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575B1 - 차량용 도어핸들 스위치 모듈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핸들 스위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575B1
KR101826575B1 KR1020160072470A KR20160072470A KR101826575B1 KR 101826575 B1 KR101826575 B1 KR 101826575B1 KR 1020160072470 A KR1020160072470 A KR 1020160072470A KR 20160072470 A KR20160072470 A KR 20160072470A KR 101826575 B1 KR101826575 B1 KR 101826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housing
circuit board
cover member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9900A (ko
Inventor
백승태
김영곤
손광남
정의중
강태환
이성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주) 셈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주) 셈코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2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575B1/ko
Publication of KR20170139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01H13/063Casings hermetically closed by a diaphragm through which passes an actuat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8Sill-buttons, garnish buttons or inner door lock kno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핸들 스위치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분이 내부로 유입되어 제품에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핸들 스위치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핸들 스위치 모듈은, 중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로의 수분유입을 차단하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커버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부에 스위치가 장착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다이아프램과; 상기 다이아프램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외력에 의한 상기 커버부재의 하강에 의해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스위치를 눌러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회로기판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기 회로기판의 상부와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를 차단하여 상기 회로기판을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핸들 스위치 모듈 { DOOR HANDLE SWITCH MODULE FOR VEHICLE }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핸들 스위치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분이 내부로 유입되어 제품에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핸들 스위치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와 승객이 타고 내릴 수 있는 다수의 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도어에는 아웃사이드 도어핸들이 설치된다.
아웃사이드 도어핸들은, 도어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차량의 외측에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최근 들어 스마트키 시스템(Smart Key System)을 채용한 차량이 점차 늘어남에 따라, 도어핸들도 스마트키 시스템 전용으로 개발되고 있다.
스마트키 시스템용 도어핸들은, 도어핸들 내부에 배치되는 도어안테나와, 도어핸들에 설치되어 도어안테나를 동작시키는 스위치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치 모듈은 차량의 도어핸들에 외부로 노출되게 매립 설치되어 사용자가 도어핸들을 잡으면서 상기 스위치 모듈을 누리게 되면, 상기 스위치 모듈에서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를 도어안테나에서 수신하여 차량의 도어 등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도어핸들 스위치 모듈은, 상부가 상기 도어핸들의 외부로 노출되게 매립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스위치 모듈과 도어핸들과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고, 또는 여름이나 겨울에 차량 외부의 온도가 급격히 변화되면서 고무류로 형성된 부품들의 수축 및 이완이 반복되어 스위치 모듈의 부품간에 틈이 발생하게 된다.
위와 같이 틈이 발생하게 되면 그 사이로 수분이 유입되어 내부에 설치된 PCB 등에 접촉함으로써 제품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45123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6550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수분이 도어핸들 스위치 모듈의 내부로 유입되어 PCB 등의 전장부품에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수분에 의한 제품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핸들 스위치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핸들 스위치 모듈은, 중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로의 수분유입을 차단하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커버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부에 스위치가 장착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다이아프램과, 상기 다이아프램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외력에 의한 상기 커버부재의 하강에 의해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스위치를 눌러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회로기판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기 회로기판의 상부와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를 차단하여 상기 회로기판을 밀폐시키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커버부재를 뚫고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다이아프램의 상부를 외부로 연통시키는 배출공이 형성되되, 상기 배출공에는 상기 커버부재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은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수분은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로 유입을 방지하도록 체크밸브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스위치의 상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상기 다이아프램은 하부에 상기 스위치가 위치한 중심부가 상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다이아프램을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에 고정 결합시키되, 상기 다이아프램의 테두리는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밀착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상부를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로부터 밀폐시킨다.
상기 하우징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에는 외측부에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스위치의 상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다이아프램을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킨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지지턱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턱의 하면이 상기 회로기판을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결합돌기에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다이아프램의 테두리를 상기 지지턱의 상면에 가압 밀착시킨다.
상기 지지턱의 상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다이아프램의 테두리 하부에는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안착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결합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안착돌기는 상기 안착홈 내부에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안착홈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킨다.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핸들 스위치 모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차적으로 커버부재에 의해 외부의 수분이 커버부재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커버부재의 내부로 유입된 수분은 2차적으로 다이아프램이 차단함으로써, 회로기판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제품 오작동 및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핸들 스위치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핸들 스위치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구조도,
도 4는 도 3에서 버튼부가 눌려진 상태의 단면구조도.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핸들 스위치 모듈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커버부재(20)와, 회로기판(30)과, 다이아프램(40)과, 결합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재(20)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수분 및 이물질을 차단한다.
이러한 상기 커버부재(20)는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외력이 인가되면 탄성변형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20)는 상기 하우징(10)에 억지끼움 또는 인서트사출 등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킨다.
상기 커버부재(20)의 중심 하부에는 누름돌기(2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20)의 상부에는 상기 누름돌기(22)의 상부에 배치되는 버튼돌기(2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회로기판(30)은 상부에 스위치(31)가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 배치된다.
상기 다이아프램(40)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로기판(30)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된다.
상기 다이아프램(40)은 상기 회로기판(30)의 상부와 상기 커버부재(20)의 내부를 차단하여 상기 회로기판(30)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다이아프램(40)은 상기 스위치(31)의 상부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다이아프램(40)은 상기 스위치(31)의 상부에 밀착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상기 스위치(31)의 오작동 등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와 같이 이격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이아프램(40)의 중심부 즉 하부에 상기 스위치(31)가 위치한 상기 다이아프램(40)의 중심부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다이아프램(40)의 중심부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원상태로의 복원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본 실시예와 같이 중심부가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재(50)는 상기 다이아프램(40)을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고정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재(5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이아프램(40)을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10)에 가압 밀착시켜 고정 결합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이아프램(40)의 테두리는 상기 결합부재(50)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에 밀착되어 상기 회로기판(30)의 상부를 상기 커버부재(20)의 내부로부터 밀폐시킨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50)에는 상기 스위치(31)의 상부에 관통공(51)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돌기(22)의 하강시 상기 누름돌기(22)는 상기 관통공(51)을 관통하여 상기 다이아프램(40)을 하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결합부재(50)는 본 실시예와 달리, 나사, 접착제 등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재(50)를 상기 하우징(10)에 결합시키는 구조로써, 상기 하우징(10)에는 걸림홈(1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50)에는 외측부에 상기 걸림홈(1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걸림돌기(5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52)가 상기 걸림홈(12)에 삽입되면서 상기 결합부재(50)는 상기 다이아프램(40)을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10)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에는 지지턱(13)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턱(13)의 하면에는 상기 회로기판(30)에 접하여 지지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상기 회로기판(30)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 에폭시, 실리콘 등을 도포하여 상기 하우징(10)의 하부를 밀폐시킨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는 결합돌기(1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11)에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걸림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52)가 상기 걸림홈(12)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결합부재(50)는 상기 다이아프램(40)의 테두리를 상기 지지턱(13)의 상면에 가압하여 밀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턱(13)의 상면에는 안착홈(14)이 형성되고, 상기 다이아프램(40)의 테두리 하부에는 상기 안착홈(14)에 삽입되는 안착돌기(44)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50)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안착돌기(44)는 상기 안착홈(14) 내부에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안착홈(14)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다이아프램(40)과 하우징(10)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상기 다이아프램(40)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회로기판(30)으로 수분 등이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다이아프램(40)의 상부를 외부로 연통시키는 배출공(15)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재(20)를 뚫고 내부로 유입된 수분 등이 상기 배출공(1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출공(15)에는 체크밸브(16)가 장착되어, 상기 커버부재(20)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은 외부로 배출되지만, 외부의 수분은 상기 커버부재(2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상기 체크밸브(16)의 구조는 종래의 공지된 구조를 이용하면 충분한 바, 이에 대한 자세한 구조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조립 및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상기 하우징(10)의 하부를 통해 상기 회로기판(30)을 삽입하면 상기 회로기판(30)은 상기 지지턱(13)의 하면에 걸려 지지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 에폭시, 실리콘 등을 도포하여 상기 하우징(10)의 하부를 밀폐시킨다.
그리고, 상기 다이아프램(40)을 상기 회로기판(30)을 덮으면서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배치한다.
이때, 상기 다이아프램(40)의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안착돌기(44)는 상기 하우징(10)의 지지턱(13)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안착홈(14)에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50)를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로부터 상기 다이아프램(40) 방향으로 밀어 넣는다.
그러면, 상기 걸림돌기(52)는 걸림홈(12)에 삽입되면서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게 되고, 이때 상기 결합부재(50)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다이아프램(40)은 가압되면서 상기 지지턱(13)의 상면에 밀착되게 된다.
특히 상기 안착돌기(44)는 상기 결합부재(50)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안착홈(14)에서 눌리면서 탄성변형되어 상기 안착홈(14)과의 접촉면적이 증대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안착돌기(44)와 안착홈(14)의 틈을 통해 수분 등이 상기 회로기판(30)이 배치된 상기 다이아프램(40)의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상기 커버부재(20)를 결합시켜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를 밀폐시키도록 한다.
위와 같은 조립이 완료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며, 사용자가 상기 버튼돌기(21)를 누르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20)의 하부에 결합된 상기 누름돌기(22)는 상기 관통공(51)을 관통하면서 상기 다이아프램(40)을 누르게 되고, 상기 다이아프램(40)은 하방향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스위치(31)를 눌러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20)가 찢어지거나 상기 커버부재(20)와 하우징(10)의 틈 등을 통해 상기 커버부재(20)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부재(20)의 내부로 유입된 수분이 상기 다이아프램(40)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30)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다이아프램(40)의 테두리는 상기 결합부재(50)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가압 밀착됨으로써, 그 틈을 통해 수분이 상기 회로기판(30)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20)의 내부로 유입된 수분은 상기 배출공(15) 및 체크밸브(1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커버부재(20)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더라도, 수분이 상기 회로기판(3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인 차량용 도어핸들 스위치 모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하우징, 11 : 결합돌기, 12 : 걸림홈, 13 : 지지턱, 14 : 안착홈, 15 : 배출공, 16 : 체크밸브,
20 : 커버부재, 21 : 버튼돌기, 22 : 누름돌기,
30 : 회로기판, 31 : 스위치,
40 : 다이아프램, 44 : 안착돌기,
50 : 결합부재, 51 : 관통공, 52 : 걸림돌기.

Claims (8)

  1. 중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로의 수분유입을 차단하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커버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부에 스위치가 장착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다이아프램과;
    상기 다이아프램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외력에 의한 상기 커버부재의 하강에 의해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스위치를 눌러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회로기판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기 회로기판의 상부와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를 차단하여 상기 회로기판을 밀폐시키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커버부재를 뚫고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다이아프램의 상부를 외부로 연통시키는 배출공이 형성되되,
    상기 배출공에는 상기 커버부재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은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수분은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로 유입을 방지하도록 체크밸브가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에는 외측부에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스위치의 상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다이아프램을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지지턱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턱의 하면이 상기 회로기판을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결합돌기에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다이아프램의 테두리를 상기 지지턱의 상면에 가압 밀착시키며,
    상기 지지턱의 상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다이아프램의 테두리 하부에는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안착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다이아프램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회로기판으로 수분이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안착돌기는 상기 안착홈 내부에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안착홈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핸들 스위치 모듈.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스위치의 상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핸들 스위치 모듈.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은 하부에 상기 스위치가 위치한 중심부가 상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핸들 스위치 모듈.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다이아프램을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에 고정 결합시키되,
    상기 다이아프램의 테두리는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밀착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상부를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로부터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핸들 스위치 모듈.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072470A 2016-06-10 2016-06-10 차량용 도어핸들 스위치 모듈 KR101826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470A KR101826575B1 (ko) 2016-06-10 2016-06-10 차량용 도어핸들 스위치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470A KR101826575B1 (ko) 2016-06-10 2016-06-10 차량용 도어핸들 스위치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900A KR20170139900A (ko) 2017-12-20
KR101826575B1 true KR101826575B1 (ko) 2018-02-07

Family

ID=60931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470A KR101826575B1 (ko) 2016-06-10 2016-06-10 차량용 도어핸들 스위치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5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680B1 (ko) * 2018-11-23 2020-04-06 주식회사 모베이스코넥타 스마트 키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의 도어용 핸들 스위치 버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0301A (ja) * 2008-08-05 2010-02-18 Nippon Seiki Co Ltd スイッチ装置
JP5612642B2 (ja) * 2012-08-30 2014-10-22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押しボタン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0301A (ja) * 2008-08-05 2010-02-18 Nippon Seiki Co Ltd スイッチ装置
JP5612642B2 (ja) * 2012-08-30 2014-10-22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押しボタンスイッ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680B1 (ko) * 2018-11-23 2020-04-06 주식회사 모베이스코넥타 스마트 키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의 도어용 핸들 스위치 버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900A (ko) 201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0315B2 (en) Waterproof switch having uniform tactile feel
US7759592B2 (en) Seal for electrical switch pad
WO2014092117A1 (ja) 防水構造を有する電子機器
US7740166B2 (en) Push switch
CN102379018B (zh) 按压开关
US8049123B2 (en) Computer input device and waterproof button mechanism thereof
KR101826575B1 (ko) 차량용 도어핸들 스위치 모듈
US20110308925A1 (en) Push switch
US20190337551A1 (en) Fastening device for a security module on a vehicle steering wheel
KR101887930B1 (ko) 스마트키 차량용 도어핸들 안테나 및 스위치 모듈
US20120160647A1 (en) Push switc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1292986B (zh) 快动开关及其组装方法
JP2020020109A (ja) バックドアハンドル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8129617B2 (en) Electric distribution box
CN111243894A (zh) 防水按键模块
KR101663018B1 (ko) 차량용 도어 안테나 스위치
KR102277840B1 (ko) 압력센서
JP4204372B2 (ja) スイッチ用二次成形品
JP2013171620A (ja) コネクタの防水構造
KR101951687B1 (ko) 방수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금속버튼 제조방법
JP2928711B2 (ja) 合成樹脂ケースのシール構造
US20230071176A1 (en) Waterproof button assembly
JP4499612B2 (ja) 電気部品
KR101830256B1 (ko) 카드형 스마트키
CN217061831U (zh) 开关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