ⅵ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유지기 (13) 의 외형 (φD1n) 은, 쉘 외륜 (11) 의 1 쌍의 내향 플랜지부 (11b, 11c) 의 내경 (φD2) (이후, 플랜지부 내경이라고 부른다) 보다 큰 직경이다 (φD1n > φD2). 유지기 (13) 는, 탄성 변형부 (17) 를 변형시킴으로써, 틈새 (15c) 의 원주 방향 거리 (L1) (도 2 참조) 를 좁혀, 유지기 (13) 를 원주 방향으로 수축시킬 수 있다. 이로써,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기 (13) 는, 쉘 외륜 (11) 의 플랜지부 내경 (φD2) 보다 작은 외경 (φD1s) 까지 축경시킬 수 있다 (φD2 > φD1s). 여기서, 유지기 (13) 의 외주 길이와, 틈새 (15c) 의 원주 방향 거리 (L1) 의 총합과, 쉘 외륜 (11) 의 내향 플랜지부 (11b, 11c) 의 내주 길이의 관계는, 대략 하기 식과 같이 된다.
π·φD1n - L1 × (틈새의 수) < π·φD2
또한, 1 쌍의 탄성 변형편 (17a, 17a) 간의 축 방향 거리 (L3) (도 2 참조) 와, 틈새 (15c) 의 원주 방향 거리 (L1) 에 의해, 가동 범위, 즉, 탄성 변형편 (17a) 의 변형량이 임의로 설정 가능해진다. 단, 틈새 (15c) 가 없어지기 전에 기둥부 (16) 와 탄성 변형편 (17a) 이 접촉하지 않도록, 탄성 변형 전의 틈새 (15c) 의 원주 방향 거리 (L1) 는, 인접하는 기둥부 (16) 와 탄성 변형편 (17a) 의 각 원주 방향 거리 (L2, L2) 의 총합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L1 < 2 × L2).
유지기 (13) 의 외경이 쉘 외륜 (11) 의 플랜지부 내경 (φD2) 보다 작은 직경이 될 때까지 축경시켜, 쉘 외륜 (11) 내에 삽입한다. 삽입 후, 유지기 (13) 는, 탄성 변형부 (17) 가 복원됨으로써 쉘 외륜 (11) 내로 들어간다.
여기서, 유지기 (13) 를 축경시켜, 쉘 외륜 (11) 내에 삽입하려면,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암형 지그 (21) 와 수형 지그 (26) 로 이루어지는 유지기 삽입 지그를 사용한다.
암형 지그 (21) 의 축 방향 일단 (도 8 중의 하단) 에는, 쉘 외륜 (11) 의 외경 (φD3) 보다 약간 큰 직경이고, 축 방향으로 패인, 쉘 외륜 (11) 을 장착 가능한 쉘 외륜 장착 단부 (22)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암형 지그 (21) 의 축 방향 타단 (도 8 중의 상단) 에는, 쉘 외륜 장착 단부 (22) 와 동축이고, 유지기 (13) 의 외경 (φD1n) 보다 약간 큰 직경이고, 축 방향으로 패인, 유지기 (13) 를 장착 가능한 유지기 장착 단부 (25) 가 형성되어 있다. 쉘 외륜 장착 단부 (22) 의 내측 단면에는, 쉘 외륜 장착 단부 (22) 와 동축이고, 쉘 외륜 (11) 의 플랜지부 내경 (φD2) 보다 작은 소직경공 (23) 이 형성되어 있다. 소직경공 (23) 과 유지기 장착 단부 (25) 는, 소직경공 (23) 에서 유지기 장착 단부 (25) 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상의 축경공 (24) 에 의해 완만하게 연결되어 있다.
수형 지그 (26) 는, 원통상의 본체부 (27) 와, 본체부 (27) 와 동축이고, 본체부 (27) 와 인접하여 축 방향 일단측 (도 8 중의 하방) 으로 돌출되는 원통상의 유지기 장착부 (28) 를 갖는다. 본체부 (27) 의 직경은, 암형 지그 (21) 의 소직경공 (23) 보다 약간 작은 직경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어, 이 본체부 (27) 를 소직경공 (23) 에 삽입 가능하게 하고 있다. 유지기 장착부 (28) 의 직경은, 소직경공 (23) 의 직경에서 유지기 (13) 의 직경 방향의 두께 (h) (도 5 참조) 의 2 배를 뺀 직경보다 약간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 (27) 와 유지기 장착부 (28) 의 단차부는, 축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평면 (축 직각 평면) 인 유지기 가압부 (29) 로 되어 있다. 본체부 (27) 의 유지기 장착부 (28) 와는 반대측 (축 방향 타단측. 도 8 중의 상방.) 에는, 가압축 (20)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압축 (20) 은, 수형 지그 (26) 를 암형 지그 (21) 에 삽입할 때, 손이나 기계로 수형 지그 (26) 에 축 방향 가압력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쥐기 쉬운 형상이나 기계에 장착하기 쉬운 형상을 임의 선택하면 되며, 도 8 의 형상일 필요는 없다.
유지기 (13) 를 쉘 외륜 (11) 에 삽입할 때에는, 도 9 의 (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쉘 외륜 (11) 을 암형 지그 (21) 의 쉘 외륜 장착 단부 (22) 에 장착한다. 그리고, 유지기 (13) 를, 도 9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형 지그 (26) 의 유지기 장착부 (28), 혹은 도 9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형 지그 (21) 의 유지기 장착 단부 (25) 에 장착한다. 그리고, 수형 지그 (26) 를 암형 지그 (21) 의 유지기 장착 단부 (25) 측으로부터 삽입한다. 유지기 (13) 는, 수형 지그 (26) 의 유지기 가압부 (29) 에 의해 축 방향으로 가압되고, 암형 지그 (21) 의 축경공 (24) 에 의해 축경되면서 암형 지그 (21) 에 압입되어 간다. 이 때, 유지기 (13) 에 이상한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수형 지그 (26) 의 유지기 장착부 (28) 가 백업으로 되고 있다. 그리고,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기 (13) 를 쉘 외륜 (11) 내부에까지 삽입하면, 유지기 (13) 는, 본래의 외경 (φD1n) 으로 되돌아와, 쉘 외륜 (11) 으로부터 탈락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유지기 (13) 의 각 포켓 (14, 14) 내에 니들 (12, 12) 을 유지기 (13) 의 내경측으로부터 삽입한다. 이 삽입 작업시에는, 이들 각 포켓 (14, 14) 의 원주 방향 양측을 구분하는 기둥부 (16, 16) 및 이들 각 기둥부 (16, 16) 의 측면에 형성된 내경측 걸림 돌출부 (16a) 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각 니들 (12) 을 각 포켓 (14, 14) 내에 압입한다.
내경측 걸림 돌출부 (16a) 로부터 빠진 부분에서의 포켓 (14) 의 원주 방향에 걸친 폭 (Wp) 은, 니들 (12) 의 외경 (φDk) 보다 크기 (Wp > φDk) 때문에, 각 포켓 (14) 내에 니들 (12) 을 유지한 상태에서 이들 각 니들 (12) 은, 각 포켓 (14) 내에서 가벼운 힘으로 자유롭게 전동할 수 있게 된다. 또, 각 포켓 (14, 14) 의 내경측 개구부에 존재하는 1 쌍의 내경측 걸림 돌출부 (16a, 16a) 의 선단 가장자리끼리의 자유 상태에서의 간격 (Wi) 은, 각각 각 니들 (12) 의 외경 (φDk) 보다 작다 (φDk > Wi). 따라서, 각 포켓 (14, 14) 내에 유지한 니들 (12) 이, 이들 각 포켓 (14, 14) 내로부터 의도치않게 탈락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쉘형 니들 베어링을 조립하는 다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쉘형 니들 베어링의 구성 부품으로는, 유지기 (18) 만이 상이하다. 그리고, 그것에 수반하여 암형 지그 (31) 및 수형 지그 (36) 가 상이하다.
전술한 유지기 (13) 에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기둥부 (16, 16) 의 원주 방향 양 측면에서, 유지기 (13) 의 직경 방향에 관한 내단부에 내경측 걸림 돌출부 (16a, 16a) 를 각 기둥부 (16, 16) 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하고 있다. 한편,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조립 방법에 사용하는 유지기 (18) 는, 내경측 걸림 돌출부 (16a, 16a) 에 추가하여, 외단부에 외경측 걸림 돌출부 (16b, 16b) 를 각각 각 기둥부 (16, 16) 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각 부의 치수가 상이한 것 이외에는 전술한 유지기 (13) 와 동일하므로, 동일 구성부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각 포켓 (14, 14) 내에 복수의 니들 (12, 12) 을 유지기 (18) 의 내경측, 혹은 외경측으로부터 삽입한다. 이 삽입 작업시에는, 이들 각 포켓 (14, 14) 의 원주 방향 양측을 구분하는 기둥부 (16, 16) 및 이들 각 기둥부 (16, 16) 의 측면에 형성된 내경측 걸림 돌출부 (16a), 혹은 외경측 걸림 돌출부 (16b) 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각 니들 (12) 을 각 포켓 (14, 14) 내에 압입한다. 각 걸림 돌출부 (16a, 16b) 로부터 빠진 부분에서의 각 포켓 (14, 14) 의 원주 방향에 걸친 폭 (Wp) 은, 각 니들 (12) 의 외경 (φDk) 보다 크기 (Wp > φDk) 때문에, 각 포켓 (14) 내에 니들 (12) 을 유지한 상태에서 이들 각 니들 (12) 은, 각 포켓 (14) 내에서 가벼운 힘으로 자유롭게 전동할 수 있게 된다. 또, 각 포켓 (14, 14) 의 내경측 개구부에 존재하는 1 쌍의 내경측 걸림 돌출부 (16a, 16a) 의 선단 가장자리끼리의 자유 상태에서의 간격 (Wi), 그리고 외경측 개구부에 존재하는 1 쌍의 외경측 걸림 돌출부 (16b, 16b) 의 선단 가장자리끼리의 자유 상태에서의 간격 (Wo) 은, 각각 각 니들 (12) 의 외경 (φDk) 보다 작다 (φDk > Wi, φDk > Wo). 따라서, 각 포켓 (14, 14) 내에 유지한 복수의 니들 (12, 12) 이 이들 각 포켓 (14, 14) 내로부터 의도치않게 탈락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먼저, 유지기 (18) 에 복수의 니들 (12, 12) 을 장착한 후, 전술한 유지기 (13) 와 동일하게 축경시켜 쉘 외륜 (11) 에 장착한다. 그 때문에, 유지기 (18) 에 복수의 니들 (12, 12) 을 장착한 서브 어셈블리 일품 (一品) 을 유닛으로서 취급할 수 있으므로, 조립 공정에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기 (18) 의 외형 (φD1n) 은, 쉘 외륜 (11) 의 플랜지부 내경 (φD2) 보다 큰 직경이다. 또,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기 (18) 는, 탄성 변형부 (17) 를 변형시킴으로써, 틈새 (15c) 의 원주 방향 거리 (L4) 를 좁혀, 유지기 (18) 를 원주 방향으로 수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12 의 (a) 는 복수의 니들 (12, 12) 을 장착한 유지기 (18) 를 나타내고, 도 12 의 (b) 는 복수의 니들 (12, 12) 을 장착한 유지기 (18) 가 탄성 변형에 의해 축경된 상태를 나타낸다. 복수의 니들 (12, 12) 을 장착한 유지기 (18) 는, 니들 (12) 을 포함한 최대 외경을, 쉘 외륜 (11) 의 플랜지부 내경 (φD2) 보다 작은 외경 (φD4s) 까지 축경시킬 수 있다.
복수의 니들 (12, 12) 을 장착한 유지기 (18) 를, 니들 (12) 을 포함한 최대 외경이 쉘 외륜 (11) 의 플랜지부 내경 (φD2) 보다 작은 직경이 될 때까지 축경시켜, 쉘 외륜 (11) 내에 삽입한다. 삽입 후, 유지기 (18) 는, 탄성 변형부 (17) 가 복원됨으로써 쉘 외륜 (11) 내로 들어간다.
복수의 니들 (12, 12) 을 장착한 유지기 (18) 를 축경시켜, 쉘 외륜 (11) 내에 삽입하려면,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암형 지그 (31) 와 수형 지그 (36) 로 이루어지는 유지기 삽입 지그를 사용한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형 지그 (21 과 31), 수형 지그 (26 과 36) 는, 각 부의 치수가 상이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므로, 동일 치수의 구성부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암형 지그 (31) 의 축 방향 일단 (도 8 중의 하단) 에는, 쉘 외륜 (11) 의 외경 (φD3) 보다 약간 큰 직경이고, 축 방향으로 패인, 쉘 외륜 (11) 을 장착 가능한 쉘 외륜 장착 단부 (22)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암형 지그 (31) 의 축 방향 타단 (도 8 중의 상단) 에는, 쉘 외륜 장착 단부 (22) 와 동축이고, 축 방향으로 패인 유지기 장착 단부 (35) 가 형성되어 있다. 유지기 장착 단부 (35) 는, 유지기 (18) 에 복수의 니들 (12, 12) 을 장착한 상태에서의 최대 외경 (φD4n) (도 12 의 (a) 참조) 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니들 (12, 12) 을 장착한 상태의 유지기 (18) 를 장착 가능하다. 쉘 외륜 장착 단부 (22) 의 내측 단면에는, 쉘 외륜 장착 단부 (22) 와 동축이고, 쉘 외륜 (11) 의 플랜지부 내경 (φD2) 보다 작은 소직경공 (23) 이 형성되어 있다. 소직경공 (23) 과 유지기 장착 단부 (35) 는, 소직경공 (23) 에서 유지기 장착 단부 (35) 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상의 축경공 (34) 에 의해 완만하게 연결되어 있다.
수형 지그 (36) 는, 원통상의 본체부 (27) 와, 본체부 (27) 와 동축이고, 본체부 (27) 와 인접하여 축 방향 일단측 (도 8 중의 하방) 으로 돌출되는 유지기 장착부 (38) 를 갖는다. 본체부 (27) 의 직경은, 암형 지그 (31) 의 소직경공 (23) 보다 약간 작은 직경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어, 이 본체부 (27) 를 소직경공 (23) 에 삽입 가능하게 하고 있다. 유지기 장착부 (38) 의 직경은, 소직경공 (23) 의 직경에서 니들 (12) 의 외경 (φDk) (도 11 참조) 의 2 배를 뺀 직경보다 약간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 (27) 와 유지기 장착부 (38) 의 단차부는, 축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평면 (축 직각 평면) 인 유지기 가압부 (39) 로 되어 있다. 본체부 (27) 의 유지기 장착부 (38) 와는 반대측 (축 방향 타단측. 도 8 중의 상방.) 에는, 가압축 (20)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압축 (20) 은, 수형 지그 (36) 를 암형 지그 (31) 에 삽입할 때에, 손이나 기계로 수형 지그 (36) 에 축 방향 가압력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쥐기 쉬운 형상이나 기계에 장착하기 쉬운 형상을 임의 선택하면 되며, 도 8 의 형상일 필요는 없다.
유지기 (18) 를 쉘 외륜 (11) 에 삽입할 때에는, 도 13 의 (a), 도 13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쉘 외륜 (11) 을 암형 지그 (31) 의 쉘 외륜 장착 단부 (22) 에 장착한다. 그리고, 복수의 니들 (12, 12) 을 장착한 유지기 (18) 를, 암형 지그 (31) 의 유지기 장착 단부 (35), 혹은 수형 지그 (36) 의 유지기 장착부 (38) 에 장착한다. 그리고, 수형 지그 (36) 를 암형 지그 (31) 의 유지기 장착 단부 (35) 측으로부터 삽입한다. 유지기 (18) 는, 수형 지그 (36) 의 유지기 가압부 (39) 에 의해 축 방향으로 가압되고, 암형 지그 (31) 의 축경공 (34) 에 의해 축경되면서 암형 지그 (31) 에 압입되어 간다. 이 때, 유지기 (18) 에 이상한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수형 지그 (36) 의 유지기 장착부 (38) 가 백업으로 되고 있다. 그리고,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기 (18) 를 쉘 외륜 (11) 내부에까지 삽입하면, 유지기 (18) 는, 본래의 외경 (φD1n) 으로 되돌아와, 쉘 외륜 (11) 으로부터 탈락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유지기 (13, 18) 는 수지제이며, 방향족 폴리아미드 (방향족 PA), 폴리아미드 46,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등의 폴리아미드 (나일론 수지), 폴리페닐렌술파이드 (PP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PEEK), 폴리아세탈 (POM) 이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등의 불소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이들 수지에 유리 섬유나 탄소 섬유 등의 강화제를 혼합시킨 것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 수지에 유리 섬유 또는 탄소 섬유를 5 ∼ 30 중량% 혼합하고, 굽힘 탄성률을 2000 ∼ 5000 ㎫ 로 한 것이 좋다. 이 범위의 것이면, 보다 바람직하게 변형부에 변형능을 갖게 하고, 또한 필요한 강성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경측 걸림 돌출부 (16a), 외경측 걸림 돌출부 (16b) 를 각각 각 기둥부 (16, 16) 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하고 있는데, 전체 길이보다 좁은 범위에만 형성해도 되고, 복수로 분할하여 형성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쉘형 니들 베어링 (10) 에 의하면, 유지기 (13, 18) 에는, 원주 방향으로 수축시키는 탄성 변형부 (17) 가 원주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고, 탄성 변형부 (17) 는 축 방향 중간부 (C) 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소성 변형이 방지되며, 또, 축 방향의 비틀림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갖고, 또한 충분한 변형량을 확보하면서 원주 방향으로 수축 가능한 유지기 (13, 18) 를 형성할 수 있다. 또, 탄성 변형부 (17) 에 의해, 니들 (12) 의 움직임이 적당히 허용되어, 프레팅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 1 쌍의 림부 (15, 15) 는 복수의 원호상 부분 (15a) 에 의해 구성되고, 1 쌍의 림부 (15, 15) 에는,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는 원호상 부분 (15a) 의 각 단부 사이에 복수의 틈새 (15c) 가 원주 방향에 있어서 동 위상으로 각각 형성되고, 탄성 변형부 (17) 는, 인접하는 원호상 부분 (15a) 의 각 단부 (15b) 로부터 각각 축 방향 내측으로 연장됨과 함께, 연장된 부분을 원주 방향에 있어서 연결하는 1 쌍의 탄성 변형편 (17a, 17a) 을 갖는다. 이로써, 축 방향 중간부 (C) 에 대하여 대칭인 탄성 변형부 (17) 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변형부 (17) 는,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는 기둥부 (16, 16) 사이에 형성되고, 틈새 (15c) 의 원주 방향 거리 (L1) 는, 인접하는 기둥부 (16) 와 탄성 변형편 (17a) 의 각 원주 방향 거리 (L2) 의 총합보다 작으므로, 원주 방향으로 수축시킨 경우에 틈새 (15c) 가 없어지기 전에 기둥부 (16) 와 탄성 변형편 (17a) 이 접촉하지 않아, 충분한 변형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쉘 외륜 (11) 의 양 플랜지부 (11b, 11c) 를 성형, 열처리한 후에 유지기 (13, 18), 니들 (12) 을 장착하므로, 종래 기술과 같은 도금 공정이 불필요하고, 또, 유지기가 열처리에 의한 열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유지기 (13, 18) 의 재료로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적절히 변형, 개량 등이 가능하다.
또, 본 출원은, 2013년 8월 2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3-174526호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받아들여진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쉘형 니들 베어링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지그에 의하면, 쉘 외륜의 양 플랜지부를 성형, 열처리한 후에 유지기, 니들을 장착하므로, 종래 기술에서 필요하였던 도금 공정이 불필요하고, 또, 유지기가 열처리에 의한 열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유지기의 재료로서 수지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각종 기계 장치의 회전 지지부에 사용되는 쉘형 니들 베어링의 제조 방법으로서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10 : 쉘형 니들 베어링
11 : 쉘 외륜
11a : 궤도면
11b : 플랜지부
11c : 플랜지부
12 : 니들
13 : 유지기
14 : 포켓
15 : 림부
15a : 원호상 부분
15b : 단부
15c : 틈새
16 : 기둥부
16a : 내경측 걸림 돌출부
16b : 외경측 걸림 돌출부
17 : 탄성 변형부
17a : 탄성 변형편
17a1 : 원호
17a2 : 원호
17a3 : 원호
18 : 유지기
20 : 가압축
21 : 암형 지그
22 : 쉘 외륜 장착 단부
23 : 소직경공
24 : 축경공
25 : 유지기 장착 단부
26 : 수형 지그
27 : 본체부
28 : 유지기 장착부
29 : 유지기 가압부
31 : 암형 지그
34 : 축경공
35 : 유지기 장착 단부
36 : 수형 지그
38 : 유지기 장착부
39 : 유지기 가압부
100 : 쉘형 니들 베어링
101 : 쉘 외륜
101a : 궤도면
101b : 플랜지부
101c : 플랜지부
102 : 니들
103 : 유지기

Claims (4)

  1. 내주면에 궤도면을, 양 단부에 1 쌍의 내향 플랜지부를 갖는 쉘 외륜과,
    상기 쉘 외륜의 궤도면을 따라 자유롭게 전동할 수 있게 되도록, 상기 쉘 외륜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니들과,
    상기 복수의 니들을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포켓을 갖는 유지기를 구비한 쉘형 니들 베어링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유지기는, 축경 가능하고,
    상기 쉘 외륜의 양 플랜지부를 성형하고, 열처리를 실시한 후, 유지기 삽입 지그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니들을 장착한 상기 유지기를 상기 쉘 외륜의 플랜지부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축경하여 상기 쉘 외륜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지기 삽입 지그는, 암형 지그와 수형 지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암형 지그의 축 방향 일단에는, 상기 쉘 외륜의 외경보다 큰 직경이고, 축 방향으로 패인, 상기 쉘 외륜을 장착 가능한 쉘 외륜 장착 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형 지그의 축 방향 타단에는, 상기 쉘 외륜 장착 단부와 동축이고, 상기 유지기에 상기 복수의 니들을 장착한 상태에서의 최대 외경보다 큰 직경이고, 축 방향으로 패인, 상기 유지기에 상기 복수의 니들을 장착한 채로 장착 가능한 유지기 장착 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쉘 외륜 장착 단부의 내측 단면에는, 상기 쉘 외륜 장착 단부와 동축이고, 상기 쉘 외륜의 플랜지부 내경보다 작은 소직경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직경공과 상기 유지기 장착 단부는, 상기 소직경공에서 상기 유지기 장착 단부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상의 축경공에 의해 완만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형 지그는, 상기 암형 지그의 상기 소직경공보다 작은 직경이고, 상기 소직경공에 삽입 가능한 직경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동축이고, 상기 본체부와 인접하여 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소직경공의 직경에서 상기 니들의 외경의 2 배를 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유지기 장착부를 갖고 있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유지기 장착부의 단차부는, 축 직각 평면인 유지기 가압부로 되어 있고,
    상기 유지기를 상기 쉘 외륜에 삽입할 때에는,
    상기 쉘 외륜을 상기 암형 지그의 상기 쉘 외륜 장착 단부에 장착하고,
    상기 복수의 니들을 장착한 상기 유지기를, 상기 수형 지그의 유지기 장착부, 혹은 상기 암형 지그의 상기 유지기 장착 단부에 장착하고,
    상기 수형 지그를 상기 암형 지그의 상기 유지기 장착 단부측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니들을 장착한 상기 유지기를 상기 쉘 외륜에 삽입하고,
    상기 복수의 니들이, 유지기 포켓의 기둥에 의해 서로 간격을 갖고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형 니들 베어링의 제조 방법.
  2. 내주면에 궤도면을, 양 단부에 1 쌍의 내향 플랜지부를 갖는 쉘 외륜과,
    상기 쉘 외륜의 궤도면을 따라 자유롭게 전동할 수 있게 되도록, 상기 쉘 외륜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니들과,
    상기 복수의 니들을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포켓을 갖는 유지기를 구비한 쉘형 니들 베어링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유지기는, 축경 가능하고,
    상기 쉘 외륜의 양 플랜지부를 성형하고, 열처리를 실시한 후, 유지기 삽입 지그를 사용하여 상기 유지기를 상기 쉘 외륜의 플랜지부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축경하여 상기 쉘 외륜에 삽입한 후, 상기 복수의 니들을 상기 유지기의 포켓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지기 삽입 지그는, 암형 지그와 수형 지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암형 지그의 축 방향 일단에는, 상기 쉘 외륜의 외경보다 큰 직경이고, 축 방향으로 패인, 상기 쉘 외륜을 장착 가능한 쉘 외륜 장착 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형 지그의 축 방향 타단에는, 상기 쉘 외륜 장착 단부와 동축이고 상기 유지기의 외경보다 큰 직경의 축 방향으로 패인, 상기 유지기를 장착 가능한 유지기 장착 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쉘 외륜 장착 단부의 내측 단면에는, 상기 쉘 외륜 장착 단부와 동축이고, 상기 쉘 외륜의 플랜지부 내경보다 작은 소직경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직경공과 상기 유지기 장착 단부는, 상기 소직경공에서 상기 유지기 장착 단부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상의 축경공에 의해 완만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형 지그는, 상기 암형 지그의 상기 소직경공보다 작은 직경이고, 상기 소직경공에 삽입 가능한 직경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동축이고, 상기 본체부와 인접하여 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소직경공의 직경에서 상기 유지기의 직경 방향의 두께의 2 배를 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유지기 장착부를 갖고 있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유지기 장착부의 단차부는, 축 직각 평면인 유지기 가압부로 되어 있고,
    상기 유지기를 상기 쉘 외륜에 삽입할 때에는,
    상기 쉘 외륜을 상기 암형 지그의 상기 쉘 외륜 장착 단부에 장착하고,
    상기 유지기를, 상기 수형 지그의 유지기 장착부, 혹은 상기 암형 지그의 상기 유지기 장착 단부에 장착하고,
    상기 수형 지그를 상기 암형 지그의 상기 유지기 장착 단부측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상기 유지기를 상기 쉘 외륜에 삽입하고,
    상기 복수의 니들이, 유지기 포켓의 기둥에 의해 서로 간격을 갖고 유지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니들을, 유지기의 포켓에, 유지기 내경측으로부터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형 니들 베어링의 제조 방법.
  3. 내주면에 궤도면을, 양 단부에 1 쌍의 내향 플랜지부를 갖는 쉘 외륜과,
    상기 쉘 외륜의 궤도면을 따라 자유롭게 전동할 수 있게 되도록, 상기 쉘 외륜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니들과,
    상기 복수의 니들을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포켓을 갖는 유지기를 구비한 쉘형 니들 베어링의 제조에 사용하는 제조 지그로서,
    상기 제조 지그는, 암형 지그와 수형 지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암형 지그의 축 방향 일단에는, 상기 쉘 외륜의 외경보다 큰 직경이고, 축 방향으로 패인, 상기 쉘 외륜을 장착 가능한 쉘 외륜 장착 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형 지그의 축 방향 타단에는, 상기 쉘 외륜 장착 단부와 동축이고, 상기 유지기에 상기 복수의 니들을 장착한 상태에서의 최대 외경보다 큰 직경이고, 축 방향으로 패인, 상기 유지기에 상기 복수의 니들을 장착한 채로 장착 가능한 유지기 장착 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쉘 외륜 장착 단부의 내측 단면에는, 상기 쉘 외륜 장착 단부와 동축이고, 상기 쉘 외륜의 플랜지부 내경보다 작은 소직경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직경공과 상기 유지기 장착 단부는, 상기 소직경공에서 상기 유지기 장착 단부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상의 축경공에 의해 완만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형 지그는, 상기 암형 지그의 상기 소직경공보다 작은 직경이고, 상기 소직경공에 삽입 가능한 직경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동축이고, 상기 본체부와 인접하여 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소직경공의 직경에서 상기 니들의 외경의 2 배를 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유지기 장착부를 갖고 있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유지기 장착부의 단차부는, 축 직각 평면인 유지기 가압부로 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니들이, 유지기 포켓의 기둥에 의해 서로 간격을 갖고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형 니들 베어링의 제조에 사용하는 제조 지그.
  4. 내주면에 궤도면을, 양 단부에 1 쌍의 내향 플랜지부를 갖는 쉘 외륜과,
    상기 쉘 외륜의 궤도면을 따라 자유롭게 전동할 수 있게 되도록, 상기 쉘 외륜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니들과,
    상기 복수의 니들을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포켓을 갖는 유지기를 구비한 쉘형 니들 베어링의 제조에 사용하는 제조 지그로서,
    상기 제조 지그는, 암형 지그와 수형 지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암형 지그의 축 방향 일단에는, 상기 쉘 외륜의 외경보다 큰 직경이고, 축 방향으로 패인, 상기 쉘 외륜을 장착 가능한 쉘 외륜 장착 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형 지그의 축 방향 타단에는, 상기 쉘 외륜 장착 단부와 동축이고 상기 유지기의 외경보다 큰 직경의 축 방향으로 패인, 상기 유지기를 장착 가능한 유지기 장착 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쉘 외륜 장착 단부의 내측 단면에는, 상기 쉘 외륜 장착 단부와 동축이고, 상기 쉘 외륜의 플랜지부 내경보다 작은 소직경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직경공과 상기 유지기 장착 단부는, 상기 소직경공에서 상기 유지기 장착 단부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상의 축경공에 의해 완만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수형 지그는, 상기 암형 지그의 상기 소직경공보다 작은 직경이고 상기 소직경공에 삽입 가능한 직경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동축이고, 상기 본체부와 인접하여 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소직경공의 직경에서 상기 유지기의 직경 방향의 두께의 2 배를 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유지기 장착부를 갖고 있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유지기 장착부의 단차부는, 축 직각 평면인 유지기 가압부로 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니들이, 유지기 포켓의 기둥에 의해 서로 간격을 갖고 유지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니들을, 유지기의 포켓에, 유지기 내경측으로부터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형 니들 베어링의 제조에 사용하는 제조 지그.

KR1020167004532A 2013-08-26 2013-12-13 쉘형 니들 베어링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에 사용하는 제조 지그 KR1018271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74526 2013-08-26
JP2013174526 2013-08-26
PCT/JP2013/083464 WO2015029271A1 (ja) 2013-08-26 2013-12-13 シェル形ニードル軸受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に使用する製造治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222A KR20160033222A (ko) 2016-03-25
KR101827184B1 true KR101827184B1 (ko) 2018-02-07

Family

ID=52585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532A KR101827184B1 (ko) 2013-08-26 2013-12-13 쉘형 니들 베어링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에 사용하는 제조 지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89429B2 (ko)
EP (1) EP3040569B1 (ko)
JP (1) JP6041055B2 (ko)
KR (1) KR101827184B1 (ko)
CN (1) CN105492789B (ko)
WO (1) WO20150292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50908B (zh) * 2016-08-12 2018-04-13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滚针衬套及其辅装结构
JP7079050B2 (ja) * 2017-02-22 2022-06-0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ラストころ軸受用保持器及びスラストころ軸受
JP2023161843A (ja) * 2022-04-26 2023-11-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ング装着治具およびリング装着方法
WO2024081207A1 (en) * 2022-10-11 2024-04-18 Koyo Bearings North America Llc Radial bearing assembly having spring rim retain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3322A (ja) * 2004-02-20 2005-09-02 Ntn Corp ころ軸受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68175A (en) * 1942-06-11 1945-01-30 Torrington Co Needle roller construction
US3054164A (en) * 1960-04-06 1962-09-18 Schatz Mfg Company Method of producing and assembling antifriction bearings
US5848846A (en) * 1996-07-26 1998-12-15 Ntn Corporation Shell type needle roller bearing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H11303863A (ja) 1998-04-15 1999-11-02 Nippon Seiko Kk シェル型ころ軸受
JP2002139067A (ja) 2000-11-06 2002-05-17 Nsk Ltd シェル形針状ころ軸受の製造方法
DE10119889B4 (de) 2001-04-24 2004-02-19 Aktiebolaget Skf Wälzlager
JP4211397B2 (ja) 2003-01-06 2009-01-2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ころ軸受
JP2005163904A (ja) 2003-12-02 2005-06-23 Ntn Corp クラッチ
JP2005163994A (ja) * 2003-12-05 2005-06-23 Koyo Seiko Co Ltd ころ軸受用保持器およびころ軸受
JP2006057707A (ja) 2004-08-19 2006-03-02 Ntn Corp 外輪付きころ軸受
JP2006144839A (ja) * 2004-11-17 2006-06-08 Ntn Corp ころ軸受
US8628251B2 (en) * 2009-12-25 2014-01-14 Nsk Ltd. Needle bearing
JP5732830B2 (ja) 2010-11-30 2015-06-10 日本精工株式会社 ニードル軸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3322A (ja) * 2004-02-20 2005-09-02 Ntn Corp ころ軸受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40569B1 (en) 2019-07-17
JP6041055B2 (ja) 2016-12-07
KR20160033222A (ko) 2016-03-25
WO2015029271A1 (ja) 2015-03-05
US20160208855A1 (en) 2016-07-21
JPWO2015029271A1 (ja) 2017-03-02
EP3040569A1 (en) 2016-07-06
EP3040569A4 (en) 2016-08-24
US9689429B2 (en) 2017-06-27
CN105492789B (zh) 2018-02-27
CN105492789A (zh) 2016-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8251B2 (en) Needle bearing
EP2743523B1 (en) Radial foil bearing
KR101827184B1 (ko) 쉘형 니들 베어링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에 사용하는 제조 지그
EP1860336B1 (en) Needle roller bearing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EP1908970A1 (en) Needle roller bearing and bearing structure
EP2282072A1 (en) Inner and outer ring, and ball bearing made of sheet metal
EP3073137A1 (en) Needle roller bearing with double row of retainers
US20160123385A1 (en) Rolling bearing
EP2700834B1 (en) Rolling bearing with dynamic pressure generating grooves formed in a raceway of a bearing ring
JP5372414B2 (ja) 円すいころ軸受
JP2007100738A (ja) ころ軸受
KR20180051391A (ko) 밀봉 구조
CN110486378B (zh) 推力滚子轴承
JP2008232240A (ja) ラジアル・スラストころ軸受
WO2014088060A1 (ja) シェル形ニードル軸受の製造方法
JP6557950B2 (ja) ソリッド形ニードル軸受
JP7472544B2 (ja) 外輪付き円筒ころ軸受
JP2007170562A (ja) 積層コンロッド用シェル型ころ軸受およびコンロッドアッセンブリ
JP2008082434A (ja) スラストころ軸受
US9683606B2 (en) Rolling bearing
JP2005172037A (ja) ころ軸受
JP2011089554A (ja) 複列ころ軸受
CN117769626A (zh) 具有布置在环形轴向轴承垫圈之间的滚动体的呈自固定组件形式的轴向滚动轴承单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