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931B1 - 이차전지 리드탭의 자동화 필름 열융착장치의 리드탭 고정지그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리드탭의 자동화 필름 열융착장치의 리드탭 고정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931B1
KR101826931B1 KR1020160048971A KR20160048971A KR101826931B1 KR 101826931 B1 KR101826931 B1 KR 101826931B1 KR 1020160048971 A KR1020160048971 A KR 1020160048971A KR 20160048971 A KR20160048971 A KR 20160048971A KR 101826931 B1 KR101826931 B1 KR 101826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fixing
lead
lead tab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0451A (ko
Inventor
유종재
Original Assignee
유종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종재 filed Critical 유종재
Priority to KR1020160048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931B1/ko
Publication of KR20170120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01M2/266
    • H01M2/30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02P70/5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 리드탭의 자동화 필름 열융착장치의 리드탭 고정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일측에 리드탭(10)이 안착되는 고정홈(111)이 형성되는 하부지그(110)와, 일측이 상기 하부지그(110)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는 상부지그(120)로 구성되는 지그(100); 상기 지그(100)의 일측에 이격되게 구성되되, 상기 고정홈(111)에 안착된 리드탭(10)의 타측을 밀림하는 전면지그(210)와, 상부에 상기 리드탭(10)의 외측을 감싸는 수용홈(221)과 상기 수용홈(221)과 연장되게 형성되는 측면고정블럭(225)과 상기 측면고정블럭(225)의 타측에 상기 리드탭(10)의 측면을 밀림시키는 측면밀림블럭(223)으로 구성되는 측면지그(220)로 구성되는 센터링지그(200); 로 구성됨으로써, 리드탭을 안착 시킨 후 센터링 정렬을 통해 정확히 고정시킨 상태에서 필름의 열융착작업이 가능하여 필름의 뒤틀림 현상 및 작업불량을 최소화하게 되어 생산성 향상과 작업시간 단축 및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이차전지 리드탭의 자동화 필름 열융착장치의 리드탭 고정지그{Lead tab fixing jig of the secondary battery lead tab automated film heat fusion device}
본 발명은 이차전지 리드탭의 자동화 필름 열융착장치의 리드탭 고정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필름 열융착 시 리드탭의 정확한 중심 및 고정을 통해 열융착 시 불량률을 억제 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자동화 필름 열융착장치의 리드탭 고정지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배터리 팩(Polymer Battery Pack)은 파우치 형태의 베어 셀에 보호회로부재가 접속된 코어팩과, 상기 코어 팩이 수납된 채 테두리가 모두 초음파 용착된 플라스틱 케이스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파우치 형태의 베어 셀은 변성 폴리프로필렌(CPP)/알루미늄/나일론(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으로 이루어진 파우치의 내부에, 양극/세퍼레이터/음극으로 이루어진 전극 조립체 및 폴리머 전해액이 수납된 리튬 폴리머 전지를 말한다.
상기와 같은 배터리 팩 또는 리튬 폴리머 전지는 액상의 전해액을 이용하는 배터리 팩 또는 리튬 이온전지와 구분하기 위해 명명된 것이다.
한편, 상기한 Lead Tab은 리드 (Ni. Al) 공급 공정, 필름 컷팅 및 부착 공정, 롤 히터 공정, 가접 1번 공정, 가접 2번 공정, 진접 공정, 냉각 공정, 트리밍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한편 자동 컷팅 공정은 피딩, 센서 감지, 길이 검사, Cutting, 1차 불량검사, 2차 불량 검사, 양품 배출 공정으로 진행된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10-1542159호(특) 리드탭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리드탭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리드탭을 절단시키는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에 의하여 절단이 이루어진 상기 리드탭의 일측에 절연체를 부착하는 부착부와; 상기 절연체의 부착이 완료된 상기 리드탭의 일측 표면을 검사하는 제1비젼부와; 상기 리드탭의 타측 표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리드탭을 반전시키는 반전부와; 상기 타측 표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반전된 상기 리드탭의 상기 타측 표면을 검사하는 제2비젼부와; 표면 검사가 완료된 상기 리드탭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전부는 상기 리드탭이 안착되며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어 안착된 상기 리드탭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내측에 고정되고 회전에 의하여 상기 리드탭이 반전된 후에 슬라이딩 이동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4개의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안착플레이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안착플레이트에 안착된 상기 리드탭이 반전되도록 하는 회전구동부재를 포함한 리드탭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등록번호 10-0359608호(특) 수평면을 제공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상에 고정되며 리드탭릴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 1프레임과; 상기 리드탭릴에 감겨있는 리드탭을 인출하여 일정피치씩 이송시키는 리드탭이송부와; 상기 리드탭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리드탭의 상하면과 접하며 리드탭에 대해 직교하도록 수지테이프를 일정피치씩 이송시키는 수지테이프이송부와; 상기 리드탭측으로 일정피치식 이송하는 수지테이프를 가압하여 일정간격의 노치를 형성하는 가압커터와; 상기 리드탭의 상하면에 수지테이프가 위치한 상태에서 리드탭에 대해서 수지테이프를 열가압하여 리드탭의 상하면에 수지테이프를 열압착시키는 열압착수단과; 열압착이 수행된 리드탭이 대기하고 있는 2차전지의 탭에 용접될 수 있도록 리드탭을 한 피치 절단하는 절단수단과;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한 피치의 리드탭을 2차전지의 탭에 접하도록 이동시키는 이송핑거부와; 상기 절단된 리드탭과 2차전지의 탭을 용접하는 용접부를 포함하는 2차전지 리드탭 자동 테이핑 및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등록번호 10-1090076호(특) 일정 폭을 갖는 메탈에 일정 간격으로 필름을 제공하여 열융착 처리하기 위한 2차 전지의 전극탭 필름 열융착장치에 있어서, 자연 회전력으로 감겨진 메탈을 공급하기 위한 메탈 공급부; 상기 메탈 공급부에 감겨진 메탈을 공정 진행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피치 이송하기 위한 피치 이송부; 상기 피치 이송부에 의해 피치 이송되는 과정 중에 메탈을 예열 처리하여 필름과의 융착력을 높여주기 위한 메탈 예열부; 상기 피치 이송되어 공급되는 메탈에 대해 제1필름과 제2필름의 필름을 직교 방향으로 공급하되 메탈의 상하측에 위치하도록 이격 및 분배 공급하기 위한 필름 공급부; 상기 필름 공급부를 통해 메탈측의 상하로 제1필름과 제2필름의 필름을 위치시킨 상태에 1차 열융착을 실시하여 메탈측에 필름을 가접(假接)하고 이와 동시에 필름을 절단하기 위한 필름 가접 및 절단부; 상기 필름 가접 및 절단부에 의해 메탈의 상하방향으로 위치하여 가접 및 절단 상태에 있는 제1필름과 제2필름에 대해 2차 열융착을 실시하여 필름의 융착력을 강화하기 위한 필름 진접부; 상기 필름 진접부를 통과한 필름이 진접(眞接)된 메탈측에 대해 필름의 양측 끝단부를 프레스 커팅하여 필름의 규격화된 절단을 실시하기 위한 프레스 커팅부; 상기 프레스 커팅부를 통과한 필름이 진접된 메탈을 권취하기 위한 메탈 권취부; 및 상기 메탈 공급부와 메탈 예열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메탈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하구동 실린더에 의해 승강 제어되고 메탈을 가압 지지하여 일시적으로 눌러주기 위한 수직가압부재를 갖는 메탈 가압지지부를 포함하는 2차 전지의 전극탭 필름 열융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들을 보면, 최초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리드탭을 개별적으로 하나씩 절단한 후, 이송부 또는 별도의 이송유닛을 통해 이동되면서 필름을 부착 또는 열융착시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 하고 있다.
그러나 리드탭을 열융착 하기 전 상기 리드탭을 고정하는 별도의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정확한 중심을 정렬하지 못하여, 열융착 시 필름의 뒤틀림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밖에 없게 됨으로써, 생산성이 저하될 수밖에 없고 그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공급되는 리드탭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며 하부지그와 상부지그를 각각 구성하되 상기 하부지그의 일측에 상기 리드탭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홈에 리드탭을 고정한 후 상부지그로 리드탭을 고정할 수 있도록 지그를 구성하고, 상기 지그에 완전한 고정 전, 상기 고정홈에 리드탭이 정확하게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게 상기 리드탭의 3면을 밀림하여 고정하게 됨으로써, 상기 리드탭의 상하측에 필름을 열융착 시 상기 필름이 균일하게 리드탭에 열융착될 수 있도록 하여 불량을 억제하여 제품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자동화 필름 열융착장치의 리드탭 고정지그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일측에 리드탭(10)이 안착되는 고정홈(111)이 형성되는 하부지그(110)와, 일측이 상기 하부지그(110)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는 상부지그(120)로 구성되는 지그(100);
상기 지그(100)의 일측에 이격되게 구성되되, 상기 고정홈(111)에 안착된 리드탭(10)의 타측을 밀림하는 전면지그(210)와, 상부에 상기 리드탭(10)의 외측을 감싸는 수용홈(221)과 상기 수용홈(221)과 연장되게 형성되는 측면고정블럭(225)과 상기 측면고정블럭(225)의 타측에 상기 리드탭(10)의 측면을 밀림시키는 측면밀림블럭(223)으로 구성되는 측면지그(220)로 구성되는 센터링지그(200); 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지그(120)에는, 하부에 상기 고정홈(111)과 마주하는 블럭삽입홈(121)과, 상기 블럭삽입홈(121)에 삽입되어 리드탭(10)을 고정하는 상부고정블럭(123)으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고정블럭(123)에는 일측에 탄성부재삽입홈(125)이 형성되어 탄성부재(127)가 삽입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삽입홈(125)은 다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127)는 상기 탄성부재삽입홈(125)의 개수에 맞춰 동일하게 삽입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지그(110)의 하부에는, 일측이 상기 하부지그(110)와 연결되고 타측이 열융착장치와 연결되어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130)가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지그(110)에는 고정홈(111)과 연장되는 관통홈(113)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지그(220)에는 상기 관통홈(113)과 마주하게 구성되어 상기 측면지그(220)가 상부로 이격 시 상기 관통홈(113)에 삽입되어 전면지그(210)에 의해 밀림되는 리드탭(10)의 후면을 고정하는 후면고정블럭(227)이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홈(111)은 다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111)의 개수에 따라 관통홈(113), 수용홈(221), 측면밀림블럭(223), 측면고정블럭(225), 후면고정블럭(227)도 동일한 개수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의 자동화 필름 열융착장치의 리드탭 고정지그에 의하면, 리드탭을 안착 시킨 후 센터링 정렬을 통해 정확히 고정시킨 상태에서 필름의 열융착작업이 가능하여 필름의 뒤틀림 현상 및 작업불량을 최소화하게 되어 생산성 향상과 작업시간 단축 및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나내는 작동상태도
도 9는 도 8의 b와 b'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10은 통상의 필름 열융착장치에 본 발명의 지그가 구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12의 (B - B')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통상적으로 리드탭의 필름 열융착장치(1)는 리드탭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리드탭을 이송하는 이송부(3), 상기 이송부(3)에 의해 이송되는 리드탭(10)에 필름(20)을 공급함과 동시에 연속적으로 리드탭(10)에 필름(20)을 열융착하는 열융착부 및 열융착된 리드탭(10)을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필름을 리드탭에 열융착함에 있어서 상기 리드탭(10)을 고정하는 별도의 고정수단 및 센터링 정렬과 같은 구성이 구비되지 않아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리드탭(10)의 외측에 필름(20)을 열융착할 시, 리드탭(10)의 뒤틀림 등의 현상이 자주 발생함에 따라 불량률이 매우 높아 생산성이 떨어졌고,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요인이 있었다.
본 발명은 필름 열융착 시 리드탭의 정확한 고정을 통해 열융착 시 불량률을 억제 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자동화 필름 열융착장치의 리드탭 고정지그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통상의 이차전지에 연결되는 리드탭(10)을 안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상, 하부지그(110, 120)가 상호 회동되게 구성되는 지그(100)와, 상기 지그(100)의 일측에 구성되어 리드탭(10)의 센터링을 잡아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센터링지그(200)로 구성된다.
상기 지그(100)는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일측에 리드탭(10)이 안착되는 고정홈(111)이 형성되는 하부지그(110)와, 일측이 상기 하부지그(110)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는 상부지그(12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지그(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열융착장치(1)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리드탭(10)의 외측에 각각의 필름(20)을 열융착하기 전, 정확한 센터링 정렬을 시킨 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열융착 시 발생할 수 있는 뒤틀림 등의 불량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며, 그로 인한 품질향상 및 대량생산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그(120)에는 하부에 상기 고정홈(111)과 마주하는 블록삽입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블럭삽입홈(121)에 삽입되어 리드탭(10)을 고정하는 상부고정블럭(123)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고정블럭(123)에는 일측에 탄성부재삽입홈(125)이 형성되어 탄성부재(127)가 삽입 구성하여 상기 탄성부재(127)의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상부고정블럭(123)을 밀림시킴에 따라 상기 상부고정블럭(123)이 리드탭(10)을 눌러 견고히 고정시킬 수가 있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127)를 통해 리드탭(10)의 두께에 따라서 리드탭(10)을 훼손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가 있는 장점을 가질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삽입홈(125)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27)는 상기 탄성부재삽입홈(125)의 개수에 맞춰 동일하게 삽입 구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부재삽입홈(125)이 두 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고정홈(111)의 개수에 따라 블록삽입홈(121), 상부고정블럭(123)의 개수도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그(110)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홈(111)과 연장되며 상하부로 관통되는 관통홈(113)이 형성되어, 하기될 센터링지그(200)에 구성되는 후면고정블럭(227)이 인입되어 전면지그(210)에 의해 리드탭(10)이 밀림될 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지그(100)는 센터링지그(200)에 의해 리드탭(10)의 중심을 완전히 정렬시킨 후 상, 하부지그(110, 120)가 힌지 결합된 각각의 타측면이 상호 맞닿아 리드탭(10)을 완전히 고정하게 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지그(110)의 하부에는, 일측이 상기 하부지그(110)와 연결되고 타측이 열융착장치와 연결되어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130)가 구성되어, 필름 열융착장치(1)의 이송부(3)에 안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터링지그(200)는 도 1, 3,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그(100)의 일측에 이격되게 구성되되 상기 고정홈(111)에 안착된 리드탭(10)의 타측을 밀림하는 전면지그(210)와, 상부에 상기 리드탭(10)의 외측을 감싸는 수용홈(221)과 상기 수용홈(221)과 연장되게 형성되는 측면고정블럭(225)과 상기 측면고정블럭(225)의 타측에 상기 리드탭(10)의 측면을 밀림시키는 측면밀림블럭(223)으로 구성되는 측면지그(2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센터링지그(200)는 공압 또는 유압으로 작동하는 실린더방식, 스크류방식을 적용하여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방식, 레일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되는 방식 등 통상의 구동방법을 적용할 수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실린더방식을 적용한 것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센터링지그(200)는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에 의해 전체적으로 상, 하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전면지그(210)는 실린더에 의해 개별적으로 전, 후진이 가능하고, 측면지그(220)는 상기 센터링지그(200)의 상, 하승하강에 의해 작동함과 동시에, 측면밀림블럭(223)이 실린더에 의해 개별적으로 좌, 우로 작동하게 된다.
상기 전면지그(210)는 도 3,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지그(100)의 전면에 이격되게 위치되어 실린더에 의해 상기 지그(100)에 안착된 리드탭(10)을 안착된 방향으로 밀림하도록 바 형태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측면지그(220)는 리드탭(10)의 외측을 감싸도록 하여 위치시키는 수용홈(221)이 형성되되 실질적으로 상기 리드탭(10)의 외측과 맞닿게 않도록 상기 리드탭(10)의 외측과 수용홈(221)의 내측 사이에 일정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221)과 연장되는 측면고정블럭(225)이 형성되어 상기 측면고정블럭(225)의 타측에 구성되는 측면밀림블럭(223)에 의해 리드탭(10)이 밀림되면 상기 측면밀림블럭(223)과 맞닿지 않는 타측이 상기 측면고정블럭(225)과 맞닿아지면서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지그(110)에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홈(111)과 연장되는 관통홈(113)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지그(220)에는 상기 관통홈(113)과 마주하게 구성되어 상기 측면지그(220)가 상부로 이격 시 상기 관통홈(113)에 삽입되어 전면지그(210)에 의해 밀림되는 리드탭(10)의 후면을 고정하는 후면고정블럭(227)이 구성된다.
상기 후면고정블럭(227)의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센터링지그(200)가 상부로 이동될 시, 상기 하부지그(110)의 관통홈(113)으로 삽입되어 전면지그(210)가 리드탭(10)을 밀림시킬 시, 고정홈(111) 상에서 유동하되 상기 후면고정블럭(227)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홈(111)은 다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111)의 개수에 따라 관통홈(113), 수용홈(221), 측면밀림블럭(223), 측면고정블럭(225), 후면고정블럭(227)도 동일한 개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고정지그에 대한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필름 열융착장치(1)의 공급부터부터 리드탭(10)을 공급받아 고정홈(111)에 리드탭(10)을 안착시키기 위하여, 상, 하부지그(110, 120)의 힌지 결합된 각각의 타측이 떨어져 상기 고정홈(111)으로 리드탭(10)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그 후에 리드탭(10)을 고정홈(111) 상에 안착시키게 되고, 이때, 센터링지그(200)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측면지그(220)가 각각의 리드탭(10)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위치됨과 동시에 후면고정블럭(227)이 하부지그(110)의 관통홈(113)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위치된 상태에서, 센터링지그(200)의 전면지그(210)가 리드탭(10)에 고정된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면 상기 리드탭(10)이 밀림되되 상기 후면고정블럭(227)에 의해 유동을 멈춤과 동시에 고정되어 전후 중심을 정렬하게 되고, 상기 축면지그(220)의 측면밀림블럭(223)을 작동시키게 되면 리드탭(10)이 일측으로 밀림되되 측면고정블럭(225)과 맞닿음과 동시에 좌우 중심을 정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그(100)에 안착된 리드탭(10)의 전후와 좌우 중심을 정렬하는 순서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선 순위로 전후와 후 순위로 좌우의 중심을 정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선 순위로 좌우와 후 순위와 전후의 중심을 정렬하여도 무관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써 한정짓지 아니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센터링지그(200)를 통해 리드탭(10)의 전후와 좌우 중심을 정렬한 후에는 상기 지그(100)의 상부지그(120)의 하측면이 하부지그(110)의 상측면과 맞닿게 작동시키게 되면 리드탭(1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이렇게 고정지그에 의해 고정된 리드탭(10)은 필름 열융착장치(1)의 이송부(3)에 의해 이동하게 되며 필름(20)이 외측에 감싸지며 열융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의 자동화 필름 열융착장치의 리드탭 고정지그에 의하면, 리드탭을 안착 시킨 후 센터링 정렬을 통해 정확히 고정시킨 상태에서 필름의 열융착작업이 가능하여 필름의 뒤틀림 현상 및 작업불량을 최소화하게 되어 생산성 향상과 작업시간 단축 및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 : 필름 열융착장치 3 : 이송부
10 : 리드탭 20 : 필름
100 : 지그
110 : 하부지그 111 : 고정홈 113 : 관통홈
120 : 상부지그 121 : 블록삽입홈 123 : 상부고정블럭
125 : 탄성부재삽입홈 127 : 탄성부재
130 : 고정플레이트
200 : 센터링지그
210 : 전면지그
220 : 측면지그 221 : 수용홈 223 : 측면밀림블럭
225 : 측면고정블럭 227 : 후면고정블럭

Claims (7)

  1. 일측에 리드탭(10)이 안착되는 고정홈(111)이 형성되는 하부지그(110)와, 일측이 상기 하부지그(110)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는 상부지그(120)로 구성되는 지그(100);
    상기 지그(100)의 일측에 이격되게 구성되되, 상기 고정홈(111)에 안착된 리드탭(10)의 타측을 밀림하는 전면지그(210)와, 상부에 상기 리드탭(10)의 외측을 감싸는 수용홈(221)과 상기 수용홈(221)과 연장되게 형성되는 측면고정블럭(225)과 상기 측면고정블럭(225)의 타측에 상기 리드탭(10)의 측면을 밀림시키는 측면밀림블럭(223)으로 구성되는 측면지그(220)로 구성되는 센터링지그(2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자동화 필름 열융착장치의 리드탭 고정지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그(120)에는,
    하부에 상기 고정홈(111)과 마주하는 블럭삽입홈(121)과, 상기 블럭삽입홈(121)에 삽입되어 리드탭(10)을 고정하는 상부고정블럭(12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자동화 필름 열융착장치의 리드탭 고정지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블럭(123)에는 일측에 탄성부재삽입홈(125)이 형성되어 탄성부재(127)가 삽입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자동화 필름 열융착장치의 리드탭 고정지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삽입홈(125)은 다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127)는 상기 탄성부재삽입홈(125)의 개수에 맞춰 동일하게 삽입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자동화 필름 열융착장치의 리드탭 고정지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그(110)의 하부에는,
    일측이 상기 하부지그(110)와 연결되고 타측이 열융착장치와 연결되어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13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자동화 필름 열융착장치의 리드탭 고정지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그(110)에는 고정홈(111)과 연장되는 관통홈(113)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지그(220)에는 상기 관통홈(113)과 마주하게 구성되어 상기 측면지그(220)가 상부로 이격 시 상기 관통홈(113)에 삽입되어 전면지그(210)에 의해 밀림되는 리드탭(10)의 후면을 고정하는 후면고정블럭(227)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자동화 필름 열융착장치의 리드탭 고정지그.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111)은 다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111)의 개수에 따라 관통홈(113), 수용홈(221), 측면밀림블럭(223), 측면고정블럭(225), 후면고정블럭(227)도 동일한 개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자동화 필름 열융착장치의 리드탭 고정지그.













KR1020160048971A 2016-04-21 2016-04-21 이차전지 리드탭의 자동화 필름 열융착장치의 리드탭 고정지그 KR101826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971A KR101826931B1 (ko) 2016-04-21 2016-04-21 이차전지 리드탭의 자동화 필름 열융착장치의 리드탭 고정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971A KR101826931B1 (ko) 2016-04-21 2016-04-21 이차전지 리드탭의 자동화 필름 열융착장치의 리드탭 고정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451A KR20170120451A (ko) 2017-10-31
KR101826931B1 true KR101826931B1 (ko) 2018-02-07

Family

ID=60301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971A KR101826931B1 (ko) 2016-04-21 2016-04-21 이차전지 리드탭의 자동화 필름 열융착장치의 리드탭 고정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9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616B1 (ko) 2022-07-08 2023-05-26 주식회사 엠플러스 이차전지 테이프 오토 스플라이싱 장비 및 이차전지 테이프 자동 스플라이싱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1882A (ja) 1999-03-03 2000-09-14 Toshiba Battery Co Ltd 電池用のタブ溶接治具
JP2011210529A (ja) 2010-03-30 2011-10-20 Toray Eng Co Ltd 電池組立治具および電池組立治具を用いた電池組立装置
JP2011233857A (ja) 2010-04-27 2011-11-1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エネルギー貯蔵装置の製造用治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1882A (ja) 1999-03-03 2000-09-14 Toshiba Battery Co Ltd 電池用のタブ溶接治具
JP2011210529A (ja) 2010-03-30 2011-10-20 Toray Eng Co Ltd 電池組立治具および電池組立治具を用いた電池組立装置
JP2011233857A (ja) 2010-04-27 2011-11-1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エネルギー貯蔵装置の製造用治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616B1 (ko) 2022-07-08 2023-05-26 주식회사 엠플러스 이차전지 테이프 오토 스플라이싱 장비 및 이차전지 테이프 자동 스플라이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451A (ko) 201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3748B1 (ko) 대용량 이차전지용 리드탭 자동화 필름 열융착 장치
KR101090076B1 (ko) 2차 전지의 전극탭 필름 열융착장치
KR101542159B1 (ko) 리드탭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드탭 제조방법
KR101617954B1 (ko) 2차전지의 전극탭 필름 융착 장치 및 방법
CN104364955A (zh) 用隔膜夹持极板的装置
TWI385841B (zh) 使用電池單元的移動設備製造電池組之方法
KR20170062402A (ko) 이차전지 제조장비의 파우치 실링장치
KR102649307B1 (ko) 이차전지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
KR20180089014A (ko) 절연성 테이프를 전지셀의 외주 실링부에 부가하는 테이핑 장치
KR101508529B1 (ko) 이차전지 리드탭의 필름 열융착 장치
KR101826931B1 (ko) 이차전지 리드탭의 자동화 필름 열융착장치의 리드탭 고정지그
KR20140137694A (ko) 배터리용 리드필름 실링 장치
KR20180083209A (ko) 전지팩의 탑 또는 바텀 캡 자동화 조립 라인 및 방법
CN210451559U (zh) 一种双金导线热铆全自动焊接机
KR102638743B1 (ko) 전극탭 재단장치
KR20200059617A (ko) 이차전지셀의 절연저항측정장치
KR102565848B1 (ko) 배터리 셀의 단락 검사부를 구비하는 가압 활성화 장치
KR20200059614A (ko) 전극/분리막조립체 로딩장치 및 로딩방법
CN112975026A (zh) 一种修复太阳能电池串的方法
CN217551448U (zh) Tco保险丝自动组装焊接机
US3745635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manufacture of electric storage batteries
CN114464867B (zh) 一种电芯保护板的焊接工艺
CN204221211U (zh) 锂电芯自动点焊机
JP4964820B2 (ja) 巻回素子のプレス装置
JP2002170530A (ja) 鉛蓄電池外殻部材の熱溶着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